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북방언 "인자"의 담화표지 실현 양상 -중부방언 "인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지윤 ( Ji Yoon Park ) 한국화법학회 2011 화법연구 Vol.0 No.18

        이 논문은 경북방언에서 그 실현 빈도가 다른 지역에 비해 상당히 높은 ``인자``에 대해 그 형태변이와 담화표지로서의 실현 특성 그리고 다양한 담화적 기능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룬다. 담화표지로 쓰이는 경북방언 ``인자``가 흥미로운 것은 그 원형이 시간 부사 ``이제``에서 출발했지만 ``이제``가 표현할 수 없는 독특한 담화기능을 이 경북방언이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제``의 경북방언은 ``인자``, ``인저``, ``이자``, ``제`` 등의 다양한 형태변이가 나타난다는 점에서 경북방언의 ``인자``는 독특한 담화표지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중부방언 담화표지인 ``인제``와 경북방언의 담화표지인 ``인자``를 비교·대조해 봄으로써 경북방언의 ``인자``가 갖는 담화 기능을 제시하고자 한다. 각 지역 방언에 해당되는 방송국의 인터뷰 프로그램을 통해 자료를 전사한 뒤, 전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먼저 담화표지의 전체 유형을 찾아 보았다. 시간부사 ``이제``로 출발을 하였지만 중부방언은 ``인제``로, 경북방언은 ``인자``로 담화표지가 주로 발달을 하였다. 그리고 경북방언과 중부방언의 전체 담화표지를 분석했을 때, 경북방언은 총 61개, 중부방언은 총 24개의 담화표지가 담화에 쓰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곧 경북방언과 중부방언의 ``인자``와 ``인제``의 실현 양상에 반영이 된다. 즉 경북방언의 ``인자``는 기능적인 측면과 현상적인 측면에서 각각 ``확인, 지연, 화제 전환, 유도, 다짐, 강조, 문장접속``, ``군말, 머뭇거림, 덧말``에 활발하게 사용이 된 반면, 중부방언의 ``인제``는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지연``의 기능만, 현상 측면에서는 ``군말, 머뭇거림, 덧말``에 사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이는 담화상에서 다음 발화를 생각하기 위해 담화표지를 사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것이 경북방언에서는 ``인자``로, 중부방언에서는 ``인제``로 변화·발달되어 기본적인 기능인 ``지연``과 기본적인 현상인 ``군말, 머뭇거림, 덧말``을 갖고 있으나 경북방언은 기본적인 기능과 함께 보조적인 기능인 ``확인, 지연, 화제 전환, 유도, 다짐, 강조, 문장접속``을 더 추가하여 갖게 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function of discourse marker of Gyeongbuk Dialect ``Inja`` by comparing with Midland Dialect ``Inje``. This paper focuses on the formal variation, feature of discourse marker, and discourse function of Gyeongbuk Dialect ``Inja``, which it`s realization is considerably high compared to other region. From the Interview program that represent dialect of Gyeongbuk and midland was transcribed, one tried to find overall type of discourse marker. It started from adverb ``now``, but it developed as ``Inje`` in Midland Dialect, and as ``Inja`` in Gyeongbuk Dialect as discourse marker, not adverb ``now``. Thus, adverb ``now`` is developed to ``Inja`` in Gyeongbuk Dialect, and to ``Inje`` in Midland Dialect. In result, unlike Midland Dialect, Gyeongbuk Dialect ``Inja`` has not only it`s basic feature of ``delaying`` and basic condition of ``filler``, ``hesitation``, ``added words``, but also supplementary features such as ``confirmation``, ``delaying``, ``topic change``, ``resolution``, ``emphasis``, ``linking sentence``.

      • KCI등재

        한국 수학사와 ‘경북학파’의 탄생: 경북대학교 수학 연구 전통의 형성과 발전

        문만용,선유정,강형구 한국수학사학회 2020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33 No.3

        This paper tries to show the formation of `Kyungpook School' that is a nickname given to mathematicians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NU). In the early period, the role of professor Park Jung-gi was the most important drive to set the research tradition. He made Korea's first english journal in mathematics, Kyungpook Mathematical Journal KMJ which became a cornerstone for students to join the international academic community. Professor Ki U-hang published the most amount of papers in Korea in 1970s and became a role model for young scholars. In this background, KNU's Topology and Geometry Research Center at KNU was chosen as the only Science Research Center in mathematics in 1989, and KNU's mathematicians could get a long-period support for capable mathematics researchers' community. 1989년 한국과학재단이 시작한 우수연구센터 사업에서 경북대 위상수학‧기하학연구센터는 수학 분야에서 전국에서 유일하게 선정되었고, 이는 경북대 수학 연구 전통이 쌓아온 성과를 단적으로 보여주었다. 우수 연구자나 학생들의 수도권 집중이 심화되고 있고, 과학기술 특성화 대학들이 높은 실적을 내고 있는 상황에서 경북대 수학과와 수학교육과가 거둔 성취는 더욱 주목을 받았다. 이 논문은 경북대 설립 초기부터 2000년대에 이르기까지 경북대 수학 분야의 교육 및 연구의 역사를 추적하면서 ‘경북학파’라는 별칭을 받고 있는 경북대 수학 연구 전통이 형성되고 발전될 수 있었던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우선 경북대 설립 초기에는 수학세미나 등을 통해 수준 높은 교육 및 연구 전통을 출범시킨 박정기의 리더로서의 역할이 중요했다. 특히 그가 창간한 영문 저널 Kyungpook Mathematical Journal은 경북대의 수학 연구성과를 국제적으로 발신함으로써 1960년대 이후 여러 젊은 연구자들이 해외로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주었다. 이렇게 형성된 연구 전통 속에서 1970년대 기우항은 국내 수학자 중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함으로써 경북대 수학자 그룹의 롤 모델이 되었다. 이러한 성과에 힘입어 경북대는 우수연구센터에 선정되었고, 우수연구집단을 만들 수 있는 장기적인 제도적 지원책을 확보함으로써 한국의 수학 연구를 선도할 수 있는 도약의 기틀을 마련하게 되었다.

      • KCI등재후보

        경북지역 철강산업의 지역간 산업연관효과 분석

        이춘근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7 대구경북연구 Vol.16 No.1

        This study is to analyze inter-regional and inter-industrial linkage effects of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using the 2013 inter-regional input-output table. For the analysis, 16 regions were reclassified into five regions, Daegu, Gyeongbuk, Capital Metropolitan region, South-East region, and Other regions, and various industrial linkage effects were re-estimated.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was the second highest specialized sector following electronic industries among manufacturing industries in the region, and the portion of intermediate inputs and demands was very high. The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s of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were considerably higher than average of the entire 30 industrial sectors, and far higher than those of the steel industry in South-East region, Capital Metropolitan region, and Daegu region. The index of the sensitivity of dispersion showing forward linkage effect of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was 3 times higher than average of the entire industries, and impact factor showing backward linkage effect was higher than 1. Therefore,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is an intermediate-demanding and manufacturing industry. When the price of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is rising 10%, its effects on other regions were highest in Daegu region, and then Capital Metropolitan region, South-East Region, and Gyeongbuk region followed in order. For the entire Korea, it affected higher price-rising pressure of 24.8%. The linkage effects of the steel industry in Gyeongbuk region were more highly linked with Capital Metropolitan region or South-East region than Daegu region, it is necessary to seek more actively industrial collaboration with these regions. 본 연구는 한국은행에서 최근 발표한 2013년 지역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경북지역 철강산업의 지역간, 산업간 연관효과를 분석한 연구이다. 분석을 위해 16개 권역을 대구와 경북, 수도권, 동남권, 기타권 등 5개 권역으로 재분류한 후 여러 가지 산업연관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북지역 철강산업은 타 지역, 타 산업에 비하여 중간투입과 중간수요의 비율이 상당히 높고, 생산유발계수는 30개 부문 전체 산업 평균보다도 상당히 높으며, 동남권이나 수도권, 대구 등에 비해서도 훨씬 더 높았다. 경북지역 철강산업의 감응도계수는 전체산업 평균보다 3배 정도 높았고, 영향력계수도 1보다 높아 상대적으로 전체산업 평균보다 높았다. 따라서 경북지역 철강산업은 중간수요적 제조업형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경북지역 철강산업의 물가가 인상될 경우, 대구지역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쳤고, 그 다음 수도권, 동남권, 경북권 등의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경북지역 철강산업이 타 지역에 미치는 생산유발효과는 수도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그 다음 동남권, 경북권 등에 영향을 미쳤다. 산업별로는 철강제품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쳤고, 석탄 및 석유제품, 전력·가스 및 증기제품, 도·소매 서비스, 운송 서비스 등에 높은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국내 ICT 제조업의 해외직접투자가 경북지역 수출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김완중,강기우 한국지역경제학회 2016 韓國地域經濟硏究 Vol.14 No.2

        Gyeongsangbuk-do is one of main production bases of Korean ICT industry. The region's ICT industry has been developed by lagre firms in the region. It is said that as the large firms have invested in developing countries such as China and southeast Asia, the region's production and export of ICT manufacturing industry have been stagnated.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ason of the stagnation of the industry in the region. The paper investigates whether oversea direct investment(ODI) of the region has negative impact on the region's export in ICT manufacturing industry. The study showed that although the other regions‘ ODI has positive impact on the region's export, the region's own ODI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export in the industry. It is found that the region's recent export stagration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region's oversee direct investment, but related to structural change of the industry. 경북은 경기와 더불어 우리나라 최대 ICT제조업 생산집적지이다. 경북지역의 ICT 제조업 성장은 국내 대기업들의 생산사업장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국내기업들의 해외직접투자가 확대되고 경북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가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경북지역의 ICT 생산과 수출이 크게 위축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경북지역의 ICT 수출위축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국내기업의 해외직접투자가 경북의 ICT 수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에 집중하였다. 경북지역 ICT산업의 수출함수를 분석한 결과, 경북 ICT제품 수출은 한국(경북지역 제외)의 해외직접투자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받지만, 경북지역 자체 해외직접투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경북지역의 ICT 수출 감소의 주요인은 해당 기업들의 해외직접투자 확대라기보다는 ICT 수출구조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 결과로 보인다.

      • 대구·경북의 전통 문화축제의 현황과 개선 과제

        김영권 경산대학교 경산문화연구소 2001 경산문화연구 Vol.5 No.1

        -대구 ·경북지역 축제의 과제- 대구·경북의 전통 문화축제는 그 나름대로 공동체 활동을 토대로 지역문화의 특징을 접목하여 이 지방에 맞는 축제 문화로 자리를 잡았다. 그 결과 타 지역에 비해 열악한 축제 환경 속에서 전통문화를 축으로 한 전통 문화축제는 상당히 발전하였다. 이 중 지역의 특성과 조화를 이룬 축제로 달구벌축제, 안동 국제탈춤 페스티발, 경주 세계문화 엑스포, 청도 소싸움, 경산 자인 단오와 한장군놀이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축제들 역시 아직 전통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가 부족한 실정이다. 앞으로 전통문화에 대한 더 정확하고 철저한 고증을 통해 전통을 계승·발전시켜 새로운 전통문화축제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그리고 사라진 지역축제를 복원하여 재현하고 나아가 전승하여 전통 민속문화축제로서의 성격을 확실히 드러내는데 활용하여 대구·경북지역의 특성과 잘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대구·경북지역의 축제가 진정한 지역민을 위한 축제가 되기 위해서는 우선 지역축제의 창조적인 계승을 위해서 위는 근거 없는 축제를 버려야한다.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축제는 민속적·전통축제의 근원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구·경북지역축제는 지역의 특유한 풍속이나 세시 행사, 민속놀이에 그 근거를 두어 민중의 꿈과 이상을 형상화하여 지역민에게 강한 소속감과 유대감을 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종래의 축제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면서 다양한 축제 종목을 축소하여 지역의 향토성과 무관한 종목을 빼고 연령, 계층, 성별에 관계없이 모든 지역민이 즐길 수 있는 행사를 꾀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역축제가 지닌 원초적 세계상에 다른 축제의 집단들을 끌어들여 국제적 축제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지역의 축제가 세계적·국제적 성격을 띠기 위해서는 그 내용에 인간 근원적인 문화 인자를 지니고 있어야 찰 것이며 더불어 우리 지역축제가 지닌 근본정신이 현대적으로 재창조되어야 할 것이다. 이렇게 된다면 지역의 축제는 단순한 놀이를 뛰어넘어 놀이를 통한 재생산을 이룩할 것이며, 나아가 지역발전의 디딤돌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지역민을 결속시키는데 이바지 할 것이고 각 지역의 축제들과 연관을 이루어 관광상품으로서의 역할도 할 것이다. 결국 전통문화에 뿌리를 둔 전통문화축제는 전통의 계승·발전, 현대문화의 창조, 지역공동체 주민들의 정체성 확립을 통한 공동체의식 함양, 지역문화의 발전과 지역경제의 활성화 등 지역의 역사·사회·문화·경제에 많은 기여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경북대학교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와 성과 ― 글쓰기 센터 운영(2008~2013)과글쓰기·말하기 통합 교육의 사례를 중심으로

        전은경,김귀원,김종현,남금희,이원동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6

        본 논문은 2008년부터 2013년까지 경북대학교 글쓰기 센터인 <글쓰기 도움터>의 운영 사례를 분석하여 실제 대학 글쓰기 센터가 기초 교양 교육의 연계의 장으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모색해보고자 했다. 대학의 기초 교양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글쓰기> 교과와 글쓰기 센터가 서로 연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향후 대학 간의 축적된 정보를 교환하여 대학의 기초 교양 교육을 올바르게 정립해 나갈 수 있도록 그 기초적인 작업으로 경북대학교의 예를 제시해 보았다. 경북대학교 <글쓰기 도움터>는 2008년부터 현재까지 상담 프로그램과 교육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글쓰기 도움터>에서는 글쓰기에서 더 나아가 글쓰기 및 말하기 통합 교육의 모델을 제시해 보고자 했다. 자기소개서와 면접의 연계 교육, 프레젠테이션을 위한 글쓰기와 말하기의 통합 교육을 실례로 제시하여 글쓰기와 말하기 통합 교육의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했다. 대학 내 글쓰기 센터의 역할은 학생들에게나 학교를 위해서나 모두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사업이 정부의 사업과 연계되어 있어서 지원 사업이 종료되면, 센터의 사업 자체가 흔들릴 수밖에 없다. 따라서 대학 내외의 노력과 내부의 예산 마련 등 독립적인 사업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또 학생들에게 필요한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의사소통 교과목과 글쓰기 센터가 연계되어 지속적으로 학생들의 기초 교양 교육을 이어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n effective method for developing academic writing through Writing Center. Especially this paper tried to analyze examples in Writing Center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Writing Center> at KNU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teaching of college writing since it was held in 2008. <Writing Center> at KNU are supposed to help students’ papers, give 1-to-1 tutoring, and educate college students for several presentation contest. This study proposes integrated teaching of Writing and Speaking by the examples <Writing Center> at KNU. Integrated teaching of Writing and Speaking might be the new teaching model in writing center. College writing center can give students tutoring system connecting the Writing Curriculum. Therefore college writing center in Korea is required for supporting by national governments or University finance to serve students’ needs and improve the ability of students’ communication.

      • ‘대구경북학’의 모색

        김영화(Kim Young-Hwa),김태일(Kim Tae-Il)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2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5 No.1

        대구경북학이 왜 필요한가? 필요하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가? 이는 그동안 대구경북지역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불식시키고, 자생적, 타생적 편견, 과도하게 왜곡된 정치의식을 바로 잡고, 이 지역 원래의 모습을 되찾으며, 지역의 정신과 지역민의 삶, 그리고 정체성을 되찾는 데서 출발한다. 이는 지역의 미래 발전에 커다란 동력이 될 것으로 생각하며, 어떻게 이런 문제들을 해결할 것인가하는 문제는 대구경북학을 만들어야 하는 필요성과 연결된다. 1990년 초 지자체가 복원됨으로써 지방화시대가 열렸고, 이와 때를 같이 하여 지역학들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게 되었다. 지방과 중앙의 기형적 양대구조를 극복하고, 어떻게 대구 경북의 비젼을 만드는가 등 지방화와 더불어 지역의 정체성을 규명하는 일이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1990년대에 여러 지역에서 지역학이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대구에서는 지역에 대한 남다른 문제의식으로 1985년에 지방사회연구회가 제일 먼저 조직단위로서 지역연구를 처음 시작하였고 이를 계기로 다른 지역에도 여러 지역연구회가 만들어지게 되면서, 지역학을 만드는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 그러나 정작 대구에서는 파편적이고 분파적인 형태로 분산되었고, 학문이나, 센터, 기구로 연결되는 데는 다른 지역보다 뒤진 형태를 보이고 있다. 대구는 폐쇄적이고 가부장적인 특성을 가진 도시로 보여짐으로써 이를 규명하는 일도 대구경북학이 담아내야하는 일이다. Why ‘Daegu-Gyungbuk Studies’ are needed? If it is, how they should be? From the experiences of other regional studies, ‘Daegu-Gyungbuk Studies’ should begin with wipping out existing prejudices and misunderstanding about Daegu-Gyungbuk area which have been gradually formed since last few decades; and debunking and explaining in these long time produced biases, excessively distorted political consciousness on this region: recover and re-finding indigenous features, spirit of community, local life of the people and their identity. All these issues are great energy for driving regional development and the future, so that they give great motivation for building ‘Daegu-Gyungbuk Studies’. Restoring the local autonomy system in the early 1990’s, the era of the localization opened, and local studies have been emerging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tyles at that time. Moreover it becomes major tasks that examine the identity of local community with the localization, such as dealing successfully with malformed dichotomy between the center and the province, having vision in view for Daegu-Gyungbuk. In 1990’s regional studies began to activate in several regions. The “local-community study group” in Daegu began regional studies as a unit of organization for the first time 1985 with the sharp consciousness of regional issues, which played a determined role for setting up regional studies. Taking this opportunity a few groups of regional studies were organized in other regions. But unfortunately the regional studies in Daegu itself spreaded out in fragmental and partial form and it is now far behind in associating with scholarly attainment, forming regional study center, or organization, at the end. As Daegu is shown with closed and hierarchical character, it is a task for ‘Daegu-Gyungbuk Studies’ to explain those “cliche”, as well.

      • 경기 전망에 대한 지역별 인식 비교 분석

        장승욱(Jang, Seung Wook) 영남대학교 산경연구소 2013 영상저널 Vol.6 No.1

        본 연구는 기업경기실사지수와 소비자동향지수를 이용하여 대구 경북의 기업들과 소비자들의 설문 조사의 결과와 전국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두 지수간 상호관련성과 영향력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 모형으로는 시계열의 안정성 여부의 판정을 위한 단위근 검정과 변수간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관계의 존재여부판정을 위한 공적분(cointegration)검정을 하였다. 그리고 기업경기실사지수와 소비자동향지수간 상호영향력 분석을 위한 VAR모형을 이용한 예측오차의 분산분해기법을 이용하였다. BSI의 기초통계량을 살펴보면, 전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비해 대구경북의 지수가 모든 부분에서 낮은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수의 변동성의 경우에는 대구경북의 지수의 변동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CSI의 기초통계량을 살펴보면, BSI의 결과와는 달리 전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CSI에 비해 대구경북의 CSI가 더 높은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업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는 대구경북의 기업들이 전국의 기업들에 비해 경기전망에 대해 보다 부정적인 의견을 갖는 기업들이 많은 반면,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는 대구경북의 소비자들이 전국의 소비자들에 비해 경기전망에 대해 보다 긍정적인 의견을 갖는 소비자들이 더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BSI를 대상으로 전국의 BSI와 대구경북의 BSI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가 0.83으로 나타났으며, CSI를 대상으로 상관계수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0.97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두 지수의 시계열이 안정적 과정을 따르는지 검토하기 위하여 각 변수에 대해 ADF(Augmented Dickey Fuller)와 PP(Phillips and Perron) 단위근 검정결과, 차분 BSI와 CSI 변수는 단위근이 있다는 귀무가설을 유의적으로 기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안정적 시계열 자료임을 알 수 있다. 두 시계열간 공적분의 존재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Johansen의 공적분검정을 수행한 결과, 두 변수간에는 적어도 1개의 공적분 관계가 존재함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BSI와 CSI간에 공적분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은 상호 관련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BSI와 CSI간의 상호관련성과 영향력 파악을 위해 VAR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전기의 BSI는 당기의 BSI 뿐만 아니라 당기 CSI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전기 BSI의 영향력은 당기 BSI보다 당기 CSI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 경북 지수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BSI는 CSI의 선행 변수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on region recognize of business outlook concentrate upon Daugu and Gyeongbuk and study on the effects between the BSI and CSI. Daegu and Gyeongbuk" BSI showed compared to the results of nationwide survey of index appeared to have a low value in all parts, higher volatility of the BSI compared to a nationwide survey. And Daegu and Gyeongbuk" CSI appeared to have a high value compared to the nation"s. We examine the interdependence of the BSI and CSI. We employ impulse response function based on VAR model as well as variance decomposition after unit root tests and cointegration test. The finding that many macro time series may contain a unit root has spurred the development of the theory of non-stationary time series analys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ationwide" and Daegu-Gyeongbuk"s BSI showed 0.83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ationwide" and Daegu-Gyeongbuk"s CSI showed 0.97 the correlation coefficient. This research showed following main results. From basic statistic analysis, both the BSI and CSI have unit roots, Second, there is at least one cointegration between them. Between BSI and CSI to determine the relevance and influence of VAR models for the analysis of th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BSI(0) and BSI(-1) affects the CSI. Daegu-Gyeongbuk" index analysis results also showed the same results. Therefore we know that BSI play role leading variable of CSI.

      • 대구·경북 지역발전과 2012년 양대 선거

        이철우(Lee Chul-Woo)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2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5 No.1

        이글은 대구경북지역발전을 둘러싼 경제 환경의 변화와 그 실태를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몇 가지 정책대안을 제시하였다. 최근의 기술혁신과 생산성 향상을 통한 ‘부의 창출’은 세계적 차원뿐만 아니라 국가, 지역 심지어 대도시 지역 내에서의 새로운 불균형발전의 동인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서울과 지방,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발전의 양극화는 더욱 심화되고 있다. 그동안의 정책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 효과에 부정적이다. 따라서 기존의 지역발전정책에서 탈피하여 지역의 내부 역량을 강화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절실하다. 이러한 패러다임에 입각한 대구경북지역의 대안적 발전방안으로 ① 지방분권과 연대를 통한 중앙논리에 대응할 힘을 키워야 하며, ② 대경경제권, 영남경제권 나아가서는 남부경제권의 광역경제권 구축으로 지역경제의 ‘규모의 경제’의 실현을 통한 국제경쟁력 강화, ③ 국가정책의 현지화로 지방정책의 일관성 확보를 통한 내생적 역량 강화, ④ 지역의 개방성과 다양성의 확보 그리고 ⑤ ‘영남권 신국제공항(남부권 국제공항)’의 건설을 제시한다. This article has attempted to analyse the changing of socio-economic milieu and the actual condition surrounding Daegu-Gyungbuk province. In addition, I have proposed some political alternatives which is based on this analysis. The ‘creation of wealth’ through technical innovation and growth of production seems to affect uneven regional development not only global level but also national and regional level even local level included cities. In Korea, the regional developmental gap between metropolitan area and non-metropolitan area (between capital city, Seoul and non-capital city area) is deepening. Although national and/or local government tried to reduce the regional disparity, that result was unsatisfactory. Consequently, there is a need a paradigm shifting that makes to strengthen regional capacity broken up top-down regional development paradigm. Among the most important alternative regional development policy for Daegu-Gyungbuk region, I suggested that: 1) decentralization of power and making solidarity with non-capital areas, 2) enhance Daegu-Gyungbuk province’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via build up a great-sphere economic area which is realized an economy of scale, 3) Daegu-Gyungbuk region needs to strengthen an endogenous capacity through localized regional policies, 4) making a region which has a diversity and openness, 5) construction of international airport of Southern part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