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고기 판매에 반대하는 한 소론

        김성한 대동철학회 2009 大同哲學 Vol.46 No.-

        최근 개고기 판매를 양성화하려는 움직임과 더불어 개고기 판매에 대한 논란이 재연되고 있다. 대체로 개고기 판매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반려동물이라는 이유를 내세워 이에 반대하고 있음에 반해, 개고기 판매에 찬성하는 사람들은 (1)문화적 상대성을 인정해야 한다. (2)식생활 선택의 자유를 제한하지 말아야 한다. (3)개들의 고통을 덜기 위해 필요하다. (4)위생상의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5)오직 식용견만을 먹자는 것이다. (6)굳이 개고기만 안 될 이유는 없다는 주장 등을 통해 개고기 판매에 찬성하고 있다. 그런데 이들은 모두 이론의 여지가 있는 주장이다. 필자는 윤리 이론, 특히 공리주의를 이용해 개고기 판매 문제를 좀 더 심층적으로 고찰해 보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개고기 판매에 반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필자는 모든 육식에 반대하며, 굳이 개까지 식용화하여 세상의 고통을 더 크게 할 이유가 없다는 측면에서 개를 먹지 않는 것이 좋다고 주장하고 있다. Recently there is a trend to bring out into the open sources of selling dog meat. With this the argument concerning dog meat recurs. People who opposed to eat dog meat says dogs are companion animals so we should not eat dog meat. But people who approve to eat dog suggest that (1)we have to admit cultural relativism, (2)we should not restrict the freedom of eating habits, (3)reducing the pain of dogs is required, (4)it is also necessary to improve hygenic conditions. They also say that (5)they are not suggesting to eat companion dogs but only dog for eating, (6)there is no reason why only dogs are excluded in the list of food. These arguments are all problematic. I critically consider the problem of dog meat using ethical theory, especially utilitarianism. By this, I oppose to eat dog meat. To put concretely I am against all kinds of meat-eating. As we should not augment the pain of the world by eating dogs, we should avoid eating dogs.

      • KCI등재후보

        개고기 유통 관련법의 문제점 검토

        한민정 ( Han Min Jung ) 한국유통법학회 2018 유통법연구 Vol.5 No.2

        우리의 법은 동물을 인간의 편익을 위해 관리하고 이용하는 대상으로 바라본다. 그러나 우리의 동물에 대한 인식은 묘하게 모순적이다. 우리는 동물이 인간과는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고, 그들이 우리와는 다른 법적 지위를 가져야 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납득하지만 가족과 같은 반려동물의 경우에는 예외를 두고 싶어 한다. 이런 시대의 추세에 부응하지 못하는 우리 사회 특유의 관습으로 개고기 식문화가 있다. 우리나라에서 개고기는 예로부터 보양식으로 인식되어 왔다. 즉 우리 사회에서는 ‘반려동물’로서의 개와 ‘식용’으로서의 개라는 상충하는 의미를 개에게 동시에 부여하고 있다. 개를 반려동물로 인식하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개식용을 법으로서 철폐하자는 주장은 더욱 큰 힘을 얻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고기는 여전히 유통되고 있다. 이처럼 식용개가 시대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사육되는 원인은 개고기의 유통과 관련되는 법의 문제점과 구습(舊習), 행정적 나태에서 유래한다고 할 것이다. 식용개의 사육은 ‘뜬장’에서 이루어지며, 식용개들은 일명 ‘짬’이라고 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먹고 자란다. 이 열악한 사육환경 덕분에 개의 사육에 들어가는 비용이 거의 전무에 가깝다. 또한 식용개의 도축은 어떤 법의 규제도 받지 않은 채, 도축업자의 임의로 행해진다. 이 과정은 일반적인 가축의 도축과정보다 훨씬 잔인하다. 도축당한 개는 위생상의 적합성도 검사받지 않은 채 시중의 음식점으로 유통된다. 일반적으로 가축이 유통되기까지의 과정은 「축산법」, 「축산물 위생관리법」, 「동물보호법」의 규율을 받는다. 그러나 개는 축산법상으로는 가축에 해당되지만, 축산물 위생관리법에서는 가축이 아니기 때문에 교묘하게 법망을 피해간다. 동물보호법 역시 식용개의 사육 및 도살 행태에 어떤 적극적 조치도 취하지 못하고 있다. 즉 개고기 유통은 법체계상의 부조화 및 공백의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식용개의 사육 및 도축 과정은 환경적·윤리적 문제를 유발한다. 또한 식품으로서의 적합성 검사를 받지 않기 때문에 개고기는 소비자의 건강에도 심각한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개고기 유통은 무엇보다도 국민 일반의 법감정에 반한다. 개의 법적 지위가 어떻든 간에 우리는 보통 개를 다른 가축처럼 음식으로 대하지 않고, 반려하는 동물로서 대한다. 개고기 유통의 규제는 개고기의 산업 종사자 및 판매자, 그리고 소비자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다. 그러나 유통법의 궁극적 목표는 소비자의 복리증진이다. 개고기 유통의 규제가 비록 개고기를 먹고자 하는 사람들의 자유를 제한하더라도 이 제한이 개고기의 위생상의 문제로 인한 소비자 건강 침해를 방어하기 위한 것이라면 이는 바람직한 것이다. 더 나아가 개를 반려동물로서 기르는 사람들의 불편한 감정과 정서 역시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일반 가정에서 길러지는 반려견과 다를 것이 없는 식용개들이 개고기로 유통됨으로써 초래하는 심리적 고통을 법이 더 이상 외면해서는 안 될 것이다. Our laws regard that animal is the object of managing and exploiting for human’s benefits. However our perception of the animal is strangely contradictory. We concede that the animal is different from people, and accept they have to possess different legal status from our’s, but would like to allow exceptions to the companion animal like a family. In Korea, they have eating culture of the dog meat as peculiar custom. Now this custom is behind the times. Actually the dog meat had been recognized as health food in Korea. In other words, we grant contradicting meanings at once to the dogs which is the dog as a ‘companion animal’ and the dog as ‘food’. As the number of the people increases who regard a dog as an companion animal, the opinion that would abolish the custom of eating dogs by the law is more powerful. Nevertheless distributing of dog meat is still carried out. I think the reasons of continuous breeding the dogs are derived from contradiction of laws on distributing dog meat, old custom, and lazy administration. The dogs for eating live in cage called ‘ddeun-jang(meaning the floating cage)’ and eat food residue called ‘jjam’. This terrible environment costs almost nothing in breeding the dogs. Slaughtering the dogs is randomly carried out by the slaughter without any mandatory control. This process is crueler than any other common slaughtering cattle. The killed dog’s meat is distributed to the restaurant in the city without any sanitary inspection. In general, the process of distributing the livestock is regulated by Livestock Industry Act, Sanitary Controlling Law of Livestock Product, and Animal Protection Law. In Livestock Industry Act a dog is applied to livestock, however in Sanitary Controlling Law of Livestock Product is not. As a result, distributing the dog meat is not controlled. Animal Protection Law is also powerless on this problem. Namely distributing dog meat has problems on incongruity and gap in legal system. Breeding and slaughtering the dogs gives rise to the environmental, ethical problems.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of dog meat free of sanitary inspection could cause bad effect on the health of the consumer. Above all, distributing the dog meat is against the legal emotion of the people. Whatever the legal status of a dog is, we treat the dog as a companion animal not as food. The regulation on distributing dog meat will restrict the freedom of the person who works in dog meat industry, sells and buys the dog meat. Ultimate goal of the Distribution Law is to promote the welfare of consumers. Nevertheless the regulation is restricted the freedom of people who want to eat dog meat, this restriction is desirable if it is for the health of the consumer. Moreover we should consider feeling and emotion of the people who raise a dog as a companion animal. Law should overlook the pain of people who can not ignore the dog for eating. Those people think the dog as the same, irrespective of whether it is raised for petting or eating.

      • KCI우수등재

        개고기 식용문화는 야만적인가, 아니면 한국 고유 음식문화인가에 대한 문화상대론적 논의

        박종구 한국관광학회 2017 관광학연구 Vol.41 No.10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ere to explore the influential factors for dog-eating culture and to identify a difference between two distinct groups; one group of people who supports the argument that dog-eating is a barbarous food culture and the other one who believes that dog-eating is a part of traditional culture that imbedded for a long time. Data was collected in a traditional market. Randomly selected 170 touris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urvey. Chi-square analysi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tilized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ults revealed that participants who were male, high school diploma or less, no religion, human priority, meat-preference diet, and against Western culture tended to accept dog-eating culture (p<.05). In addition, the survey item of “Boshin Tang (dog-meat soup) is part of traditional food culture so it should be kept.” revealed that those who support the traditional uniqueness tended to accept the dog-eating culture compared to those who support the international movement (against dog-eating). This study concluded that many participants who support dog-eating culture believed that they were not willing to blindly follow the foreign opinion against dog-eating culture but they recognized the need for better treatment for slaughtering process and sanitary issues. 본 연구는 ‘개고기 식용문화는 문화가 아니라, 야만적 행위이다’ 라는 견해에 대한 찬반여부를 국제여론을 중시하는 그룹과 전통 고유 음식문화로 보는 그룹 간 차이를 분석하는 한편 개고기 식용문화에 반대하는 영향요인 등을 밝히고자 한다. 문화관광 체험형 재래시장 방문객 중 편의추출방식을 통해 추출한 1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통계적 분석방법은 개고기 식용문화에 대한 그룹별 연관성 분석은 Chi-square 분석을, 개고기 식용문화에 대한 야만/고유문화로 인식하는 그룹 간 차이분석 및 해외 개고기 식용문화에 대한 동의와 반대 그룹 간 차이분석은 t 분석을, 개고기 식용문화 반대여부에 미치는 영향정도는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남성이, 고졸이하가, 종교가 없는 그룹이, 동물보다 사람우선, 육식의 선호, 서구의 논리에 반대하는 그룹이 개고기 식용문화를 수용하는 ‘개가 어때서’에서 p<.05 수준에서 찬성비율이 높았다. 또한 ‘보신탕도 우리 고유의 음식문화이기에 보존하여야 한다’라는 항목에서는 문화고유성을 가진 그룹이 ‘국제여론을 무시할 수 없다’라고 인식하는 그룹 보다 개고기 식용문화에 대한 찬성비율이 높았다. 결과적으로 개고기 식용문화를 서양문화의 야만행위, 미개행위적로서 외국인의 견해를 맹목적으로 수용하는 태도는 바람직하지 않지만 개고기 도축과정상의 야만적, 비위생적인 도축과정 등도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

        기획논문: 신종교와 음식(2) : 한국의 개고기 식용문화에 관한 종교인의 의식 조사 -대순진리회 사례를 중심으로-

        정지윤 ( Ji Yun Jeong ),윤기봉 ( Gi Bong Yun ) 한국신종교학회 2015 신종교연구 Vol.32 No.-

        145년의 역사적 배경을 지닌 대순진리회에서 수도인들에게 개고기 섭취는 현재까지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음식문화 중 하나이다. 이러한 음식문화가 현재 동물보호단체들에 의해 집중적으로 금기 식품으로 압력이 가해지는 데 관하여 단순히 그것이 음식문화의 차이라든가, 전통습속의 문제라는 이유로 간단히 무시해 버릴 수는 없다. 왜냐하면 종교안에서 음식은 종교적 이념이 실제로 생활 속에서 어떻게 실천되는가를 살피는 데 매우 유효한 매개물이기 때문이다. 이 글은 대순진리회 수도인들이 개고기 음식문화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현재 수도인들에게 그것이 실질적으로 지켜지고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음식문화가 수도인들의 신앙적 정체성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관하여 연구한 것이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증산은 하층민인 농민의 노고(勞苦)를 위하고 상등인으로 해원 시키고자 개고기를 섭취하였으며, 인간에게 이용만 당하고 매정하게 쫓김 당한망량의 원(怨)을 풀어주고자 망량이 즐긴 개고기를 섭취하였음을 그의 언설에 나타난 문헌 연구를 통해 유추할 수 있었다. 이처럼 증산의 해원(解.)의 범위는 인간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자연 사물과 나아가 신의 세계에 이르기까지 전 우주적인 범위를 포함한다. 따라서 증산의 개고기 섭취는 선천(先天)이 부조리를 뜯어고치고 후천(後天)의 새 운수를 여는 종교 행위인 천지공사와 긴밀한 관련성을 맺고 있는 해원의 상징적 행위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해원의 상징적 의미를 지니는 증산의 개고기 섭취는 현재 대순진리회 수도인에게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지 설문지와 인터뷰를 통해 살펴보았다. 수도인들에게 개고기 섭취는 조선 시대에 농민(천민)들이 극심한 체력 소모가 있을 때 손쉽게 구하여 먹을 수 있던 농민의 음식이며, 우당 제세시 무더운 여름 힘든 노동이 있는 날이면 보양식 차원으로 섭취했던 전통 음식문화로 이해되고 있었다. 따라서 대순진리회에서 개고기 섭취는 교리 안에서 권위도 규칙도 권유사항도 아니다. 이 글을 계기로 대순사상의 음식이 지닌 상징성을 보다 심층적으로 연구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In Daesoonjinrihoe where there is 145 years of historical background, the tradition of taking canine flesh has been continued up to present. The fact that this culinary culture is put under pressure as incepting a taboo food by animal protection group cannot simply be ignored as a lack of understanding on the difference of culinary culture or the problem of traditional convention. It is because the food in religion is a very effective media to check how the religious idea is practised in actual life. In this regard, this article investigates how the cultivators in Daesoonjinrihoe responds to canine flesh culinary culture, whether it is effectively observed, and which role it contributes to the identity formation in religious belief of cultivators. Summing up the overall result, we can infer the following facts from the literature research on Jeungsan``s discourse. First, Jeungsan took canine flesh to console and relieve the grudges of peasants of a lower classes so that they can be treated by and among themselves as a first class people. Second, he took it to relieve the grudges of goblins who were thrown out after being sucked in by human beings. Likewise, the scope of Jeungsan``s work of relieving the grievances is not confined to human beings, but can be incorporated into the universal scope, all-encompassing the spiritual realm as well as natural things. Accordingly, Jeungsan``s intake of canine flesh can be understood as a symbolic act of relieving the grievances which are germane to the Reordering of the Universe as a religious act, rectifying absurdity of the previous world while opening a new fortune of the later world. Through questionnaire and interview, we have investigated how Jeungsan``s intake of canine flesh is understood by the present cultivators of Daesoonjinrihoe. To cultivtors, the intake of canine flesh was understood as the peasants`` food of Joseon period, which can be easily taken in the time of extreme loss of energy. Further, during the period of Wudang, it was also understood as a traditional culinary culture, especially as a health food when there needs an elbow grease in summer. Therefore, the intake of canine flesh in Daesoonjinrihoe turns out neither to have any authority, rule, nor any recommendation. With this article as a momentum, we hope to see further studies flourishing on symbolism of the culinary culture in Daesoon thought.

      • KCI등재

        증산의 해원상생 관점에서의 개고기 논쟁

        김진영 한국종교학회 2019 宗敎硏究 Vol.79 No.3

        Dogmeat is an element of Korean traditional cuisine that has been transmitted throughout history. However, this matter has emerged as a major point of interest due to the process Korea has undergone in recent times, during which it has become more open. The tension between the pros and cons of eating dogmeat is increasingly as acute as it is impossible to draw social consensus or legal arbitration. In this regard, Kang Jeungsan suggested a “grievance resolution for mutual beneficence” as one solution to this contentious situation, which is a practical ethics focused on resolving accumulated grievances and pursuing mutual beneficence. The conflicts that have emerged around the notion of eating dogmeat have been born out of aged-old tradition, however, the present circumstance requires to continually find new ways for new views on value and life. In Jeungsan’s view, as a grievance resolution for mutual beneficence urges the integration and development of society, i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fundamentally removing conflicts and clashes among individuals, classes, races, ethnic groups, nations, and civilizations. In this context, grievance resolution then becomes a stepping stone towards suggesting a solution to the conflict over the consumption of dogmeat. If eating dogmeat is comprehended as a unique element of Korean culture, its practice is likely to be justified. Conversely, if it is driven to the point of requiring a radical grievance resolution, the rationale for its practice is weakened, thus positioning the consumption of dogmeat as a subject of avoidance and suspicion. Most Korean people have changed their views on eating dogmeat, as the practice has confronted tremendous adversity both at home and abroad. Accordingly, this research describes a solution for resolving this conflict, in which a certain food or food culture has emerge as a social issue, by suggesting Jeungsan’s concept of a “grievance resolution for mutual beneficence,” thus reflecting the present perspective. In addition, his thought is applied more broadly throughout this research. 개고기 식용은 우리나라의 관습적 식문화의 일부로서 오랜 기간 한국인 의 전통음식으로 자리잡아 왔으나 최근 한국사회가 개방성을 띠는 과정에 서 논쟁의 대상으로 부상하였고 찬반간 대립은 사회적 합의나 법률적 중재 가 어려울 만큼 첨예화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맥락 속에서, 강증산이 제 시한 상생은 사회의 첨예한 갈등을 종교적인 측면에서 새롭게 조명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는 묵은 원을 풀고 상생을 도모해 나가야 한다는 실 천윤리인 ‘해원상생’을 갈등 구조에 대한 해법으로 제시한다. 개고기 식용 논쟁은 인습적 사고의 틀 속에서 잉태되었고, 변화하는 시대적 상황은 새로 운 시대가 요청하는 새로운 가치관과 새로운 삶의 방식을 끊임없이 모색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사회 통합과 발전을 기하도록 촉구하는 후천시대의 사 회관계로서 증산의 해원상생은 개인, 계급, 민족, 국가, 문명들 간의 충돌과 갈등을 근원적으로 제거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그런 의미에서 해원상생은 개고기 식용 논란의 해법에 교두보를 마련한다. 만약 개고기 식용이 고유한 문화로서 상생적 해원으로 이해될 수 있다면 존재 가치가 충분하겠지만, 반대로 상극적 해원으로 치닫는다면 그것의 존 재 이유는 설득력을 잃어 의심과 회피의 대상일 수밖에 없다. 국내외적으로 상당한 도전으로 받고 있는 개고기 식용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역시 이미 상당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현대라는 시대적 관점을 반영하여 증산의 해원상생의 교리가 갖는 윤리성이 어떤 음식 또는 음식문 화가 논쟁거리로 부상할 경우 그에 대한 해법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을 설 명하고 해원상생을 보다 넓은 차원에서 해석해야 할 것을 주장한다.

      • KCI등재

        먹을 것을 선택할 권리의 제한 사유 – ‘개식용종식법’ 평가를 중심으로 –

        허창환 한국헌법학회 2024 憲法學硏究 Vol.30 No.2

        ‘먹는 행위’는 생존을 위한 것인 반면, ‘먹을 것을 선택하는 행위’는 종교적・문화적 권리의 행사 또는 정치적 표현의 자유를 실현하기 위한 행위이기도 하다. 특별한 목적 없이, 단순히 먹고 싶은 것을 먹을 권리는 헌법 제10조의 행복추구권에서 파생되는 ‘일반적 행동의 자유’에 속한다. 이러한 권리는 종래 ‘공중보건, 건강’, ‘생물다양성’을 이유로 제한되고 있다. 최근에는 ‘동물복지’나 ‘다수의 문화적・종교적 정서’를 이유로 제한되기도 한다. ‘개식용종식법’의 명시적인 입법목적은 ‘생명 존중과 동물복지’다. 그러나 그 진정한 목적은 ‘개는 반려동물이다’라는 삶의 접근방식을 가진 국민의 권리와 자유를 보호하려는 것이다. 입법자는 오늘날 반려동물 문화가 정착되어, 개고기식용 문화에 대한 법 감정에 엄청난 변화가 생겼고, 그러한 국민 일반의 법의식과 가치관을 바탕으로 한 입법재량권을 행사한 것이다. 이에 대해 문화적 편협성이나 소수자 권리 보호, 또는 그 입법목적이 개고기를 먹을 권리를 제한해야 할 정도로 중대하거나 긴급하지 않다는 비판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개고기 식용종식법의 실질적인 입법목적이 헌법적 가치에 위배되지 않는 이상, 그 입법 여부에 대해 입법자는 광범위한 입법재량을 가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헌법재판소가 입법목적의 정당성 자체를 부정하는 것은 자제할 필요가 있다. 그 입법목적의 정당성을 인정하더라도, 법익의 균형성을 심사하는 단계에서 ‘다수의 정서’라는 공익의 중대성과 소수자의 사익은 비교・형량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를 곧 소수자의 권리를 포기하는 것이라고 볼 수는 없기 때문이다. While the act of eating is about survival, the act of choosing what to eat is also about the exercise of religious and cultural rights or the realization of freedom of political expression. The right to eat what you want, without any particular purpose, falls under the “general freedom of action” that derives from the Tenth Amendment's right to pursue happiness. This right has traditionally been restricted on grounds of “public health”, “healthcare”, and “biodiversity,” but more recently it has also been restricted on grounds of “animal welfare” and “the cultural and religious sentiment of the majority. The stated legislative purpose of the special act on banning the consumption of the dog meat is “respect for life and animal welfare”. However, its more fundamental purpose is to protect the rights and freedoms of people with a dog-as-pet approach to life. The legislator exercised legislative discretion based on the general public's legal consciousness and values, as the pet culture has become established today, and there has been a tremendous change in legal attitudes towards the dog meat eating culture. There may be criticisms of cultural intolerance or minority rights protection, or that the objective is not important or urgent enough to warrant restricting the right to eat dog meat. However, as long as it is in the “public interest,” the legislator has broad legislative discretion as to whether or not to enact it. To this perspective, the Constitutional Court must refrain from denying the legitimacy of the legislative purpose itself. Even if the legitimacy of the legislative purpose of ‘majority sentiment’ is recognized, it cannot be seen as a waiver of minority rights since the ‘minority rights’ can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balancing the interests of the law against ‘majority sentiment’.

      • 개고기의 脂肪酸 組成에 關한 硏究(Ⅰ)

        김을상,임경자,정은자 한림대학교의료원 1977 人間科學 Vol.1 No.9

        In summer, some Korean people like to have "Bo Sin Tang" as their favorite food. It seems to be realized that the Canis meat, which is thought their constituents of amino acids and fatty acids very pecular than those of other animal meats, would enhance their health. Since there has not been any study of their nutritional aspects other than the general component in this country yet. in order to determine the value of nutrition of Canis meat, the meat from native. kinds of Korean dog had been analyzed in terms of the general compon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1. In the meats from native kinds of Korean dog, the amount of fats 6.6 percent in ham portion, 12.4 percent in bacon portion. and the average of the two is 9.5 percent. 2. The saponification value of the fat is 194~202 and iodine value 70.4∼75.2. 3. The constituent of fatty acid is 37.4 percent in oleic acid which is highest in the fatty acid constituents and show similiar pattern to those in other kinds of meats. 4. The ratio of saturated fatty acid to unsaturated of the fat is 1.62 and that of saturated fatty acid to polyunsaturated 0.39. 5. The total amount of cholesterol in the specimen is 62.5mg% and the ratio of free to ester form 24.2%.

      • KCI등재
      • KCI등재

        문화적 식민화와 저항 : 제시카 하게돈의 『개고기 먹는 사람들』 Jessica Hagedorn's Dogeaters

        이숙희 한국현대영미소설학회 2003 현대영미소설 Vol.10 No.2

        Dogeaters is an important Asian American postcolonial text which deals with how U.S. cultural neocolonialism works in the Philippines. Two factors are most important to bring this situation: the new dominant class of elite natives and the cultural strategy of Pax Americana. The elite natives in the new independent country choose strong pro-U.S. strategy to defend their class interest. For the reward for committing dirty crimes such as torture, assassination, and labor exploitation for America to easily operate its hegemony in the Philippines, Marcos dictatorship and its beneficiary groups are guaranteed their power and economic benefits. Though they advocate nationalism widely through mass media, the ideology of a nation only works for those who are pro-American, pro-capitalists, and pro-consummerism. American pop culture in the Philippines is another important factor to cause neocolonial condition. Philippine culture is saturated with Hollywood films, pop songs, and many media genres adopted from American commercial broadcasting. This cultural trend works in two ways: depoliticization and admiration for America. American pop culture widely permeates in Filipinos' daily lives through mass media. With strong visual effects, it hides the material reality of the Philippines and provides a symbolic world whose syntax is definitely America-oriented. In this process, American value and lifestyle become norms in an Asian country. While it persistently demonstrates American hegemony in the Philippines, Dogeaters also reveals the existence of other subcultures as its hidden scripts. Mistresses, waiters, hairdressers, homosexuals, and porn actresses are among them. These people demonstrate that though their lives are affected by dominant culture to a great extent, they are not total "others" to be passively defined by the interpellation of dominant culture. They have strong autonomy and potentiality to examine, challenge, and reverse the hegemony of dominant culture. The significance of Dogeaters as a postcolonial text lies in revealing their autonomy as well as their complex strategies to survive in a neocolonial situation.

      • KCI등재

        복날[伏日] 풍속의 전승과 변화

        배영동,최유정 실천민속학회 2016 실천민속학연구 Vol.28 No.-

        This study has examined the cultural bakground how Bok-nal (canicular days) has been historically developed as times and seasons representing midsummer and transmitted in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Bok-nal is the typical Jeol-il (ritual holiday) of midsummer which contains the meaning of making effort to repel the heat wave. Summer ends after safely passing three Boks called Chobok, Joongbok, and Malbok, so Bok-nal is on everyone’s lips and remembered widely. The custom of Bok-nal can be examined by dividing into two periods - the traditional society before the commercialization of Bok-dal-im food (the custom of eating hot soup in order to repel the summer heat) and the industrial society after the commercialization of Bok-dal-im food. Traditionally, people spent Bok-nal by getting away from the heat, having invigorating food and cool food that relieves the heat, and drinking alcohol. However, the ways of spending Bok-nal were different by classes. Rich people with time to spare took a rest on Bok-nal, a farm family would not take a rest properly on Bok-nal due to the busy farm work. The custom of Bok-nal has changed a lot with the commercialization of Bok-dal-im food. With the 1980’s international events, dog meat has been drastically replaced with invigorating food such as sam-gye-tang (chicken soup with ginseng and other ingredients) or yuk-gye-jang (hot spicy beef soup) among the Bok-dal-im foods because of the negative perceptions that have sprung up since the Japanese colonial era. Also, the usage of cool fruits and drinks as Bok-dal-im food has increased a lot. The commercialization of Bok-dal-im food started with commercial capitalism and it has proliferated largely as Korea has shifted to an industrial society. People think buying Bok-dal-im food on Bok-nal and eating it is important since eating out has generally become popular for all. Also, during the three Boks, a custom for officer workers getting far away from the heat under the name of vacation has become popular. On top of that, businesses plan sales events of products to avoid midsummer heat and release Bok-dal-im goods. Bok-nal is recognized as a day to repel midsummer heat by eating certain foods in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이 연구는 한여름을 대표하는 세시로서 복날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전개되었으며, 현대 산업사회에서도 전승되는 문화적 배경과 의미에 대해서 고찰한 것이다. 복날은 무더위를 이길 수 있도록 노력하라는 의미를 지닌 대표적인 한여름의 잡절(雜節)이다. 초복, 중복, 말복이라는 삼복을 무사히 보내면 여름이 끝나는 셈이니, 복날은 사람들에게 널리 회자되고 기억될 만하다. 복날 풍속에 대해서는 복달임 음식이 상품화되기 전의 전통사회, 복달임 음식이 상품화된 산업사회로 대별하여 살필 수 있다. 전통적으로 복날에는 피서를 가고, 원기를 돋우는 보양음식과 금방 더위를 가시게 하는 시원한 음식을 먹고, 술도 마시면서 보냈던 것이다. 그럼에도 계층별로 복날을 쇠는 방식이 달랐다. 부유하고 시간 여유가 있는 사람들은 복날을 챙겨서 쉬었고, 농가에서는 농사일이 바빠서 복날에 제대로 쉬지 못하였다. 복달임 음식이 상품화되면서 복날 풍속이 많이 변했다. 복달임 음식 가운데 개고기에 대해서는 일제강점기부터 부정적 인식이 싹터서 1980년대 국제행사를 계기로 삼계탕이나 육개장 같은 보양음식으로 대폭 대체되었다. 아울러 시원한 과일과 음료도 복달임 음식으로 많이 늘어났다. 복달임 음식의 상품화는 상업자본주의와 함께 시작되어 산업사회로 이행하면서 크게 확산되었다. 특히 외식이 일반화된 이후부터 사람들은 복날에 복달임 음식을 사서 먹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또한 삼복중에는 직장인들이 바캉스니 휴가니 하는 이름으로 멀리 피서를 가는 풍속도 생겨서 유행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기업에서는 삼복더위를 피하는 상품 판매행사를 기획하여 복달임 물품을 방출하기도 한다. 현대 산업사회에서 복날은 특정 음식을 먹고 한여름 무더위를 이기려는 날로 인식되고 있다. 다수의 전통세시가 자취를 감춘 오늘날에도 복날이 전승되는 것은 전통문화가 선택적으로 전승된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