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정환경자극이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유아의 인지 및 언어발달, 또래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임선아,심숙영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5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tempor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home environment at the age of 5,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of infants at 6 years of age, and peer interaction, and school readiness at 7 years of age. To analyz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over time, the parent's education level and income level were controlled in the home environment at the age of 5, and the gender and age of the child were controlled in the school readiness at the age of 7 year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answers by mothers and homeroom teachers of 1,671 infants among the data from the 5th year (2012), 6th year (2013), and 7th year (2014)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cceptability of the home environment at the age of 5 affects peer interaction at the age of 6, the learning materials of the home environment at the age of 5 are related to language development at the age of 6, and the language stimulus of the home environment at the age of 5 is related to the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at the age of 6. Second, the receptivity of the home environment at the age of 5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school readiness through peer interaction at the age of 6, the learning materials of the home environment at the age of 5 through language development at the age of 6, and the language stimulus of the home environment at the age of 5 through the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at the age of 6. Third, it was found that the diversity of the home environment at the age of 5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the school readiness at the age of 7. 본 연구는 5세 때 가정환경자극, 6세 때 인지 및 언어발달, 또래상호작용과 7세 때 학교준비도간의 시간적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가정환경자극이 인지 및 언어발달, 또래상호작용을 통해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한국아동패널의 5차년도(2012), 6차년도(2013), 7차년도(2014) 데이터 중, 1,671명 유아의 어머니와 담임교사가 답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자료에서, 5세 때 가정환경자극에서는 부모의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을 통제하였고, 7세 때 학교준비도에서는 유아의 성별과 월령을 통제한 후 주요 변인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5세 때 가정환경자극의수용성은 6세 때 또래상호작용, 5세 때 가정환경자극의 학습자료는 6세 때 언어발달, 5세 때 가정환경자극의 언어자극은 6세 때 인지 및 언어발달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5세 때 가정환경자극의 다양성은 7세 때의 학교준비도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5세 때 가정환경자극의 수용성은 6세 때 또래상호작용을 통해, 5세 때가정환경자극의 학습자료는 6세 때의 언어발달을 통해, 5세 때 가정환경자극의 언어자극은 6세때 인지 및 언어발달을 통해 7세 때 학교준비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취학 전 유아기 가정환경자극과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에 따른 학교준비도와 학교적응 간의 차이

        정연아,박해미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2 아시아여성연구 Vol.61 No.3

        본 연구는 취학 전 유아기 가정환경자극과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에 따른 학교준비도와 학교적응간의 잠재계층을 구분하고, 가정환경자극과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의 7〜10차년도(2014년〜2017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353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잠재계층 분석,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 일원산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취학 전 유아기가정환경자극과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은 3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낮은 가정환경자극 수준 유형(5%)’, ‘낮은 효능감・높은 가정자극 수준 유형(49%)’, ‘긍정적 양육태도・높은 가정환경자극 수준 유형(46%)’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환경자극과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아버지의 교육수준, 외가의 정서적지지, 어머니의 취업여부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환경자극과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에 따른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차이를 보였다. 넷째, 가정환경자극과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에 따른 초등학교 시기 학교적응은 1학년과 3학년 시기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취학 전 자녀를 둔 가정 내 부모역할 수행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맞벌이 부부의 일-가정 양립을 위한 부모역량 제고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어머니 개인변인과 가정환경자극이 유아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오성숙(Seong-Sook Oh)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2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 개인변인과 가정환경자극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다문화가정 어머니 개인변인, 가정환경자극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에서는 먼저, 어머니 개인변인에서는 의사소통수단(주로한국어)과 유아 언어능력(수용언어, 표현언어)에서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환경자극에서는 안정되고 예측할 수 있는 환경의 조직과 유아의 언어능력(수용언어, 표현언어)에서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언어능력이 어머니의 개인변인과 가정환경자극 중에서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수용언어에서는 가정환경자극 하위변인 중에서 안정되고 예측할 수 있는 환경의 조직, 표현언어에서는 가정환경자극 하위변인 중에서 물리적 환경의 측면이 영향력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 of home environmental stimuli and mothers personal variables in multicultural family on childrens linguistic abilitie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132 infants and their mothers of 82 infant education institutes located in P city.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s of communication (generally Korean) is found to have the greatest effect 0n childrens linguistic abilities of the personal variables of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the formation of stable and predictable environments affects childrens linguistic abilities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most of all the home environmental stimuli. Third, childrens receptive language was most affected by the formation of stable and predictable environments, and their expressive language was most affected by the aspects of physical environments.

      • KCI등재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가정환경자극 및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 간의 구조분석

        한명숙,서성숙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3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2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preschool children’s interactive peer play, socio-economic status, and a stimulated home environment. A total of 255 children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s and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with SPSS and AMOS, a statistical program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teractive peer play was associated with a socio-economic status and stimulated home environment. The results also confirmed that the pathway from socio-economic status to stimulated home environment and then interactive peer play showed a significant model fit. Finally, the paths from socio-economic status to children’s interactive peer play were mediated by a stimulated home environment. 본 연구는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 행동과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 가정환경자극 간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 간에 가정환경자극이 매개 변인이 되는지에 관하여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여 이들 변인들의 인과적 구조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255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가정환경자극은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된 인과적 구조모형의 경로를 확인한 결과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에 미치는 직접영향뿐만 아니라 가정환경자극이 매개하였을 때의 간접영향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가정환경자극의 매개효과를 통해서도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는 놀이 방해 및 놀이 단절 등 부정적인 또래놀이 행동을 나타내는 유아들의 경우에 놀이 상호작용 행동을 길러주기 위해서 가정에서의 질적 가정환경자극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유아기 가정환경자극의 변화 유형과 예측요인: 성장혼합모형

        김선희(Kim, Sunhee)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학논집 Vol.25 No.1

        본 연구에서는 4∼6세 유아기 가정환경자극의 변화 및 변화 유형을 규명하고, 가정환경자극 변화 유형에 대한 예측요인(가족요인, 어머니요인, 유아요인)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연구(PSKC)의 2012∼2014년 일반조사에 매해 참여한 4∼6세 유아 1530명과 그 어머니이다. 자료분석을 위해 성장혼합모형 분석과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6세 유아기 동안의 가정환경자극 수준은 점차 감소하였다. 둘째, 유아기 가정환경자극 변화는 3가지 잠재계층 유형(고수준-감소형, 저수준-증가형, 고수준-유지형)으로 구분되었다. 셋째, 3가지 가정환경자극 변화 유형은 아버지의 학력, 유아의 성, 부정적 정서성과 언어발달에 의해 예측되었다. 반면 어머니요인(우울, 양육스트레스, 결혼 만족도)은 유아기 가정환경자극 변화 유형을 유의하게 예측하지 않았다. 유아요인 및 환경요인에 따른 가정환경자극 변화 유형의 이질성을 강조하고 생애 초기 가정환경자극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types of trajectories for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from 4-6 year-olds, and examined predictors (family, mother, and child factors) on trajectories of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The 2012-2014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were used. Participants comprised 1530 children aged from 4 to 6 years and their mothers. Data was analyzed using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d growth mixture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reveal the following. First, trajectories for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from 4-6 year-olds decreased over time. Second, three distinct latent classes of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were found (high-decreasing, low-increasing, and high-stable). Third, the father’s educational attainment, young children’s gender, negative emotionality, and language development significantly predicted the three latent classes of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On the other hand, maternal factors (depression,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did not significantly predict the types of trajectories in the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This finding suggests the need to consider heterogeneity for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depending on both young children’s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while addressing the importance of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in early childhood.

      • KCI등재

        저소득 가정의 환경자극이 만 2세아의 수용·표현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조우리,황혜정 육아정책연구소 2013 육아정책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법정 저소득 가정의 만 2세아와 어머니 50쌍을 대상으로 저소득 가정의 환경자극과 영아의 수용.표현 어휘력 수준을 살펴보고, 영아의 어휘력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환경자극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저소득 가정의 환경자극 수준은 가정환경자극검사(HOME, 이영, 198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저소득 가정 만 2∼3세 아의 수용·표현 어휘력은 김영태, 성태제와 이윤경(2003)이 제작한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REV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환경자극검사(HOME)의 하위영역 중 일상생활에서 주는 자극의 다양성이 가정환경자극 수준 중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적절한 놀이감의 구비 상태, 어머니의 정서적·언어적 반응 순이었다. 둘째, 본 연구대상 영아의 수용.표현 어휘력이 선행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일반 영아의 어휘력이나 생활연령에 비해 훨씬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휘력 발달 연령의 개인 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수용 어휘력이 표현 어휘력보다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의 수용.표현 어휘력은 가정환경자극 변인들과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어머니의 정서적·언어적 반응이 영아의 수용.표현 어휘력과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넷째, 저소득 가정 만 2세아의 수용 어휘력에는 어머니의 정서적·언어적 반응, 어린이의 행동에 대한 훈육태도, 어머니의 모성적 태도 순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표현 어휘력에는 어머니의 정서적·언어적 반응, 어린이의 행동에 대한 훈육태도 순으로 영향을 미쳐, 어머니의 정서적·언어적 반응이 영아의 어휘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하위요인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factor influencing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level of 2 year olds from low income famil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 pairs of 2 year olds and their mothers. Environmental impetus level of the low-income families were assessed by Home Observation for Measurement of the Environment(HOME, Lee, 1980) and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levels were measured by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REVT, Kim et al., 2003).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hysical environment, existence of playing material, mother's behavior as a mom, discipline against infant's action, and mother's subordinate level of affective and linguistic reaction were comparatively high in HOME's subordinate level. Diversity of the impetus in daily lives was the highest level among 6 subordinate elements. Second,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level of infants in this study turned out to be inferior to normal infants in the result of the prior study. In addition, receptive vocabulary level turned out to be superior to expressive vocabulary level. Third,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level of infant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home environmental impetus. Diversity of the impetus occurred in daily lives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correlation with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level of infants. Finally, receptive vocabulary level of 2 year olds in low income families were affected by mother's affective and linguistic reaction, discipline against actions of infants, and mother's behavior as a mom in order. And, expressive vocabulary level were affected mother's affective and linguistic reaction, and discipline against actions of infants in order. Therefore, mother's affective and linguistic reaction turned out to be subordinate element to have most influence on the vocabulary level of infants.

      • KCI등재

        3세 아동의 가정환경 자극과 발달 수준이7세 아동의 지능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수정,곽금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home environment and child development at 3 years of age on intelligence development at 7 years. The participants were 143 mother-child dyads whose home environment and child development were measured using the mothers' reports when the children were 3 years old. At 7 years, the children’s intelligence was evaluat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III. The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ome environment and child development, as well as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hild development and intelligence, and between home environment and intelligence. Educational stimuli, acceptance, and linguistic stimuli from the home environment demonstrat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intelligence.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intelligence and each of the following: fine-motor, linguistic, and cognitive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howed that home environment at 3 years had a small influence on intelligence at 7 years, and home environment had direct positive effects on child development. Furthermore, the stage of development had direct positive effects on intelligence at the age of 7. This study suggests that home environments and the developmental levels of children in early childhood affect their intellectual development in middle childhood.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 초기 가정환경 자극과 아동의 발달 수준이 7세 지능 발달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143명의 아동과 아동의 어머니 쌍들이다. 아동이 만 3세 때 가정환경 자극과 아동발달을 어머니 보고를 통해 측정하였고, 4년 후인, 만 7세 경, 한국웩슬러III 아동지능검사를 실시하여 아동의 지능을 측정하였다. 3세 가정환경, 아동 발달, 그리고 7세 지능 간 상관을 분석한 결과, 3세 가정환경과 아동발달은 매우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으며, 아동발달과 지능, 그리고 가정환경과 지능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가정환경 자극의 하위영역 중, 학습적 자극, 온정적 반응성, 언어적 자극 등이 지능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아동발달의 하위영역 중, 소근육 발달, 언어 발달, 인지 발달 등이 지능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각 변인 간 직․간접적 경로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검증한 결과, 3세 가정환경자극은 근소하게 7세 지능에 영향을 주면서, 아동발달을 통해 간접적으로 지능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또한 3세 가정환경 자극은 아동발달에 그리고 아동발달은 7세 지능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현 연구를 통해 아동 초기 가정환경 자극과 아동 발달 수준이 아동 중기 지능발달에 영향을 주고 있음이 제안되었다.

      • KCI등재

        초등학교 아동의 가정환경자극 잠재프로파일 유형과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 및 영향 변인 간 관계

        하문선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2 한국초등교육 Vol.33 No.4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latent profiles of home environment stimulus,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problems, and influencing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s a result of applying latent profile analysis, the final four latent profiles were found to be most suitable: stimulus excellent group (66.4%) with the highest level of all home environment stimuli; stimulus moderate-family cohesion-deficient group (23.2%) with the moderate level of home environment stimulus and low family cohesion; stimulus moderate-physical support-deficient group (6.7%) with the moderate level of home environment stimuli and low physical support; and lowest stimulus-emotional support-deficit group (3.6%) with the lowest home environment stimulus and emotional support. Also,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xisting differences in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problems based on the latent profil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emotional symptoms, hyperactivity, and inattention levels. Finall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classification of the latent profile, gender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but communication ability, household income, and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Notably, the higher the communication ability, the higher the household income, and the higher the marital satisfaction,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stimulus excellent group. This study has empirical implications in the sense that it identified the existence of various sub-latent profiles based on home environment stimulu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confirmed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daptation for each profile. Furtherm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on profile classification in a more three-dimensional and integrated wa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study’s results.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의 가정환경자극에 대한 다양한 잠재프로파일과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 및영향 변인 간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적용결과, 잠재프로파일은 최종4개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가정환경자극 수준의 모든 요인이 가장 높은 자극우수집단(66.4%), 가정환경자극 수준이 보통이며 가족통합이 낮은 자극중-가족통합부족집단(23.2%), 가정환경자극 수준이 보통이며 물리적 영역이 낮은 자극중-물리적지원결핍집단(6.7%), 가정환경자극수준이 가장 낮고 정서적 지지가 낮은 자극하-정서적지지결핍집단(3.6%)이 나타났다. 또한 잠재프로파일에 따라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본 결과, 정서증상과 과잉행동 및 부주의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검증한 결과 성별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의사소통능력, 가구소득, 모의 결혼만족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의사소통능력이 높을수록,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모의 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 자극우수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의 가정환경자극에 따른 다양한 이질적인 하위 잠재프로파일이 존재함을 파악하고 각 유형별 적응 수준의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잠재집단 분류에 있어서 개인 특성 및 환경적 특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보다 통합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실증적 함의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가정환경이 유아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교사효능감의 조절효과

        김수정,정익중 육아정책연구소 2015 육아정책연구 Vol.9 No.1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home environ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reschool teachers' self-efficacy on child development. We utilized the fifth wave of the Korean Children Panel Study(KCPS) data including 1,703 families with 4-year-old children.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HOME scores were related to positive impacts on cognitive development, language development, and problem behavior of the children. Also, the higher scores of teachers' self-efficacy had positive effects only on cognitive development. Second, the effects of the home environment on child development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vels of teachers' self-efficacy as a moderator variable. Teachers with higher self-efficacy significantly elevated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and language development; and decreased problem behavior, regardless of the quality of home environment. It confirms that positive teachers' self-efficacy is a protective factor against negative early childhood development. In sum,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e that the home environment is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early childhood development. It stresses that practitioners should carefully assess children's home environment in the early stage, and place children living in low quality of the home environment in high-quality child care. Furthermore, training of teachers to strengthen their self-efficacy is one of vital factor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children. 본 연구는 가정환경자극이 유아발달(인지발달, 언어발달,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조사 5차년도에 응답한 만 4세 유아 자녀를 가진 1,703가구의 자료를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환경자극은 유아의 인지발달, 언어발달, 문제행동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교사효능감은 인지발달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환경 자극과 유아발달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가정환경자극이 유아발달에 미치는 영향이 교사효능감 수준에 따라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가정 환경자극 수준과 상관없이 높은 교사효능감은 인지발달, 언어발달, 문제행동에 영향 미치는 정도가 일정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높은 교사효능감이 낮은 질의 가정환경자극의 부정적인 효과를 완화시키는 보호요인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발달에 가정환경이 중요하며, 낮은 질의 가정환경의 유아는 조기 발견하여 높은 질의 보육기관으로 배치하고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교사교육 강화가 중요함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농촌아동의 가정환경자극과 학교적응관계에서 성취동기의 매개효과

        장혜진(Hyu Jin Jang),윤혜미(Hye Mee Yoon) 한국아동복지학회 2010 한국아동복지학 Vol.- No.33

        본 연구는 가정환경자극이 농촌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성취동기가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정환경자극은 언어적 환경, 정서적 분위기, 경험의 다양성, 환경의 물리적 측면 그리고 놀이자료로 세분화 하였고, 학교적응은 학교생활과 학업성취도로 구성하였다. 경북 Y군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1,060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지역적으로 고립된 경우 조손가정아동과 빈곤아동 비율이 더 높았으며, 지역적으로 고립되고 빈곤감이 크며 조손가정의 아동일 때 가정환경자극과 학교적응, 성취동기 모두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적 고립에 따라 가정환경자극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취동기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구조모형방정식을 이용, 분석하였다. 읍과 면지역 거주 아동 모두에게서 학교적응에 대한 가정환경자극의 영향이 성취동기에 의해 부분적으로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반한 함의가 논의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ural children`s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on their school adaptatio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motivation between children`s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and school adaptation. The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includes linguistic environment, emotional atmosphere, diversity of experience, physical environment, and availability of toys. School adaptation scale is composed of school-life adapt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1,060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iding in Y county were asked to complet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children in remote rural area have poor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than those who live in rural towns. Especially, children from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ies in remote rural areas were the most deprived. Overall, scores of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and achievement motivation brought differences in school adaptation of rural children. Additionally, the path-model showed that the achievement motivation was proved to hav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and school adaptation for children who resided in both town and remote rural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understanding rural children`s poor living conditions and the role of achievement motivation are crucial elements when devising programs for promoting rural children`s school adap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