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돈점 논쟁의 쟁점과 과제

        박태원(Park, Tae-won)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2 No.-

        지눌의 돈오점수를 비판하고 돈오돈수를 천명한 성철의 돈점론 이후 전개된 돈점 논쟁에서, 그 핵심 논점은 결국 상호 연관된 두 가지 질문으로 요약된다. ‘지눌이 설하는 해오(解悟)로서의 돈오를 지해(知解)로 간주할 수 있는가?’하는 것이 그 하나이고, ‘지눌의 돈오를 화엄사상, 특히 성기사상에 의거한 원돈신해(圖頓信解)로써 파악하는 것은 충분한가?’가 다른 하나이다. 해오를 지해라고 간주하여 돈오점수를 비판하는 성철은, 그 논거를 ‘지눌의 돈오는 해오이고 그 해오는 화엄의 원돈신해 관법을 그 내용으로 삼고 있다’는 데에서 확보하고 있다. 그리고 해오와 지해의 차이를 주장을 사람들도, ‘지눌의 돈오는 화엄 원돈신해를 그 내용으로 삼고 있으며, 그의 돈오/해오는 화엄의 성기론적 이해를 담기 위한 것 혹은 그 결과’라는 관점을 널리 공유하고 있다. 따라서 지눌의 돈오/해오를 화엄의 원돈신해와 등치시킨다는 점에서는, 성철은 물론 대다수 지눌 연구자들의 견해가 일치한다. 결국 ‘해오(解悟)/지해(知解)/해애(解碍)’를 동일시하는 성철의 견해에 대한 판단과 평가는, ‘화엄적 해오가 지해인가 아닌가?’에 어떻게 답하느냐에 따라 결정되게 된다. 해오와 지해의 차이를 주장하는 견해들은 ‘화엄적 원돈신해가 단순한 지해와는 다르다.’고 할 것이고, 성철의 관점에서는 ‘아무리 차이를 부여해 보았자 본질적으로 지해 범주를 못 벗어난다.’고 공박할 것이다. 돈오점수에 대한 성철의 비판으로 전개된 돈점 논쟁에는 그 핵심 논점을 둘러싸고 혼란이 존재한다. ‘지눌의 돈오는 화엄적 해오이다’라는 명제를 공유하고 있는 기존의 돈점 논쟁에는 아직 해소되지 못한 논리적 혼란과 기술(記述)의 모호함이 내재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눌의 돈오점수를 수긍하여 옹호하려는 관점들에서 그러한 문제점이 부각된다. 해오와 지해의 차이를 설정하면서도 그 차이의 내용을 의미 없는 수사적 어법으로써 대체하는 모호함이 있고, 돈오/해오와 지해의 차이를 주장하면서도 돈오/해오의 내용을, 지해의 해애(解碍)를 지닌 화엄의 원돈신해로써 채우고 있는 논리적 모순을 안고 있는 것이다. 이 혼란을 수습하기 위해서는 돈점 논쟁을 다루는 틀과 방식을 바꾼 새로운 독법이 요청된다. 돈점 논쟁의 핵심 논점을 둘러싼 모호함과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독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 새로운 독법의 구성은 기존의 논의 구조를 지탱하는 핵심 명제들을 재검토하는 데에서 출발해야 한다. 특히 ‘지눌의 돈오는 화엄의 원돈신해적 해오’라는 명제를 재검토해야 한다. 만약 이 전제에 갇히지 않을 수 있다면 논의의 틀 자체를 바꿀 수 있고, 그 결과 지눌의 선사상, 그의 돈오점수와 성철의 돈오돈수, 돈점 논쟁의 의미, 간화선의 의미, 불교 수행론 등, 연관된 모든 주제들을 재음미할 수 있는 길도 열리게 된다. The point of dispute on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is to be condensed in two questions; One is “Is it reasonable to regard the Chi-nul’s(知訥) sudden enlightenment(頓悟)/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as intellectual understanding(知解)?”, and the other is “Is it sufficient to see Chi-nul’s(知訥) sudden enlightenment(頓悟) as Wha-um’s WonDonSinHae(圓頓信解)?”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having the proposition that ‘Chi-nul’s(知訥) sudden enlightenment(頓悟) is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in common has some logical inconsistency and descriptive ambiguity. Especially the supporters’view of Chi-nul’s(知訥)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e(頓悟漸修) show the logical inconsistency and descriptive ambiguity in that they argue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and the intellectual understanding(知解), and assert that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is Wha-um’s WonDonSinHae(圓頓信解) which has the hindrance of intellect simultaneously, And their descriptions of the difference between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and intellectual understanding(知解) are vague and meaningless. In order to solve the confusion and to read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newly, a different way of reading is to be constructed. To form the new way of reading, the proposition that ‘Chi-nul’s(知訥) sudden enlightenment(頓悟) is the Wha-um’s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must first be reconsidered.

      • KCI등재

        退翁 性徹의 頓悟頓修 思想

        都大玄 한국불교학회 2008 韓國佛敎學 Vol.50 No.-

        In the Seonmun-jeongro, Seong-cheol insists,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Korean Seon, that the basic purport of Seon school lies in Sudden enlightenment-sudden cultivation(頓悟頓修). He defines Sudden enlightenment-sudden cultivation as becoming Buddha by achieving Ultimate Enlightenment. Enlightenment, for him, is always ultimate enlightenment. But most of Korean Buddhist scholars criticized his opinion seriously and Seong-cheol's standpoint has not been accepted in Korean Buddhist academic world. 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sudden cultivation leaved a big footmarks in the history of Chinese Seon school. It is based on the philosophy of sixth patriarch Hui-neong and the mindlessness of Patriarch Seon. Master Seong-cheol emphasizes mindlessness on the basis of the Middle path especially. Since Korean Seon has followed 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gradual cultivation(頓悟漸修) of Master Bojo, it has not given serious consideration to mindlessness. From the viewpoint of Seong-cheol Seon, Sudden enlightenment-gradual cultivation is incomplete theory of Enlightenment. Nevertheless, it has been regarded as a guiding principle of Seon practice for last over 8 hundred years of Korean Seon. It can be said that 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gradual cultivation is an intellectual misunderstanding and makes us stop cultivation on the way to the ultimate enlightenment. Therefore Seong-cheol criticized 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gradual cultivation strongly, and expounded the true meaning of ultimate Enlightenment which can be attained only through Sudden enlightenment-sudden cultivation. As Seong-cheol insisted, if we change the term Sudden enlightenment-gradual cultivation to Intellectual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there can be two different and compatible standpoint of enlightenment and cultivation, that is, Sudden enlightenment-sudden cultivation and Intellectual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in Korean Seon Buddhism. 性徹은 『禪門正路』를 통해 韓國禪宗史에서 처음으로 선종의 근본종취는 ‘頓悟頓修’에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돈오돈수란 ‘단박 깨침과 단박 닦아 마친다’는 뜻으로, 한번 깨치면 부처가 된다[見性成佛]는 것과 깨침이란 더 이상 닦을 것이 없는 완전한 究竟妙覺이라고 정의한다. 그러 나 한국불교계 많은 학자들은 그의 주장에 대해 강한 비판을 가하였고, 아직도 학계에서 정설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중국선종계에서는 큰 발자취를 남긴 ‘中道에 입각한 돈오돈수사상’은 六祖 慧能의 돈오돈수사상인 동시에 祖師禪의 無心思想이다. 性徹은 이 가운데 특히 중도를 근간으로 한 무심사상에 강조점을 두고 있다. 그 이유는 韓國禪에서는 普照 知訥의 頓悟漸修說로 인해 無心에 소홀해왔기 때문이다. 사실 ‘미완성 견성이론’이라 할 수 있는 돈오점수설이 지난 8백여 년간 수행지침으로 지켜져 온 것은 한국선불교의 큰 과오라고 볼 수 있다. 解悟를 究竟覺으로 착각하기 쉬운 돈오점수설은 見性의 과정인 중간단계에서 수행을 그만 둘 수 있는 이론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性徹은 ‘頓悟’의 정체를 분명히 하기 위한 과정에서, 돈오점수비판이 요구되었던 것이며, 古佛古祖의 經論과 語錄을 바탕으로 하여 잘못된 한국선불교의 見性觀을 바로잡으려는 것이 그 본질이다. 性徹의 주장처럼 만약 ‘頓悟漸修’라는 용어대신 ‘解悟漸修’로 고쳐 쓰기만 한다면 한국선불교사에서 깨달음을 보는 시각이 서로 다른 두 이론이 나란히 공존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KCI등재

        돈점 논쟁의 독법 구성

        박태원 새한철학회 2012 哲學論叢 Vol.69 No.3

        지눌의 돈오점수를 비판하는 성철의 돈오돈수 주장 이래 전개된 돈점 논쟁의 핵심 논점은, 내용상 상호 연관되어 있는 두 가지 질문으로 요약할 수 있다. ‘지눌이 설하는 해오(解悟)로서의 돈오를 분별 알음알이인 지해(知解)로 간주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 하나이고, ‘지눌의 돈오를 화엄사상, 특히 성기사상에 의거한 원돈신해로써 파악하는 것은 충분한 가?’가 다른 하나이다. ‘지눌의 돈오는 화엄적 해오이다’라는 명제를 공유하고 있는 기존의 돈점 논쟁에는 논리적 혼란과 기술(記述)의 모호함이 내재하고 있다. 특히 지눌의 돈오점수를 수긍하여 옹호하려는 관점들에서 그러한 문제점이 부각된다. 해오와 지해의 차이를 설정하면서도 그 차이의 내용을 의미 없는 수사적 어법으로써 대체하는 모호함이 있고, 돈오/해오와 지해의 차이를 주장하면서도 돈오/해오의 내용을, 지해의 해애(解碍)를 지닌 화엄의 원돈신해로 채우고 있는 논리적 모순을 안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돈점 논쟁에 내재한 혼란을 해소하고 돈점 논쟁을 새롭게 읽기 위한 독법의 구성이 요청된다. 필자는 그 새로운 독법의 구성조건으로서 ‘언어와 분별의 관계’ ‘분별의 통로’ ‘분별 극복의 방식’을 주목하였다. 선종 선문을 비롯한 모든 불교전통의 관심은 결국 ‘분별로부터의 해방’ 문제로 귀결되고 있다는 점, 돈점 논쟁의 주역인 선종 선문이 주창하는 돈오 견성의 관건도 결국에는 ‘분별’ 여부에 있고 성철의 지눌 비판 논거인 ‘지해(知解)/해애(解碍)’도 분별을 특징으로 하는 앎/이해라는 점, 그리고 분별과 지해는 결국 언어를 떠나 논할 수 없는 ‘언어의 문제’라는 점을 주목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구체적으로는 ‘언어와 분별문법의 형성’ ‘분별의 두 가지 통로 - 이해/관점에 의한 분별과 마음에 의한 분별’ ‘분별 극복의 두 가지 방식과 언어 - 혜학적 방식과 정학적 방식’의 문제를 불교적 사유로 다루어 보았다. 이렇게 해서 구성된 독법으로 돈점 논쟁을 읽으면, 지눌의 돈오가 혜학과 정학의 두 가지 맥락에서 펼쳐진다는 것, 그의 돈오는 두 지평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별하여 접근해야 한다는 관점을 수립할 수 있는 동시에, 돈점논쟁을 다루는 틀과 방식을 바꿀 수 있다. 아울러 지눌의 선사상, 그의 돈오점수와 성철의 돈오돈수, 돈점 논쟁의 의미, 간화선의 의미, 불교 수행론 등, 연관된 모든 주제들을 재검토/재음미할 수 있는 길도 열린다.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having the proposition that ‘Chi-nul(知訥)’s sudden enlightenment(頓悟) is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in common has some logical inconsistency and descriptive ambiguity. Especially the supporters’ view of Chi-nul(知訥)’s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e(頓悟漸修) show the logical inconsistency and descriptive ambiguity in that they argue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and the intellectual understanding(知解), and assert that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is the Wha-um’s WonDonSinHae(圓頓信解) which has the hindrance of intellect simultaneously. And their descriptions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解悟) and the intellectual understanding(知解) are vague and meaningless. In order to solve the confusion and to read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newly, a different way of reading is to be constructed. To form the new way of reading, I set forth ‘language and the formation of dividing grammar’ ‘the two way of dividing - dividing by understanding/view and dividing by mind’ ‘the two overcoming methods of dividing and language - the method of wisdom practice(慧學) and the method of concentration practice(定學)’ upon the Buddhist philosophy. This new way of reading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is to open a new way which can re-investigate and re-appreciate Chi-nul(知訥)’s Seon(禪) philosophy, his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e(頓悟漸修) and Sung-chul(性徹)’s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practice(頓悟頓修), the meaning of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頓漸論爭), the meaning of Gan-wha-seon(看話禪), and the practice theory of Buddhism.

      • KCI우수등재

        지눌의 돈오점수와 이문정혜(二門定慧)의 쌍수(雙修)

        정혜정(Jung Hye Jung) 불교학연구회 2016 불교학연구 Vol.49 No.-

        본 연구는 지눌의 돈오점수와 정혜쌍수를 재검토하여 돈오와 점수, 자성정혜와 수상정혜의 이문수행이 어떻게 융합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돈오란 자성을 돈오함인데 ‘공적하면서도 신령한 앎이 비추이고 있음’을 깨닫는 것이다. 또한 성불은 돈오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자성의 작용을 이루어 자타불이의 원만행까지 나가는 것인데, 자성의 작용에는 자성 본용(本用)과 인연을 따르는 응용(應用), 두 가지가 있다. 지눌의 마음 수행은 일상의 생활 속에서 인연을 따르면서도 자성의 근본작용을 어떻게 나타내느냐를 주된 핵심으로 삼는데, 그의 돈오점수 수행은 원수(圓修)·원점(圓漸)·점원(漸圓)의 과정을 성불로 삼는 수행이다. 점수란 돈오를 떠나지 않기에 원수이고, 생각마다 무념수(無念修)로 닦기에 원점이다. 이 원점은 곧 신통변화의 점원(홍익중생)으로 이어진다. 기존 연구는 자성정혜를 돈오돈수라 하고, 수상정혜를 돈오점수라 하여 자성정혜가 상근기에 해당하는 수행이고 수상정혜는 하근기에 해당하는 수행이라 구분하여 말해왔다. 그러나 지눌의 돈오점수를 수상정혜로만 볼 수 없다. 지눌은 돈문의 자성정혜에 기초해 점문의 수상정혜를 빌려와 자성정혜와 수상정혜를 겸비시켰음을 볼 때 다른 해석이 가능하다. 지눌의 수상정혜는 깨달은 후에 닦는 것이기에 점문의 그것과 다르고, 자성정혜와 결합된 수상정혜이기에 선후가 없다. 지눌은 ‘이문정혜(二門定慧)를 선후와 차례를 나누어 두 가지로 보아서는 안 될 것’이라 했고, 이는 ‘마치 새의 두 날개와 같아 하나만 없어도 안 되는 것’이라 하였다. 즉 지눌의 돈오와 점수, 자성정혜와 수상정혜는 마치 수레의 두 바퀴와 같아서 이 가운데 하나가 없어도 안 되는 수행법이다. 본 연구는 ‘자성정혜(自性定慧)의 돈오’와 이에 의지해 닦는 ‘자성반조(自性返照)의 수상정혜(隨相定慧)’를 분석하여 돈오점수의 정혜쌍수가 이문정혜쌍수라는 해석을 새롭게 시도하였다. This study reviewed the meaning of ‘Donojeomsu (頓悟漸修: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ing)’ and ‘Junghyessangsu (定慧雙修: practicing samadhi and wisdom at a time)’ in Chinul’s Zen thought. It explored how to unite ‘sudden enlightenment (頓悟)’ and ‘gradual practicing (漸修)’. It also explored how to integrate ‘Jasungjunghye (自性定慧: the samadhi and wisdom of the true nature of humans)’ with ‘Susangjunghye (隨相定慧: samadhi and wisdom of following phenomenon)’ in the two gates. Sudden enlightenment means to be aware of one’s own true nature, Kongjeok- Youngji (空寂靈知). Kongjeok-Youngji means empty calmness and illumination by spiritual knowing. Gradual practicing (漸修) can’t separate with sudden enlightenment (頓悟), and it includes three courses: Wonsu (圓修), which means practicing with the fullness of truth, and Wonjeom (圓漸), which means total influence of ‘sudden enlightenment (頓悟)’ on the spiritual training. Wonjeom (圓漸) is followed by Jeomwon (漸圓), which means gradual achievement for the sake of all beings. This study also tries a new interpretation, that ‘Junghyessangsu’ is ‘practicing samadhi and wisdom (two gates) at a time (二門定慧雙修)’ of ‘Donojeomsu.’ Existing research has said that ‘Jasungjunghye’ is ‘Donodonsu’ and ‘Susangjunghye’ is ‘Donojeomsu,’ saying that the former is for superior people and the latter is for inferior ones. However, Chinul brought ‘Susangjunghye’ of ‘the gradual gate (漸門) on the base of ‘Jasungjunghye’ of ‘the sudden gate (頓門),’ combining ‘Jasungjunghye’ with ‘Susangjunghye.’ Chinul said that “Practicing samadhi and wisdom of two gates (二門定慧雙修) is not divided into two of the first and the last.” It seems like the two wings of a bird. Also like the two wheels of a wagon,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ing,’ ‘Jasungjunghye’ and ‘Susangjunghye’ of Chinul are not able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 KCI등재

        知訥 頓悟漸修論의 本旨-返照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남영근 한국불교연구원 2024 불교연구 Vol.0 No.61

        지눌(知訥)의 돈오점수(頓悟漸修)에 대한 기존 연구는 성철(性徹)의 영향으로 교학(敎學)과 관련 있는 해오(解悟)를 선문(禪門)의 깨달음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에 관해 주로 논쟁하였다. 지눌 사상에서 해오는 중요한 개념이지만, 그가 해오점수를 통해서 강조하고자 하는 바는 오히려 증오(證悟)라는 궁극적 경지이고, 증오에 도달하기 위한 반조(返照) 수행의 중요성이다. 돈오점수론의 목표는 자성문정혜(自性門定慧)라는 증오의 경지에 있으며, 수상문정혜(隨相門定慧)의 반복을 통해 자성문정혜(自性門定慧)에 이르는 과정은 점수의 구체적 내용으로서 반조의 공덕을 쌓아 해오에서 증오로 나아가는 것이다. 지눌이 말년에 제시한 간화경절문(看話徑截門)은 해오점수라는 그의 기존 입장과 모순되는 것으로 이해되지만, 간화경절문의 화두참구(話頭參究) 역시 증오-자성문정혜라는 궁극적 경지에 도달하기 위한 반조 수행의 맥락에 있으며, 기존 돈오점수론의 취지와 다르지 않다. 즉 지눌의 돈오점수론은 증오-자성문정혜의 경지에 도달하기 위한 반조 수행으로 일관되며, 이것이 ‘밖에서 찾지 말라’는 지눌의 본지(本旨)이다. Existing research on Chinul's theory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頓悟漸修]]’ mainly debated whether the enlightenment based on understanding, Jie-Wu[解悟] could be recognized as the Zen thought under the influence of Seongcheol[性徹]. Although Jie-Wu is an important concept in his thoughts, what he wants to emphasize through the ‘Jie-Wu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解悟漸修]’ is rather the ultimate enlightenment, Zheng-Wu[證悟], and the importance of practicing reflective observation, fanzao[返照] to reach the ultimate enlightenment. His theory on samādhi[禪定] and prajñā[智慧] is a process of reaching Zheng-Wu from Jie-Wu by accumulating fanzhao cultivation. The Ganhwa[看話] practice proposed by Chinul in his later years is understood to contradict to his existing theory, but this is also the result of understanding his thoughts centered on Jie-Wu. The key-concepts(話頭) of the Ganhwa practice is also in the context of the practice of fanzhao to reach the ultimate state of samādhi and prajñā[自性門定慧], and it is not different from the purpose of his existing theory. In other words, Chinul's theory of ‘sudden awakening followed by gradual cultivation’ is consistent with the practice of fanzhao to achieve Zheng-Wu, which is the main idea of his thought. 'Don't look for outside'.

      • KCI등재

        한암중원(漢岩重遠)의 오도(悟道)과정에 나타난 돈오점수(頓悟漸修) 사상에 관한 연구 - 「일생패궐(一生敗闕)」을 중심으로 -

        최봉명 ( Choi¸ Bong-myoung ),백원기 ( Baek¸ Won-gi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1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45

        한암중원(漢岩重遠, 1876~1951)은 9세 때에 서당에서 『사략(史略)』을 읽다가 “태고에 천황씨(天皇氏)가 있었다.”는 첫 대목에 문득 의심을 일으켜, 선생에게 “반고씨 이전에는 무엇이 있었는가?” 라고 물었으나 그에 대한 답을 얻지 못했다. 이것은 이후 그의 출가에 있어서 크나큰 동기가 되었다고 판단된다. 그 이유는 한암이 1897년 출가하면서 세운 서원의 첫 번째가 진정한 나를 찾는 것이며, 두 번째가 부모의 은혜를 갚자, 세 번째가 극락에 가자로 기록되어져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한암이 자신의 수행행적을 기록한 「일생패궐(一生敗闕)」을 통하여 그가 경험하였던 오도란 무엇이고, 그러한 오도를 통하여 보조지눌의 돈오점수 사상을 이어 받은 그의 깨달음이 어떻게 완성되었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한암의 사상은 근본적으로는 6조 혜능의 돈오사상을 계승하면서도 교학사상에 바탕을 두고 있는 선교겸수의 사상을 특징으로 한다 할 수 있다. 이것은 그의 처음 개심처가 보조지눌의 『수심결』에 있기 때문이며, 따라서 그의 수행사상은 다분히 보조지눌이 주장한 돈오점수 사상을 이어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한암은 몇 번의 오도의 과정을 거쳤으나 그의 마지막 깨달음을 얻었을 때의 심정을 기록하면서 마지막 깨달음이 첫 번째 깨달음과 다르지 않다고 적고 있다. 이러한 것으로 볼 때 한암의 깨달음은 『대반열반경』 「사자후보살품」에서 설하고 있는 ‘문견불성(聞見佛性)’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한암이 마지막으로 보여준 좌탈입망이라는 입적의 형태는 깨달음의 주체인 분별적인 마음습의 소멸[滅盡定]이라는 측면으로 볼 수 있다. 이것의 근거는 『맛지마 니까야』, 『쌍윳따 니까야』, 『청정도론』에서 찾을 수 있었다. 따라서 한암이 좌탈입망의 열반 모습을 보인 것으로써 돈오 이후 점수적인 그의 행보가 완전한 마음습의 소멸로 완성되었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thought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頓悟漸修) in the enlightenment process of Hanam Jungwon(漢岩重遠, 1876-1951), focusing on 「Ilsaeng Paegweol(一生敗闕)」. While reading Saryak(『史略』) at Seodang(書堂) at the age of 9, he suddenly harbored doubts about the first part of “There was a Cheonwhangssi(天皇氏) in the beginning.” So, he asked his teacher “What was there before Bango(盤古)?” but he could not get any answer from him. Actually, this fact became a great motive of his renunciation(出家). According to records, his first vow in the renunciation in 1897 was to find true-self, the second one was to pay back the parents' grace, and the third one was to be born in a pure land. Therefore, in this paper, I tried to reveal what his four enlightenment experiences were, focusing on 「Ilsaeng Paegweol(一生敗闕)」, the records of his cultivation, and to how his great vows in the renunciation were achieved in the course of such a enlightenment. Also, I attempted to how Hanam's enlightenment which inherited Bojo Jinul's thought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頓悟漸修) was carried out.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Hanam's basic thought is the harmonization of Seon and Doctrinal schools(禪敎兼修), which basically inherited the Sixth Patriarch Huineng's sudden enlightenment(頓悟). Considering that Hanam's first opening mind is based on Susimgyeol(『修心訣)』, I could make a judgment that his cultivation thought inherited Bojo Jinul's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In addition, Hanam experienced four processes of enlightenment, but he recorded that the fourth enlightenment was the same as the first one, I think. On the one hand, I think that the form of Hanam's Jwatal Immang(坐脫立亡), entering Nirvana in sitting or standing meditation posture, should be regarded as the extinction of the mind(滅盡定, nirodha-samapati), the very subject of enlightenment. Consequently, in the perspective of Jwatal Immang posture, it seems that Hanam’s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頓悟頓修) came to the completion of sudden enlightenment, and all of his three renunciation vows were fulfilled as well.

      • KCI등재

        초기불교 경전에 나타난 돈(頓)과 점(漸)

        임승택(Lim, Seung-taek)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2 No.-

        How can we achieve enlightenment, which is the ultimate purpose of Buddhism? There are two different opinions on this topic in Korean Buddhism. The first one is sudden enlightenment, and the other one is gradual enlightenment. These two opinions may be mistaken as being in contrast with each other. But based on Early Buddhist texts, this study reveals that these two are not contradictory. If we could acknowledge that the sudden enlightenment is not limited to a one-time event and is repeated again and again, we can call this series of enlightenments as gradual enlightenment. Through Early Buddhist texts, I discovered that Buddha’s enlightenment, anuttarasammasaṁodhi was a gradual enlightenment which was composed of the Four Noble Truths(cattari-ariyasaccani). I explained that the Four Noble Truths includes two rounds of enlightenments, one of which we can call pariñña and the other sacchikiriya. I confirmed that both of these could be regarded as kinds of enlightenment. Based on these facts, I concluded that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enlightenment do not oppose each other, and gradual enlightenment includes a number of sudden enlightenments in Early Buddhism. This study arrives at another important point that enlightenment should precede the procedures of practice. I came to understand that the teaching of Four Noble Truths reveals this fact. The first element of Four Noble Truths, dukkha-ariyasacca means to realize the painful realities of life. All the other elements of Four Noble Truths follow this enlightenment. Especially, the last element of Four Noble Truths, dukkhanirodhagaminiya-paṭpada means to practice the cultivation of mind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elements of enlightenments. I think these teachings of Early Buddhism are similar to Chinul(知訥, 1158-1210)’s practice system, and also connected with his thoughts of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頓悟漸修). In modern times, Chinul’s opinion was criticized by Sungchol(1912-1993) who claimed sudden enlightenment sudden cultivation(頓悟頓修). And subsequently, the followers of Chinul and the disciples of Sungchol have been arguing with each other. I expect that the present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reconciliation of this debate and to the increase in our understanding of the similarities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Early Buddhism and Korean Buddhism. 이 논문은 초기불교 경전에 나타나는 깨달음의 돈점 문제를 다룬다. 깨달음이란 인식의 전환을 통해 ‘괴로움이 소멸된 상태’에 이르게 해준다. 초기불교에서는 이것이 발현되는 양상에 관해 근기에 따른 차이를 인정한다. 정형화된 하나의 방식만을 고집하지 않으며 사람에 따라 서로 다르게 체험되는 깨달음의 사례에 대해 언급한다. 이러한 초기불교의 입장에서 볼 때 돈점을 둘러 싼 편 가르기 방식의 경직된 논쟁은 바람직하지 않다. 초기불교의 깨달음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며, 바로 그러한 다양성이야말로 오히려 본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전제 아래 필자는 깨달음에 해당하는 다양한 용어들을 살펴보았다. 깨달음 (bodhi), 완전한 지혜(aññā), 반야(paññā), 지혜(ñāṇa), 두루한 앎(pariññā)과 체험적 앎(sacchikiriyā), 뛰어난 앎(abhiññā), 밝은 앎(vijjā), 깨어있음(anubodha) 등이 그것이다. 이들 중에서 일부는 궁극적인 완전한 깨달음을 지칭하며 다른 일부는 일상적인 차원에서 발현되는 인식의 전환을 묘사한다. 또한 필자는 초기불교를 대표할 만한 깨달음 사례로서 붓다가 밝힌 위없이 바르고 원만한 깨달음(無上正等正覺, anuttara-sammā-saṁbodhi)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전법륜품에서는 이것을 사성제의 실현으로 풀이하며, 또한 고성제ㆍ집성제ㆍ멸성제ㆍ도성제에 이르는 점차적인 과정으로 묘사한다. 필자의 고찰에 따르면 고성제의 실현은 두루한 앎(pariññā)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깨달음의 차원에 속하고, 집성제의 실현은 끊음(pahāna)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닦음의 차원에 배속된다. 또한 멸성제의 실현은 체험적 앎(sacchikiriyā)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깨달음의 영역에 속하고, 도성제의 실현은 그 자체로서 닦음(bhāvanā)의 영역에 해당한다. 필자는 이러한 사성제의 실현 과정이 확립된 절차로 나타나며, 더불어 시간적인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것을 통해 필자는 사성제를 내용으로 하는 위없이 바르고 원만한 깨달음이란 점오이며, 반복되는 선오후수(先悟後修) 혹은 두 겹의 돈오점수(頓悟漸修)의 구조를 취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필자는 한국불교의 돈점논쟁은 한국불교만의 고유한 사정을 반영하며, 한국불교의 강인한 생명력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러한 논쟁이 건전성을 잃지 않기 위해서는 초기 불교 당시의 가르침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한국불교의 돈점논쟁에서 핵심이 되는 질문은 “깨달음 이후 또 닦아야 하는가.”이다. 이것에 대해 보조지눌은 “몰록 깨달음을 얻고서 차례로 닦아 나간다.”라는 돈오점수를 내세웠고, “깨달음이 전제되지 않으면 참된 닦음이란 있을 수 없다.”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지눌의 주장은 사성제를 실제 내용으로 하는 초기불교의 위없이 바르고 원만한 깨달음 사례에 형식적으로 일치한다.

      • KCI등재

        보조 지눌의 ‘돈오점수론’에 대한 원불교적 관점

        박희종 한국종교교육학회 2011 宗敎敎育學硏究 Vol.37 No.-

        본 연구의 목적은 원불교의 수행체계가 왜 ‘돈오점수’인지를 밝히는 것이다. 소태산이 ≪불조요경≫에「수심결」을 편입시킨 이유는 돈오공적에 빠진 수행을 경계하고 깨달음 이후의 바른 수행을 강조한데 있다. 한때 한국불교계의 ‘돈오점수’와 ‘돈오돈수’의 뜨거운 논쟁은 결국 ‘깨달음’에 대한 질적 판단과 결부되어 있다. 지눌의 경우 돈오를 해오로 보았으며, 증오에 이르는 길로서 점수가 요청되는 과정으로 설명하고 있다. 증오 또한 결국 견성성불과 성불제중이라는 대승 수행의 길을 밟아나가야 한다는 점에서 보면 돈오점수의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원불교 수행을 돈점 삼문(三門)중 어느 하나라고 단정 짓기는 어렵다. 수행의 과정상 중생의 보편적 수행문으로 점수돈오가 제시되기도 하고, 최상근기자를 위해 돈오돈수가 수용되어 원융한 수행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다만 교리사상 전반을 살펴볼 때 수행체계의 주된 흐름은 돈오점수가 매우 강조된다. 소태산은 돈오를 뜻하는 견성의 필요성에 대해 강조하지만 견성으로 그쳐서는 안 된다고 한다. 깨달음 이후에 성불을 향한 닦음이 필요함을 역설하고 있는 것이다. 즉 돈오점수의 목우행을 통해 성불에 이르고, 더 나아가 제생의세를 수행의 최종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돈오점수’가 수행의 정로로 자리할 수 있는 이유는 보편적이며 대중적 수행의 길이라는 점이다. 한편 원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은 인간의 본성뿐만 아니라 우주의 이치, 더 나아가 인간의 삶의 영역까지 그 대상으로 삼는 특징이 있다. 그 배경으로는 후천개벽시대에 요청되는 깨달음, 유·불·도 삼교회통으로서의 깨달음의 요청, 사실적인 깨달음 요청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깨달음과 수행의 노력은 결국 감사와 보은불공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지눌 사상의 여래장적 해석

        한경옥 불교학연구회 2022 불교학연구 Vol.73 No.-

        Chinul is known to have turned around ideologically from sudden awakening/ gradual cultivation (頓悟漸修) to koan meditation (看話禪) in his later years. In this regard, this paper argues that Chinul did not change his ideas. Rather, he insisted on the unity of enlightenment between sudden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and koan meditation, as well as Seon and Hwaom, based on Tathāgata-garbha thought. This was possible because Chinul inherited spiritual knowledge by nature (性自神解) and completely empty spiritual knowledge (空寂靈知) from Wonhyo (元曉) and Chongmil (宗密). These two terms have been emphasized as an intellectual characteristic in East Asia’s history of Tathāgata-garbha thought. They refer to the enlightenment of the Tathāgata-garbha, and share the awakening at the stage of gyeondo (見道) in Yogācāra. Chinul used “understanding-awakening (解悟)” in much the same sense as completely empty spiritual knowledge. He explicated three elements of understanding-awakening, which are self-contemplation (反照), belief in Buddha nature, and understanding of scriptures. Chinul’s understanding-awakening is similar to the ideas of Dahui Zonggao (大慧宗杲), because he also emphasized self-contemplation and did not disparage intellectual understanding of scriptures (知解). Chinul focused on understanding-awakening as the key to penetrating sudden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and koan meditation. Chinul thought that sudden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and koan meditation are the combination of munyeomsu (無念修, thinking without thinking) and pansasu (辦事修, being compassionate and helping others). Munyumsu is a process of observing thoughts. If we can observe thoughts, we will realize that there is Buddha-nature beyond thoughts. Pansasu is a practice of helping others with compassion. Chinul emphasized not only enlightenment but also ethical behavior. Therefore, we can see that sudden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and koan meditation are not different from each other on the basis of Tathāgata-garbha thought. Chinul developed a practice theory for ordinary people, and achieved a characteristic of korean Buddhism. 지눌은 초기에 돈오점수를 강조하였고, 후기에는 돈오점수보다 더 높은 깨달음을 지닌 간화선으로 전회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해 본고는 지눌이 돈오점수에서 간화선으로 전회한 것이 아니라, 여래장사상을 바탕으로 돈오점수의 돈오와 간화선의 돈오의 일치를 추구하였음을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는 먼저 여래장의 의미를 보성론 과 불성론 에서 고찰하고, 공의 지혜를 지닌 여래장의 의미를 바탕으로 지눌의 사상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공의 지혜가 없으면 여래장을 일견하고 무분별지를 증득할 수 없기 때문에, 여래장사상을 바탕으로 하는 동아시아의 선과 화엄사상은 초기불교부터 이어진 공사상을 핵심으로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여래장사상은 동아시아에서 원효의 성자신해(性自神解)와 종밀의 공적영지(空寂靈知), 지눌의 해오(解悟)와 같은 지적(知的) 성격을 강조한 전통으로 자리매김해 왔다. 지눌의 해오는 성자신해와 공적영지를 바탕으로 불성에 대한 믿음, 반조, 경론에 대한 깊은 이해를 포괄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눌이 법집사기 에서 돈오점수론과 간화선의 수증론을 모두 이야기한 것은, 두 수증론의 돈오가 모두 동일한 여래장의 깨달음이기 때문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지눌이 간화선의 깨달음을 돈오점수의 깨달음보다 더 높게 보았다고 해석해 왔고, 실제 지눌 이후의 한국불교는 간화선 우위의 선교겸수 전통으로 이어져 왔다. 만일 선 안에서 간화선의 돈오가 돈오점수의 돈오보다 높다고 한다면, 간화선의 돈오를 우위에 두고 선과 화엄의 돈오가 일치될 수는 없기 때문에 지눌의 선교일치론은 깨어지고 만다. 본고는 지눌의 사상을 여래장사상으로부터 해석할 때, 이러한 선과 교 사이의 불필요한 지위논쟁을 일으키지 않으며 지눌이 본래 가졌던 사상적 의도를 보다 선명하게 파악할 수 있다고 보았다. 지눌은 공성(空性)을 품은 여래장사상을 바탕으로 돈오점수론과 간화선을 통합적으로 사유하고 평범한 사람들을 위한 수증론을 발전시킴으로써 한국불교의 한 특성을 이루었다.

      • KCI등재

        돈오점수(頓悟漸修)와 초기불교의 수행

        임승택 ( Seung Taek Lim ) 인도철학회 2011 印度哲學 Vol.0 No.31

        지눌의 돈오는 해오로서 이지적인 성격을 지닌다. 그러나 그것은 단순히 문자적 이해에서 그치지 않으며 본성에 대한 깨달음 자체를 의미한다. 그러한 돈오란 사실상 증오와 동일한 내용이라고 할 수 있지만 개인적인 성향과 습기가 남아있는 한에서 증오와 구분될 뿐이다. 지눌에게서 돈오와 점수는 논리적으로는 선후의 관계에 놓이지만 시간적으로는 동시적 관계라고 할 수 있다. 돈오 이후에 별개의 점수를 닦는 것이 아니라, 돈오 자체로써 곧바로 새로운 차원의 닦음이 시작되기 때문이다. 본고의 논지는 바른 견해 혹은 바른 깨달음이 전제될 때 비로소 참된 닦음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본고는 이것의 전형을 지눌의 돈오점수에서 찾았고, 또한 초기불교의 팔정도와 사성제 등에도 이것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조명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한국불교와 초기불교 수행론사이의 소통에 기여하는 측면이 있을 것이며, 또한 각자의 교리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데에서도 나름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resent article is a study in which Early Buddhist practice is compared with Chinul`s(知訥, 1158-1210)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頓悟漸修). The representative thoughts of Chinul`s practice system can be compressed into the system of three way(三門) and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 The former was the subject of my previous article, Chinul`s Practice System from a Perspective of Vipassana Meditation. And I am focusing on the latter in the pr esent article. I understand the teaching of sudden enlighten-m ent gradual cultivation as a message that we should realize e nlightenment or wisdom first, and then gradually practice t he cultivation of mind corresponding with that enlightenment or wisdom. I find out this idea is rooted in the Early Buddhism. Atthangika-magga of Early Buddhism teach us that right wisdom or enlightenment should precede all the other elements of atthangika-magga. And I came to understand that the teaching of cattari-ariyasaccani also had a similar pattern to atthangika-magga. The first element of cattari-ariyasaccani, dukkha -ariyasacca means to realize the painful realities of life. The o ther elements of cattari-ariyasaccani follow this realiza-tion. Especially, the last element of cattari-ariyasaccani, dukkhaniro dhagaminiya-patipada means to practice the gradual cultivation of mind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elements of cattari-ariyasaccani. I think these teachings of Early Buddhism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thought of Chinul`s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 I expect the present article will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the similarities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Early Buddhism and the traditional Korean Buddh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