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흡연자와 비흡연자 남녀 대학생 비교 : 국내외 담배 경고그림 비교를 중심으로

        엄남현 한국광고PR실학회 2017 광고PR실학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대학생 흡연자와 비흡연자들의 담뱃갑 경고그림 태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했다 . 또한 , 남성과 여성 , 성별에 따른 담뱃갑 경고그림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도 알아보고자 했다 . 마지막으로 ,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의 담뱃갑 경고그림과 국내 경고그림을 비교해 어떠한 인식의 차이가 존재하는지도 살펴보는 데 있다 . 본 연구를 위해 흡연자 10명(남성 5명, 여성 5명),비흡연자 10명(남성 5명, 여성 5명)을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했다 . 연구 결과 , 흡연자들에게 담뱃갑 경고그림은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 여성 흡연자들에게는 다소 절연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흡연자들 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난 강한 ‘낙관적 편견 ’과 ‘선택적 인식 ’이 경고그림의 효과를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 담뱃갑 경고그림의 효과는 흡연자들에게보다는 오히려 비흡연자들에게 흡연으로 인한 경각심을 불러일으켜 흡연에 대한 진입장벽 효과를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마지막으로 , 국내 경고그림과 달리 외국 경고그림이 혐오 정도 차원에서 보다 강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결과는 향후 경고 그림을 새롭게 하거나 금연관련 정책을 개정하는 데 있어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college smokers and non-smokers’ attitude toward pictorial warnings on cigarette packs. In addition, the study makes an effort to examine if a gender plays any role in affecting attitude toward pictorial warnings on cigarette packs. Lastly, the current study compares attitudes toward to pictorial warnings in Korean tobacco packs with those in an international tobacco pack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smokers (five males and five females) and 10 non-smokers (five males and five females). Study findings suggest that pictorial warnings are not effective among college smokers when it comes to quitting. However, pictorial warnings are somewhat effective in reducing daily smoking among female smokers. Smokers’ optimistic bias and selective perception seem to be factors which reduce effects of pictorial warnings on cigarette packs. Effects of pictorial warnings are rather easily found among non-smokers, resulting in arousing consciousness on risks of smoking developing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 smoking. Lastly, compared with pictorial warnings on domestic cigarette packs, pictorial warnings on international cigarette packs seems to be more effective in delivering communication message such as harmful effects of smoking. Study findings provide implications when it comes to renewing domestic pictorial warnings on cigarette packs as well as revising anti-smoking policy.

      • KCI등재

        흡연자의 효능감이 담뱃갑 경고그림 효과에 미치는 영향

        조현영(Cho, Hyun Young),전승우(Chun, Seungwoo) 한국마케팅학회 2018 마케팅연구 Vol.33 No.4

        본 연구는 담뱃갑 경고그림의 효과에서 자기효능감 및 반응효능감의 매개효과 및 정서조절 성향의 조절효과를 조사했다. 경고그림은 흡연자의 재평가 성향이 높을 경우는 자기효능감을 유의하게 상승시켰지만 정서억제 성향이 높은 경우에는 자기효능감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경고유형(경고그림 vs. 경고문구)과 정서조절 성향의 상호작용이 반응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 도달하지는 못했으나 관계의 방향성은 자기효능감에서 관찰한 것과 동일했다. 경고유형과 정서조절 성향의 상호작용이 금연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효능감과 반응효능감에 의해 각각 매개되었다. 이 결과는 흡연자의 정서억제 성향보다 재평가 성향이 경고그림 효과에 긍정적으로 기여한다는 선행연구와 맥을 같이한다. 또한 이 결과는 공포소구 메시지가 자기효능감과 반응효능감을 향상시켜야 설득에 효과적이라고 주장한 확장된 병행과정 모델(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 Witte 1992)의 이론과도 일치한다. 선행연구는 높은 효능감이 경고메시지의 수용과 행동 변화에 중요한 요인임을 효능감의 직접효과 및 조절효과를 통해 보여주었다. 그러나 경고그림의 효과에서 효능감의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여주는 데에는 실패했다. 본 연구는 경고그림에 노출되었을 때 흡연자의 자기효능감 및 반응효능감이 상승하는 경계 조건을 밝혀 경고그림 연구에 이론적으로 기여한다. 즉, 흡연자가 정서조절에 재평가 전략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경고그림에 노출되었을 때 경고메시지를 수용해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믿음을 갖는다. 또한, 본 연구는 경고그림이 디마케팅(demarketing)전략으로 효과적인 또 다른 원인을 제공한다. 경고그림이 디마케팅에 사용된 이유는 이것이 흡연 욕구를 억제시키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본 연구는 경고그림이 흡연자에게 자신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믿음을 심어주기 때문에 효과적인 디마케팅 전략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경고그림과 함께 금연이 왜 중요한가를 설명하는 문구 또는 금연에 성공한 사례를 첨부하면 흡연자의 효능감을 상승시키는 데 효과가 있을 것이다. 또한 금연 캠페인에 공포소구를 사용하기보다 금연에 성공할 수 있다고 격려하는 접근을 취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s of self-efficacy and response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arning type (pictorial warning vs. text warning) and desire to quit smoking as well as the moderating roles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e data revealed that exposure to pictorial warnings significantly enhance self-efficacy when smokers’ reappraisal tendency is high. In contrast, when smokers’ suppression tendency is high, exposure to pictorial warnings significantly reduce self-efficac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on of warning type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response efficacy did not reach significance, but the direction of effect was similar to what we observed in the results of self-efficacy. Interaction between type of warning and emotion regulation influenced the desire to quit smoking through self-efficacy and response efficacy. The present findings are in line with what the 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 (EPPM; Witte 1992) suggested, that the role of efficacy is crucial to health message acceptance.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one of the important boundary conditions for smokers to develop high efficacy in response to GHWs is reappraisal tendency.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marketing strategies as well as in developing more effective graphic health warnings in a way that can enhance smokers’ efficacy.

      • KCI등재

        담뱃갑 경고그림에서 공포소구의 시각표현 비교분석 연구- 국내외에서 시행 중인 경고 그림을 대상으로 -

        리우원원,리하오샹,야오씨,쑨뤄슈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3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1 No.3

        2023년 세계보건기구(WHO)는 '담배가 아닌 건강한 식량을 키워주세요(Grow food, not tobacco)’ 라는 주제를 제기했다. 금연 환경 건설에 전 세계가 동참할 것을 촉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다. 담뱃갑 경고그림은 시각표현을 통해 흡연이 건강에 해롭다는 인식을 확산시켜 금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2016년 한국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경고그림 시행국 정부 보고서에 따라, 연구 대상을 경고그림을 가장 먼저 시행하여 흡연율이 해마다 현저히 떨어지는 3개국(캐나다·브라질·싱가포르)과 한국의 경고그림을 선정하고 42개 경고그림의 그림과 문자를 각각 분석했다. 그림의 이미지 유형, 컬러 및 레이아웃, 문자의 타이포그래피 , 레이아웃 및 컬러 사용을 분석하여 시각적 표현 특징 및 사용 현황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그림의 경우 해외 3개국 경고 그림의 이미지 유형은 주로 인물 사진 중심형을, 한국은 혼합형을 사용하고 있다. 4개 국가 모두 유채색을 사용했다. 그 중 한국만 테두리를 사용했다. 그리고 문자의 경우 4개 국가 모두 고딕체를 사용했고 가로배열 방식을 사용했다. 브라질과 한국 문자는 무채색을, 캐나다와 싱가포르 문자는 혼합색을 사용했다.  그림과 문자의 레이아웃에 있어서는, 각각 다른 위치를 사용했다. 본 연구는 4개 국가의 경고그림의 시각표현을 비교하고, 본 연구를 통해 경고그림의 시각표현에 대한 사람들의 이해를 높이고, 담뱃갑 경고 그림의 금연 효과를 높이는 데 기여하기를 바라는 바이다. In 2023, WHO stated: "Grow food, not tobacco" theme. Its goal is to urge the world to participate in the construction of a smoke-free environment. Warning pictures can be make people aware of the health hazards of smoking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quitting smoking. According to a government report released by South Korea in 2016, the research subjects selected three countries that implemented warning picture at the earliest and the smoking rate decreased year by year (Canada, Brazil, and Singapore) and Korean warning picture. The pictures and text of the 42 warning pictures were analyzed separate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of visual expression through the analysis of image type, color, layout and Typography of pictures, text layout, design, and color application. The image types in the three overseas countries mainly use people photo-centered type, while South Korea uses a mixed type. Colors are used in all four countries. Only South Korea uses borders. In text, all four countries use boldface and horizontal arrangement. Text in Brazil and South Korea is colorless, and text in Canada and Singapore is in mixed colors. The layout of pictures and text is set in different position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improve people's understanding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warning pictures and improve the anti-smoking effect of warning pictures on cigarette packages.

      • KCI등재

        담뱃갑 경고 그림에 대한 청년 흡연자의 인식과 태도:“나와는 상관없어요”

        허원빈 한국보건복지학회 2021 보건과 복지 Vol.23 No.4

        Most smokers start smoking cigarette in their young adulthood. The mandatory attachment of warning pictures on cigarette pack for smoking prevention and cessation has been implemented in Korea since 2016. Compared to other populations,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a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response and empathy to warning pictures. However, there are lack of literature on how young smokers perceive cigarette pack warning picture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5 young smokers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cigarette pack warning pictures among young adult smokers. Through the thematic analysis, a total of 8 sub themes were derived from 3 themes: the experience, awareness, and believability warning pictures, and suggestion for effective warning pictures were derived. The young smoker was taking the cigarette pack warning picture negatively, indifferently, or playfully. The situation depicted in the warning picture was thought to have nothing to do with them, or to happen in the distant future, not now. As a result, young smokers sensibly observe cigarette pack warning pictures, but did not elicit cognitive or behavioral changes. This study found that young smokers' sensory stimuli for cigarette pack warning pictures occurred, but there was no change in their perception and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were provided for an effective implementation of cigarette pack warning pictures for young smokers. 흡연 행동은 대부분 청년기에 시작되며, 경고 그림에 관한 청년 집단의 반응 및 공감 수준은 다른 인구집단에 비해 현저히 낮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청년흡연자가 어떻게 담뱃갑 경고 그림을 인지하고 있는지 살펴본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질적 연구방법으로써 본 연구는 15명의 청년흡연자를 개별심층 면접하여 이들의 담뱃갑 경고 그림에 대한 경험과 태도를 탐색하였다. 15명의 청년흡연자 평균나이는 21.67세(SD=2.2)였다. 주제분석을 통해 담뱃갑 경고 그림에 대한 경험과 태도, 청년흡연자에게 효과적인 경고 그림을 위한 제안이라는 3개의 주제에 대한 8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청년흡연자는 담뱃갑 경고 그림을 부정적으로, 무관심하게, 또는 장난스럽게 받아들이고 있었다. 경고 그림에 묘사된 상황을 그들과 직접적으로는 상관없는, 또는 지금이 아닌 먼 훗날 발생할 수도 있는 상황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청년흡연자는 담뱃갑 경고 그림을 감각적으로는 관찰하지만, 경고 그림이 인지적·행동적 변화를 끌어내지는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년흡연자에게 효과적인 담뱃갑 경고 그림 운영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흡연자의 정서조절이 담뱃갑 경고그림 효과에 미치는 영향

        조현영 ( Cho Hyun Young ),박준우 ( Park Joon Woo ),전승우 ( Chun Seungwoo ) 한국소비자학회 2018 소비자학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정서조절이 담뱃갑 경고그림 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 했다. 많은 선행연구가 경고그림이 금연의도에 기여함을 보였지만 일부 연구는 경고그림의 효과를 부정하거나 오히려 그것이 흡연 행동을 증가시킴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흡연자의 정서조절 성향을 경고그림의 효과를 조절하는 경계 조건으로 설정하였다. 정서조절은 재평가와 정서억제 전략으로 나눌 수 있다. 재평가는 부정적 정서를 일으킨 상황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해석하여 정서를 조절하는 전략이며 정서억제는 느끼는 감정을 겉으로 표현하지 않는 전략이다. 선행 연구는 재평가가 정서억제보다 적응적인 전략임을 보고한다. 본 연구는 재평가 성향이 높은 흡연자는 경고그림이 유발한 부정적 정서를 적절히 조절해 높아진 금연의도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정서억제 성향이 높은 흡연자에게서는 부정적 정서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흡연자 205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참가자는 경고그림 또는 경고메시지에 노출된 후 부정적 정서를 느낀 정도, 금연의도 및 정서조절 성향을 측정하는 문항에 응답했다. 실험 결과, 참가자들은 경고문구보다 경고그림에 노출되었을 때 더 높은 부정적 정서와 금연의도를 보였다. 정서조절 성향을 재평가와 정서억제로 나누어 분석해 보니, 재평가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지만 정서억제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재평가 성향이 높은 흡연자들에게서만 담뱃갑 경고그림이 금연의도를 높이는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정서억제 성향은 경고그림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담뱃갑 경고와 금연의도 간의 관계를 흡연자가 인식한 부정적 정서가 매개하는 효과도 재평가 성향에 의해 조절되었다. 반면 정서억제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 결과는 경고그림에 수반되는 부정적 정서의 순기능이 재평가 전략을 사용하는 흡연자에게서 더 증폭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흡연자들이 재평가 전략을 사용하도록 돕는 금연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도입해볼 만하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how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oderate the impacts of graphic health warning (GHWs) on intention to quit smoking. Existing literature have shown that cigarette pictorial warnings are effective in reducing smoking behavior. Some studies, however, have revealed insignificant impact of GHWs or boomerang effect such that pictorial warnings even increased smoking behavior.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identify a boundary condition that moderates the impact of pictorial warnings on smokers’ desire to quit smoking. We hypothesized that the impact of GHWs will depend on the type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at the smokers often use to regulate their negative emotions. Two different types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re widely known. First, reappraisal occurs before emotional arousal is fully experienced and encourage people to think of the situation that induce such emotional reaction in a more positive way. For example, a person who feels very nervous waiting for a job interview may reduce such nervousness by thinking the situation as an opportunity to receive a useful feedback on his or her aptitude and skills. Individuals with greater reappraisal tendency attempt to reduce a detrimental impact of negative emotion through interpreting a specific situation that induce the emotion in a more positive manner. In contrast, suppression strategy does not contain such a cognitive process. Individuals with greater suppression tendency try not to reveal one’s emotional feelings in order to regulate their emotions. Literature on emotion regulation consistently have shown that reappraisal is more adaptive than suppression strategy in reducing negative emotional feelings. Suppression strategy was shown to reduce emotional expressions but not to reduce emotional experiences. Also, individuals with greater suppression tendency showed increased activities in sympathetic nervous system as well as heart rate. Suppression, compared to reappraisal strategy thus appear not to solve underlying emotional experiences. Based on the literature we predicted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the type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y such that mediating role of negative emotion will be significant for smokers with high reappraisal tendency but not for those with high suppression tendency. Smokers with high reappraisal tendency were predicted to regulate their negative emotion induced from GHWs more effectively since they will regard the pictorial warnings as useful information, which results in enhanced desire to quit. Smokers with high suppression tendency were predicted to be relatively ineffective in reducing their negative emotion and their desire to quit thus would not be affected by GHWs. We conducted experiments with 205 Korean smokers and presented them with either a pictorial warning or a text-only warning. Pictorial warning depicts a cancerous lung in full color along with corresponding texts. A text warning was included at the front and side of the cigarette package. The front warning was “Smoking causes various diseases such as lung cancer! Would you still smoke?” and the side warning was “The tar intake may vary depending on the smoker's smoking habits.” After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stimuli they indicated the extent to which they felt negative emotions including fear and answered to an emotional regulation scale. The data revealed that participants showed greater level of negative emotion as well as increased desire to quit after exposed to a pictorial warning than to a text-only warning message. The pictorial warning was effective in enhancing desire to quit smoking only for the smokers whose reappraisal tendency was high. Suppression tendency did not significantl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igarette pictorial warning (vs. text-only warning) and desire to quit. Also, negative emo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igarette pictorial warning (vs. text-only warning) and desire to quit, and this mediation effect was moderated by reappraisal but not by suppression tendency. The current findings seem to suggest that detrimental impacts of negative emotion that is induced by exposure to cigarette pictorial warnings can be reduced through emotion regulation, especially reappraisal tendency. Also, this study suggested that lack of emotion regulation could have explained previous findings that failed to show effectiveness of cigarette pictorial warnings in reducing smoking behavior. Specifically, reappraisal but not suppression tendency is shown to be more adaptive strategy in smoking cessation. Such finding may in part be due to the fact that suppression strategy requires more amount of cognitive resources than reappraisal strategy. Smoker with high suppression tendency could not have sufficient cognitive resources that is enough to process pictorial warning messages and thus might not have accepted it. Previ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the impacts of GHWs are mediated by cognitive processes such as perceived risk of smoking, believability of warning messages, and perceived information effectiveness. Suppression compared to reappraisal strategy appears to interfere with such a role of cognitive factors. The present finding has practical implication. Smoking cessation program for smokers should adopt some form of emotion regulation training. For example, the program can provide a meditation session with smokers that is helpful in reappraise their negative emotion. The current study shows beneficial role of emotion regulation tendency in enhancing GHWs’ effects. Our findings seem to reconcile recent controversy on the effectiveness of cigarette pictorial warning in Korea.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GHWs are effective communication tool for smokers in helping their smoking cessation attempts. There are some situations, however, in which pictorial warning messages are ineffective due to negative emotional responses towards such messages and GHWs seem to be ineffective communication tool for smokers with low emotion regulation tendency.

      • KCI등재

        담뱃갑 경고그림이 청소년 흡연 태도에 미치는 영향

        황지은 ( Ji-eun Hwang ),조성일 ( Sung-il Cho ) 대한보건협회 2018 대한보건연구 Vol.44 No.3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2016년 12월 23일부터 도입된 담뱃갑 경고그림 정책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청소년의 경고그림 노출 여부 및 이로 인한 흡연에 관한 태도 및 인식에 미친 영향을 흡연 상태에 따라 탐색해 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조사는 2017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를 활용하여 전국 62,276명 청소년 자료를 기반으로 현재 흡연 여부 및 담뱃갑 경고그림 노출 여부를 파악하고 경고그림으로 인한 흡연 폐해 인식 및 비흡연 의지가 흡연 상태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보정 교차비(aOR: Adjusted Odds Ratio)와 95% 신뢰구간(CI: Confidence Interval)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경고그림 도입 후 약 6개월 경과 후 청소년의 약 70%는 경고그림을 본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고그림을 본 후 흡연이 건강에 해롭다고 생각할 가능성은 현재 흡연자에 비해 비흡연자일 경우 5.12배 (aOR=5.12, 95% CI=4.68-5.60) 높았고, 담배를 피워서는 안 되겠다고 생각할 가능성 또한 흡연자에 비해 비흡연자일 경우 10.16배 (aOR=10.16, 95% CI=9.28-11.11) 높았다 결론: 현재 시행되고 있는 담뱃갑 경고그림의 노출률은 높고, 경고그림이 청소년의 흡연 인식 및 금연 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흡연 청소년에 비해 현재 비흡연 청소년의 인식 및 의지 강화에 효과적이었다. 향후 흡연 청소년들의 태도 및 행동 변화를 유발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효과적인 경고그림이 개발하여 청소년들의 흡연을 사전에 예방하고 청소년의 흡연율 감소를 도모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impact of exposure to graphic health warning labels on cigarette packs on smoking attitude among adolescents. Methods: This study used the data of 62,276 subjects which were participated in the 13th (2017)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We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4.0 Program. Results: After implementing the graphic health warning labels on cigarette pack on December 23 2016, about 70% of students had seen graphic health warning labels during the past one month. Among adolescents who reported experience a graphic health warning labels, recognition of negative health effects of smoking was higher in non-smokers (aOR=5.12, 95% CI=4.68-5.60) than current smokers. Also, non-smokers (aOR=10.16, 95% CI=9.28-11.11)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motivation not to smoke than current smokers. Conclusion: Graphical health warning labels on cigarette packs motivate adolescents not to smoke, particularly among non-smoker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development of an effective pictorial warning is needed for smoking cessation promotion and change of attitude toward smoking for youth smokers.

      • 위협, 죄책감, 금연 자기효능감이 담뱃갑 경고그림 효과에 미치는 역할

        최유진,전승우,박준우 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2017 한국알코올과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04

        [ 연구배경 ] 담뱃갑 경고그림 부착이 지난 12월 23일 시행된 후 경고그림 효과 검증에 대한 다양한 연 구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기존에 경고그림을 도입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인구 단위 금연 혹은 흡연예방 효과 모니터링, 경고그림 프레임 혹은 강도(graphicness)에 따른 효과, 그리 고 경고그림 노출 후 발생하는 정서 및 인지평가가 경고효과에 미치는 역할로 나누어진다.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담뱃갑 경고그림의 경고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위협, 죄책감, 금연 자기효능감이 경고정보의 유익성, 흡연태도, 담뱃갑 태도와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 연구방법 ] 온라인 조사업체를 통해 200여명의 흡연자를 모집하여 경고문구만 부착된 담뱃갑과 경고그 림이 부착된 담뱃갑에 무작위로 노출한 후 위협, 죄책감, 금연 자기효능감, 정보의 유익성, 흡연태도, 담뱃갑 태도와 금연 의도를 측정하였다. [ 연구결과 ] 연구결과 경고그림은 경고문구보다 정보의 유익성과 금연의도에서 더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 다. 죄책감은 모든 종속 변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위협은 경고갑 태도를 제외한 모든 변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금연 자기효능감은 정보의 유익성과 금연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경고그림은 위협, 죄책감, 금연 자기효능감과 다양한 유의미한 상호작 용을 보였는데 흡연자들은 경고그림으로부터 위협, 죄책감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느끼거 나 높은 금연 자기효능감을 느낄 경우 경고문구에 비해 높은 경고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 타났다. 따라서 위협, 죄책감과 같은 부정적 정서와 금연 자기효능감을 강조하는 경고그림 제작이 강화되어야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담뱃갑 경고그림 메시지의 커뮤니케이션 효과

        박노일(Nohil Park),정지연(JiYeon Jeong),문지원(Jiwoon Moon),정지혜(JiHye Jeong),박아현(Ah Hyun Park)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8 언론정보연구 Vol.55 No.4

        최근 도입된 담뱃갑 경고그림 메시지에 대한 커뮤니케이션학 차원의 논의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 연구는 2016년 12월 23일에 국내에 전격 시행된 담뱃갑 경고그림의 위협소구와 금연의지 변화를 흡연자 및 비흡연자 집단을 고려하여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담뱃갑 경고그림 전후 총 1,198명[사전: 736명(흡연자: 168명, 비흡연자: 568명, 사후: 462명(흡연자: 118명, 비흡연자: 344명)]을 대상으로 경고그림에 대한 인식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담뱃갑 경고그림 도입 이후 흡연자 집단보다 비흡연자 집단의 흡연 위협소구 인식과 금연의지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비흡연자의 인구사회학적 속성, 흡연태도, 금연캠페인 변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담뱃갑 경고그림은 흡연 위협소구와 금연의지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흡연자 집단에서는 담뱃갑 경고그림이 위협소구 인식 증가에만 영향을 미쳤을 뿐 금연의지를 제고하는 데는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담뱃갑 경고그림이 비흡연자 집단에게 금연 예방효과가 나타남을 과학적으로 제시하는 동시에, 담뱃갑 경고그림이 흡연자 집단의 흡연 위협소구 효과를 나타내거나 흡연자의 금연의지 변화를 이끌어 내기에는 제한적임을 경험적으로 조명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In communication studies, there has been a lack of discussion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ictorial cigarette pack warning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perceptions of threat appeal for smoking and willingness to quit smoking among smokers and non-smokers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pictorial cigarette pack warnings on December 23, 2016 in South Korea. For these research purposes, his research conducted surveys to 1198 persons (1st wave: smokers=168, non-smokers=568; 2nd wave: smokers=118, non-smokers=344).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onsmokers had increased their perceptions of threat appeal and willingness to quit smoking than the smokers even when the non-smok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moking attitudes, degree of exposure to cigarette pack warnings, and smoking cessation campaign involvement variables were controlled. however in the smokers group, pictorial cigarette pack warnings only affected the perceived threat of smoking, but did not render a meaningful effect on improving willingness to quit smoking. This study suggests that, for non-smokers, the pictorial cigarette pack warnings has effects on their perceptions of threat appeal and willingness to keep away from smoking but, it has limitations for smokers to increase their willingness to quit smoking.

      • KCI등재

        담뱃갑 경고그림이 금연태도와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처양식(coping styles)의 조절 효과의 남녀 차이

        전승우,박준우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coping styles moderates the effects of graphic pictorial health warnings on packaging on smokers’ attitudes toward stopping smoking and intention to quit smoking. In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372 smokers including 194 men and 178 women using two different warning labels: a strong graphic pictorial health warning and a text-only warning. This study found that the three-way interaction among gender, coping styles and warning labels had significant effect on smokers’ attitudes toward quitting smoking. For men with high (vs. low) problem-focused coping style, the graphic warning (vs. text warning) had greater effect on their attitudes toward quitting smoking. However, the difference in the problem-focused coping style did not moderate the effect of warning label on the attitudes. On the other hand, the graphic warning was more effective for the attitudes for women with high (vs. low) social support seeking coping style, but made no difference in the effect between men with high and low social support seeking coping style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attitude mediated the three-way interaction and intention to quit smoking. Based upon the result, this study provid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본 연구는 성별과 대처양식이 담뱃갑 경고그림의 효과를 어떻게 조절하는가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 30대 남자 194명, 여자 178명, 총 372명의 흡연자가 온라인 실험에 참여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는 경고문구 또는 후두암 사진이 부착된 담뱃갑 사진에 노출되었다. 실험 결과, 문제중심 대처와 사회적 지원 대처 모두에서 성별 ╳ 경고라벨 ╳ 대처양식 사용 정도 간의 삼원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문제중심 대처를 더 많이 사용할수록 경고그림이 금연태도에 미치는 효과가 증폭되었으나 사회적 지원 대처 사용 정도는 경고그림의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여성의 경우 사회적 지원 대처를 더 많이 사용할수록 경고그림에 대해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문제중심 대처 사용 정도에 따른 경고그림 효과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성별과 대처양식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와 맥을 같이 하는데, 남녀가 선호하는 대처양식을 가지고 있을 경우, 경고그림에서 야기될 수 있는 스트레스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처하여 경고그림 효과가 상승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문제중심 대처와 사회적 지원 대처 모두에서 금연태도가 성별 ╳ 경고라벨 ╳ 대처양식 간의 삼원상호작용과 금연의도 사이를 매개한다는 것도 입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담뱃갑 경고그림이 흡연에 미치는 영향: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김희,고한준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社會科學硏究 Vol.30 No.2

        Currently, cigarette package health warnings are getting more attentions from around the world. In addition,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picture warnings made a stronger impact on smoking behavior than text warnings. In China, only text warnings are currently adopted to cigarette packages, and a smoking rate is still increasing year by year. For this reason, this study tried to examine consumers' reactions toward picture warnings by conducting an experiment. As a result, respondents, who were exposed to a higher level of fear in picture warnings, showed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cigarette package, lower purchase intentions, and higher intentions to quit smoking than those of the lower level group. Moreover, thes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smoking group and nonsmoking group in terms of the level of fear in picture warnings and the attitude toward the cigarette package. This study suggests that China should consider adopting picture warnings to cigarette packages. This will help people quit smoking in China. 담뱃갑에 표시되는 경고메시지는 현재 많은 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경고그림이 경고문구 보다 흡연 욕구를 줄이거나 금연에 상대적으로 더 높은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중국 시장은 경고문구만을 도입한 상황이고 흡연율 또한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직 경고그림이 도입되지 않은 중국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여 경고그림의 공포 수준에 따른 중국 소비자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경고그림의 공포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중국 소비자들은 경고그림으로 포장된 담뱃갑에 대해서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냈고, 구매의도가 떨어졌으며 금연의도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흡연자와 비흡연자는 경고그림의 공포수준에 따라 담뱃갑에 대한 태도에서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중국 시장에서 흡연율을 낮추거나 금연의도를 높이기 위해서 담뱃갑에 경고그림을 도입하는 정책은 매우 효과가 있을 것이라 예상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