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지역별 건강수명과 관련요인

        한소현(So-Hyun Han),이성국(Sung-Kook Lee) 한국인구학회 2012 한국인구학 Vol.35 No.2

        연구 결과 우리나라 65세 전체 인구집단 중에 기대여명은 2005년도 18.15세, 2010년도 19.75세, 건강수명은 2005년도 11.41세, 2010년도 11.64세로 증가하였다. 우리나라 65세 남자의 기대여명은 2005년도 15.80세, 2010년도 17.28세, 건강수명은 2005년도, 2010년도 각각 10.78세, 11.64세로 증가하였다. 65세 여자의 전국 기대여명은 2005년도 19.90세, 2010년 21.62세로 1.72세 정도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건강수명은 기대여명과 달리 2005년도 11.88세, 2010년도에는 11.73세로 약간 감소하였다. 지역별로 65세 전체 기대여명이 제일 높은 지역은 모두 제주특별자치도이며, 건강수명이 제일 높은 지역은 서울특별시에서 제일 높았다. 지역별 65세 남자의 기대여명과 건강수명은 모두 서울특별시가 가장 높았다. 건강비율은 2005년 서울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010년 충청남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65세 여자의 지역별 기대여명은 2005년도와 2010년도 모두 제주특별자치도가 제일 높았으며, 건강수명이 가장 높은 지역은 2005년도에는 서울특별시, 2010년도에는 충청남도로 나타났다. 65세 여자의 지역별 건강비율은 2005년도 서울특별시, 2010년도 충청남도가 가장 높았다. 상관분석 결과 65세의 건강수명은 기대여명과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과 평균기온, 인구천명당 병상수, 악성신생물 및 순환기계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낮은 지역일수록 건강수명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기대수명과 건강수명의 산출 및 비교는 그 지역의 보건 수준을 파악할 수 있고, 각 지역 사정에 맞춘 건강증진 목표설정 및 관련 정책마련의 지표로서 이용하는데 부족함이 없을 것이며, 이러한 지역별 기대수명 및 건강수명의 지역별 형평성 연구에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앞으로도 지속적인 산출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calculate the gender-based Life Expectancy and Disability Free Life Expectancy of 65-year-olds in accordance with the regions of 16 in Korea based on the years 2005 and 2010 by using the Sullivan method. We used the Census in 2005, 2010,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10% sample). We also reviewed examining the changes in LE and DFLE and understanding the relevance between the DFLE of 65-year-olds of the year 2010 and related factor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the LE of the group of all 65-year-old in Korea increased from 18.15 years in 2005 to 19.75 years in 2010 and DFLE increased from 11.41 years in 2005 to 11.64 years in 2010. Regionally, the highest LE for total of 65-year-olds was found to be the entire Jeju area and DFLE was the highest in the city of Seoul. And the highest LE and the highest DFLE for 65-year-old male were found to be in the city of Seoul. Regarding the regional LE of 65-year-old female, both in 2005 and 2010 Jeju area was seen to be the highest. The results of a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DFLE of 65-year-olds in 2010 was found to be increasing with high LE and high population density and in regions with low average temperatures, low number of beds and low age standardized death rates of malignant neoplasms and circulatory disease.

      • KCI등재

        한국 노인의 사회활동이 건강수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생존분석: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 13년간 분석

        양승민,최재성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activities on healthy life expectancy (HLE) by gender difference. HLE implies an estimate of how long an individual can expect to live in full health or without disease and/or disability. Morbidity, mortality, and functional health status usually have been known as key variables. Many researchers have tried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HLE in countries level by performing comparative analyses. In micro level, there have been some studies about social factors affecting HLE in individual level. However, few studies are found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LE and social activities. This study anlayzes 4,029 over 65 years of age from the first wave (2006) to the seventh wave (2018)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which is a national panel data collect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data has been collected as a part of social and economic policies planning for Korean government. HLE was measured by life period without disease or disability. One of findings is that male older adults (76.9 yrs) show higher HLE in comparing to female group (75.3 yrs). Female group appeared to be more likely to have higher incidence rate and disorders. Another finding indicates that age, number of chronic disease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ffect HLE of both groups. Finally, regarding social activities, religion affiliated activities appear to significantly affect HLE of both groups. In case of male older adults, alumni or hometown gathering also appeared another activities affecting HLE.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effect of social activities types on HLE among older adults appears differently by gender. Further, unlikely of longer life expectancy among female older adults as known, HLE shows a reverse estimate, longer healthy life expectancy among male older adults. This finding may imply that later life of female older adults shows lower quality of life in comparing to that of male group, even if female life expectancy has been higher. This study encourages to develop more social activity programs for older adults in community level. Specifically, more attention is required to planning for programs targeting female older adults.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성별에 따른 사회활동 유형별 참여가 건강수명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의 1차(2006년)에서 7차(2018년)까지의 13년간 데이터 중 65세 이상 노인 4,029명(남성노인=1,710명, 여성노인=2,319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생존분석의 하나인 Cox 비례해저드모형(Cox proportional hazard model)으로 분석을 시도했다. 분석결과 첫째, 여성노인의 건강수명은 75.34세, 남성노인의 건강수명은 76.94세로 나타났다. 여성노인은 남성노인에 비하여 질병 및 장애의 발생 강도와 발생 비율이 더 컸고, 질병 및 장애가 발생한 노인의 비율도 더 높았다. 둘째,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의 건강수명에 공통적인 영향요인은 연령, 만성질환 수와 주관적 건강상태로 나타났다. 학력은 남성노인의 건강수명에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거주지역, 과거 음주 경험, 삶의 만족도는 여성노인의 건강수명에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건강수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활동 유형은 남성노인의 경우 종교활동과 연고집단활동, 여성노인의 경우 종교활동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인의 건강수명에 대한 사회적 활동 유형의 효과가 성별에 따라 다르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한, 건강수명 단축의 위험은 남성노인보다 여성노인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건강수명 연장을 위하여 성별 특성을 고려한 사회활동 참여의 기회 확대와 유형별 참여의 행태나 질에 대한 고려, 그리고 남녀 간 건강격차를 감소시키기 위한 정책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 가계의 은퇴준비도 측정

        최현자(Hyuncha Choe),김민정(Minjung Kim),나혜림(Hyerim Na),심현정(Hyeon Jeong Sim),한지형(Jihyung Han),최홍철(Hong Cheol Choi) 한국FP학회 2017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0 No.1

        본 연구는 한국 가계의 전반적인 은퇴준비도를 행복의 관점에서 접근함으로써 평균수명의 증가에 따른 삶의 질적 수준을 계량화하는 은퇴준비도 측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한국 가계의 행복수명을 실증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모형을 검증하고 부족한 부분의 점검을 위하여 선행연구 고찰과 지표개발에 관한 전문가조사 및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활동수명, 관계수명, 건강수명, 경제수명으로 각각 명명한 행복수명 지표의 네 가지 하위영역과 문항을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정교화 하였다. 측정도구 구성에는 목표와 계획, 실행 정도의 합으로 각 영역별 행복점수를 측정하는 SPA 모델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행복수명의 평균은 평균 74.9세로 기대수명보다 평균 8.2세 더 낮고, 93%에 이르는 대다수 응답자의 행복수명이 기대수명보다 짧아 전 생존 기간 동안 행복한 삶을 이어나가는 것이 어려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재무적 은퇴 준비에 있어서 남성의 활동수명과 관계수명, 건강수명이 여성보다 평균 3세~6.5세 낮았다. 남성의 은퇴 이후 시간활용, 가족관계와 대인관계 유지 노력이 필요하며 건강관련 행동 및 습관교정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재무적 은퇴 준비를 나타내는 경제수명은 최근 3년간의 물가상승률과 금리로 추정한 결과 평균 74.8세로, 평균 8.3년의 기간을 경제적 준비없이 보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측정한 행복수명 지표는 효율적인 방법으로 재무적, 비재무적 은퇴준비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경제수명에서 물가상승률과 금리 및 위험관리와 보험에 대한 고려까지 포함한 포괄적인 지표로 구성되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특히 은퇴기에 지출이 크게 증가하는 중증질환 치료비와 장기간병비를 별도의 항목으로 측정하여 은퇴필요자금에 반영하였으며, 경제적 준비의 일환으로 보험으로부터의 비용 충당 정도를 함께 고려하였다. This study suggests a qualitative measure of the retirement readiness according to the life expectancy in terms of the happy life expectancy. The model was verified by empirically measuring the happiness life span of Korean households. In order to check the deficiencies, we conducted preliminary research, expert research, and preliminary research. Four sub-domains were named and elaborated, viz. activity life, relationship life, health life, and economic life. We used the SPA model to measure the happiness index of each area by summing its levels of satisfaction, planning and 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happiness life span is 74.9 years, which is 8.2 years lower than the average life expectancy. The happiness life span of 93% of the respondents is shorter than their life expectancy. Second, in terms of the non-financial retirement preparation, the relationship, activity, and healthy life span expectancy of the males are 3 ~ 6.5 years lower than those of the females. Third, the economic life expectancy for financial retirement was 74.8 years, with an average life expectancy of 8.3 years without economic preparation. The happy life index is a comprehensive index composed of the financial and non-financialretirement readiness measured in an efficient manner, including economic growth, interest rates, risk management and consideration of insurance. Especially, the medical expenses for severe illness and long - term care costs were measured separately from the retirement funds, and the cost of insurance was considered as part of the economic preparation.

      • KCI등재

        장애인의 기대여명과 건강수명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김정애,황지원,최용준,최경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2 保健社會硏究 Vol.42 No.2

        This study aimed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literature estimating the life expectancy and healthy life expectancy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identify gaps compared to the non-disability persons in health. Twelve articles were selected after reviewing papers (Published for Jan. 01. 2000-Mar. 31. 2021) searching for Korean studies on Google Scholar, RISS, National Assembly Digital Library, and literature in English on the Web of Science and PubMed. Among the articles, four included persons with all kinds of disabilities, eight included those defined as disabled persons and then compared with the non-disability persons or the general population, and five assessed among the disabilities by the severity. Persons with disabilities had a shorter life expectancy and healthy life expectancy than those without disabilities or the general population;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had a shorter life expectancy than those with mild disabilities; gaps for healthy life expectancy were bigger than those in life expectancy. Further, it is necessary to delineate the differences in life expectancy and healthy life expectancy between person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severity and type of disability and sociodemographic levels such as sex, educational attainment, income, and occupation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that reduces the current gap, and the life expectancy and healthy life expectancy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regularly estimated to monitor the effect of healthcare policies.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기대여명과 건강수명 산출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비장애인 대비 장애인의 건강격차 정도를 검토하는 것이다. 국문문헌은 구글학술검색,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그리고 국회전자도서관, 영문문헌은 Web of Science와 PubMed에서 검색한 문헌(2000년 1월 1일~2021년 3월 31일 출판)을 검토하여 12편을 최종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문헌 중 장애인만을 대상으로 산출한 연구는 4편, 일반인구 집단 중 장애인을 정의하여 장애인과 비장애인 또는 장애인과 일반인구 집단과 비교한 연구가 8편이었으며, 장애중증도별로 비교한 연구는 5편이었다. 장애인은 비장애인 및 일반인구 집단에 비해, 중증장애인은 경증장애인에 비해 더 낮은 기대여명과 건강수명을 보였으며, 기대여명보다 건강수명의 격차가 더 크게 나타났다. 향후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 장애 중증도 및 유형에 따라, 장애인의 성별ㆍ학력ㆍ소득 및 직업군 등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라 기대여명과 건강수명의 차이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건강 격차감소 정책을 수립해야 하며, 정책 효과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장애인의 기대여명과 건강수명을 지속적으로 산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우수등재

        운동하는 독거노인을 들여보다: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를 통해 본 규칙적인 신체활동과 건강수명에 대한 기대

        김소미,황수영,이은석 한국체육학회 2025 한국체육학회지 Vol.64 No.1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규칙적인 신체활동이 건강수명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와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 Y 지역에 소재한 A 노인복지회관을 이용하는 독거노인 7명의 참여자를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참여자는 2023년 6월부터 약 1개월간 주 2회, 60~90분, 반구조화 질문지를 활용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3개의 상위범주와 10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첫째, ‘혼자 남겨진 나의 삶’의 하위범주는 ‘정서적 불안과 고립의 시간’; ‘심리적 노화와 사회 속 이방인 ’; ‘신체의 변화와 건강염려증’으로 나타났다. 둘째, ‘독거노인의 건강수명 크레바스’의 하위범주는 ‘우울과 고독: 신체활동을 통해 극복하다’; ‘관계의 재발견: 함께하는 세상과 지지자들’; ‘독립적인 삶의 시작: 신체활동과 몸의 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을 통한 건강수명 안티에이징’의 하위범주는 ‘근감소증의 빈격: 가벼운 움직임의 힘’; ‘움직임의 트렌드: 노년기의 활기를 찾다’; ‘감성적 신체활동: 연결과 나눔의 운동공간’; ‘인생의 전성기를 위해: 사회를 향한 목소리’로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 독거노인에게 규칙적인 신체활동은 신체 기능적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적, 심리적 요인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ICT를 활용한 운동은 건강수명 연장을 위한 새로운 전략으로, 타인과 함께하는 운동프로그램은 독거노인의 외로운 삶의 활력을 되찾는 계기로 작용하면서 자립적인 삶을 돕는 강력한 매개체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신체활동이 독거노인의 건강수명 연장과 사회적 고립 완화의 효과적인 대안임을 제시하며, 독거노인의 체험적 사실을 통해 신체활동의 의미에 대한 철학적 논의와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pplied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to analyze how regular physical activity impacts positive changes in healthy life expectancy an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individuals living alone. Seven participants using Senior Welfare Center A in the Y area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wice a week for 60 to 90 minutes over approximately one month,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analysis identified three main categories and ten subcategories. First, the subcategories of "My Life Left Alone" were identified as "Emotional Anxiety and Isolation," "Psychological Aging and Outsiders in Society," and "Physical Changes and Health Anxiety." Second, the subcategories of "Crevasse of Healthy Life Expectancy in Elderly Living Alone" included "Depression and Loneliness: Overcoming Through Physical Activity," "Rediscovery of Relationships: A World and Supporters Together," and "The Beginning of an Independent Lif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the Body." Third, the subcategories of "Healthy Lifespan Anti-Aging Through Exercise" were identified as "Fighting Sarcopenia: The Power of Light Movements," "Trends in Motion: Regaining Vitality in Later Life," "Emotional Physical Activity: Spaces for Connection and Sharing," and "For the Prime of Life: A Voice Toward Society." The results revealed that regular physical activity positively influences not only physical functional health but also ment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elderly individuals living alone. In particular, ICT-based exercise emerged as a new strategy for extending healthy life expectancy, while group exercise programs were confirmed as powerful mediators for revitalizing isolated lives and supporting independent liv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hysical activity is an effective alternative for extending healthy life expectancy and alleviating social isolation among the elderly. The experiential data provided by the participants also offers a foundational basis for philosophical discussions and policy development on the significance of physical activity.

      • KCI등재

        의료비지출과 수명/건강의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김영덕,한현옥 한국자료분석학회 201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0 No.2

        We exploit regional panel data with 15 regions to analyse empirically how medical expense affects health and life span. Mortality rate is used as life span variable and the height of high school students is used as health variable. Since it is observed that medical expenses are nonlinearly associated with mortality rate,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expenses and mortality rate is taken into account in estimating the effect of medical expenses on mortality rate. We find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expense and mortality rate and the elasticity of mortality rate with respect to medical expense is estimated to be -0.06~-0.15. It shows that medical expense has contributed to reducing mortality 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expense and the height of high school students is estimated to be significantly positive but with some lags (8-10years). This result holds for both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Empirical results show that medical expense has a positive impact on both physical health and life span but its positive impact on health occurs with some lags. 의료비지출이 수명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지역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수명을 대표하는 변수로 사망률을 사용하였으며, 건강을 대표하는 변수로는 고등학교 남녀 학생의 신장 자료를 이용하였다. 의료비지출이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은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그 반응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으므로 의료비지출과 사망률 간에 비선형적인 관계를 추정식에 고려하였다. 의료비지출과 사망률의 관계는 유의적인 음(-)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의료비지출에 대한 사망률 탄력성은 –0.06 ~ -0.15 정도로 추정되었다. 의료비지출은 사망률 감소에 기여하였음을 밝히고 있다. 의료비지출과 청소년 건강의 관계도 상당한 시차를 거쳐 영향이 있으므로 이를 추정식에 고려하여 추정하였다. 의료비지출과 고등학생의 키의 관계에서 보면 상당한 시차(8~10년)를 가지고 유의적인 양(+)의 관계가 추정되었다. 이는 남녀 고등학생 모두에서 공히 나타나는 결과이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는 의료비지출이 신체적 건강이나 수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의미하며, 건강에 대한 의료비지출의 영향은 상당한 시차를 가지고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노화의 개념

        전진숙(Jin Sook Cheon)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7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3 No.2

        2005년도 한국인의 평균수명은 여성 85.5세, 남성 75.1세, 전체 78.5세로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치에 육박하고 있다. 수명 연장과 더불어 노인병도 증가일로에 있으며, 따라서 장애와 기능적 의존 없이 건강한 노화를 맞는 것은 우리 모두의 바람이자 이상이라고 볼 수 있다. 노인환자와 늙어가는 우리 정신과의사 모두를 위해서 어떻게 하면 성공적 노화를 맞이할 수 있을지 그 해답을 찾아보기 위해서 노화의 정의, 기전에 관한 여러 이론과 근거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를 통해서 건강한 노화의 유지를 위해 필수적인 것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1990년부터 2007년 현재까지 노화기전, 노화개념, 성공적 노화, 수명 등의 단어가 포함된 발표논문을 인터넷으로 검색하여 문헌고찰을 하였다. 1. 노화의 정의 생물학적 노화란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생식력이 감퇴되고 사망률은 증가되는 진행성의 기능상실로 정의된다. WHO는 건강한 노화는 질병과 장애에서 벗어나야함을 강조하였다. 2. 노화의 기전 분자설, 세포설, 계통설, 진화론, 분자염증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노화 이론이 제시되었다. 3. 노화에 관한 최신지견 여러 개체에서 공통적인 노화의 기전으로서는 산화손상,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의 합성, insulin-IGF 축의 변화, 에너지 균형의 변화가 제시되고 있다. 최근에는 효모, 윤충, 초파리, 쥐에서 칼로리 제한과 연관된 유전자 경로가 수명의 조절에 관여함을 보여주는 실험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인간의 조로증에 관계되는 유전자 이상의 규명, telomere 단축, 장수유전자의 관련성 규명 등도 노화의 이론에 대한 근거들을 제공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노화는 유전자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지배받도록 예정된 과정이 아니다. 인간의 노화과정을 이해함에 있어서 현격한 진전은 보지 못했다. 현재까지, 인간의 노화과정을 지연시킬 수 있는 방법은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노화에 관한 기초 연구에 더 많은 관심이 요구된다. 노화에 관한 연구목표는 결과와는 무관하게 인간의 수명을 연장시키는데 두어서는 안 되며, 장애와 기능적 의존성으로 부터 자유로운‘건강수명(active longevity)’을 증진시키는데 두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In 2005, the average life expectancy of Koreans reached 78.5 years(males 75.1 years, females 85.5 years), which was near to the mean value of all OECD countries. With expanding life span, age-related diseases are also increasing. Therefore, having active ageing without disability and functional dependence seems to be our hope and ideal. This article is tried to look for a proper answer how we ageing psychiatrists as well as our aged patients get into a path to a successful ageing. Through comprehensive review of many theories and clues about definition of ageing and causes and mechanism, what is essential for the maintenance of healthy ageing may be suggested. Methods:Articles and documents published from 1990 through 2007, containing words like ageing mechanism, ageing concept, successful ageing and longevity were searched via internet and reviewed. Results:1) Definition of ageing : biological ageing can be defined as the progressive loss of function to decrease fertility and to increase mortality,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age. The WHO insisted active ageing must be devoid of disease and disability. 2) Mechanism of ageing : Various mechanism of ageing such as molecular, cellular, system, evolutionary and molecular inflammatory theories were reported. 3) Update issues on ageing : As the universal ageing mechanism, theories including oxidative damage, synthesis of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change of insulin-IGF axis, and change of energy balance were suggested. At present, results of animal experiments showed that genetic pathways related to the calorie restriction in the yeasts, nematodes, fruit flies and mice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control of life span. Otherwise, the theories of ageing can be supported by such clues as the identification of gene abnormality in relation with human progeria, telomere shortening and search for the longevity genes. Conclusion:Ageing is not a preprogrammed process to be directly governed by genes. Prominent progress to understand ageing is not achieved. Until now, there is no way found to delay ageing process in human. Therefore, further interest is needed to do basic research on the ageing. The target for the study on the ageing should not to postpone human life span despite of results, but to promote ‘active longevity’ free from disability and functional dependenc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 노인의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영주,김보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11

        This study aims to discover degree of physical activity among elderly in Korea and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tendency to activity. For the study, it targeted 1293 elderly persons whose ages were above 65 for a final analysis except data whose physical activities related factors could not be evaluated from the data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4. There was a difference in Gender(χ2=25.06, p〈.001), Age(t=5.56, p〈.001), City Size(χ2=35.78, p〈.001), Education(t=-7.45, p〈.001), Health condition(t=6.12, p〈.001), EQ-5D(t=-10.08, p〈.001), PHQ-9(t=6.23, p〈.001) and The sum chronic diseases(t=2.51, p=.01) according to physical activity. The above mentioned dependent factors were explicable causes of 15.4% of physical activity according to the regression model. Significantly predictors are age, education, EQ-5D. The further studies dealing with more factors, ranges and periods are needed. 이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의 신체활동 정도와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에서 성실히 답한 자료만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 수는 1293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로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신체활동 관련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대상자 중 신체활동군과 비활동군 간의 일반적 특성 및 신체활동 관련 특성에 대한 차이의 비교는 카이제곱 검정과 t-test로 분석하였다. 신체활동 여부에 따라 성별(χ2=25.06, p〈.001), 나이(t=5.56, p〈.001), 도시크기(χ2=35.78, p〈.001), 교육(t=-7.45, p〈.001), 건강상태(t=6.12, p〈.001), 삶의 질(t=-10.08, p〈.001), 우울(t=6.23, p〈.001), 만성질환의 합(t=2.51, p=.01)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들 변수를 이용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노인의 신체활동은 나이, 교육수준, 삶의 질(EQ-5D)에 의해 15.4% 예측되어졌다. 추후 좀 더 다양한 요인과의 분석과 다양한 기간을 두고 분석하는 다면적 연구 및 운동기간과의 연구 등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Health Adjusted Life Expectancy(HALE) 지표를 활용한 연구 동향 분석

        양정연,이준협,정현우,박희정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21 대한보건연구 Vol.47 No.3

        Purpose: Monitoring health expectancy, as well as life expectancy, is important to achiev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to ensure healthy living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mong health expectancy indicators, the Health Adjusted Life Expectancy (HALE) indicator is highly likely to be useful as a major basis for health care policy decisions, but few studies in Korea have examined.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suggest a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by examining the research trends on the estimation of the HALE indicator over ten years. Methods: The online academic databases PubMed, Web of Science, Embase, RISS, and DBPIA were used to find articles published from 2011 to January 2020 by applying keywords, including “health adjusted life expectancy” and “HALE”. We then classified the discovered articles into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and single national studies, and single national studies were further categorized by socio-economic and health aspects. Results: Among 1,680 articles, 16 articl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Seven articles were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and five of these seven were published as part of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Project. In addition, two were single national studies examining the HALE gap by region, while the remaining seven were studies that analyzed differences according to chronic diseases (high blood pressure, diabetes, depression, cardiovascular disease, cancer, tooth loss, etc.) and health behavior (smoking). Conclusion: HALE is an internationally used health expectancy indicator. It should be used as a basis and performance indicator for various health care policies, including chronic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policies, in lin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It is suggested that the HALE measurement should be continuously studied according to various health and socio-economic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