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남 방언 영어학습자들의 영어 고모음 인지 연구

        이동명,임수현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4 石堂論叢 Vol.0 No.5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mapping) of English high vowels /i, I, u, U/ of Korean EFL learners. The experiment subjects were 35 male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born and have lived in South Kyungsang Korea. English high vowels are easy to be confused by Korean English learners thus these vowels were chosen as English target vowels for the current perception study.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subjects perceive these English high vowels and match them to what Korean vowels by carrying out the perception experiment. In addition, the current study implemented the test to look into the Korean subjects' perception concerning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Korean and English high vowels which they listened t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nglish high front tense vowel /i/ is perceived as Korean vowel /이/ in 97.1% which is the highest mapping rate. The English high back lax vowel /U/ is perceived as Korean vowel /우/ in 42.5% which is the lowest mapping rate of this experiment. Second, in the case of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English and Korean vowels, most South Kyungsang Korean subjects marked number 3 or 4 out of 1 (same as Korean) to 7 (totally different from Korean) Likert Scale. Thus, the subjects seemed to recognize only som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wo different vowel systems. This study shows that South Kyungsang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learners have perceived and corresponded English high tense vowels better than English high lax vowels. That is, Korean vowel system does not distinguish tenseness and laxness distinctively, but the South Kyungsang Korean subjects mostly perceived English high tense vowels as Korean high tense vowels (97.1%) and they think the English vowels are somewhat similar to Korean vowels (3∼4 out of 7) even though they do not think Korean and English vowels are exactly the same. Therefore, South Kyungsang Korean English learners seem to perceive and match the English high tense vowels more easily than the lax vowels in the case of perception of English vowels and their mapping to Korean vowel system. This implies that South Kyungsang Korean EFL learners need to understand more accurately the vowel system of a target language when they learn the language. Fro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t does not seem to need a separate pronunciation education system for South Kyungsang Korean English learners. However, South Kyungsang Korean English learners need to be educated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native language (L1) and a second language (L2). Especially, it seems that South Kyungsang Korean English learners need a focused and intensive education for the acquisition of English lax vowel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영어 학습자, 특히 경남 방언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고모음 /i, I, u, U/에 대한 인지 및 대응(mapping)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에 거주하는 35명의 남자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이 혼돈하기 쉬운 영어 고모음을 실험 모음으로 선정하여 인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인지 실험에서는 피실험자들이 영어 고모음들을 한국어의 어떤 모음으로 인지하여 대응시키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본 실험을 통하여 피실험자들이 영어의 고모음들을 한국어 모음들과 어느 정도 유사하다고 생각하는지에 관해서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인지 실험에 의하여 도출된 결과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설 긴장 고모음(high front tense vowel) /i/에 대한 한국어 모음 /이/의 대응률이 97.2%로 가장 높았고, 후설 이완 고모음(high back lax vowel) /U/에 대한 한국어 모음 /우/의 대응률이 42.5%로 가장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영어 모음과 한국어 모음의 유사도 부분에서는 대부분의 문항에서 3∼4 정도의 유사도(Likert 7점 Scale 사용)가 나온 것으로 보아서 한국어(경남 방언 화자) 피실험자들은 영어 모음 소리와 한국어 모음 소리 간에 중간 정도의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경남방언을 구사하는 중학생 영어 학습자들은 영어의 긴장 모음을 영어의 이완 모음보다 더 잘 인지하여 대응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가 도출된 이유는 한국어 모음체계가 긴장성(tenseness)과 이완성(laxness)이라는 특징으로 명확히 구분되어 있지는 않지만, 한국어 모음들이 영어의 긴장 모음에 더 가깝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은 영어 모음체계의 인지 및 대응에서도 영어의 이완 모음보다는 긴장 모음을 더 잘 인지하여 이를 한국어 모음에 대응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경남 방언 영어학습자들의 영어 고모음 인지 연구

        이동명 ( Dong Myung Lee ),임수현 ( Su Hyeon Im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4 石堂論叢 Vol.0 No.58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영어 학습자, 특히 경남 방언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고모음 /i, I, u, U/에 대한 인지 및 대응(mapping)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에 거주하는 35명의 남자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이 혼돈하기 쉬운 영어 고모음을 실험 모음으로 선정하여 인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인지 실험에서는 피실험자들이 영어 고모음들을 한국어의 어떤 모음으로 인지하여 대응시키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본 실험을 통하여 피실험자들이 영어의 고모음들을 한국어 모음들과 어느 정도 유사하다고 생각하는지에 관해서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인지 실험에 의하여 도출된 결과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설 긴장 고모음(high front tense vowel) /i/에 대한 한국어 모음 /이/의 대응률이 97.2%로 가장 높았고, 후설 이완 고모음(high back lax vowel) /U/에 대한 한국어 모음 /우/의 대응률이 42.5%로 가장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영어 모음과 한국어 모음의 유사도 부분에서는 대부분의 문항에서 3∼4 정도의 유사도(Likert 7점 Scale 사용)가 나온 것으로 보아서 한국어(경남 방언 화자) 피실험자들은 영어 모음 소리와 한국어 모음 소리 간에 중간 정도의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경남방언을 구사하는 중학생 영어 학습자들은 영어의 긴장 모음을 영어의 이완 모음보다 더 잘 인지하여 대응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가 도출된 이유는 한국어 모음체계가 긴장성(tenseness)과 이완성(laxness)이라는 특징으로 명확히 구분되어 있지는 않지만, 한국어 모음들이 영어의 긴장 모음에 더 가깝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은 영어 모음체계의 인지 및 대응에서도 영어의 이완 모음보다는 긴장 모음을 더 잘 인지하여 이를 한국어 모음에 대응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mapping) of English high vowels /i, I, u, U/ of Korean EFL learners. The experiment subjects were 35 male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born and have lived in South Kyungsang Korea. English high vowels are easy to be confused by Korean English learners thus these vowels were chosen as English target vowels for the current perception study.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subjects perceive these English high vowels and match them to what Korean vowels by carrying out the perception experiment. In addition, the current study implemented the test to look into the Korean subjects` perception concerning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Korean and English high vowels which they listened t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nglish high front tense vowel /i/ is perceived as Korean vowel /이/ in 97.1% which is the highest mapping rate. The English high back lax vowel /U/ is perceived as Korean vowel /우/ in 42.5% which is the lowest mapping rate of this experiment. Second, in the case of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English and Korean vowels, most South Kyungsang Korean subjects marked number 3 or 4 out of 1 (same as Korean) to 7 (totally different from Korean) Likert Scale. Thus, the subjects seemed to recognize only som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wo different vowel systems. This study shows that South Kyungsang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learners have perceived and corresponded English high tense vowels better than English high lax vowels. That is, Korean vowel system does not distinguish tenseness and laxness distinctively, but the South Kyungsang Korean subjects mostly perceived English high tense vowels as Korean high tense vowels (97.1%) and they think the English vowels are somewhat similar to Korean vowels (3∼4 out of 7) even though they do not think Korean and English vowels are exactly the same. Therefore, South Kyungsang Korean English learners seem to perceive and match the English high tense vowels more easily than the lax vowels in the case of perception of English vowels and their mapping to Korean vowel system. This implies that South Kyungsang Korean EFL learners need to understand more accurately the vowel system of a target language when they learn the language. Fro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t does not seem to need a separate pronunciation education system for South Kyungsang Korean English learners. However, South Kyungsang Korean English learners need to be educated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native language (L1) and a second language (L2). Especially, it seems that South Kyungsang Korean English learners need a focused and intensive education for the acquisition of English lax vowels.

      • KCI등재

        경남 방언의 완전동화 현상

        김영선 한글학회 2019 한글 Vol.- No.326

        이 글에서는 경남 방언의 활용형에서 볼 수 있는 완전동화의 발생 환경과 제약 조건을 다룬다. 완전동화는 국어의 방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으로 일찍부터 기술되어 왔지만 특정 방언권을 대상으로 하여 전모를 밝히려는 시도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글에서는 활용형에서 완전동화가 발생하는 환경을 1) ‘애/에-+-아/어X’, 2) ‘오/우-+-아/어X’, 3) ‘이-+-아/어X’로 나누어서 현상의 발생 여부와 제약 조건을 살폈다. 논의 과정에서 첫째, 1음절로 된 어간이 ‘애/에’로 끝날 경우 ‘아/어’로 시작하는 어미가 오는 환경에서 완전순행동화가 가장 전형적으로 실현됨을 재차 확인하였다. 둘째, 초성을 가진 1음절 어간이 ‘오’로 끝날 경우에는 완전역행동화를 겪는 반면 ‘우’로 끝날 경우에는 완전순행동화를 경험하였다. 그러나 1음절로 된 어간 활용형의 대부분은 모음 탈락이나 과도음화를 겪거나 어간과 어미가 결합한 기저형이 그대로 도출되었다. 2음절로 이루어진 어간이 ‘오/우’로 끝날 경우에는 어간말 음절이 초성을 가진 환경에서는 완전역행동화를 경험하였다. 반면 초성을 가지지 않은 경우에는 어간말 모음 ‘오/우’가 탈락하였다. 다만 대부분의 방언에서는 초성을 가진 경우에도 어간 모음 탈락을 경험하였다. 셋째, 어간이 모음 ‘이’로 끝나는 환경에서는 모두 완전순행동화를 경험하였다. 어간이 1음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활발한 완전순행동화 현상을 보여주었으며 2음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몇몇 방언에서만 완전순행동화가 실현되었다. 어떠한 경우든 주도적인 현상은 어미의 모음 탈락이었다. 국어에서 볼 수 있는 완전동화는 개인별, 지역별, 세대별 편차가 크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점도 현상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하기 어렵게 만든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방언 연구에 따르는 다양한 문제점이나 한계가 존재하고 또 토착성을 찾아보기 어려운 환경에서 의미 있는 연구는 힘들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이 지속되어야 하는 이유는 기존의 언어 이론이 가진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이론적 틀을 모색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지니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environment and constraints of complete assimilation which is observed in the inflection forms of the Gyeongnam dialect. In this article, the environments were divided into sections in which complete assimilation takes place: “e/ɛ-+-ə/aX,” “o/u-+-ə/aX,” and “i-+-ə/aX.” The environment in which complete assimilation occurred and its constraints were examined. The results were are as follows. First, complete assimilation was most typically realized in ending-coming environments starting with “a/ə” if the first syllable ended with “e/ɛ.” Second, if the first syllable with an initial consonant ended with “o,” it experienced complete regressive assimilation, while if it ended with “u,” it experienced complete aggressive assimilation. However, most of the inflection forms of verbs in these single syllable experience vowels deleted, shortened, and otherwise manipulated the base form by combining the stem and an ending. If a stem with two syllables ended in “o/u,” a complete regressive assimilation was experienced in an environment in which the syllable at the end of the stem had consonants. Conversely, if the syllable at the end of the verb had no consonants, the ending vowel “o/u” was deleted. However, in most dialects, even if such syllables had initial consonants, the stem vowel was also deleted. Third, when the final syllables of verbs ended with “i,” all inflection forms experienced complete assimilation. Inflection forms with one-syllable stems exhibited relatively lively complete assimilation. Inflection forms with two syllables exhibited complete aggressive assimilation in only a few dialects. The most pronounced phenomenon was the elimination of ending vowels in the Gyeongnam dialect.

      • KCI등재

        경남 방언의 ‘X고 하다’ 구문의 모문 동사 ‘쿠다’의 형성 동기와 과정

        김한별 한국방언학회 2019 방언학 Vol.0 No.30

        This study explores the cause and process of the South Kyengsang (SK) dialect form khwu-ta ‘쿠다,’ a matrix sentence verb used in four types of X-kwo ha-ta ‘X-고 하다’ constructions: direct quotation (DIR), indirect quotation (IND), designation (DES) and volitive (VOL).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verb was formed in consequence of dialect contact, and a statistical methodology was employed to prove the hypothesis. As main data for this study, I have chosen the transcribed corpus of oral utterance collected at 26 places in Southeastern and Southwestern (SW) dialect from 2005 to 2013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Then I described the occurrence pattern of various kinds of matrix sentence V(P)s including khwu-ta and the grammatical morpheme {-kwo ‘-고’} preceding the V(P)s and explained why and how khwu-ta had been created. The major findings from the description and explanation are as follows: (1) while in SW dialect kule-ta ‘그러다’-kind forms are widely used as a matrix sentence V(P) of IND and DES constructions, in SK dialect kha-ta ‘카다’ and khe-ta ‘커다’ take the position instead of them, and this situation had caused that a SW dialect form Ø#kwu-ta ‘구다’ (< Ø#kwule-ta ‘구러다’, Ø#ku-ta ‘그다’) and two SK dialect forms Ø#kha-ta and Ø#khe-ta had been blended together and created Ø#khwu-ta; (2) the blending process is based on the premise of le ‘러’-deletion and vowel rounding after velars; (3) the kule-ta-kind forms frequently used in DIR constructions in SK dialect had affected the blended form’s spreading throughout the western part of SK; and (4) in some region in SK, khe-ta coalesced from -kwo#he-ta ‘–고#허다’ could directly change into khwu-ta by vowel rounding. 본고는 경남 방언의 ‘X고 하다’ 구문(직접 인용, 간접 인용, 지칭, 의도ㆍ목적 구문)에 쓰이는 모문 동사 ‘쿠다’의 형성 동기와 과정을 밝히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립국어원의 ≪지역어 조사 보고서≫ 중 남부 방언의 26개 지역어의 구술 발화 전사 자료를 대상으로 계량적인 방법론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2장에서는 ‘쿠다’를 비롯한, ‘X고 하다’ 구문의 모문 동사(구)와 그에 선행하는 문법 형태소 ‘{-고}’의 실현 양상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기술하였다. 제3장에서는 그 기술 내용을 바탕으로 ‘쿠다’의 형성 동기와 과정을 먼저 경남-서남 방언 간의 접촉의 측면에서 논의해 보았다. 서남 방언에서는 간접 인용과 지칭 구문의 모문 동사(구)로 ‘그러다’類가 빈번하게 쓰이는 데 반해 경남 방언에서는 ‘카다, 커다’가 쓰이고 있었기에, 서남 방언형 ‘Ø#구다(<Ø#구러다, Ø#그다)’와 경남 방언형 ‘Ø#카다, Ø#커다(<-고#다)’가 혼효되어 ‘쿠다’가 형성될 수 있었다. 이 혼효 과정에는 ‘러’ 탈락과 연구개음 뒤에서의 원순 모음화가 전제되어 있다. 그리고 경남 방언의 직접 인용 구문에서 활발하게 쓰이는 ‘그’ 지시어類의 존재는 그러한 ‘쿠다’의 형성과 확산에 영향을 주었으며, 일부 지역어에서는 ‘-고#허다’에서 축약된 ‘*커다’가 원순 모음화를 겪어 ‘쿠다’로 직접 변화할 수도 있었다.

      • KCI등재

        의령 지역어에서의 모음 완전 순행 동화 현상과 사동사의 활용 양상

        박성희 ( Park Seong-hui ) 배달말학회 2021 배달말 Vol.69 No.-

        이 연구의 목적은 의령 지역어에서 실현되는 모음 완전 순행 동화 현상을 살펴보고 사동사의 활용 양상을 개신형 사동사의 관점에서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경남 방언은 모음 완전 동화 현상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언어로 논의되어 왔으나, 기존의 논의에서 모음 완전 동화 현상이 일어나는 계기 및 그 과정과 무관하게 유형화되어 있고, 경남 방언에서의 사동사 활용을 모음 완전 역행 동화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모음 완전 동화 현상이 일어나는 통시적인 과정에 따라 특정 음운 환경 아래에 놓인 경우, 반모음 /w/, /j/가 탈락한 경우, 모음 사이의 자음이 약화된 경우로 유형화하였다. 또한 의령 지역어에서 사동사에 자음 어미가 결합하였을 때 사동사의 어간이 바뀐 듯한 예를 반례로 들며, 사동사의 이러한 활용 양상을 개신형 사동사의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gressive assimilation of vowel in Uiryeong dialect and to understand the inflection of causative verbs from the perspective of renovated causative verbs. Gyeongnam dialect has been discussed as a language in which progressive assimilation of vowel occurs actively, but it has been confirmed in existing discussions that it is categorized regardless of the reason and process for progressive assimilation of vowel, and that the causative verbal inflection in Gyeongnam dialect is understood in terms of complete regressive assimilation of vowel. Therefore, in this article, it is categorized synchronic process; sevowel /w/ and /j/ is eliminated; the consonant between vowels is weakened, according to the phonological phenomenon in which the progressive assimilation of vowel occurs. In addition, when the consonant ending was combined with causative verbal stem in the Uiryeong dialect, an example of the change in the language of causative verbal stem was taken as an example, and this aspect of causative verbal inflection was intended to be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a renovated causative verbs.

      • KCI등재

        경남방언 남·여 화자의 영어 고모음 발화에 관한 연구

        명윤미,이동명 한국언어과학회 2014 언어과학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English high vowels produced by South Kyungsang(SK) Korean (Busan dialect) speakers. The 10 SK Korean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re 5 male and 5 female university students. English target vowels for the current experiment, /i/-/ɪ/ and /u/-/ʊ/, were acoustically analyzed based on the formant frequencies of the vowels using Praat speech analysis program. In order to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SK Korean single vowels and standard Korean single vowels, the formant frequencies of 7 Korean single vowels /ㅏ/, /ㅔ/, /ㅣ/, /ㅗ/, /ㅜ/, /ㅡ/, /ㅓ/ were also measured using Praat. The collected data of the present study were also compared to the formant frequencies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K Korean speakers have difficulty in distinguishing English tense and lax pairs regardless of gender.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in terms of the production of English high vowels, /i/, /ʊ/, /u/ between SK Korean speakers and standard Korean speakers. Third, in the case of Korean high vowels, the difference of F2 values between SK Korean speakers and standard Korean speakers is more than 100 Hz, especially in the Korean high back vowel /ㅜ/. These results show that each Korean dialect causes variance in terms of the production of English vowels and Korean vowels.

      • KCI등재

        전남·경남 접경 지대의 /ㅢ/와 방언 변이

        하영우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24 언어사실과 관점 Vol.61 No.-

        본고는 전남·경남 접경 지대를 대상으로 /ㅢ/의 분포 양상과 세대에 따른 방언 변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섬진강 유역에 위치한 구례, 광양, 하동 지역의 토박이 화자를 대상으로 낭독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발음 양상을 바탕으로 /ㅢ/의 분포와 세대 간 차이를 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 어두 위치 /ㅢ/는 하위 지역이나 세대에 관계 없이 주로 ‘ㅡ’로 실현되었다. 다만 노년층은 전남 지역의 고유 방언형에 영향을 받아 어두 /ㅢ/가 ‘ㅡ’로 분포한 데 비해 청소년층은 표준어 수렴화도 동시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구례, 광양과 달리 하동 지역은 경상 방언의 영향으로 인해 어두 /ㅢ/가 ‘ㅣ’로 나타나는 사례가 일부 있었으며, 단모음 체계 차이로 인해 구례, 광양 노년층과 달리 하동 노년층은 이중모음 ‘ㅢ’의 부분적 분포가 존재하지 않았다. 비어두 위치의 /ㅢ/는 음절 구조나 하위 지역, 세대와 관계 없이 일반적으로 ‘ㅣ’로 분포했다. 단, 구례 노년층은 전남 방언의 영향에 의해 ‘ㅣ’ 외에 ‘ㅡ’로 실현되는 비율이 타 지역 노년층에 비해 높았으며, 광양 노년층은 구례와 동일 전남 권역이나 하동 노년층과 분포가 유사하였다. 관형격조사 {의}는 ‘ㅔ’로의 패러다임 평준화가 적용된 것으로 보이며, 구례 노년층만 예외적으로 ‘ㅡ’가 일정 비율 이상 나타났다. 한편 전남·경남 접경지대의 /ㅢ/는 단어의 내적 구조에 관한 인식에 따라 비어두 위치에 ‘ㅡ’(‘ㅢ’)가 실현되기도 했다. 어두 위치 효과는 공통적으로 ‘ㅡ’(‘ㅢ’)로 적용되지만 하동 지역은 경남 방언의 영향으로 인해 ‘ㅡ’(‘ㅢ’) 외에 ‘ㅣ’가 적용되기도 했으며, 광양 지역도 부분적으로 하동 지역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pattern of /ㅢ/ and dialect variation according to generation in the border between Jeonnam and Gyeongnam. For this purpose, a reading experiment was conducted targeting native speakers of Gurye, Gwangyang, and Hadong regions located in the Seomjin River basin, and the distribution of /ㅢ/ and differences by generation were examined based on pronunciation patterns. The word-initial position /ㅢ/ was mainly realized as ‘ㅡ’ regardless of region or generation. While the distribution of ‘ㅡ’ in the word-initial /ㅢ/ in the older generation was mainly influenced by the traditional dialect type of the Jeonnam dialect, the distribution of ‘ㅡ’ in the word-initial /ㅢ/ in the younger generation was more influenced by the convergence of the standardization. The non-word-initial position /ㅢ/ generally appeared as ‘ㅣ’ regardless of syllable structure, sub-region, or generation. However, the proportion of elderly people in Gurye who realized ‘ㅡ’ in addition to ‘ㅣ’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elderly people in other region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Jeonnam dialect. In addition, /ㅢ/ was sometimes realized as ‘ㅡ’ (‘ㅢ’) in the non-word-initial position depending on word structure recognition, and there were partial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ower dialect.

      • KCI등재

        경남대본〈수겡옥낭좌전〉의 언어지리학적 고찰

        박용식(Park, Yongsik),강현주(Kang, Hyunju) 국제언어문학회 2015 國際言語文學 Vol.- No.32

        이 글은 경남대본〈수겡옥낭좌전〉에 반영된 지역어를 고찰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춘향전〉만큼이나 이본이 많은 작품이며 근세까지 판소리로 불려온 만큼 이 자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데 반하여 여타의 고소설에 비해 국어학적 연구가 부족하다. 〈숙영낭자전〉의 이본 중 하나인 이 자료는 권수제를 ‘수겡<숙영’이라 하고 있을 정도로 지역어가 본격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음운, 문법, 어휘의 측면을 각각 살펴, 이 자료가 어느 지역의 지역어를 반영한 것인지 살펴보았다. 음운 현상으로는 ‘단모음화의 과도교정, 고모음화’, 문법 현상으로는 ‘의문법 어미 -양’, 그리고 몇 개의 방언 어휘를 통해 해당 지역의 범위를 좁혀볼 수 있었다. 위 현상을 토대로 경남대본〈수겡옥낭좌전〉은 밀양, 창녕 등 경남 동북부 혹은 경북 남부 지역의 언어적 특징이 나타나는 자료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the regional language reflected in Gyeongnam script〈SugengOknangjajun〉. It has lots of different versions, just like 〈Chunhyangjeon〉, and has been used for pansori (story-based songs) until modern times. Thus, it needs to be explored through systematic studies. However, there are very few linguistic studies, unlike other old novels. As one of the versions of〈SukyongNangjajeon〉, this script has lots of regional language. For example, the title of the first volume is indicated as ‘Sugeng<Sukyoung.’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area of the regional language, from phonology, grammar, and vocabulary perspectives. The phonological phenomena include the following: ‘excessive correction of monophthongization; vowel raising.’ As for grammar, the area can be identified through ‘interrogative ending -yang’ and several dialects. Based on the phenomena, Gyeongnam script〈SugengokNangjajun〉shows the linguistic features of the following areas: northeastern region of South Gyeongsang province such as Milyang and Changnyeong; southern region of North Gyeongsang province.

      • KCI등재

        단음절 모음 어간의 활용에 대한 성조론적 연구

        이문규(Lee, Moonkyu) 언어과학회 2012 언어과학연구 Vol.62 No.-

        Morphological descriptions on tonal dialects should include tonal patterns, a significant prosodic feature of the particular dialects. This research, thus, analyses the inflectional paradigms of monosyllabic vowel stems of the Border area Dialects between North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s and explores some tonological issues of these paradigms. First of all, tonological information taken into consideration, monosyllabic vowel stems of Gyeongsang dialects, except ``kkae(破)-`` class and ``ta(乘)-`` class, need to be described in the multi-underlying forms. In the morphology of Gyeongsang dialects, each class shows different underlying forms. For instance, ``nae(出)-`` class includes two underlying forms of ``/R/-`` and ``/H/-``. Both ``ga(去)-`` class and ``bo(見)-`` class show three underlying forms of ``/H/-``, ``/L/-``, and ``/R/-``. ``Sa(買)-`` class, on the other hand, has two underlying forms of ``/H/-`` and ``/L/-``. In case of ``kkae(覺)-`` class, it is ``/L/-`` in some dialects but ``/R/-`` in other dialects. In the inflectional paradigms of mono-vowel stems of Gyeongsang dialects, we can still find a fossil version of tonal contraction from the 15th century, ``mal(馬)-pattern vowel stem+mal(斗)-pattern vowel ending``. Apart from this contracted form, however, another tonal contraction, ``mal(斗)- pattern vowel stem+mal(斗)-pattern vowel ending`` is found only in Gyeongbuk dialec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