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요 가창자의 전승과 소통

        이창식 한국민요학회 2011 한국민요학 Vol.31 No.-

        The folksinger of folksong will be able to discuss from the various side. Today the site where maintains the tradition of folk song is disappearing from direction of a ceremony. Must understand the transmission method and a being understood aspect of the folksinger because like that. The folk song every the folksinger is different. This paper researched the folksinger people intensively from this writing. Folksinger current quality confronts with a character the area by important folksinger research must be deepened the comparison research with existing literature data. Study of oral folksong will research with field folksong context. We conversed directly the folksinger life of four people with the method which is various. Seok Palrye folksinger was an ability which composes talk of a folk song. Han Taeu folksinger will be able to narrate orally a many kinds folk song. Hwang Okbun folksinger was possibility like the autobio- graphy of oneself of calling a folk song there. Sin Yongnyeo folksinger well folk song and talk. 제천(堤川)지역 구비민요는 지역민들에게 있어 삶의 표현방식의 그릇이다. 구전민요는 삶의 현장마다 부르는 소리가 제각기 독자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 민요 가창자 전승의 가변성을 유의하면서 제천지역 민요 각편들을 두루 조사하여 일차적으로 각각 각편의 실상을 정리하고 주요 가창자의 이력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증보판 구비문학 조사에 참여하여 현시점에서 민요의 전승기반에 대해 주목하였다. 2009년 증보 한국구비문학대계 사업의 조사 일환으로 시작한 첫 번째 지역이 충청북도 제천시인데, 구비민요를 집중적으로 살폈다. 충북 제천지역에서 전승되는 민요 사설을 1차적으로 살펴 현시점의 전승실태를 드러낸다. 아울러 민요를 통해 제천지역 가창자들 현재 소통 가능성과, 이와 연관하여 오랜 세월에 걸친 민요 소통양상을 간접적으로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구비문학으로서 민요의 현지적 조사의 실상과 한계-증보 한국구비문학 사업이 대체로 이러한 문제점을 지님-를 새삼 따져보았다. 제천지역의 민요 가창자를 통해 현재 소리판 위기를 간접적으로 진단하였다. 가창자 중심의 장기간 현지체류에 의한 참여관찰을 통해 민요맥락(folksong context)의 심층적인 기술이 중요하다. 구전민요지의 현재적 특성을 바탕으로 기존 문헌자료와의 비교 연구를 고려하여 지역별 주요 가창자 연구가 심화되어야 한다. 소리판의 변화추이도 지속적으로 주목하고 있다. 여러 제보자 중에서 네 명의 민요 가창자를 다양한 방법으로 면담하였다. 석팔례 가창자는 사설을 구성하되 이야기-민요적 재담과 신파에 가까운 구연-를 엮어 연극하듯 주변 사람과 어울렸다. 이야기를 민요로 구성하는 능력이 있다. 한태우 가창자는 상여소리로 이미 지역에 알려져 있으나 여전히 자신의 기량을 유지하고 있다. 나머지 가창자들과 어울려 어떤 각편도 소화가 가능하였다. 황옥분 가창자는 다양한 각편 사설을 보유하고 있고 어릴 때 고향-강원도 삼척지역 원덕-에서 익힌 각편도 기억하고 있어 자신의 자서전처럼 전달하였다. 신용녀 가창자는 소리꾼과 이야기꾼 양쪽의 소양을 지니고 있다. 친정이 영월지역 주천이라 전형적인 아라리 각편들을 지니고 있었다. 알지도 못했던 가창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금방 소리를 주고받으며 진한 동질감을 가졌다. 상대방 소리 때문에 잊혀진 각편이 생각난다고 하였다. 이해와 소통이 새로운 소리판을 짰다. 전승과 소통의 마지막 불씨 같았다.

      • KCI등재후보

        민요 가창자 지속과 마을문화

        이창식(Lee, Chang-sik)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6 民俗硏究 Vol.0 No.32

        마을문화 소리판에서 민요 가창자 연행과 공동체 청중의 호응이 중요한 관계를 이룬다. 조사자와 연구자의 문제의식이 구체적으로 있을 때 과거 소리판과 가창자 혼자 부르기 현재 소리판을 역동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데 2015년까지는 고로 가창자의 전형문법이 부분적으로 존재한다. 지정 문화재, 비지정 문화재 공히 적용된다. 마을문화로서 구비민요의 가창자 보호는 필요하다. 전통형 구비민요의 전형은 가창자연속성과 내발적 생동성을 높이는 측면이 분명히 있다. 경기민요 지정 사례와 구비민요 국가지정(문화재청 기준)의 취지에서 보듯 특정 종목 자체의 가치와 복수성(한 종목 여럿)으로도 지정 확대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새로운 대책으로 문화재 제도 보강이 필요하다. 마을문화 전승 지속 차원에서 민요 가창자 공동체의 인위적 구연 기반 조성을 장려해야 한다. 최근 마을문화 활성화 사업이 많다. 구비민요 영역이 어렵지만 공연과 놀이와 연계된 활동은 호응이 바림직하다. 문화자원의 활용론에서 가창자 보존은 중요하다. 긴급종목을 포함하여 가창자 보유 중요항목을 고려한 지방정부, 연구소, 연구자 등의 노력이 집중되어야 한다. 아울러 마을문화 지속 차원에서 민요 가창자에 대한 일본 아마미제도의 시마우타처럼 민요가수제 도입이 필요하다. 가창자를 통해 구비민요유산의 마을자산 또는 활용자원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설화와 달리 민요 전승은 어려움 크기에 창곡의 특수성으로 민요의 지속화와 차세대 육성에 대한 전승의 다양한 전략이 요구된다. Village took a person who takes part in singing and cooperation from the audience is important relationships in the sound board, past and when investigators a matter of conscious by 2015 can organize a dynamic, the sound board now to sing A person who takes part in singing alone A person who takes part in singing classic example of the Typical grammar partly. The quintessence of folk song a person who takes part in singing in a row of the refining side of a spontaneous burst of vitality and ability. As shown in the tenor of certain specified cases and a folk song Arirang, Gyeonggi-do, Korea country event of revenge against its own values and (several in a stock) Also designated as possible to extend. In order to continue on with the village culture, it is very important that we keep proper environment for Folklore singers. It is definitely true that there are many industries related to village culture and it comes out to be successful in terms of performance. However, a theme which involves Folk song needs to be developed more and deeply in order to attract more visitors. When we talk about the resources regarding the culture, Folklore singers are considered as top priority. In order to keep them as top priority as their resources, the effort of Local governments and Research Institutes are needed at all circumstances. This paper suggests adopting a system for traditional narrators and Folksong-singers. folksong-singer system reflects creating commercial values like Shimauta in Amami Island, Japan. Preliminary approval system and license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in relation to judging activities by examiners, researchers and experts on narration capability. Intangible Cultural Asset Protection Act and application and role of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will be in effect in 2016. It can grow through appointing intangible cultural assets. If the singers are of generations, it can be an advantage to vitalize transmission.

      • KCI등재

        포항 흥해읍 김선이 가창자의 생애와 민요 전승의 역할 연구

        정서은 한국민요학회 2023 한국민요학 Vol.69 No.-

        민요의 현장이 이미 사라져버린 현재,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최선의 노력은 직접 소리를 하며 살아왔던 민요 소리꾼들을 만나서 지속적으로 조사하여 민요에 대한 입체적인 기록을 남기는 것이다. 그러한 목적을 가지고 본고에서는 포항 흥해읍 김선이 가창자의 생애를 살펴보고 가창자로서의 특징과 현대적 역할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하였다. 김선이 가창자는 구룡포에서 태어나고 흥해읍에서 성장해 생활하면서 매시기마다 자신의 삶에 적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민요를 습득하고 향유한 인물이다. 유년기에는 동요를 부르고 육아요를 어깨 넘어 들으며 자랐고, 10대 때는 직접 어린 여성들이 놀이를 하며 부르는 노래를 온몸으로 체득하며 즐겼다. 성인이 될 무렵에는 때마침 좋은 소리꾼을 만나 주요 노동의 현장에서 직접 소리 주체가 되어 주도적인 가창을 할 수 있었고, 지속적인 유희의 상황에서 민요를 반복 구연하여 기억을 유지하였다. 60대가 될 때까지 다양한 종류의 민요가 그의 생활에서 떠나지 않고 살아있었던 것이다. 전 생애에 걸쳐 민요를 습득하는 과정이 매우 온전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녀의 삶에서 민요는 생활의 기능, 정서 순화의 기능, 사회적 인정과 자아 존중의 기능을 했고, 현재에 이르러서는 지역 전통문화 전승자의 기능까지 더해져 민요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풍요로운 삶을 살았다. 더욱 주목할 것은 현장을 경험한 가창자가 현재에도 지역사회에 영향력을 미치며 민요 전승에 기여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즉 김선이 가창자는 집단적 전승력을 가지는 동시에 개인적 창조력을 지닌 인물이며 민요 전달자이면서 60여 년의 북송리 역사를 담아내는 산 증인으로, 보존회의 중심을 잡는데 큰 역할을 담당하며 현재도 자신의 소리 인생을 지속하고 있다. Now that the scene of folk songs has already disappeared, the best effort we can make is to meet and continuously investigate folk singers who have lived in direct sound and record three-dimensional records of folk songs. With that purpose,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the life of Kim Seon-i, Heunghae-eup, Pohang, and discuss his characteristics and modern roles as a singer. Kim Sun-i is a singer who was born in Guryongpo, grew up in Heunghae-eup, and learned and enjoyed various kinds of folk songs applied to his life every time. In childhood, he grew up singing children's songs and listening to parenting songs over his shoulders, and in his teens, he enjoyed the songs that young women sang while playing. By the time he became an adult, he was able to meet a good singer and sing a leading song directly in the field of major labor, and he kept his memory by repeatedly narrating folk songs in the situation of continuous play. Until his 60s, various kinds of folk songs were alive without leaving his life.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cess of acquiring folk songs throughout life was very complete. In her life, folk songs served as a function of life, emotional purification, social recognition, and self-respect, and now, they have lived a prosperous life from the perspective of folk songs by adding the function of local traditional culture transmitters. More noteworthy is the fact that singers who have experienced the field still influence the local community and contribute to the transmission of folk songs. In other words, Kim Sun-yi's singer is a person with collective transmission and individual creativity, a folk song messenger, and a living witness who captures the history of Buksong-ri for over 60 years, and plays a big role in taking the center of the preservation society and continues his sound life.

      • KCI등재

        <범벅타령>의 전승 양상과 담론 특성

        박경수 한국민요학회 2013 한국민요학 Vol.39 No.-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process and the aspect of the transmission of Beombeok-Taryeong. Especially, I tried to bring light on the discoursive features of Beombeok-Taryeong called as a epic folk-song. Below is the summary of this study. First, there have been a hypothesis that Beombeok-Taryeong started to be sung by Shamans. However, I could not find any proofs to support the idea. According to what I have found out, Beombeok-Taryeong was popularized since 1930 being sung as a kind of ‘Jap-ga’ which means vulgar songs popular among the common people. Beombeok-Taryeong widely spread through the radio and gramophone records. Nevertheless it was prohibited on the airwaves being censored under Japanese imperial government by reason of that the vulgarness of the lyrics harmed traditional custom. Second, at first, Beombeok-Taryeong was considered as a sort of ‘Jap-ga’ but later it became acknowledged as a folk-song and developed into 4 different versions as following: (1)a form of combination of a narration about an affair between a wife and her ‘Hutnanggun’, which means a lover, and a Beombeok-Taryeong as a form of Dalgeori-Taryeong renamed as Hutnanggun Dalgeori Beombeok-Taryeong later ; (2)a song about an affair between a wife and her ‘Hut-nang-gun’ without a Beombeok-Taryeong as a form of Dalgeori-Taryeong ; (3)a Beombeok-Taryeong as a form of Dalgeori-Taryeong which is called as Dalgeori Beombeok-Taryeong ; (4)the expansion of (3), that is, a form of Dalgeori Beombeok-Taryeong with expanded narration part. Among them, (1) and (2) are the Beombeok-Taryeongs characterized as the epic folk song. Especially (1) is the most popular and general form of Beombeok-Taryeong. (3) is the song describing the kinds of Beombeok for every month that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dactic folk song. (4) includes not only the description of each month but also the emotional narration that makes the song characterized by the lyrical folk song. Third, the Beombeok-Taryeong as a narrative folk song was mainly sung by male singers while the Beombeok-Taryeong as a descriptive folk song or an emotional folk song was mainly sung by female singers. Meanwhile, if female singers sing the Beombeok-Taryeong as the epic folk song, the discourse included in the lyrics shows a clear difference from that of the song sung by male singers. In other words, male singers enjoy singing about punishing a woman who has an affair with a lover while female singers describe the sexual pressure and the tyranny committed by men as well as their wish for sexual freedom. 이 글은 <범벅타령>의 전승 과정과 전승 양상을 밝힌 후, 특히 서사민요로 불리는 <범벅타령>의 담론 특징을 구명한 것이다. 첫째, <범벅타령>은 무당들이 먼저 부르기 시작했다고 하지만, 이를 확인할 수 있는 근거 자료를 찾지 못했다. <범벅타령>은 일제강점기 동안 발간된 잡가집에는 수록되지 않았으나, 1930년대부터 여러 기녀 출신 소리꾼들이 부른 잡가로 유성기 음반에 취입된 것을 보면 그 이전부터 잡가로 불렸던 것으로 생각된다. 잡가 <범벅타령>은 주로 유성기 음반과 방송을 통해 대중들에게 전파되면서 민요화되는 과정을 겪었다. 그런데 잡가 <범벅타령>은 그 내용이 풍속을 파괴한다는 이유로 일제의 검열을 받아 이를 취입한 음반 발매와 방송이 금지되기도 했다. 둘째, 잡가 <범벅타령>은 대중의 민요로 불리면서 4가지 유형으로 전승되었다. 그것은 (1) A유형 : 부인과 훗낭군 사이의 불륜 서사에 달거리 형식으로 된 범벅타령이 결합된 유형(‘훗낭군 달거리 범벅타령’이라 명명함), (2) A-유형:부인과 훗낭군의 불륜 서사에서 달거리 형식의 범벅타령이 탈락된 유형(‘훗낭군 범벅타령’이라 함), (3) B유형 : 달거리 형식으로 된 범벅타령의 유형(‘달거리 범벅타령’), (4) B+유형 : B의 달거리 범벅타령에서 월별 사설이 확장된 유형(‘달거리 범벅타령’의 확장형)으로 구분된다. A와 A-의 유형은 서사민요로서의 성격을 갖는 <범벅타령>인데, 특히 A유형은 가장 보편적으로 불리는 <범벅타령>이다. B유형은 월별로 범벅의 종류를 나열하는 노래로 교술민요의 성격을 지니며, B+유형은 월별로 부르는 사설에 서정적인 사설이 첨가됨으로써 교술성보다 서정성이 강한 서정민요 <범벅타령>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서사민요 <범벅타령>은 남성들이 주로 가창한다는 점에서 특색이 있다. 이에 비해 교술민요와 서정민요로 부르는 <범벅타령>은 여성 가창자가 주로 부른다. 그런데 여성 가창자가 서사민요 <범벅타령>을 부르기도 하는데, 이때 부르는 노래의 담론은 남성 가창자가 부르는 노래의 담론과 차이를 보여준다. 남성 가창자의 노래가 여성의 불륜에 대해 남성에 의한 징벌과 훈계가 이루어짐으로써 윤리적 단죄를 보여준다면, 여성 가창자의 노래는 남성의 횡포와 성적 억압에 대한 저항과 성 해방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상주아리랑의 전승과 가창자

        이창식 ( Chang Sik Lee ) 온지학회 2015 溫知論叢 Vol.0 No.42

        아리랑유산 중 상주아리랑에 대하여 해명할 과제가 많다. 이재욱은 1930년 7-8월 현지조사에서 곡명 없는 상주시리랑(연구자 붙임)을 분명하게 채록하였다. 사설과 창곡으로 보아 전승은 현재 단절되었다. 다만원형 각편이 부분적으로 일반 아리랑, 경북아리랑, 문경 운운 아리랑으로 흡수되었다. 모심기소리와 초부가(목동노래)류의 아리랑과 관련이 깊다. 영남전래민요집을 통해 오늘날 사설만 남아있는 상주아리랑 곧 상주시리랑의 음원 복원이 절실하다. 김소희 가창자의 작창 검토와 경북아리랑 틀 속에서 원형 상주아리랑 판본 확정을 위한 별도의 용역과 아리랑고개 사람들의 가창자 집단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아리랑고개 사람들 모임에는 상주아리랑 부르기에 적극 나서는 이들이 있다. 이들 가창자 중심이 추진하는 상주아리랑축제는 상주아리랑고개를 강조하는 민간주도형 지역축제다. 상주아리랑고개 중심의 축제이면서 또 하나는 상주농요와 어사용, 경북아리랑의 기반과의 연계 사업이 가능한 행사임을 확인하였다. 고개 관련 농민군들의 비극과 일제강점기 농민 이주 비극의 이야기는 상주아리랑의 축제 스토리텔링 기저가 된다. 그 가능성은 크다고 보았다. 상주민요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소리축제의 차별화, 활성화를 지속시켜 가야 한다. 아리랑과 관련하여 상주시장-안동시장을 잇는 보부상 고갯길 아리랑로드-주막 등 복원-에 대한 추가조사가 요구되고 가창자의 전승력 확장이 시급하다고 보았다. There is a need for exploration and study on Sangju Arirang. In an on-site survey in July~August 1930, Jaewook Lee recorded unnamed Sangju Sirirang (named by a researcher Folksong) on paper. According to unofficial record, it was not passed down. However it was incorporated into general Arirang, Gyeongbuk Arirang and Mungyeong Arirang. It is closely linked to Moshimgisori and Chobuga(song of shepherd boy) Arirang. There is an urgent need to recover the sound of Sangju Sirirang, that is, Sangju Arirang that exists today only through unofficial record on Yeongnam Folk Song Collection. Separate effort is needed to confirm identification of the original Sangju Arirang within the context of Gyeongbuk Arirang as well as review of pieces composed by Sohee Kim. Sangju Arirang Festival is a local festival led by private sectors focusing on Sangju Arirang Gogae(``ridge``). While it focuses on Sangju Arirang Gogae, it also proved to be a festival that connects Sangju farming songs and the language. Sad stories of the farmers and their emigration during Japanese occupation are the keys for storytelling of the festival. The possibility can be great. Sound festival should be differentiated and vitalized based on identity of Sangju folk songs. Regarding Arirang, additional survey is needed for reconstruction of peddler``s path, tavern, folksonger, etc. that connect Sangju and Andong market.

      • KCI등재

        ‘정선아리랑’의 심리치유적 효과에 대한 연구 토대 마련을 위한, ‘정선아리랑’ 가사와 실생활의 연관성 연구

        박관수 한국문학치료학회 2019 문학치료연구 Vol.51 No.-

        The singers refer 'Jeongseonarirang' to 'sinsetaryong', a song of woe. It is also said that singing 'Jeongseonarirang' relieves their stress and gives some psychotherapy effect. These testimonies show that the singers reveal their minds through 'Jeongseonarirang' and gain some sort of psychotherapy effects. No other papers have ever studied the psychotherapy effects of 'Jeongseonarirang' - the Korean traditional folk song and Korean intangible legacy that has been sung by Korean people from long ago - yet. I do not think that it is easy to study the psychotherapy effects of 'Jeongseonarirang' impeccably from the first. I intend to set up the stepping stones first through this paper. For this work, I pay attention to what the versions of 'Jeongseonarirang' try to reveal. To do this, I have mainly focused on how the singers feel about the versions. I have tried not only to record the singing sites of various regions of 'Jeongseonarirang' but also to meet each of many singers for several times. As a result, I was able to draw new results based on the accumulated facts that the existing researchers had not anticipated. 'Jeongseonarirang' songs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1) versions that are sung from the singer’s point of view and 2) versions that are not sung from the singer’s point of view. Group 1 can be further subdivided into the singer only referring to him or herself (here after called the 'Me' category) or the singer referring to him or herself in relation to another person (hereafter called the 'You and Me' category). Group 2 can be also further subdivided into versions describing contemporary society or versions describing nature.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focus on Group 1. While doing so, I would like to examine the subjects of 'Poverty', 'Domestic life', and 'Love affair'. This is because, contrary to our belief, 55% out of the research subjects – total 906 versions of 'Jeongseonarirang' - was studied to be related to love affair while the proportion of the versions dealing with poverty was 2% and the ones dealing with domestic life was 12%. If we analyze these frequencies, we will be able to examine what the versions of 'Jeongseonarirang' were for before the 1950s. I believe that the results can be the stepping stone for the further exploration on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Jeongseonarirang'. 가창자들은 ‘정선아리랑’을 ‘신세타령’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정선아리랑’을 부르면, 가슴이 시원해진다고도 말한다. 이러한 것은 가창자들이 ‘정선아리랑’을 통해 자신의 마음을 드러내면서 일종의 심리치유적인 효과를 얻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금까지 구전되는 ‘정선아리랑’의 심리치유적 효과에 대해 연구한 논문은 없다. ‘정선아리랑’의 심리치유적 효과를 본격적으로 연구하는 것은 쉬운 작업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본고는 그 디딤돌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 ‘정선아리랑’ 가사는 무엇을 드러내고자 했는지에 관심을 가졌다. 이를 위해 가창자들이 가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집중적으로 조사를 했다. 정선군의 여러 지역의 소리판을 녹취했음은 물론 많은 가창자들을 여러 번씩 만나려고 노력했다. 그 결과 기존의 연구자들이 미처 예상하지 못했던 사실을 알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새로운 연구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정선아리랑’ 가사는 가창자들이 ‘나’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는 가사가 있는 반면, ‘나’와 비교적 관련이 없다고 생각하는 가사가 있다. 전자는 ‘나 자체를 드러내는 가사’와 ‘나-너 관계를 드러내는 가사’로 구분했고, 후자는 ‘사회를 드러내는 가사’와 ‘자연을 드러내는 가사’로 구분했다. 본고에서는 전자에 관심을 기울이고자 한다. 전자 중에서도 ‘가난함’, ‘집안 생활’, ‘연애’라는 표현 대상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이러한 이유는 우리가 생각하는 바와 달리, 연구 대상으로 삼은 906편 중 가난함과 관련된 가사가 2%, 집안 생활과 관련된 가사가 12%, 연애와 관련된 가사가 55%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빈도수를 구명할 경우 1950년대 이전의 ‘정선아리랑’ 가사가 무엇을 대상으로 했는지를 알 수 있고, 그 연구 결과는 심리치유적 효과를 탐구하는 데에 디딤돌이 되리라 생각한다.

      • KCI등재

        경북 문경시 금명효 민요 가창자 연구

        최자운(Choi, Ja-un) 한국민요학회 2021 한국민요학 Vol.63 No.-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문경 모전들소리> 46호로 지정된 농요(農謠)들은 문경 토박이 고(故) 양수봉(1925~2012) 구연본에 바탕을 두고 있다. 금명효(1981)가 그에게 소리를 배워 공연 프로그램으로 연출하고, 모전농악단원들이 실연에 옮기게 되면서 양수봉의 소리는 지역 대표 민요로 변환되었다. 사적(私的) 소리가 공적(公的) 차원의 소리로 부활할 때 선소리를 메긴 개인과 민속예술축제에 참가한 단체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민요는 개인과 단체의 공명을 통해 발현된다. 개인들이 모여 단체를 이룬다는 점에서 민요의 출발점은 개별 가창자이다. 여기서는 경북 무형문화재 <문경 모전들소리>의 출발점에 해당하는 금명효(1981)의 민요 관련 개인사, 현재 구연 활동 상황을 살핀 뒤 소리꾼으로의 면모를 적극적 학습 태도와 창조적 사설 구연 능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금명효는 10대에 경북 상주 고향 마을에서 고사(告祀)소리 및 장례의식요를 익혔다. 20대 후반 양수봉으로부터 지역 전래 민요를 배워 <문경 모전들소리>를 연출했고, 30대부터 실제 현장 및 들소리보존회 공연 등에서 여러가지 민요를 구연하고 있다. 회원 및 지역 내 초등학생 대상 민요 교육도 빠질 수 없는 민요 활동 중 하나이다. 전통적으로 선소리꾼의 요건은 청과 문서를 꼽는다. 타고난 목청이 좋고, 막힘없이 노래를 이어갈 수 있어야 선소리꾼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그는 실제 현장 및 공연에서 소리를 메길 때 전체 소리의 반 이상은 구연 현장에 부합하는 사설을 즉흥적으로 구연한다. 그가 선소리꾼으로서의 자질을 갖추는데 개인적 능력과 함께, 변상득, 박재춘, 새암집 할매와 같은 가창자들의 영향도 중요하게 작용했다. This thesis addressed characteristic of the Folk song singer, Geum Myung-Hyo(1981) who is born in Sangju. He is in full play as a member of the preservation society. Home village people maintained traditional folk song in Sangju. As a boy he had sung Gosasori, Sangyeosori. He showed an enthusiastic attitude to learn folk song. When he learned folk song, He has help from Mojeon nongak band in his late twenties. president Kim Jae-soo recommended to learn folk song in 2010. He has a good influence on members. He is participating in a Mungyung MojeonDeolsori performance and singing song of Jisinbapgi and funeral song in real spot. He is carring out folk song voluntary service. After consultation Geum Myung-Hyo produced performance program. He played a central role to establish. Since foundation preservation society was invigorated. Members tend to follow his opinion. Geum Myung-Hyo sung various rite and work songs With members. He gave consideration to purpose and response. His song was improvised. Because he has diverse experiences, He could utilize Various narrator.

      • KCI등재

        사설시조 화자-등장인물 논의의 한계와 방향 - 연행의 현장성에 기반하여 -

        신윤경 이화어문학회 2024 이화어문논집 Vol.62 No.-

        본고는 같은 노래를 다른 가수가 불렀을 때 대중이 받아들이는 양상이 상당히 다를 수 있다는 지점에서 출발한다. 대중의 공감은 노랫말에 담긴 내용과 청자 자신의 실제 경험이나 정서적 연대에 따라 다르고, 누가 부 르는지에 따라 감정이입 정도가 달라지기도 한다. 이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설득의 수단으로 제시한 로고스, 에토스, 파토스와 연결시켜 이해할 수 있 다. 파토스는 청중의 감정이나 정서, 에토스는 말하는 이의 인격과 관련이 있다. 이를 다시 가창이라는 연행에서 로고스-메시지-노랫말, 파토스-청자- 관객, 에토스-연설자-가창자로 각각 대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사설시조 논의를 바탕으로 연행-노래의 현장성에 초점하 여 작품 감상과 해석의 영역을 확장하고자 한다. 고전시가를 이해할 때 작가가 분명한 노래는 이해가 훨씬 쉽다. 작가를 둘러싼 텍스트 상황을 독자가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작품의 생성 맥락을 이해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가곡이 연행의 자리에서 불리면서 누가 부르는가, 어떻게 부르는가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했다. 노래를 연행의 현장에서 부른다면 연행의 주체 즉, 청중이 누구인지에 따라 가창자가 달라질 수도 있으며 혹은 가창자가 누구인지에 따라 노래의 표현 양상이 달라질 것이고 청중 또한 노래를 감 상하는 태도가 달라지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사설시조의 연행은 고정되 어 있지 않고 연행의 현장에 따라 그 외연이 확장 가능한 유연성을 지니 고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starts from the point that the reception of the same song can vary considerably when sung by different singers. Public empathy depends on the content of the song and the listener's own actual experience or emotional solidarity, and the degree of empathy may vary depending on who sings the song. This can be understood by connecting it with logos, ethos, and pathos presented by Aristotle as a means of persuasion. Pathos is related to the emotions or sentiments of the audience, and ethos is related to the speaker's personality. Therefore, based on the discussion of saseolsijo(사설시조), this article aims to expand the realm of interpretation and appreciation by focusing on the on-the-spot of performance in singing. When understanding classical poetry, it is much easier to understand the song when the author's context and textual situation surrounding the author are clearly revealed. When gagok(가곡) are sung at a performance site, the expression pattern and audience appreciation attitude will vary depending on the audience and the singer. Therefore,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performance of private poetry was not fixed, and the extension had flexibility that could be expanded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site.

      • KCI등재

        「유구곡」 해석의 다양성과 가능성 — 가창자·가창물·가창공간의 특성을 고려해서

        이영태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0 No.-

        Analyzed in this article is 「Yugu-gok」, and the examination is made in terms of certain characteristics featured by the narrator, the objects that are sung in the narrative, and the places and spaces that seem to be behind the contents of the song. Previous studies of 「Yugu-gok」 for a long time differed in their respective opinions, as they presented different idea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Yugu-gok」 and other songs like 「Beolgok-jo」 and 「Pogok-ga」. Some of the scholars considered 「Yugu-gok」 and 「Beolgok-jo」 as the same song, while others did not agree with that assessment, while others went on even beyond that to say that not only 「Ygu-gok」 and 「Beolgok-jo」 but another song named 「Pogok-ga」 as well, were all the same songs. In this article, to widen the range of possible interpret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nger(narrat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s that were sung or told inside the narrativ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where either the story or the act of singing itself took place, are all examined. And the participants' perception of the ‘birds’ is also examined. The background of the singers(narrators), the unique qualities of the sung objects, and the place of singing which are apparently equipped with not only music but refreshments, are all meant to provide the participants with no other than the ‘pleasure of communication.’ The participants' view of the ‘birds’ show us that they recognized the ‘pigeons’ with a rather negative image(‘unfaithful,’ 不正), with an overlapped image of an ‘unfaithful female’ who appeared in the classical Chinese text 『The Book of Odes(Songs, “Shigyeong”)』, while they identified ‘cuckoos’ with an entirely different image, interestingly the image of a ‘fair male.’From all that, we can see that 「Yugu-gok」 is a song in which an unfaithful female is confessing her love toward a decent male figure. The structure of the narrative, in which the pigeon is providing a monologue to the audience, shows us that the unfaithful female is not able to or not supposed to directly address the fairly gentle male figure, while the singer of the song itself is also not able to deal with the problem -absence of its lover- aggressively, and only doing so rather passively. This kind of structure as well, must have been planted as a device that would please the audience with yet another round of amusement. 이 글은 속요의 가창자·가창물·가창공간의 특성을 고려해 「유구곡」 해석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유구곡」의 연구사는 「유구곡」=「벌곡조」, 「유구곡」≠「벌곡조」, 「유구곡」=「벌곡조」=「포곡가」의 관계를 증명하는 과정이었다. 해석의 가능성을 위해 가창자·가창물·가창공간의 특성과 참석자들의 새에 대한 인식을 고려해보았다. 가창자의 출신과 가창물의 특성, 주효 및 음악이 구비된 가창공간은 참석자들에게 ‘소통의 즐거움’을 주기 위한 곳이었다. 가창공간에 참석자들의 새에 대한 인식을 통해 보건대 비둘기는 ‘바르지 못한(不正)’이란 표현과 관련되거나 『시경』에 연원을 둔 바람난 여성의 이미지이고 뻐꾸기는 공평한 남성의 이미지와 관련돼 있기에, 「유구곡」은 부정적 성향의 여성이 긍정적 성향의 남성을 좋아한다고 진술하는 내용인 것이다. 비둘기가 자신의 바람을 독백체 진술에 기댄 이유도 짐작할 수 있는바, 바람난 여성이미지의 화자가 공평 균등의 이미지를 지닌 남성에게 직접화법을 구사하지 못하는 것은 여타의 속요 화자가 스스로 님의 부재를 적극적으로 해결하지 않고 소극적으로 대처하는 점과 무관하지 않다. 이 또한 가창공간에 참석한 사람들에게 ‘소통의 즐거움’을 주기 위한 일련의 장치이기도 하다.

      • KCI등재

        <새흉내내는소리>의 일상생활에서의 역할

        박관수 한국구비문학회 2014 口碑文學硏究 Vol.0 No.38

        The verse of <Mocking the sound of bird-chirping> is short in length. Themeaning within is also extremely vague. For such reasons, quite possibly, therehasn’t yet been any research done on this matter. However, those verses havemore than just their contents on-scene. The singers bring with them certainstories associated with the verses. Thus, their true meaning can be conveyedonly when listeners understand the verses along with the stories. Although they are relatively short, verses of <Mocking the sound ofbird-chirping> utilize the senses as means of expression. While auditory sensestake the largest part, visual, sensory, olfactory, and gustatory senses are alsoused. The associated stories consist of facts and events which are intimatelyconnected with sensory images. In summary, <Mocking the sound of bird-chirping> applies sensory imageand detailed stories in onsite performances. As singers listen to and sing suchverses, this thesis deals with the impacts and influences of the verses on thesingers’ lives. <새흉내내는소리>의 사설은 짧다. 그리고 그 의미도 불명확하다. 그런 연유에서인지 이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그런데 가창 현장에서 그 사설들은 그 문면적 의미만으로운용되지 않는다. 가창자들이 그 사설에 대해 지니고 있는 향유 이야기와 함께 운용된다. 그렇기 때문에 그 사설들과 향유 이야기를 결합하여 이해를 할 때 그 의미는 풍성하게 살아난다. <새흉내내는소리>의 사설들은 짧지만, 대부분 감각을 주 표현 대상으로 삼는다. 대부분의 소리가 청각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시각, 촉각, 후각, 미각 등도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그 향유 이야기는 구체적인 사실이나 사건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여러 감각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새흉내내는소리>는 감각과 실제적인 사건을 활용하여 사설을 구성한다. 감각에는 새소리를 지각하는 감각과 가창자들이 자신의 감각을 새에게 투사한 것이 있다. 그리고 실제적인 사건에는 현실적 삶에서 일어나는 일과 그에 대한 가창자들의 욕구나 감정이 들어 있다. 이와 같은 사설 구성은 가창자들이 <새흉내내는소리>를 통해 자신들의 욕구나 감정을 자각하고 개발하게 하는 데 도움을 준다. 결국 <새흉내내는소리>는 사람들이 ‘새’라는 매개물을 통해 자신을 드러내고 풍요롭게 삶과 접촉하는 수단이 됨으로써 현장적인 삶을 살아가는 데 일조를 한다. 사람들은 <새흉내내는소리>를 통해 자신의 감각을 동원하고 감정을 투사하고 의미를 만들어내는 작업을 수행한다. <새흉내내는소리>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각각마다 하나의 감각과 하나의 구체적인 사건으로만 이루어져 있다. 그렇지만 <새흉내내는소리>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장르 전체로 봐서는 매우 다양한 현실적 삶이 구체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그러니까 하나하나의 소리를 접할 때는 일부의 감각이나 하나의 구체적인 삶이 자극을 받겠지만, 여러종류의 소리들이 시차를 두고 재현이 되더라고 결국은 현장적인 삶이 전체적으로 자극을 받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