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改名의 증가와 그 사회적 의미

        김경란(Kim, Kyung-Ran) 역사실학회 2017 역사와실학 Vol.64 No.-

        改名은 글자 그대로 이름을 고쳐 바꾸는 것이다. 이름은 개인을 외부에 표현하는 매개이며, 따라서 이름을 바꾸는 것은 지극히 개인적 행위이자 선택일 수 있다. 그런데 개명이 특정 시기의 상황과 관련되어 이루어졌다면 개명을 단순히 개인적인 선택으로만 규정할 수 있을까? 조선후기에 작성된 慶尙道 丹城縣의 戶籍大帳에는 개명기록이 다수 남아있다. 특히 18세기 후반~19세기 중반에 이르는 시기에 개명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그 내용을 분석해 보면, 계층적으로 상층에 속하는 사람들과 소수의 특정 姓貫을 중심으로 개명이 이루어졌다. 이와 같이 18세기 이후 개명의 증가가 몇 몇 특정 성관에 주도되었다는 점은 개명이 개인적 선택의 결과가 아닌 특정 성관의 집단적 행위였을 가능성을 시사해 준다. 따라서 특정 성관에 의한 집단적 개명이 어떻게 이루어졌으며, 그 이유는 무엇이었는지의 문제를 상주 김, 안동권, 합천 이씨를 대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18세기 이후에 시기별로 가장 많은 개명을 했던 성관은 주로 동성촌락 등의 특정 촌락에 집거한 사람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개명한 사람들은 혈족관계였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조선후기 개명의 증가는 상당 부분 개인적 선택이 아닌 집단적 행위의 결과물이며, 당시의 개명은 하나의 사회적 현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현상의 사회적 의미는 무엇일까. 그 해답은 그들이 개명한 구체적 이름을 확인함으로써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 이들이 개명한 이름에서는 일정한 계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行列字의 적용을 위한 개명이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경우의 개명은 개인의 선택이 아닌 집단적 행위였으며, 개명을 결정하는 것은 門中이었을 것이다. 개명이 증가하기 시작한 18세기는 父系 중심의 친족질서가 성립되어 갔던 시기이다. 부계 중심의 친족질서의 성립은 문중의 결성을 가져왔다. 문중은 부계집단의 族的 결합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하였고, 그 중 하나가 항렬자의 통일 및 확대적용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항렬자의 확대는 동족내부의 결속과 질서를 강화하는 주요한 수단이었다. 이를 통해 개별 문중은 친족집단의 족적 결합을 강화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것이 조선후기에 개명이 증가하였던 주요한 이유 중 하나로 여겨진다. Renaming refers to a literal change of the name. A name is a medium by which an individual identity is expressed to the outside. Therefore, renaming can be an extremely personal act and choice. In the case where renaming occurs in connection with a particular event or time, can it be defined only as a personal choice? There are many records of renaming in the family registers of Danseong County, Gyeongsang province which was created in the Joseon Dynasty. Renaming had increased sharply, particularly during the period from the late 18th to the mid-19th century.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family registers, renaming primarily occurred among higher social class, and a small number of families and clans with specific surnames. The fact that the increase in renaming after the 18th century was led by certain specific family names and clans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renaming was not a result of personal choice but a collective act of the respective group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how and why collective renaming by specific family names and clans was performed, with a focus on Sangju Kims, Andong Kwons, and Hapcheon Lees.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the most renamed family names and clans since the 18th century concentrated on people who gathered in villages of the same family name, and the renamed people were related by blood. From the changed names, it can be seen that renaming was performed to apply generation characters. In conclusion, renaming can be seen as a collective act rather than a personal choice, and it may have been determined by the relevant clan. The family order, centered on the paternal line, was established in the 18th century when the frequency of renaming began to increase. Correspondingly, this led to the formation of clans. Clans carried out various activities to strengthen the tribal solidarity of the paternal groups. One undertaking seems to have been the unification and expanded application of generation characters. The expansion of generation characters was a significant measure in strengthening the solidarity and order within the same tribe. This suggests that the major cause of the increase in renam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attributed to enabling individual clans to strengthen the tribal solidarity of family groups.

      • KCI등재

        개명(改名) 제도에 관한 소고

        송재우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법학연구 Vol.60 No.2

        사회를 이루고 살아가는 사람을 특정하는 가장 1차적인 방법은 그의 이름을 통하여서이다. 사람의 이름은 그 사람의 인격과 결합하여 그 사람을 특정하고, 그 사람 주변의 사람들이나 사회가 그 사람과의 관계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런데 최근에는 이러한 이름을 바꾸는 사건수가 급진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추세는 법원이 사람의 명명권을 보호한다는 입장 하에 본인이 원하는 경우 원칙적으로 개명을 하여 주어야 한다는 원칙을 채택한 후 가속화된 것이다. 한국법령상 개명은 법원의 허가를 얻어야만 하도록 되어 있고 법원이 개명을 허가함에 있어서는 상당한 이유가 있어야 하고, 자신의 동일성을 감추거나 채무변제 등을 회피할 목적으로 개명하려는 불순한 이유가 없어야 한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법원은 두 가지 요건을 대폭적으로 완화하여 대부분의 개명신청의 경우, 심지어 개명을 통하여 자신의 운명을 변경할 수 있다는 어리석은 믿음에 기한 개명신청까지 이를 수용하는 입장을 취하게 되었다. 만약 이와 같이 법원이 개명에 대하여 가능한 통제를 가급적 하지 않으려고 한다면 아예 개명절차상 법원의 허가를 요하지 않고 캐나다 등 외국의 입법례처럼 원칙적으로 개인의 선택에 따라 자유로이 자신의 이름을 신고에 의하여 변경할 수 있도록 허락하는 편이 나을 수 있다. 그렇지 않고 아직도 개명에 있어 불합리한 개명을 통하여 해당 개명신청자와 관련이 있는 다른 사람들의 인식과 관계에 있어 혼동을 일으킬 수 있는 경우를 예방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면 합리적이고 구체적인 사유와 개명요건을 명시하고, 그렇지 않은 개명의 경우에는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KCI등재

        조선 전기 改名牒과 조선시대 개명첩 양식의 변화 - 1582년(선조 15) 鄭雴(1554~1640) 改名牒을 중심으로 -

        박철민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0 규장각 Vol.56 No.-

        이 글은 새로 발견된 조선전기 改名牒을 소개하고, 아울러 조선시대 개명 문서의 통시적 변화를 살펴본 것이다. 조선시대 개명 문서는 조선 전기에는 牒, 조선 후기에는 대개 帖으로 발급되었다. 조선전기 개명첩은 그간 알려지지 않았으나, 이번 조사를 통해 옥천향토전시관에 1582년 발급된 鄭雴(1554~1640)의 改名牒이 소장되어있음이 확인되었다. 해당 문서는 조선후기와 달리 목판에 문서 틀을 새겨 인출하고, 발급 시기나 이름 등을 붓으로 기입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또, 문서에서 ‘知申事’와 같이 1433년(세종 15) 이후 사라진 용어가 나타나는 점과 1415년(태종 15) 관련 논의가 반영되어 있는 점을 보아 1433년 이전 문서의 양식이 정해진 뒤 현전 문서가 발급된 1582년까지 같은 양식의 개명첩이 발급된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는 새로 발견된 조선시대 개명 문서 4점과 기존에 알려진 개명문서를 아울러 살펴보고, 시기별 양식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임진왜란 이후인 17세기에는 문서가 牒에서 帖으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성이 보였으며, 18세기 무렵 양식이 정착되어 19세기까지 이어지는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립의 개명첩은 현재 알려진 개명 문서 중 가장 이른 시기의 자료이면서, 故牒式으로 된 문서 중 발급시기가 가장 늦으므로 현전 자료의 상․하한선을 넓혔다는 점과 제작 방식, 내용 등에서 가치를 지닌다.

      • KCI등재

        근대일본의 ‘개명전제’ 개념: 프리드리히대왕론의 전개와 관련하여

        이예안 ( Lee Yeaan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2

        이 논문은 근대일본에서 ‘계몽’ 개념이 ‘위로부터’의 의미로 형성된 것에 대해, 이를 추동한 계기로 ‘개명전제’ 개념을 검토한 것이다. 또한, 그 과정에서 프리드리히대왕에 대한 이해의 변화가 연동하고 있었음을 검토한 것이다. 다음 세 단계로 나누어 살펴봤다. 첫째, 메이지초기의 입헌군주제 논의에서 ‘개명’의 용어가 ‘인민’이 아닌 ‘군주’와 강하게 결합했으며, 그때 프리드리히대왕이 ‘입헌의 시조’, ‘개명적 군주’로 칭양된 상황을 살펴봤다. 둘째, ‘전제’ 개념이 새로운 해석에 의해 과도기적이지만 유효한 것으로 인정되어, 일본의 입헌군주제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상황을 검토했다. 셋째, 이러한 이해를 전제로 ‘개명’과 ‘전제’가 결합해 일본 특유의 의미로 ‘개명전제’ 개념이 형성되었으며, 그때 천황의 모델로서 프리드리히대왕 논의가 폐기된 상황을 지적했다. 이 연구를 통해 근대일본에서 ‘개명전제’ 개념이 일본 국체론적 의미로 형성되었으며, ‘위로부터의 계몽’ 개념을 성립시키는 데 정치체제론 측면에서 근거를 제공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concept of ‘Enlightened Despotism’ in the modern era of Japan. During the controversy about the constitutional monarchy, the term ‘enlightenment’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a 'monarch' rather than with a ‘people’. Specifically, Frederick II, King of Prussia was praised as an ‘enlightened monarch’ who initiated constitutional reform in Prussia.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 concept of ‘despotism’, albeit during a transitional period, was reinterpreted in positive terms, and this concept was then deployed to explain the Japanese constitutional monarchy.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e term ‘Enlightened Despotism’ was proposed and received some support, but the use of Frederick the Great as a model for the Japanese Emperor was ultimately abandoned, since Japan had a very different history from Europe. This is how the concept of 'Enlightened Despotism', with its peculiar meaning, was established in modern Japa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창씨개명’과 친일 조선인의 협력

        최재성(Choe Jae-Seong)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10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37

        창씨개명은 일제가 조선인에게 강요한 ‘황국신민화 정책’의 일환으로 실시된 것이었다. 그 목적은 조선인의 생각과 마음을 일본인과 똑같이 만들려는 민족성 말살이었다. 조선 민중들의 머리 속에서 조선민족이라는 의식을 완전히 없애고 대신 그 자리에 일본 민족의 일원이라는 인식을 주입하기 위해 시행된 것이었다. 그래서 그 실시 날짜도 일제가 일본민족의 기원일로 기리고 있는 ‘2600년 기원절’로 잡았다. 창씨제가 실시된 목적은 일본식 ‘家’제도를 도입하여 조선의 각 가정을 일본 천황을 종가로 하여 천황제를 지탱하는 기초로 삼는다는 것, 황국신민화의 일환이라는 점이 지적되어 왔다. 필자는 이에 덧붙여 자신의 실적을 과시하고 싶어 했던 총독 남차랑의 욕심이 더해졌던 것이라 보았다. 제도 시행 초기에 이 제도에 호응하는 조선인은 많지 않았다. 겉으로는 강제성을 부정하면서도 속으로는 억지로라도 시키고 싶었던 조선총독의 의지에 따라 일제는 실적을 높이기 위해 온갖 방법을 다 동원했다. 도별 실적을 공표하여 도별 경쟁을 유도했고, 신고가 마감된 이후에는 실적 비율을 높이기 위해 호적 총수 대신에 ‘실재 호적수’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모집단의 비중을 낮추면서 통계수치를 아전인수식으로 이용했다. 이 제도가 실시되는 과정에 친일 조선인이 협력한 사례로는 크게 네가지 방식이 있었다. 맨 먼저는 사법법규조사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며 창씨제 실시를 위한 법안 마련에 참여한 이승우 등의 경우이다. 두 번째는 솔선하여 창씨와 개명을 한 행위로 종래의 姓 · 본관과 무관한 씨를 창설하고 일본식으로 개명하여 창씨제 실시 초기에 신고를 마친 경우이다. 세 번째는 창씨를 독려한 행위이다. 관리로서 솔선 창씨하고 창씨를 독려한 조선총독부 고등관들의 사례, 글과 강연을 통한 권유 선전한 이광수 등의 사례 등이 이에 속한다. 네 번째 창씨제 실시에 대한 감사표시 행위인데, 감사문 발송 결의 주도, 국방헌금 기부, 기념탑 제작 전달 등이 이에 속한다. 친일 조선인이 창씨제 시행과정에서 보였던 이와 같은 협력 행위를 명확히 밝혀내고 그들에게 역사적 책임을 묻는다면, 이들의 협력 행위와는 달리 문중의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한 고육지책으로 창씨를 결정하고, 문중회의의 결정에 따라 창씨 신고를 이행한 대다수 조선민중에게 씌워진‘친일’ 혐의는 벗겨질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창씨=친일’이라는 오해를 대중적으로 확산시켜 창씨개명과 관련된 친일문제의 책임을 희석시키려는 ‘친일 청산’ 방해 세력의 시도를 무력화시키는 일이기도 하다. Imperialist Japan, especiall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enforced Korean people to change their surname from Korean style, Seong(姓) to Japanese style, Ssi(氏) in 1940. The changing of Koreans’ surname Policy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was to enforce Korean people to make their thoughts and minds to same to Japanese things.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tried to efforts to increase the number of Koreans who registered new surname, although the Governor-general, Minami Jiro denied the Registration of new surname, Japanese style, Ssi(氏) was not compulsion. Part of Korean who were pro-Japanese rule also collaborated to increase the number of Koreans who registered new surname. Collaboration were four types. First, engaging to prepare a bill, as the member of the Council for revision of the relevant regulation. Second, Registering of both Japanese surname and name, not only surname but name early. Third, Being a pioneer who registered new surname early than mass Korean, and propagating the registration of new surname by contributing a column to newspaper and giving a lecture. And the last, expressing their gratitude for changing surname policy, for example, leading to make resolution to send a letter of thanks to the Governor-general, donating political contribution to Imperialist Japan.

      • KCI등재

        야스퍼스의 실존적 사귐에 관한 연구

        강갑회 대동철학회 2002 大同哲學 Vol.16 No.-

        사귐은 야스퍼스의 근본 사상의 하나이다. 인간은 타자와의 참된 사귐을 통해서만 본래적 자기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사귐은 근원적이다. 가능적 실존으로서의 인간은 실존적 사귐을 통해서만 실존 개명, 즉 본래적 자기 자신이 될 수 있다. 실존 개명은 사랑하는 투쟁으로서의 실존적 사귐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실존적 사귐은 사랑하는 투쟁으로서, 사귐 당사자들의 상호 개현함과 의문 제기의 동시적 감행이다. 실존적 사귐은 자기 자신의 개현, 즉 자기를 열어 젖혀 자기를 타자에게 드러냄으로서 본래적 자기를 실현한다. 사랑하는 투쟁으로서의 실존적 사귐은 동등한 수준에서만 가능하다. 동등한 수준에서의 사귐 속에는 이미 타자에 대한 긍정이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사랑하는 투쟁으로서의 실존적 사귐에 의해서 타자에 모든 의문이 해소될 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의 실존이 개명된다. 그러나 실존적 사귐에 의해 실현된 실존 개명은 순간적이기 때문에 가능적 실존이 본래적인 자기가 되고자 함은 초월자에 의해서 자기 존재를 확인할 때까지 계속된다. 초월자의 암호를 해독함으로써 감득되는 초월자가 인간 실존의 근원이므로 실존은 초월자와의 사귐을 통해서 본래적 자기를 실현한다. Die Kommunikation ist einer von den Grundgedanken von Jaspers. Weil der Mensch das eigenlich Selbst nur durch die wahrigen Kommunikation mit den Anderen werden kann, ist die Kommunikation ursprüglich. Der Mensch als die möliche Existenzdie kann Existenzerhellung d.h das eigentliche Selbst nur durch die existentielle Kommunikation werden. Die Existenzerhellung wird mölich nur durch die existentielle Kommunikation mit dem liebenden Kampf. Die existentielle Kommunikation als der liebende Kampf wird mölich durch die Zusammenarbeit der Offenbarkeit und Infragestellung der liebenden Betreffenden. Wenn man den Anderen sich selbst offen wird, wird die existentielle Kommunikation das eigentliche Selbst. Die existentielle Kommunikation als der liebende Kampf wird mölich nur auf gleichem Niveau. Die Affirmation üer Anderen ist schon enthalten in der Kommunikation auf gleichem Niveau, also werden alle Fragen üer die Anderen nicht nur aufgelöt, sondern die Exsitenz üer das Selbst wird erhellt. Aber die Existenzerhellung fü die existentielle Kommunikation ist augenblicklich. Was die möliche Existenz das eigentliche Selbst werden soll, wird bis zu die Bestäigung des Dasein von dem Transzendenz fortgefahren. Der sich angeeignete Transzendenz ist die Ursprung von Dasein, wenn man die Chiffern von dem Transzendenz liest. Also läßt das Dasein das eigentliche Selbst durch die Kommunikation mit dem Transzendenz verwirklichen.

      • KCI등재

        조선시대 유자(儒者)의 공간의 의미화 양상과 그 의미 - 금강산 유산기(金剛山遊山記)를 중심으로 -

        박은정(Park Eun-jung)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0 한국문학과 예술 Vol.34 No.-

        금강산을 유산하는 자들은 유산(遊山)의 경험과 정보를 서로 주고받으면서 개인적 유산의 체험을 집단적 유산의 체험으로 확장시켰다. 그 결과유산기는 개별적이고 개인적인 체험의 기록임과 동시에 유람을 통해 서로의 기억을 확인하고 확장하고 축적했던 집단의 기록이 되었다. 유산자들은 이 유산기를 통해 금강산이라는 공간에 대한 기억을 함께하고 의미를 공유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사실에 주목하여 조선시대 유자들이 산이라는 공간을 개인적 체험의 경계를 넘어 집단적으로 소비하고 의미화하는 양상을 살피고, 그 과정 속에 내재된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유자들이 금강산을 의미화하는 양상은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이름없는 장소에 이름을 부여하거나 기왕에 있던 이름을 자신의 뜻에 맞게 개명하는 것으로, 이는 적극적으로 공간을 의미화하는 작업이다. 명명(命名)과 개명(改名)을 통한 공간의 의미화 작업은 개인적 차원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유산기 속 기록이나 승려의 입을 통해 집단으로 확대되었다. 두번째는 유산자들이 공간에 이름이나 시를 새기는 각자(刻字) 행위를 들 수 있다. 각자는 뒤에 오는 사람들에게 먼저 다녀간 사람을 기억하게 하는 행위였을 뿐만 아니라, 그들만의 장소로 공간을 의미화하는 구체적인 행위였다. 세 번째는 유교적 형상화를 통한 공간의 의미화이다. 유산자들이 유산의 체험을 형상하면서 유가 경전 구절을 인용하거나 중국 시인의 시구와 자신의 체험을 동일시하거나 또는 유가적인 이상공간으로 묘사하는 것 또한 유자들이 공간을 의미화하는 행위였다. 유산기 속에 그려진 금강산에 대한 유가적 형상화는, 유산기를 읽는 사람들에게 선험적으로 금강산이라는 공간을 유교적 공간으로 각인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처럼 조선시대 유자들은 금강산을 유람하면서 개인의 체험과 감상을 형상화하는 데만 집중한 것이 아니라 금강산의 의미를 새롭게 구축하고자 노력하였다. 금강산의 불교적 색채를 다양한 방식으로 지우고 그 위에 유교의 새로운 의미를 덧씌우려 부단히 노력하였다. 이것은 불국토를 유자의 공간으로 환원시키려는 조선시대 유자들의 노력의 일환이었으며, 금강산을 자신들의 공간으로 만들고자 했던 욕망이 내재된 행위였다. 산을 단순한 지리공간이 아니라 하나의 인문공간으로 이해했기에 가능했던 일이었다. Travelers of Geumgangsan(Mt. Geumgang) expanded from the experience of personal travel to the experience of collective travel by repeating process of that they influenced and were affected each other through Geumgagnsan Usangi(金剛山遊山記: records of travel in Geumgansan). Therefore, Usangi was a record of individual and personal experiences, and at the same time, it was a group record that confirmed, expanded and accumulated each other’s memories through sightseeing while sharing Usangi. Travelers shared memories and meanings of the space called Geumgangsan through Usangi. In this regard, this study looked at the aspect of collective consumption and semanticization of confucian in Joseon Dynasty beyond the level of personal consumption on the space called mountain with targeting on Geumgagnsan Usangi. Also this study researched the desire of confucian scholars in the process of meaning on the space. There are three aspects of the confucian scholars’ meaning of the Geumgangsan space. The first, hikers gave names to unnamed places or renamed existing names to suit their own will, which was an activity positively meaning space. The work of meaning of space through naming and renaming was not limited to the individual level, but was expanded to work the meaning of collective space through Usangi or the words of monks. The second was the travelers’ act of engraving names or poems on the space. Engraving was not only an act of remembering the person who went first, but also a positive act that meant space as only their own space. The third was the meaning of space through shaping of Confucianism. It was also an act of meaning by the travelers to refer to the passages of the Confucian scriptures or to identify Chinese poet’s poetry with his own experience or to describe the space as confucian space, while shaping the experience of the hiker’s climbing mountain. The shaping of Confucian about Geumgangsan would have worked to people who read Usangi to impress the meaning on the space of Geumgangsan. Confucian scholars in Joseon Dynasty meant their own space with intentionally changing the Buddhist name of the space or confucian shaping the description of Geumgangsan, or engraving their names and carving poems wherever they went, while they traveled Geumgangsan. This was an effort of several methods by Confucian scholars to escape the Buddhist colors of Geumgangsan then to return Geumgangsan to the space of Confucian scholars. The semantic aspect of space in various ways was an act in which Confucian scholars’ desire to make Geumgangsan their space.

      • KCI등재

        작명·개명의 사회적 현상에 따른 성명학(姓名學)의 용신(用神) 적용에 대한 고찰

        이재승 ( Lee Jaeseung ),김만태 ( Kim Mantae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4

        현재 우리나라에서 이름은 개인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수단이면서 또 한편으로는 이름을 통해 현세적 복(福)을 기원하는 기층심리(基層心理)가 함께 존재하고 있다. 2015년 한 해에만도 총 14만 8천여 명이 개명을 하였는데 삶이 잘 안 풀릴 때 다복(多福)을 기원하는 성명으로 돌파구를 찾기 위해 개명을 하는 추세이다. 특히 신생아 작명과 성인 개명을 할 때 성명학적으로 복된 이름을 짓고자 하는 사회적 현상이 일반화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현상에 맞추어 대중이 좋은 이름을 사용할 수 있게하고 사주명리학에 기반을 둔 성명학이 더욱 발전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사주의 중화를 이루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는 용신(用神)을 도출한 후 한글 발음오행(發音五行)과 한자자원오행(漢字字源五行)에서 용신을 적용하여 작명하는 용신성명학(用神姓名學)을 고찰하였다. 먼저 명리학의 용신론을 살핀 후 한글 발음오행과 한자 자원오행의 개요를 각각 설명하였고 현재의 성명학에서 용신의 적용에 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해결책을 모색하였다. 현재 성명학의 발음오행 적용에 대해서는 초성(初聲)만을 사용하고 용신을 미반영하는 문제점을 살피고, 『훈민정음』 제자해(制字解)의 합자(合字) 원리에 따라 초성·중성·종성을 모두 반영하면서 용신을 적용하는 발음오행 성명학을 제안하였다. 또한 현재 성명학의 발음오행 적용에 대해서는 성(姓)의 한자 자원오행을 무시하고, 자원오행의 상생상극을 배제하며, 사주원국(四柱原局)에 존재하지 않는 오행으로만 작명하는 시류들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한자 자원오행에 용신을 적용하는 새로운 자원오행 성명학을 제안하였다. Modern Korean society gives importance to name as it expresses the identity of the individual and also represents base course mentality that wishes to be blessed in present life. A around 148,000 people changed their names in 2015 and the most common reason was to find a breakthrough by a blessed name when their life did not turn out well. Especially, referring to the science of naming to choose a blessed name when naming a newborn child or changing an adult`s name has become the general social trend. Following this social phenomenon, this study extracted yongshin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balancing the fortune so that the science of naming based on the four pillars of destiny theory may advance further and people would find better names and examined the science of naming using yongshin which applies yongshin to the arrangement of five elements according to Korean pronunciation and Chinese characters in naming. First, this study examined yongshin in the four pillars of destiny theory, outlined five elements according to Korean pronunciation and Chinese character, respectively, identified problems in applying yongshin in modern science of naming, and sought for solu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problem of employing the initial phoneme and ignoring Yongshin in the science of naming according to pronunciation and proposed a new science of naming according to pronunciation which reflects all of the initial, middle, and final phonemes while applying Yongshin based on the principle of creating alphabet and combining characters of the 『Hunminjeongeum(Korean Script)』. This study also identified the problems in the modern trend of the science of naming according to Chinese character which ignores the five elements in the Chinese character for the last name, excludes compatibility and incompatibility between five elements in Chinese characters, and only uses the five elements that do not exist in the original four pillars theory and proposed the science of naming according to Chinese character which applies Yongshin to the five elements in Chinese charac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