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감성공학의 동향과 산업디자인

        박성배 啓明專門大學 産業開發硏究所 2002 啓明硏究論叢 Vol.20 No.1

        본 연구는 국내의 감성공학에 관련된 논문을 대상으로 동향을 조사하고 한국감성공학 분야의 현 위치를 확인하고자 연구를 하였다. 연구결과 국내에서 감성공학에 관련된 연구는 공학분야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응용분야를 중심으로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으며 산업디자인분야에서의 감성공학 관련 연구활동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균형있는 감성공학연구를 위해 산업디자인분야의 적극적 참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활발한 감성공학 연구를 위해서는 소수의 연구자에게 연구지원이 중복되는 것보다는 다수의 연구자에게 연구기회가 주어져야 된다고 지적되었다. 된 연구의 결과는 한국의 감성공학 연구에 다양한 영역의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기초방향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판단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lies in finding the trend of domestic Gamsung engineering and current state of art in Korea We find that the applied area in engineering department has been actively developed, but in less in Industrial Design area. So, we realize the more active research is needed in Industrial area to make domestic Gamsung engineering balanced. At the same time, more chances should be provided to the people in the area to use more potentials of the same people. This research explains the meaning on making more experts of various fields participate in the study of domestic Gamsung Engineering.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학생의 공학기술 체험활동이 감성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정진현 ( Jinhyun Jung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5 한국초등교육 Vol.26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이 공학기술 활동을 직접 체험함으로써, 이 공학기술 체험활동이 학생들의 감성적 요인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초등학교 공학기술 체험활동 전과 후로 구분하여 평가한 후, 공학기술 체험활동이 학생의 감성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공학기술 체험활동 프로그램은 공학기술의 영역과 관련지어, 냄비 받침대 만들기, 다리구조물 만들기 등의 6개 주제로 구성되었다. 검사도구는 24개 형용사쌍의 평가항목 (유쾌한, 행복한, 재미있는, 신나는, 좋아하는 등)이며, 리커트 5단계 척도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학기술 체험활동 전과 후의 평균 차이를 살펴보면, 거의 모든 평가항목 (유쾌한, 행복한, 재미있는, 신나는 등)이 긍정적으로 증진되는 결과를 보이고 있고, 또한 체험활동 전과 체험활동 후의 평균 차이를 t검정한 결과, 많은 평가항목(재미있는, 즐거운 등)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초등학교 공학기술 체험활동이 학생들의 감성을 더욱 긍정적인 상태로 변화하도록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 공학기술 체험활동 후 평가항목의 요인분석 결과, 3개의 요인으로 설명되어지고 있고, 체험활동 전과 후의 각 요인의 평가항목이 변화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제1요인은 ‘흡족한’, 제2요인은 ‘마음이 놓이는’, 제3요인은 ‘믿음직스러운’ 의 평가항목이 각 요인별로 상관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공학기술 체험활동이 흡족하고, 마음이 놓이고, 믿음직스럽다는 감성요인과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는 공학기술 체험할동을 실시할 때 학생의 감성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engineering technology experience activity can influenc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motional factors through engineering technology experience activity directly.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items composed of a pair of adjective was used to obtain students` emotional factors through engineering technology experience activity.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engineering technology experience activity, it is conducted the survey before and after the experience. Engineering technology experience activity program was consist of 6 themes which are pot supporter making, bridge structure making, etc relating to the area of engineering technology. Inspection tool was consist of 24 evaluation items of adjective pairs, and 5 Likert scal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the engineering technology experience activity program, students showed almost evaluation items(pleasant, happy, interesting, exciting, etc) promoted positively. As a result of t-test between before and after engineering technology experience activity, many evaluation items(interesting, joyful, etc)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It showed that the engineering technology experience activity affects the children` emotions in a more positive state. 2.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have shown 3 factors extracted from the survey after being engineering technology experience activity. The first factor had very high correlation with `satisfied`, the second factor had very high correlation with `relaxed`, the third factor had very high correlation with `trusty` evaluation item. It was showed that the engineering technology experience activity affected highly in students` emotion like satisfied, relaxed, and trusty. Therefore, these results can be useful materials about how does students` emotion influences when they are experiencing the engineering technology activity.

      • KCI등재후보

        「여성 감성공학」 교과목 개발과 효과성 분석

        최송아,정지은,윤종태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2022 젠더와 사회 Vol.33 No.-

        요약 우리나라의 공과대학에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비율이 낮으며, 공과대학의 여학생들은남학생에 비해 높은 중도탈락률과 낮은 전공 분야 취업률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남성과 여성의 감성차이에 의한 영향이 지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2006년부터 여성 과학기술인 육성 및 활용사업 (WIE, WISET, R-WeSET)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고급 여성공학인 양성을 수행 중이다. 그리고 WISET 사업 프로그램의 한 부분이젠더 혁신을 할 수 있는 신규교과목의 개발이다. 본 연구는 우리가 개발한 교양과목「여성 감성공학」의 개설 성공사례와 이 과목을 이수한 학생들의 강의 만족도에 관한 기술통계, 그리고 「여성감성공학」을 수강했던 여학생 집단과 비수강 여학생 집단과의 t-test에 관한 내용이다. 「여성감성공학」의 P 대학교 개설과목 명칭은 대학 내의 편의상「생활속의 감성공학」으로 하였다. 그결과, 수강한 학생들이 공학과 산업현장에서 남녀의 감성 차이를 인식하게 되고, 생활속의 감성을공학화하는 기술을 습득하는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여성 감성공학」 교과목의 효용성에관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여학생의 중도탈락률을 줄이고 전공 분야로의취업률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젠더혁신과 함께 여학생의중도탈락하는 비율이 낮아지며, 여학생들에게 유리한 여성 감성공학 분야로 진출하여 우리나라경제 발전에 이바지하는 기회가 증가할 것을 기대한다.

      • 음악적 감성구조에 대한 통계적 접근

        이동재 한국공학안전보건예술학회 2016 한국공학예술학회 논문지 Vol.8 No.1

        과학은 입증에 의한 과학적 근거가 가장 중요한 요소이지만 이에 반해 예술적인 측면은 감성 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자신의 감성을 어마나 아름답게 표현하고자 하는 추상적인 측면이 있다. 하지만 최근 음악공학, 예술 공학, interactive arts, 감성공학 분야에 대한 융합학문의 발달로 인 하여 과거 상상하기조차 어려웠던 감성 구조에 대한 입증을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하고 있다. 그 중 음악부분에 있어 모든 사람들이 알고 있는 희로애락의 표현방법에 대한 입증은 거의 불가능 한 상황이다. 어떠한 파장, 파형을 보고 이것이 ‘기쁘다, 슬프다’를 입증할 방법은 없어 결국 음악 에서 자동적으로 기쁘고 슬픈 장음계와 단음계의 근음을 중심으로 한 위치관계를 전제로 한 화 성을 들려주고 그 통계 치에 의한 감성을 차후에 연결되는 공감각의 기초연구로 이 논문을 작성 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은 뉴턴이 제안한 가시광선의 구조적인 음악적인 음계에 대한 기초연구를 위하여 작성 되었는데 그 적용방법이 화성적인 음을 듣고 실제로 느끼는 통계치를 사용한 인간 의 공감대 형성에 대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Science parts require the certain elements to prove the fact into the categories of Essay in public. but the Arts, particularly Music can not approve properly the emotional structures with the numbers or regular patternㄴ. But recent days, A fusion in the parts of Multimedia, Music Technology, Art technology and Interactive arts, have tried to prove the fact with variables to combine every hidden sides for the emotional structure analysis. Though among those researches, still music is facing the difficulties how prove the expression on the emotional structures forwarding to the numbers based its waveform to judge whether it is in the form of “Sadness” or “Happiness” with intensity. The way how to prove is that I used the general terms of Music which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which are that the first Major scale and Minor scale. Played general term of Major and Minor chord with typical piano sound were required to the listeners and listeners have chosen the emotions with intensity to verify structures of Music in Statics. Actually this approach is written as the study in advance for further researches such as Synesthesia and the opposite opinions for Newton view to the structure of visible light converted into rainbow colors in connection with musical scales. So the applying method is the statics way to verify the Consensus of every humans on music scale.

      • KCI등재

        감성 소재․부품 개발을 위한 감성공학적 품질평가 프레임 워크 및 활용 –필름지용 잉크 소재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김상호,신종규,류효연,예진해,김선아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8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7 No.2

        Background: In recent process of product development, ‘the era of emotional quality’ has come to take into account the emotional sensibility of users beyond functions or performance of a product. If a design starts to consider sensibility of the users from the level of materials and parts that comprise a complete product, it will enhance the affective quality of the finished product. Thus, it is time for the design techniques to reflect users' emotional requirements for the product and the market trend at the material and component level. Frameworks for evaluating the affective quality of materials and parts also need to be established. Methods: This study proposes human sensibility ergonomic approach as a framework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 emotional design of materials and parts. This framework that utilizes semantic differentiation, factor analysis,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s is applied on developing emotionally appealing ink materials for interior films.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onsumer's sensibility for the materials under the test consists of three axes : originality, oneness and stability. The results show that assessed affective quality alongside with these axes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A few design parameters that caused the difference in the affective quality are identified by through discussions with design experts. Conclusion: A framework has been proposed to evaluate the affective quality of materials and parts, and its validity is checked by applying it to the process of ink materials design. The framework is supposed to apply in the assessment of more diverse emotional materials and parts. 연구배경: 현재 제품 개발과정에서 기능이나 성능을 뛰어 넘어 사용자의 감성까지 고려하는 감성품질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완제품을 구성하는 하위 소재나 부품 단위에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감성을 반영한 설계가 이루어진다면 완제품의 감성품질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제품에 대한 감성적 요구사항 및 시장의 트렌드를 완제품의 하위 단위인 소재와 부품수준에서 반영하기 위한 설계기술이 필요한 시점이며 설계안의 감성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방안 역시 정립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소재 및 부품의 감성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로 의미미분법, 요인분석, 다차원 척도법과 같은 통계적 기법들을 활용한 감성공학적 품질평가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색상과 인쇄방식이 서로 다른 3종의 필름지용 잉크소재에 대한 감성품질을 평가하고 설계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평가대상인 3종의 잉크소재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이 독창성, 일체감, 안정감이라는 3개의 축으로 구성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소재의 설계특성에 따라 각 감성축을 기준으로 한 품질평가 결과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문가 미팅을 통해 소재의 감성품질의 차이를 유발한 설계요소를 정의하고 향후 보다 향상된 감성품질을 이끌어내기 위한 설계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소재 및 부품 단위의 감성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내장용 필름재의 잉크소재에 대한 평가과정에 적용하여 그 활용도를 확인하였다. 제시된 방법론은 보다 다양한 감성 소재 및 부품의 감성품질 평가과정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하이테크 감성 섬유 패션을 위한 감성 평가 기술

        김지수,김강화,나영주 한국감성과학회 2022 춘계학술대회 Vol.2022 No.-

        본 연구는 감성과 감정의 차이를 기반으로 소비자들의 경험을 조사 분석하는 현황을 알아보고, 하이테크감성 섬유 패션을 위한 감성의 기술적 평가와 사례를 통해 감성 평가 기술의 향후 전망을 파악하고자 한다. 우리가 사용하는 제품이나 접하는 서비스에 대한 막연함이나 느낌(감성)을 감성공학, 심리학·통계학 등의 과학을 바탕으로 평가하여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 감성의 기술적 평가이다. 여기서의 ‘감성공학’이란 인간이 느끼는(가지는) 상품에 대한 감성(이미지, 필링)과 상품의 물리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그 결과를 공학적인 상품설계에 적용시키는 방법이다. 이것을 행하기 위해서는 감성 평가가 우선이다. 미래기술 및 소비자 감성을 파악하기 위해 패션섬유 감성의 기술적 평가 사례 및 일본, 이태리의 소비자 경험관련 최신 기술들을 조사 분석하였다. 첫 번째, 감성 분석기는 뇌파계로 취득한 감성 분석 가능한 간이형 평가 키트이다. 헤드 기어와 iPad로 사용 가능하여 장소를 가리지 않고 계측 결과는 실시간에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고, 다양한 분석 처리기법도 가능하다. 그 결과는 상품 개발, 장점 발견, 창조 과학적 근거 구축, PR시책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유니클로 티셔츠 캠페인, 일본 정보경제사회추진협회의 관광객 캠페인, 이태리 카페인 사이제리야의 메뉴 반응 조사 및 개발을 예시로 살펴보았다. 두 번째, 디지털 옷장인 ‘SENSY CLOSET’에서 고객의 옷을 정리하고 코디네이트를 관리한다. 아이템에 태그 부착 SENSY CLOSET에서, 옷의 정리나 검색을 매우 간단·편리하게 하도록 아이템에의 디지털 태그 부착이다. 관련 코디 옷장의 옷을 터치하면, 그 동안 사용했던 코디를 모두 알 수 있다. 세 번째, 패션 트렌드 해석 서비스 「AI MD」는, 세계 각지의 리모트 컴퓨터에 의해서, 소셜 미디어를 포함한 온 세상의 패션 미디어로부터, 최신의 컬렉션이나 패션 트랜드, 사진을 24시간 자동으로 수집한다. 이러한 패션 빅데이터 영상(2,600만 장의 영상 자료, 2021년 9월)을 해석해, 칼라나 옷맵시 등의 트랜드를 예측하는 것으로, 기업은 그 결과를 상품 기획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이처럼 뇌 과학, 빅데이터, AI 기술 및 분석 툴, AI에 의한 디자인력 등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그 동안 불가능하다고 말하기도 한 감성 평가 기술은 점진적으로 발전하게 될 것이다. 또한, 디지털 마케팅과 옴니채널의 진화로 원투원(One To One) 마케팅을 중시하여 고객 개인별 빅데이터도 구축이 되고 있어 개인별 감성 평가 기술도 가능하다.

      • KCI등재

        감성기술 적용 성공사례 분석을 통한 감성콘텐츠 개발 방향 연구

        정상훈 ( Sang Hoon Jeong ) 한국감성과학회 2012 감성과학 Vol.15 No.1

        최근 들어 감성기술은 제조업(제품), 서비스업(문화, 관광, 의료, 교육, 광고) 등 많은 분야에서 적용이 확대되고 있으며 차세대 유망기술로 등장하고 있다. 또한 문화는 게임, 전시, 공연, 스포츠, 관광, 디자인, 에듀테인먼트, 콘텐츠 유통 등 다양한 콘텐츠산업분야에 접목되어 기존산업의 고부가가치화에 기여하고 있다. 감성기술을 이용한 문화의 콘텐츠산업 접목은 콘텐츠 기획-제작-유통-마케팅 등 프로세스 전반의 혁신을 유도함으로써 미래 국가 성장동력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감성기술의 콘텐츠 적용 사례 조사와 비즈니스 성공사례 분석을 통해 향후 콘텐츠산업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한 감성콘텐츠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감성, 감성공학, 감성과학, 감성기술, 감성콘텐츠 등에 대한 정의와 분류를정교화하였다. 또한 CT R&D 6개 분야 중에서 감성기술을 적용하여 성공적인 효과를 창출하고 있는 다양한콘텐츠에 대한 국내외 사례를 심층 분석하였다. 성공사례 분석을 통해 도출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개인 맞춤형 컨시어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인간의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텐츠, 인간의 정서조절이 가능한 콘텐츠를 개발함으로써 한류문화를 세계적으로 소개할 수 있는 융합형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감성기술의 콘텐츠산업 접목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Recently, interest in emotional technology has escalated and its application has extended to many fields, from both an industrial (product) and service (culture, tourism, medical, education, advertising) perspective. Moreover, culture has become a fundamental aspect of modern industry, playing key roles in: gaming, exhibitions, performances, sports, tourism, design, edutainment, as well as various content distribution industries. The prospect of applying emotional technology for cultural content industries makes up for more than half of the ``plan-manufacture-distribution-marketing`` process, and thereby also serves as driving force for the growth of a nation. The primary objective of the following research is analyze successful cases from the past through utilization of emotional technology, and to speculate on efficien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to developing emotional contents. To achieve this, some of the key terms have been defined and elaborated for the sake of clarity. The terms are as follows: emotion, emotion engineering, science of emotion, emotional technology, and emotional contents. Furthermore, studie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six different fields surrounding CT R&D to observe how projects involving emotional technology have succeeded both on a national and global scale. Based on this analysis,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personalized ``Concierge`` service-providing contents, contents designed to maximize performance ability of humans, and contents that could be controlled simply via emotion to effectively spread the culture of Korea by focussing on ``fusion`` content development. The following research data may hopefully serve as a basic reference to industries navigating towards emotional content development.

      • 감성공학적 완구개발을 위한 QFD기법 적용방안 연구

        곽승현,서상혁,민병찬 한국감성과학회 2017 춘계학술대회 Vol.2017 No.-

        생산기술 및 정보통신의 발전으로 전통적 선진국의 신흥 제조강국간의 기술 및 품질에 대한 격차는 미미한 설정이다. 따라서 기능, 품질, 가격만으로는 경쟁력 향상 및 차별화에 한계에 이르렀다. 감성공학 디자인의 가장 혁신적인 기업인 애플은 제품 디자인부터 홍보에 이르기까지 기술과 품질적 우수성 보다는 사용자 경험 및 감성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창의력/지능개발 블록완구의 기능 개선 및 신제품 개발과정에서 소비자의 감성적 측면을 반영하기 위하여 QFD 기법을 적용하여, 최종 개발 목표를 수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QFD 기법은 제품 개발 단계에서부터 소비자의 소리(VOC)를 반영하여 소비자 친화적 신제품개발 및 품질문제점을 개선하고 품질비용을 줄여 업무 효율화 및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QFD 기법을 인지도가 낮은 대부분의 창업기업 제품 개발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 방법론을 수정하였다. 수정된 QFD 프로세스는 소비자 요구사항 정의, 고객설문, 소비자 요구품질 파악, 기술특성 결정, 소비자 요구품질과 기술특성간의 관계 도식화, 소비자측면 중요도 결정, 제품특성 결정, 품질의 집 도식화, 최종 제품 특성에 따른 개발 목표 수립의 단계로 진행하였다. 감성디자인은 인간의 감성에 부합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어 내고자 하는 응용기술로 기존의 감성공학의 대표적 적용사례로 마쯔다 자동차가 있다. 따라서 소비자의 요구사항을 제품 개발단계에 반영하고자 하는 QFD기법 역시 감성공학적 제품개발에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으며, 초기 창업기업의 경우 QFD 개발 단계를 상황에 맞도록 기존의 방법론을 가감하여 적용한다면, 적은 비용으로 소비자의 감성요구사항을 충분히 반영한 제품 디자인 및 신제품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간판디자인 구성요소의 구성규칙

        손대웅(Son, Dae Wo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2

        일반적으로 사물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해서 인간이 직감적으로 느끼는 감성적인 부분들은 일반화가 곤란하고 일관성 부족으로 이론적 취급이 어렵게 여겨왔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시도로써 본 연구에서는 감성공학의 방법을 빌려 간판디자인의 감성구조를 파악하고 세부적인 간판디자인 구성요소와 감성과의 상호관계를 조사함으로써 우리가 목적하는 감성을 실현할 수 있는 디자인데이터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방법으로는 커피전문점의 간판을 연구대상으로 평가실험을 실시하여 감성을 구조화하였으며, 감성과 간판디자인 구성요소와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감성공학 수법2에 따라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데이터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한 평가실험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커피전문점의 간판디자인의 감성구조는 “조화성”, “개방성”에 의해 나타나며, “조화”, “깨끗”, “개성”, “평범” 4개의 타입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배경색상, 그림의 유무, 간판형태, 서체 등이 감성에 크게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 동시에, 간판디자인 구성요소와 감성이미지와의 관계 등이 해명되었다. 또한 간판디자인에서 느낄 수 있는 감성에 영향을 주는 구성요소의 요인을 밝혀 데이터화함으로써 앞으로 디자인작업에 있어서 인간의 감성을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써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Generally, it is hard to generalize emotional elements that humans feel intuitively among the parts constructing an object, and due to the lack of consistency, it is also difficult to deal with them theoretically. As part of solving this problem, this study aims to structuralize the sensibility of signboard design applying human sensibility ergonomics and figure out correlation among the detailed components of signboard design based on the structuralized sensibility in order to obtain design data that can realize the sensibility intended. Regarding the study method, this author structuralized sensibility by conducting evaluative experiments on coffee shops’ signboards as subjects. In order to understand correlation between sensibility and the components of signboard design, this researcher also carried out experiments applying Human Sensibility Ergonomics Method 2. Also, experiments were done to verify the utility of data. As a result, the emotional structure of coffee shops’ signboard design appeared by “harmony” and “openness” and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harmonious”, “clean”, “individual” and “ordinary”. As for the components, it was found that background color, presence of pictures, form of the signboard, and font greatly affected emotions. At the same time, the relationship between signboard design components and emotional images has been clarified. In addition, it would be possible to utilize this study as basic data that actively reflects the human emotions in the design work of the future by finding out the components that affect emotions that can be felt in signboard design.

      • KCI등재

        감성 기반 영상 검색을 위한 확률적 감성 모델 구현

        신윤희(Yunhee Shin),김은이(Eun Yi Kim) 한국정보과학회 2011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8 No.11

        최근 감성 공학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사람의 감성을 영상 색인과 검색에 적용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사람의 감성은 매우 주관적이기 때문에 영상에서 이러한 감성을 인식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영상에서 추출된 색상 조합을 이용하여 영상과 관련된 감성을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는 확률적 감성 모델 (PAM)을 제안한다. 제안된 확률적 감성 모델은 영역 분할 색상 조합 추출 감성 맵핑의 3 개의 모듈들로 구성되어 있다. 영역 분할 단계에서는 mean-shift clustering을 이용하여 영상을 색상 영역으로 분할한다. 색상 조합 추출 단계는 먼저 분할된 영역들은 영역 특성을 기반으로 하여 그 자신의 중요도가 계산되며 이 중요도를 기반으로 중요한 영역들을 선택한다. 선택된 중요 영역들간의 관계를 영역 인접 그래프를 이용하여 분석한 후 서로 인접한 영역들의 색상들을 조합하여 색상 조합을 추출한다. 마지막으로 감성 맵핑 단계에서는 추출된 색상 조합들을 미리 정의된 감성 공간 상의 감성과 맵핑하여 영상의 감성을 예측한다. 제안된 감성인식 방법의 효율성을 증명하기 위해서 52 명의 사용자들의 평과 결과와 비교된다. 실험을 위해 웹에서 수집된 사진 영상들을 이용하였고 평가 결과 제안된 방법은 실제 영상 색인 및 검색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였다. With increasing importance of affective computing it becomes necessary to retrieve and process images according to human affects or preference. However judging such affective qualities of images is a highly subjective task. In spite of the lack of firm rules certain features in images are believed to be more related than certain others. In this paper we suggest predicting certain affective features included in an image using color composition that constitutes the scene. Using such a feature is inspired from Kobayashi's color scale that studies the relation between colors/color compositions and human's affects. Thus we propose a Probabilistic Affective Model (PAM) to estimate the probabilities that an image is related to certain affective features. For this we segment an image using mean-shift clustering algorithm and extract more important regions which are called seed regions based on their properties. Thereafter we find the dominant color compositions among those seed regions and their neighboring regions. Finally from such color compositions we infer the numerical ratings for some affective feature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our PAM we compared its results with 52 users' affective judgments. It was tested with online photo images then the results show our PAM produced the recall of 85.22% and the precision of 78.16% on average. Potential applications include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and design of web page interfa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