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감사위원회 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감사위원회 독립성 확보 관점에서 -

        노미리 법조협회 2022 法曹 Vol.71 No.1

        As an improvement plan for the audit committee system, improvement plans related to the regula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audit committee and improvement plans related to problems in the operation of the one-person separate election of the audit committee could be considered. The audit committee consists of audit committee members who are outside directors and audit committee members who are not outside directors. Therefore, measures to rationalize the reasons for disqualification of outside directors should be considered. The cooling-off period is shorter than that of foreign legislation, and the cooling-off period for unlisted and listed companies is defined differently, so it is necessary to match them. There is a need to prepare practical independence judgment criteria for the reasons for disqualification of outside directors. In addition, the voting rights of shareholders are limited when appointing or dismissing audit committee members, and the 3% rule applies only to the largest shareholder when the audit committee members are elected who are not outside directors. It is not justified to change the voting rights limit just because it is the largest shareholder. The rules for limiting voting rights should be unified so that the simple 3% rule is also applied to the largest shareholder. Alternatively, in order to secure the independence of the audit committee, a plan should be considered in which all of the audit committee members are outside directors. While operating the one-person separate election of auditors in 2021, many companies re-appointed existing auditors whose tenure had expired as audit committee members, which seems to be related to the insufficient pool of outside director candidates. Large listed companies recommend outside director candidates by the Outside Director Candidate Recommendation Committee(hereinafter ‘ODCRC’). In order to secure the independence of the audit committee member who is an outside director,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outside directors in the ODCRC, and it is desirable to expand the obligation to establish the ODCRC even for companies those are not obligated to set up the ODCRC. In addition, in order to expand the pool of candidates for outside director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human resources banks, etc. 감사위원회 제도의 개선방안으로 감사위원회 구성상의 규제, 감사위원 1인 분리선출제 운영상 문제점과 관련된 개선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감사위원회는 사외이사인 감사위원과 사외이사 아닌 감사위원으로 구성된다. 감사위원회 구성상 규제와 관련하여 사외이사의 결격사유를 합리화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냉각기간은 외국 입법례와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가 짧은 편이고 비상장회사와 상장회사의 냉각기간을 다르게 규정하고 있으므로 이를 일치시킬 필요가 있으며, 사외이사의 결격사유에 대하여 실질적인 독립성 판단 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감사위원 선임·해임 시 의결권이 제한되는데, 사외이사 아닌 감사위원 선출 시 최대주주에게만 합산 3% Rule이 적용된다. 최대주주라는 이유만으로 의결권 제한을 달리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최대주주에게도 단순 3% Rule이 적용되도록 의결권 제한 규정을 통일해야 한다. 또는 감사위원의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감사위원 전원을 사외이사로 구성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2021년 감사위원 분리선출제를 운영하면서 임기가 만료된 기존의 감사위원을 분리선출하는 감사위원으로 재선임하는 회사들이 많았는데, 이는 사외이사 후보 pool이 충분하게 확보되어 있지 않은 것과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규모 상장회사는 사외이사 후보추천위원회에서 사외이사 후보를 추천하는데, 사외이사인 감사위원의 독립성 확보를 위해서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의 사외이사 비중 확대가 필요하고 사외이사 후보추천위원회를 설치할 의무가 없는 회사에도 설치의무를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사외이사 후보 pool을 확대하기 위해 인력뱅크 등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감사위원회의 설치와 이익조정사이의 관계

        전규안 ( Kyu An Jeon ),최종학 ( Jong Hag Choi ),박종일 ( Jong Il Park ) 한국회계학회 2004 회계학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감사위원회의 설치(의무·자율) 여부가 기업의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미국은 Enron 사태를 계기로 감사위원회의 역할에 대한 책임론이 대두되면서 감사위원회 제도의 효과적인 운영에 대한 관심이 한층 더 고조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외환 및 금융위기 이후 기업지배구조 개선을 통한 기업의 투명성과 회계정보의 신뢰성을 높이려는 목적에서 2000년부터 자산총액 2조원 이상의 법인의 경우 감사위원회 설치가 의무화되었다. 그후 감사위원회의 역할 및 효과와 관련하여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었지만, 실증자료에 기초한 감사위원회 도입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따라서 실증자료에 기초한 본 연구의 검증결과는 정책결정자, 학계 및 실무 담당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감사위원회 제도가 도입된 2000년부터 2001년까지 감사위원회 설치기업 중 금융업을 제외한 기업을 대상으로 하고 수정된 Jones모형(Dechow et al. 1995)으로 추정한 재량적 발생 및 총발생을 기업의 이익조정 수준으로 이용하였다. 실증분석결과, 감사위원회 설치기업의 경우 도입 전과 비교하여 감사위원회 도입 후 기간동안 기업의 이익조정이 유의하게 감소되지는 않았다. 또한 감사위원회 설치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간의 이익조정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감사위원회 의무 설치기업과 자율 설치기업을 구분한 검증결과에서도 일관되게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감사위원회 제도가 도입된 지 2년밖에 안된 만큼, 그 제도가 완전히 정착되지 않았거나 운영이 미숙한 때문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During the Asian financial crisis, many Korean firms were blamed for their opaque management and family-owned ownership structure. To alleviate the severe problem in corporate governance for large Korean conglomerates(so-called Chabol), the Korean government, from 1999, mandated the establishment of audit committees for large companies listed in the stock market. The audit committees are required to include at least three board members and at least 2/3 of them must be outside directors. None of the Korean companies had an audit committee before the creation of the law.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audit committee establishment(voluntary and mandatory) is related to the decreased earnings management in the firm. If audit committees perform the function of a watch-dog for managers` opportunistic behavior, the magnitude of earnings management would decrease as the result of the new establishment of audit committees. For the study, earnings management, as measured by discretionary accruals, is estimated using a cross-sectional version of the modified Jones model(Dechow, et al. 1995). The samples used in the study are 116 firm-year observations, among which were 14 firms that established an audit committee voluntarily and the remaining 102 that were required to establish the committee by the law. A total of 1,037 firm-year observations that did not establish the committees are used as comparison samples. The sample selection period is 2000 and 2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do not find any significant decrease of earnings management for the firms that established audit committees compared with the same firms during the period before the establishment. Second, there exists no difference in earnings management between the firms that established audit committees and firms that did not do so at the same time period. When we divide the establishment samples into either voluntary or mandatory establishments, we do not find any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rather than the establishment of an audit committee itsel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ittee, such as independence and competence of the committee, may be more important factors in decreasing the manager`s opportunistic behavior. We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very timely and useful for regulators as well as academics and business practitioners.

      • KCI등재

        연구논문 : 감사위원회 보상이 외부감사에 미치는 영향: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을 중심으로

        이동헌 ( Dong Heun Lee ),김선미 ( Seon Mi Kim ),유승원 ( Seung Weon Yoo ) 한국회계학회 2011 회계저널 Vol.20 No.5

        본 연구는 외환위기 이후에 도입된 감사위원회제도의 실효성을 감사위원회 보상과 외부감사인의 보수 및 시간 사이의 관련성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감사위원회 보상의 증가는 전문성이 있는 유능한 인력확보 및 책임의무 강화를 할 수 있는 순기능을 가지는 반면, 경영진과의 경제적 독립성을 훼손할 수 있다. 따라서 감사위원회의 보상수준이 각각 감사품질(Audit Quality)로 대표되는 감사보수와 감사인의 노력(Audit Effort)의 대용치로 사용되는 감사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는 실증적인 검증사항이다. 본 연구의 표본은 2006년에서 2008년까지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12월 결산법인 중에서 금융업에 속하지 않는 242개 표본을 대상으로 하였다. 관심변수인 감사위원회 보상과 외부감사의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과 관련된 자료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의 사업보고서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실증분석결과, 감사위원회 보상수준과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 사이에 유의한 양(+)의 관계가 나타났다. 추가분석으로 감사위원회 결정요인과 감사위원회 보상에 대한 내생성을 통제한 후에도 감사위원회 보상수준과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은 양(+)의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감사위원회의 운영과 관련된 보상시스템이 외부감사인의 감사품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감사위원회는 단지 설치로서 그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우며 감사위원회의 효율적 운영에 의해 그 실효성이 결정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감사위원회 운영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보상시스템과 효율성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감사위원회제도의 개선과 관련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공헌점이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the compensation level of audit committee plays a role in improving the audit quality. According to prior research, what matters most is not the existence of audit committee, but its characteristics such as board independence, expertise, and board activity. From this perspective, the compensation system can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management tool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audit committee. However, it is controversial whether the current compensation level of audit committee members is appropriate and effective. There are two kind of opinions about the compensation level of audit committee. First, some argue that the increase in the compensation level is necessary in order to hire qualified expertise and increase the quality of the committee. However, the other side argue that the extreme compensation aggravates audit committees`s independence from managers. Therefore, it is worth to know how the compensation level of audit committee affects the effectiveness of audit committee. In order to answer the question, we examine whether the compensation level of audit committee affects audit fees and audit hours, after controlling other generally known determinants of audit fees and audit hours. The tests are based on the data disclosed in the business reports filed to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s in the period from 2006 to 2008, which has a sample of 242 listed fir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e find that the audit committee compensation level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udit fees and audit hours. The results suggest the compensation level of audit committee plays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the audit quality and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audit committee. This paper provides an empirical evidence on the debate about audit committee compensation. This paper is also expected to provide academic insights into research related to audit committee regulation and management.

      • KCI등재
      • KCI등재

        감사위원회의 권한과 기능에 대한 비판적 고찰

        임정하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경희법학 Vol.33 No.-

        감사제도와 이를 담당하는 감사기관은 국가별로 차이가 있으나 최근에는 audit committe를 기업지배구조의 핵심요소로 보아 그 설치를 권장 또는 의무화하는 경향이다. 이에 따라 여러 나라가 자국의 제도와 문화를 반영한 audit committee를 입법 또는 모범규준의 형태로 도입하였다. 미국과 EU의 audit committee는 이사회의 감독권을 보조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우리 상법은 감사위원회의 감사권을 이사회의 감독권과 별개의 권한으로 규정하고 있다. 상법은 감사위원회를 이사회의 위원회 중 하나로 설치하도록 하면서도 감사와 동일한 권한을 부여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법상 감사위원회가 이사회의 하부기관이라는 점에서 감사위원회의 감사권을 이사회의 감독권과 완전히 분리하여 생각하기 어렵다. 실제 운영상으로도 감사위원회가 이사 또는 이사회를 상대로 막강한 감사권한을 실행하는 것은 어렵다. 감사위원회가 이사회로부터 독립하여 감사기능을 수행하도록 요구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요구가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든다. 감사위원회와 이사회 간의 관계 또는 권한배분의 문제가 먼저 해결되어야 감사위원회가 담당할 권한과 기능의 범위가 확정될 수 있을 것이다. 감사위원회의 권한과 기능이 명확하고 실현가능한 것으로 조정되어야만 감사위원회가 실효성 있는 제도로 자리 잡게 될 것이다. Under the Korean Commercial Code, an audit committee is established as a committee of a board of directors and granted the same authority as an auditor. While audit systems vary across the countries, the recent trend goes toward recommending or mandating establishment of an audit committee as a key factor of corporate governance. Accordingly, many countries adopted an audit committee reflecting their respective traditional system and culture by way of legislation or best practice code. Audit committees in the U.S. and EU function assisting monitoring performed by boards of directors. By contrast, Under the Korean Commercial Code, the audit committee’s right to audit is deemed separate from the board of directors’right to monitor and supervise.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audit committee is a sub-committee of the board of directors, it’s difficult to treat the audit committee’s audit right as independent of the board of director. In reality, it would not be easy for the audit committee to exercise powerful audit right against directors or the board of directors. The belief that the audit committee whose members are directors including outside directors can perform audit independent of the board of directors results in requiring the audit committee of almost impossible tasks. Allocation of authorities between an audit committee and a board of directors need to be resolved. Afterwards, authority and the scope of functions of the audit committee could be confirmed. The authority and functions of the audit committee need to be adjusted as clear and feasible as possible, which leads the audit committee to settle down as an effective corporate governance system.

      • KCI등재

        감사위원회와 분리선임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권도중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경희법학 Vol.55 No.2

        The Republic of Korea introduced the audit committee system through the revision of commercial law in 1999 after the IMF, but it is characterized by the role of the existing audit and the role of the board of directors. As a result, commercial law has been revised to limit the exercise of shareholder rights of major shareholders and strengthen the authority of small shareholders in accordance with the will of the legislator to check the tyranny and dogma of major shareholders. However, it is only regrettable that it appears to be a transfer to the ideological debate of power struggle between major shareholders and minority shareholders or economic democratization rather than a discussion on how to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to help the nation's businesses become sustainable and prosperous at this tim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 believe that expanding exceptions to the nature of a corporation by way of a law would eventually undermine its nature and cause market confusion. First of all, I will tr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dit committee and the board of directors, the problems of the audit committee's separate selection system, and the operation status of the audit committee, and present legislative solutions to the problems and eventual solutions that arise when the systems that restrict the rights of major shareholders are applied together under the principle of protecting the rights of small shareholders. The current legislation, which sets the Audit Committee as a subordinate body of the Board of Directors as in the U.S., has caused existing legal devices from the management of the company to violate and distort the majority shareholders' control of the company and shareholder rights. This shakes the foundation of the corporation system, and no matter how compulsory means are introduced in the name of protecting minority shareholders, the exercise of rights of major shareholders under the corporation system cannot be essentially restricted. Moreover, the reality is that in a regulated listed company, ordinary individuals cannot exercise their minority rights, and legislators believe that such regulations also require a close realization of what minority shareholders should be protec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introduce incentive methods so that they can bring about a shift in perception based on the autonomy of major shareholders rather than on regulation-oriented legislation of major shareholders. In my opinion, in order to correct the distortion mentioned above, Audit Committee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Board of Directors, and there should be wary of the damage to its expertise by over-emphasizing the independence of auditors, and the mandatory installation of audit aids in the company and the granting of personnel rights should be legislated to substantially support the supervisory functions of auditors, most of whom are outside directors. 우리나라는 IMF 이후 1999년 상법개정을 통해 감사위원회제도를 도입하였으나, 기존 감사의 역할과 이사회 내의 위원회로서 이사에 해당한다는 특징이 있다. 이로 인해 대주주의 전횡과 독단을 견제하고 하는 입법자의 의지에 따라 대주주의 주주권 행사를 제한하고 소액주주의 권한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상법이 개정되어 왔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이 일어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우리나라의 기업이 지속가능하고 번영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뒷받침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보다는 대주주와 소액주주의 세력 다툼 또는 경제민주화라는 이념적 논쟁에 이전투구하는 것으로 보여 안타까울 뿐이다. 필자는 법률로써 주식회사의 본질에 대한 예외를 확대하는 것은 결국 그 본질을 훼손하게 되어 시장의 혼란을 초래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우선 감사위원회와 이사회의 관계, 감사위원 분리선임제도의 문제점, 감사위원회의 운영실태 등을 살펴보고 소액주주의 권리를 보호한다는 원칙하에 대주주의 권리를 제약하는 제도들이 함께 적용될 때 발생하는 문제점과 이에 대한 종국적인 해결방안을 입법론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미국처럼 감사위원회를 이사회의 하부기관으로 설정하고 있는 현행 법제도로 인하여 회사 경영진으로부터 기존의 감사 또는 감사위원의 독립성확보를 위한 법적 장치들이 오히려 대주주들의 회사에 대한 경영권 및 주주권을 침해하고 왜곡시키는 현상이 야기되고 있다. 이는 주식회사제도의 근간을 흔드는 것으로서 소수주주를 보호하기 위한 명분으로 아무리 강제수단을 도입하더라도 주식회사제도 하에서 대주주의 권리행사를 본질적으로 제한할 수는 없다. 더욱이 그 소수주주는 규제의 대상이 되는 상장회사에서는 일반 개인들이 소수주주권을 행사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므로 입법자들은 과연 그러한 규제로써 어떠한 소수주주를 보호할 것인가에 대한 면밀한 현실인식도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대주주에 대한 규제중심의 입법보다는 오히려 대주주의 자율에 따른 인식의 전환을 가져올 수 있도록 인센티브 방식을 적극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다. 필자의 소견으로는 앞서 언급한 왜곡현상을 바로잡기 위해서는 감사위원회를 이사회로부터 분리하고, 감사위원의 독립성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전문성이 훼손되는 우(愚)를 경계하여야 하며, 대부분이 사외이사로 구성된 감사위원의 감독기능을 실질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회사 내 감사보조기구에 대한 의무적 설치 및 그 인사권 부여를 법제화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회사법과의 정합성 측면에서 본 감사위원 분리선출의 문제점

        곽관훈 한국기업법학회 2019 企業法硏究 Vol.33 No.4

        The current Company Act adopts a collective election method for the appointment of auditors committee members. The recent amendment to the Company Act, which is being discussed, proposes a separate election method for the auditors committee members, which restricts the exercise of voting rights from the appointment of directors. Directors are collectively elected at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and 3% rules are applied to restrict the exercise of voting rights of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In the case of applying the collective election method, directors under the influence of controlling shareholders can be appointed, and it is pointed out that it is impossible to effectively block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influence even if a 3% rule is used to elect an audit committee member. In this regard, what is proposed as an improvement plan is the introduction of a separate election method. In selecting a director, the general director and the director who will be the audit committee are elected separately, and when selecting a director, the 3% rule should be applied from the beginning. In this way, if the audit committee is elected separately, the influence of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can be blocked at the source to secure the independence of the audit committee. However, the application of segregation can result in the creation of a new type of director that is different from the current Company Act. 우리 상법은 감사(위원)의 이러한 역할을 고려하여 필요적 상설기관으로 규정하고 회사의 업무집행을 감독할 권한을 부여하고 있다. 이론적으로 볼 때, 주식회사의 양축이 되고 있는 이사와 감사의 역할분담은 명확하다. 주주는 이사와 감사라는 양축을 통해 견제와 균형을 이룰 수 있고, 소유와 경영의 분리로 발생하는 대리인비용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믿었다. 그러나 현실에는 주주총회를 장악할 수 있는 지배주주가 존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믿음은 흔들리기 시작한다. 지배주주는 자신이 원하는 이사는 물론 감사를 선임할 수 있는 지분비율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사뿐만 아니라 감사도 지배주주의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한 것이 현실이고, 이로 인해 주주전체의 이익이 침해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상법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감사(위원)이 지배주주로부터 독립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즉, 지배주주가 원하는 감사를 선임하지 못하도록 한다면 지배주주의 전횡에서 벗어나 주주전체를 고려한 경영이 가능하다고 본 것이다. 따라서 지배주주가 원하는 감사를 선임하지 못하도록, 지배주주가 보유한 주식 중 일정비율 이상은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다. 최근 논의되고 있는 상법개정안에서는 더 나아가 감사위원에 대해서는 이사 선임단계부터 의결권 행사를 제한하는 분리선출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현행 법은 감사위원 선임에 대해 일괄선출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즉, 주주총회에서 일괄적으로 이사를 선임하고, 선임된 이사 중 감사위원을 선임하면서 3%룰을 적용하여 지배주주의 의결권행사를 제한하고 있다. 일괄선출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지배주주의 영향력 하에 있는 이사들이 선임될 수 있으며, 이후 3%룰을 적용하여 감사위원을 선임하여도 실질적으로 지배주주의 영향력을 차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지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개선방안으로 제시되는 것이 분리선출방식의 도입이다. 이사를 선임하는 단계에서 일반이사와 감사위원이 될 이사를 분리해서 선출하고, 감사위원이 될 이사 선임에 대해서는 처음부터 3%룰을 적용하자는 것이다. 이처럼 감사위원을 분리해서 선출하면 지배주주의 영향력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감사위원의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분리선출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기존의 회사법상 이사와는 다른 새로운 유형의 이사의 탄생이라는 결과를 가져옴에 따라 회사법과의 정합성에 있어 많은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 KCI등재

        서울특별시 감사위원회에 관한 공법적 쟁점 및 개선방안 연구

        김진영(KIM JIN YOUNG)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法學硏究 Vol.19 No.1

        기존 서울시 감사관이 감사위원회로 개편되었다. 이를 통하여 감사위원회의 소속과 지위가 격상되고 독립성이 확보되었으며 여타 지방자치단체 감사기구와 비교해 보았을 때 공정성과 객관성이 강화되었다. 하지만 서울시 감사위원회는 여전히 많은 법률적·사실적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서울시장 소속으로 지위가 격상되었으나 서울시 산하에 위치하여 시장에 대한 감사업무를 독립적으로 시행하기 어렵다. 또한 예산과 인사에 있어서 시장의 관리·감독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실질적 감사가 이루어질 수 없다. 더불어 금번 개편을 통하여 시민감사 옴부즈만위원회가 설치되었다. 이는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서울시 행정기구를 감사하는 것인데, 오히려 행정권 침해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더욱이 지방자치법상에 주민소송제도와 주민감사청구제도 등이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시민감사 옴부즈만위원회의 설치는 과도하다는 지적도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우선 서울시 감사위원회를 독립행정청의 형태로 편성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 다만, 독립행정청의 즉각적인 설치가 어려울 경우 감사위원회의 진정한 업무 독립을 위하여 인사권과 예산권을 부여하고 이를 조례로 명문화하여야 한다. 그리고 서울시와 서울시의회는 이를 법률적으로 존중 및 보장하여야 할 것이다. 이때 위원 선임의 민주적 정당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감사위원에 대한 의회의 사전 추천보다는 사후 동의를 얻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더불어 시민감사 옴부즈만위원회 설치에는 동의하지만 기능과 역할의 조정이 필요하다. 시민의 적극적인 의사가 반영될 수 있도록 시민대표를 선정하여 감사위원으로 임명하는 등 옴부즈만위원회 보다는 감사위원회를 강화하고 권한을 확대하여야 한다. 다만, 시민감사 옴부즈만위원회에서 담당하는 민원과 중재업무는 특화하여 담당하도록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금번 개편안을 통하여 서울시의 자체감사 기능이 향상되고 독립성이 확보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법률적·사실적 문제점이 있고 이 중에는 유사 감사기구의 문제점을 그대로 답습한 부분도 있다. 시민의 삶의 질 제고와 권익향상을 위하여 감사기구의 독립성 확보가 중요한 만큼 앞서 검토된 쟁점과 개선방안이 실제로 반영되길 고대해 본다. The Seoul Metropolis has been reorganized an existing Comptroller to The Audit Committee. The affiliate and status of the audit committee is being upgraded and the fairness and objectivity of organization is strengthened. But Seoul Audit Committee still has many legal, factual issues. First The Committee is difficult to work independently because it is still under the mayor. Also, there is no choice to get the management and supervision in the personnel and the budget. In addition, The Citizen Audit-Ombudsman Committee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the reorganization. This means that the citizens of Seoul participate the administrative inspection actively, but the excessive abuse of the executive power is in serious question. Therefore, it has to be organized in an independent administrative agency to overcome these problems. In addition, the Seoul audit committee has the budget and personnel rights in the regulations, and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Parliament should respect and guarantee this legally. In addition it is advisable to obtain an ex post consent rather than a prior recommendation of the Council in order to ensure democratic legitimacy and objectivity. It is also effective that a number of citizens are selected to be representative of the audit committee rather than installing the Citizen Audit-Ombudsman Committee individually. In conclusion, Improving the life quality and rights of citizens, I am looking forward to reflecting the review and improvement are mentioned previously.

      • KCI등재

        감사위원회 도입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이상철 ( Sang Cheol Lee ),이경태 ( Kyung Tae Lee ) 한국회계학회 2003 회계학연구 Vol.28 No.3

        본 논문에서는 감사위원회 도입과 감사위원회 독립성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사회 특성과 소유구조에 따라 감사위원회 독립성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효과가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2000년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비금융기업을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이익조정 정도는 Jones(1991)모형과 수정Jones모형(1995)을 이용하여 계산한 재량적 발생액의 절대값으로 측정하였다. 감사위원회 독립성은 감사위원회의 사외이사비율로 측정하였다. 이사회 독립성은 이사회 내 사외이사비율과 이사회의 외국인 사외이사 존재여부로 측정하였으며, 소유집중정도는 대주주1인지분율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감사위원회 도입은 이익조정을 감소시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감사위원회의 사외이사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이익조정이 감소하여, 감사위원회의 독립성이 높아질수록 이익조정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사회 독립성 및 소유집중정도에 따라 감사위원회 독립성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사회가 과반수 이상의 사외이사로 구성된 경우가 과반수 미만으로 구성된 경우보다 감사위원회 사외이사비율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유집중정도가 높은 집단보다 낮은 집단에서 감사위원회의 사외이사비율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mpirically whether an introduction of an audit committee can mitigate the degree of earnings management. It further investigates what factors moderate the effect of the audit committee on earnings management. It supports the view that the independence of the board of directors and ownership concentration moderate the effect. The sample consists of the companies listed in 2000. The degree of earnings management, as the dependent variable, is measured as the discretionary accrual defined by Jones(1991) and Dechow et al.(1995). The percentage of outside directors on the audit committee is used as a proxy for the audit committee`s independence. The independence of the board of directors is measured by the percentage of outside directors and by the existence of the foreign outside directors. The ownership concentration is measured by the percentage of shares owned by the largest shareholder and her/his related sharehold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roduction of an audit committee itself does not significantly mitigate the degree of earnings management. The audit committee`s independence, however, lowers the degree of earnings management. Second, the audit committee`s independence lowers the degree of earnings management more as the independence of the board directors increases. It also appears that the ownership concentration negatively affects the mitigation effect of the audit committee on earnings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