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우구스티누스의 생명의 씨앗 이론을 통한 생명의 변화 이해

        김장생(Kim Jang-saeng)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09 신학사상 Vol.0 No.145

        생명 현상에 대한 철학적 분석들은 외재적 안정론, 내재적 개체 역동주의, 내재적 자연 역동주의, 외재적 자연 역동주의로 범주화 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생명의 씨앗 이론에는 한편으로는 신의 초월성을 전제로 하면서도 자연 속에서의 생명의 역동성을 놓치지 않으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 생명의 변이와 변화를 생명의 본질로 보며 또한 모든 자연과의 관계를 통하여 생명의 변화는 일어나고 있다는 그의 생명의 이해는 신의 초월성과 배치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그의 생명의 씨앗 이론에서 볼 수 있다. 가능태로만 존재하는 생명의 씨앗은 질료를 통하여 현실태로 존재할 수 있게 되는데, 그것은 본질적인 실체의 변화이다. 하지만 이 개체의 변화가 자연의 질서에도 변화를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그 이유는 존재자들은 신이 부여한 질서 속에서만 존립이 가능하다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우주론 때문이었다. 우주의 질서는 이성적이고 안정적이다. 하지만 그 속에서 모든 생명 개체들은 역동적으로 움직이고 변화하고 변이한다는 것이 아우구스티누스의 생명의 씨앗 이론이다. 이러한 아우구스티누스의 이론은 내재적 개체 역동주의를 주장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이해와 동일한 패턴을 보이고 있고 따라서 우리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생명 이해를 내재적 개체 역동주의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Philosophical analysis on life phenomenon can in Western tradition be categorized into external stabilism, internal individual dynamism, internal natural dynamism, and external natural dynamism. Augustinus’theory of rationes seminales implies his attempt to encompass God’s transcendence and dynamics of life in the nature. His rationes seminales presents that it does not make logical fallacy that life’s formational transformation and change belongs to the essence of life and God is transcendental. Rationes seminales in capacity is actualized through matter and it is essential transformation. However it does not bring transformation in the natural order. For Augustinus believed that every being can be in the natural order which God creates. While the order of the cosmos is in Augustinus’rationes seminales rational and stable, every individual being changes and transforms dynamically. This theory runs parallel with Aristotles’ individual dynamism and thus we can name Augustinus’understanding of life internal individual dynamism.

      • KCI등재

        베르그손과 깡길렘의 생명철학, 수렴과 분기의 지점들

        황수영(Hwang, Su-You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3 철학사상 Vol.50 No.-

        근대 이후에는 과학주의의 위력으로 인해 생명이 철학적 사유의 진지한 대상이 되지 못했다. 세계를 의식과 기계로 양분한 데까르뜨에서 생명은 기계의 일부로 다루어지고 그 범주적 고유성을 잃는다. 19세기에는 꽁뜨의 실증주의 생명관이 생기론을 제압하면서 생명과학은 물리화학적 패러다임에 종속된다. 오늘날 이런 환원주의적 태도 역시 경계의 대상이며 생명이 나타내는 복잡성 앞에서 좀 더 유연하고 포괄적인 관점이 요구되고 있다. 철학은 생명에 대한 사유를 단지 물리화학의 일부로 취급되는 한에서의 생물학에 맡겨놓을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심화하고 확대해야 한다는 생각은 베르그손과 깡길렘의 공통적인 태도이다. 베르그손은 생명에 대한 거대서사를 썼고 깡길렘은 그를 이어받으면서도 거대서사로서의 생명 형이상학이 빠질 수 있는 아포리아들을 피해가면서 생명의 세부적인 문제들에 천착하여 실증주의의 난점을 지적하고 자신의 고유한 관점을 제시한다. 이 두 생명철학자들을 비교하기 위해 우리는 생명원리와 개체성, 정상과 병리, 생성과 로고스라는 세 가지 주제를 다루고 거기서 그들이 관점이 수렴되는 지점들과 분기되는 지점들을 살펴본다. Since the modern age, the theme of life has often been omitted from philosophical thinking, under the influence of scienticism. Descartes, who divided the world into consciousness and machines, treated life as a part of a machine, which deprived life of its proper specificity. From the 19th century, where the positivism of Comte surpassed French vitalism, the life sciences submitted to the paradigm of physical chemistry. Today, this type of reductionism is no longer certain. We need a more global and malleable perspective before the complexity that life phenomena show. The idea that philosophy should not leave life to biology, which works only in the paradigm of physical chemistry, and that it should instead deepen and widen the theme as such constitutes the common attitude of Bergson and Canguilhem. Bergson wrote a grand narrative of life, represented by the concept of elan vital. Canguilhem, although he inherited some Bergsonian ideas, avoids aporias left from his metaphysics of life. He concentrates on detailed problems that leaving individuals show and tries to solve them from his original perspective, which opposes Comtien’s view. To compare these two philosophers, we will examine three subjects - the principles of life and individuality, the normal and the pathological, and becoming and logos - and we will see on which points these two authors converge and diverge.

      • KCI등재

        들뢰즈에서 생명의 잠재성에 대한 형이상학적 의미

        연효숙 ( Yon¸ Hyo-sook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1 가톨릭철학 Vol.0 No.16

        생명의 존엄성과 생명의 창조성의 잠재적인 위력은 어디로부터 오는가? 아리스토텔레스는 생명의 원리를 현실태와 가능태의 형이상학적 원리로 설명하였으며, 개체들의 본성을 한 형상 내에서의 질료에 의한 개별화의 원리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그의 형이상학과 생물학적인 설명은 생명의 보편성과 개별성을 설명하는 원리로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생명의 목적론적 세계관으로 지속되어 왔다. 근대 자연 철학의 목적론적 자연관과 유기체적 생명 개념과 결별하고 다윈의 진화론을 창조적으로 받아들여 현대 생명 철학과 자연관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 철학자는 베르그송이다. 베르그송은 전통 형이상학에서의 일과 다의 원리에 입각한 개별자의 존재론의 원리를 버리고, ‘다양체’ 개념을 새롭게 마련하여 생명을 잠재성의 차원으로 획기적으로 전환시켰다. 즉 가능한 것을 대신하는 잠재적인 것은 질료형상설을 따르지 않는, 다양체에 작동하는 원리가 된다. 들뢰즈는 이러한 이념적 차원의 다양체를 생물학적 다양체로 현실화한다. 들뢰즈는 다양체가 분화의 차원에서 생명의 잠재성과 창조성을 보여 준다고 생각했다. 또한 들뢰즈는 시몽동의 개체화의 원리를 수용하고, 이를 전-개체적 상태의 독특성의 지평이자, 개체가 갖는 이념-잠재적인 차원과 연결시킨다. 들뢰즈는 개체화의 원리를 생물학에서의 분화의 원리에 적용하여 배의 발생으로 연결시킨다. 이러한 들뢰즈의 생명철학은 다윈의 진화론의 계보를 넘어서서, 생명의 잠재성의 차원을 리좀적인 평면으로 연계하여 윤리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지평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의미를 지닌다. What is the source of virtual power of dignity of life and creativity of life? Aristoteles explained the principle of life as the metaphysical principle of actuality and possibility, and showed a nature of individuals as the principle of individualization in a form by matter. His metaphysics and its biological interpretation were the principle of universality of life and individuality, and have been continued as a teleological world view until modern times. It is Bergson, who cuts off a teleological view of nature in philosophy of nature in modern times and a concept of life of organism, and receives creatively Darwin's evolution. He offers a new vision to philosophy of life and view of nature in the present. Bergson abandons the ontology of individuals supported by the principle of one and many in the traditional metaphysics, and prepares a concept of multiplicity, and then shifts life to a dimension of virtualiy newly. Namely, the virtual instead of the possible is a principle which controls not the principle of matter-form but multiplicity. Deleuze actualizes the multiplicity of ideal dimension into a biological multiplicity. Deleuze thinks that multiplicity shows virtuality and creativity of life in the dimension of differenciation. Deleuze receives the principle of individuation of Simondon, connects it into the horizon of univocality in pre-individual status, and the ideal-virtual dimension of individuals. Deleuze applies the principle of individuation to the princple of differenciation in biology and connects it into the genesis of germ. The philosophy of life in Deleuze surpasses Darwin's genealogy of evolution, and joins the dimension of virtuality of life to rhizomatous plan, and implies the meaning which can extend into an ethical and metaphysical horizon.

      • KCI등재

        특집 논문 : 생태철학과 생명 ; 환경윤리에서 생명 논의의 윤리적 함축과 전망

        김완구 ( Whan Ku Kim ) 한국환경철학회 2009 환경철학 Vol.0 No.8

        오늘날 문명의 발달로 전례 없는 환경이나 생명 관련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그것들에 대해 고민을 하고 있다. 그런데 사실 이 두 문제는 별개의 문제가 아니고 아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에 같이 논의되어야 한다. 환경은 생명을 가진 존재들을 둘러싼 것을 지칭하는 말이고 그 환경에 둘러싸인 것이 바로 생명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생명의 정체를 밝히는 작업은 간단치가 않다. 그럼에도 이런저런 이유들로 사람들은 보통 생명이라는 현상은 그 자체 소중히 여겨야 할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 이야기한다. 그러한 가치를 사람들은 흔히 본래적 가치라고 한다. 환경 윤리와 철학에서 논의되는 주요 문제들의 큰 줄기는 바로 여기에서 출발한다. 생명이 가치를 가지고 그래서 소중히 여겨져야 한다면 그것을 유지시키기 위한 조건들로서 그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의 어떤 것들도 어떻게든 소중한 것으로 여겨져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환경 윤리 및 철학적 논의에서 소중히 여겨야 하는 대상의 범위는 인간 생명에서 시작해서 그 생명을 가능케 하는 존재인 다른 생물적 환경이나 무생물적 환경에까지 점점 확장된다. 그리고 이러한 존재들의 위상 및 가치에 대해서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환경 철학과 윤리의 핵심적인 주제가 된다. 물론 이러한 과정에서 생명의 정의, 생명의 범위 그리고 생명의 가치와 관련한 여러 철학적 문제들이 등장하게 되지만, 무엇보다도 주목해보아야 할 문제 중의 하나는 그러한 것들에 가치를 부여하고 소중히 여기는 데서 발생하는 각 개체생명들 간의 갈등 또는 각각의 개체생명과 전체생명들이라고 할 수 있는 ‘온생명’이나 ‘생태계들’과 같은 전체들 간의 갈등의 문제이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몇몇 철학적 논의들을 통해 검토해 볼 것이다. 그리고 끝으로는 인간의 생존과 지구생존의 위기를 맞고 있는 오늘날 이러한 논의들이 가지는 윤리적 함축 및 그것의 실천가능성에 대해 간략하게 탐색하면서 이러한 문제의 효과적인 해결을 위한 앞으로의 작업방향을 제시한다. These days, human beings face unprecedented problems occurring in the field of environment and life, with the progress of civilization. So many peoples are much concerned about these challenges. However we must explore these together, because they are closely related. The term environment refers to conditions surrounding a life form, and so-called life is something surrounded by environment. But It is not so easy to define and identify life clearly. Nevertheless people say that life is valuable in itself and so we must treasure it. That is the very intrinsic value problem. The main issues in the environmental philosophy and ethics start from this point. First we confer intrinsic value to the human life and in turn to all other living things. But these individual lives on which intrinsic values are conferred can`t exist independently of other living things including non-living things. They have need to interact with each other to sustain their own life. If so, other living things and non-living things have to be conferred the same value. Therefore intrinsic value conferring objects are extended from human life to non-living things or life as a whole, that is, `global life`, `ecosystem` and the like. Several issues, such as the definition and the boundary of life, appear from this extensionism, but central to the process of extending intrinsic value to the several objects is the problem of conflict between an individual life and life as a whole. Thus in this paper I focus on these arguments some philosophers have made and examine the ethical implications of this arguments. But this work is not easy. And finally I suggest a future direction of this study.

      • KCI등재

        왕양명 생명관의 생태 윤리적 고찰

        이종흔(Lee Jong-heun) 대한철학회 2006 哲學硏究 Vol.98 No.-

        본 논문은 현재 인류가 당면한 생태위기 극복을 위한 윤리적 논쟁에 있어서 왕양명 생명관의 생태 윤리적 해석이 담고 있는 함의가 무엇인지를 고찰하였다. 서양 환경윤리의 다양한 갈래를 대체적으로 종합할 경우 크게 인간 중심적인 개체론과 비인간 중심적인 전체론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인간 중심적인 개체론은 생명과 생태에 대한 기계론적인 유물론적 해석을 통해 인간이라는 개별성의 가치 제고에 집중한 결과 인간과 여타 생명체 사이에 분명한 계서를 조장하였을 뿐만 아니라 자연과 인간의 관계 설정에서 동반자적 혹은 친화적 관념을 간과하게 만들었다. 이에 반해 비인간중심적인 전체론적 접근은 생태위기 극복을 위한 자연과 인간 사이의 이원화 해소에 주력한 나머지 모든 생명의 평등적 직관을 주장함으로써 실천과 행위 영역을 방기한 측면이 강하다. 이렇게 볼 때 현대 생태위기 극복을 위한 실질적 대안은 이 양자의 난점을 보완할 수 있는 포괄적 접근의 모색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논자는 왕양명 생명관의 생태 윤리적 해석이 현대 서양 환경윤리의 격렬한 논쟁의 결과 노정된 난점의 극복에 어떤 총섭적 함의를 보여줄 수 있는지 고찰하였다. 왕양명은 환경생태에 대한 전일적(全一的) 이해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비인간중심적인 전체론과 비슷한 점을 보이면서도 또 다른 한편으로 책임과 실천에 있어서는 인간의 역할을 강조하는 보다 확장된 인간 중심주의의 일면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양 측면이 그의 생태 윤리 사상에서 어떻게 체계화되고 있는지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첫째, 왕양명은 一氣相通의 우주론에 의거하여 생명가치를 어떻게 파악하고 있는지 고찰하였다. 둘째, 萬物一體의 존재관과 생명가치의 연관구조에 비추어 개별생명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고찰하였다. 셋째, 인간과 자연의 一體的 관계에 의거하여 생명가치의 자각과 실천에 대해서 어떻게 보았는지 살펴보았다. 넷째, 왕양명 생명관에 대한 생태 윤리적 해석이 현대 생태위기 극복에 있어서 어떤 가치론적 함의를 가지는지 논의하였다. The paper considered what kinds of implications could have Wang Yang Ming’s ecological ethical interpretations on his life thought in various ethical debates for overcoming the contemporary ecological crisis. The western environment ethics is divided into human beings centered individuality and non-human beings centered holism. Human beings centered individuality encouraged to form discriminative orders between human beings and other lifes as well as to make friendly notion neglect in forming relationships between human beings and nature by focusing on lifting values of individuality called human beings by dint of mechanical materialistic interpretations on life and ecology. On the contrary, non-human beings centered holism neglected practice and activity by focusing on emphasizing an equal intuition toward all of lifes to solve dualism between human beings and nature for overcoming a present ecological crisis. Therefore, a substantial alternatives for overcoming a present ecological crisis are viewed as comprehensive approaches which can improve the above two difficulties. From this kind of thinking, I have researched what kinds of comprehensive implications could exhibit Wang Yang Ming’s ecological ethical interpretations on his life thought for solving these difficulties which are resulted in various debates over the present western circumstances ethics. In fact, Wang Yang Ming can be said to support non-human beings centered holism from the fact that he pursues an holistic grasps on the ecological circumstance on the hand, and can be viewed as showing a more enlarged human beings centered viewpoint which emphasize human being’s role in practice and activity on the other hand. It was examined in this thesis how both of these viewpoints were combined in Wang Yang Ming’s ecological ethics, and whether it was useful for solving ecological crisis or not.

      • KCI우수등재

        베르그손의 개체화 이론 연구

        주재형(Jae-Hyung Joo) 한국철학회 2020 철학 Vol.- No.144

        이 연구는 베르그손의 『창조적 진화』로부터 새로운 개체화 이론을 구성해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선 우리는『창조적 진화』 내에서 개체화의 문제가 생명체에서 발견되는 정교한 형태 구조의 해명과 관련 있음을 지적할 것이다. 그런데 베르그손은 이 형태 구조의 발생을 설명하기 위해 물질과 생명에 대한 과도하게 형이상학적인 개념화에 의존하는 한계를 보여준다. 하지만『창조적 진화』에는 이와는 다른 방식으로 생명체의 형태 발생을 설명하는 도식이 존재한다. 그것은 1장에 등장하는 쇳가루 더미를 가로지르는 보이지 않는 손의 이미지인데 우리는 이 이미지로부터 물질의 자기 부정으로서의 생명이라는 독특한 관념을 이끌어낼 것이다. 이 새로운 관념에 경험적 타당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우리는 베르그손을 떠나 세포 자살 이론과 대칭 깨짐 이론이라는 현대의 몇몇 과학 이론들을 검토할 것이다. 이러한 검토를 통해 우리는 베르그손의 개체화 이론이 최소 생명주의라는 하나의 명확한 철학적 기획으로 현재화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construct a new theory of individuation from Bergson’s Creative Evolution. First of all, we will point out that the problem of individuation in Creative Evolution is related to the explication of the sophisticated morphological structures found in living beings. However, relying on excessive metaphysical conceptualization of matter and life, Bergson’s point of view isn’t satisfactory. However, in Creative Evolution, there is another scheme explaining the morphology of life in a different way. It is the image of an invisible hand that crosses a pile of iron powder, and we will draw an original notion of life as self-denial of matter from this image. To give some empirical validity to this new notion, we will leave Bergson and examine some contemporary scientific theories: apoptosis theory and symmetry-breaking theory. Through these reviews, we intend to show that Bergson’s theory of individuation can be updated as a clear philosophical project of minimal vitalism.

      • KCI등재

        『장자』 개인의 욕망과 자유 2 -개체 본서오가 욕망 주체에 관한 연구-

        김희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人文科學 Vol.0 No.48

        본 논문은 장자의 철학에서 강조되고 있는 性의 의미를 개체의 자기보존적인 생명활동과 연계하여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것을 통해서 필자는 개체의 고유한 性이 발현되는 의미를 온전한 삶에 대한 인간의 욕망과 연계하여 살펴본다. 이것을 위해서 필자는 장자의 철학에서 부각되고 있는 性에 대한 담론체계의 발전과정을 선진시대 초기 철학가들의 사상을 통해서 살펴본다. 이러한 과정은 춘추전국시대의 특수한 시대상황과 맥을 같이한다. 다시 말해서 통일제국의 형성을 위한 새로운 사회질서의 확립은 인간과 사회의 조화를 위한 보편의 원리를 요구하게 만든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장자의 철학에서 부각되고 있는 개체가 지니는 있는 고유한 본성에 대한 논의는 인간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인간에 대한 이와 같은 이해의 변화과정은 선진시대 초기 철학자들에 의해 제기된 인간 본성에 관한 논의들을 토대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필자는 장자의 철학에서 강조되고 있는 性에 대한 이해를 인간 개체의 자기보전적인 생명활동과 연계하여 살펴보고, 그 의미를 온전한 삶에 대한 인간의 욕망과 연계하여 살펴본다. 本論文目的是以在莊子哲學所强調的性的意義作爲和個體的自己保存的生命活動連擊進行硏究.通過這樣探索,筆者欲檢査個體所具有的獨特的性的發現過程是對於正常的生活與人間個體的欲望任何有意義的關係.因此,通過先秦時代初期哲學家們的思想,筆者硏究對於在莊子哲學所新興的性的談論體系的發展過程.這樣過程和春秋戰國時代的特殊時期的情況是一脈相承的.換句話說,爲了形成統一帝國做社會秩序確立,爲了人間和社會的調和,被追求普遍原理則.當從這個方面看,對於在莊子哲學所出現的個體所具有的獨特的本性論議可能再理解對人間.對於人間,這樣理解的變化過程以先秦時代初期哲學者們提出的對人間本性的論議爲依据進行硏究.所以,筆者進行硏究以在莊子哲學所强調的對性的理解爲依据人間個體的自己保全的生命活動連繫,把這種樣意味硏究和對於正常的生活人間個體的欲望連繫.

      • KCI등재후보

        장자 개인의 욕망과 자유 Ⅱ-개체 본성과 욕망 주체에 관한 연구-

        김희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1 人文科學 Vol.0 No.48

        본 논문은 장자의 철학에서 강조되고 있는 性의 의미를 개체의 자기보존적인 생명활동과 연계하여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것을 통해서 필자는 개체의고유한 性이 발현되는 의미를 온전한 삶에 대한 인간의 욕망과 연계하여 살펴본다. 이것을 위해서 필자는 장자의 철학에서 부각되고 있는 性에 대한 담론체계의발전과정을 선진시대 초기 철학가들의 사상을 통해서 살펴본다. 이러한 과정은 춘추전국시대의 특수한 시대상황과 맥을 같이한다. 다시 말해서 통일제국의 형성을위한 새로운 사회질서의 확립은 인간과 사회의 조화를 위한 보편의 원리를 요구하게 만든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장자의 철학에서 부각되고 있는 개체가 지니는있는 고유한 본성에 대한 논의는 인간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인간에 대한 이와 같은 이해의 변화과정은 선진시대 초기 철학자들에 의해 제기된인간 본성에 관한 논의들을 토대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필자는 장자의 철학에서강조되고 있는 性에 대한 이해를 인간 개체의 자기보전적인 생명활동과 연계하여 살펴보고, 그 의미를 온전한 삶에 대한 인간의 욕망과 연계하여 살펴본다.

      • KCI등재

        생명과 삶을 위한 깨어있음 -과학을 넘어서-

        우희종 ( Hee Jong Woo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09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15 No.2

        한국불교에 있어서 절대적 이데올로기화되어 있는 깨달음에 대한 해체를 통해 일상의 삶으로 나타나는 깨어있음에 대한 재조명이 필요하며, 이러한 근거에는 깨달음의 주체로서의 생명체에 대한 철저한 생태적 관계성과 더불어 이들 생명체의 삶의 문제에 천착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이러한 흐름에서 일상의 삶 속의 깨어있는 삶을 위해서는 불교에서 아상이라고 표현되는 생명체의 개체고유성에 대한 재인식과 더불어 깨어 있음에는 그러한 아상이 고통의 원인이라기보다는 오히려 다양한 존재가 서로의 차이를 보면서도 차별 없이 상즉하는 화엄적 근거가 된다는 점에서 아상에대한 적극적 해석이 필요하다. 복잡계적 관점에서의 생명체의 특성이 개체 고유성과 개방성이라고 지적한 것처럼 자신을 이루고 있는 아상을 아상 아닌 것으로 만들 수 있다. 아상에 대한 적극적 입장이 반영될 때 다양한 모든 생명체의 존재 근거로서의 욕망은 머무르거나 집착하지 않는 한 참으로 소중한 것이 된다. 사람 몸을 받기 어렵다는 불교적 표현을 보면 동물의 삶 자체를 고통 속의 삶으로 파악한 듯하며 라캉식의 관점을 취하고 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욕망은 무명이며, 무명은 곧 무지이니 욕망은 보리심의 반대가 된다. 욕망은 집착을 낳고 고를 낳기 때문이다. 그러나 무풍기랑 이라는 입장에서 동물의 욕망, 더 나아가 인간의 욕망은 본디 자기 중앙적이라는 것이며, 이는 삼독심이라는 욕망 그대로가 보리심이라는 선가의 관점이 보다 현대 진화생물학적 관점에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 In spite of the religion`s teaching is the radical one in which we can rediscover of our everyday`s piety of life from the complete transition of recognition on ecological relationship, we have been distanced from the role of awakening for living and life because of the old metaphoric language and abstract description. But the perspective of complex system, which can supplement on the limits of western modern science, can be tried to describe on many aspects of the wakening for living and life in which ordinary people can`t be understood on the uneasy and conceptual terms. We have to look at again the awakening living and life by the deconstruction of the ideological value of awakening in Korean Buddhism. And we have to continuously study and practice on the ecological living problems with the radical living relational complexities in the awakening subject. In this stream, we need to actively translate the self-image(我相) of Buddhism into the cause of Hwa-um in which the varieties of beings are getting along together not differentiating from each other but looking at differences in each other. The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 things has the individual eccentricities and openness to others in the perspective of complex system. And The self-image can become to be the other things according to whether it is opened or closed. When we can actively translate the self-image into the becoming something, we can appreciate on the desire as the living base of the various things not as the western modern understanding of the lingering and adhering one. In the last, we can easily accept the simple and short wisdoms of the old Buddhist monks in our everyday lives by the problem of awakening in the approach of complex system. And more and more important thing is the continuous going forward of awakening. It means that the creative image-transition of awakening is the situation of limits which is making of ourselves. But as of the important teachings in Buddha and old Buddhist teachers, the continuous going forward of awakening leaves on the only roles of ourselves in the individual living historicity which can`t be done by some others. But the individual eccentric experiences of our usual lives, which based on the only individual eccentricities, can make of our only images, become to be the base of awakening something, and be a pleasure of practitioners in the situation of limits.

      • KCI등재

        로트카 생명표에서 연구 집단의 초기연령 설정에 따른 내적자연증가율 추정방법에 대한 고찰

        김동순 한국응용곤충학회 202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61 No.4

        Life table-related studies in insect ecology have been an interesting topic for insect researchers. Two calculation methods are commonly applied to estimate the intrinsic rate of natural increase (r m ) in the life table statistics. The first method is to estimate an approximate r m by dividing the natural logarithm of the net reproductive rate (R 0 ) by mean generation time (T ) (namely mean generation time-based method). Another approach is to apply the Lotka-Euler equation derived from the population growth equation of Lotka-Volterra to estimate accurate r m using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Lotka-Euler equation-based method). In the latter cas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stimated r m value when the initial age class of the target cohort was set to “0” or “1”, which confused the application. In this short review, a brief history of the calculation process of the life table was reviewed. It was again confirmed in the Lotka-Euler equation-based method that the form of           should be applied to estimate r m when the first age class was set to zero, while the form of               when set to one. 충생태 분야에서 생명표와 관련된 연구는 곤충연구자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는 주제중 하나이다. 보통 두 가지 방법으로 생명표 통계량중 내적자연증가율을 추정하고 있는데, 첫 번째 하나는 순증가율(R 0 )에 자연로그를 취하고 평균세대기간(T )으로 나누어 근사치를 계산하는 방법이다(세대기간-기반 추정법). 다른 하나는 로트카-볼테라 개체군 생장 방정식에서 유도하여 최대우도법으로 정확한 내적자연증가율을 추정하는 방법이다(로트카-오일러식-기반 추정법). 후자의 경우 대상 집단의 초기 연령등급을 “0” 또는 “1”로 설정함에 따라 추정값에 차이가 발생하여 적용에 혼란이 제기되었다. 본 고찰에서는 생명표 통계량 계산과정의 역사를 간단히 정리하고, 로트카-오일러식-기반 추정법에서 최초 연령등급을 1로설정한 경우             의 형식, 반면 최초 연령등급을 0으로 설정한 경우     검색어: 생명표, 로트카-오일러식, 연령등급, 개체군 인구통계학, 안정 연령분포            의 형식을 적용해야 함을 재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