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개인건강기록 앱 수용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프라이버시 계산모형을 중심으로

        김상호,강은경,양성병 한국경영정보학회 2023 Information systems review Vol.25 No.1

        The continuous increase in life expectancy and high interest in health has brought about significant changes in the use of health information by the public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represented by the Internet and smartphones. As the medical market expands to the mobile health environment, many health-related apps have been created and distributed, but the acceptance rate is slow as it has become challenging to provide services due to various regulations. In this study, perceived value, perceived risk factors (psychological risk, risk of time-loss, legal risk), and perceived benefits (usefulness, interaction, autonomy) were derived and verified as factors that affect the acceptance resistance of personal health record apps based on the privacy calculation model.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rust in the manufacturer, how the perceived risk and perceived benefit affect the perceived value was verified. A survey was conducted on Korean college students who recognized the personal health record apps but did not use them, and 127 sample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s. As a result of hypothesis verification, perceived value has a negative effect on acceptance resistance, perceived risk (risk of time-loss) has a negative effect on perceived value, and perceived benefits (usefulness, interaction, autonom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value. Trust in manufacturers has weakened the impact of perceived risks (legal risk) on perceived values. This study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a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personal health record app market environment by identifying and proposing detailed criteria for reducing the acceptance resistance of personal health record apps. 기대수명의 지속적인 증가와 건강에 대한 높은 관심은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일반인들의건강정보에 대한 이용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모바일 헬스 환경으로 의료시장이 확대되면서 많은건강관련 앱이 만들어져 유통되고 있지만, 각종 규제로 서비스 제공이 어려워지면서 그 수용속도가더딘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프라이버시 계산모형을 바탕으로 개인건강기록 앱 수용저항에 영향을미치는 요인으로 지각된 가치와 지각된 위험요인(심리적 위험, 시간손실 위험, 제도적 위험) 및 지각된혜택요인(유용성, 상호작용성, 자율성)을 도출하고 이들 간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였다. 또한, 제조사에대한 신뢰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여 지각된 위험과 지각된 혜택이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달라지는지를 추가적으로 살펴보았다. 개인건강기록 앱을 인지하면서도 사용하지 않는 국내 대학생을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후,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지각된가치는 수용저항에 부(-)의 영향을, 지각된 위험(시간손실 위험)은 지각된 가치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혜택(유용성, 상호작용성, 자율성)은 지각된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제조사에 대한 신뢰는 지각된 위험(제도적 위험)이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력을 약화시켰다. 본 연구결과는 개인건강기록 앱의 수용저항을 줄이기 위한 세부기준을 확인하고 제안함으로써, 개인건강기록 앱 시장 환경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지침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모바일 개인건강기록(Personal Health Records: PHR)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이 소비자 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

        이용정 한국정보관리학회 2016 정보관리학회지 Vol.33 No.4

        The present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a mobile personal health record (PHR) application and identifying its impacts on consumer health information behavior. For the study, twenty-seven college students used a PHR application for three months, based on which the study conducted paper-based interviews with them.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highlighted the benefits of the PHR such as supporting preventive healthcare and motivating and providing specific guidelines for healthy lifestyles by utilizing visual interface design, sharing the data with family and assisting caregivers to manage patients’ healthcare, and above all enhancing the interaction between patients and healthcare professionals. However, the study found the drawbacks of the PHR such as a lack of data entry for strength training and the incompatibility with other healthcare applications. The participants were motivated to change their health behaviors in ways such as getting rid of sleep disorders, avoiding alcohol and smoking tobacco, and losing weight, and changing eating habits. Some consumers improved self-efficacy by changing their health behaviors, while the PHR provided emotional supports to the consumers who wanted to improve their health. The present study has an academic significance because the study of PHR is a burgeoning area in Korea. The study provides insights for promoting health and medical information services to cope with the paradigm shift of healthcare fields. 본 연구는 모바일 개인건강기록(Personal health record: PHR) 어플리케이션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이 소비자 건강정보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총 27명의 대학생들이 3개월 동안 PHR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였으며, 그 경험을 바탕으로 서면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내용분석 결과,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통한 예방 차원의 건강관리 및 건강 향상을 위한 동기부여와 구체적 가이드라인의 제공, 가족과의 데이터 공유 및 간병인(caregiver)의 환자 건강관리지원, 무엇보다도 환자와 의료전문가와의 상호작용 강화 등이 PHR의 혜택으로 부각되었다. 반면 근력운동과 같은 콘텐츠의 미비 내지는 타 기기와의 호환성 미흡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PHR의 도움으로 건강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소비자들은 감정적 지원을 받는가 하면, 수면장애극복, 금주, 금연, 그리고 체중감량 및 식습관의 변화 등 건강행태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동기부여가 생겼으며, 실제로 건강행태의 변화를 성취함으로써 자기효능이 증가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연구에서는 도입단계인 PHR에 대한 연구를 시도했다는 것에 학문적 의의가 있으며, 헬스케어분야의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건강 및 의료정보서비스를 모색하는데 통찰력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온톨로지 자동 구축 기술을 활용한 개인맞춤형 헬스케어 관리 시스템

        김건우,홍현기,박경욱,이동호 한국정보과학회 2016 데이타베이스 연구 Vol.32 No.1

        최근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 증가로 개인건강기록 서비스 및 증상 진단 시스템과 같은 온라인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사용이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개인건강기록 서비스는 사용자의 건강기록을 단순 저장 및 모니터링 하는 데만 사용범위가 제한되고 있으며, 증상 진단 시스템은 개인의 건강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일반적인증상에 따른 일반적인 질병 정보들만을 제공함으로써 낮은 정확도의 결과를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온톨로지 자동 구축 기술을 통해 생성된 질병-증상 온톨로지를 활용하여 개인 건강상태를 고려한 질병 정보를제공할 수 있는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사용자가 입력한 증상과 개인건강기록을 기반으로 질병-증상 온톨로지의 의미추론과정을 통해 관련 질병들을 식별하고 랭킹 기법을 통해순위화된 형태로 질병 정보를 제공한다. 45개의 표준화된 임상 사례를 이용한 기존 증상 진단 시스템과의 정확도 비교 실험을 통해 본 시스템의 정확도 향상을 보인다. applications such as online symptom checker and personal health record (PHR) services. However, current utilization range of PHR services are limited to used for storing and monitoring user’s health records. Also, online symptom checkers show low accuracy on diagnose results because they only provide general disease information according to general symptoms without considering personal health condi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personalized healthcare management system that exploits disease-symptom ontology that generates by automatic ontology generation techniques. This system identifies possible disease lists by analyzing the user’s symptom-based queries and their PHR data via semantic inferencing of disease-symptom ontology, and provide a ranking lists of possible diseases to users through ranking methods. Our system improved accuracy compared to existing online symptom checkers using 45 standardized patient vignettes.

      • KCI등재

        뇌병변 장애인의 통합 건강관리 서비스를 위한 개인건강기록(e-PHR) 필수 항목 개발

        김재학,김규민,이현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2 保健社會硏究 Vol.42 No.3

        This study survey the essential items of personal health record(PHR) for the integrated healthcare service of people with brain lesions and importance priority were identified. For this, we analyzed previous literature and delphi survey,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were conducted this study on 60 people(disability, guardians, field experts and professors). In the Delphi survey, reliability and content validity ratio were investigated, and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items were derived through an expert group using the hierarchical analysis method. As a result, for the composition necessary for the activation of personal health records of persons with brain lesions, 6 high-order factors and 62 low-level factors were compared in pairs. For details of each item, “Health Record”10 details, “Management, Notification” 5, “Information Provision” 7, “Linkage Scope” 7, “Rehabilitation Area” 10, “Policy System” 7, “efficiency and level of help” was composed of 16 questions.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activating personal health records and establishing a system for people with brain lesions. 본 연구는 뇌병변 장애인의 통합 건강관리 서비스를 위한 개인건강기록(e-PHR) 필수 항목을 조사하고 항목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 델파이조사 및 계층분석(AHP)을 장애인, 보호자, 현장전문가, 교수를 중심으로 60명에게 실시하였다. 델파이조사는 신뢰도와 내용타당도비율을 알아보았으며, 계층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항목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전문가 집단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뇌병변 장애인의 개인건강기록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구성은 6개의 상위요인과 62개의 하위요인을 쌍대비교하였다. 항목별 세부 내용은 “건강기록”의 세부 항목 10개, “관리, 알림” 5개, “정보 제공” 7개, “연계 범위” 7개, “재활 분야” 10개, “정책ㆍ제도” 7개, “효율성 및 도움 정도” 16개 문항으로 설문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뇌병변 장애인의 개인건강기록 활성화 및 시스템 구축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PHR기반 개인 맞춤형 식이·운동 관리 서비스 개발

        정은영(Eun-Young Jung),정병희(Byoung-Hui Jeong),윤은실(Eun-Sil Yoon),김동진(Dong-Jin Kim),박윤영(Yoon-Young Park),박동균(Dong-Kyun Park)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7 No.9

        개인 맞춤형 식이 운동 콘텐츠 제공을 위해 1개 3차병원에서 제공하는 PHR(Personal Health Records)을 기반으로 건강관리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PHR의 상병명에 근거하여 각 질환과의 상관관계를 적용한 식이 운동 적합률 알고리즘을 통해 개인의 질환을 관리하기 위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며, 식사량과 운동량을 기록하여 섭취 소비한 칼로리를 기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근거로 한, 음식점 위치 정보 및 해당 메뉴, 그에 따른 영양분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개인에게 적합한 콘텐츠를 이용하고 기록할 수 있는 서비스로써, 사용자의 상태와 편의성을 고려하여 유헬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We developed a Smartphone application based on PHR(Personal Health Records) provided by a tertiary hospital to provide users personalized diet, exercise contents. It uses Relevance ratio algorithm of diet and excercise being correlated with diseases listed on PHR to provide personalized contents to management of individual diseases and record the amounts of food taken and exercise along with calories consumed through exercise. Besides, developed U-Health Service also considering users' conditions and conveniences, as a service to use contents and record suitable for the individuals who share the information on restaurants locations, their menus, and nutrition based on users' location information.

      • 통합의료정보시스템의 구축에 관한 연구

        홍현기 청주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6 경상논총 Vol.8 No.2

        최근 의료서비스에 대한 소비자(환자)들의 지식과 경험이 쌓여 감에 따라, 고급화된 의료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의료정보체계는 각각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어서, 고객에게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의료서비스의 제공에 있어서 원활한 정보 제공이 가능하도록 현재 각각 독립적으로 구축되어 운영 중인 개별 의료정보시스템을 통합할 수 있는 통합된 의료정보시스템의 구축에 대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서 기존에 연구된 각각의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고, 이들의 통합된 정보체계를 구축하도록 노력한다. 통합의 대상이 되는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우선 개인건강기록(Personal health record : PHR)과 의료기관에 보관되는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 EMR) 그리고 개인들이 일상생활 동안에 측정할 수 있는 생체 바이오기록 등이다. 이들 의료정보의 효율적인 통합을 통해서 구축되는 의료정보통합시스템은 환자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때 적시에 필요한 의료정보가 활용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의료정보통합시스템을 통하여 원격진료(Telemedicine), 응급의료(Emergency Care) 그리고 일반 의료서비스의 시에 질 높은 그리고 고객 개개인에게 맞는 의료서비스가 가능한 의료서비스의 제공 기반이 마련되는 것이다.

      • KCI등재

        미국 원격의료에서 제기되는 프라이버시, 기밀유지 그리고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에 관한 고찰

        김항중(Kim, Hangjung)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4 江原法學 Vol.43 No.-

        지난 1월 온 국민의 이목을 집중시킨 금융기관 개인정보 유출사건은 신용카드 3사를 이용하고 있는 고객의 정보, 약 1억4천만 건이 유출되어 역대 가장 많은 개인정보가 유출된 사고로, 이 사실을 통해 고객 정보에 대한 허술한 관리와 보안시스템의 허점이 드러나게 되었다. 개인정보는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의 신상에 관한 정보로, 이는 개인의 사생활에 있어 반드시 보호되어야 할 중요한 정보들이다. 최첨단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술의 발전은 빠르고 편리함을 제공하는 반면 개인정보 유출의 가능성을 대두되게 하였다. 환자에 대한 개인정보가 담겨 있는 진료기록도 예외는 아니다. 그렇다면 권한을 부여 받지 않은 내부/외부 침입자들은 왜 환자의 비밀성(confidential) 건강 정보의 오용 및 남용에 대해 많은 동기를 가지고 있을까? 그 이유는 환자의 건강 정보가 고용주, 보험회사 혹은 다른 사람들에게 상당한 금전적 가치가 있는 상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원격의료를 통하여 수집, 관리, 전달 및 저장되는 환자의 의료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여 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1996년 연방정부 차원에서 제정한 건강보험 정보활용 및 책임에 관한 법안(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HIPAA))을 새로운 원격의료 환경에 적합하도록 관련 내용을 개정하여 더욱 강화하고 있다. HIPAA는 원격의료에 있어 프라이버시와 보안유지를 다루는 핵심적 이슈이다. 왜냐하면, 원격보건(telehealth)은 특정한 프라이버시 문제들 예를 들면, 전자전송의 보호와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 등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내용들은 반드시 HIPAA 규정을 준수할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미국 원격의료에서 제기되는 프라이버시(privacy), 기밀유지(confidentiality) 그리고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informed consent) 등과 관련된 사례를 소개하고 특히,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informed consent)부분에서는 Arizona 주(州), California 주(州), Oklahoma 주(州) 그리고 Texas 주(州)들이 원격의료에 있어서 독특한 이슈인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현재 한국 의료법 제19조(비밀누설금지)의 내용을 어떻게 개정해야 하는지 제안했다. 특히,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 부분에서는 미국에서 최근까지 논의되고 있는 여러 내용들을 면밀히 검토하여 원격의료인이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대면진료에서 요구되는 설명과 더불어 원격의료 관련 추가항목에 대해서 환자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동의를 받아야 하는 것에 대한 자세한 목록을 열거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찾는데 중점을 두었다. The more people living now have a greater opportunity to easily access their personal medical records or history electronically due to the development of advanced technology. However, with these developments comes an increase in the possibility that this information maybe accessed by unauthorized parties, distributed, or misused. The collection, storage and transmission of a customer’s or a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may be even more damaging when released to a third party. Patient’s medical information is not an exception to electronic privacy issues. Unauthorized insiders or hackers from outside threaten a patient’s medical information or history. The current existing laws and regulatory systems should be changed to safely secure personal information. Also, it needs to be considered deeply to find a new direction to the issue. There are several patient concerns such as privacy, confidentiality, and informed consent issues in practicing Telemedicine. The United States attempts to regulate patient privacy issues with different perspectives related to electronic medical records. According to the 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HIPAA), health care providers must comply with HIPAA regulation regarding privacy and security electronically. Federal/State government and relevant accreditation should prepare and provide a safeguard on how the patient"s medical data store and share. Privacy and Security issues are both core topics in Telemedicine as well as in the traditional medical setting. Although each of different fields is relevant, the privacy issue is the same area should be addressed in the all medical practices. In other words, Telemedicine practitioners have the same responsibilities as those required in the practice of traditional medicine. Furthermore, electronic images, files, and audio tapes require a similar standard of care and caution as paper documents when handled. If a proper regulatory or legal system is not established, Telemedicine will face certain hurdles that may limit its potential in providing one feasible option in the health care delivery system. I will analyze and introduce relevant cases concerning privacy, confidentiality, and informed consent in Telemedicine that I hope will provide a roadmap for a new direction in South Korea.

      • KCI등재
      • KCI등재

        CCD/CCR 중심의 표준진료문서 관리 도구의 개발

        이인근(In Keun Lee),조훈(Hune Cho),김화선(Hwa Sun Kim)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2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2 No.4

        PHR(Personal Health Record)의 표현, 통합, 교류를 위해 CCD(Continuity of Care Document)와 CCR(Continuity of Care Record)과 같은 XML 기반의 표준들이 개발되었고, 이들 표준에 기반하여 PHR 교환을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이들 연구에서는 각기 다른 방법으로 CCD/CCR 문서의 처리 도구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들 표준이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도구의 개발 및 수정이 쉽지 않다. 또한 PHR 관련 의료정보시스템의 상호운용을 위해서는 CCD와 CCR 문서간의 상호 변환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XML에 기반하여 작성된 CCD와 CCR과 같은 의료정보 표준 문서를 처리하고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설계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제안한 방법에 기반하여 CCD/CCR 처리 도구를 개발하고, 이 도구를 이용하여 CCD를 CCR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기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도구의 효용성 확인을 위해 경북대학 교병원에서 만성질환 입원자를 대상으로 수집한 개인건강정보를 이용하여 CCD 문서를 생성하고, CCD 문서를 CCR 문서로 변환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XML-based standards such as CCD(Continuity of Care Document) and CCR(Continuity of Care Record) have been developed for representation, integration, and exchange of personal health record(PHR), and various of researches on PHR based on the standards have been conducted. These researches have developed and used CCD/CCR parsers each with their own different ways, but it can be hard to develop and update the parsers because of the structural complexity of the standards. Moreover, inter-exchange between CCD and CCR documents in the PHR-rel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s should be possible for the interoperability of the systems. Therefore, we proposed a designing method to develop the tools treating XML-based CCD/CCR documents. And we implemented CCD/CCR parser based on the proposed method and developed a converter from CCD to CCR using the parsers. To confirm the usefulness of the developed tool, we performed an experiment of creating CCD documents using the personal health data gathered from chronically ill patients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of converting from the CCD documents to CCR docu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