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세기 여성의 생애사 기록을 통해 본 빈곤의 감성 통제와 여성의 삶

        최기숙 한국여성문학학회 2014 여성문학연구 Vol.32 No.-

        This paper analyzed the women’s economical recognition and economic activity through 1,063 pieces of original texts which were written by male elites called sadaebu during the 18th century Joseon, focusing on the meaning of economy, female attitude toward family poverty and their management of household finances. At this research, I explained the female preparation plan on the poverty and their family members’ attitude on penury. The wide variety of texts which were recorded of female life stories showed that women should make a living by themselves to make their husbands keep their morality of poor but honest living. Poor women should take care of the poor neighbor and relatives even they suffered from extreme poverty and did their filial duty for their parents-in-law, and assisted their husbands. The poor family’s wives and mothers should make sacrifices for their family members by laboring to earn money, take caring of their poor neighbor and relatives. Woman’s economic ability and managing poverty was represented with the terms of ‘ethics’, not those of ‘potentialities’ or ’qualification’. At that time, woman did not permitted formal educational opportunity of the writing with hanmun (written Chinese), so all the records about woman were written by their male family members. As a result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all the texts which were written about women’s daily lives were reflected the male elite’s perspectives; cultural angles. moral positions, and engendered viewpoint. 이 논문에서는 18세기 사대부 남성이 쓴 여성 생애사 자료 총 1063편을 대상으로, 여성의 경제에 대한 인식 및 경제 활동에 대해 고찰하되, 여성의 삶 속에서 여성의 경제에 대한 인식, 활동, 의미화에 주목했다. 아울러 ‘가난’과 ‘빈곤’이라는 삶의 문제에 대해 여성이 어떻게 대응해왔는지, 또한 이에 대한 가족과 사회의 입장은 어떠했는지를 고찰했다. 18세기 여성 생애사 기록들은 가난한 집안의 여성들이 어려운 형편 속에서도 가계를 책임지고 가난을 극복하며 시부모에 대한 효도와 남편에 대한 내조, 자녀 교육, 친인척에 대한 돌봄과 베풂의 의무에 충실해야 했음을 보여주었다. 여성에게 주어진 사회적 조건과 이념은 가난의 일차적인 희생의 몫을 여성에게 부과하도록 했다. 이를 여성의 수양으로 강조함으로써, 여성의 육체적, 물질적 노동을 인격의 차원으로 수렴하는 한편, 빈곤으로 인한 여성의 고통스러운 감정에 대한 ‘통제’의 정치를 작동시켰다. 그 가운데 이루어진 여성의 노동과 빈곤 관리는 청렴과 안빈낙도라는 사대부 교양을 지탱하는 현실적, 경제적 바탕이 되었다. 이때 여성의 경제력이나 치산 능력, 빈곤 관리는 철저히 ‘윤리’의 용어로 재현됨으로써, 당시의 유교적 통치 이념 속에 여성이 스스로 적응하도록 작용했다. 당시의 제도적 문자였던 한문을 배우고 쓸 수 있는 기회로부터 배제된 여성들은 남성-가족의 글쓰기를 통해 ‘자기의 역사화’가 위임되었다. 이러한 구조는 가족 안에서의 인정을 얻기 위해 가장-남성이 원하는 여성의 책무에 주력하도록 추동했으며, 그 결과 여성은 빈곤의 첫 번째이자 유일한 희생자로서의 삶을 감당해야 했다. 이 논문은 18세기 빈곤 여성에 대한 남성 기록의 생애사 텍스트를 분석함으로써, 사회와 역사의 ‘주체가 될 수 없는/되지 못한’ 존재들이 어떻게 역사와 현실 속에서 ‘투명한 존재’로 ‘묵음 처리’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지속될 수 있는지에 대한 보편적 성찰의 지점을 생성해 보고자 했다.

      • KCI등재

        현대 한국사회의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신학적 고찰

        김명현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0 가톨릭신학 Vol.17 No.-

        우리나라의 급속한 경제발전은 사람들의 삶의 모습과 사회의 모습을 바꾸어 놓았다. 단일민족이라는 의식을 가지고 살아온 우리사회에 2010년 현재 외국인체류자가 120만에 이르고 우리사회 어디서나 외국인근로자(alien worker)와 결혼이주자(married immigrant)들을 만날 수 있게 되었다. 우리사회의 경제적 성장이 지속되어도 대부분의 외국인근로자와 다문화가정(multicultural family)들은 그 혜택을 누리지 못하고 가난하게 살고 있으며, 사회적으로 소외받고 차별을 받으며 살아가고 있다. 이들이 바로 21세기 초엽의 한국사회의 새로운 형태의 가난한 사람(the poor)들이다. 이들을 그리스도교적 관점에서 어떻게 이해하고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우선 성서에 나타나는 가난(poverty), 가난한 이들(the poor)의 모습, 가난한 이들을 위한 하느님의 배려와 사랑, 지도층과 부유한 자들에 가난한 이들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그리고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예수 그리스도의 활동과 가르침을 고찰하였다. 이어서 우리나라의 외국인근로자와 다문화가정(multicultural family)의 현실과 그들의 삶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서 외국인근로자와 다문화가정의 삶의 모습은 바로 성서에 나타나는 가난한 이들의 모습과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성서에서 가난한 사람들은 당시 사회의 소수자로써 자신들의 삶을 제대로 꾸려갈 수 없었고, 쉽게 왕과 지배층의 억압과 착취로 고통 받고 있었다. 오늘날 외국인근로자는 우리사회의 3D업종에 종사하면서 사회의 구성원으로 활동을 하고 있지만 저임금과 차별과 착취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또 다문화가정을 이루어 생활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의 경우 한 가정에서 아내요 어머니로서 삶을 살고 있지만 대다수의 결혼이주여성이 문화적 차이와 사회적 편견으로 차별과 무시 속에서 궁핍한 삶을 살고 있을 뿐 아니라 그 가족들마저 그러한 삶을 살고 있다. 하느님은 당신 예언자들을 통하여 가난한 이들의 권리를 보호할 것을 요구하였고, ‘계약의 책’(book of the convent)을 통하여 가난한 이들의 권리를 확정하였다. 이에 따라 이스라엘은 가난한 이들을 돌볼 책임이 있으며, 이들을 돌보는 것이 곧 하느님에 대한 신앙을 증거하는 것이며, 하느님의 축복을 받는 길이다. 성서의 바로 이러한 가르침에서 우리는 그리스도인이 이 시대의 가난한 사람들인 외국인근로자와 다문화가정들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지녀야 할 것인지에 대한 해답을 찾을 수 있다. 그 해답은 곧 그리스도의 신비체인 교회와 교회의 구성원인 그리스도인은 이주민들의 삶을 바로 알고 이들의 권리를 인정해야 하며, 이들이 인간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선의의 사람들과 함께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이 시대에 신앙을 증거하고 선포하는 길이다. The rapid economic growth changed the life’s appearance and the social figure in Korea. In 2010 there are almost 120 thousand foreigners in Korea which is full of the consciousness of a racially homogeneous nation, so anywhere in our country they meet alien workers and married immigrants. Even though the economic growth has continued recently, the majority of alien workers and the multicultural families are poor without receiving the favor from economic growth and live in social alienation and discrimination. In the 21st century they are a new class of the poor in Korea. How do we understand this situation and how do we receive them in the Christian vision? To answer the above question, first of all in the Bible we researched the concept of poverty, the appearance of the poor, God’s consideration and affection to the poor and how does the class of social leaders and riches treat them. And we looked into Jesus Christ’s teachings and activities to the poor. We investigated the reality of life of the alien workers and the multicultural families. We can identify the figure of the alien workers and the multicultural families with the appearance of life of the poor in the Bible through this research. Indeed, the poor in the Bible didn’t make a bare living as the minority in the society. And they suffered the oppression and the exploitation of the political leaders and the rich. Now the alien workers don’t get out of difficulty of low wages, social discrimination and exploitation, nevertheless they labor in the industry of 3D and discharge the member of our society. The married immigrant woman becomes a member of the multicultural family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so she is the wife of a man, a mother of her children and a housewife of a home. But the married immigrant woman and her family are in strained circumstance and suffer difficulties because of cultural differences and social prejudices. Through the prophets God asked to the people who protect the rights of the poor provide protection for the poor and established the rights of the poor through the book of the convent. Therefore, Israelites has the responsibility to give assistance to the poor. It is a testimony of the faith in God and the way of the blessing of God. In this teaching of the Bible we can find the answers to the question which we have to determine a certain attitude to the poor in this age who are the alien worker and the multicultural families. The answer is that the Church, the mystic body of Christ, and the Christian, the member of the Church, have to know the real life of the immigrants, recognize their rights and endeavor to lead a life worthy of man with the men of good will. It is the testimony and the proclamation of the Christian faith in this age.

      • KCI등재

        1960년대 주부 ‘생활수기’ 붐의 여성문학사적 의의

        한경희 한국여성문학학회 2023 여성문학연구 Vol.59 No.-

        1960년대는 여성 일반을 위한 대중 공론장이 마련됨에 따라, 경제적으로 그리넉넉지 않은 서민 여성들이 ‘주부’라는 이름의 문학 행위자로 편입될 수 있었던시기였다. 당대 가난 극복 수기의 한 종류인 ‘생활수기’라는 새로운 여성문학 장르가 그 소산이라 할 수 있다. 1930년대 이래 여성문학이란 연애와 결혼과 관련된 자신의 개인사를 두고생겨나는 ‘비애’와 ‘번민’을 지극히 과잉된 감상성으로 묘사하는 문학으로 이해되고 있었다. 그러나 ‘생활수기’의 주된 행위자층인 서민 여성들은 그간 문학적제재로서 적합하지 않다고 간주되어왔던 세속적인 일상생활을 사실적으로 재현했으며, 고된 생활고 속에서도 억척스러운 생활의 의지와 현실 세태에 대한 강한비판을 보인다는 특징이 있었다. 아울러, ‘생활수기’에서 여성의 무력함과 취약함은 남성과 종속적인 성적 관계를 맺어야만 하는 당위적 전제로서 인식되기보다, 다른 여성과 연결되어야 하는 이유가 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생활수기’의성격은 특히 가난의 고통을 그 제재로 다룰 때 전국민적인 감동을 자아냈다. 이처럼 ‘생활수기’는 서민 여성들로 인해 기존의 여성문학과 변별되는 새로운 내용과 형식을 보이는 여성문학이 출현할 수 있었음을 징후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근대화와 경제개발이 1970년대를 전후한 여성문학의 변화를 이끈 결정적계기가 되었다고 추측해볼 수 있게 해준다. With the rising corporatization of media companies and the creation of a popular public sphere for women during the modern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process of the 1960s, working-class women of limited economic means emerged as literary actors. One product of this was the new genre of women’s literature known as the ‘daily- life essay.’ An aspect of the nationwide phenomenon of essays about struggles with poverty which were inspired by the modernization and development ideology of the Park Chung Hee military dictatorship, these daily-life essays were symptomatic of a departure from previous women’s literature in both form and content by working class women referred to as housewives. Since the 1930s, women’s literature had been known for overly sentimental depictions of heartbreak and anguish in personal stories of romantic love or marriage. However, these characteristics of women’s literature rarely appear in the daily-life essays of the 1960s. The working-class women who were the primary literary actors composing daily-life essays instead dealt with subject matter previously considered unfit for literature, with realistic representations of ordinary, everyday life and portrayals of dogged determination amid hardship rather than tragic sentiment. As a result, these writings also include strong criticisms of social conditions difficult to find in previous women’s literature. Furthermore, in these writings, the helplessness and vulnerability considered to be women’s essential feature is not perceived as necessitating women’s submission to men within a sexual relationship, but as a reason to connect with other women who are equally helpless and vulnerable. The character of such daily-life essays, especially when addressing struggles with poverty, moved the hearts of readers across the nation. Because the form and content of these daily-life essays was directly influenced by the moderniz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we can draw the conclusion that this process was a decisive factor in the transformation of women’s literature around the 1970s.

      • KCI등재

        현대 한국사회의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신학적 고찰 (외국인 노동자와 다문화가족을 중심으로)

        김명현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0 가톨릭신학 Vol.0 No.17

        The rapid economic growth changed the life's appearance and the social figure in Korea. In 2010 there are almost 120 thousand foreigners in Korea which is full of the consciousness of a racially homogeneous nation, so anywhere in our country they meet alien workers and married immigrants. Even though the economic growth has continued recently, the majority of alien workers and the multicultural families are poor without receiving the favor from economic growth and live in social alienation and discrimination. In the 21st century they are a new class of the poor in Korea. How do we understand this situation and how do we receive them in the Christian vision? To answer the above question, first of all in the Bible we researched the concept of poverty, the appearance of the poor, God's consideration and affection to the poor and how does the class of social leaders and riches treat them. And we looked into Jesus Christ's teachings and activities to the poor. We investigated the reality of life of the alien workers and the multicultural families. We can identify the figure of the alien workers and the multicultural families with the appearance of life of the poor in the Bible through this research. Indeed, the poor in the Bible didn't make a bare living as the minority in the society. And they suffered the oppression and the exploitation of the political leaders and the rich. Now the alien workers don't get out of difficulty of low wages, social discrimination and exploitation, nevertheless they labor in the industry of 3D and discharge the member of our society. The married immigrant woman becomes a member of the multicultural family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so she is the wife of a man, a mother of her children and a housewife of a home. But the married immigrant woman and her family are in strained circumstance and suffer difficulties because of cultural differences and social prejudices. Through the prophets God asked to the people who protect the rights of the poor provide protection for the poor and established the rights of the poor through the book of the convent. Therefore, Israelites has the responsibility to give assistance to the poor. It is a testimony of the faith in God and the way of the blessing of God. In this teaching of the Bible we can find the answers to the question which we have to determine a certain attitude to the poor in this age who are the alien worker and the multicultural families. The answer is that the Church, the mystic body of Christ, and the Christian, the member of the Church, have to know the real life of the immigrants, recognize their rights and endeavor to lead a life worthy of man with the men of good will. It is the testimony and the proclamation of the Christian faith in this age. 우리나라의 급속한 경제발전은 사람들의 삶의 모습과 사회의 모습을 바꾸어 놓았다. 단일민족이라는 의식을 가지고 살아온 우리사회에 2010년 현재 외국인체류자가 120만에 이르고 우리사회 어디서나 외국인근로자(alien worker)와 결혼이주자(married immigrant)들을 만날 수 있게 되었다. 우리사회의 경제적 성장이 지속되어도 대부분의 외국인근로자와 다문화가정(multicultural family)들은 그 혜택을 누리지 못하고 가난하게 살고 있으며, 사회적으로 소외받고 차별을 받으며 살아가고 있다. 이들이 바로 21세기 초엽의 한국사회의 새로운 형태의 가난한 사람(the poor)들이다. 이들을 그리스도교적 관점에서 어떻게 이해하고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우선 성서에 나타나는 가난(poverty), 가난한 이들(the poor)의 모습, 가난한 이들을 위한 하느님의 배려와 사랑, 지도층과 부유한 자들에 가난한 이들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그리고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예수 그리스도의 활동과 가르침을 고찰하였다. 이어서 우리나라의 외국인근로자와 다문화가정(multicultural family)의 현실과 그들의 삶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서 외국인근로자와 다문화가정의 삶의 모습은 바로 성서에 나타나는 가난한 이들의 모습과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성서에서 가난한 사람들은 당시 사회의 소수자로써 자신들의 삶을 제대로 꾸려 갈 수 없었고, 쉽게 왕과 지배층의 억압과 착취로 고통 받고 있었다. 오늘날 외국인근로자는 우리사회의 3D업종에 종사하면서 사회의 구성원으로 활동을 하고 있지만 저임금과 차별과 착취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또 다문화가정을 이루어 생활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의 경우 한 가정에서 아내요 어머니로서 삶을 살고 있지만 대다수의 결혼이주여성이 문화적 차이와 사회적 편견으로 차별과 무시 속에서 궁핍한 삶을 살고 있을 뿐 아니라 그 가족들마저 그러한 삶을 살고 있다. 하느님은 당신 예언자들을 통하여 가난한 이들의 권리를 보호할 것을 요구하였고, ‘계약의 책’(book of the convent)을 통하여 가난한 이들의 권리를 확정하였다. 이에 따라 이스라엘은 가난한 이들을 돌볼 책임이 있으며, 이들을 돌보는 것이 곧 하느님에 대한 신앙을 증거하는 것이며, 하느님의 축복을 받는 길이다. 성서의 바로 이러한 가르침에서 우리는 그리스도인이 이 시대의 가난한 사람들인 외국인근로자와 다문화가정들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지녀야 할 것인지에 대한 해답을 찾을 수 있다. 그 해답은 곧 그리스도의 신비체인 교회와 교회의 구성원인 그리스도인은 이주민들의 삶을 바로 알고 이들의 권리를 인정해야 하며, 이들이 인간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선의의 사람들과 함께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이 시대에 신앙을 증거하고 선포하는 길이다.

      • KCI등재

        2000년대 한국여성소설에 나타나는 조선족 여성상 연구

        전월매 ( Yuemei Tian ) 겨레어문학회 2015 겨레어문학 Vol.55 No.-

        문학 속에 재현된 여성상은 직접 간접적으로 접하는 ``사회화``의 가장중요한 형식이다. 한국현대여성소설에 등장하는 조선족 여성들은 한국을 무대로 하고 있으며 결혼이주자들이다. 그녀들의 여성상은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는 가난하고 불행한 여인상이다. 가난을 벗기 위해결혼을 수단으로 한국행을 선택한 그녀들의 삶은 순탄치 않았고 한국에서의 남편과의 사랑은 글들에서 찾을 수가 없고 불행한 여인상으로만 남아있다. 예로 공선옥의 < 가리봉 연가 >에서의 장명화를 들 수 있다. 둘째로 실존으로서의 가출과 닫친 출구의 여인상이다. 이방인이고 여성이라는 젠더와 이주로 중첩된 결혼이민 조선족 여성은 실존으로서 가출하였지만 한국 땅에서 발 디딜 곳이 없었고 결국 죽음으로서 해결에 이르게되어 닫친 출구의 비극적인 여인상으로 남게 된다. 천운영의 < 잘 가라,서커스 >에서 주인공 림해화를 들 수 있다. 셋째로 가부장적 질서에 대한 순종과 반항의 여성상이다. 한수영의 < 그녀의 나무 핑궈리 >에서 만자 씨는 남편에게 순종하다가 거듭되는 남편의 외도에 가위를 갈며 거세하려는 반항을 보인다. 아쉬운 점은 상황 전개가 주인공 개인의 체험과 의식으로만 제시되어 있어 환경과 현실을 바라보는 시각이 개인적 차원에서의 해결방법에만 머무르고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에는 한계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Literature personality of women is of symbolic meaning of a whole society. In the 20th Century Korean Female literature, Korean Korean-Chinese Women are mostly migration - mirragers. These women could be categories into three groups: firstly, poor and unfortunate female, these women struggled and married to Korean in order to escape from poverty, however, lived unhappy with husband and experienced a lot of difficulties; secondly, females abandon themselves from family, but could going nowhere and ended up with tragedy, they are strangers in the eyes of Korean; thirdly, female defeat or obey patriarchy, these gentile women fight against the authority for righteous, but they only cares about individual merits.

      • KCI등재

        엘리사벳을 찾아서

        오현선(Hyun Sun Oh)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6 기독교교육논총 Vol.12 No.-

        우리의 사회적 상황에서 우리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여성주의적 기독교교육론을 실행함으로써 우리가 갖는 희망과 비전이 다른 상황과 다른 세계의 여성들에게도 전해질 것이다. 우리가 가지는 여성의 정체성과 비전을 분명하게 말하고 우리의 진정한 존엄성과 가치를 분명히 할 때 우리는 분명 우리 자신과 사회, 그리고 역사의 주체로서 다시 태어날 것이다. 이러한 비전과 꿈이 우리의 것이 될 때까지 우리는 엘리사벳을 찾아 떠나는 우리의 순례를 계속해 갈 것이다. 이 논문은 한국사회의 마리아에 대한 이야기이며 이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성숙하게 하기 위한 여성주의적 기독교교육론을 정립하고자 하는 하나의 시도이다. 필자는 온 세계의 여성들의 자유롭고 정의롭게 사는 삶을 꿈꾸지만 이 글은 이론적으로 또한 실천적으로 한국의 가난한 여성에 일차적인 초점을 두고 쓴 글이다. This dissertation is an expression of my continuing commitment as a religious educator to the liberation of women. It addresses the need of the formulation of an appropriate theory of feminist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for empowering women in Korea based upon their needs, their struggles, and their hopes for a better life. There is currently no theory of religious education related with women? particularity and reality in the Korean churches. Especially, poor women and their issues are not given any special attention nor are they considered important in matters of the church and theology. This project helps them understand who they really are and promote praxis that expands their dreams for women? fuller humanity. As the primary methodology, I use the interviews with 33 Korean poor women including 8 activists who are working in solidarity with them. The second method is an analysis of written materials produced by variou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which support the poor in Korea and a critical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and the communication of other authors?perspectives from Minjung theology, Asian feminist theology, and Western feminist religious education. This effort dreams poor women to grasp and reclaim confidence in themselves as participants in society who have the knowledge and energy to transform social realities. They possess the most practical force to bring about transformation because of the strength and wisdom they have accumulated through their life experiences. Once they have a chance to realize this potential and are freed to share their stories, experiences, and wisdom, they will be empowered to push the liberative force beyond the personal. Working together, women of poverty will have enormous power, presenting an irresistible challenge to oppressive realities. This is precisely what a feminist theory of religious education proposed in this study will do. To listen to the voice of women and help them speak out from their places of suffering without fear is essentially the beginning of feminist religious education in Korea. Such religious education that I want to create provides Korean women with hope for changing self, church, and society and enables them to realize their potential by sharing their vision and work.

      • 설교자의 누가복음 연구 (Ⅱ): 가난한 자를 통해 로마제국을 통치하시는 예수 그리스도

        이성민(Sung Min Lee) 감리교신학대학교 2019 신학과세계 Vol.- No.97

        본 논문은 예수 그리스도는 가난한 자를 통해 로마제국을 통치한다는 누가복음의 관점을 설교학의 입장에서 분석한 것이다. 연구자는 누가복음을 “혁명의 복음”으로 규정하고, 누가는 로마제국의 지도층에게 제국을 다스리시는 진정한 주권자는 로마의 황제가 아니라, ‘주님’ 되신 예수 그리스도라고 선포하고 있음을 주목한다. 누가복음은 로마 황제는 무력으로 폭력을 행사하여 제국을 통치한다면, 로마제국을 무너뜨리고 하나님의 나라를 세우시는 예수 그리스도는 “성령”으로 제국을 다스리신다는 점을 강조한다. 예수 그리스도는 폭력대신 “성령”을 “혁명의 무기”로 삼으신다. 또한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제자들과 그의 몸된 교회도 예수 그리스도가 맡기신 혁명을 수행하기 위해서 예수님처럼 성령의 충만함을 받아야 한다. 누가복음은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들이 “칼”이 아니라 “성령으로” 무기를 삼을 때에 결국 악의 세력을 이기게 된다고 증거한다. 오직 “성령”으로 로마 제국 안에 하나님의 나라를 세울 때에, “주 예수그리스도의 승리”를 보게 될 것이라고 강조한다. 누가복음은 온 세상의 ‘주님’ 되시는 예수 그리스도의 권위는 “섬김”과 “겸손”에서 온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 누가는 예수 그리스도를 로마제국의 황제나 보통 왕과는 근본적으로 차별이 되는 “시중드는 예수 그리스도 주님”으로 선포한다. 연구자는 누가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완성하는 “혁명의 용사”로 “가난한 사람들”과 “여성들”을 제시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가난한 사람과 여성은 억눌리고 소외된 자로서 로마제국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사랑의 혁명을 추진하는 주체 세력으로 쓰임 받는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는 교회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의 혁명을 위해 끊임없이 가난한 자들과 소외된 자들을 찾아가야 한다고 제안한다. 하나님의 혁명에서 전략의 중심에는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다. 가난한 자와 소외된 자에게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을 전하고, 그들에게 예수 그리스도를 살아계신 주 하나님으로 영접하게 한다. 그리고 그들이 성령을 받아서 폭력이 지배하는 제국 안에서 사랑의 혁명, 그리스도의 혁명을 일어나게 해야 한다. 연구자는 오늘의 교회에서 복음혁명은 ‘가난한 사람들’에 의해서 세워진다는 누가복음의 증언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을 강조한다. This article uses a homiletical approach to analyze the perspective of Luke that Jesus Christ rules the Roman Empire through the poor. I define Luke as the Gospel of Revolution in which Luke declares to the leaders of the Roman Empire that the true sovereign who governs the empire is not the emperor of Rome, but Jesus Christ, who has become the Lord. The Gospel of Luke emphasizes that if the Roman emperor uses force and violence to rule the empire, Jesus Christ, who destroys the Roman Empire and establishes the kingdom of God, rules the empire through the Holy Spirit as a weapon of revolution. In addition, the disciples who follow Jesus Christ must be filled with the Holy Spirit like Jesus in order to carry out the revolution of Jesus Christ. Moreover, the Gospel of Luke shows that Jesus Christ’s authentic power comes from “service” and “humility,” unlike the force of the emperor of Rome or other kings. In Luke, the poor and the women in the empire are “the warriors of revolution” who complete the revolution of love through Jesus Christ. Finally, I suggest the church should constantly take care of the poor and the marginalized because they are at the heart of the strategy in the revolution of God. I emphasize that they revolutionize with the love of Jesus Christ by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within the structures of violence.

      • KCI등재

        미군 캠프타운 한국 여성에 대한 한 민족지적 연구: 일과 정체성

        김미덕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4 아태연구 Vol.21 No.3

        This article aims to interpret the material realities of Korean women(mostly 40s-70s) in U.S. camptowns. Based on the field research in 2006 and 2007, this article explores the women's own perceptive on their lives and identity question. This article started from two findings during the fieldwork research. First, women’s narratives were centered on work, adjustment and current situations rather than liaisons with foreign soldiers and sex trade itself. Second, most informants neither identified themselves as sex workers, nor did they deny that they are not sex workers even when they clearly spoke about knowledge of the sex trade. I have suggested main reasons for their reticence through various forms of dis/identification from social class, sex trade as a form of work throughout their entire lives: Sex trade is work in that it is on the continuum of other informal and temporary jobs. It includes legal marriage to GIs their dis/identification is not grounded on sex trade itself but, rather class and the form of work they exert various forms of identities ranging from identification, dissimulation to disidentification from social positions. Thus the narratives of their past and the experiences of the sex trade is adjustment rather than total denial or shame(by not speaking about the experience of sex trade). This includes subtle, qualitative transformation such as ‘abundance from hard labor’ from the subsistence perspective and ‘pure vitality from poverty.’ It implies that suffering such as poverty involve not only violence but also embed the possibility of recuperation and patience that make them move forward for better life. 이 글의 목적은 현장연구를 바탕으로 미군 캠프타운에 거주하는 한국 여성들(40-70대)의 삶을 분석하는 것이다. 많은 연구 참여자의 공통된 구술의 특징은 스스로를 성 노동자로 규정하지도 않았고, 성매매에 대한 이야기가 나올 때에도 일을 부정하지도, 변명하지도 않았다는 것이다. 캠프타운에서의 생활(법적 결혼 포함)은 여성들이 거친 여러 비공식적, 임시직의 일환이었기 때문에 대중적인 부정적 호칭으로 자기정체화할 필요가 없었다고 설명한다. 이는 여성들의 노동자로서의 정체성을 인식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로서, 동일시, 탈동일시, 무시, 적응 등 다양한 정체성 수행방식을 살펴보았다. 여성들은 빈곤, 캠프타운에서의 일, 파트너와의 긴장과 불화 등 많은 어려움에 놓여 있었다. 그런데 이는 여성들이 피해자로서 운명에 순응하며 살았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적응’, ‘힘든 노동으로부터의 풍요로움’, 그리고 ‘가난뱅이들의 억척스럽고 모진 청청함’이라는 언술들의 통찰에서 알 수 있는데, 예컨대 빈곤은 당연히 폭력이지만 동시에 인내와 회복의 가능성 또한 내재하고 있어 삶을 앞으로 진행시킬 수 있는 힘을 갖는다고 보았다. 궁극적으로 이 글은 캠프타운 여성에 대한 성애의 물신화 경향과 숙명론을 문제 제기하면서 지식의 정치적 성격을 살펴보고자 했다.

      • KCI등재후보

        인간의 존엄성 수호와 상생(相生)을 위한 고찰

        조유미(Cho YuMi)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17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7 No.2

        물질문명의 발달로 인간 삶의 환경은 빠르게 변화해 간다. 한편으로 는 편리함과 많은 혜택을 누리게 되었지만, 그에 반해 인간 생명과 삶을 위협하는 새로운 형태의 ‘죽음의 문화’가 번져가고 있다. 이러한 때 에 우리 그리스도인들에게는 한층 더, 역대 교황들이 거듭 강조한 ‘정의 의 문화’를 넘어서 ‘사랑의 문화’ ‘생명의 문화’를 건설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히 요청된다. 본고는 우선, 그리스도교의 인간에 대한 이해를 고찰한다. 다음으로는 성경과 교회의 가르침을 통해 가난한 이들을 우선적으로 선택해야 하는 근거를 고찰함으로써, 물질만능주의와 개인주의•이기주의가 만연한 현 시대사조 가운데에서 약자들과 가난한 이들에 대한 관심과 나눔, 공동 선 추구의 정당성을 찾는다. 마지막에는 인간으로의 존엄성이 유린되는 많은 여성들이 처한 현대적 의미의 상품화와 노예화라는 실상을 지적하고, 여성 생육성(生育性)의 진정한 의미구현을 통한 인간 존엄성 수호와 상생(相生)의 길을 모색한다. 인간은 혼자 살아갈 수 없는 존재이다. 인간은 사회 안에서만 자기완 성을 이루게 된다. 그러므로 공동 집단인 사회는 모든 인간의 발전과 완성을 가장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공동선을 지향해야 하며, 빈• 부, 남•여, 민족•국가, 종교, 인종, 피부색 등, 그 어떤 이유로도 인간에 대한 차별은 정당화 될 수 없다. 모든 인간은 하느님의 모상(Imago Dei)대로 창조되었고, 하느님께 사랑 받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본고는 ‘사랑의 문화’ ‘생명의 문화’ 확산을 위해, 다만 개인의 생존과 이익을 우선적으로 추구하는 이기적인 심성을 벗어나 함께 살아감에 필요한 소질을 양성하고 전수하고 확산시키는 행위와 활동의 정당성과 중요성을 일깨우고자 하였다. With the development of material civilization, the environment of human life changes rapidly. On the one hand, it has enjoyed convenience and many benefits, but on the other hand, a new form of ‘death culture’ is threatening human longevity and life. At this time, more and more Christians are urged to make efforts to build a ‘culture of love’ and a ‘culture of life’ beyond the ‘culture of righteousness’ which successive popes have repeatedly emphasized.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understanding of Christianity in human beings. Second, by examining the basis of the choice of the poor through the Bible and the Church s teaching, this study looks for interest and sharing of the weak and the poor, and the legitimacy of the pursuit of the common good in the midst of the trend of the times when materialism, individualism, egoism are prevalent. At the end, this study points out the reality of the modernization of commodification and enslavement in the modern sense of many women whose human dignity is being trampled, and explores a way to protect human dignity and coexistence through the true realization of feminine viability. Human beings are those who cannot live alone. Human beings achieve self‐completion only within society. Therefore, society as a collective group should aim for a common good that can realize all the development and perfection of all human beings, and discrimination against human beings cannot be justified for any reasons such as rich and poor, male and female, nation and state, religion, race, skin color, etc. All human beings are created according to the Imago Dei, and are loved by God. To widespread the ‘culture of love’ and the ‘culture of life,’ and to go beyond selfishness only to pursue individual survival and profit first, this study attempted to wake up the legitimacy and importance of behaviors and activities to nurture, convey and spread the necessary qualities for living together.

      • KCI등재후보

        존 웨슬리의 인간학 : 하나님의 형상과 도덕법―하나님의 형상과 도덕법―

        김영택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1 神學과 宣敎 Vol.38 No.-

        John Wesley’s concept of the imago Dei is crucial for his theology and ethics. After writing a sermon on the doctrine of the imago Dei at the age of 27, Wesley retained the doctrine as the central theme of his theology. Many of Wesley's sermons deal with the doctrine of the imago Dei as a central theme. His understanding of humanity as the imago Dei, lost and restored, affords us an excellent framework for the investigation of his theological anthropology within a soteriological context. Wesley's important theological themes such as original sin, prevenient grace,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have the imago Dei as their axial theme. For Wesley, salvation is defined as the restoration of the image of God. With the concept of the imago Dei, Wesley expounds his typical order of salvation - creation, the Fall, and restoration. Wesley explored his concept of the imago Dei from three aspects, namely, the natural, political, and moral image of God. The natural image of God has been endued with understanding and liberty. Wesley's concept of the political image of God shows that God governs his creation through human beings who become the channels of communication between God and his creation. For Wesley, the moral image is the principle image of God. It reflects the very righteousness and holiness of God. Wesley's concept of the imago Dei shows the meaning and consequence of the Fall and illustrates the comprehensive process and meaning of salvation. John Wesley's concept of the imago Dei does not remain only in the area of speculative theology. His concept of the imago Dei is clearly shown in the area of practical divinity such as the means of grace and children's education, Among the several notions of the imago Dei, for Wesley, love is the most essential character of the imago Dei. The concept is also shown in his understanding of the moral law,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ceremonial law. The concept is broadly applied to his theology of social ethics. Wesley understood women, slaves, and the poor as beings created in the image of God. In short, for Wesley, the restoration of the imago Dei is the axial theme of Wesley's theology and ethics. 존 웨슬리의 하나님의 형상의 개념은 그의 신학과 윤리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존 웨슬리는 27세에 하나님의 형상에 관한 설교를 작성한 이후로 그의 생애 전반에 걸쳐 하나님 형상 교리는 그의 신학에 있어서 중심적 주제로 자리를 잡았다. 웨슬리가 작성한 다수의 설교는 하나님의 형상 교리를 중심주제로 하고 있다. 웨슬리는 인간을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지음 받은 존재로서 이해하면서, 그 형상은 잃어버렸지만 다시 회복할 수 있는 것으로 바라본다. 이러한 하나님의 형상의 잃어버림과 회복의 주제는 구원론적 컨텍스트 안에서 신학적 인간학을 연구하는데 탁월한 해석학적 틀을 제공한다. 웨슬리의 중요한 신학적 주제들, 예를 들어 원죄, 선행적 은총, 칭의, 성화의 교리들은 하나님 형상 교리를 그 중심축으로 하여 설명되어진다. 웨슬리에게 있어서, 구원은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웨슬리는 하나님의 형상 개념을 통하여, 그의 전형적인 기독교 세계관인 창조, 타락, 구속을 탐구한다. 웨슬리는 하나님의 형상의 개념을 세 가지 측면으로 탐구한다. 첫째는 자연적 형상이며, 둘째는 정치적 형상, 그리고 마지막이며 가장 중요한 도덕적 형상이 있다. 웨슬리는 하나님의 자연적 형상이 인간의 이성과 의지와 자유에 각인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정치적 형상은 하나님이 인간을 통하여 그의 창조물들을 다스리시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은 하나님과 창조물 사이의 소통의 채널 역할을 하는 것이다. 웨슬리에게 있어서, 하나님의 도덕적 형상이 가장 주요한 하나님의 형상이다. 도덕적 형상은 하나님의 의로우심과 거룩하심을 반영하기 때문이다. 웨슬리의 하나님의 형상 개념은 타락의 의미와 결과를 보여주며 구원의 포괄적 과정과 의미들을 설명한다. 웨슬리의 하나님의 형상의 개념은 사변적 신학의 영역에만 머무르지 않는다. 그의 하나님의 형상의 개념은 은총의 수단과 기독교교육과 같은 실천신학 영역에서도 분명히 나타난다. 하나님의 형상의 많은 의미들 중에서, 웨슬리는 사랑이 하나님의 형성의 가장 본질적 성격이라고 규정한다. 그리고 하나님 형상의 개념은 웨슬리의 도덕법에 관한 이해도 보여준다. 웨슬리에게 있어서 도덕법은 의식법과 구별되는 것이었다. 하나님의 형상 개념은 웨슬리의 사회윤리에도 폭넓게 적용되었다. 웨슬리는 여성과 노예, 그리고 가난한 자들을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존재로서 이해했다. 그러므로 웨슬리에게 있어서 하나님의 형상의 교리는 웨슬리의 신학과 윤리에 있어서 중심적 축이 되는 주제라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