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지역별 건강수명과 관련요인

        한소현(So-Hyun Han),이성국(Sung-Kook Lee) 한국인구학회 2012 한국인구학 Vol.35 No.2

        연구 결과 우리나라 65세 전체 인구집단 중에 기대여명은 2005년도 18.15세, 2010년도 19.75세, 건강수명은 2005년도 11.41세, 2010년도 11.64세로 증가하였다. 우리나라 65세 남자의 기대여명은 2005년도 15.80세, 2010년도 17.28세, 건강수명은 2005년도, 2010년도 각각 10.78세, 11.64세로 증가하였다. 65세 여자의 전국 기대여명은 2005년도 19.90세, 2010년 21.62세로 1.72세 정도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건강수명은 기대여명과 달리 2005년도 11.88세, 2010년도에는 11.73세로 약간 감소하였다. 지역별로 65세 전체 기대여명이 제일 높은 지역은 모두 제주특별자치도이며, 건강수명이 제일 높은 지역은 서울특별시에서 제일 높았다. 지역별 65세 남자의 기대여명과 건강수명은 모두 서울특별시가 가장 높았다. 건강비율은 2005년 서울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010년 충청남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65세 여자의 지역별 기대여명은 2005년도와 2010년도 모두 제주특별자치도가 제일 높았으며, 건강수명이 가장 높은 지역은 2005년도에는 서울특별시, 2010년도에는 충청남도로 나타났다. 65세 여자의 지역별 건강비율은 2005년도 서울특별시, 2010년도 충청남도가 가장 높았다. 상관분석 결과 65세의 건강수명은 기대여명과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과 평균기온, 인구천명당 병상수, 악성신생물 및 순환기계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낮은 지역일수록 건강수명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기대수명과 건강수명의 산출 및 비교는 그 지역의 보건 수준을 파악할 수 있고, 각 지역 사정에 맞춘 건강증진 목표설정 및 관련 정책마련의 지표로서 이용하는데 부족함이 없을 것이며, 이러한 지역별 기대수명 및 건강수명의 지역별 형평성 연구에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앞으로도 지속적인 산출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calculate the gender-based Life Expectancy and Disability Free Life Expectancy of 65-year-olds in accordance with the regions of 16 in Korea based on the years 2005 and 2010 by using the Sullivan method. We used the Census in 2005, 2010,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10% sample). We also reviewed examining the changes in LE and DFLE and understanding the relevance between the DFLE of 65-year-olds of the year 2010 and related factor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the LE of the group of all 65-year-old in Korea increased from 18.15 years in 2005 to 19.75 years in 2010 and DFLE increased from 11.41 years in 2005 to 11.64 years in 2010. Regionally, the highest LE for total of 65-year-olds was found to be the entire Jeju area and DFLE was the highest in the city of Seoul. And the highest LE and the highest DFLE for 65-year-old male were found to be in the city of Seoul. Regarding the regional LE of 65-year-old female, both in 2005 and 2010 Jeju area was seen to be the highest. The results of a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DFLE of 65-year-olds in 2010 was found to be increasing with high LE and high population density and in regions with low average temperatures, low number of beds and low age standardized death rates of malignant neoplasms and circulatory disease.

      • KCI등재

        국민건강보험 표본코호트DB를 이용한 한국인의 건강기대수명 연구

        권태연,임자영,박유성,Kwon, Tae Yeon,Lim, Ja Young,Park, Yousung 한국통계학회 2017 응용통계연구 Vol.30 No.3

        국민 건강의 향상 및 복지의 선진화를 위해 객관적이고 정확한 건강기대수명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건강기대수명은 삶의 질을 평가하는 주요한 지표이기 때문에 기대수명 및 건강기대수명에 근거한 사회계층간의 삶의 질의 불평등에 대한 논의는 이미 여러 해외연구에서 계속되어 왔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유병률과 사망률에서 모집단에 대한 대표성을 갖고 있는 표본코호트DB를 통해 건강기대수명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건강기대수명의 산출을 위해 Sullivan (1971)의 단일상태 접근법을 이용하였다. 이때, 사망률과 유병률이 관측되지 않은 연령대의 경우에는 Greville (1945)의 9-order correction factor 방법과 Brass (1971)의 Brass-logit 모형을 통하여 보정하여 주었다. 그 결과 2013년 기준 한국여성의 기대수명은 87세, 남성은 80세 였으나 여성의 경우는 60년, 남성은 61년 동안만 질병이 없는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2003년부터 2013년까지 한국인의 특정 질병으로부터의 건강한 삶의 영위기간을 성별, 소득수준별, 건강보험가입 구분별로 산출하였다. 그 결과 건강기대수명 측면에서 한국의 성별, 소득수준별, 건강보험 가입 구분별 삶의 질의 불평등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estimates the health life expectancies for Korean people based on a sample cohort database collected through objective measurements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Health life expectancy is estimated using the single-state approach of Sullivan (1971). The 9-order correction factor method of Greville (1945) and Brass-logit model of Brass (1971) are also adopted for unobserved or incompletely observed age-specific morbidity and mortality. Based on the mortality and morbidity estimated from sample cohort DB, men and women in Korea are expected to live a 'healthy life' for 61 and 60 years in 2013, respectively, whereas life expectancies of men and women are 80 and 87, respectively. We also estimate certain disease-free life expectancies for each of genders, income levels, and types of insurance from 2003 to 2013 in Korea. We found that there exists an inequality of healthy life expectancy in Korea for different genders, income levels, and types of insurance.

      • KCI등재

        한국 노인의 사회활동이 건강수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생존분석 :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 13년간 분석

        양승민(Seungmin Yang),최재성(Jae-Sung Choi)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성별에 따른 사회활동 유형별 참여가 건강수명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의 1차(2006년)에서 7차(2018년)까지의 13년간 데이터 중 65세 이상 노인 4,029명(남성노인=1,710명, 여성노인=2,319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생존분석의 하나인 Cox 비례해저드모형(Cox proportional hazard model)으로 분석을 시도했다. 분석결과 첫째, 여성노인의 건강수명은 75.34세, 남성노인의 건강수명은 76.94세로 나타났다. 여성노인은 남성노인에 비하여 질병 및 장애의 발생 강도와 발생 비율이 더 컸고, 질병 및 장애가 발생한 노인의 비율도 더 높았다. 둘째,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의 건강수명에 공통적인 영향요인은 연령, 만성질환 수와 주관적 건강상태로 나타났다. 학력은 남성노인의 건강수명에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거주지역, 과거 음주 경험, 삶의 만족도는 여성노인의 건강수명에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건강수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활동 유형은 남성노인의 경우 종교활동과 연고집단활동, 여성노인의 경우 종교활동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인의 건강수명에 대한 사회적 활동 유형의 효과가 성별에 따라 다르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한, 건강수명 단축의 위험은 남성노인보다 여성노인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건강수명 연장을 위하여 성별 특성을 고려한 사회활동 참여의 기회 확대와 유형별 참여의 행태나 질에 대한 고려, 그리고 남녀 간 건강격차를 감소시키기 위한 정책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activities on healthy life expectancy (HLE) by gender difference. HLE implies an estimate of how long an individual can expect to live in full health or without disease and/or disability. Morbidity, mortality, and functional health status usually have been known as key variables. Many researchers have tried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HLE in countries level by performing comparative analyses. In micro level, there have been some studies about social factors affecting HLE in individual level. However, few studies are found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LE and social activities. This study anlayzes 4,029 over 65 years of age from the first wave (2006) to the seventh wave (2018)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which is a national panel data collect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data has been collected as a part of social and economic policies planning for Korean government. HLE was measured by life period without disease or disability. One of findings is that male older adults (76.9 yrs) show higher HLE in comparing to female group (75.3 yrs). Female group appeared to be more likely to have higher incidence rate and disorders. Another finding indicates that age, number of chronic disease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ffect HLE of both groups. Finally, regarding social activities, religion affiliated activities appear to significantly affect HLE of both groups. In case of male older adults, alumni or hometown gathering also appeared another activities affecting HLE.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effect of social activities types on HLE among older adults appears differently by gender. Further, unlikely of longer life expectancy among female older adults as known, HLE shows a reverse estimate, longer healthy life expectancy among male older adults. This finding may imply that later life of female older adults shows lower quality of life in comparing to that of male group, even if female life expectancy has been higher. This study encourages to develop more social activity programs for older adults in community level. Specifically, more attention is required to planning for programs targeting female older adults.

      • KCI등재

        혼인상태별 수명 관련지표의 차이에 관한 연구

        천성수 대한보건협회 1999 대한보건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혼인상태별 기대여명 관련지표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구체적으로는 혼인상태별 생명표를 작성하여 평균수명을 비교하고, 또한 건강여명 빛 상병여명을 측정하여 혼인상태별 건강 및 사망의 수준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1995년도 인구센서스자료 및 인구동태신고자료, 통계청의 사망신고 원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국민건강 및 보건의식행태조사자료' 등을 활용하였다. 혼인생명표의 작성을 위해 Greville's method를 적용하였으며, W. Brass의 logit system을 활용하여 보정하였다. 또한 상병여명 및 건강여명을 측정하기 위해 Sullivan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용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균수명에 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자의 경우 유배우자의 평균수명은 74.84년, 미혼자 65.19년 이혼자 64.56년, 사별자 57.95년의 순이었다. 이자의 경우는 유배우자 78.79년, 이혼자 70.97년, 미혼자 69.32년, 사별자 54.10년의 순이었다. 둘째, 건강수명에 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자의 경우 유배우자 49.02년, 미혼자 45.48년, 이혼자 45.67년, 사별자 41.79년의 순이며, 여자는 미혼자 44.94년, 유배우자 44.30년, 이혼자 39.99년, 사별자 37.22년의 순이었다. 셋째, 상병여명에 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자의 경우 유배우자 25.82년, 미혼자 19.71년, 이혼자 18.89년, 사별자 16.16년의 순이며, 자자는 유배우자 34.49년, 이혼자 30.98년, 미혼자 24.38년, 사별자 16.88년의 ㅇ순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다음과 같은 중요한 결론을 유도할 수 있다. 첫째, 남녀 모두 유배우자가 가장 건강하며, 가장 긴 기대여명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남녀 모두 사별자의 건강 수준이 가장 낮으며, 사망수준이 가장 높다. 셋째, 남녀 모두 미혼자와 이혼자의 경우 젊은 연령에서는 건강상태가 양호하나, 50대 이후 노년기에서는 건강상태가 상대적으로 급속히 악화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indices of the life expectancy by marital status. Data used in the life table of the marital status are the '1995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of Republic of Korea' and the 'Annual Report on the Vital Statistics in 1995'. And the '1995 National Health Survey' conducted by Korean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is utilized to produce the health life expectancy and the morbidity life expectancy. The major findings may be summaised as fellows: 1. The findings of the life span by marital status are fellows: (1) Incase of male, the order of the life spans in 74.84 years for the married, 65.19 years for the single, 64.56 years for the divorced, and 57.95 years for the widowed. (2) In case of female, the order of the life spans is 78.79 years for the married, 70.97 years for the divorced, 69.32 years for the single, and 54.10 years for the widowed. 2. The findings of the health life expectancy by marital status are as fellows: (1) In case of male, the order of life expectancy is the married(49.02 years), the single(45.48 years), the divorced(45.67 years), and the widowed(41.79 years). (2) In case of female, the order of life expectancy is the single(44.94 years). The married(44.30 years). the divorced(39.99 years), and the widowed(37.22 years). 3. The findings of the morbidity life expectancy are as fellows: (1) In case of the male, the morbidity life expectancies by the marital status are 25.82 years for the married, 19.71 years (2) In case of the female, the morbidity life expectancies by the marital status are 34.49 years for the married, 30.98 years for the divorced, 24.38 years for the single, and 16.88 years for the widowed.

      • KCI등재

        한국 가계의 은퇴준비도 측정

        최현자(Hyuncha Choe),김민정(Minjung Kim),나혜림(Hyerim Na),심현정(Hyeon Jeong Sim),한지형(Jihyung Han),최홍철(Hong Cheol Choi) 한국FP학회 2017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0 No.1

        본 연구는 한국 가계의 전반적인 은퇴준비도를 행복의 관점에서 접근함으로써 평균수명의 증가에 따른 삶의 질적 수준을 계량화하는 은퇴준비도 측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한국 가계의 행복수명을 실증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모형을 검증하고 부족한 부분의 점검을 위하여 선행연구 고찰과 지표개발에 관한 전문가조사 및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활동수명, 관계수명, 건강수명, 경제수명으로 각각 명명한 행복수명 지표의 네 가지 하위영역과 문항을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정교화 하였다. 측정도구 구성에는 목표와 계획, 실행 정도의 합으로 각 영역별 행복점수를 측정하는 SPA 모델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행복수명의 평균은 평균 74.9세로 기대수명보다 평균 8.2세 더 낮고, 93%에 이르는 대다수 응답자의 행복수명이 기대수명보다 짧아 전 생존 기간 동안 행복한 삶을 이어나가는 것이 어려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재무적 은퇴 준비에 있어서 남성의 활동수명과 관계수명, 건강수명이 여성보다 평균 3세~6.5세 낮았다. 남성의 은퇴 이후 시간활용, 가족관계와 대인관계 유지 노력이 필요하며 건강관련 행동 및 습관교정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재무적 은퇴 준비를 나타내는 경제수명은 최근 3년간의 물가상승률과 금리로 추정한 결과 평균 74.8세로, 평균 8.3년의 기간을 경제적 준비없이 보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측정한 행복수명 지표는 효율적인 방법으로 재무적, 비재무적 은퇴준비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경제수명에서 물가상승률과 금리 및 위험관리와 보험에 대한 고려까지 포함한 포괄적인 지표로 구성되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특히 은퇴기에 지출이 크게 증가하는 중증질환 치료비와 장기간병비를 별도의 항목으로 측정하여 은퇴필요자금에 반영하였으며, 경제적 준비의 일환으로 보험으로부터의 비용 충당 정도를 함께 고려하였다. This study suggests a qualitative measure of the retirement readiness according to the life expectancy in terms of the happy life expectancy. The model was verified by empirically measuring the happiness life span of Korean households. In order to check the deficiencies, we conducted preliminary research, expert research, and preliminary research. Four sub-domains were named and elaborated, viz. activity life, relationship life, health life, and economic life. We used the SPA model to measure the happiness index of each area by summing its levels of satisfaction, planning and 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happiness life span is 74.9 years, which is 8.2 years lower than the average life expectancy. The happiness life span of 93% of the respondents is shorter than their life expectancy. Second, in terms of the non-financial retirement preparation, the relationship, activity, and healthy life span expectancy of the males are 3 ~ 6.5 years lower than those of the females. Third, the economic life expectancy for financial retirement was 74.8 years, with an average life expectancy of 8.3 years without economic preparation. The happy life index is a comprehensive index composed of the financial and non-financialretirement readiness measured in an efficient manner, including economic growth, interest rates, risk management and consideration of insurance. Especially, the medical expenses for severe illness and long - term care costs were measured separately from the retirement funds, and the cost of insurance was considered as part of the economic preparation.

      • KCI등재

        자가 응답식 자료에 근거한 유병률 및 건강기대수명 연구의 신뢰도 분석: 건강보험 표본코호트 DB와의 비교

        권태연,박유성,Kwon, Tae Yeon,Park, Yousung 한국통계학회 2016 응용통계연구 Vol.29 No.7

        한국 의료패널 데이터와 국민건강 영양조사는 추출된 표본의 자가 진단에 따른 건강상태(self-assessed health)와 그들의 의료기관 이용에 대한 자가응답식 자료(self-reported data)이다. 이러한 자료에 근거한 유병률 연구 및 그에 따른 건강기대수명 연구에 관하여 유병률의 신뢰도에 대한 검증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주장은 이미 여러 연구에서 제기되었다. 반면 최근 공개된 건강보험공단의 표본코호트 DB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의료기관 이용에 관련된 모든 자료가 저장된 자료인 국민건강정보 DB로부터 추출된 객관적인 자료이다. 또한 추정된 질병별 유병률에 대하여 그 대표성 및 신뢰도가 확보되어 있음이 검증된 자료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국민의 유병률에 대한 대표성 및 신뢰도가 확보되어 있는 표본코호트 DB와의 비교를 통하여 이들 응답식 데이터에서 도출된 유병률의 신뢰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자가응답식 자료를 통한 유병률은 표본코호트 DB를 통한 유병률에 비교하여 보았을 때 과소추정되어 있고 이러한 과소추정은 건강기대수명의 과대추정 문제로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표본코호트 DB를 제외한 우리나라 건강자료의 안정적이지 못한 표본의 문제는 추정된 건강기대수명의 트렌드를 왜곡하는 문제가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Korea Health Panel (KHP) data an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data are collected by self-assess and self-report for individual's health status and medical use. Previous studies have claimed that the reliability for prevalence rates and health life expectancies obtained from these data should be validated.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s in Korea recently released a sample cohort DB that contain all data related to the use of medical facilities for all entire Korea citizens. It has been shown that disease-specific prevalence rates calculated from these data are representative and reliable for the entire population. In this paper, we evaluate the reliability of prevalence rates derived from self-reported data such as KHP and KNHANES by comparing to the prevalence rates from the sample cohort DB. We found that both KHP and KNHANES underestimate prevalence rates and in turn overestimate health life expectancies. Moreover, the general trends of health life expectancies might be distorted (except for the sample cohort DB) because of sampling and non-sampling errors.

      • KCI등재

        장애인의 기대여명과 건강수명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김정애,황지원,최용준,최경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2 保健社會硏究 Vol.42 No.2

        This study aimed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literature estimating the life expectancy and healthy life expectancy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identify gaps compared to the non-disability persons in health. Twelve articles were selected after reviewing papers (Published for Jan. 01. 2000-Mar. 31. 2021) searching for Korean studies on Google Scholar, RISS, National Assembly Digital Library, and literature in English on the Web of Science and PubMed. Among the articles, four included persons with all kinds of disabilities, eight included those defined as disabled persons and then compared with the non-disability persons or the general population, and five assessed among the disabilities by the severity. Persons with disabilities had a shorter life expectancy and healthy life expectancy than those without disabilities or the general population;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had a shorter life expectancy than those with mild disabilities; gaps for healthy life expectancy were bigger than those in life expectancy. Further, it is necessary to delineate the differences in life expectancy and healthy life expectancy between person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severity and type of disability and sociodemographic levels such as sex, educational attainment, income, and occupation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that reduces the current gap, and the life expectancy and healthy life expectancy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regularly estimated to monitor the effect of healthcare policies.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기대여명과 건강수명 산출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비장애인 대비 장애인의 건강격차 정도를 검토하는 것이다. 국문문헌은 구글학술검색,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그리고 국회전자도서관, 영문문헌은 Web of Science와 PubMed에서 검색한 문헌(2000년 1월 1일~2021년 3월 31일 출판)을 검토하여 12편을 최종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문헌 중 장애인만을 대상으로 산출한 연구는 4편, 일반인구 집단 중 장애인을 정의하여 장애인과 비장애인 또는 장애인과 일반인구 집단과 비교한 연구가 8편이었으며, 장애중증도별로 비교한 연구는 5편이었다. 장애인은 비장애인 및 일반인구 집단에 비해, 중증장애인은 경증장애인에 비해 더 낮은 기대여명과 건강수명을 보였으며, 기대여명보다 건강수명의 격차가 더 크게 나타났다. 향후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 장애 중증도 및 유형에 따라, 장애인의 성별ㆍ학력ㆍ소득 및 직업군 등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라 기대여명과 건강수명의 차이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건강 격차감소 정책을 수립해야 하며, 정책 효과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장애인의 기대여명과 건강수명을 지속적으로 산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의료비지출과 수명/건강의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김영덕,한현옥 한국자료분석학회 201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0 No.2

        We exploit regional panel data with 15 regions to analyse empirically how medical expense affects health and life span. Mortality rate is used as life span variable and the height of high school students is used as health variable. Since it is observed that medical expenses are nonlinearly associated with mortality rate,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expenses and mortality rate is taken into account in estimating the effect of medical expenses on mortality rate. We find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expense and mortality rate and the elasticity of mortality rate with respect to medical expense is estimated to be -0.06~-0.15. It shows that medical expense has contributed to reducing mortality 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expense and the height of high school students is estimated to be significantly positive but with some lags (8-10years). This result holds for both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Empirical results show that medical expense has a positive impact on both physical health and life span but its positive impact on health occurs with some lags. 의료비지출이 수명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지역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수명을 대표하는 변수로 사망률을 사용하였으며, 건강을 대표하는 변수로는 고등학교 남녀 학생의 신장 자료를 이용하였다. 의료비지출이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은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그 반응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으므로 의료비지출과 사망률 간에 비선형적인 관계를 추정식에 고려하였다. 의료비지출과 사망률의 관계는 유의적인 음(-)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의료비지출에 대한 사망률 탄력성은 –0.06 ~ -0.15 정도로 추정되었다. 의료비지출은 사망률 감소에 기여하였음을 밝히고 있다. 의료비지출과 청소년 건강의 관계도 상당한 시차를 거쳐 영향이 있으므로 이를 추정식에 고려하여 추정하였다. 의료비지출과 고등학생의 키의 관계에서 보면 상당한 시차(8~10년)를 가지고 유의적인 양(+)의 관계가 추정되었다. 이는 남녀 고등학생 모두에서 공히 나타나는 결과이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는 의료비지출이 신체적 건강이나 수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의미하며, 건강에 대한 의료비지출의 영향은 상당한 시차를 가지고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노화의 개념

        전진숙(Jin Sook Cheon)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7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3 No.2

        2005년도 한국인의 평균수명은 여성 85.5세, 남성 75.1세, 전체 78.5세로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치에 육박하고 있다. 수명 연장과 더불어 노인병도 증가일로에 있으며, 따라서 장애와 기능적 의존 없이 건강한 노화를 맞는 것은 우리 모두의 바람이자 이상이라고 볼 수 있다. 노인환자와 늙어가는 우리 정신과의사 모두를 위해서 어떻게 하면 성공적 노화를 맞이할 수 있을지 그 해답을 찾아보기 위해서 노화의 정의, 기전에 관한 여러 이론과 근거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를 통해서 건강한 노화의 유지를 위해 필수적인 것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1990년부터 2007년 현재까지 노화기전, 노화개념, 성공적 노화, 수명 등의 단어가 포함된 발표논문을 인터넷으로 검색하여 문헌고찰을 하였다. 1. 노화의 정의 생물학적 노화란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생식력이 감퇴되고 사망률은 증가되는 진행성의 기능상실로 정의된다. WHO는 건강한 노화는 질병과 장애에서 벗어나야함을 강조하였다. 2. 노화의 기전 분자설, 세포설, 계통설, 진화론, 분자염증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노화 이론이 제시되었다. 3. 노화에 관한 최신지견 여러 개체에서 공통적인 노화의 기전으로서는 산화손상,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의 합성, insulin-IGF 축의 변화, 에너지 균형의 변화가 제시되고 있다. 최근에는 효모, 윤충, 초파리, 쥐에서 칼로리 제한과 연관된 유전자 경로가 수명의 조절에 관여함을 보여주는 실험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인간의 조로증에 관계되는 유전자 이상의 규명, telomere 단축, 장수유전자의 관련성 규명 등도 노화의 이론에 대한 근거들을 제공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노화는 유전자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지배받도록 예정된 과정이 아니다. 인간의 노화과정을 이해함에 있어서 현격한 진전은 보지 못했다. 현재까지, 인간의 노화과정을 지연시킬 수 있는 방법은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노화에 관한 기초 연구에 더 많은 관심이 요구된다. 노화에 관한 연구목표는 결과와는 무관하게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두어서는 안 되며, 장애와 기능적 의존성으로 부터 자유로운‘건강수명(active longevity)’을 증진시키는데 두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In 2005, the average life expectancy of Koreans reached 78.5 years(males 75.1 years, females 85.5 years), which was near to the mean value of all OECD countries. With expanding life span, age-related diseases are also increasing. Therefore, having active ageing without disability and functional dependence seems to be our hope and ideal. This article is tried to look for a proper answer how we ageing psychiatrists as well as our aged patients get into a path to a successful ageing. Through comprehensive review of many theories and clues about definition of ageing and causes and mechanism, what is essential for the maintenance of healthy ageing may be suggested. Methods:Articles and documents published from 1990 through 2007, containing words like ageing mechanism, ageing concept, successful ageing and longevity were searched via internet and reviewed. Results:1) Definition of ageing : biological ageing can be defined as the progressive loss of function to decrease fertility and to increase mortality,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age. The WHO insisted active ageing must be devoid of disease and disability. 2) Mechanism of ageing : Various mechanism of ageing such as molecular, cellular, system, evolutionary and molecular inflammatory theories were reported. 3) Update issues on ageing : As the universal ageing mechanism, theories including oxidative damage, synthesis of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change of insulin-IGF axis, and change of energy balance were suggested. At present, results of animal experiments showed that genetic pathways related to the calorie restriction in the yeasts, nematodes, fruit flies and mice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control of life span. Otherwise, the theories of ageing can be supported by such clues as the identification of gene abnormality in relation with human progeria, telomere shortening and search for the longevity genes. Conclusion:Ageing is not a preprogrammed process to be directly governed by genes. Prominent progress to understand ageing is not achieved. Until now, there is no way found to delay ageing process in human. Therefore, further interest is needed to do basic research on the ageing. The target for the study on the ageing should not to postpone human life span despite of results, but to promote ‘active longevity’ free from disability and functional dependence.

      • KCI등재후보

        인구고령화와 의료비

        정형선 ( Hyoung Sun Jeong ),송양민 ( Yang Min Song ),이규식 ( Kyu Sik Lee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구 한국보건경제학회) 2007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13 No.1

        사망률의 하락과 평균수명의 증가에 힘입어 대부분의 OECD 국가들에서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또한 2차 세계대전 후(한국은 한국전쟁 후)에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는 은퇴를 시작했거나 대규모 은퇴를 앞두고 있다. 이러한 베이비붐 세대가 노인 그룹에 본격적으로 합류하기 시작하면 앞으로 국민의료비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OECD 및 WHO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횡단국가적 수준에서 ``건강한 고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의료비는 ``나이의 함수(a function of age)``이라기보다는 ``사망에 이르는 시간의 함수(a function of proximity to death)``라는 사실을 확인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의료비 결정요인으로서의 인구를 분석함에 있어 인구구조(age composition)의 변화에 대한 분석만으로는 충분치 못하며, 반드시 국민들의 ``건강상태 변화``와 ``사망관련 비용``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크게 두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장래의 국민의료비를 추계할 때는 ``건강한 고령화``와 ``사망관련 비용`` 요인을 적극 반영해야 한다는 점이다. 기존의 추계방식처럼 늘어난 노인 숫자에 노인인구 1인당의료비를 곱해 노인 의료비를 계산하는 것은 의료비를 과대 추정(over-estimation)할 가능성이 있다. 둘째, 건강증진사업 등 건강투자를 늘려 ``건강한 고령화``를 통해 노인들의 장애 발생 시기를 뒤로 늦출 수 있다면 의료비의 증가를 억제 할 수 있다는 점이다. The elderly population in most OECD countries is rapidly growing because of declining death rates and increasing life expectancy. Population aging has caused concerns about the burden of health care expenditures. Future health care expenditures are, particularly, expected to soar as the baby boom generation is going to retire in the near future. There has been a wide belief that there is a mechanistic relationship between the population aging and the rapid growth of national health spending. However, many domestic studies on both healthy aging and death-related costs have shown some reservations to such a belief. This study based on cross-country comparison shows the possibility of a decline of disability in developed countries, compared with the increased life expectancy(healthy ageing hypothesis). This study also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health expenditure was weak and possibly inverse once proximity to death was controlled for. Death ratio was more important as a determinant of health costs than age itself(death-related cost hypothe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st two suggestions among others. Firstly, simple projections based on age-specific health expenditure will be misleading. Healthy aging and death-related cost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projections of future health care costs to avoid overestimation. The longer life expectancy of baby-boom generation may not bring as great an increased burden for the health care costs as many fear. Secondly, if we can postpone the time of death to higher ages through healthy aging, we can put a brake on the health care costs for the elderly. Health promotion and investment for health, therefore, would contribute not only to the health of population but also to mitigation of the cost increase for health c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