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완성도 감정 가이드라인 작성을 위한 감정 사례 분석

        권기태 한국소프트웨어감정평가학회 2023 한국소프트웨어감정평가학회 논문지 Vol.19 No.4

        소프트웨어 완성도 감정 가이드라인은 다양한 실제 감정 사례를 바탕으로 작성되어 구체적인 지침과 예시를 통해 효율적인 감정을 지원하고, 감정서의 품질 향상을 위한 세부적인 분석방법, 비즈니스 모델 등에 대한가이드를 제공하여 고도화된 세부 감정서 작성을 지원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완성도 감정에 관련된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가이드라인 작성에 참고가 되었던 유형별 대표적인 감정 사례를 중심으로 감정 요청 사항, 감정 방법 및 결과를 분석 정리하고 완성도 산출 시 각 항목별 가중치 부여 방안, 하자보수 기간 및 비용 계산 방법을 제시하였다. Software maturity appraisal guidelines should be based on various actual appraisal cases to support efficient appraisal through specific guidelines and examples, and to support the creation of advanced and detailed appraisal reports by providing guidance on detailed analysis methods, business models, etc. to improve the quality of appraisal reports. In this study, based on existing research related to software completeness appraisal, the emotional requests, appraisal methods, and results were analyzed and organized, focusing on representative emotional cases for each type that were referenced in writing guidelines, and the weighting method for each item, defect repair period, and cost calculation method were presented when calculating completeness.

      • KCI등재

        감정절차에 있어 감정인의 지위와 당사자의 참여권

        표호건(Pyo, Ho-Kun)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2 法學論叢 Vol.19 No.3

        참여권을 감정 내용을 당사자가 이해하고 후에 감정에 대한 의견 표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설명의 본연의 자세의 하나로 평가하면 적어도 당사자가 참여하지 않으면 후에 감정서 내용의 올바름을 판단할 수 없고, 감정에 대한 의견 표명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참여를 인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할 수 있다. 감정 작업에 당사자의 참여를 인정해 감정 절차를 투명화한다는 것은 알기 쉬운 감정을 실현하고 감정을 통해 당사자의 납득 형성을 촉진하기 위해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감정은 법원의 판단의 보조 수단 혹은 당사자의 단순한 공격방어방법으로서 뿐만 아니라 당사자가 당해 사건에서 문제가 되는 전문 지식에 대해 납득을 형성하기 위한 절차라 할 수 있다. 우선 감정인 신문권은 이러한 감정의 역할을 담보하기 위한 가장 중심이 되는 당사자권이고 그 보장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 보장을 실효적인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단지 당사자에게 신문 기회를 주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감정인이 당사자에게 알기 쉬운 형태로 전문 지식을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감정 작업에 있어 당사자의 참여도 감정 내용의 이해를 위한 방법의 하나라 할 수 있다. Sachverständige sind Personen, die dem Richter auf seine Anordnung hin die ihm fehlende Kenntnis von Rechtsnormen oder Erfahrungssätzen vermitteln oder auf Grund von Erfahrungssätzen(Sach- und Fachkunde) aus einem feststehenden Sachverhalt Schluβfolgerungen ziehen oder auf Grund ihrer besonderen Sach-und Fachkunde Tatsachen feststellen. Der Sachverständige ist danach eine Art Richtergehilfe und unterliegt für Art und Umfang seiner Tätigkeit Weiungen des Gerichts. Die Einordnung des Sachverständigen als Beweismittel wird dadurch jedoch nicht berührt. Seine Aussage heiβt Gutachten. Woher der Sachverständige seine Sachkunde hat, ist ohne Belang. Er kann sie sich, wenn er sie nicht bereits besitzt, aus Büchern und auch durch Befragung in Fachkreisen verschaffen, muβ dann allerdings die Grundlagen seines Gutachtens offenlegen.

      • KCI등재

        템플스테이 만족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감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병길,김민자 대한관광경영학회 2012 觀光硏究 Vol.27 No.4

        본 연구는 템플스테이 체험과정의 주요 속성인 체험요인, 인적서비스요인, 그리고 시설환경요인이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이러한 이차원적인 감정 구조가 참가자들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템플스테이 지정 운영사찰을 대상으로 총 768부의 자료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템플스테이 체험요인은 참가자의 긍정적 감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부정적 감정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체험요인은 부정적 감정에 비해 긍정적 감정에 대한 영향력이 다소 크게 나타나 만족요인에 가깝다고 판단된다. 인적요인과 시설환경요인 또한 참가자의 긍정적 감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부정적 감정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템플스테이 참가자의 긍정적 감정은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부정적 감정은 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템플스테이 참가자의 체험, 인적서비스, 그리고 시설환경에 대한 지각이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을 매개로 하여 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emple-stay satisfaction and it's anteced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 More specifically, it investigated how temple-stay experience factors, human factors and facility factors influence participant's emotions (comprising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and temple-stay satisfaction formation. The authors propos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comprising six constructs. Data were collected from 768 temple-stay participants in designated temple-stay operating temples, and analyzed by AMOS 7.0.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emple-stay experience factors appea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emotion and a negative effect on negative emotion. Moreover, the effect of experience factors on positive emotion appeared to be comparatively stronger than on negative emotion Second, human factors and facility factors had effects on temple-stay participants' both of emotion. Third, the effect of temple-stay participants' positive emotion on satisfaction formation was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the effect of negative emotion on satisfaction formation was negativ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s of temple-stay experience, human and facility factors on satisfaction formation were mediated by positive emotion and negative emotion.

      • KCI등재

        감정 불일치가 인지적으로 불일치한 자극에 대한 평가에 미치는 영향

        주경희(Chu, Kyounghee) 한국문화산업학회 2017 문화산업연구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감정 불일치가 인지적으로 불일치한 자극에 대한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비전형적 성역할 광고는 인지적으로 스키마 불일치한 자극으로, 본 연구에서는 비전형적 성역할 광고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변수로 감정불일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두 가지 상반된 감정을 경험하는 혼합감정은 경험하는 감정들이 서로 불일치한 상태로, 본 연구에서는 혼합감정 소구를 이용하였을 때, 행복 혹은 슬픔 감정 소구 광고보다 비전형적 성역할 광고에 대한 태도가 더 높게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혼합감정소구를 이용하였을 때, 행복과 슬픔 소구보다 소비자들이 비전형적 성역할 광고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더불어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메커니즘에 대한 검증 결과, 혼합감정과 비전형적 성역할 광고 태도의 관계를 광고에 대한 창의성 지각이 매개함을 밝혔다. 본 연구는 감정 불일치(혼합감정 소구)가 인지적 불일치(비전형적 성역할을 보여주는 광고)에 대한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불일치 연구를 보다 다양한 맥락으로 확장하였다는 점과 향후 관련 연구를 촉진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지닌다. 또한 마케팅 실무자의 관점에서는 비전형적 성역할 광고를 기획할 때, 본 연구결과를 잘 활용한다면 더 좋은 광고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motional incongruity on the evaluation toward cognitively incongruent stimulus. Specifically, this study verifies that mixed emotional appeals in the ads highlight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are more effective for non-stereotypical gender role advertising than single emotional appeals(happiness and sadness) in the ads. Also, this study suggests perceived creativity through encountering mixed emotions ads as a mechanis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s: frist, this study reveals that people in the mixed emotional appeal condition have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non-stereotypical gender role advertising than happy and sad emotional appeals conditions. Next,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ad creativity mediated the effect of mixed emotions on ad attitude. Specifically, it showed that when participants encountered mixed emotional appeals in the ads, it led to higher perceived creativity of the ads, which resulted in higher attitude toward the non-stereotypical gender role advertising. This study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scope of literature on incongruity considering both emotional incongruity(mixed emotions) and cognitive incongruity(non-stereotypical gender role advertising). Also, this research provides useful guidelines formarketers to design the non-stereotypical gender role advertising. 본 연구에서는 감정 불일치가 인지적으로 불일치한 자극에 대한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비전형적 성역할 광고는 인지적으로 스키마 불일치한 자극으로, 본 연구에서는 비전형적 성역할 광고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변수로 감정불일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두 가지 상반된 감정을 경험하는 혼합감정은 경험하는 감정들이 서로 불일치한 상태로, 본 연구에서는 혼합감정 소구를 이용하였을 때, 행복 혹은 슬픔 감정 소구 광고보다 비전형적 성역할 광고에 대한 태도가 더 높게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혼합감정소구를 이용하였을 때, 행복과 슬픔 소구보다 소비자들이 비전형적 성역할 광고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더불어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메커니즘에 대한 검증 결과, 혼합감정과 비전형적 성역할 광고 태도의 관계를 광고에 대한 창의성 지각이 매개함을 밝혔다. 본 연구는 감정 불일치(혼합감정 소구)가 인지적 불일치(비전형적 성역할을 보여주는 광고)에 대한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불일치 연구를 보다 다양한 맥락으로 확장하였다는 점과 향후 관련 연구를 촉진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지닌다. 또한 마케팅 실무자의 관점에서는 비전형적 성역할 광고를 기획할 때, 본 연구결과를 잘 활용한다면 더 좋은 광고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motional incongruity on the evaluation toward cognitively incongruent stimulus. Specifically, this study verifies that mixed emotional appeals in the ads highlight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are more effective for non-stereotypical gender role advertising than single emotional appeals(happiness and sadness) in the ads. Also, this study suggests perceived creativity through encountering mixed emotions ads as a mechanis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s: frist, this study reveals that people in the mixed emotional appeal condition have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non-stereotypical gender role advertising than happy and sad emotional appeals conditions. Next,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ad creativity mediated the effect of mixed emotions on ad attitude. Specifically, it showed that when participants encountered mixed emotional appeals in the ads, it led to higher perceived creativity of the ads, which resulted in higher attitude toward the non-stereotypical gender role advertising. This study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scope of literature on incongruity considering both emotional incongruity(mixed emotions) and cognitive incongruity(non-stereotypical gender role advertising). Also, this research provides useful guidelines formarketers to design the non-stereotypical gender role advertising.

      • KCI등재

        소설 『こころ』에 나타난 감정표현 ‘경(驚)’에 관한 번역 양상 - 한국어 번역 작품과 영어 번역 작품을 중심으로 -

        양정순 ( Yang Jungsoon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8 비교문화연구 Vol.51 No.-

        감정표현의 종류에는 감정을 묘사하는 어휘, 감탄문ㆍ수사의문 등의 감정표현을 위한 문 구성, 간투사 표현, 발상태도의 부사, 문체 등이 제시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감정표현 가운데서 감정을 묘사하는 어휘를 중심으로, 『こころ』에 나타난 ‘驚’의 감정 표현의 번역 양상을 분석했다. 그 결과 ‘驚’에 관한 번역 양상을 보면 사전에 제시한 대로의 어휘로 번역되는 경우도 있었지만 꼭 그렇지만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본어 문에서 사용된 ‘驚’의 감정 어휘에 대해, 한국어 역에서는 대체로 ‘동사⇒동사, 형용사’, ‘부사+동사⇒동사’ ‘부사⇒부사’로 번역되었지만, 감정표현을 강조하기 위해 다른 어휘가 더해진 경우가 있었다. 일부 ‘명사’는 용언을 이용해 번역되기도 했다. 상황에 따라 번역어휘는 ‘Surprise類’ 뿐 아니라 ‘Fear類’과 ‘Sadness類’의 어휘까지도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영어 역의 경우, 한국어 역에서 보였던 것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주로 ‘동사⇒be+동사의 과거분사’, ‘부사+동사⇒be+동사의 과거분사’ ‘부사⇒be+동사의 과거분사’로 번역되었으며, ‘Surprise類’, ‘Fear類’ 등의 감정을 표현하는 동사 외에 감정 주체의 상태를 대체 표현할 수 있는 동사로 까지도 이용되는 등 매우 다양했다. 문중에 감정주체가 있는 경우의 한국어 역은 대체로 일본어 문과 일 대 일 대응 방식을 보였다. 문중에 감정주체가 없는 경우도 유사한 성향을 보이면서도, 3인칭인 경우에는 생략된 요소가 복원 가능하도록 유도한 번역이 보였다. 영어 역을 보면, 문중에 감정주체가 있는 경우에서만 아니라, 문중에 감정주체가 없는 경우도 생략된 감정주체 및 이를 판단하는 판단주체까지도 복원시켜 번역했다. 일본어와 한국어와 달리 주어는 감정을 느끼는 사람만 온 것이 아니라, 사건, 행위, 감정을 일으키는 원인이 제시되기도 했다. Types of emotional expressions are comprised of vocabulary that describes emotion and composition of sentences to express emotion such as an exclamatory sentence and a rhetorical question, expressions of interjection, adverbs of attitude for an idea, and a style of writing. This study is focused on vocabulary that describes emotion and analyzes the aspect of translation when emotional expression of ‘Kyo(驚)’ is shown in 『Kokoro』. As a result, the aspect of translation for expression of ‘Kyo(驚)’ showed that it was translated to vocabulary as suggested in the dictionary in some cases. However, it was not always translated as suggested in the dictionary. Vocabulary that describes the emotion of ‘Kyo(驚)’ in Japanese sentences is mostly translated to corresponding parts of speech in Korean. Some adverbs needed to add ‘verbs’ when they were translated. Different vocabulary was added or used to maximize emotion. However, the corresponding part of speech in English was different from Korean. Examples of Japanese sentences expressing ‘Kyo(驚)’ by verbs were translated to expression of participles for passive verbs such as ‘surprise’ ‘astonish’ ‘amaze’ ‘shock’ ‘frighten’ ‘stun’ in many cases. Idioms were also translated with focus on the function of sentences rather than the form of sentences. Those expressed in adverbs did not accompany verbs of ‘Kyo(驚)’. They were translated to expression of participles for passive verbs and adjectives such as ‘surprise’ ‘astonish’ ‘amaze’ ‘shock’ ‘frighten’ ‘stun’ in many cases. Main agents of emotion were showat the first person and the third person in simple sentences. Translation of emotional expressions when a main agent was the first person showed that the fundamental word order of Japanese was translated as in Korean. However, adverbs of time and adverbs of degree were ended to be added. The first person as the main agent of emotion was positioned at the place of subject when it was translated in English. However, things or causes of events were positioned at the place of subject in some cases to show the degree of ‘Kyo(驚)’ which the main agent experienced. The expression of conjecture and supposition or a certain visual and auditory basis was added to translate the expression of emotion when the main agent of emotion was the third person. Simple sentences without the main agent of emotion showed that their subjects could be omitted even if they were essential components because they could be known through context in Korean. These omitted subjects were found and translated in English. Those subjects were not necessarily human who was the main agent of emotion. They could be things or causes of events that specified the expression of emotion.

      • KCI등재

        헤겔의 감정 개념

        조창오(Cho, Chang Oh) 새한철학회 2018 哲學論叢 Vol.94 No.4

        헤겔은 자신의 전체론적 정신 모델을 통해 감정의 개념을 발전시킨다. 감정은 감각과 신체화와 더불어 발생한다. 감각이 대상에 대한 지향적 관계에서 발생한다면, 감정은 감각에 대한 나의 현상적 의식을 의미하며 신체화는 감각과 감정에 동반된다. 감각-감정-신체화는 동시적인 현상이지 단계적인 과정이 아니다. 헤겔에 따르면 인간의 정신은 감각-감정-신체화 현상을 ‘습관’이라는 과정을 통해 자기에 복속시킨다. 이 과정이 없다면 정신은 감각-감정-신체화라는 자동적인 과정에 갇혀 있게 된다. 하지만 반복되는 이 과정의 경험을 통해 정신은 이 과정 자체를 습관화한다. 이를 통해 정신은 대부분의 감각-감정-신체화 과정을 의식하지 않게 된다. 더 나아가 정신은 감각-감정-신체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 수동적인 상태가 아니라 능동적인 주체로 발전한다. 감각과 감정, 신체화는 정신이 자신의 내면을 표현하는 상징적 기호가 된다. 감각과 감정, 신체적 변화는 정신에게 발생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정신은 이들을 통해 자신을 표현한다. 물론 정신이 표현하려는 의미와 상징적 기호로서의 감각, 감정, 신체적 변화는 불일치하다. 이점에서 인지주의의 딜레마가 발생한다. 인지주의의 딜레마는 우리가 감정을 인지주의적으로 해석할 때 발생한다. 이에 따르면 감정은 인지주의적인 내용을 가지지만, 동일한 인지주의적 내용이 서로 다른 감정을 발생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동일한 감정이 서로 다른 인지주의적 내용을 전제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인지주의의 딜레마는 헤겔의 감정이론으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해소된다. Hegel develops the concept of emotion through his holistic mental model. Emotions occur with sensations and somatization. If sensation occurs in a intentional relationship to an object, emotion means my phenomenal consciousness of sensation, and somatization is accompanied by sensation and emotion. Sensation-emotion-somatization is a simultaneous phenomenon, not a gradual process. According to Hegel, the human mind submits the sensation-emotion-somatization phenomenon to self through the process of `habituation`. Without this process, the mind becomes trapped in the automatic process of sensation-emotion-somatization. However, through the experience of this process, which is repeated, the mind itself becomes habitual. Through this, the mind is not conscious of most of the sensory-emotional-somatization processes. Furthermore, the mind develops as an active subject, not as a passive state influenced by sensation-emotion-somatization. Sensation, emotion, and somatization are symbolic symbols in which the mind expresses its inner side. Sensory, emotional, and physical changes do not happen to the mind. Rather, the mind expresses itself through these. Of course, the sense the mind expresses and the sense, emotion, and physical change as it’s symbolic symbols are inconsistent. This leads to a dilemma of cognitivism. The dilemma of cognitivism occurs when we interpret emotions cognitively. According to this, emotion has a cognitive content, but the same cognitive content can generate different emotions. Furthermore, the same emotion may be based on different cognitive content. This dilemma of cognitivism is not solved but canceled by Hegel`s emotional theory.

      • KCI등재

        이익 혹은 손실 상황에서 금융소비자들이 경험하는 감정은 모두 같은가? -조절초점에 따른 감정 유형 간 강도 그리고 만족도 차이를 중심으로-

        김영두 ( Young Doo Kim ) 한국소비자학회 2011 소비자학연구 Vol.22 No.3

        본 논문에서는 유인가(이익 혹은 손실)가 동일할지라도 금융소비자들이 경험하는 감정과 만족도가 향상초점 대 예방초점으로 구분되는 조절초점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해 보았다. 감정 연구와 관련된 기존 연구들은 동일한 유인가(valence)를 지닌 감정은 동일한 방향으로 감정 반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흐름과 동일한 유인가 일지라도 감정 유형에 따라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다는 증거들을 보여주는 연구 흐름으로 진행되어 왔다. 조절초점(regulatory focus)이론과 조절 적합성(regulatory fit)이론에 따르면 유입 정보로서의 감정은 정보처리자가 어떠한 목적 혹은 동기를 가지고 그 유입정보를 받아들이는지에 따라서 동일한 유인가의 감정 상황일지라도 달리 해석하고 반응할 가능성이 높다. 본 논문에서 유인가를 실험1에서는 기대 이상의 이익(긍정적 감정)과 기대 이상의 손실(부정적 감정)로 처치하였고 실험2에서는 기대 이하의 이익과 기대 이하의 손실(혼재된 감정)로 처치하였다. 감정유형은 환희/고요/낙담/초조 관련 감정으로 구분하였고, 조절초점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으로 구분하였다. 본 논문에서 발견된 사항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인가(이익 혹은 손실 상황) 측면에서 금융소비자들이 전반적으로 느끼는 감정은 이익 상황에서는 긍정적 감정을 느끼고 있고 손실 상황에서는 부정적 감정을 느끼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조절초점 측면에서 감정 반응을 비교해 보면 향상초점(예방초점)의 금융소비자들이 예방초점(향상초점)의 금융소비자들에 비해 긍정(부정) 반응이 높게 나타났으며, 그 주요 원인은 예방초점의 금융소비자들이 향상초점의 금융소비자에 비해 부정적 감정을 더 크게 느끼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익 혹은 손실(유인가)이 기대 보다 적게 발생한 경우 유인가의 방향성 효과는 발생하였으나 조절초점 간의 감정 차이는 유의하게 발생하지 않았다. 셋째, 고객만족도는 유인가의 방향성 효과가 발생하였으나 유인가(이익 혹은 손실)가 기대 보다 적게 발생한 경우 초절초점 간 차이가 발생하지는 않았다. 넷째, 이익 상황인 경우 환희 관련 감정의 강도가 고요 관련 감정의 강도 보다 강하게 나타났으며, 손실 상황에서는 예방초점의 금융소비자들이 향상초점의 금융소비자들에 비하여 초조 관련 감정을 더 크게 경험하였다. 이러한 발견사항들의 이론적 시사점을 기술하였고, 실무적 시사 점을 마케팅, 의사결정, 자기조절 대처 전략 차원에서 기술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financial consumers experience emotional responses and satisfaction intensity differently according to regulatory focus (promotion focus vs. prevention focus) and regulatory fit, even though the monetary induced emotional valence (gain vs. loss) is in the same direction. Two research streams exi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s and decision-making. First, emotional valence influences decision-making. This perspective assumes that not only all negative emotions, but also all positive emotions play the same role in influencing decisionmaking. Second, even though emotions share the same valence, they may influence decisionmaking in different ways. However, these two research streams have existed in separate domains. In this article, I propose that regulatory focus, derived from self-discrepancy theory, as a kind of cognitive structure, plays an important role in different ways of activating emotional responses and therefore differential influence on decision-making. Consumers appraise emotion as an input information, and interpret i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decision making goal. According to self-regulatory orientation, promotion focus and prevention focus have different motivational inclinations, different implicit or explicit goals, and different goal-attaining behavior strategy. Regulatory focus activate distinct emotions and the impact of emotions on decisionmaking can transpire in line with regulatory fit. This hypothesis was examined under laboratory conditions with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impact of psychological states evoked by monetary valence (gain vs. loss) on emotional responses displayed the same directional effects. Emotional valence was positive in the domain of gain, whereas emotional valence was negative in the domain of loss. Regulatory focus, however, played a differential role in emotional responses. Promotion-focused participants generally responded positively in overall emotions, whereas prevention-focused participants generally responded negatively in overall emotions. This result was somewhat different than what would be expected according to prospect theory. Second, The influence of regulatory focus on emotional responses and satisfaction was disappeared when customer`s outcome performance posited ``gain-but-less than expectancy level`` (positive performance but expectancy-negative disconfirmation condition) or ``loss-but-less than expectancy level`` (negative performance but expectancy-positive disconfirmation condition). But even though under these conditions, valence displayed the same directional effects on emotional responses and satisfaction. Third, in the gain domain, cheerfulness-related emotional responses were more intense than those of quiescence-related emotional response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promotion-focused participants and prevention-focused participants. In the loss domain, prevention-focused participants reported more intensity in emotion than promotion-focused participant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agitation-related emotional responses and dejection-related emotional responses. Based on these results, I conclude that the intensity of the pleasure of gain and the pain of loss is different in line with regulatory focus, especially regulatory fit. Furthermore, the magnitude of difference in emotional response between promotion-focused financial consumers and preventionfocused financial consumers is larger in the domain of loss than in the domain of gain. Customer care from the perspective of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is very important in the domain of loss, but coping strategies are different in according to regulatory focus.

      • KCI등재

        감정평가 검토 관련 제도 고찰 및 선결과제

        김태훈(Kim, Tae Hoon) 한국부동산연구원 2021 부동산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국내 감정평가 검토 관련 제도와 미국의 감정평가 검토제도 운용실태를 바탕으로 양국 제도 간의 차이를 비교하고 향후 감정평가 신뢰성 향상을 위한 추진 방향과 선결과제를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감정평가 검토 관련 제도의 유형을 감정평가 사전심사제도와 감정평가 사후조사·검토제도로 구분하여 관계 정립 방안을 제언하고, 감정평가 신뢰성 향상을 위한 검토제도 추진 방향 설정 측면에서 감정평가 검토제도 도입을 위한 선결과제를 제언하였다. 감정평가 검토제도 도입을 위한 선결과제로는 ⅰ) 국내 감정평가 검토제도 도입의 사회적 합의 도출, ⅱ) 감정평가 검토의 법적 근거 마련 및 심사제도 등 연계방안 모색, ⅲ) 감정평가 검토업무 수행 관련 기준 마련, ⅳ) 감정평가 검토제도 도입을 위한 보수체계 개선 등을 제언하였다. 최근 감정평가산업의 환경변화 등에 따라 감정평가 검토제도 도입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국내에서 감정평가 검토와 유사한 제도가 시행되고 있는 만큼 각 제도 간의 관계 정립이 모호할 뿐만 아니라 미비점 등 여러 논란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제도 도입에 따른 예상 기대효과 및 부작용 등을 신중하게 고려하여 향후 추진 방향을 설정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compar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omestic and the U.S. appraisal review system based on the operation status of the two countries systems. Moreover, this study aims to present directions and prior task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appraisal in the future. The system types related to domestic appraisal review are divided into an appraisal prescreening system and an appraisal postinvestigation and review system. Moreover, this study proposes a plan to establish their relationship. Further, it suggests prior tasks for introducing an appraisal review system in terms of setting its direction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appraisal. The following are the prior tasks for the introduction of an appraisal review system in Korea: (ⅰ) reaching a social consensus ; (ⅱ) preparing the legal basis and establishing a plan to link the screening system; (ⅲ) preparing the standards for the performance of appraisal review; and (ⅳ) improving the fee system. Recently, there have been discussions on introducing an appraisal review system in line with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appraisal industry.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similar systems being implemented in Korea is ambiguous, and various issues emerge. Therefore, the direction of future implementation should be established by carefully considering the expected and side effects of the introduction of the appraisal review system.

      • KCI등재후보

        정신감정절차의 의무성과 정신감정서의 구속력

        이인영(Lee, In-Young)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0 法學論叢 Vol.17 No.2

        The act of a person who, because of mental disorder is unable to make discriminations or to control one's will, shall not be punished. Insanity defence is an excuse that also permits inquiry into a defendant's capacity to know the law or to exercise free will. The elements of insanity defense must produce that the accused have suffered a defect of reason, from a disease of mind; and that the consequently at the time of the act he did not know that the act was wrong. Now the prosecution would be confronted with the burden of establishing the defendant's sanity in every criminal case. In preparing for the trial a impartial mental health expert should be evaluate the defendant prior to the trial. A court may order a person of learning or experience to give an expert evidence on the mental status of the defendant. As a regards of process and result of expert evidence, expert witness shall summit it in writing. The reason behind expert opinions shall be clearly stated. Based on a wide variety of information, such as the defendant's mental health history, his account of the crime, the facts and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crime, and psychological and medical testing, these experts will form an opinion as to the defendant's mental state at the time of the crime and whether it satisfies the elements of the insanity test used in their jurisdiction. The expert witness qualified as an expert by knowledge, skill, experience, training, or education, may testify in the form of an opinion. The expert's testimony must be the product of reliable principles and methods, and the witness has applied the principles and methods reliably to the facts of the case. It is generally agreed that the expert witness may not be asked the ultimate question of whether the defendant was responsible, seeks a legal conclusion and thus invades the province of the jury. No expert witness testifying with respect to the mental state or condition of a defendant in a criminal case may state an opinion or inference as to whether the defendant did or did not have the mental state or condition constituting an element of the crime charged or of a defense thereto. Such ultimate issues are matters for the trier of fact alone. 감정의 일유형으로 정신감정은 그 증명의 대상이 책임요건에 관한 감정이라는 점과 감정대상이 피고인의 정신상태라는 점에서 구별된다. 책임능력에 대한 정신의학적 감정이 필요한 경우에 그 감정은 반드시 법원의 규범적 판단에 앞서 행해야 한다. 감정인의 법적 지위는 형식적으로는 증인이고, 실질적으로는 법정보조자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감정인의 선임은 법원의 재량에 속하지만 당사자에 의하여 합의된 감정인 또는 당사자가 희망하는 감정인을 선임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당사자로 하여금 각자에게 유리한 과학지식과 이론에 의한 감정을 해줄 감정인에 대한 신청권을 보장하지 않는다면, 법원은 일방적인 전문지식이나 경험에 예속되고 과학적 심증주의 내지 합리적 심증주의를 실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당사자가 객관적 자료를 통해 자신이 희망하는 감정인의 명단을 제출하거나 지정을 증거신청의 일환으로 신청할 경우 법원은 증거신청기각사유가 존재하지 않는 한 이를 반영해야 할 것으로 본다. 한편, 피고인이 정신감정을 주장하는 경우 뿐 아니라 이에 대한 증거조사 신청이 없더라도 또는 항소이유에 명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여러 정황에 비추어 피고인의 정신상태에 대한 감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법원은 직권으로 정신감정절차를 이행해야 할 것이다. 정신감정시 감정의뢰사항은 법원의 권한으로 그 범위를 정한다. 법원이 요구하는 감정사항은 단순히 피감정인의 범행 당시의 정신상태에 대한 정신의학적 의견을 구하는 것부터 피감정인의 정신질환 유무, 범행당시의 심신장애의 유무 및 그 정도, 기타 참고 사항을 요구하고 있다. 감정인의 의견제시의 범위와 관련해서 책임능력과 관련된 심리학적 요소도 그것이 규범적 측면과 관계되는 이상 법관의 재량에 의한 판단이 우선되어야 하겠지만 이에 대해서도 감정인은 나름대로 의견을 진술할 수 있다. 하지만 정신장애에 관한 감정인의 진단에 대해 정신 의학적ㆍ생물학적 지원을 받는다고 하더라도 심신상실 상태 여부는 법관의 법률적ㆍ규범적 판단이라는 한계를 가진다. 법관은 가능한 한 객관적이고 경험법칙에 따른 판단을 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과학적 근거와 객관적 자료를 가지고 있는 책임능력의 생물학적 방법인 감정인의 생물학적 판단에 대해서는 일정부분 이를 수용하여 판단해야할 필요가 있다. 부득이 객관적인 판단의 전제가 되는 전문가 감정을 배제할 경우에는 설득력 있는 합리적인 이유를 제시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상처감정 얼리기’를 통한 시쓰기의 치유적 효과

        송현희(Song Hyeonhee)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9 No.3

        This thesis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poetry writing activities on the children’s healing through ‘freezing hurt feelings’. ‘Freezing feeling’ refers to making the distance to complex emotions. It is a way to express your feelings but not to let others know. This thesis views the order in which the learners faced their hurt feelings in the following order: buried - revealing (writing prose) - freezing (writing poems) - melting. The learners were able to approach the wounded feelings gradually. Through writing a prose and writing a poem, a learner can gradually approach his or her feelings of hurt. The healing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ter writing poems through ‘freezing feeling’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it showed the effect of self-conversion through freezing. The writing of learners contains their thoughts about death. A learner who perceived life as suffering itself had many thoughts of death or suicide, even though it was not the impulse of death. However, ‘freezing hurt feeling’ played a role of self-conversion by allowing learners to be free from their anxieties. Second, it showed the effects of self-confession and reflection through freezing. The learner who had complex had the reflection on the past for the fruit of the future through ‘freezing hurt feeling’ but didn’t stay there and got the power to move forward. Third, it showed the effect of eliminating the sense of alienation through freezing. In the case of a learner who is struggling with his/her superficial public appearance and the harshness of living in accordance with this appearance, he/she can perceive his/her hurt that came from the real relationship when he/she understands his or her persona. While physical injuries are not healed just by knowing it, the wound in the heart begins to heal just by knowing what the wound is and knowing what behavior the wound causes. Writing poetry through freezing hurt feelings helps to organize chaotic emotions and perceptions and enables them to observe themselves at some distance. This has the effect of eliminating the sense of alienation. 본고는 ‘상처감정 얼리기’를 통한 시 창작 활동이 아동에게 어떠한 치유 효과를 나타나게 하는지 그 효과를 탐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감정 얼리기’란 복잡한 여러가지 감정들에 대한 거리두기를 뜻한다.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되 남들이 알아채지 못하도록 표현하는 방식이다. 본고에서는 학습자들이 상처감정을 마주하는 순서를 ‘묻어두기-드러내기(줄글쓰기) - 얼리기(시 쓰기) - 녹이기’순으로 보았으며 ‘줄글쓰기’와 ‘시 쓰기’를 통해서 학습자가 자신의 상처감정에 대해 점차적으로 다가갈 수 있게 하였다. ‘상처감정 얼리기’를 통한 시쓰기를 한 이후 초등학생에게 미치는 치유적 효과는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첫째, 얼려두기를 통한 자기전환의 효과를 보였다. 학습자의 줄글 쓰기 내용을 보면 ‘죽음’에 대한 학습자의 생각이 들어있었다. 삶을 고난 자체라고 인식한 학습자는 죽음의 충동까지는 아니더라도 죽음 또는 자살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상처감정 얼리기’는 학습자를 고민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게 함으로 써 자기전환의 역할을 하였다. 둘째, 얼려두기를 통한 자기고백과 성찰의 효과를 보였다.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던 학습자는‘상처감정 얼리기’를 통해 자기고백과 성찰의 효과를 보이며 미래의 결실을 위해서 과거를 반성하지만 거기서 머물지 않고 앞으로 더 나아가는 힘을 얻었다. 셋째, 얼려두기를 통한 단절감 해소의 효과를 보였다. 겉으로 보여지는 자신의 모습과 그 모습에 맞춰 살고 있는 고단함에 힘들어 한 학습자의 경우 본인의 페르조나를 이해하면 현실관계 속에서 발생한 상처감정을 인식할 수 있다. 신체적 상처를 아는 것만으로는 치유가 되지 않지만 마음의 상처는 본인이 알고 그로 인해 어떤 행동을 하는지 아는 것만으로도 치유의 시작이라고 본다. ‘상처감정 얼리기’를 통한 시쓰기는 혼란스러운 정서를 인식하고 조직하는데 도움을 주고 자신에 대해 얼마간의 거리를 두고 관찰할 수 있게 해준다. 이는 곧 단절감 해소의 효과를 준다고 판단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