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택의 경관이미지와 경관형성요소에 관한 연구

        김동찬(Dong Chan Kim),최우영(Woo Young Cho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고택의 종합경관이미지 평가와 경관형성요소 및 경관이미지요인과의 관계성을 분석함으로써, 고택 활성화 관점에서 경관의 조성 시에 고려해야할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 최고의 전통가옥인 ‘선교장’ 이용자를 대상으로 현장방문 설문을 실시하고,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고택의 경관형성요소는 자연경관(산림, 수공간, 잔디밭, 주변경작지), 생활경관(전통음식과 특산품, 체험객, 프로그램, 주변주거지, 진입로), 문화경관 (건축, 마당, 담장, 주변관광지), 소리경관(자연음, 사회음, 인공음)으로 선정되었다. 선교장의 경관 유형별 만족도는 ‘자연경관’, ‘문화경관’, ‘소리경관’, ‘생활경관’ 순었고, 경관 요소별 만족도에서 ‘산림’이 가장 높고 ‘전통음식과 특산품’이 가장 낮았다. 종합경관이미지 평가와 경관유형의 회귀분석 결과는 ‘소리경관’, ‘생활경관’, ‘자연경관’, ‘문화경관’ 순으로 분석되었다. 선교장의 경관이미지요인은 ‘전통성’, ‘자연성’, ‘정연성’, ‘다양성’의 4개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종합경관이미지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연성’, ‘전통성’, ‘자연성’ 순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본 연구는 고택의 대표적 사례인 ‘선교장’을 대상으로 경관이미지 평가와 경관형성요소 및 경관이 미지요인과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하나의 대상지에 국한된 한계점이 있으므로 추후 연구 대상지의 확장이 요구되며, 청년층과 장년층의 세대 간의 차이분석과 ‘소리경관’에 대한 연구가 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lationships of the evaluation of overall landscape images of old houses, the elements of landscape formation and the factors of landscape images, and grasp factors to consider for creating landscape to vitalize old houses. The questionnaire was used for visitors who visited in ``Seongyojang`` which is the oldest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and conducted the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he elements of landscape formation were ``Naturescape``(forest, water space, lawn and around arable land), ``Livingscape``(traditional food and special products, visitors, program, adjacent residential area, haul road), ``Culturescape``(architecture, yard, wall, nearby tourist resort), and ``Soundscape``(natural sound, community sound, artificial sound). Satisfaction level for the type of landscape of Seongyojang was ``Naturescape``, ``Culturescape``, ``Soundscape`` and ``Livingscape`` in order, and ``forest`` is the most, and ``traditional food and special products`` were the least for satisfaction level for the elements of landscape. The evaluation of overall landscape image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type of landscape were ``soundscape``, ``livingscape`` ``naturedscape`` and ``culturescape`` in order. The factors of landscape images of Seongyjang was derive four(4) factors of ``Traditionality``, ``Naturality``, ``Orderliness`` and ``Variety``, and the effect of factors on the evaluation of overall landscape images were ``Orderliness``, ``Traditionality`` and ``Naturality`` in orde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valuation of landscape images, the elements of landscape formation and the factors of landscape images to quantitatively derive their relationships for ‘Seongyojang’, which is Korea`s first old house as a typical case. However, there is only one place selected, additional places shall be required in the future, and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analysis between the youth and the elderly and ``soundscape`` shall be conducted.

      • KCI등재

        Ecological Landscape Evaluation for the Planning of River Rehabilitation: The Upper Areas at the Mangyeong River in Jeollabukdo, Korea

        이명우,Lee, Myung-Woo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06 韓國造景學會誌 Vol.34 No.4

        근래에 들어 자연환경의 복원은 우리나라의 하천 관리에서 중요한 계획과제의 하나이다. 계획과정에 있어서 경관의 분석과 평가는 보전 지역 및 개발 지역의 적지선정을 위하여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생태경관 단위에 있어서 생태환경분야별 조사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위계적 방법론의 수립과 이에 기초한 적지분석을 통해서 하천내 보전 지역을 설정하는 데 있다. 경관 평가 과정에서 경관 스케일은 광역스케일, 지역스케일, 국지스케일로 구분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환경자료들이 수집, 분석, 종합된다. 이러한 3단계의 단위개념이 도입되어야 하는 것은 하천코리도에서 보전지 설정을 위해 생태 자료들의 다원적 성격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위계적 스케일에 따른 평가과정은 3단계로 구분되어 수행되었다. 첫 번째는 장거리 경관 단위로서 광역적 개념에서 하천폭을 기준으로 설정되었다. 두 번째는 각각의 장거리 경관 단위의 지역적 개념에서 경관의 동질성을 기준으로 2이상의 단위공간으로 구분되었다. 세 번째는 국지적 개념에서 교각, 다리, 보의 위치에 따라 세분적으로 분류되었다. 이 마지막으로 분류된 국지적 단위를 기준으로 하여 생태환경에 대한 자료를 재취합, 분석하기 위한 개념적 적지분석모형의 항목들을 선정하였다. 최종 결과에서는 하천 내 습지생태학습공간으로서 집중적으로 관리되어야 할 잠재력이 있는 장소로서 3개소의 보전 지역이 설정되었다. 적지분석과정이 내포하고 있는 많은 가정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방법론적 제안은 우리나라의 하천복원계획에서 다원화된 전문가들과의 공통적 토론을 통해 생태 정보들을 통합하여 실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한다. Nature rehabilitation has become a major theme in river management in South Korea. An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landscape is a crucial step to select the suitable tracts for developing or conserving land use in the process of landscape plann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a hierarchical procedure for the setting of the landscape units on the various scales at which field biologists performed their observations and to select the preserves through by a suitability model for synthesizing the ecological empirical, and biophysical data. An evaluation process needs to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landscape scales: site, local, and regional scales, at which the environmental data were collected, analyzed, and synthesized. Introducing of three level scales was crucially necessary for evaluating the various multi level ecological data for zoning of preserves in river corridors. The evaluation level at different scales are hierarchically established into three phases. The first evaluation phase can be performed by the long length units defined by the ranges of stream widths at regional scale. Secondly, each of these long units can be divided into two or more segments according to its landscape homogeneity at local level. Finally the segments at the last phase can be designat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reservoir weirs and bridges at site level. The conceptual model components are adopted for collecting, evaluating, and interpreting the biological and abiotic data at site level. Three preserves are selected, having high potentials for being intensely managed as the Ecological Education Areas in the river. Despite a lot of assumption the results are expected to facilitate discussion and decision making about which frameworks of evaluation are desirable and adaptable for integrating the ecological data into the rehabilitation design process in South Korea.

      • KCI우수등재

        시뮬레이션을 통한 인공지반 교목의 탄소저장량 변화

        유수진,송기환,박사무엘,김세영,전진형,You, Soo-Jin,Song, Ki-Hwan,Park, Samuel,Kim, Se-Young,Chon, Jin-Hyung 한국조경학회 2017 韓國造景學會誌 Vol.45 No.2

        저탄소 도시 실현의 대안으로써 저탄소경관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다중 스케일 차원에서 디자인 요소들의 동태성을 이해해야 하며, 탄소 저장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하여 인공지반 교목의 탄소저장량 변화를 장기적인 측면에서 시뮬레이션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의 과정은 인과지도를 통해 다중 스케일 측면에서 탄소순환의 동태성을 분석하고, 강남구청 본관 옥상공원의 탄소저장량에 대하여 2008년, 2018년, 2028년, 2038년의 변화를 시뮬레이션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지반 교목과 도시 탄소순환 탄소저장량의 관계에 대한 인과지도 분석결과, 다중 스케일간의 관계성이 확인되었다. 둘째, 시뮬레이션 모델의 주요변수는 '바이오매스', '탄소저장량', '고사유기물', '탄소흡수량'이 선정되어 모델에 활용되었으며, 적합도는 $R^2=0.725$(p<0.05)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뮬레이션 모델 결과, 인공지반 교목의 탄소저장량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수종의 순위가 다양하게 변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홍단풍, 소나무, 자작나무와 같은 수종을 강남구청 본관 옥상공원의 탄소저장량 향상을 위한 수종으로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저탄소경관 계획 시 식재계획의 기준안 또는 수종 선택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o successfully create a low-carbon landscape in order to become a low-carbon cit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dynamics of artificial greening's resources on a multi-scale. Additionally, the effects of carbon storage should be quantitatively evalu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imulate and evaluate the changes in carbon storages of artificial ground trees using system dynamics throughout a long-term period. The process consisted of analyzing the dynamics of the multi-scale carbon cycle by using a casual loop diagram as well as simulating carbon storage changes in the green roof of the Gangnam-gu office building in 2008, 2018, 2028, and 2038.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ausal loop diagram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bon storage of the artificial ground trees and the urban carbon cycle demonstrates that the carbon storage of the trees possess mutual cross-scale dynamics. Second, the main variables for the simulation model collected 'Biomass,' 'Carbon storage,' 'Dead organic matter,' and 'Carbon absorption,'and validated a high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the value being ($R^2$=0.725, p<0.05). Third,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model, we found that the variation in ranking of tree species was changing over time. This study also suggested the specific species of tree-such as Acer palmatum var. amoenum, Pinus densiflora, and Betula platyphylla-are used to improve the carbon storage in the green roof of the Gangnam-gu office building. This study can help contribute to developing quantitative and scientific criteria when designing, managing, and developing programs on low-carbon landscapes.

      • KCI등재

        순천만 국가정원을 향한 문화지리학의 시선

        진종헌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7 南道文化硏究 Vol.0 No.32

        비판적 문화지리학의 관점에서 순천만 국가정원은 세 가지 키워드를 통해 해석할 수 있다. 순천만 국가정원은 상징경관이고, 공적 공간이며, ‘진정한’ 장소를 지향한다. 상징 경관으로서의 순천만 국가정원은 나라별정원에서 그 의미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정 원은 아름답고 조화로운 풍경을 넘어서, 특정한 역사시기와 지역 및 국가의 문화적 정체 성을 표현해 왔다는 의미에서 상징경관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순천만 국가정원은 공적 공간으로서 공공의 이익증진에 기여함을 목표로 한다. 국가정원은 공원이나 광장과 같은 누구에게나 개방되어 있는 전형적인 공적 공간은 아니지만, ‘인간이 자연을 이해하 고 문화의 한 부분으로 포섭해 온 긴 역사’에 대해 배우고, 감상하고 체험하는 공간이다. 그리고 순천만국가정원은, Relph의 관점에서 보자면 진정하게 만들어진 장소와는 거리 가 멀고, 오히려 디즈니화된 가짜 장소에 가깝다. 그러나 국가정원은 순천이라는 장소의 내향적이고 고유한 역사에 기반해 고유의 전통과 문화 및 환경을 단순히 계승하는 것을넘어서 세계-국가-지역의 중첩된 장소스케일의 상호작용에 의해 초국적 문화의 일부로 서 순천의 새로운 장소정체성을 만들어 나가는 매개체 즉, 일종의 상징경관이다.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can be understood through three key words from the view of cultural geography. The Garden is symbolic landscape, public space, and reaches forward to ‘authentic’ place.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as symbolic landscape is well shown in the section of ‘The Gardens by Countries’.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is symbolic landscape in that it has represented cultural identity of a certain region or state and of a certain historical period beyond beautiful and harmonious scenery. The Garden as public space intends to promote the public good (or interest). Though the Garden is not a typical public space as a square or public park (open to anybody), it is definitely a space in history. During this historical space we can learn, appreciate, and experience a virtue of nature, and eventually embrace nature as a part of culture. The Garden is far from an “authentic place” from the perspective of Edward Relph. However,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plays a significant role as a medium through which a new identity of Suncheon is constructed (part and nexus of changing transnational network of culture). This is based on interactions among various spatial scales like ‘global-national-local’. This is true rather than simply inheriting the traditional culture and natural resources based on an introverted history of a place. All of these features make the Garden a symbolic landscape.

      • KCI등재

        지리적 관점에서 본 글로벌화의 의미

        남호엽(Nam, Ho Yeop)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2 글로벌교육연구 Vol.4 No.2

        이 연구는 지리적 관점에서 글로벌화의 의미와 사례 검토를 시도하였다. 지리적 관점에서 볼 때, 글로벌화 현상은 장소의 경관과 스케일 개념을 통해 잘 이해될 수 있다. 글로벌 현상의 외양들은 경관론의 측면에서, 글로벌 현상의 역학과 과정에 관한 이해는 공간스케일의 측면에서 논의가 가능하다. 특히, 글로벌화라는 복합적인 사회현실의 역동적 이해는 공간스케일의 관계 국면 이해가 중요하다. 지리적 관점에서 볼 때, 글로벌화는 특정한 세상을 향해 통일적이고 단일한 모습으로 나아가는 과정이 아니다. 글로벌 세상은 매우 중층적이고 복합적인 구조로 현실세계가 얽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글로벌 현상을 이해할 수 있는 개념 장치는 구체적인 현실 이해를 통해 지속적으로 단련이 되어야 할 대상이다. 글로벌화가 향후 더욱 일상화됨에 따라,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개입의 전략화가 요망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globalization in the geographic perspective. In this perspective, we can understand the globalization by the concepts such as landscape and scale of place. Landscape concept can describe visible appearances of globalization and scale concept can explain the pattern and process of it. Specifically, we can utilize the concept of spatial scale for active understanding on multiple social reality as globaliztion. Geographers have a position that global world is dynamic situations of multi-level structures and traces of continual change. Therefore, we should have the process of refinement of concepts and an in-depth inquiry based on case studies.

      • KCI등재

        Influence of Grid Cell Size and Flow Routing Algorithm on Soil-Landform Modeling

        S. J. Park(박수진),G. R. Ruecker,W. A. Agyare,A. Akramhanov,D. Kim(김대현),P. L. G. Vlek 대한지리학회 2009 대한지리학회지 Vol.44 No.2

        수치고도모형으로부터 산출된 지형변수는 지표면 프로세스와 관련된 공간모델의 개발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이 논문에서는 사면유역지수(upslope contributing area)가 토양성질의 공간적 분포를 예측하는 능력이, 사용한 알고리듬과 격자크기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연구하였다. 상이한 환경조건을 지니는 여덟 군데의 연구지역에서 토양-경관 자료를 획득하여 이중 4개의 토양성질을 분석에 포함시켰다. 다섯 가지의 알고리듬을 통해 사면유역지수를 산출하여 이 지수들이 수치고도모형의 해상도에 얼마나 민감한지를 분석하였다. 다방향유수흐름 알고리듬(multiple flow algorithm)을 통해 계산된 지형변수가 대부분의 토양변수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임과 동시에 격자크기의 변화에 낮은 민감도를 보였다. 지형변수와 토양변수 사이의 높은 상관관계는 15-50 m의 해상도에서 유사한 예측능력을 보였다. 격자크기를 증가시켰을때 발생하는 미세지형정보의 손실을 감안한다면, 15-30 m 정도의 공간적 스케일이 토양경관 모델링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Terrain parameters calculated from digital elevation models (DEM)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in current spatially distributed models of earth surface processes. This paper investigated how the ability of upslope area for predic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oil properties varies depending on the selection of spatial resolutions of DEM and algorithms. Four soil attributes from eight soil-terrain data sets collected from different environments were used. Five different methods of calculating upslope area were first compared for their dependency on different grid sizes of DEM. Multiple flow algorithms produced the highest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most soil attributes and the lowest variations amongst different DEM resolutions and soil attributes. The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remained unchanged at resolutions from 15 m to 50 m. Considering decreasing topographical details with increasing grid size, we suggest that the size of 15-30 m may be most suitable for soil-landscape analysis purposes in our study areas.

      • KCI등재

        메타개체군 이론을 활용한 도시개발에 따른 생물 종 영향 평가 활용 가능성 분석

        김은섭,모용원,박태윤,전윤호,최지영,이동근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23 환경영향평가 Vol.32 No.2

        As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each species on a spatial scale occur, analysis at the landscape scale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impact of a development project. In previous studies, the Incidence Function Model (IFM) based on meta population theory was used to analyze the impact of species on the environment that changes according to urban development. However, since the model was required at least 10 occupied areas, it is difficult to use it for species that are difficult to monitor such as endangered species. Therefore, we proposed the Incidence Function Model (IFM)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 to fill the species data. In addition, we reviewed whether the developed model can be used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inimum occupancy of Prionailurus bengalensis on urban development decreased to 56.5% and the possibility of survival to 28.7%. We confirmed that It rapidly decreased from the reference points of 230 and 70habitats through analysis of the meta-population capacity according to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habitats. These results can be assessing the environment impact of each species on habitat loss. And it can support decision-making on the minimum number and area of habitat for species protec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on before and after development projects and mitigation measures plans, thereby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reduction plans. 공간 스케일에 따른 생물 종 별 영향의 차이가 발생함에 따라, 도시 개발 사업에 따른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경관규모에서의 분석이 필요하다. 선행연구에서는 도시개발에 따라 변화하는환경에 대한 생물종 영향을 분석하기위해 메타개체군 이론을 기반한 Incidence Function Model (IFM)을활용하여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해당 모델은 최소 점유영역이 10개 이상이 되어야 하므로, 모니터링이 어려운 생물종에 대한 활용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삵(Prionailurus bengalensis)을 중심으로 종 분포 모델을 통해 구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IFM 모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모델을 통해 환경영향평가서 중 자연생태환경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도시개발에 따른 삵의 최소 점유율은 56.5%, 생존가능성은 28.7%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식지 개수 감소에 따른 개체군 수용력에 대한 분석을 통해 230개소와 70개소에서 개체군의 수용 능력이 급격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환경계획 관점에서 서식지 면적 감소에 따른 삵의 환경영향을평가하였으며, 삵을 보호하기 위한 최소한의 서식지 개수 및 면적 설정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이는 개발 프로젝트 전, 후 영향평가 및 저감방안 계획에 기초자료로 활용됨으로써, 저감방안의 실효성을높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광둥 쟝먼 핵연료공장 반대 시위를 통해 본 중국 반핵 진영의 스케일 정치

        김남영(Nam young Kim),윤순진(Sun-Jin Yun) 한국환경사회학회 2016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20 No.2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사고 이후 많은 국가들이 핵발전을 재고하고 있지만, 중국정부는 여전히 핵발전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황에서 2013년 중국 광둥 쟝먼 지역에서 일어난 핵연료가공공장 반대 시위의 스케일 정치를 분석하여 향후 중국 내 반핵운동의 미래 전망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다양한 문헌자료와 2016년 3월 약 한 달간 중국 광둥과 홍콩 등지에서 피면접자 14인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약 10일 정도의 핵연료공장 반대 과정에는 지방정부, 시민, 핵공업공사, 화교 등 다양한 층위의 행위자들이 관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핵연료공장 반대 진영은 소셜미디어와 웹사이트 등을 통해 지역의 거주성을 지키려는 ‘의존의 공간’을 형성한 반면, 추진측은 지역 성장을 주요 동력으로 하는 ‘의존의 공간’을 형성하려 하였다. 반핵 진영은 마카오와 홍콩의 화교라는 글로벌 행위자를 이용하여 ‘스케일 뛰어넘기’에 성공하였고 보다 넓은 범위에서 ‘연대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중국의 시민사회를 다중스케일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중국 반핵운동의 특수성과 한계를 이해할 수 있었다. While many countries have been reconsidering the use of nuclear power after the Fukushima accident in Japan 2011, the Chinese government is continuing to expand the use of nuclear power in their energy mix. This study seeks to draw implications of the future of the Chinese anti-nuclear-fuel-station movement through the analysis of scalar politics in the anti-nuclear-fuel-station movement in Jiangmen, Guangdong China in 2013. To conduct this study, authors studied various literature and visited Guangdong, Hong Kong for approximately one month in March 2016 to conduct in-depth-interviews (N=14). As a result, the study revealed that multi-scalar stakeholders including local government, citizens, nuclear companies and overseas Chinese, were involved in the anti-nuclear-fuel-station movement processes that lasted for 10 days. On the one hand, the anti-nuclear actors formed ‘spaces of dependence’ through social media and local websites that protected their locality. On the other hand, pro-nuclear actors formed ‘spaces of dependence’ driven by motivation for local economic growth. Anti-nuclear actors succeeded in “jumping scales” and created “spaces of engagement” in larger areas through global actors like the overseas Chinese in Macau and Hong Kong. In all, this study was able to understand the uniqueness and limits of the Chinese anti-nuclear movement through multi-scalar analysis of the local society in China.

      • KCI등재

        경관 설치물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색채 요소를 중심으로

        공모,천총,김진성 한국기초조형학회 2023 기초조형학연구 Vol.24 No.4

        Mental stress in people’s daily lives is increasing due to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that has occurred worldwide over the past three years. Accordingly, it has become more important to achieve participatory interactions in outdoor spaces. Among them, landscape installation is an important medium for people to interact with landscape space to interact with people. Research on landscape installation preferences helps develop landscape installation design and promotes people to be more involved in the interaction of landscape install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people’s preferences for landscape installations and to facilitate human interaction with landscape installations, landscape spaces, or other landscapes. The research methodology is a combination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First, through a literature review, major concepts and prior studies were summarized and the limitations of prior studies were analyzed. Second, the preference for landscape installations i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BE method. Third, I.R.I. image scale analysis of landscape installations, color elements are extracted, and color characteristics of the top 10 landscape installations are analyzed. Fourth, through regression analysis of color elements and SBE values, the level of influence of color elements on landscape installation preferences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natural colors are used the most frequently among the color application characteristics of current landscape installations, followed by cheerful colors, colorful colors, and decent color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olor contrast, colorful color, and cute color had a positive (+) effect on landscape installation preference, and mild color had a negative (-) effect on landscape installation preference. This study provides a preliminary exploration of the color range of preference for landscape installations and also provides reference material for the design and research of future landscape installations. It is important to promote the design of future landscape instal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