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림을 통해 본 가부장적 근대 유럽에서 활용한 여성 이미지의 이중성

        전경옥(Chun, Kyung-ock)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1 아시아여성연구 Vol.50 No.2

        근대 국가가 수용하는 진보와 변혁이 역사의 방향을 틀어가고 있을 때, 이 시기 여성의 이미지는 진보적인 근대의 특성과 걸맞지 않은 가부장적 시선 안에서 풍자와 차별의 대상으로 남겨졌다. 여성의 이미지는 근대성의 불완전한 모습의 반영이며 근대 정치사상의 역사 속에서 제외된 약자의 진실을 대변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근대화의 다양한 선전은 그럴듯한 외관과는 모순되게 고정관념을 벗어나지 않았다는 것을 인식할 때 근대성의 정치성을 완전히 파악할 수 있다. 이 논문의 문제의식은 하나는 그런 이해와 비판이 주로 여성성을 비사회적이고 비정치적인 성격으로 과장하는 것에 있다. 또 하나는 여성을 국가의 상징으로 만들어놓을 때 이는 살아있는 인간이 아니라 인위적이고 자연적이지 않은 신화적 존재로 과장한다는 것이다. 여성적인 국가는 아이를 보호하는 어머니 모습을 담고 있다. 이 논문은 첫째, 근대 서양 정치사상의 남성 중심적 가부장제의 토대를 소개한다. 둘째, 이 토대에 대한 도전을 소개한다. 셋째, 여성에 의해 사회적 통념이 무너지는 현장을 풍자하는 이미지를 통해 교회나 국가 권력의 훼방자로서의 여성의 이미지를 다룬다. 넷째, 앞의 부정적 이미지와는 언뜻 보기에 상반되는 인격화된 국가의 알레고리를 통해 가부장적 국가와 사상이 드러내는 이중성을 비판한다. 이렇게 하는 과정에서 자유주의가 합리화하는 근대성의 정체를 비판적으로 정리하고 정치사상의 사회적 역할의 확대를 요구한다. This paper explores 1) the conflicting images of women shown in the political drawings and paintings in modern political thought, and 2) the meaning of those drawings and paintings as the tool of studying political thought. First, this paper challenges the prevailing belief that modern political thought began from Machiavelli has provided the essence of liberty and equality, the major concepts of liberalism. Patriarchal perception has been consistent in the core of liberal ideas though. The major goal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images of women politically used in Europe from the 16th to the 19th centuries. By doing this, we can see the inconsistency of liberal nature of modern political thought in Europe. The drawings of Aristotle and Phyllis reveal the oppressive power over women conducted by the church and the state, and the image of the state personified women utilizes maternal nature. Whatever the intention of using these images, never changed is patriarchal treatment of women. Second, this paper shows political satires of modern Europe as the alternative of studying political history and political thoughts.

      • KCI우수등재

        타자의 본질화 안에서의 우연한 연대 : 한국의 반다문화와 난민 반대의 젠더정치

        전의령(Jun, EuyRyung) 비판사회학회 2020 경제와 사회 Vol.- No.125

        이 논문은 2018년 제주도를 통해 입국한 예멘 난민들을 둘러싸고 불거진 한국의 난민논란을 2000년대 중후반 이후 급성장해 온 반다문화적 정동과의 연속성 속에서 파악하고, 난민 반대라는 하나의 사건이 반다문화로 시작한 우익적 정동을 복잡하게 확장하고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즉, 인터넷 반다문화 담론이 ‘성범죄자로서의 이주노동자’와 이에 대한 상호구성적 대립항으로 ‘겁탈당하는 한국 여성’을 동원함으로써 우익적 불안과 위기감을 꾸준히 형성해 왔다면, 2018년 이 불안과 위기감은 예멘 난민에 그대로 투사되었음은 물론이거니와 반다문화 커뮤니티를 넘어서 보다 넓은 층을 사로잡고 또 그들과 함께 거리로 나오게 만들었다. 반다문화 담론에서 여성에 대한 강간이 가부장적 권력구조 속에서 그들이 당면한 경험(‘성폭력’)이기보다 민족 또는 국가의 ‘유린’으로 전유되고 동시에 외국인과 한국인 사이의 전도된 권력관계를 가늠하는 기호로 동원된다면, 난민 반대 담론에서 ‘여성 화자’의 등장은 ‘성범죄자로서 이방인(남성)’과 그 ‘피해자로서 (한국) 여성’이라는 반다문화적 대립구도를 그대로 유지했을 뿐 아니라 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강화한다. 즉, 맘카페에서 이루어지는 ‘어머니-여성’이라는 정체성을 통한 안전의 요구가 가부장적 국가에서 여성의 역할과 영역으로 제한된 바로 그 위치에서 난민 반대를 외침으로써 ‘강한(‘남성적’) 국가’의 복원이라는 반다문화적 욕망을 강화한다면, 난민 반대에 합류한 일부 페미니스트들에 의해 강간은 국가의 유린 대신 ‘여성에 대한 억압’으로 재정의되지만 동시에 ‘억압자-남성’ 대 ‘피억압자-여성’으로 본질화된 젠더이분법을 반복하는 그들의 담론 속에서 ‘여성’은 여전히 경험의 주체가 아닌 물화된 대상으로 등장하게 된다. 이 논문은 신자유주의적 불안과 박탈의 산물로서 반다문화의 젠더정치가 난민 반대에서 ‘여성의 것’으로 젠더화된 불안과 분노를 통해 더욱 공고해지고, 그 과정에서 주체와 타자를 본질화하는 다양한 시도들이 결국 우익적·식민주의적 배제를 재생산하고 있음을 논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social uproar against Yemeni refugees who arrived in Jeju in 2018 within its continuity with the affect of ban damunhwa (the anti-immigrant sentiment) that emerged since the mid 2000s and shows how the former is a complex intensification of the latter’s right wing populism. If the discourse of ban damunhwa has been mobilizing the co-constitutive dichotomy of “migrant men as sex offenders” and “Korean women as victims” thus reproducing rightist anxieties and fear, the same anxieties were projected upon the Yemeni refugees bringing together different groups of people including women who identified themselves in various positions. If the discourse of ban damunhwa redefined the “rape against women” as the rape of the nation or of the state mobilizing it as an index to the imagined reversal of power relation between Koreans and migrants and calling for the intervention of the strong state, the demand of safety (from refugees) in the name of “women as mothers” resulted in the completion of the patriarchal desire of ban damunhwa for a “strong nation.” Also, the participation of some feminists, who defined “rape” as the patriarchal oppression against women and yet relied on the reified gender dichotomy between “men, the oppressor” and “women, the oppressed,” in the anti-refugee cause reproduced the problematic dichotomy between “migrant men as sex offenders” and “Korean women as potential victims.” In this article, I discuss that the gendered politics of ban damunhwa as the product of neoliberal precarity and dispossession became articulated into anti-refugee sentiments when meeting with anxieties and rages that were identified as “those of women’s,” which in turn ended up significantly (re-)producing right wing and “colonial” sentiments by essentializing “us” and “them.”

      • KCI등재후보

        한국계 입양문학에 나타난 뿌리와 기원의 탐색 연구 : 케이티 로빈슨의 『사진 한 장:한국 입양아의 뿌리 탐색』을 중심으로

        김영미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9 한국문화연구 Vol.17 No.-

        본 연구는 최근 활발하게 목소리를 내고 있는 한국계 입양문학에 나타난 뿌리와 기원의 탐색의 의미를 케이티 로빈슨의 자전적 작품, 『사진 한 장』을 통해 살펴보고자 했다. 입양아들의 뿌리 찾기 여행은 60년대 말 이래 미국 내 소수민족집단이 전개한 민족적 뿌리 찾기 운동의 영향, 비밀입양정책에 대해 반기를 들고 생물학적 부모찾기 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한 70, 80년대 입양활동가들의 운동, 그리고 90년대 이후 세계화시대에 입양아들이 서구와 모국을 연결하는 문화적 가교가 되기를 기대하는 모국의 열망이 서로 맞물려 90년대 이후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상이다. ‘한국 입양아의 뿌리 탐색’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 케이티 로빈슨의 『사진 한 장』은 70년대 후반 미국 백인 중산층 가정에 입양되어 백인 문화와 가치에 동화되어 살다가 뿌리와 기원을 찾아 한국으로 왔다 다시 미국으로 돌아가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작품에 나타난 뿌리 찾기 여행은 두 개의 국가/문화/가족과 교섭해야 하는 초국가적 입양아의 복잡한 정체성의 위치를 잘 드러내고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드러내어 준다. 첫째, 뿌리 찾기 여행의 주제는 초국가적 입양아가 미국 사회와 가족 속에서 느끼는 심리적 곤경을 드러냄으로써, 뿌리와 기원으로부터의 완전한 단절을 전제로 하는 동화의 삶이 가지는 억압적인 측면을 보여준다. 둘째, 뿌리로부터의 단절이 오히려 어떤 면에서는 뿌리와 기원에 대한 환상을 낳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작품 속에서 로빈슨이 뿌리 찾기 여행을 통해 존재의 완성, 정체성의 통합을 기대하는 것을 통해 나타난다. 셋째, 뿌리 찾기 여행은 언어, 문화, 잃어버린 시간의 장벽으로 인해, 모국 역시 완전한 소속이 불가능한 장소임을 드러낸다. 특히 이 작품 속에서 로빈슨은 ‘아비부재’ ‘남편부재’의 삶을 사는 사람들이 가부장적인 한국 사회에서 얼마나 고통스러운 주변부적 삶을 살고 있는지를 드러내고 자신의 입양 사건 역시 가부장적인 한국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 속에서 나온 것임을 이해한다. 그러므로 로빈슨은 자신의 입양을 ‘버림받은 사건’으로 바라보지 않고, ‘더 나은 기회를 제공하는 사랑의 행위’로 재구성한다. 넷째, 모국에서의 경험은 정체성의 통합이 잃어버린 과거, 친가족의 회복을 통해 가능한 어떤 것이 아니라, 현재와 과거, 입양국가와 모국의 관계 속에서 형성해나가야 하는 어떤 것임을 드러낸다. This study tried to consider the meaning of transnational adoptees' search stories of their roots through Kate Robinson's autobiographical book, A Single Square Picture(2002). Adoptees' journey for their birth family and birth country was promoted under the influences of minority groups' movement in the late 1960s of the US which insisted on the importance of ethnic roots as a source of identity, adoption activists' search movement for adoptees' biological kin in 1970s and 80s, and Korean government's attempt to embrace transnational adoptees who are supposed to be a kind of cultural bridge between the westerns and Korea in the age of globalization. In the Robinson's search story for her roots which reflects the complicated subject position of transnational adoptees between two families and two countries, this study found these meanings Firstly, her search story shows transnational adoptees' inner suffering such as the feeling of rootlessness, incompleteness, and being trapped between two cultures under the pressure of assimilation which presupposes the complete separation from birth family and birth country. Secondly, her search story demonstrates the separation from her roots also creates the fantasy for her roots which suggests that the reunion with her roots can bring the wholeness and integrity of identity. Thirdly, her search story shows that transnational adoptees' biological family and homeland cannot be the place to which they wholly belong because of the barriers of language, culture and lost time. In the experience of Korean society and family, Robinson especially came to realize how Korean patriarchal social and familial structure marginalizes and excludes those women who gave birth their babies outside marriage or who were abandoned by their husbands. In this context, Robinson could understand her birth mother's decision of sending her to the US was not an act of abandoning but an act of love, which intends to give a better chance to Robinson, an illegitimate child. Finally, through her search, Robinson suggests that the wholeness of identity cannot be achieved by restoring lost mother and lost past. Rather it implies that identity is the kind of thing which is being shaped through the negotiation between past and present, between birth family and adoption family, and between birth country and adoption country.

      • KCI등재후보

        한국계 입양문학에 나타난 뿌리와 기원의 탐색 연구: 케이티 로빈슨의 『사진 한 장:한국 입양아의 뿌리 탐색』을 중심으로

        김영미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9 한국문화연구 Vol.17 No.-

        This study tried to consider the meaning of transnational adoptees' search stories of their roots through Kate Robinson's autobiographical book, A Single Square Picture(2002). Adoptees' journey for their birth family and birth country was promoted under the influences of minority groups' movement in the late 1960s of the US which insisted on the importance of ethnic roots as a source of identity, adoption activists' search movement for adoptees' biological kin in 1970s and 80s, and Korean government's attempt to embrace transnational adoptees who are supposed to be a kind of cultural bridge between the westerns and Korea in the age of globalization. In the Robinson's search story for her roots which reflects the complicated subject position of transnational adoptees between two families and two countries, this study found these meanings; Firstly, her search story shows transnational adoptees' inner suffering such as the feeling of rootlessness, incompleteness, and being trapped between two cultures under the pressure of assimilation which presupposes the complete separation from birth family and birth country. Secondly, her search story demonstrates the separation from her roots also creates the fantasy for her roots which suggests that the reunion with her roots can bring the wholeness and integrity of identity. Thirdly, her search story shows that transnational adoptees' biological family and homeland cannot be the place to which they wholly belong because of the barriers of language, culture and lost time. In the experience of Korean society and family, Robinson especially came to realize how Korean patriarchal social and familial structure marginalizes and excludes those women who gave birth their babies outside marriage or who were abandoned by their husbands. In this context, Robinson could understand her birth mother's decision of sending her to the US was not an act of abandoning but an act of love, which intends to give a better chance to Robinson, an illegitimate child. Finally, through her search, Robinson suggests that the wholeness of identity cannot be achieved by restoring lost mother and lost past. Rather it implies that identity is the kind of thing which is being shaped through the negotiation between past and present, between birth family and adoption family, and between birth country and adoption country. 본 연구는 최근 활발하게 목소리를 내고 있는 한국계 입양문학에 나타난 뿌리와 기원의 탐색의 의미를 케이티 로빈슨의 자전적 작품, 『사진 한 장』을 통해 살펴보고자 했다. 입양아들의 뿌리 찾기 여행은 60년대 말 이래 미국 내 소수민족집단이 전개한 민족적 뿌리 찾기 운동의 영향, 비밀입양정책에 대해 반기를 들고 생물학적 부모찾기 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한 70, 80년대 입양활동가들의 운동, 그리고 90년대 이후 세계화시대에 입양아들이 서구와 모국을 연결하는 문화적 가교가 되기를 기대하는 모국의 열망이 서로 맞물려 90년대 이후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상이다. ‘한국 입양아의 뿌리 탐색’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 케이티 로빈슨의 『사진 한 장』은 70년대 후반 미국 백인 중산층 가정에 입양되어 백인 문화와 가치에 동화되어 살다가 뿌리와 기원을 찾아 한국으로 왔다 다시 미국으로 돌아가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작품에 나타난 뿌리 찾기 여행은 두 개의 국가/문화/가족과 교섭해야 하는 초국가적 입양아의 복잡한 정체성의 위치를 잘 드러내고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드러내어 준다. 첫째, 뿌리 찾기 여행의 주제는 초국가적 입양아가 미국 사회와 가족 속에서 느끼는 심리적 곤경을 드러냄으로써, 뿌리와 기원으로부터의 완전한 단절을 전제로 하는 동화의 삶이 가지는 억압적인 측면을 보여준다. 둘째, 뿌리로부터의 단절이 오히려 어떤 면에서는 뿌리와 기원에 대한 환상을 낳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작품 속에서 로빈슨이 뿌리 찾기 여행을 통해 존재의 완성, 정체성의 통합을 기대하는 것을 통해 나타난다. 셋째, 뿌리 찾기 여행은 언어, 문화, 잃어버린 시간의 장벽으로 인해, 모국 역시 완전한 소속이 불가능한 장소임을 드러낸다. 특히 이 작품 속에서 로빈슨은 ‘아비부재’ ‘남편부재’의 삶을 사는 사람들이 가부장적인 한국 사회에서 얼마나 고통스러운 주변부적 삶을 살고 있는지를 드러내고 자신의 입양 사건 역시 가부장적인 한국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 속에서 나온 것임을 이해한다. 그러므로 로빈슨은 자신의 입양을 ‘버림받은 사건’으로 바라보지 않고, ‘더 나은 기회를 제공하는 사랑의 행위’로 재구성한다. 넷째, 모국에서의 경험은 정체성의 통합이 잃어버린 과거, 친가족의 회복을 통해 가능한 어떤 것이 아니라, 현재와 과거, 입양국가와 모국의 관계 속에서 형성해나가야 하는 어떤 것임을 드러낸다.

      • KCI등재후보

        한국사회의 압축적 개인화와 젠더범주의 민주주의적 함의 - 1990년대를 중심으로

        홍찬숙 ( Hong Chan-sook ) 한국여성사학회 2012 여성과 역사 Vol.- No.17

        이 논문에서는 1990년대의 한국사회를 `압축적 개인화`가 진행되기 시작한 시대로 보았다. 여기서 `개인화`는 독일의 사회학자 울리히 벡과 엘리자베트벡-게른스하임의 개념을 빌려왔다. 1960년대에 들어서 서구에서는 계급타협의 복지제도, 가부장적 핵가족, 그리고 이러한 제도들에 기초하여 개인과 국가가 매개되는 형태인 국민국가가 완성된다. 그리고 그러한 역사적 조건을 배경으로 개인화라는 새로운 근대성의 현상이 진행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 논문에서는 1990년대의 한국에서도 서구와는 매우 이질적인 양상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정도로 계급타협의 복지제도와 근대적 국민국가 의식이 본궤도에 올랐으며 또 가부장적 핵가족이 중산층을 넘어 `보편화`되었다고 판단한다. 그리하여 정치적 민주화, 지역 중공업노조를 중심으로 한 노사교섭, 가족법 개정이 성공적으로 진행된 80년대를 넘어서면서 가족의 다양화와 계급의식의 약화, 시민의식의 도약 등 개인화 현상이 진행된 것으로 본다. 한국에서는 특히 생명·생활의 안전문제 뿐 아니라 신자유주의 세계화가 개인화를 더 가속화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또한 1990년대에는 한국적 근대성의 특징인 부계혈통 중심의 집단주의에 도전하는 개인주의의 흐름이 형성되며, 그것은 `몸`과 `성`의 개인주의를 주장하는 여성의 시민권 요구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다고 본다. 그리하여 1990년대 여성운동의 의제를 중심으로 개인주의와 개인화가 동시에 압축되어 진행된 `압축적 개인화` 현상에 대해 설명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meaning of gender category in a process of `compressed Individualization` in Korea, which, I think, started in 1990s. I call this process `compressed individualization`, because it consists not only of a so called `reflexive` process of the second modernity. Due to a strong patrilineal kinship in Korea Individualism was very oppressed in modernization of Korea. It is often said that collectivism is the very characteristic of korean modernity which differs from western modernity. In this paper I argue that it was women that advocate individualism in Korea, so to say, in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of Korea since 1987. So the notion `compressed individualization` means individualization in the usual, so to say, `reflexive` meaning and the delayed appearance of modern individualism in Korea at the same time. For the first half of this paper I deal with the theory of individualization by Ulrich Beck and compare German society since 1960s and Korean society since 1990s. For the second half of the paper the focus is laid on the issues of women`s movement in 1990s. I summarize the issues by 2 categories, ie. sexuality and national civil rights. I argue that the civil rights of sexuality and body can also be the starting point of individualism in Korea.

      • KCI등재

        1977년 이리역 폭발사고와 근대적 국가주의 연구

        원도연(Won, Do-Yeon) 한국지역사회학회 2022 지역사회연구 Vol.30 No.2

        1977년 11월 11일 일어난 이리역 폭발사고는 지금까지 한국 철도사상 최악의 사고로 기록되고 있다. 이 사고로 공식 기록으로만 사망자 59명 등 1,076명이 다치고, 9,973명이 이재민이 발생했으며 건물 피해액만 51억원에 달했다. 이리역 폭발사고는 전혀 예상치 못한 뜻밖의 재난이었다. 이리역 폭발사고는 그 사고와 수습의 과정에서 박정희 독재로 대표되는 국가주의 혹은 권위주의적 정부가 어떻게 국가적 재난에 대응했으며 어떻게 지역사회를 이데올로기적으로 지배했는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박정희 정권의 근대적 국가주의는 권위주의적 국가폭력과 통제에만 기반한 것은 아니었다. 이리역 폭발사고 당시 지역사회를 지배했던 유지들의 이데올로기적 동원과 자발적 민중동원이 동시에 나타났다. 이는 한편으로 그람시의 헤게모니적 지배가 관철되는 방식이었다. 이 사고의 과정에서 박정희 독재체제의 국가주의는 사고수습과 복구과정에서 병영국가적 통치방식, 박정희 개인에 대한 숭배로 드러난 가부장적 국가주의, 새이리 건설을 통해 드러난 개발주의라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2000년대 중반 이후 한국사회에서 권위주의적 국가가 해소되고 민주적 절차가 정착되면서 국가주의는 점차 해체되었다. 그러나 도시와 지역사회로 눈을 돌려보면 여전히 국가주의는 매우 강력하고 부단한 힘으로 작동하고 있다. 그리고 우리는 2022년 윤석열 정부의 등장은 새로운 차원에서 국가주의의 도래를 예고하고 있다. ‘Iri Station Explosion’ on November 11, 1977 has been recorded as the worst accident in Korean railway history. In the accident, 1,076 people, including 59 deaths, were injured, 9,973 people were displaced, and the damage to the building alone amounted to 5.1 billion won. The explosion at Irie Station was a completely unexpected disaster. ‘Iri Station Explosion’ is a clear example of how the nationalist or authoritarian government represented by Park Chung-hees dictatorship responded to national disasters and ideologically dominated the community. The modern nationalism of the Park Chung-hee regime was not based solely on authoritarian state violence and control. At the time of ‘Iri Station Explosion’ ideological mobilization and voluntary mobilization of the people who dominated the community appeared at the same time. On the one hand, it was the way Gramsys hegemony was carried out. In the process of this accident, the nationalism of Park Chung-hees dictatorship emerged as a military-state way of governing, patriarchal nationalism revealed by the worship of Park Chung-hee individuals, and developmentism revealed through the construction of Sae-ri. Since the mid-2000s, nationalism has gradually been dissolved as authoritarian states have been resolved and democratic procedures have been established in Korean society. But if you look at cities and communities, nationalism is still working with a very strong and constant force.

      • 정서적 가정폭력으로 인한 청소년 범죄의 예방 방안에 관한 연구 : 가정폭력을 중심으로

        김연주 한국경찰복지연구학회 2017 경찰복지연구 Vol.5 No.1

        국내 한국 사회 대중매체는 청소년에 의한 비행과 범죄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현 실에 있다. 정서적 가정폭력의 경우는 피해대상이 여성에서 청소년에 이르는 상당한 수에 이르러 청소년 범죄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로 제기 되었고, 이러한 가정폭력의 문 제는 우리나라의 전통적 가부장적 관례와 문화로 인식되어 오면서 방치되어 온 것 이 사실이다. 가정 환경적 요인 중에서도 정서적 가정폭력으로 인해 청소년들의 비행과 범죄 는 심각한 현실적 결과가 되었고 우리 주변에는 아직도 가정폭력의 피해로 인한 두려움과 상처의 피해자로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이 상당한 수에 이른다. 따라서 가정폭력은 더 이상 자체적인 문제로 뿐만이 아니라 사회문제화 되면서 국가의 개입 및 지방자치단체 등의 여러 향상의 도움으로 적극적인 개입과 법제도 적 보완의 필요성이 있겠다. Current Korean society shows the seriousness of crime by youth. In the case of emotional domestic violence, victims spread from women to adolescents, which affected adolescents crime. It is true that the issue of domestic violence has been neglected as it has been recognized as a traditional patriarchal culture of Korea. Among the environmental factors, emotional domestic violence has become a serious realistic consequence of Youth crime, There are still a considerable number of people around us living as victims of fear and injury from domestic violence. Therefore, domestic violence is no longer a problem of its own, but it is a social issue, and it is necessary to actively intervene and to improve the legal system of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 KCI등재
      • KCI등재
      • 한국 의료제공서비스 책임주체 인식에 대한 연구 : 사회신뢰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

        유은혜 한국사회서비스학회 2018 사회서비스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2016년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설문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한국인들이 의료 제공서비스 책임주체에 대한 인식에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사회신뢰, 그리고 가부장적 이데 올로기가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다중 로지스틱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 째, 배우자와 사별하고 사회신뢰가 높은 집단일수록 사기업과 영리단체에 의료서비스 제공 책임을 묻는 경향이 높다. 둘째,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반대할수록 정부보다는 비영리단 체, 자선단체를 최우선 책임주체로 인식한다. 마지막으로, 나이가 많을수록, 교육수준이 높 을수록 정부보다는 가족, 친척, 친구와 같은 친밀성의 영역에서 의료서비스 제공책임을 묻 는 경향이 높다. 이러한 결과는 차후 복지국가의 성격논의와 정책수립논의에 기초적인 단 초를 제공할 것이다. Using 2016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dataset and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this paper explores how Koreans perceives whose responsibility of medical services and what kinds of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structural factors influence on Korean’s perception. The results show that someone whose spouse is dead and has higher social trust believes that profit organizations should be more responsible for providing medical services than government. If someone is against patriarchism, he or she thinks that non-profit and charitable organizations are more responsible for providing medical services than government. Third, age and education have positive effects on perceiving family, relatives, and friends as main provider for medical servic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paper provides a foundational research for discussing the characteristics of welfare states and health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