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맞벌이 확대기 부부의 가족관계만족도 변화와 심리적 관련 요인의 영향

        민진아,최수찬 한국가족관계학회 2024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9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맞벌이 확대기 부부의 가족관계만족도 변화 추이를 분석하고, 심리적 관련 요인의 가족관계만족도 변화에 대한 영향력과 부부 공통요인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Korea Welfare Panel)의 10차(2015년)부터 16차(2021년)까지 7년간 조사된 자료 중 맞벌이 확대기부부(부부 252쌍)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아내·남편의 가족관계만족도의 변화(초기치와 변화율)에 있어서 개인 차이를 분석하고, 심리적(자아존중감, 우울) 요인이 가족관계만족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기 위해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가족관계만족도의 전반적인 변화양상은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선형변화모델의 유의미성을 통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아내·남편의 가족관계만족도 변화율의 분산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가족관계만족도 증가 정도는 개인 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아내·남편 가족관계만족도는 초기값의 수준에 따라 변화 정도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의 자아존중감은 아내·남편 가족관계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부간 차이를 보였다. 반면, 배우자의 자아존중감은 아내·남편의 가족관계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개인의 우울은 아내·남편 가족관계만족도 초기값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남편의 우울은 아내의 초기 가족관계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 정책의 방향이 ‘가족과 개인의 삶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전환됨에 따라 정책 마련 시 맞벌이 확대기 가족뿐 아니라 아내·남편에 따른 가족관계만족도 수준과 변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아내·남편 가족관계만족도의 공통요인인 남편의 우울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직장 환경 자원인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 등을 활용하여 부부의 자아존중감과 우울 수준을 높일 수 있는 개입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가족 구성원의 의사소통 능력, 내외 통제성, 충동성, 낙관성이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주리(Julie Han),허경호(Gyeong-Ho Hur)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한국언론정보학보 Vol.28 No.-

        이 연구는 최근 이혼이나 청소년 가출 등 가족해체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행복한 가정생활의 지표라 볼 수 있는 가족관계 만족도를 언론학적 시각으로 접근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부모와 자녀의 의사소통 능력 및 내외 통제성, 충동성, 낙관성과 같은 성격변인이 가족관계 만족도와 갖는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이들 중 어떤 변인이 가족관계 만족도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지를 고찰해 보고 이를 통해 가족관계 만족도를 설명해 보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가족 성원들 간의 대화시간 등 가족관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통제 변인들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의사소통 능력, 내적 통제성, 낙관성이 높을수록 가족관계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충동성이 높을수록 가족관계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또한 어떠한 변인이 가족관계 만족도와 가장 깊은 관련성을 갖는지 살펴본 결과 자녀의 경우는 본인의 의사소통 능력 및 충동성, 아버지와의 대화시간, 부모의 충동성 순으로, 아버지의 경우는 본인의 의사소통 능력, 아내의 충동성 및 낙관성, 자녀와의 대화시간 순으로, 어머니의 경우는 본인의사소통 능력 및 교육 수준 순으로 본인의 가족관계 만족도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하여 기족관계 만족도를 설명하는 데 있어 성격뿐만 아니라 의사소통 능력 및 대화시간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The current study attempted to explain how family member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personality such as locus of control, impulsivity, and optimism influenced their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addition, we examined which variables among these would predict highly th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by conducting the regression analyses. We also included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of offsprings, age and education level, and conversation time among family members as the control variables thar may have influenced th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internalness, and optimism were, the higher th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whereas the higher the impulsivity was the lower the relationship was. For offspring, her/his ow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impulsivity, the conversation time with her/his father, and the impulsivity of the parents in order were the best predictors of the their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For father, his own communication competence, wife's impulsivity and optimism, and the conversation time with his offsprings in order predicted his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For mother, her ow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ducation level were the strongest predictors of her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results clearly demonstrated that the family member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conversation time among themselves as well as their personality are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explaining the their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Lastly,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가족관계만족도를 통해서 본 한국가족의 변화

        정기선(Ki-Seon Chung),김혜영(Hyeyoung Kim) 한국인구학회 2013 한국인구학 Vol.36 No.1

        이 연구는 통계청의 사회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1991년부터 2008년 동안의 가족생활 전반에 관한 만족도와 유형별 가족관계만족도를 시점별로, 그리고 응답자의 성과 연령, 혼인지위에 따라 비교분석하고 있다. 그 결과, 시간흐름에 따른 가족생활 전반은 물론 부부 및 부모자녀관계, 그리고 형제ㆍ자매 및 배우자부모와의 관계만족도가 높아지는 시간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대체로 개인의 성별이나 연령, 미ㆍ기혼이나 이혼 및 사별 등 결혼지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족가치 및 형태가 과거에 비해 유연해지고, 가족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견지한 개인들은 결혼관계의 회피 및 해체를 선택함으로써 한편에서는 가족형태 및 구성의 변동을 다른 한편에서는 가족관계의 질을 중시하는 가족문화가 확산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가족생활 전반에 관한 만족도와 부부관계 및 배우자부모와의 관계만족도는 남성이 더욱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이러한 성별효과는 결혼지위 및 연령효과와 연동되어 다양한 양상으로 분화되고 있다. 하지만, 가족생활 전반에 관한 만족도와 유형별 가족관계만족도는 모든 시점에서 성별차이 없이 연령대가 높을수록 낮아지고 있음이 확인된다. Based on Statistics Korea’s periodical social surveys between 1991 and 2008, this study provides a comparative analysis on satisfaction of various family relationships depending on gender, age and marital status. As a result, satisfaction not only in overall family life, but also in relationships between married couples, parents-children, siblings, and parents-in-law tend to increase with time. This tendency remains the same despite differences in gender, age and marital status. It can be understood due to more flexibility of family value and family types as well as the individuals who have negative attitude toward family choose not to be married and rather to divorce if they have problems in keeping family. It implies that the family culture emphasizing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 becomes more intensified. In addition, males find greater satisfaction in their overall family life and relationships with spouse or parents-in-law than females do. Such gender effect varies depending on experiences of family life events, such as divorce and bereavement, and age effects. Furthermor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including overall family life decreases with age regardless of gender differences.

      • KCI등재

        노년기 대인관계 부정적 인식과 중년기 가족관계 만족도의 관계: 원격 결과변수를 활용한 잠재성장모형 적용

        최윤영,이현우 한국융합과학회 2025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4 No.5

        연구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년기 가족관계 만족도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가 노년기 대인관계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종단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한국복지패널의 2007·2009·2011·2013·2019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2019년 기준 노년기에 해당하는 성인을 연구 대상으로 추출하였다. 중년기 가족관계 만족도의 변화궤적을 탐색하기 위해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무변화 모형, 선형 모형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후 원격결과변수인 노년기 대인관계 부정적 인식 정도 변수를 모형에 추가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시간적 흐름에 따른 우리나라 중년기 개인의 가족관계 만족도는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중년기 초기의 가족관계 만족도가 높을수록 노년기의 대인관계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정도가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 또한, 중년기의 가족관계 만족도가 지속적으로 높게 유지될수록 노년기 대인관계에 대한 부정적 인식 수준이 오히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년기의 가족관계 만족도를 긍정적으로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에 못지않게 가족 외부의 사회적 관계망을 통해 다양한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경험하는 것은 노년기의 가족관계가 자연스럽게 축소되는 과정 속에서의 정서적 공백을 완충하고 고립을 예방하는 역할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longitudinal changes i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during middle age in Korea and to explore how these changes affect negative perception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old age. Methods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2007, 2009, 2011, 2013 and 2019) were used and for the analysis, latent growth modeling with a distal outcome variable as the perceived negativit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old age was applied. Results First, there is a linear decreasing pattern i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during middle age. Second, individuals with higher initial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in middle age tended to have a higher level of negative percep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old age. Moreover, those whos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remained consistently high during middle age also showed a higher level of negative percep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old age.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while it is important to maintain positiv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during middle age, it is equally important to build and experience various social interactions outside the family. Doing so may help buffer emotional gaps and prevent isolation as family relationships naturally diminish in old age.

      • KCI등재

        농촌 다문화가족 아동의 가족생활만족도와 자아정체성에 따른 또래관계에 관한 연구

        박명순(Park, Myoung-Schun),이로미(Lee, Ro-mee),김현경(Kim, Hyun-Kyo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3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농촌 다문화가족 자녀들의 자아정체성과 가족생활만족도 및 또래관계에 관해 살펴보고자 다문화가족 자녀 171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다문화가족자녀의 가족생활만족도는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 및 어머니 문화에 대한 호감도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농촌 다문화가족 자녀의 자아정체성은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 및 어머니 문화에 대한 호감도에 따라서 차이를 나타냈는데, 그 중에서도 어머니 문화의 호감도 차이가 자녀의 자아정체성에 큰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다문화가족 자녀의 또래관계는 학교성적과 따돌림경험 유무, 어머니 나라 문화에 대한 호감도에 따라서 또래 관계에 차이가 있었다. 넷째, 아동의 가족생활만족도, 자아정체성, 또래관계 간의 상호관련성에 있어서는 상호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다섯째, 다문화가족 자녀의 또래관계에는 자아정체성과 어머니나라 문화호감도, 가족생활만족도가 설명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가족 자녀의 자아정체성 수준이 높을수록, 어머니나라문화에 호감도가 높을수록, 가족생활에 대한 만족수준이 높을수록 원만한 또래관계를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농촌다문화가족 자녀의 자아정체성과 어머니 나라 문화에 대한 호감도 및 가족생활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또래관계를 포함한 사회적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다뤄져야 함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authors investigated factors which affect ego-identity, family lif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rural South Korea. Surveys on peer relationships according to the life satisfaction and the ego-identity were conducted on 171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life satisfaction varied with Korean fluency of their mothers and the degree of likability of their mothers' cultures. Second, ego-identity of the children varied with Korean fluency of their migrant mothers and the degree of likability of their mothers' cultures, particularly, the more they accepted their mothers' cultures favorably, the more solid ego-identity formation were shown. Third, peer relationships of multicultural children varied with academic achievement, experience of being bullied and the degree of likability of their mothers' cultures. Forth,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among life satisfaction, ego-ident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inally, life satisfaction, ego-identity and likability of mothers' cultures were significant factor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micable peer relationships of multicultrual children were closely related to the high level of ego-identity, likability of mothers' cultures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authors suggested that educational considerations for the children should be discussed to promote their capability in manag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establishment the ego-identity, which include opportunities for these children to be exposed to their mothers' cultures and program interventions for all the family members to find ways for successful functioning.

      • KCI등재

        노인운전자의 안전운전이 가족관계 만족도를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성은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9

        본 연구는 노인운전자의 안전운전이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안전운전과 삶의 만족도의관계에서 가족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통계청의 2020 년 사회조사 자료가 활용되었으며 노인 운전자 2,352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다중회귀분석을실시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활용하여 매개효과의 유의미성을 확인하였다(Baron & Kenny 1986: 1176, Hayes 2009: 411-413). 분석결과 노인운전자의 안전운전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즉 안전운전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안전운전은 삶의 만족도에 직접효과를 가짐이 확인되었다. 또한 안전운전은 가족관계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 안전운전 수준이 높을수록 가족관계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전운전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관계 만족도는 부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 운전자의 삶의 만족에 있어 안전운전과 가족관계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후보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성희 ( Lee Sung-hee ),김나연 ( Kim Na-yeon ),김현수 ( Kim Hyun-su ) 한국다문화 디아스포라학회 2016 다문화와 디아스포라연구 Vol.9 No.-

        본 연구는 2012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를 활용하여 자녀를 둔 결혼이주여성 배우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생활만족도의 영향변인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가정내역할인식과 다문화수용성은 보통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가족관계만족도는 자신의 배우자, 자녀와의 관계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고, 생활만족도는 약간 높게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연령이 낮고 결혼기간이 짧고, 교육수준과 소득이 높을 때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일반적 특성, 다문화수용성, 가족관계만족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결혼기간이 짧을수록,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아졌다. 또한, 결혼이주여성 배우자는 다문화수용성이 높을수록 가족관계만족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족관계만족도는 다문화수용성 변인보다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생활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 배우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원방안은 기본적인 경제적인 요건을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하고, 다문화가족 생애주기 별로 경험할 수 있는 가족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다문화수용성 향상을 위해 타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배우자나라를 존중할 수 있는 태도를 갖출 수 있도록 인식개선사업과 교육정책이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ir life satisfaction targeting -marriage immigrant women’s husbands with children by using “2012 National Multicultural Family Survey” research data and presented support measures for them. Main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ception of the role at home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marriage immigrant women’s husbands were found to be a normal level 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higher in relations with their spouses, children and life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slightly higher. Second, life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higher as marriage immigrant women ‘s husbands are younger, marriage period is shorter, level of education and income are higher. Third, the relative influence of demographic, multicultural acceptability,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marriage immigrant women’s husbands on life satisfaction was examined and as a result, life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higher as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re higher. That is,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a variable that more affects marriage immigrant women’s husbands than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variable. Therefore, support measures conducted targeting marriage immigrant women’s husbands should be able to improve the basic economic requirements and need to carry out family education that can be experienced by multicultural family life cycle. Finally, in order to improv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marriage immigrant women’s husbands, awareness improvement projects and education policy should be carried out to ensure that they can have the attitude to respect the spouse’s countr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 KCI등재

        자발적 독거노인의 가족 및 친구 관계와 삶 만족도 및 우울 증상의 관계

        조효령,이효정 가정과삶의질학회 2025 가정과삶의질연구 Vol.43 No.1

        본 연구는 개인의 사회적 관계 혹은 유대가 건강과 연관이 있다는 주장과 사회적 지지가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한 이론적설명을 바탕으로, 자발적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가족 및 친구 관계와 삶 만족도 및 우울 증상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 관계에서남성 노인과 여성 노인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만 65세 이상 노인의 독신가구 3,117명 중 자발적으로 독거를 선택한 1,732명을 선정하였다. 독립 변인은 가족 및 친구 관계이며, 이는 자발적 독거노인의 비동거 자녀, 형제 자매(친척포함), 친구 및 이웃과의 왕래 빈도로 측정하였다. 종속 변인은 노년기 삶 만족도와 우울 증상이며, 조절변인은 성별, 통제변인은 연령, 지역, 결혼 여부, 자녀 유무, 교육 수준, 소득 수준, 주택 소유 여부, 주관적 건강상태를 포함하였다.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t-검정,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연구 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을 알아보았고, 위계적 중다 회귀분석과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통해 가족 및 친구 관계와 삶 만족도 및 우울 증상의 관계, 그리고 성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발적 독거노인의 가족 및 친구와의 왕래가 빈번할수록 삶 만족도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발적 독거노인의 가족 및 친구와의 왕래가 빈번할수록 우울 증상을 경험할 확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발적 독거노인의 가족 및 친구관계와 삶 만족도및 우울 증상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 그 사회적 비중과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음에도상대적으로 연구가 미흡했던, 자발적 독거를 선택한 노인 집단의 가족 및 친구 관계의 중요성에 주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가용할 자원과 개인 생활 향유의 욕구를 바탕으로 독립적인 생활을 추구하는 자발적 독거노인의 삶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우울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가족과 친구 관계를 개선하고 독려하는 개입 방안을 제안 시 유용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자발적 독거노인의 가족 및 친구 관계와 삶 만족도, 우울 증상의 관계에 성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바, 남성 노인과 여성노인 각각에게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개입 방안의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 friend relationships and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adults who live alone by choice and to verify whether gender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is relationship. Based on theoretical explanations regarding the link between an individual's social relationships or bonds and health, andthe positive impact of social support on health, the study selected participants considering the voluntary nature of living arrangements among elderly individuals, a group often perceived as vulnerable. Using data from the 2020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a total of 1,732 individuals who live alone by choice were selected as the final study subjects.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family & friend relationships, measured by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non-cohabiting children, siblings (including relatives), friends, and neighbor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ve symptoms in old age, with gender as a moderator and age, region, marital status, children,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homeownership,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s control variable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s, and chi-square tests were used to examin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ver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and friendship ties and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ve symptoms,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amily and friend relationships of older adults who live alone by choice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family and friend relationships of older adults who live alone by choice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depressive symptoms.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and friendrelationshipsp and life satisfaction, as well as that with depressive symptoms.This study is significant in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family and friend relationships in older adults who live alone by choice. This group has been relatively under-researched despite its increasing social importance in an aging society.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serve as useful evidence for interventions aimed at improving family and friend relationships to enhance life satisfaction and alleviate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adults who live alone by choice, based on available resources and the desire to enjoy independent living. Additionally, since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and friend relationships,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ve symptoms, the study provides a basis for developing practical and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tailored to elderly men and women.

      • KCI등재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우울, 가족관계, 자아존중감 간의 구조적 영향관계 : 소득수준에 따른 차이 중심으로

        이동욱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4 한국과 국제사회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우울, 가족관계, 자아존중감 간의 구조적 영향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및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에서 추진한 「한국복지패널조사」의 2022년 17차 조사에서 65세 이상의 노인 6,717명을 연구대상자로 지정하였으며, SPSS 26.0, JASP 0.18.0 및 Stata 16을 사용하여 빈도 및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델 경로분석을 행하였다. 첫째, 노인의 우울은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가족관계는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아존중감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우울은 자아존중감을 부분매개로 하여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가족관계는 자아존중감을 부분매개로 하여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다섯째, 노인의 소득수준에 따른 저소득층 가구 집단와 일반가구 집단에서 동일하게 노인의 우울은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가족관계는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또한 노인의 자아존중감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존중감은 독립변인인 우울, 가족관계와 종속변인 삶의 만족도 간에서 전부 간접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 개선을 위해 사회복지정책 수립, 행정 개선, 관련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 ship between depression, family relationships, and self-esteem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the 2022 17th survey of the Korea Welfare Panel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nd the Social Welfare Research Institut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6,717 seniors aged 65 years or older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First, depression in the elderly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family relationships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Third, self-esteem was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Fourth, depression had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with self-esteem as a partial mediator, and family relationships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with self-esteem as a partial mediator. Fifth, in both the low-income household group and the general household group, depression had a nega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nd family relationships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The elderly's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showed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depression and family relationships, and the dependent variable,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social welfare policies, improving administration, and operating related programs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 KCI등재

        베이비붐 세대와 에코 세대의 가족관계 특성 및 가족관계 만족도 변화궤적

        조규영,최봄이,박하영 한국생애학회 2024 생애학회지 Vol.14 No.3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와 에코 세대의 가족관계 특성을 탐색하고, 가족관계 만족도의 종단적 변화궤적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 12~24차년도(2009~2021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베이비붐 세대 1,836명, 에코 세대 1,427명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가족관계 특성은 기술통계와 빈도분석 활용하여 분석되었으며, 가족관계 만족도 변화궤적은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 LGM)을 활용하였다. 베이비붐 세대와 에코 세대의 가족관계 특성에 관한 기술통계 분석 결과, 에코 세대는 결혼과 출산 등 성인기 독립이 지연되는 한편 베이비붐 세대는 부모 부양 및 자녀 돌봄에 대한 이중 부담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비붐 세대와 에코 세대의 가족관계 만족도 변화궤적은 잠재성장모형 중 이차함수모형으로 추정하였는데, 그 결과 베이비붐 세대와 에코 세대 모두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족관계 만족도가 서서히 증가하다가, 후반부에 증가세가 둔화되며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주요 세대인 베이비붐 세대와 에코 세대의 가족관계 특성과 가족관계 만족도의 종단적 변화궤적을 심층적으로 파악하여 각 세대의 가족관계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relationships among the baby boom and echo generations and analyze the longitudinal trajectory of family-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obtained from the 12th to 24th waves (2009–2021) of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which includes 1,836 baby boomers and 1,427 echo generation members.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es are used to examine the family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and a latent growth model is used to analyze the trajectory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cho generation delays significant life transitions such as marriage and childbirth, whereas baby boomers experience the double burden of caring for their parents and children. Furthermore, based on the quadratic model of the trajectory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both the baby boom and echo generations show a trend of gradually increasing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over time. However, the rate of increase decelerates toward the end of the period.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insights into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relationships and longitudinal changes i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mong these significant generations in Korean society, thereby offer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family dynamics across gener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