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포스터 발표 : 한국인에서 원인미상의 간세포암은 증가하는가?

        박상훈,오길찬,장현주,이자영,박철희,한태호,박현주,이동근,김진봉,김종혁,장웅기,김동준,이명석,박충기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3(S)

        배경/목적: 과거 원인미상의 간세포암은 전체 간세포암의 10-30%를 차지하였으나, HCV의 발견으로 최근에는 약 5% 정도로 감소된 것으로 보고 되어 있다. 원인미상의 간세포암의 원인으로 당뇨병이나 비만이 독립적인 위험인자일 것으로 추정되는 연구보고가 있었고, 최근에는 원인미상의 간경변증의 약 30-50%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이하 NASH로 함) 때문이라는 보고가 있었다. 최근에 NASH가 간경변증을 거쳐 간세포암을 일으킬 수 있으며, 전체 간세포암의 13%를 차지할 정도로 원인미상 간세포암의 원인으로 NASH를 포함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NAFLD)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는 연구보고가 있었다. NASH가 심한 섬유화나 간경변증을 일으키는 위험인자로는 고령, 당뇨병, 비만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위험인자를 가진 NASH 환자는 간세포암으로 발생이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서구화된 식생활로 비만 인구가 늘어가는 한국에서 원인미상의 간세포암이 증가되었는지 후향적으로 알아보고, 원인미상 간세포암 환자의 특성이 위험인자를 지닌 NASH 환자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원인미상 간세포암의 원인으로 NASH가 차지하는 정도를 간접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의료원에 내원한 환자에서 A군은 1993-1995년, B군은 2000-2002년으로 하여, 그 기간에 간세포암으로 진단받은 107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간세포암 진단은 조직검사나 영상소견 및 AFP로 하였으며, 비특이적인 영상소견을 보이면서 조직검사를 시행하지 않은 경우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간세포암의 원인이 명확하지 않으면서 HBc Ab만 양성인 경우는 원인미상 간세포암에서 제외하여 따로 분리하였다. 대상 예는 모두 후향적으로 조사하였으며 원인미상 간세포암이 증가했는지 알아보기 위해 분석하였다. 결과: 원인미상 간세포암에서 BMI가 측정되었던 34예 중 BMI>25 이었던 예는 12예였으며, DM 8/48, HTN 11/48, hyperlipidemia 9/48 예였다. 원인별 분석은 Table 1과 같으며 원인미상의 간세포암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는 소견을 보였다. Table 1. A(1993-1995년)와 B(2000-2003년) group 사이의 간세포암 원인별 분석 원인 A (%) B(%) HBV 130 (51.8%) 473 (61.4%) HCV 10 (3.9%) 76 (9.8%) Alcohol 33 (13.1%) 71 (9.2%) HBV+Alcohol 65 (25.9%) 79 (10.3%) HCV+Alcohol 5 (2.0%) 16 (2.1%) Cryptogenic 6 (2.4%) 42 (5.5%)* Total 251 770 젨젨젨젨젨 *p<0.05 결론: 한국인에서 HCV가 완전히 배제되었다고 생각되는, 2000-2002년의 원인미상 간세포암의 발생율은 1993-1995년에 비해 증가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원인미상 간세포암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에 의한 원인이 증가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나, 후향적 연구의 한계로 결론을 도출하기에는 부족하였다. 앞으로 전향적 대규모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 SCOPUSKCI등재

        간경변증과 동반된 간세포암종에서 Microsatellite Instability와 DNA 복제오류 교정유전자들의 메틸화

        박정호 ( Jung Ho Park ),조성범 ( Sung Bum Cho ),이완식 ( Wan Sik Lee ),박창환 ( Chang Hwan Park ),주영은 ( Young Eun Joo ),김현수 ( Hyen Soo Kim ),최성규 ( Sung Kyu Choi ),유종선 ( Jong Sun Rew ),이재혁 ( Jae Hyek Lee ),김세종 ( S 대한소화기학회 2006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8 No.5

        목적: 최근 간세포암종 발생과정에서 DNA 복제오류 교정유전자의 관련성을 시사해 주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DNA 복구과정에서 복제오류 교정계(mismatch repair system)와 O6-methylguanine-DNA methyltransferase (MGMT)의 중요한 연관성이 있음이 제시되었다. 대상 및 방법: 2000년부터 2003년까지 간세포암종으로 수술을 시행 받아 병리조직학적으로 진단된 환자들 중에서 간경변증이 동반된 40예를 대상으로 하여 hMLH1, MGMT, hMSH3과 같은 DNA 복제오류 교정유전자의 프로모터 부위 메틸화유무와 그 빈도를 조사하고 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와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한 이들 유전자 산물의 발현 여부와의 상관성 및 임상 특징과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수술 후 절제된 간세포암종의 평균 크기는 4.2±2.6㎝였다. 간세포암종 병기분류에서 BCLC stage A1은 12예(30%), A2는 3예(8%), A3는 8예(20%), A4는 3예(8%), B는 8예(20%), C는 6예(15%)였고, TNM stage I은 4예, II는 24예(60%), III는 7예(18%), IVa는 5예(13%)였다. 간세포암종의 조직 분화도 등급에 따라 고분화도 8예(20%), 중분화도 19예(48%), 저분화도 13예(32%) 보였다. 수술 후 간세포암종 재발은 총 25예(63%)에서 발생하였으며, 수술 후 간세포암종 재발 또는 간기능 저하로 사망한 경우는 15예(38%)였다. hMLH1, MGMT, hMSH3 유전자의 메틸화를 보이는 경우가 동반된 간경변증에서 각각 3예(8%), 27예(68%), 28예(70%)였고, 간세포암종에서 각각 2예(5%), 29예(73%), 30예(75%)로 간경변증과 간세포암종에서 높은 빈도를 보이는 DNA 복제오류 교정유전자는 hMSH3, MGMT였고 낮은 빈도를 보이는 것은 hMLH1이었다. MSI 상태는 대부분의 증례들이 안정 MSI였으며 단지 3예(8%)에서만 MSI가 관찰되었다. MGMT, hMLH1, hMSH3 단백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결과 양성반응을 보인 경우가 6예(15%), 16예(40%), 11예(28%)였다. MGMT의 경우 유전자 메틸화에 따라 MGMT 단백 소실이 있는 경향을 보였으나 의미있는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다(p=0.10). 간세포암종의 조직 분화도, 수술 후 재발 및 예후 등 임상 특징과 유전자 메틸화와는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p>0.05). 결론: 간경변증과 동반된 간세포암종 환자에서 DNA 복제오류 교정유전자 중 MGMT와 hMSH3 유전자 메틸화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간세포암종에서 낮은 빈도의 MSI를 보였으며 DNA 복제오류 교정유전자와 MSI는 서로 상관관계가 없었다. 수술 후 재발이나 예후와 같은 임상적인 특징과 DNA 복제오류 교정유전자들의 메틸화는 의미있는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Backgrounds/Aim: Epigenetic silencing of DNA repair genes, O6-methylguanine-DNA methyltransferase (MGMT), hMLH1 and hMSH3, by promoter hypermethylation have been observed in various cancers.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hypermethylation of DNA mismatch repair genes and 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 has not been studied in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associated with cirrhosis. Methods: We investigated the methylation pattern of CpG islands of 3 genes using methylation-specific PCR (MSP) and MSI in 40 patients with paired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associated cirrhosis. Results: hMSH3 and MGMT were the most methylated genes in both cirrhosis (70% and 68%, respectively) and HCC (75% and 73%, respectively). The methylation of hMLH1 was rarely found in both cirrhosis (8%) and HCC (5%). Gene promoters methylated in cirrhosis were also methylated in HCC with the exception of 9 cases found to be methylated either in cirrhosis or HCC. Of 40 cases of HCC associated with cirrhosis, three had MSI-positive phenotype in which two were MSI-low and one was MSI-high. One MSI-positive phenotype was present both in cirrhosis and in HCC, while two were only in HCC.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berrant DNA methylation of mismatch repair genes and MSI status in HCC associated with cirrhosis.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s of hMLH1, MGMT, and hMSH3 proteins were present in 16 (40%), 6 (15%), and 11 (28%) of 40 cases of HCC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on between the aberrant DNA methylation of mismatch repair gene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such as histological differentiation, postoperative recurrence and mortality. Conclusions: The methylation of MGMT and hMSH3 among DNA repair genes are frequent, but those of hMLH1 and MSI is very rare in both cirrhosis and HCC. There i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methylation of DNA repair gene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HCC. (Korean J Gastroenterol 2006;48:327-336)

      • KCI등재

        간세포암의 경동맥화학색전술 후 추적검사에서 조영증강초음파와 리피오돌 전산화단층촬영의 일치성 비교

        복진현 ( Gene Hyun Bok ),정승원 ( Soung Won Jeong ),장재영 ( Jae Young Jang ),이세환 ( Sae Hwan Lee ),김상균 ( Sang Gyune Kim ),차상우 ( Sang Woo Cha ),김영석 ( Young Seok Kim ),조영덕 ( Young Deok Cho ),김홍수 ( Hong Soo Kim ) 대한간암학회 2014 대한간암학회지 Vol.14 No.2

        목적: 간세포암의 경동맥화학색전술 후 잔존 간세포암의 추적검사에 있어서 리피오돌 전산화단층촬영과 조영증강 초음파의 일치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간세포암의 경동맥화학색전술 시행 후, 잔존 간세포암의 평가를 위해 조영증강초음파와 리피오돌 전산화단층촬영을 모두 시행 받은 41명 환자의 65개의 병변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고, 이중에서 조영증강초음파 검사 후4주 이내에 리피오돌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받았던 31명 환자의 47개 병변을 평가하여 두 검사 사이의 일치율과 일치율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병변에서 조영증강초음파와 리피오돌 전산화 단층촬영의 일치율은 78.7% (37/47)였고, 잔존 간세포암을 대상으로만 비교했을 경우의 일치율은 95.2%, 그리고 비잔존 간세포암을 대상으로만 비교했을 경우의 일치율은 65.4% 였다(P <0.013). 일치율에 영향을 주는 인자의 분석에서는 미만성(diffuse) 간세포암이 경향성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의미를 보이지는 못했고, 간의 dome 부위에 위치한 4개의 병변 가운데에서 3개의 병변에서 불일치를 보였으나 표본수가 적어서 통계적인 의미를 보이지는 못하였다. 검사의 일치를 보였던 간세포암과 일치를 보이지 않았던 간세포암의 평균 크기는 각각 2.9 과 3.0 cm 으로 의미를 보이지 않았고, 리피오돌 CT상에서의 잔존간세포암의 여부가 일치율에 있어서의 의미 있는 인자였다. 결론: 잔존 간세포암에 대한 조영증강초음파와 리피오돌 전산화단층촬영의 일치율은 높았지만, 비잔존 간세포암에 대한 일치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Background/Aim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oncordance of contrast enhanced ultrasonography (CEUS) and lipiodol computed tomography (L-CT) for the assessment of vi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after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post-TACE CEUS and L-CT images of 65 consecutive HCCs in 41 patients to assess the presence of viable tumor tissue. Forty-seven HCCs in 31 patients that underwent post-TACE L-CT within 4 weeks of the CEUS examination were included. The degree of concordance between CEUS and L-CT and factors related to concordance were analyzed. Results: The overall concordance of CEUS and LDCT was 78.7% (37/47). The concordance with L-CT for viable tumor and non-viable tumor tissue on CEUS was 95.2%, and 65.4% respectively (P<0.013). Diffuse tumors had a tendency for non-concordance (P=0.066). Although 3 of 4 lesions located in the hepatic dome were non-concordant, the sample size was too small to establish significance. The mean tumor size for concordant and non-concordant tumors was 2.9 and 3.0 cm,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s: Although the concordance of CEUS and L-CT for viable tumor tissue was high, the concordance for non-viable tumor tissue was relatively low. Prospective studies using angiography as a gold standard should be performed in the future. (J Liver Cancer 2014;14:115-119)

      • 타목시펜이 간세포암 세포주의 성장과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신정우,정영화,박무인,김정아,최민희,이윤정,류수형,박능화,이한주,이영상,서동진,유은실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1

        목적: 타목시펜을 진행성 간세포암 환자에게 투여한 결과 일부에서 효과가 있었다는 보고가 있으나 타목시펜이 간세포암의 성장을 억제하는 기전은 밝혀져 있지 않다. TGF-β1은 간세포암의 성장과 분화에 관여하는 중요한 성장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 타목시펜이 TGF-β1의 분비조절에도 관여한다는 보고들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타목시펜이 간세포암의 성장과 TGF-β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궁극적으로 타목시펜이 간세포암 환자에게 항암제로 사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인간 간세포암 세포주인 Hep 3B세포를 에스트로겐이 없는 RPMI 1640과 dextran coated charcoal로 처리한 5% fetal bovine serum을 혼합한 배지에서 3일 배양 후 2×10^4 세포/well로 분주하여 2일간 배양한 후 0.1 μM, 0.5 μM, 1 μM, 5 μM, 10 μM 농도의 타목시펜으로 처치하고 6일간 배양하였다. 매일 세포를 수집하여 trypan blue로 염색한 후 생존 세포수를 산출하였으며 상층액내 TGF-β1 농도는 ELISA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비교적 저 농도인 0.1 μM 타목시펜 처치군은 배양 6일째 생존 세포수가 대조군에 비해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2.59×10^6 vs 1.97×10^6, p<0.05). 생존 세포수는 타목시펜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여 10 μM 처치군은 대조군에 비해 의미있는 감소를 보였다(1.4×10^6 vs 1.97×10^6., p<0.05). 상층액내의 TGF-β1dml 분비량은 타목시펜 처치 농도와 상관없이 전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의미있게 감소하였으며 타목시펜 농도에 따른 각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 결론: 타목시펜은 실험실내에서 처치 농도에 따라 간세포암 세포주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다양했으나, 처치 농도와 관계없이 일정한 정도로 TGF-β1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타목시펜의 이러한 효과는 생체에서 TGF-β1이 과발현된 간세포암의 성장과 진행을 억제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타목시펜은 TGF-β1의 발현을 조절하는 기전 이외의 다른 기전을 통해서는 간세포암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Aims: Tamoxifen has been tried in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however, its inhibitory mechanism remains unknown.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s of tamoxifen on HCC cell growth and the express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TGF-β1) which had been known as an important cytokine in growth of HCC. Methods: Hep 3B cells were cultivated in estrogen free media with 0.1 μM, 0.5 μM, 1 μM, 5 μM, and 10μM of tamoxifen for 6 days. Viable cells were counted daily and the TGF-β1 concentrations in supernatant were measured by ELISA method. Results: The number of viable HCC cells increased rather significantly after the treatment of tamoxifen of lower concentration (0.1 μM)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2.57×10^7 us. 1.97×10^7; p<0.05). As the concentration of treated tamoxifen was higher, the number of viable HCC cells became gradually less, resulting in the significant decrease of it at the highest concentration (10 μM)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1.40×10^7 us. 1.97×10^7; p<0.05). TGF-β1 concentration in supernatant of tamoxifen-treated sample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s, regardless of the amount of treated tamoxifen.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amoxifen may suppress TGF-β1 expression to an extent, although it has different effects on the proliferation of HCC cells, at the various concentrations of this agent in vitro. Such effects of tamoxifen on TGF-β expression may inhibit the growth and progression of HCCs over-expressing TGF-β1 in vivo.

      • 간세포암의 조직학적 분화도 및 임상적 특징에 따른 E-cadherin과 β-catenin의 발현 양상

        배시현,정은선,박영민,장정원,최종영,조세현,윤승규,안병민,차상복,정규원,선희식,박두호,김병기,김동구 대한간학회 2002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8 No.3

        배경/목적: E-cadherin과 β-catenin은 하나의 복합체를 형성하여 세포간 접착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하고, 이들의 돌연변이는 세포간 접착기능의 상실로 종양의 발생과 세포전이를 유도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간세포암 조직에서 E-cadherin과 β-catenin의 발현 양상과 빈도를 조사하고, 간세포 암의 임상적, 병리학적 인자들 사이에 상호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간세포암으로 진단받은 36 명의 환자로부터 수술후 얻은 파라핀 포매된 조직을 대상으로 E-cadherin과 β-catenin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였다. E-cadherin의 발현은 세포질막의 염색유무로 분류하였고, β -catenin의 발현은 세포질형과 핵형으로 분류하였다. 간세포암의 발생 원인, 혈청 AFP 수치, TNM stage, 간세포암의 크기, 형태적 유형, 다른 장기 전이, 간세포암의 분화도 및 간문맥 혈전 유무 등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결과: 간세포암 부위에서 E-cadherin의 발현은 세포질막 발현이 58% (21/ 36), 발현이 안되는 경우가 42%(15/36) 였다. β -catenin의 발현은 세포질형 83%(30/36)와 핵형 14%(5/36), 그리고 염색이 안된 경우가 3%(1/36) 였다. 간세포암의 고, 중, 저 분화도에 따른 E-cadherin, β-catenin 의 발현 양상 사이에 상호 관련성은 관 찰할 수 없었다 결론: 간세포암에서 주변 비간암 조직에 비교해서 E-cadheirn의 발현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β-catenin의 핵내 발현이 증가되어 E-cadherin, β-catenin system이 간세포암 발생 과정에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간세포암 분화도, 간세포암의 임상적인 특징에 따른 E-cadherin 및 β-catenin의 발현 양상차이는 없었다. Background/Aims: E-cadherin is involved in intercellular binding and cellular polarity formation. β-catenin plays a fundamental role in regulation of the E-cadherin cell adhesion complex. The abnormalities of the components of the complex may disrupt this adhesive function.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patterns of E-cadherin and β-catenin to determin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ese proteins in hepatocellular carcinoma. Materials/Methods: Thirty-six hepaticellular carcinoma tissues and adjacent non-tumor specimens were analyzed. Subcellular distribution of E-cadherin and β-catenin was examined by immunohistochemistry staining. We evaluated the patterns of the expression,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with the cause of HCC; level of AFP; TNM stage; tumor size; growth types; metastasis; differentiation grade of HCC; and presence of portal vein thrombosis. Results: Immunohistochemistry showed that all non-tumor tissues had membranous type staining of E-cadherin. All non-tumor tissues showed cytoplasmic type staining of β-catenin, but no β -catenin accumulation in nuclei was found. 58% (21/36) of HCC showed positive expression of E-cadherin in cytoplasmic membrane. The cytoplasmic expression of β-catenin in HCC was 83% (30/36); nuclear expression in 14% (5/36); and no staining in 3% (1/36). Nuclear β-catenin expression was observed in none (0/4) of the well-differentiated HCC; 17%(3/9) of moderate-differentiated HCC; and 17%(2/6) of poorly-differentiated HCC. There were no relationships between E-cadherin and β-catenin expression with other clinicopathologic factors. Conclusions: Loss of cytoplasmic staining of E-cadherin and nuclear accumulation of β-catenin were observed in HCC. Nuclear accumulation of β-catenin was not found in well differentiated HCC but was found in poorly differentiated HCC. (Korean J Hepatol 2002;8:297-303)

      • SCOPUSKCI등재

        포스터 전시 : 간세포암종에서 β-Catenin과 E-cadherin의 돌연변이와 단백 발현

        강유나,오훈규,권선영,박경식,조광범,황재석,강구정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3(S)

        배경/목적: 간세포암종은 전세계에 널리 퍼져있는 가장 무서운 암종 중에 하나이다. 그러나 종양의 형성과 진행 과정에 대한 기전은 아직 확실히 알려져 있지 않다. 최근에는 간세포암종의 약 20%에서 β-catenin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관찰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 간세포암종과 간세포암종 세포주에서 β-catenin과 E-cadherin 유전자의 돌연변이와 단백 발현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 예의 간세포암종과 10 가지의 간세포암종 세포주(SNU182, SNU354, SNU368, SNU387, SNU398, SNU423, SNU449, SNU475, Hep3B, HepG2)에서 DNA를 추출한 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거친 후 염기서열 결정법을 통해 돌연변이를 관찰하였고 Western blotting, RT-PCR, methylation specific PCR, 그리고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실시하였다. 결과: 간세포암종 3 예(15.7%)와 SNU398 세포주에서 β-catenin exon 3 유전자 돌연변이를 관찰하였고, Hep3B 세포주에서 E-cadherin exon 9 유전자 돌연변이를 발견하였다. Methylation specific PCR을 통해 4 예(21.1%)의 간세포암종에서 E-cadherin CpG 촉진자 부위에서 메틸화가 일어나 있음을 관찰하였다. RT-PCR과 Western blot 분석 결과 β-catenin 단백 발현이 간세포암종 87.5%의 종양 조직에서 증가하였고, E-cadherin mRNA와 단백 발현은 간세포암종 71.4%와 85.7%에서 각각 감소하였다. 면역조직화학염색에서도 β-catenin 단백 발현은 간세포암종 63.2%에서 종양 세포의 세포막에서 발현이 증가하였고, E-cadherin 단백 발현은 간세포암종 52.6%에서 감소하였다. 결론: β-Catenin 유전자 돌연변이는 β-catenin mRNA와 단백 발현의 증가를 유발하고, 또 E-cadherin 메틸화는 E-cadherin mRNA와 단백 발현의 감소를 유발하여 β-catenin 단백 발현의 증가와 연관성을 가진다. 따라서 β-catenin 유전자 돌연변이와 E-cadherin 메틸화는 β-catenin 단백 발현의 증가를 동반하여 간세포암종의 형성에 관여한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차별 발현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법을 이용한 원발 간세포암종의 유전자 발현 분석

        이영춘 ( Young Chun Lee ),허원희 ( Won Hee Hur ),최정은 ( Jung Eun Choi ),박련숙 ( Lian Shu Piao ),홍성우 ( Sung Woo Hong ),배시현 ( Si Hyun Bae ),최종영 ( Jong Young Choi ),윤승규 ( Seung Kew Yoon ) 대한소화기학회 2009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3 No.6

        목적: 원발 간세포암종에서 특이하게 과발현되는 특정유전자를 규명하는 것은 간세포암종 발암 기전의 연구나, 암의 조기진단 및 암 특이 유전자를 표적으로 한 유전자 치료에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차별 발현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법을 활용한 유전자 분석을 통해 간세포암에서 특이하게 과발현되는 특이 유전자를 밝혀내고 이 유전자의 발현율을 여러 시료에서 확인하여 간세포암 관련 유전자들의 기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원발 간세포암종으로 수술을 시행 받았던 3명의 간세포암 환자의 간 적출물에서 간세포암종 조직과 암주변의 비 간세포암 조직 3쌍을 채취한 후 차별 발현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법을 이용하여 간세포암종 조직에서 과발현되거나 소실된 유전자 혹은 저발현되어 있는 유전자를 겔로부터 DNA를 용출하여 이를 클로닝한 후 염기서열분석을 통하여 나타난 유전자의 서열을 유전자 검색프로그램에 넣어 그 유전자의 이름이나 특성들을 탐색하였다. 이후 새로 규명된 유전자의 기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11쌍의 간세포암종 및 비간세포암종 조직과 인간 암세포주인 간세포암종 세포주[HepG2, Hep3B, Huh7], 자궁암 세포주[HeLa], 대장암 세포주[HT1299], 섬유육종 세포주[HT1080], 폐암 세포주[A549]에서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이들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한 후 분석하였다. 결과: 이번 연구를 통해서 단백 대사, 유비퀴틴 의존성 단백 대사, 탄수화물 대사, 지방대사, 유전자복구, 염증 반응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21종의 유전자들을 탐색하였다. 결론: 이번 연구를 통하여 간세포암종 조직과 비간세포암종 조직에서 발현차이를 보이는 유전자를 탐색하였고, 이러한 유전자의 특성 규명은 간세포암종의 발암 기전을 규명하거나 조기 간세포암을 진단하는 바이오 마커의 개발 혹은 분자표적을 대상으로 하는 유전자 치료의 개발에 기초자료로 유용할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Aims: The investigation of a specific tumor marker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is needed to examine the carcinogenesis and to select the patients for treatment opt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genes related to HCC. We also examined the expression level of these genes in cancer cell lines and tissue specimens. Methods: Three pairs of HCC tissue and non-neoplastic hepatic tissue around the HCC were collected from three patients who underwent resection for HCC. Differential display reverse transcriptase-PCR (DD RT-PCR) using GeneFishing(TM) PCR was used to detect the differences in the gene expression between in HCC tissue and non-neoplatic tissue. Up- or down-regulated genes in HCC tissue were identified through BLAST searches after cloning and sequencing assays. Real-time RT-PCR assay was employed to detect the expression rate in 11 HCC tissues and human cancer cell lines. Results: Differentially expressed 21 genes were identified, and they were classified as genes involved in protein metabolism, ubiquitin-dependent protein catabolism, carbohydrate metabolism, lipid metabolism, DNA repair, and inflammatory response. Conclusions: We identified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 HCC, and these gene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study of hepatocarcino-genesis, development of biomarker, and target therapy for HCC. (Korean J Gastroenterol 2009;53:361-368)

      • 간경변증과 간세포암 환자에서 원인에 따른 Child-Pugh 점수, PGA 지수와 MELD 점수간의 상관관계

        문병식,안혁수,안득수,이승옥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2

        서론: 간경증변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것은 여러 면에서 매우 중요하며, 이의 척도로 Child-Pugh 점수를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고, 또 다른 척도로서 PGA 지수와 MELD 점수가 이용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간경변 환자와 이에 동반된 간세포암 환자에서 각각 알콜에 의한 경우와 바이러스성 간염에 의한 경우로 나누고, 각각에서의 Child-Pugh 점수, PGA 지수와 MELD 점수를 측정하고, 이들 척도간의 상관 관계와 각각의 원인에 따른 척도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0년 3월부터 2002년 7월까지 알코올과 B형 간염바이러스에 의한 간경변증 또는 간세포암으로 진단된 339명의 환자에 대해 챠트를 분석하여, 간경변증과 이에 병발된 간세포암으로 진단된 경우로 구분하고 각 원인에 따라 네가지군으로 분류하였다: 알코올에 의한 간경변증 환자군: LC-Al, B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간경변증 환자군: LC-B, 알코올에 의한 간경변증에 병발된 간세포암 환자군: HCC-Al,B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간경변증에 병발된 간세포암 환자군: HCC-B. 각 네군 환자의 Child-Pugh 점수, PGA 지수와 MELD 점수를 측정하여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총 399명 중 간경변으로만 진단된 환자는 201명 (LC-Al: 100명, LC-B: 101명)이었고, 간경변을 동반한 간세포암으로 진단된 환자는 138명 (HCC-Al: 31명, HCC-B: 107명)이었다. Child-Pugh 점수, PGA 지수 및 MELD 점수의 평균값은 각 군간의 통계학적인 차이가 없었다. 모든 환자군에서의 Child-Pugh 점수와 PGA 지수간의 상관관계는 정비례 관계를 보였으며(LC-Al 0.602, LC-B 0.770, HCC-Al 0.435, HCC-B 0.502), Child-Pugh 점수와 MELD 점수간의 상관 관계는 또한 정비례 관계이었다(0.548, 0.794, 0.708, 0.670). PGA 지수와 MELD 점수간의 상관 관계는 HCC-Al 군을 제외한(0.236) 다른 세 군에서 정비례 관계를 보였다(0.419, 0.622, 0.348). 질환별 상관 관계는 간세포암이 병발된 환자군보다 간경변증만 있는 환자군에서 상관계수 값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고, 원인별 상관 관계는 알코올에 의한 환자군보다 B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경우에 상관계수 값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결론: 간경변증 환자와 간세포암 환자에서 Child-Pugh 점수, PGA 지수와 MELD 점수간의 상관 관계는 정비례하였다. 간경변증만 있는 환자에서 간세포암 환자에 비해 각지수간의 상관계수 값이 높은 경향을 보였고, 원인이 B형 간염 바이러스인 경우에 알코올인 경우 보다 상관계수 값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Background/Aims: to determine the treatment modalities and the prognosis of a patient with liver cirrhosis, quantitative estimation of liver function is important. We assessed the Child-Pugh score (CPS), the common method as a severity index for the cirrhosis, the Promthombin, Υ-GT, and Apolipoprotein Al (PGA) index and model for end-stage liver disease(MELD) sc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indices in the patients with cirrhosis only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PHC), according to underlying causes (HBV and alcohol). Methods: We reviewed medical records of 339 cirrhotic patients with/without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divided patient groups by disease and underlying cause: cirrhosis caused by alcohol; LC-Al, hepatocellular carcinoma with cirrhosis caused by HBV; HCC-B. We assessed the CPS, PGA index and MELD score and calculat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se scores. Results: Among the total of 399 patients, 201 patients were diagnosed on the liver cirrhosis only, and 138 patients on the hepatocellular carcinoma with cirrhosis. In each groups, mean score valu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CPS, PGA index and MELD score. The correlation of CPS, PGA index and MELD score in all groups, except for the correlation of PGA index and MELD score in HCC-Al group, was significantly positive (p<0.05). Compared to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ree indices, the patients with cirrhosis only had higher tendencies than the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The patients by HBV had higher tendencies than by alcohol. Conclusions: The correlations between CPS, PGA index and MELD score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in the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only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with cirrhosis (except in HCC-Al group). The patients with cirrhosis only had higher correlation coefficients than the patients with PHC and patients by HBV had higher than by alcohol.

      • SCOPUSKCI등재

        해설논문 : 진행성 간세포암종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표적치료

        송일한 ( Il Han Song ) 대한간학회 2009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15 No.3

        간세포암종은 발생률에 있어서는 전세계적으로 지역적인 차이를 보이나 암 사망률에 있어서는 폐암종과 위암종에 이어 3위를 차지하는 악성 종양이다. 지난 수십 년 동안 근치적 치료가 불가능한 진행성 간세포암종 환자의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전신항암치료법은 없었다. 그러나 최근 multikinase 억제제인 소라페닙(sorafenib)이 간세포암종 환자의 생존율을 유의하게 향상시키고 암종의 진행을 늦춘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면서 진행성 간세포암종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표적치료가 주목을 받고 있다. 소라페닙은 세포 내 신호전달체계 중 Raf-1과 B-Raf serine-threonine kinase를 차단함으로써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막 수용체 중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 VEGFR)와 혈소판성장인자 수용체(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 PDGFR)를 차단함으로써 신생혈관형성(angiogenesis)을 막을 수 있는 약물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발표된 소라페닙 연구의 결과들을 보면 임상적으로 만족할 만한 수준에 도달하지는 않았으며, 또한 다양한 약물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있어 일정 생물학적 반응과 연관을 보이는 표지자의 발굴을 통해 간세포암종을 분류하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즉 같은 생물학적 동질성을 갖는 간세포암종의 분자생물학적 분류를 통해 궁극적으로 간세포암종 환자들의 개별화된 맞춤형 분자생물학적 표적치료를 최적화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is a major global health problem, which has a grave morbidity and mortality. Over the past few decades, no effective systemic therapeutic modalities have been established for patients with the unresectable HCC in advanced stage. Sorafenib is a small molecule that blocks cancer cell proliferation by targeting the intracellular signaling pathway at the level of Raf-1 and B-Raf serine-threonine kinases, and exerts an anti-angiogenic effect by targeting the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1, 2 and 3, and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β tyrosine kinases. Recently, two clinical successful applications, SHARP and Asia-Pacific trial, of multikinase inhibitor sorafenib represent a significant advance in the treatment of advanced HCC patients without a curative chance. However, because the results of clinical trials show diverse responses in a subset of HCC patients, a molecular classification of HCC through the excavation of specific biomarkers related to its biological behavior is necessary for sorting HCC patients to each group with a biological homogeneity, ultimately leading to the most suitable individualization of molecular targeted therapy in HCC. (Korean J Hepatol 2009,15:299-30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