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고려 최씨 정권기 私兵의 운영과 家奴

        이정민 역사학회 2022 역사학보 Vol.- No.256

        This study explores the management of private army(私兵) during the Choe military regime in Goryeo period and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its members. This study also intends to reveal the limitations of the regime’s running of private army. There are precedent studies that have analyzed the Choe regime’s management of private army, but they have not dealt with its members’ propensity. Therefore, the reason for the fundamental change in the attitudeofsoldiershasnotbeenproperly considered. The Choe military regime’s private army was largely composed of Dobang(都房) and House army(家兵). All members of Dobang were connected to the central bureaucracy, but the House army was not. Dobang had a bond with the Choe military regime in exchange for public offices, and could turn its back on the Choe military regime depending on the political situation. In preparation for such a situation, Choe military regime bestowed an office on domestic slaves(家奴), the conductor of the House army. However, these domestic slaves, newly involved with the bureaucracy, broke away from the Choe military regime and caused the fall of the regime. The limitation of the private army management was that Choe’s military regime used the centralized royal bureaucracy for its own benefit, but could not possess it. 본 연구는 고려 최씨 정권기 사병의 운영과 그 구성원의 성격 변화를 추적하여 최씨 정권의 사병 운영 한계점을 밝혔다. 기존 연구에서도 사병의 운영을 분석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기는 했지만, 구성원의 성격과 함께 분석되는 작업이 별로 행해지지 않아 그들의 행동 변화가 근본적으로 왜 일어났는지에 대한 고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최씨 정권의 사병은 크게 도방과 가병이 있었다. 도방의 구성원은 모두 중앙의 관료제와 관련되었으나, 가병은 그렇지 못했다. 도방은 관직을 반대급부로 하여 최씨 정권과 결합관계를 맺었는데, 정치적 상황에 따라 최씨 정권을 이탈할 수 있었다. 이를 대비하여 최씨 정권은 가병의 지휘자인 가노에게 관직을 주었는데, 새롭게 관료제와 연결된 가노가 최씨 정권을 이탈하면서 최씨 정권은 무너지게 되었다. 사병 운영 한계는 최씨 정권이 국왕 중심적 성격의 관료제를 자신에게 유리하도록 활용했지만 소유할 수 없는 점에 있었다.

      • KCI등재

        백야 김좌진의 민족의식과 국권회복운동

        민황기 ( Min Hwang-ki ),손세제 ( Son Se-je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7 No.-

        이 논문은 백야 김좌진의 민족의식과 국권회복운동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즉 김좌진의 타고난 품성과 어린 시절의 행적 그리고 자의식이 성장할 때까지 김좌진에게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가문의 분위기ㆍ교육ㆍ지역정서ㆍ서울에서의 체험 등을 바탕으로, 김좌진이 국망 이전에 펼쳤던 국권회복운동(가노해방ㆍ호명학교 설립)의 실제와 목적 및 정신을 고찰한 것이다. 홍주지역은 1905년까지만 해도 봉건적·수구적·척사적 의식이 보편적으로 드리워져 있었다. 이런 분위기에서 가노를 해방할 수 있었던 것은 그가 민족의식을 갖도록 다듬어준 여러 인연들, 이런 인연들을 자기 것으로 소화할 수 있었던 그의 반성 능력, 무엇보다도 사내다움과 호협적 기질을 타고난 본성으로서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호명학교에 대해서는 설립 시기에서부터 설립 주체에 이르기까지 논란이 많지만, 1908년 김좌진에 의해 주도적으로 설립된 것으로 보인다. 호명학교 설립은 그가 서울에서 교유하였던 인물이나 단체 그리고 이 시기에 그가 가졌던 사상ㆍ이념에서 볼 때 개명이나 계몽보다 구망 즉 미래의 독립운동에 참여할 인재를 육성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던 것 같다. 따라서 호명학교 설립은 그의 독립운동의 준비론적 성격을 띠고 있다. 김좌진은 근대의식이 비교적 옅은 사람이었다. 민족을 외적의 침입으로부터 구원하는 것이 시급했기 때문이다. 가노해방이나 호명학교 설립도 `계몽`보다 `구망`을 위해 결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민족을 압제에서 벗어나게 해야 한다는 `구망`의식이 매우 강했던 사람이다. 이것은 그의 내면에 있던 민족의식과 구망의식이 계몽의식을 압도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김좌진의 국권회복운동(`계몽`)과 독립운동(`구망`)은 사내다움과 호협을 동경하던 그의 품성이 때와 장소에 맞게 옷을 바꿔 입고 나타난, 본질적으로는 서로 특수한 관계에 있는 사건이었다. 이 둘의 관계는 전자는 후자의 준비이고 후자는 전자의 궁극적인 목적이었다. This paper is a research on Baek-ya Kim, Jwa-Jin`s national consciousness and movement of national sovereignty restoration. It means a research on the development, the goals and the spirit of the movement of national sovereignty restoration (slavery emancipation, the establishment of Ho-myeong school etc) that Kim, Jwa-Jin spread before the national mourning, based on his family`s tradition, the local spirit and the experiences from the time he lived in Seoul that exerted enormous influence on his natural character and activities when he was young, and the improvement of his self-consciousness when he reached adulthood. Until 1905, the Confucian spirit and the spirit of `expelling perverse religions` remained widespread in Hong-ju area. In that context, his awareness of slavery emancipation developed under various reasons, in which beside his ability to self-reflect there were also his innate bravery and courage. About Ho-myeong school, although there was much discussion about several problems, such as the time of establishment or the principle agent (of the school), the school was finally opened in 1908 with the decisive role of Kim, Jwa-Jin. When considering his relationship with figures and organizations in Seoul, and his opinions in that time, it can be said that his goals when opening that school was to educate the talented for the movement of national independence in the future, more than the renovation or enlightenment.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Ho-myeong school implies his preparations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Kim, Jwa-Jin did not pay much attention to the class contraction. Since the question of national contraction was more urgent at that time. Thus the slavery emancipation or the establishment of Ho-myeong school were carried out to the goal of `independence`, more than the `enlightenment`. That can explain the predomination of the Confucian spirit and the spirit of `expelling perverse religions` over the `enlightenment` spirit in his thought. The movements of `national sovereignty restoration` and `independence` of Kim, Jwa-Jin, taken priority over different contexts, have a specific relation between them. That is the former is the preparation of the latter, and the latter is the ultimate goal of the former.

      • KCI등재
      • KCI등재

        최씨 집권기 김약선·김경손의 정치노정

        장상주 한국중세사학회 2021 한국중세사연구 Vol.- No.67

        Kim Yak-sun was trusted by Choi-Yi and appointed as his successor. However due to excessive power expansion, such as marriage to the royal family, Choi-Yi was wary and finally killed. After Kim Yak-sun’ death, Choi-Yi moved Choi-Hang, a low birth and raised him as his successor. Kim Yak-sun’ son Kim-Mi had trouble, but Choi-Hang took power. Since taking power, Choi-Hang has been wary of Kim Kyung-son and sent him to exile. Kim Kyung-son was so famous at the time that Choi-Hang was jealous. Kim Kyung-son was not involved in Kim-Mi’s case, He tried to behave himself properly but Choi-Hang finally killed him. Choi-Hang also killed her blood relative, stepmother dae her son Oh Seung-jeok and Jeong-an after exile. This is due to the lack of inferiority and political insight caused by the low social limitations of Choi-Hang and lack of legitimacy. And it shows the limitations of Choi’s regime to build a power base around Choi’s a family slave. 최이 집권기 김약선은 후계자로 지목되었다. 하지만 김약선은 왕실과의 혼인과 지나친 권력 기반의 확장으로 마침내 최이에게 제거되었다. 최이는 김약선 제거 후 결국 천출 소생이지만, 아들인 최항을 후계자로 지목하였다. 그 과정에서 김약선의 아들인 김미와 대립이 있었으나 최항은 최씨 가의 가노인 이공주, 최양백, 김준 등의 지지로 권력을 세습하였다. 하지만 최씨 가의 가노외에는 별다른 지지기반이 없던 최항은 정통성 결여와 이로 인한 열등감으로 인해, 인척관계인 김경손, 계모대씨, 오승적, 정안 등을 제거하였다. 이는 최씨 가의 가노외에는 지지세력이 없었던 최항 정권의 배타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 KCI등재

        문화 : 회화(繪畵)를 통한 소통(疏通): 가노 탄유[수야탐유(狩野探幽)]가 기록한 조선그림

        박은순 ( Eun Soon Park ) 온지학회 2016 溫知論叢 Vol.0 No.47

        본고에서는 일본 에도江戶시대의 대표적인 화파인 가노파狩野派화가 들이 조선과의 회화교류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의 문제를 고찰하여 보았다. 에도시대 御用畵師집단을 대표하던 에도 가노파 화가들은 17세기 이후 파견된 조선 통신사를 접대하거나 통신사가 일본에 당도하기 이전 준비를 하는 과정에서 많은 활약을 하였다. 또한 가노파 화가들은 막부의 고관이나 각지의 다이묘, 혹은 부호들이 소장하였던 많은 그림들을 감정, 기록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그들은 수많은 한중일의 그림을 보았고, 이를 縮圖라고 하는 자료에 간단한 스케치로 담아 전해지게 하였다. 그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 가노 탄유(狩野探幽, 1602-1674)의 縮圖가 있다. 어용화사인 가노 탄유는 조선 통신사를 대접하기 위한 여러 준비를 하는데 동원되었고, 실제 통신사 수행화원들을 만났으며, 조선 國王에게 선사된 병풍그림도 그렸다. 후에는 조선 통신사의 행렬을 담은 그림도 그리는 등 조선과 관련하여 많은 활동을 하였다. 그는 자신이 본 그림들을 기록한 수많은 축도를 제작하였다. 그러한 축도 스케치 중에는 조선 그림으로 확인된 여러 스케치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 가운데는 현존하는 그림과 연결되는 것도 있고, 기록과 스케치를 통해서 조선그림으로 추정해 볼수 있는 작품들도 있다. 가노 탄유와 가노 쓰네노부(狩野常信)를 비롯한 에도 가노파 화가 중奧繪師화가들은 가장 보수적인 화가집단이었다. 그들은 17세기 이전부터 조선문화와 그림을 직간접으로 경험하였음에도 작품에서 朝鮮風을 수용하는데에는 신중하였다. 조선과의 교류에서 가장 많은 지식과 경험을 축적하였던 일본의 가노파 화가들이 조선회화에 대해서 어떠한 인식과 태도를 지녔는지, 또한 회화작품에 조선풍을 어떠한 방식으로, 어느 정도까지 활용하였는지의 문제 등은 한일회화 교류에 관한 연구를 심화하기 위하여 앞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considered the role of the Kano school painters in relat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Edo period. They as the representative court painters were ordered to prepare to host Joseon envoys and carried a lots of jobs to meet and exchanged paintings with the Korean court painters sent to Japan with the envoys. They also appraised and recodred many Japanese and foreign paintings including Chinese and Korean paintings collected by famous shogun and daimyos. In the process, they saw many important paintings and left sketches of them. Making sketches became a tradition among the Kano school painters. Kano Tanyu was the first Kano painter to start to make the sketches. He as a court painter was ordered to host the Korean envoys and painters in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Among his sketches, some Korean paintings were also included. In this article, I researched and contemplated the Tanyu’s sketches presumed to be Korean paintings. Including Kano Tanyu and Kano Tsunenobu, many representative Kano school painters met Korean painters and experienced Korean paintings. But they were very conservative and were not very eager to accept Korean qualities into their paintings at first. Some more researches have to be done to understand the Kano school painter’s view toward the Korean paintings and their use of the Korean artistic elements in their paintings.

      • KCI등재

        당(唐)ㆍ일본(日本)ㆍ고려(高麗)의 부곡(部曲)ㆍ가인(家人)ㆍ가노(家奴) 비교 연구 -그 기원(起源)과 특징(特徵)을 중심으로-

        전영섭 부경역사연구소 2012 지역과 역사 Vol.- No.30

        三國の賤人制は唐の律令制を模範にして、自國法の例の受け入れに應じて差別性を示した。このうち、私賤人は、各國の賤人制の特徵を明らかにすることができる部分である。つまり、律令身分制の良賤制は國王を頂点に階層身分秩序を實裝しているので、强力な國王の權力を示すことができる制度である。ところで私賤人は國王權が浸透したことがある素地が官賤人より少なくならざるを得ない。これ私賤人の編制がどのような方法で行われたかがすぐに賤人制の特徵といえる。これに對するもので、中國の部曲、日本の家人、高麗の家奴を考察對象とした。 部曲は先にも述べたように沒落した良人や戰爭捕虜を政府が主であると妥協して編制し、家人は、日本の豪族に屬している人民を統制しながら形成された身分である。これらの法的地位は、私奴婢よりも一段階高い。そしてこれらは良人に疏通できる素地を持っており、例えば、部曲は良人の女性と結婚し、さらに姓名を使用し、家人は主人家の代切れる良人に解放された。また、部曲と家人は以後に家兵の役割に變質され、その地位も以前の賤人とは比較できないほどに改善された。最後に、これらは主人家に從屬度が强かったが、部曲と家人の中で、後者はこの部分では、忠誠度が優れている。このような特徵を背景に、高麗の家奴を比較するとこれも、これらのカテゴリと似ていました。

      • KCI등재

        日本 御用畵師 가노파狩野派와 朝鮮 관련 繪畫

        박은순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9 美術史學 Vol.- No.38

        After the 17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the Joseon envoy began to be dispatched to Japan. This paper shed light on the activities of the Kano school painters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during this period. The Kano school was established as a representative group of court painters after Kano Danyu in the 17th century. The Kano school painters worked in various fields such as the gilded screen paintings for the Korean king as presents, the documentary painting of the procession of the Korean envoy on land and the travel of the Korean envoy on ship, the portrait painting of the envoy members, the appraisal of the Korean painting etcs.. Since the 17th century, Kano school painterss were the most active group of Japanese painters in diplomacy with Joseon. They continued to produce paintings related to the Korean envoys with orders from the shogunate and the daimyo. In addition, after the Korean envoy arrived in Edo, they were ordered to visit the place where the Korean envoy stayed and made direct relationships with them. In this article, some representative catagories were set up to show the role of the Kano school painters in diplomatic exchanges with the Korean envoy. For the result, it was possible to consistently examine the role of Kano school artists in regard with the Korean envoy. Since the 17th century, Kano school painters were the most active group of Japanese painters in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Joseon. They continued to produce paintings related to the Korean envoy with orders from the shogunate and the daimyo. In the process, the Kano painters became a group of artists with the most information about Joseon and Joseon paintings. However, they were not very much interested in Joseon painting and culture as most Japanese officials did. Since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they sometimes imitated Korean paintings, but did not actively accept the influence of Korean paintings. This differs significantly from the private intellectual artists in Kyoto and Osaka who were active in communicating with Korean envoy members and painters, and actively accepted the style and technique of the Korean painting. 17세기 이후 조선과 일본은 상호교린체제를 유지하면서 조선 통신사의 일본 파견이시작되었고, 1811년까지 12차에 걸쳐 통신사가 파견되었다. 본고에서는 이 시기 동안조선과의 교류에서 적극적으로 활약한 가노파 화가들의 활동을 종합적으로 정리, 고찰하였다. 가노파는 17세기 가노 단유 이후 대표적인 어용화가집단으로 정립되면서 에도가노파를 형성하였고, 막부와 조정을 위해 봉직하였다. 에도가노파 화가들은 가장 대표적인 어용화가인 오쿠에시와 그 다음 단계의 어용화가인 오모테에시로 구성되었다. 또한그 제자와 방계 화가들이 지방에서 大名를 위한 어용화가로서 활약하면서 전국적으로큰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에도가노파 화가들은 오쿠에시와 오모테에시들이 함께 협력하면서 조선에 선사하는 증정용 병풍, 행렬도와 선단도 등의 기록화, 통신사 일행의 초상화, 조선회화의 감정과 축도 제작 등 여러 분야에서 활약하였다. 본고에서는 에도가노파의 활약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항목을 설정하여 통신사와의 교류에서 이들이 한 활동을 집중적으로 조명하였다. 그동안 이들이 관여한 여러 가지 활동과 작품에 대하여 산발적으로 거론되기는 하였지만, 가노파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일관되게 정리한 연구가 거의 없었다. 여러 자료와 기록을 함께 모아 종합적으로 정리함으로써 조선 통신사가 파견된 동안 일본의 어용화가집단을 대표하는 가노파 화가들이 어떠한 활약을 하였는지 일관되게 고찰할 수 있었다. 17세기 이후 가노파 화가들은 일본의 화가 집단 중 조선과의 외교에 가장 적극적으로 관여한 집단이었다. 그들은 幕府나 大名의 주문으로 조선 통신사와 관련된 회화 작품을 지속적으로 제작하였다. 또한 통신사가 에도에 도착한 이후에는 통신사의 숙소를방문하여 직접적인 교류도 하였다. 그 과정에서 가노파 화가들은 조선과 조선회화에대하여 가장 많은 정보를 가진 화가 집단이 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들은 일본의 조정에 속한 관료화된 화가들로서 조선의 회화 자체에 대한 자발적인 관심은 높지 않았던것으로 보인다. 조선과 조선 회화에 대해서 늘 정확하게 알고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감정과 수장, 작품에 대한 기록도 병행하였던 만큼 가노파 화가들은 조선회화와 관련된 많은 기록과 감정 활동에도 기여하였다. 18세기 중엽 이후 조선회화를 모방하거나영향을 수용한 면모들이 나타나기는 했지만 결과적으로 가노파 화가들은 조선회화의영향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지는 않았다. 이는 교토나 오사카의 민간 지식인 화가들이조선 통신사 수행원 및 화가와의 교류에 적극적이었고, 조선의 화법 등을 자발적으로수용하였던 것과 비교하면 많은 차이가 있는 면모이다.

      • KCI등재

        동아시아 소상팔경 문화 명청대(明淸代)와 강호(江戶)시대의 소상팔경도

        한정희 ( Jung Hee Han ) 온지학회 2013 溫知論叢 Vol.0 No.34

        In China, the tradition of depicting eight scenic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reached its artistic peak in both quality and quantity during Southern Song period (960-1279), in Korea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1392- ca. 1550), and in Japan during the Muromachi period (1392-1573).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after these suggested time periods, the artistic vitality of the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was lost, thus little scholarly attention was given to later development of this pictorial theme. Thus, this research will examine how after its so called artistic apex, the tradition of the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developed differently in China and Japan, and how artists sparked trans-generational and trans-cultural conversations with their audience by interpreting this theme of antiquity in new aesthetics and pictorial vocabularies. Unlike Song period works, which tended to focus on the realistic depiction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Wen Zheng-ming (1470-1559), a Ming literati painter wonderfully interpreted this traditional theme in simple literati taste, and these works were formatted in small albums, rather than hanging scrolls. Wen`s approach to this theme is similar to Wu school painters who often found their themes for painting in the lush gardens and environs of Suzhou and rendered it in simple and plain brushworks. During Wen`s time, it was popular that in making one album, four painters collaborated together. Since the number eight is an even number, it was simple for each painter to be in charge of depicting two views. During the Qing period, the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were painted in style of old masters. In Japan, Kano Tanyu(1602-1648) and Ike no Taiga (1723-1776) invigorated this theme of antiquity. Kano Tanyu rendered the details of the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in an extremely meticulous manner in handscrolls, which often accompany other pictorial images. Ike no Taiga, one of the most celebrated Nanga (Southern School Painting) masters in the Edo period dramatically changed the conventional composition of the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painters`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lays in its extreme decorativeness. Round hilly mountains in the work by Seiko of the Muromachi period echoes the decorativeness of Yamato-e painting.

      • KCI등재

        도쿄국립박물관 소장 〈車爭圖屛風〉의 도상에 관한 일고찰

        정미연(Jung, Miyeo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8 美術史學 Vol.- No.36

        도쿄국립박물관 소장 〈車爭圖屛風〉은 기존의 다른 車爭圖와는 차별되는 새로운 도상의 車爭圖이다. 본고에서는 작품이 제작된 ‘당대의 풍속’을 표현한 점과 ‘행렬’, 그리고 ‘난투’라는 〈車爭圖屛風〉만의 독특한 도상적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 그러한 도상이 채택된 배경에 대해 다각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車爭圖屛風〉이 전달하고자 한 메시지는 작품의 주문자와 그 설치공간과 관련된 사회 · 정치적 상황을 함께 고려해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 시공간적으로 별개인 두 사건을 하나로 연결시켜 새롭게 창조한 ‘행렬’과 다른 車爭圖에서는 그려지지 않았던 격렬한 ‘난투’ 도상은 〈車爭圖屛風〉의 賀茂祭 제례도적 성격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車爭圖屛風〉에 묘사된 작품이 제작된 ‘당대의 풍속’ 표현은 〈車爭圖屛風〉의 화면에 ‘새롭게 창조된 賀茂祭 행렬’이 마치 당대 거행된 賀茂祭인 것과 같은 느낌을 준다. 이러한 〈車爭圖屛風〉의 독특한 도상들은 이 작품이 원래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미닫이문에 그려진 襖繪였다는 점과 관련 있다. 〈車爭圖屛風〉에서 4월의 봄을 대표하는 연중행사인 賀茂祭의 제례도적 성격이 두드러진 것은 『源氏物語』에서 사계절별 화제를 선택해 구성한 襖繪로서 기능하기 위한 것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한편 〈車爭圖屛風〉의 당대 풍속묘사는 源氏繪라는 장르의 작화 특성상 작품의 주문자인 九條家의 개입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다. 〈車爭圖屛風〉이 제작될 당시 九條家의 수장이었던 九條幸家(1586~1665)는 당대의 권력자인 江戶幕府의 德川將軍家와 혼인관계를 맺으며 매우 친밀한 관계를 유지한 인물이었다. 九條幸家는 1619년에 발생한 정치적 사건인 ‘およつ御寮人 사건’에서 關白이라는 조정 최고의 관직에 복귀해 분쟁의 당사자였던 江戶幕府와 교토 궁정 사이를 중재하며 사건의 해결을 꾀했다. 새로 입궁할 德川將軍家 출신 중궁을 위해 천황의 총애를 받던 측실을 쫓아낸 사건인 およつ 御寮人 사건은 격렬한 난투로 묘사된 〈車爭圖屛風〉의 六條御息所와 葵上의 車爭 장면을 연상시킨다. 〈車爭圖屛風〉의 화면 곳곳에 그려진 德川將軍家의 문장이 그려진 옷을 입은 무사들은 이 작품과 江戶幕府와의 관련성을 시사한다. 또한 賀茂祭를 주관하는 賀茂神社의 문장인 葵이 德川將軍家의 문장과 동일하다는 점도 賀茂祭를 배경으로 하는 車爭 장면이 작품의 화제로 선택된 이유가 德川將軍家와 관련 있음을 암시한다.『源氏物語』연구를 가학(家學)으로 삼을 만큼 『源氏物語』에 조예가 깊었던 九條家가 가문의 저택 내부에 설치할 源氏繪 襖繪의 화제로 およつ御寮人 사건을 연상시키는 車爭 장면을 선택한 것은 분명 의도적이었다. 九條家는 당대의 권력자인 江戶幕府와 교토 궁정과의 분쟁에서 막부의 이익을 대변한 가문의 공적을 〈車爭圖屛風〉을 통해 공공연하게 드러내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The Folding Screen Painting of the Battle of the Carriages (車爭圖屛風, hereafter “Battle of the Carriages”) at the Tokyo National Museum (TNM) differs from other paintings on this theme by presenting unique iconographies for the scene of the battle of carriages from the Tale of Genji (源氏物語, Genji monogatari).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ontemporaneous customs portrayed in this painting, the iconographies for the procession and the fierce fight, and the reason such distinct iconographies were adopted. The message this painting intends to deliver can be properly understood only by considering both the socio-political conditions surrounding the commissioner and the location where it was intended to be displayed. The scene of the procession combines two events from different times and places, and the scene of the fierce fight is not found in other paintings on the theme. These features allow the painting to serve as a ritual painting for the Aoi Matsuri (賀茂祭) festival. In addition, certain customs from the seventeenth century depicted in this painting also give the impression that the procession is one for an Aoi Matsuri as conducted at the time of the painting. The unique iconographies found in this painting are related to the fact that it was originally a fusuma-e (襖繪), a painting on sliding door panels within a building. As mentioned above, the Battle of the Carriages at the TNM appears to have served as a ritual painting for the Aoi Matsuri, an annual festival held in April. The depiction of a major spring festival may stem from the fact that this work was designed as a sliding-door panel painting featuring the four seasons as seen through motifs from seasonal scenes in the Tale of Genji. The Battle of the Carriages reflects customs from the time of its production, including in the clothing worn by the figures. Considering the conventions for paintings on the Tale of Genji, such a portrayal of contemporary customs would not have been considered allowable if it had not been specifically requested by the commissioning Kujō (九條) family. At the time the TNM painting was produced, Kujō Yukiie (九條幸家, 1586-1665), the head of the Kujō family,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Tokugawa (德川) clan of the Tokugawa shogunate (徳川幕府, 1603-1867) through marriage. In 1619, Kujō Yukiie was reappointed to the post of Kanpaku (關白), a regent for an adult emperor, the highest post in the government. In that year, political events caused a much beloved mistress of Emperor Go-Mizunoo (後水尾天皇, r. 1611-1629) to be expelled from court on behalf of a new empress from the Tokugawa family. To settle the affair, Kujō Yukiie mediated between the Tokugawa shogunate and the imperial court in Kyoto. Interestingly, the fierce battle of carriages taking place between the servants of Rokujo no Miyasudokoro (六條御息所) and those of Aoi no Ue (葵上) as depicted in the painting recalls the strife between the new empress and the former mistress. The combatants wearing clothing with the emblem of the Tokugawa family featured in many spots around the painting reflect the relation this painting bears to the Tokugawa shogunate. Further, the fact that Gamo Jinja (賀茂神社), the Shinto shrine hosting the Aoi Matsuri festival, and the Tokugawa shogunate both used a hollyhock flower, or aoi (葵) in Japanese, as their emblem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of the battle of carriages at the Aoi Matsuri was chosen as the subject of painting to suggest a relation with the Tokugawa Shogunate. The Kujō family made it a tradition to study the Tale of Genji and maintained a deep knowledge of this work. Therefore, it must certainly have been a deliberate choice to select the episode of the battle of carriages, reminiscent of the affair of the mistress of Emperor Go-Mizunoo, as a subject for the painting on the sliding door panels in the Kujō family home. It appears that the Kujō family wished to use the Battle of the Carriages to openly display the contribution they made in favor of 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