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Caregiver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American Caregivers

        김수영(Soo Young Kim),윤현숙(Hyun Sook Yoon),김진선(Jin Sun Kim),William E Haley 한국노년학회 2003 한국노년학 Vol.23 No.3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치매노인 가족보호자의 생활만족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비교분석하였다. 병약한 노인인구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한국에서 가족보호자들을 위한 제도를 수립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관한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하다. 본 조사는 한국의 3개 도시(서울, 광주, 부산)에서 5세 이상의 치매노인을 돌보고 있는 가족보호자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한국에서 290명의 가족보호자들을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는 123명의 가족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미국의 연구결과와 비교되었다. 한미비교의 결과에서는 몇 가지 유사점과 상이점이 발견되었다. 사회적 지지와 활동, 회피적 대처, 그리고 수발상황에 대한 스트레스적 평가 등은 가족보호자들의 생활만족도를 감소시키고, 우울증의 정도를 증가시키는 경향을 공통으로 보여주었다. 반면, 한국의 가족보호자들은 미국보호자들에 비해, 대처기술이 적게 사용하고 수발상황에 대해 부담을 표현하는데 절제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특히 한국보호자들은 적극적 대처기술을 거의 사용하지 않으며, 그 대신 사회적 지지망에 더욱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한국에서 경로분석의 결과를 보면 가족 보호자의 소득과 건강상태가 더 좋고, 사회활동을 더 많이 하며, 노인보호에 대해 적극적인 극복기술을 더 많이 사용하고, 소극적인 극복기술을 덜 사용할수록 자신의 생활전반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족보호자들의 건강이 좋지 않고, 스트레스원이 증가할수록 생활만족도는 낮아지고, 소극적인 극복기술을 더 많이 사용할수록 더욱 우울한 경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는 가족보호자가 사회적으로 취약한 계층에 속할수록 그들의 심리적 복지는 심각한 위기를 겪게 된다는 점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이들을 위한 사회적 개입과 대책이 절실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오늘날 한국에서는 자녀의 부모부양의식이나 가족의 책임이라는 가치가 점차 쇠퇴하고 있으므로, 가족보호자들에게 사회적 차원의 공식적인 지지와 개입을 통한 노인보호를 원활하게 해줄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presents the factors affecting on Satisfaction, Depression of Caregivers for the Dementia elderly across South Korea and Americ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mediators buffer the advase effects of caregiving situations, finally improve caregiver well-being. To catch differences in the mediating rol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another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caregivers of d e m t i a patients aged over 65 in Korea. Demographic and Survey result of 290 caregiver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 of 123 -can caregivers. In the companson several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were found. From compamtive analyses, Korean caregivers were found to be in more adverse conditions and experience more burden related to caregiving. In the path analysis, Korean caregivers with higher social status, better health, more social activity, and less we of avoidance coping were more likely to show higher life satisfaction and lower depression But, caregivers With poor health, more stressful appraisal, and m ore of avoidance coping were more likely to show laver level of well-being. these results were similar to the American results. However, Korean caregivers were less likely to we approach coping strategies, to be expressive about stressful caregiving condition than American ones. Instead, they tend to depend on informal support networks. Currently in Korea, the strong value of filial piety and family obligations are decayed. Given these social changes, it is essential to consider public policies and intervention both at micro and micro level for caregivers.

      • 아동·청소년·가족 보호체계 개선방안 연구

        김지연,좌동훈,박세경,한미경,최수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사회보장, 사회서비스, 평생사회안전망의 맥락에서 현행 아동·청소년·가족보호체계를 진단하고 정책개선을 위한 과제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에 따른 주요 연구내용은 첫째, 아동·청소년․가족 보호체계 현황 및 여건 분석, 둘째, 공공복지 전달체계 현황 및 여건 분석, 셋째, 보호체계 관련 국내·외 사례 및 현황 고찰, 넷째, 아동·청소년․가족 보호체계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 도출 등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선행연구와 행정자료를 분석하고, 자치구 단위 아동·청소년·가족 보호업무 추진여건을 파악하기 위하여 2차 자료분석과 시·군·구 희망복지지원단 대상 실태조사, 전문가 의견조사(AHP), 포커스그룹인터뷰(FGI), 전문가자문, 정책연구실무협의회, 콜로키움 등의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각의 보호체계가 분절적으로 구성·운영되어 있어 보호대상 아동·청소년․가족의 진입관문(gate-way)이 어디인지에 따라 지원내용과 서비스에 차별이 발생하고 있어 개선이 요구된다. 18세 미만 아동·청소년 가운데 보호지원이 필요한 아동은 10명 중 2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나 보호체계에 진입하더라도 보호조치를 담당하는 아동복지전담공무원의 배치기준이 부재하여 보호조치 시 전문성이 담보되지 않고, 아동복지시설 이외의 시설에서 대안돌봄 중인 아동·청소년은 보호조치를 위한 심의대상에서도 제외되는 등 누수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시·군·구 단위 아동·청소년·가족 보호·복지 통합게이트웨이를 단계적으로 구축하고, 현행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의 이용범위 확대와 취약계층 발굴을 위한 공통사정도구 개발·활용, 사례관리 전담인력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자치구 단위의 통합사례관리업무를 포함한 공공, 민간의 다종 다양한 사회서비스를 조정하고 총괄하는 컨트롤타워 기능을 강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보호사무와 관련하여 지방정부의 사업설계 자율권을 보장하고 기존 운영방식을 전면 개편하는 방안으로, 중앙정부 사회보장사업 중 아동·청소년·가족 보호사업목적과 기능을 고려하여 포괄보조(block grants)가 가능한 사업군을 도출하고 성과관리체계와 연동하여 시행가능성을 면밀하게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법률 개정, 아동·청소년·가족 보호기반 강화, 제도 및 서비스 개선을 위한 세부추진과제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system of the protection of children, youths and families and to identify the tasks for policy and practice improvement in the context of Social Security, Social Service and Social Safety Net.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current project involves the following these components: 1. Analyzing the current state and condition of the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children, youths and families; 2. Examining the present state and situation of the public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3. Evaluat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tus and cases of protection system; 4. Identifying policy and practice tasks to improve the current system for protection of children, youths and families. A variety of methods including comprehensive review of literature and the government reports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ources were utilized to address these four components. In addition, several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methods such as the administrative data, a survey with participants of Hope Welfare Support Teams,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Focus Group Interview (FGI), Expert Advice, Policy Researchers Conference and Colloquium were employed to better understand the current challenges and needs of the local government agencies. The research identified the several major challenges and areas of improvement to reform the protection system and to promote the well-being for children, youths and families. The first major finding is that based on the current structure, each protection system for children, youths and families is separated and operated independently. As a result, discrepancy exists in the level of support and services depending on where the children, youths and families“Gate-Way”are. This may be one of the most significant and urgent improvement areas in the current protection system to provide comprehensive and streamlined services. The second major finding is when children in need, enter the protection system, receiving adequate professional support is not guaranteed. This is a serious concern since it is estimated that two out of ten children under 18 years are subject to need for the protection support. The lack of professional support in the system can be attributed to the following two reasons. First, there is no systematic national standard for a Child Welfare Dedicated Public Official who is in charge of protection support. In addition, children and youths who receive the alternative care from the institution are not considered as a target for protection support under the current system. Therefore, to address the current challenge, each local government needs to work toward establishing the Integrated Gate-Way for children, youths and families. Also, expanding the range of current Social Security Information System, developing common assessment instrument to detect risk of harm to vulnerable children, youths and families,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case management professionals are critical to improve the protection system. Especially, a strategy to reinforce functions of Control Tower that operate and adjust various public and private social service including tasks for integrated case management is essential. The third finding is the necessity of making changes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For instance, it is important for the government to reorganize the existing operation method and to ensure autonomy for local government to have a business plan for the development of a protection system relevant to them. Also, based on the purpose and function of the protection system, certain programs and services within Central Government-Controlled Social Security Services can be identified as potential programs for Block Grants. Thus, in conjunction with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it is critical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creating Block Grants programs for local government to develop locally relevant social services. Bas

      • KCI등재

        남북이산가족의 재결합에 따른 중혼문제의 해결방안

        문흥안 법무부 통일법무과 2012 統一과 法律 Vol.- No.9

        「남북 주민 사이의 가족관계와 상속 등에 관한 특례법」이 2011.12.29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고 2012.1.27 정부에 이송되어 공포를 기다리고 있다. '남북주민특례법'의 시행으로 남북분단으로 발생한 다양한 가족관계의 법률문제가 해결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남북주민특례법'의 시행에도 불구하고 보호되지 못하는 중혼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 헌법불합치결정이 된 민법 제818조의 개정에 의해 중혼취소권자에 직계비속이 포함됨으로서 남북이산가족의 부부문제에 직계비속이 가세하여 중혼문제의 해결은 시급한 현안문제가 되었더. 이 논문에서는 남북이산가족의 재결합에 따른 중혼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적 특수성을 감안하여 중혼당사자를 보호하기 위한 해석론과 입법론을 전개하였다. '남북주민특례법'은 보호하려는 남북이산가족을 크게 ① 한국 정전협정 이전에 혼인한 부부가 남북의 왕래가 봉쇄됨으로서 이산가족이 된 경우와 ② 정전협정 이후에 혼인한 부부가 북한을 이탈하거나 남한을 이탈함으로서 이산가족이 된 경우로 나누고 있다. 그리고 전자(①)에 한정하여 '남북주민특례법'에 특례규정을 두어 중혼관계를 보호하려는 입장이고, 후자(②)의 경우에는 '정착지원법'에 미루고 있다. '남북주민특례법' 제6조와 제7조에 의하여 재혼한 경우에도 중혼의 취소권이 배제되어 후혼배우자가 보호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다만 남한에서 부재선고 등에 의해 북한에 있는 배우자에 대하여 부재선고를 받고 재혼을 한 경우에도 중혼이 보호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는 동법 제7조는 분명치 않아 해석상 논란이 생길 수 있으므로 '남북주민특례법' 제10조에서와 같은 입법을 통하여 해석상의 논란을 없애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남북주민특례법'은 정전협정 후 남한이나 북한에서 혼인한 부부가 이산가족이 된 후, 다시 각각 북한이나 남한에서 재혼을 한경우에 '정착지원법'에 의해 전혼배우자를 상대로 재판상이혼청구를 통하여 후혼배우자를 보호하는 방안을 채택했다. 그러나 북한이탈주민이 정전협정 이후 남한에서 가족관계 등록창설을 하는 경우 2003.3.18을 기점으로 가족단위로 가족관계등록창설(취적)을 할 수 있는 방식 및 절차가 정해졌다. 2003.3.18 이전 북한이탈주민의 취적시에는 북한에 남겨두고 온 배우자 등 가족관계에 대한 배려없이 단신으로 가족관계등록부를 창설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가족관계등록부에 근거하여 이미 남한에서 재혼하여 부부관계와 친자관계를 갖고 가정을 형성한 경우에 북한 잔류배우자나 직계비속 등에 의해 중혼을 취소하여 후혼의 부부관계를 해소케 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 그렇다면 2003.3.18 이전에 취적한 자가 남한에서 재혼한 경우의 중혼에 대하여는 후혼을 취소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후혼배우자를 보호하기 하기 입법적 조치가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The Exemption Law regarding the Family Relations and Inheritance among the Residents in South and North Korea ("The Exemption Law for Residents of the North and the South") prepared by the Ministry of Justice in 2009 has been passed by the Assembly plenary session on Jan 27, 2012. It has been sent to the government and is on standby for promulgation. Since the enforcement of The Exemption Law for Residents of the North and the South, various legal issues concerning family relations have been resolved. This study focuses on solutions for bigamy that is not covered by The Exemption Law for Residents of the North and the South. 1. Article 6 of The Exemption Law for Residents of the North and the South prevents the automatic annulment of remarriage of one or both parties of a separated couple in the North and the South based on bigamy, if the couple was married before July 27, 1953. Thus the position of spouses who were married before July 27, 1953 is not different from those in a normal marriage. 2. A remarried party whose separated spouse in the North or the South was reported missing before July 27, 1953 is also exempt from the right of rescission by bigamy by article 7 of The Exemption Law for Residents of the North and the South. Therefore the spouses from a later marriage are protected. However, whether the later marriage should fall into the protected scope of this article when one of the parties was married after he or she got the report of absence for their spouses in North Korea is still a gray area. It is considered that this interpretive controversy should be removed by the legislation since i) a report of absence has the same effect as a report of a missing person and; ii) the spouse from a later marriage should be protected. 3. For those who were married in the North or South, became dispersed family and married again respectively in the North or South after July 27, 1953 cannot be protected by The Exemption Law for Residents of the North and the South. The Law regarding the protection and the settlement in support of a North Korean Defector clarifies that the bigamist should sue the spouse registered on the Family Registration from the first marriage for divorce. 4. When there was a very slight chance for reunion of the dispersed families in the past, North Korean defectors were allowed to initiate the Family Relations Registration alone without taking their spouses or other family members left in the North into consideration. When a new family relation is formed with the remarriage based on this Family Relations Registration, it is not reasonable for the families left in the North to end the marital relations and filiation in the South. For those remarried people in the south with a Family Relations Registration after March 18, 2003, a form of legal action should be taken to protect the spouse from the latter marriage by prohibiting the cancellation of a marriage on the basis of bigamy. 5. Additionally, the Common Law Article 818, revised in 2012, entitles direct descendants to request the annulment of bigamy. Even after the death of one's spouse, the children left in the North can end the later marriage. A legislative action should urgently be taken for the protection of the later marriage.

      • KCI등재

        “내가 가정의 요양사잖아요.”-가족요양보호사의 돌봄 경험에서 나타난 가족실천

        윤태영(Tae-young Yun) 한국노인복지학회 2020 노인복지연구 Vol.75 No.3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수급자인 가족구성원을 돌보는 요양보호사의 경험을 Morgan(2011)이 제시한 ‘가족실천’의 맥락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현행 노인장기요양보험은 가족 수발자에 대한 보상을 매우 제한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나, 가족 수발자가 요양보호사 자격증을 취득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 수급자인 가족 구성원을 돌보는 것을 금지하지 않는다. 이 과정에서 가족인 요양보호사는 서비스 제공자이자 이용자의 지위에 놓이게 된다. 이 때, 요양보호사는 스스로의 돌봄을 어떻게 해석하는가?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모건(2011)의 ‘가족실천’을 이론적 자원으로 활용하였으며, 가족인 요양보호사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질적 접근의 경험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족을 돌보는 요양보호사 18명과 문제중심인터뷰(problem-centred interview, PCI)를 진행하였고, ‘귀납적 주제 분석’(김인숙, 2016)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가족인 요양보호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서비스의 제공자이자 이용자라는 중첩된 지위로 인해 비공식 가족 수발자 혹은 타인을 돌보는 요양보호사 중 어느 한쪽으로 범주화하기 어려운 경험을 한다. 또한, 가족인 요양보호사의 지위와 더불어 그들이 돌봄을 수행하는 공간인 집은 ‘이중 수행의 장소(a location of dual activities)’가 된다. 연구 참여자들의 돌봄 경험과 관련하여 ‘돌봄 장소로서의 집’, ‘사회적 관계로서의 가족’, ‘보상 조건으로서의 자격과정’, ‘가족인 요양보호사가 생각하는 보상의 의미’라는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가족인 요양보호사의 돌봄 특성과 욕구를 파악하여 가족에 대한 보상내용의 합리성과 보상 수준의 현실화를 통한 가족 수발자 지원이 필요함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family care helpers in the context of ‘family practices’ (Morgan, 2011). Long-term care insurance (LTCI) for senior citizens does not provide a separate compensation program for family recipients but instead for family care helpers (FCHs). These FCHs have obtained a care helper certificate and are paid for taking care of family members who are graded as care recipients of the LTCI. In this process, an FCH is placed in between users and service providers under the LTCI. In these circumstances, it is necessary to analyze how caregivers interpret their own experiences of caregiving for their old family members. This study adopts concepts of "family practices" as an analytical framework (Morgan, 2011). Paired with the analytical framework, this study applies qualitative, empirical methods, specifically, problem-centered interviews (PCIs) with 18 FCHs. These interviews are interpreted by using "inductive thematic analysis" (Kim, 2016). The FCHs interpreted their caregiving as a kind of family practice. The interviews revealed five significant themes for care experiences, including "home as a location of dual activities", "family as a social relationship", ‘qualification as a requirement for compensations’, and ‘meanings of a compensations for the family care helper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preserve the caregiving characteristics of FCHs, the need to support them through the rationality of compensation, and the realization of compensation level on policy implications.

      • 노인주간보호시설 이용노인의 가족지원서비스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윤은경 대한케어복지학회 2006 대한케어복지학 Vol.2 No.3

        본 연구는 노인의 부양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방안으로, 노인주간보호시설에서 가족에게 제공하는 가족지원서비스의 현황과 가족지원서비스가 실제적인 도움이 되고 있는지를 파악한 것이다. 조사는 부산광역시 노인주간보호시설을 중심으로 기관과 노인가족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다. 조사결과, 시설에서 가족지원서비스를 시행하는 경우에 실시횟수가 적었으며, 프로그램들이 다양화되어 있지 않고, 심지어 가족지원서비스를 실시하지 않는 시설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실시하고 있는 가족지원서비스 유형으로는 가족상담서비스와 가족정보지원서비스가 가장 많았고, 실제적인 도움이 된 서비스유형은 가족교육서비스로 나타났다. 노인과 동거하는 가족인 경우에 그렇지 않은 가족보다 훨씬 더 많이 가족지원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었고, 시설이용기간이 짧은 경우에 가족지원서비스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았다. This study examined how the family support service provided for the family by adult day care centers was implemented and whether the service delivered benefits, in an effort to ease the burden in taking care of senior citize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limited to adult day care centers and families of senior citizens using those centers in Busan Metropolitan City. As a result, even for those centers that provided the family support service, frequency was lower and programs were not diverse. More seriously, there were centers that did not offer family support service at all. In terms of the types of family support service currently implemented, most of them were family counseling service and family information support service, and family education service was found helpful in a practical way. As far as the type of users were concerned, families living together with a senior citizen were found much more likely to use the service than their counterparts, and more families participated in the family support service, as they used the center for a shorter period of time.

      • KCI등재

        노인요양시설의 돌봄 서비스에 대한 가족과 요양보호사의 인식 및 기대 비교 연구

        최희경(Choi Hee-Kyung) 한국가족학회 2010 가족과 문화 Vol.22 No.4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요양시설에 입소하여 생활하고 있는 노인의 가족과 요양시설에서 돌봄 업무를 수행하는 요양보호사에 대한 심층면접 결과를 가지고 돌봄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기대를 비교, 분석하였다. 노인 돌봄 서비스에는 가족적 특성과 전문적 특성이 혼재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가족과 요양보호사의 돌봄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기대에서 두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종사자와 가족 모두 노인 돌봄에 있어 '가족적 돌봄'을 이상적이고 바람직한 것으로 인식하였으나 그 기대와 인식의 내용은 차이가 있었다. 또한 전문적 돌봄에 대한 인식에서는 가족이 요양보호사보다 더 많은 기대를 나타내었으며 전문적 시설과 기술, 직업인으로서의 객관적이고 여유 있는 태도에 대한 기대를 나타낸 반면, 요양보호사는 보다 기능적이고 돌봄의 결과와 관련된 인식을 나타내었다. 현재 요양시설의 여건은 가족과 요양보호사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돌봄을 실현하는데 많은 한계와 장애요인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장기요양보험제도, 요양보호사 자격제도와 처우 등 제도적 요인과도 관련이 있었다. 또한 요양보호사와 가족이 서로에 대해 상반된 기대와 요구를 나타내었으나, 서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방법과 기회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요양보호사 자격제도와 처우를 개선하는 한편, 요양시설 입소자 가족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가족과 요양보호사간의 협력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체계적 의사소통 제도와 교육, 프로그램 및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The study aims to compare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of families of nursing home residents and care workers on elder care services. The analysis was focused on two contradictory characteristics of care - 'family like' and 'professional'. The data were drawn from in depth interviews with 9 family members who had elderly relatives living in nursing facilities and 12 direct care workers working in diverse types of nursing facilities in Busan area. A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both parties showed idealization of family-like care although specific expectations were different each other. The family participants had higher expectations on professional care and their perceptions were concentrated on such elements as care techniques and equipments, therapies, programs, and professional attitudes, while the care workers perceived improvement in physical and psychological conditions more importantly. It was discovered that there was not proper systematic way of communication between them although the expectations of both parties did not accord with each other on the roles of families and professional workers in nursing facilities. Policy issues were also barriers of desirable elder care such as heavy work load, deteriorated work conditions, unprofessional labour, and qualification system of care workers. Suggestions were made to reflect the insights of the participants including improving work conditions of direct care workers, and establishing effective communication programs and providing mutual education opportunities for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families and care workers.

      • KCI등재

        가족의 정신장애인 가정외보호(out of home care)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김문근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09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he out of home care needs of families of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PPD). In this study out of home care needs were defined as the need for hospital, board and care home, group home for the PPD. The author hypothesized disabilities of PPD, family burden, emotional attitude of families, families' perception of social prejudice to PPD affect the needs for out of home care directly and indirectly.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24 pairs of PPD and their family members sampled all around the country. In this stud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was used to analyse the data. The results show that the major hypotheses made in this study were accepted based on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es. First, disabilities of PPD affected the out of home care needs of families indirectly through the mediation of family burden and emotional attitudes of families. Second, the effects of family burden on the out of home care needs were mediated through the emotional attitude of families. Third, families' perception of social prejudice had negative effects on the out of home care needs directly, but it had positive effects on the needs for out of home care through the mediation of family burden and emotional attitude of famil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uthor suggested the clinical interventions such as family education to improve the families' understanding of psychiatric disabilities and to enhance families' positive emotional attitude toward PPD. Also specified interventions focused on the reduction of social prejudice against PPD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정신장애인을 보호하는 가족이 정신장애인을 가정이 아닌 정신의료기관, 정신요양시설, 지역사회 주거시설 등에서 보호하려는 욕구(가정외보호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에 근거하여 정신신장애인의 장애, 가족부담, 가족의 정서적 태도, 사회의 편견인식 등이 가족의 가정외보호욕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고 구조방정식모형을 설정하였다. 전국에서 표집된 324 쌍의 정신장애인과 가족으로부터 조사된 자료에 근거한 구조방정식모형분석 결과 정신장애인의 장애는 가족부담, 정서적 태도의 매개를 거쳐 가정외보호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의 편견인식은 직접적으로는 가정외보호욕구를 감소시키지만 간접적으로는 가족부담을 증가시키고, 가족의 정서적 태도를 악화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가정외보호욕구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가족부담으로 가정외보호욕구가 증가하는 효과는 가족의 긍정적인 정서에 의해 완화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사회의 편견인식이 가족의 가정외보호욕구에 미치는 직접적, 간접적 효과는 상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보호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족 아동의 특성에 따른 적응요인: 위험요인과 보호요인분석

        이영주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08 한국가족복지학 Vol.13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sychosocial adjustment status of children in multi-culture families. The data from this study was gathered for formulating appropriate policies or programs for multi-culture children to help them gain requisite skills and adapt to Korean society. The paper discusses the risk and protective factors affecting children's psychosocial adjustment,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To investigate the status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according to individual, famili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tests,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utili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psychosocial adjustments according to sex, school year, mother's nationality and economic status.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6 risk factors and 7 protective factors appeared negative.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recommended that programs be developed to consider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of multi-culture families. Teacher training programs are also necessary to promote a bullying prevention education for such children. We also need to design support programs for multi-culture families including their children. Finally, the paper proposes that dual language support programs for the children of multi-culture families be adopted.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아동들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현실에서 이들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이들이 건강한 적응적 삶을 사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족 아동의 특성에 따른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은 무엇이며 이들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다문화가족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실태를 파악하기위해 개인적 특성, 가족관련 특성, 환경적 특성에 따라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첫째, 다문화가족 아동은 고학년보다 저학년에서 가족관련, 문화관련 위험요인의 영향을 받으며, 특히 어머니가 외국인인 경우 가족관련, 문화관련 위험요인에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활수준에 따라서도 위험요인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족 아동은 성별, 학년수준에 따라 특히 문화관련, 주변인, 종교관련, 학교관련, 교사지지 보호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가족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 6개와 보호요인 7개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간에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가족 아동의 이중언어 학습지원 방안과 다문화가족 아동 담당교사들에게 그들을 이해하고 지원하는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또래가 함께 하는 집단프로그램 개발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가족요양보호사의 발생에 대한 탐색적 연구

        양난주(Nan Joo Yang) 한국사회정책학회 2013 한국사회정책 Vol.20 No.2

        본 연구는 한국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자연발생적으로 등장한 ‘가족요양보호사’에 대해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2012년 기준 방문요양급여의 38.4%가 노인이용자와 가족관계인 요양보호사에 의해 청구되었다. 가족의 돌봄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도입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가족들은 왜 스스로 요양보호사가 되어 가족돌봄을 유지하는가? 본 연구에서 가족요양보호사 현상은 의도하지 않은 정책결과에 대한 규범적 분석의 대상이 아니라 정책과 정책대상의 욕구가 충돌하는 지점으로 포착되고 탐구되었다. 가족요양보호사를 선택한 가족돌봄자 10명의 사례를 선정하여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이 자료를 토대로 가족요양보호사의 발생 원인과 가족요양보호사가 받는 급여의 성격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생계와 돌봄을 동시에 해결해야 하는 노인가구 가족돌봄자에 의한 선택, 전통적인 가족부양의 연장선에서 이루어지는 부가적인 선택, 제도 안에서 수용되지 않는 서비스를 위한 선택이라는 세 가지 원인이 발견되었다. 연구결과는 노인가구의 소득과 서비스의 통합적 개선방안,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와 호혜적인 가족돌봄지원 정책의 필요성, 재가서비스의 종류와 내용의 다양화라는 제도적 개선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auses of the emergence of so-called ``family-care workers`` i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in Korea. The LTCI system introduced in 2008 financially support the utilization of formal care services for the eligible elderly with care needs by paying for services of their care workers. Interestingly, 38.4 percent of payments for the in-home services were claimed by family members registered as qualified long-term care workers in 2012. We interviewed ten family care workers in depth and analyzed the needs of the aged and their families to explain the emergence of family care workers. The emergence of family-care workers is an inevitable result of choice by family members who face a dual burden of living and caring; be the additional choice following discharge the duty to support the elderly; be the alternative choice to fulfill unaccepted needs for services.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s for a comprehensive public provision of both income and social service support for the aged and an introduction of financial support for family care complementing the formal care support in the LTCI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