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상풍력발전단지 경관의 질 평가를 위한 평가기법의 개발 및 활용방안

        김진오,민병욱,우경숙,김진표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23 환경영향평가 Vol.32 No.6

        국내의 경관영향평가는 시각적 영향을 평가하는 기술적 기법은 표준화되어 있지만, 해양경관 자체를 평가하는 방법은 표준화되지 않은 한계가 있어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국내의 해상풍력발전의경관영향평가에서도 경관 자체를 수용체로 인식하고 그 경관의 특성 및 민감도를 평가할 수 있는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상풍력발전 사업의 사업 특성을 반영한 해양경관의 질 평가서 작성에 관한 평가방안을 제시하고, 실제 사업대상지를 사례로 적용하여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해상풍력발전 사업 시 해양경관의 질 평가는 사전 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경관 특성, 물리적 특성, 사회문화적 특성의 평가항목을 평가하고, 5개의 등급으로 구분하여 해양경관의 질을 평가하였다. 다음으로 평가항목의 평가 기준을 종합하여 해양경관의 질 등급을 보존등급(5급)-준보존등급(4급)-완충등급(3급)-준개선등급(2급)-개선등급(1급)으로 구분하여 판정하였다. 또한, 실제 사업대상지인 신안우이 해상풍력 발전사업 단지를 임의로 선정하여 평가 과정을 수행하고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해상풍력발전 사업 시 기존의 시각영향평가 위주의 방법을 보완하고 해양경관 자체의 질을 평가하여 해상풍력발전 사업 진행 시 해양경관자원을 효과적으로 보전하고자 하였다. 경관평가 시 기계적이고정량적인 평가에 의존하기보다는, 사업대상지의 입지적, 사회문화적 특성에 대한 종합적 이해와 이해당사자들과의 소통과 협력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Korea, the technical techniques for assessing visual impacts are standardized, but the methods for assessing the marine landscape itself are not standardized and need to be improved. In particular, in the landscape impact assessment of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in Korea,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landscape itself as a receptor and prepare a system that can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and sensitivity of the landscape. In this study, we propose an evaluation method for preparing a marine landscape quality assessment document that reflects the project characteristics of offshore wind power projects, and examine the possibility of utilization by applying it to actual project sites as an example. To evaluate the quality of marine scenery in offshore wind power projects, evaluation items of landscape characteristics,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based on the preliminary survey contents, and the quality of marine scenery was divided into five grades. Next,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evaluation items were synthesized and the quality of the marine landscape was classified into preservation grade (grade 5), semi-preservation grade (grade 4), buffer grade (grade 3), semi-improvement grade (grade 2), and improvement grade (grade 1). In addition, the Sinan-Ui Offshore Wind Farm, an actual project site, was randomly selected to conduct the evaluation process and examine its utilization. This study aims to complement the existing method of visual impact assessment in offshore wind power projects and evaluate the quality of the marine landscape itself to effectively conserve marine landscape resources during offshore wind power projects. Rather than relying on mechanical and quantitative evalu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f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location and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project site and for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stakeholders.

      • KCI등재

        경관영향평가제도 시사점 도출 및 정책 활용 1) – 영국의 노썸버랜드 경관영향평가를 중심으로 –

        박진실,신예은,김수연,이은라,안경진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1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5 No.1

        무분별한 산업화로 인한 스카이라인의 무질서, 자연경관 오염 등은 경관의 훼손을 가속화시킨다. 이에 국토의 경관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 조성 및 복원하기 위하여 현재 환경부에서는 시행되어지 고 있는 개발사업 등을 대상으로 자연 경관 심의지침을 도입하였다. 제도에 입각하여 사업유형을 분류한 후, 정성적 평가를 시행하는 국내 지침 특성 상, 평가자에 의해 결과가 달라져 주관적이며 이는 곧 신뢰성의 문제로 이어진다. 반면 개발 대상지 각각의 평가 인자들을 도출한 후, 정성적, 정량 적 평가를 병행하는 영국의 경관영향평가는 지침의 유연성으로 인해 경관의 특이점을 반영하며 주 관적 관점 또한 최소화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및 영국의 경관영향평가에 대한 고찰과 영국 노썸버랜드 경관영향평가 사례 분석을 통하여 국내의 경관영향평가의 한계점과 보완 가능성을 제시 하였다. 이는 국내외 경관영향평가에 대한 기초적 연구로, 향후 이어질 경관영향평가의 세부적인 가이드라인 개발 또는 정책 수립에 합리적인 발전 방안 제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Indiscreet industrialization accelerates natural landscape pollution and skyline disorder. In order to manage, create, and restore the landscape more efficiently, the Environment Ministry introduced guidelines for natural landscape deliberation for development projects currently in place. Due to the nature of domestic guidelines that classify business types and evaluate them qualitatively according to the law, subjective results arise, which causes reliability problems. Meanwhile, the UK Landscape Impact Assessment, which derives assessment factors for each site and then combine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ssessments, reflects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minimizes subjective views due to the flexibility of guidance. In this study, the limitations and the possibility of supplementation of the domestic landscape impact assessment were presented through the UK landscape impact assessment and the Northumberland landscape impact assessment case analysis. This is a basic study of landscape impact assessment at home and abroad,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etailed guidelines for landscape impact assessment or the presentation of reasonable development measures in the future.

      • KCI우수등재

        국내 경관자원 조사 현황과 향후 과제

        주신하,신윤지,Joo, Shin-Ha,Shin, Yunji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3

        본 연구는 국내의 경관자원에 대한 유형별 평가 현황과 해외 경관자원 평가사례를 비교분석을 통하여, 경관자원 평가 체계에 있어 평가방법, 평가기준, 활용방안 등을 통합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 경관자원 평가의 의미와 중요성 등을 파악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경관자원의 정의와 유형을 검토하고, 경관자원에 관한 평가방법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12개 국내 경관자원 조사 및 평가 사례 비교를 통해서 우리나라 경관자원 관련 조사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았으며, 5개의 외국 사례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경관자원 관리체계에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12개의 국내 경관자원 조사 현황과 향후 과제로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 종합하였다. 첫째, 경관자원 조사 기준이나 선정 절차에 있어 보다 객관적인 기준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경관자원의 다양한 가치를 포함하고, 지역민들의 참여를 확대하며, 명확한 평가기준 제시가 매우 중요하다. 두 번째로는, 경관자원의 관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경관자원에 대한 재평가제도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체계적인 관리를 통하여 경관자원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조사된 경관자원을 영향평가나 경관계획과 같은 다른 제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유형의 경관자원을 포함한 종합적인 경관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제도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 진행된 경관자원 조사에 대한 현황 파악과 해외사례 검토를 통한 시사점 도출에 그치고 있어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으나, 국내외 경관자원 조사현황을 분석하여 경관자원에 대한 평가방법, 기준, 활용방안 등을 파악을 통하여 향후 경관자원관리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landscape resources survey and foreign cases in order to determine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it. Several cases are compared based on the evaluation method, the evaluation criteria and the application plan. Twelve domestic cases of landscape resources survey are review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s of the Korean status, and 5 foreign cases to determine th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system.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some implications are drawn for domestic landscape resource system. First of all, it is suggested to establish more objective criteria to evaluate and select landscape resources. Various values of landscape resources should be included into the criteria and more people, as well as experts, should participate to reflect local conditions. Secondly, the management for the landscape resources must be implemented continuously. It is important to introduce a periodic reassessment system and to construct and manage a database of the landscape resources. Lastly, the landscape resource system should be integrated into other programs such as a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landscape planning. For a better landscape resource management system and efficient evaluation, resources should be comprehensively managed including various landscape types.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supporting policies and legislation. This research covered only the current status of the landscape resource survey and reviewed a limited number of foreign cases. Despite these limitations, it is meaningful for showing the importance of landscape resource management and to suggest some future tasks for better landscape resources management.

      • KCI등재

        제주 오름에 대한 내국인과 외국인의 경관선호도 비교 평가

        김상범,노재현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08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2 No.1

        제주도의 대표적 경관인 오름에 대한 경관 선호성을 분석하기 위해 총 18개 오름을 대상으로 경관평가를 시도하였다. 지상과 공중에서 촬영한 총 84장의 사진 슬라이드를 평가매체로 비 제주인(1그룹), 제주인(2그룹) 그리고 외국인(3그룹)에대한 선호도를 비교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전체 총 84장의 오름경관에 대한 선호도평가 결과, Group 1은 4.93, Group 2는 5.22 로 전체 국내인 평균 평가치는5.11이었으며 Group 3의 평가치는 5.54로 나타나 제주 오름에 대한 외국인의 상대적으로 높은 선호 경향이 발견되었다.전체적으로 평가치가 가장 높은 오름경관은 Scene 8(7.60)의 비양도 부감경관이었으며 다음으로 평가치 7.59를 보인 Scene58과 평가치 7.35를 보인 Scene 48등이 보임에 따라 성산일출봉, 비양도, 송악산 등은 제주도의 대표적인 경승으로서 손색이없음이 실증적 재차 확인되었다. 한편 3개 평가 집단 간 선호도 평가치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한 ANOVA와 Duncun-test결과, 집단 간 평가치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된 평가오름은 총 63개에 이르러 오름별 평가치에 대해 그룹간의 차이가 인정된다.또한 평가그룹 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는 21개의 오름 중에는 항공에서 조감된 부감경관은 단 하나도 포함되지않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21개 오름경관 가운데 전체 평균치인 5.34를 상회하는 오름경관은 Scene16, Scene78 그리고Scene29의 단 3개에 불과하였음을 볼 때, 부감경관에 대한 차별화된 긍정적 선호성이 입증되었다.더불어 총 18개 오름에 대한 평가치 중 민오름과 산굼부리를 제외한 총 16개 평가치가 높은 특성을 보여 하늘에서 부감한오름경관에 대한 뚜렷한 선호경향을 보였으며 이 경향은 특히 Group 3 즉 외국인 그룹에 있어 부각되었는데 지상에서 촬영한산굼부리의 지상경관 또한 굼부리 중심의 부감경관임을 감안하면 이러한 경향을 더욱 뚜렷하다고 볼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landscape preference of non-Jeju people, Jeju people, and foreigners taking photographs on the ground and mid-air. This study targeted a total of 18 Oreum photos that represent Jejudo.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The result of preference assessment of a total of 84 pieces of Oreum sceneries showed Group 1 (non-Jeju people) with 4.93, Group 2 (local people from Jeju) with 5.22, wherein the total average of local people was 5.11, while Group 3's (foreigners) average was 5.54. Foreigners tended to have a relatively high preference for these sceneries. In general, the highest assessment value was given to Biyangdo Bugam’s scenery of Oreum, which received an average score of 8 (7.60), and the next highest one was Scene 58 with a score of 7.59, and Scene 48 with 7.35. Hence, Seongsan Ilchoolbong, Biyangdo and Songaksan, etc. were confirmed as comparative to the beautiful representative scenery of Jejudo. ANOVA and Duncun’s multiple range tests were used to ascertain the significant degree of preference assessment values between the three assessment groups. Results showed tha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63, so the difference among groups was accepted. The noticeable thing is that out of 21 Oreums whose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assessment groups is not recognized, aerial views of the Bugam were not included. Moreover, out of the 21 Oreum sceneries, only three Oreum scenes surpassed the total average 5.34, namely Scene16, Scene78, and Scene 29. Excluding Minoreum and Sangumboori, the assessment value of the rest of the 16 sceneries was high, so they all showed a definite preference trend to vistas of Oreums viewed from the air, and this trend was distinct to the foreigners’ group. Given the scene overlooking the ground and Gumboori of Sangumboori, this trend was even more evident. Analysis of the viewers’ preference for certain form factors was done to understand the variables affecting their preference for sceneries of Oreums. Results confirm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as an independent variable only at the highest slope (X3) regardless of the assessment group, and the preference analysis according to the number of photos indicated that a long shot view showing the entire Oreum had a negative effect in the preference of all assessment groups. Given that a close-up view is a factor having a negative effect on the preference of foreigners, data suggests that the vistas of Oreums perceived from a great distance are more preferred compared to those perceived from close point of view. Also, the images of seawater and Jeju horses are shown to be the most positive factors in enhancing preference.

      • 에너지전환 지역사회를 위한 ‘에너지경관’ 연구동향 분석

        이재혁,정우현,서은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초연구보고서 Vol.2020 No.-

        ■ 연구의 주요 내용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해외에서는 이미 에너지전환에 따른 지역사회의 환경변화와 주민에 대한 지리적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에너지경관’ 연구를 수행 중이며, 이를 통해 환경공간계획 및 정책 수립 - 본 연구는 에너지전환 과정 중 지역사회의 환경성과 수용성 확보를 위해 국내외 ‘에너지경관’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시 ○ 에너지경관에 대한 개념 - 에너지경관이란 에너지전환 과정에서 나타나는 경관변화를 지칭하는 단어로, 환경과 사람 사이의 다양한 토지이용 요소를 다룸 - 에너지 발전시설과 관련된 지역사회에서 사회적 관계, 주체적 정체성을 재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함 - 에너지 발전시설의 설치과정에서 나타나는 ‘공간의 생산’으로 이해되며, 이 과정은 물리적(물질적) 측면과 추상적(비물질적) 측면으로 나누어볼 수 있음 - 에너지경관은 생산된 공간으로서 에너지 시설의 분포, 관련된 사회적 구조, 재생성된 장소성 등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함 - 재귀적 지도화(recursive cartographies)의 과정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다차원의 공간과 시간을 다룸 ○ 재생에너지경관 서지분석 - 국내 확대되고 있는 재생에너지의 경관에 대한 해외연구 경향을 확인하기 위해 ‘재생에너지경관’이라는 저자키워드로 2019년까지 발간된 총 89개의 논문을 분석 - 2002년부터 관련 논문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볼 때, 재생에너지경관에 대한 연구가 계속 확대되는 것으로 확인 가능 - 주요 연구기관을 살펴보면, 이탈리아, 스페인, 영국,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 등 유럽과 미국, 캐나다 등 북미에서 재생에너지경관 연구를 수행 - ‘재생에너지경관’은 생태이론과 담론(철학)과 과학기술 혁신(기술)의 중간자 역할을 수행하는 도구로 다루어졌으며, ‘경관평가 및 계획’은 농업, 기후변화, 문화서비스, 개발과 보전에 영향을 주고받았고, ‘경관계획’은 영향에 대한 평가(물리적), 가치의 평가(비물리적)에 기반을 두고 이루어짐 - 선행연구 분석 결과, 경관이라는 단어가 갖는 중의적 의미에 따라 에너지경관을 사회적, 지리적, 심미적 부분에서 다룰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정책적용을 위해 세부적 차원으로 신재생에너지의 심미적 경관에 주목하고, 지리적 경관도 고려하여 사례분석 수행 ○ 재생에너지경관 사례분석 - 에너지경관계획은 지역의 경관특성을 분석하고, 재생에너지 발전시설 설치로 인한 경관 영향을 최소화하는 과정으로 나뉨 - 에너지경관영향평가의 프로세스는 범위설정, 대상지분석(경관평가의 틀 마련), 시뮬레이션, 영향분석(지표설정), 축적된 영향, 저감방안 마련 순으로 진행 - 주민참여 에너지경관사업은 보통 4가지(공식회의, 설문, 소셜 미디어, 중재)로 구분되고, 3단계(시나리오 설정, 시뮬레이션, 워크숍)로 이루어지며, 경관영향평가와 동시에 이루어짐 - 미국은 조례를 통해, 호주는 가이드라인을 통해 에너지경관에 대한 관리를 수행 ■ 정책 제안 ○ 재생에너지경관의 시대적 당위성을 가짐 - 재생에너지는 자연에 기반을 두었지만 다시 자연경관에 영향을 미침 - 에너지경관은 법적, 정치적, 토지이용구획 등의 정책적 지원 필요 ○ 재생에너지경관의 모범사례를 요청 - 물리적 변화는 새로운 경관을 만들게 되고, 이로 인한 이익과 고통에 대한 사회적 고려 필요 - 의사결정이 공정히 이루어졌는지 검토하는 프로세스가 필요 -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의견이 변화하므로 전주기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함 ○ 정책적용을 위한 필요사항은 다음과 같음 - 공통된 경관영향평가 방법론 필요 - 업데이트된 경관영향평가 방법 필요 - 경관영향평가 사례 데이터베이스 필요 - 적절한 시민참여 방안 필요 - 통합적 경관 맥락을 확인하는 절차 필요 - 적절한 트레이닝과 기준 필요 ○ 신재생에너지 사업의 환경성과 주민수용성을 높일 수 있는 에너지경관계획, 경관영향평가, 주민참여에 대한 조례,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며, 이를 뒷받침하는 연구 요청 - 에너지경관계획과 관련해서는 에너지경관을 위한 재생에너지 시설입지, 색채, 재질, 송전선로의 지중화, 빛, 야간효과 등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과 사례 등이 필요 - 에너지경관영향평가와 관련해서는 범위, 조사, 시뮬레이션, 영향분석, 저감방안 등의 평가분야를 명시하고, 이에 대한 평가방식을 제시 - 주민참여 에너지경관사업과 관련해서는 입지 및 경관 선호에 대한 주민참여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어떻게 정책화되는지 연계과정을 보여주어야 함 - 에너지경관정책과 관련해서는 조례, 가이드라인 등을 통해 에너지경관, 영향평가, 주민참여 과정을 명시해야 함

      • KCI등재

        해상풍력발전단지 경관의 질 평가 기법에 관한 연구 - 해외가이드라인 사례를 중심으로 -

        김진오,민병욱,우경숙,김진표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23 환경영향평가 Vol.32 No.4

        At a time when it is urgent to establish a management system for landscape quality assessment of offshore wind farms in Korea, we analyzed foreign cases to draw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landscape quality assessment of offshore wind farms in Korea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efficient landscape assessment. The main content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overseas cases and systems are as follows. First, offshore wind farms are large-scale projects, a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landscape from the pre-planning stage, as in overseas cases. Second, the evaluation items for marine landscape quality should be expanded and systematized. Third, a flexible evaluation system that can consider new landscape impacts is required. In order to identify the landscape impacts of offshore wind farm projects, we refer to the landscape assessment items and procedures derived from overseas cases, but reflect them appropriately to the domestic maritime conditions, and specifically introduce a plan to minimize the landscape impacts that may occur during offshore wind farm projects to contribute to the sustainable use of offshore wind power. 우리나라 해상풍력발전단지 경관의 질 평가 관리체계 마련이 시급한 시점에서 외국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해상풍력발전단지 경관의 질 평가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효율적인경관평가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해외에서 수행한 사례와 제도 분석을 통해 도출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상풍력발전단지는 대규모 사업으로 해외 사례와 같이 사전 계획수립부터 경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둘째, 해양경관의 질 평가항목의 확대와 체계화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새로운 경관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탄력적인 평가체계가 요구된다. 해상풍력발전단지 사업에 따른 경관적 영향들을 파악하기 위해 해외 사례들을 통해 도출된 경관평가 항목 및 절차를 참조하되 국내 해상현황에 적합하게 반영하여 해상풍력발전사업 시 발생할 수 있는 경관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계획이 구체적으로 도입되어 지속가능한 해상풍력발전의 활용에 기여하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

        치악산국립공원의 시각적 경관자원 인벤토리 구축 및 등급평가에 관한 연구

        이숙향,Lee, Sook-Hyang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4

        치악산국립공원을 형성하는 자연자원 및 인문자원을 대상으로 경관자원 인벤토리 구축 및 등급평가를 실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국립공원의 경관은 해양경관, 산악경관, 마을경관, 사찰 사적경관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7개 주요 탐방로에서 현장조사를 통해 총 120개소에 대한 목록을 작성하였다. 탐방로별 경관목록 비율은 구룡-비로봉 31%(37개소), 성남-남대봉 22%(26개소)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금대-남대봉 16%(19개소), 부곡-행구 16%(19개소), 황골-입석사 6%(8개소), 향로봉-남대봉 5%(6개소), 곧은재-원통골 4%(5개소)의 순으로 목록화되었다. 경관평가 항목은 조망성, 고유성, 이용성, 역사문화성, 자연성의 5가지 항목으로 구분하고, 상(4), 중(3), 하(2), 1의 평가기준을 제시하였다. 각 경관유형별로 평가항목 점수에 따라 1차적으로 경관평가를 실시하였고, 추가적으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얻은 경관유형별 가중치를 반영하여 2차 경관평가를 실시하였다. 2차 경관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경관유형별로 3개의 경관등급으로 구분하였다. 산악경관은I등급이 72개소, II등급 26개소, III등급 7개소, 사찰 사적경관은 I등급 4개소, II등급 7개소, III등급 4개소로 평가되었다. 산악경관의 등급은 조망성 및 자연성, 사찰 사적경관은 역사문화성, 자연성, 이용성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악경관에는 외부 경관자원이 포함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외부 경관자원이 포함된 곳은 등급이 높게 나타나, 이는 조망성과 관련이 있었다. 인벤토리 및 평가된 결과를 토대로 산악경관, 사찰 사적경관의 유형별로 등급이 매우 우수한 지역의 보전을 위한 경관관리가 필요하다. 향후 개선방안으로는 구룡-비로봉 구간의 산악 및 사찰경관이 조화로운 대표경관으로 판단되어 중점관리지역으로 보전해야할 것이다. 산악경관의 경우 조망점 유지를 위한 수목 전정 등의 정비 및 경관저해를 최소화한 목재전망대, 경관 해설 안내판 등을 설치하는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사찰 사적경관은 인공 시설물 설치 시 주변 경관과의 조화로운 소재 사용 및 시설 제한의 기준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 visual landscape resources inventory and grade assessment on natural resources and cultural resources of Chiaksan National Park. Landscapes of National Parks a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seascape, mountain landscape, village landscape, and temple historical landscape. Landscape lists were constructed for each district for a total of 120 lists through field research on 7 trails. The landscape list per trail has Guryong~Birobong(31%), Seungnam~Namdaebong(22%), Geumdae~Namdaebong(16%), Bugok~Hanenggu(165), Hwanggol~Ipseoksa(6%), Hyangrobong~Nandaebong(5%) and Godeunjae~Wontonggol(4%). Landscape Assessment items were divided into five characteristics of view, unique, use, history culture, natural reflected by item. Items were divided into three grades of landscape by 4, 3, 2, 1 for each item of the assessment criteria and Delphi survey. Mountain landscapes were assessed in I grade of 72 sites, II grade of 26 sites, III grade of 7 sites. Temple Historical landscapes were assessed in I grade of 4 sites, II grade of 7 sites, III grade of 4 sites. The study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s for mountain parks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managing the landscape of I grade site. The higher ratings of the Mountain landscapes are related to the view and natural score. Also, the grading of Temple Historical landscapes is related to the history cultural, natural and use score. In addition, the mountain landscape were identified as being included outside landscape resources, the place of landscape resources with outside ratings were higher and the view was related. Landscape management is needed for the conservation of Mountain landscape and Temple Historical landscape type rating as excellent area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inventory and assessment. For future improvement the Guryong-Birobong trail is judged as a harmonious representative landscape of the Mountain and Temple Historical landscape and will require conservation as a focus management area. In the case of Mountain landscape improvements, maintenance such as pruning trees, wood observatory and interpretation sign for a landscape with minimal inhibitory landscaping is needed. When installing artificial facilities in the Temple Historical landscapes, the use of materials harmonizing with the surroundings landscape must be considered as well as the standards of facilities limitation.

      • KCI등재

        중국 난창시 도시습지공원 수생식물경관 선호도 평가

        성진,김상욱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2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6 No.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ays to improve the aquatic plant landscape of by evaluating the landscape preference of aquatic plants. Aquatic plant survey and AHP technique were adopted of three representative urban wetland parks in Nanchang city of China. An on-site survey of aquatic plants and their wetland landscapes was conducted for quantitative factor evaluation, and images of each urban wetland were analysed for qualitative factor evalua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25 factors for the evaluation of aquatic plant landscape from previous studies were extracted to 9 factors of plant species diversity, plant ornamental characteristics diversity, seasonal diversity of plant landscape, diversity of plant life types, harmony between plants and the overall environment, harmony between plants and hard landscape, harmony between plants and habitats, plant health(vitality), accessibility of plant landscape. Second, through the AHP evaluation of the 9 factors, the weights of the three factors of plant species diversity(0.315), plant ornamental characteristics diversity(0.147) and harmony between plants and the overall environment were(0.153) represents 61.5% of the landscapes. The resulting factors become the priority consider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eference for aquatic plants in wetland landscapes of Chinese. Third, Preference results with 9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factors to each park, were Yuzhouwan(0.42) > Xianghu(0.35) > Aixihu(0.23). In case of Yuzhouwan, Its very high availability of hydrophilic space is reflected in the evaluation results that it has good accessibility and high species diversity with various water depths. 본 연구는 수생식물 경관선호도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수생식물 경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구명(究明)하고자 중국 난창시의 대표적 도시습지공원 3곳을 대상으로 하여 현장평가와 AHP 평가를 진행하였다. 경관의 정량평가를 위하여 수생식물과 어우러진 경관에 대한 현장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정성평가를 위하여 각 도시습지공원에 대한 이미지를 도출하고 이에 대한 선호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수생식물경관 평가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얻어진 총 25개 경관요인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생물종 다양성, 전체환경의 조화성, 관상 특성의 다양성, 생활유형 다양성, 서식지의 조화성, 건강상태(활력도), 계절다양성, 식물경관의 접근성 그리고 식물과 경관의 조화성 등 총 9개 요인을 선정하였다. 둘째, 9개 요인에 대한 AHP 평가 결과, 생물종 다양성, 관상특성의 다양성, 식물과 전체환경의 조화성 등 3개 요인의 가중치는 각각 0.315, 0.147, 0.153으로 전체의 61.5%를 차지하였다. 도출된 요인은 중국 내 습지공원은 물론 수생식물 경관선호도 향상을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인자로 부상되었다. 셋째, 9개 정량 및 정성평가 요인에 대한 가중치분석 결과, 각 공원별 평가점수는 위저우완(0.42) > 샹후(0.35) > 아이시후(0.23)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위저우완의 경우 다양한 수심으로 종다양성이 높고 접근성이 좋아 친수공간으로의 높은 활용성이 평가에 반영된 결과라 판단된다.

      • KCI등재

        아산시의 전통적인 지역에 대한 경관과 소리경관의 정량적 인상평가

        임동균(Dong-Kyun Yim),스기야마 카즈이치(Kazuichi Sugiyama),김응남(Eung-Nam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5

        본 논문의 목적은 충남 아산시의 전통적인 지역을 대상으로 경관과 연관된 소리경관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평가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인 학생과 일본인 학생의 인상 평가를 각각 수집 및 분석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의 평가방식의 타당성과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연구 절차를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아산시의 전통적인 경관을 잘 보여주는 다섯 군데 명소를 선정하고, 비디오카메라를 활용하여 현지의 경관을 형성하고 있는 사물의 상황과 함께 그 곳의 소리를 기록하였다. 기록한 데이터를 한국인 학생과 일본인 학생에게 보여주어 그것에 대한 인상평가를 하게 하였다. 인상평가는 SD법(의미미분법)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정성적 평가 데이터에 수량화이론 및 클러스터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각각의 샘플을 분류하는 동시에 인상평가의 등급을 설정하는 정량화를 실시하였다. 샘플을 분류하는 방법과 샘플의 인상평가 등급을 구하는 방법은 서로 다른 접근에 의한 독립적인 방법이다. 따라서 이 두 가지 방법에 의하여 도출된 결과를 비교하여 평가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것은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평가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평가 방법이 유효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아울러 한국인 학생과 일본인 학생은 상당 부분에서 전통적 경관에 대한 인상의 차이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method to analyze and quantitatively evaluate the impression of landscapes and soundscapes about traditional area of Chungnam Asan city in Korea. For this, we collated data about impression evaluation of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and, based on these result, we proved the validity and usefulness of the evaluation system that we proposed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 process conducted in this study as follows: first of all, we had selected five traditional places of interest in Asan City, and investigated various conditional elements of the area including soundscapes which is forming the landscape using video camera. And we made both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evaluate the impression for these videotaped landscape data through using the SD(semantic differential) method. And then, we quantified these qualitative data through applying the quantification theory and cluster analysis method to them. Though this process, we could obtain both data as a result derived by classifying each sample and categorizing levels of those impression evaluation. Because of totally difference between those two analyzing processes, which one is for sample classification and the other is for determining impression level, we could validate the usefulness of our evaluation system through conducting comparative analysis of results from both methods. Analysis showed that our novel evaluation system for landscape is effective and, in most part of the traditional landscape, Japanese students’ responses are different far from the Korean students’ responses.

      • KCI우수등재

        개발사업의 경관영향 검토를 위한 주요 조망점선정 방법에 관한 연구

        신지훈,신민지,최원빈 한국조경학회 2018 韓國造景學會誌 Vol.46 No.1

        The Natural Landscape Rating System was introduced in the amendment of the NATURAL ENVIRONMENTCONSERVATION ACT in 2006. For landscape preservation, the system aims to consider the effects of development projectsor plans implemented in a natural landscape on skylines, scenic resources, and view corridors. Currently, a lack of consistencyin standards for determining Landscape Control Points (LCP) to assess landscape impact lowers the accuracy and reliabilityof the assessment results. As the perception of and the impact on a landscape varie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LCP,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easonable set of criteria to select viewpoints and avoid unreliability in the assessmentdue to unclear criteria. The intent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objective and reasonable set of criteria for LCP selectionto effectively measure the impact on the landscape from development projects that anticipate a change in the landscapeand, ultimately, to suggest basic analysis methods to assess the landscape impact of development projects and to monitorthe landscape in the future. Among the development projects affecting natural landscapes, as reported in the statement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cases of construction of a single building or other small-scale development projectswere studied. Four spot development projects were analyzed in depth for their landscape impacts, in order to makerecommendations for the LCP selection procedure, which aims to widen the scope of selec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of viewpoints from the target site. The existing results of analysis based on LCP have limitations because they failed tocover the viewshed of the target buildings when there are topographical changes in the surroundings. As a solution tothis problem, a new viewshed analysis method has been proposed, with a focus on the development site and target buildings,rather than viewpoints, as used in past analysis. 2006년 자연환경보전법 개정에 따라 자연경관심의 제도가 도입되었다. 자연경관심의제도는 자연경관 내 개발사업및 개발계획 시행 시 사업의 규모와 형태 배치로 인한 스카이라인과 경관보전, 경관자원, 조망축 등의 항목을 검토하는제도이다. 그러나 경관영향평가를 위한 조망점의 선정은 모든 평가마다 기준의 일관성이 미흡하여 영향 평가 결과의정확도와 신뢰도가 크게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조망점의 위치에 따라 지각되는 경관의 모습이 현저하게 변화하게 되고, 불명확한 선정기준은 경관영향평가 결과에도 시각적 영향이 과소평가되므로 합리적인 선정기준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개발사업 진행으로 인한 경관 변화가 예상될 때 경관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조망점 선정기준을 제시하고, 궁극적으로는 개발사업에 대한 경관영향 검토 및 향후 경관 모니터링을 위한 기초적인 분석방법을제시하는데 목적을 갖고 있다. 환경영향평가서의 자연경관 내 시행되는 개발사업 중 단일건축물 및 소규모 개발을 하는사례를 조사하고, 그 중 점적 개발사업 4곳을 대상으로 경관영향평가 부분을 분석하여 주요 조망점 선정과정에 대해제안하였다. 기존 가시지역 분석방법의 결과인 지형 변화에 따라 가시지역 범위를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극복하기위해 조망 대상물 기준 가시지역 분석방법은 가시 범위를 확대하여 영향력이 높은 유효한 조망점을 선정할 수 있는가능성을 판단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