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N. Whitehead의 "과정(process)"에 내재된 융합교육과정의 의미

        성정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5

        융합교육과정의 “융합(convergence)”은 교육적 개념으로 재개념화 될 필요가 있다. 창조적 생성의 원리인 Whitehead의 “과정(process)”은 융합교육과정의 특수한 의미를 밝혀 줄 수 있는 이론적 근거이다. Whitehead의 과정은 합생(concrescence)과 이행(transition)의 과정으로 구분된다. 합생은 다자(many)가 일자(one)로 통일되어 새로운 현실적 존재를 창조하는 과정이며, 이행은 창조된 현실적 존재가 다자들로 편입되어 세상 만물의 하나로 자리잡는 과정이다. Whitehead의 과정에 내재된 융합교육과정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교육과정은 새로운 지식 창출이 가능한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함축적이면서 중요한 교육 내용을 토대로 구성된 교육과정이다. 융합교육과정의 융합은 창조적 인재의 육성을 위한 토대 마련이라는 목적이 있다. 둘째, 융합교육과정은 학생들의 지적 성장과 인성의 성장이라는 두 가지 성장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과정이다. 융합교육과정은 지식으로서 교육내용 뿐만 아니라 교육내용의 구성방식인 교육방법적인 면에서 지적 성장과 인성의 성장을 고려하여 구성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Convergence Curriculum Based on Whitehead's Process”. Educational convergence has been recognized as a kind of academic convergence. However, education is a special area. Whitehead's process is the principle of creative becoming. Whitehead's process is the suitable concept of educational convergence. Whitehead’s “process” consists of “concrescence” and “transition”. “Concrescence” is a process that “many” generates “one”. “Transition” is a process that “one” transfers to “many”. The meaning of convergence curriculum based on Whitehead's process includes the following: First, the convergence curriculum is comprised of implicative and important contents. The convergence curriculum should rear talent to creat new knowledge. “Convergence” of convergence curriculum aims to prepare a foundation of effective curriculum. Second, the convergence curriculum promote intellectual growth and growth of character. Convergence curriculum should be made up of relationship among the students.

      • 1950년대 부산동광국민학교의 교육과정개선 구상

        서 재 천 공주교육대학교초등교육연구원 2013 敎育論叢 Vol.50 No.1

        1950년대 전반기 교육과정개선운동이 활발하고 제1차교육과정이 제정되기 시작하던 시기인 1952년에 발표된 부산동광국민학교의 『교육과정개선의 구상』은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선운동 실천의 선구를 이루는 것이었다. 동(同) 구상은 경험중심교험중심교육과정(코어커리큘럼)의 기본정신을 받아들이면서도 우리나라 현실을 고려하여 교과(분과)교육과정도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는 것이었다. 동 구상은 학교 교육과정을 중심과정, 기초기능과정, 생활지도과정의 세 과정으로 나누고 학생의 발달정도(학년)에 따라 이 세 과정의 배분을 달리하였다. 중심과정은 사회과와 자연과(오늘날의 과학과)를 통합한 성격의 것이었다. 동 구상에서 바람직하다고 여겨진 학습법은 아동의 생활상의 문제를 해결해가는 단원 학습이었다. 동 구상은 당시로서는 매우 새로운 개념인 가이던스(guidance)를 중요시 하여 아동들의 입장에 서서 교육하려 하였다. 이러한 교육과정 구상은 생활방식으로서의 민주주의를 통해 민주시민을 육성하여 민주사회를 실현하려 했다는 점에 그 역사적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안무역량 개발을 위한 안무기능과 구조에 관한 연구

        황인주 한국무용기록학회 2009 무용역사기록학 Vol.17 No.-

        본 연구에서는 예술과정의 기본성격, 예술과정의 수행역할, 그리고 안무과정의 상호 작용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무용작품의 완성을 위한 기본적 안무기능, 그리고 안무과정의 구조를 안무역량 개발 및 제고를 위한 기본틀로서 제시하고 있다. 안무과정에서 요구되는 안무기능은 작품을 만드는 과정에 참여하는 동안 안무가가 행하는 다양한 역할, 즉 창조적 예술가, 작품행위자, 관객, 그리고 비평가로서의 역할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안무가의 각 역할과 관련하여 기능의 핵심요소들이 도출되고 있다. 또한 안무구조는 문제해결과정, 그리고 예술매개체를 통한 문제해결이라는 예술과정의 기본성격과 특성을 고려하여 무용작품을 중심으로 상호 작용하면서 환류되는 기본적 요소과정으로 구분,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안무기능 및 구조는 안무과정에서 수행되는 역할에 따라 요구되는 다면적 기능, 그리고 예술작품 창조과정으로서 안무과정의 본질적 특성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시대적 변천에 따라 미적 인식과 태도, 그리고 무용양식 및 개념이 변화되면서 그로 인해 안무과정을 지배하는 미적 질서에 관한 원칙들이 바뀌어 지더라도 여전히 효과적인 안무역량 제고를 위한 기본틀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horeographic classes are important in the sense that they provide opportunities for dance students to experiment various choreographic propositions based on their dance experiences. This study purposes to provide a theoretical framework in which choreographic process is analyzed systematically. A theoretical framework consists of two elements: functions and structure. First, the specific functions required in choreographic process are analyzed in terms of various forms of artistic participation. Secondly, considering interactive phenomena in choreographic process, the choreographic structure is modeled with structural elements, which are interrelated and interactive. Because the suggested framework for choreographic process is not affected by the changes of dance form, style, aesthetic concept, etc., it is expected that dance students can utilize this framework to develop their choreographic capabilities.

      • KCI등재

        생태계에 대한 학습발달과정의 개발과 평가

        여채영 ( Chae Yeong Yeo ),이효녕 ( Hyo Nyong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1

        미국과 유럽의 여러 국가에서 과학의 학문 내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과학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변화가 학습발달과정을 이용한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것이다. 학습발달과정은 과학의 핵심 개념과 과학적 활동과정을 논리적이며 단계적으로 정교하게 기술한 틀로서 학생이 학습하는 동안 연속적이며 체계적으로 확립되어 가는 이해의 과정을 설명한다. 미국의 차세대과학기준(NGSS)에서 제시한 생명과학 핵심 개념 중 하나인 생태계에 관하여 학습발달과정을 개발하고 개발된 학습발달과정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발달과정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개발절차를 Development, Assessment, Analysis, Amendment의 네 단계로 설정하고 순차적이며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생태계에 관한 학습발달과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학습발달과정의 분석 결과 학습발달과정에 기반을 둔 평가는 학생의 능력을 파악하는데 신뢰할 수있는 정보를 제공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발달과정의 개발 과정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핵심 성취기준을 이용한 Framework의 개발, OMC 문항 형식과 Rasch 모델을 이용한 평가와 분석 과정을 제안한다. 또한 경험적으로 검증된 학습발달과정을 이용하여 교육 내용, 교육 방법, 교육 평가가 연계된 교육과정 강화 방안을 제안한다. 국내 학습발달과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시점에 이 연구를 통해 제안된 학습발달과정 개발 절차를 활용하여 학습발달과정의 개발에 수월성을 제공하고, 개발된 학습발달과정의 적용으로 교육과정의 표준과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re have been much efforts to reconstruct the science curriculum focusing on Disciplinary Core Ideas(DCI) in many countries such as America and Europe, the most practical effort has been to design a curriculum with learning progressions(LPs). LPs describe stepwise how students can systematically move toward the understanding of more sophisticated ideas or scientific activities and explain in successio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ideas while the students learn. In this study, a LP for ecosystems has been developed, and the developed LP is then evaluated accordingly. The Ecosystem is one of the DCI of the life science in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NGS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LP was set at step 4(Development, Assessment, Analysis, and Amendment), and developed through an iterative process of sequenc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veloped LP, an assessment based on the LP provides reliable information to identifying student ability. This study propos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LP and its methodological aspects to use Core Achievement Standards, Ordered Multiple-Choice items and the Rasch model. In addition, using the empirically proven LP suggests a way of strengthening curriculum linked to educational content, teaching methods and assessment. Utilizing the proposed development process in this study will be to present the standard into the direction of becoming part of the curriculum. Currently, the state of domestic research for the LP is still lacking. This study determin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LP and the need to conduct future research on the LPs.

      • 프로젝트를 통한 통합교육과정 구성과 적용의 실제

        김미영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07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 No.1

        Curriculum integration wasn't new approach, but it has been extensively discussed in the field of elementary schooling. However, it was mainly that the integrated curriculum was the collection of a few themes linked. In that sense, it was difficult to say that it came ture just as the idea of curriculum integration intended solving problems of life in the whole point. The major this study integrated curriculum integrating focused of the problems of child's life and tried to applicate it using project learning method. To this aim, First of all, this study analysed National Elementary Curriculum's objectives and developed integrated curriculum as a level teacher. In the process of the problem solving through project learning, second, it was well-match-ed with childrens' interests or needs. Finally, it was reconstructed.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 that every day lives' problems of children must consider in the developing integrated curriculum. 프로젝트나 통합교육과정 구성은 전혀 새로운 내용이 아니라 할 만큼 그동안 통합교육과정 구성은 꾸준히 있어왔다. 그러나 전체 교육과정의 내용들을 몇 가지 주제로 모으는 정도에 그치는 통합의 경우가 많아 사실 삶의 문제를 총체적 관점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통합의 본래적 의도를 살렸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본 논문은 아동의 삶의 문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통합하고 이를 프로젝트 학습방법을 통하여 적용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의 목표를 파악하여 교사 수준에서 통합 교육과정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프로젝트 학습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에서 아동의 관심 문제를 포함한 교육내용으로 다시 조율하여 통합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바탕으로 그동안 통합의 과정에서 고려되지 않았던 아동의 삶의 문제를 통합의 과정에서 고려해야 함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 대학 기관의 한국어 교육과정 현황 및 개발 방안 연구

        이명진(Lee, Myungjin)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科學硏究 Vol.21 No.-

        동덕여대 한국어교육원은 2013년 3월에 개원하여 가을학기 현재 20명의 학생이 한국어를 배우고 있다. 국내 한국어교육에서 전문성을 살린 교육기관으로 발돋움 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교육과정과 실제적 한국 문화 프로그램 구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고는 먼저 국내 주요 대학 기관의 정규과정과 단기과정 현황을 살핀 후 동덕여대의 교육과정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대부분 기관에서 정규과정은 4학기 10주 과정으로 총 200시간의 한국어 수업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오후 특별수업으로 주 1~3회 태권도, 한자, 한국문화, K-POP 댄스 등의 문화 수업과 발음반, 한자반, 문법반 등의 영역별 수업을 진행한다. 동덕여대는 현재 정규과정 오후 특별반으로 TOPIK반이 있으나, 영역별 강화 수업과 다양한 문화수업도 개설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각 수업의 체계적인 교육 방안과 교재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한국어 도우미 프로그램도 활성화해야 한다. 단기과정은 대부분 18세이상 재외동포 및 외국인을 대상으로 1~5주 과정을 진행하고 있으며 주 4~5일 하루 4시간 한국어를 학습한다. 그리고 문화 프로그램으로 이천 도자기 마을, 에버랜드, 서울 시티 투어 등의 여행 및 답사와 한국 요리 배우기, 사물놀이, 민속놀이, 태권도 등 문화 체험을 한다. 단기과정에서는 단기간의 교육에서 성취할 수 있는 목표를 설정하여 한국어에 자신감과 동기를 심어줄 수 있는 교육과정을 설계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단기 과정 성격에 알맞은 교재 개발이 필요하며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한 적절한 문화 프로그램을 구성해야 한다. Dongduk Women's University's Korean Language Institute was founded in March 2013, and currently 20 students are learning Korean during the fall semester. To develop into a specialized Korean language educational institution in Korea, effective curriculum and practical Korean culture-oriented programs need to be established. To explore such aspects, this study has examined regular courses and short-term courses of major university-affiliated institutions in Korea. After that, the curriculum development schemes of Dongduk KLI were presented. In most institutions, regular Korean language courses run 10 weeks over 4 semesters, totaling 200 hours. In addition, the following classes are offered as special afternoon classes: cultural classes 1-3 days a week such as Taekwondo, Chinese characters, Korean cultures, and K-POP dance; language area-specific classes, including pronunciation class, Chinese character class, and grammar class. Although Dongduk KLI has TOPIK class as a special afternoon class of its regular curriculum, language area-specific classes and various cultural classes should be established. It requires developing systematic education schemes and textbooks for each class. Also, 'Korean language helper program' should be stimulated. Most short-term courses run 1-5 weeks targeting overseas Koreans and foreigners who are 18 or above; the courses are taught 4 hours a day 4-5 days a week. As a cultural program, field trips and travel to places such as Icheon Ceramics Village and Everland and Seoul City Tour, along with cultural experiences such as learning to cook Korean dishes, samulnori, (Korean traditional percussion quartet), and taekwondo are offered. Such short-term courses should have a curriculum that inspires confidence and motivation to learn Korean under a realistic goal that can be achieved through short-term education. To accomplish the task, appropriate textbooks for short-term courses and proper cultural programs reflecting the demands of learners should be developed.

      • 방과후 과정 교사 운영에 관한 교사의 인식 -충청북도 공립유치원을 중심으로-

        이샤론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6 한국유아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 방과후 과정 교사 운영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이야기를 듣고 방과후 과정 교사 운 영에 관해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교사가 인식하는 방과후 과정 교사 운영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로 연구 문제를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에 참여 한 연구 참여 교사는 충청북도에 공립유치원에서 근무하며 방과후 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교사 5명과 타․시 도(대전, 경기, 대구, 전라북도) 공립유치원 근무하며 방과후 과정을 운영하는 교사 5명이다. 연구 과정은 2015년 4월 6일(월) ∼ 6월 27일(토)까지 12주 동안 주 1회 교사 10인과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의 시각으로부터 통찰과 발견, 이해에 이르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자료를 많이 수집하기 위해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전화 면담, e-메일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면 담한 자료를 취합하여 전사하였으며, 현장 노트를 작성하여 현장에서의 상황을 묘사하여 예비적인 보충 자 료로 연구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갑자기 달라진 방과후 과정 교사 운영 지침이 갑자기 변 경되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둘째, 방과후 과정 교사를 채용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지원자가 감소하게 된 배경을 보면 방과후 과정 교사 채용 자격 조건이 강화되었으며, 유치원이 위치한 지역적 특성에 따라 면 이하의 경우 유치원 정교사 자격증 소지자의 부재로 지원자가 턱없이 감소하였다. 셋째, 다양한 방과후 과정 교사의 유형으로 인해 누구와 함께 일을 하느냐에 따라 교사가 느끼는 인식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넷째, 방과후 과정 교사 운영에 대한 어려움으로 소통의 부재를 말하고 있다. 한 학급을 함께 운영하는 교 육과정 교사와 방과후 과정 교사가 학급 운영을 잘하기 위해 무엇보다 필요한 것이 소통일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opinions of teachers at the site on the operation of after-school course teachers at public kindergartens and study teachers’ perception on the operation of after-school course teachers. The study problem established for the objective is as follows. 1. How is the teachers’ perception on the operation of after-school course teachers? The teacher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consist of 5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in Chungcheongbuk-do that are running after-school courses, and 5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of other province or city (Daejeon, Gyeonggi-do, Daegu, Jeollabuk-do) that are running after-school courses. Study was conducted from April 6, 2015 (Mon) ~ June 27, 2015 (Sat) for 12 week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teachers once a week.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to collect as much of important information that helps the participants’ perspective to reach insight, discovery and understanding as possible, and the methods of interview included various methods such as phone interviews and e-mails. Collected data was transcribed, and field notes, which describes the situations at the site, were used as additional preliminary material.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were facing difficulties due to sudden changes in the operation guidelines of after-school course teachers. Policy should be coherent, and if changes are inevitable, sufficient time to adapt to such changes should be provided, so work transfer can be smoothly processed. Teachers faced difficulties as the after-school course teacher operation guidelines suddenly changed. First, teachers had to handle the curriculum solely by themselves and were the most concerned about the safety of children. Also, in case of kindergartens attached to elementary schools, teachers were operating the classroom alone that they were getting help from administrative workers in the elementary school or health teachers, and in case of kindergartens that hire 2-hour short-term instructors, teachers were using free-play activity time and their spare time to process official documents or work that a proper curriculum operation was not possible. In addition, teachers were having difficulties due to heavy workload and physical fatigue. In order to pursue a quality kindergarten education, various plans to support teachers’ work should be devised. Second, there was a difficulty in hiring after-school course teachers. Applicants decreased despite 3 notices. The reason for such decrease was the reinforced employment conditions for after-school course teachers. Also, depending on the region where the kindergarten is located in, locations below the township level had significant decrease in applicants due to the absence of license holder. Number of applicants also decreased due to reduced working hours. Not only the decrease in applicants lead to difficulty in hiring after-school course teachers, but it also created worries among teachers about after-school course teachers resigning. In addition, teachers experienced relative deprivation from the teachers that make higher wage compared to their short 4-working hours. Lastly, teachers had to bear a huge burden of having to operate both the curriculum and after-school course when after-school course teachers were not hired. However, they were not receiving proper compensation and were being hurt for not being properly acknowledged. Due to the changes in after-school course operation guidelines, teachers were being overburdened and were facing many difficulties; the organizational climate of taking teachers’ workload as granted without proper compensation or acknowledgement should be changed. Also, the manpower pool by each education office should be reinforced for employment, and the superintendent should hire and appoint after-school course teachers to kindergartens rather than the school principal. Third, due to various types of after-school course teachers, teachers’ perceptions varied depending on who they work with. Teachers paired with regular teachers displayed positive perception on after-school course teachers, since the after-school course teachers worked at the kindergarten in the morning as well, enabling them to operate the class together. Teachers paired with after-school educators also displayed high levels of satisfaction when the educators were working with them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Teachers paired with part-time or contract teachers had to handle both the class and work, so they were overburdened, and complained that the after-school course teachers could not participate in field trips and kindergarten events due to their work hour restrictions. Teachers that work with 2-hour short-term instructors were facing the greatest difficulties. Some of difficulties they were facing were the extended operating hours by 1 hour, insufficient time to process work, and the worry about instructors without responsibility. In order for the after-school courses to be qualitatively improve, the system for after-school course teachers should be stabilized first. Fourth, the difficulty in after-school course teacher operation included absence of communication. In order for the curriculum teacher and after-school course teacher that run the class together to operate the class well, communication would be crucial. However, there was far from enough time for the teachers to communicate with part-time or contracted teachers that work for 4 hours or the short-term instructors that work for 2 hours due to their short working hours. Teachers briefly discussed about the children’s behaviors or precautions during their rotation. They were stating they the relationship among teachers were not amicable due to insufficient time for exchange. There should be sufficient time for the class teacher and after-school course teacher to discuss with each other, and various ways using memos or bulletin boards should be demanded.

      • KCI등재

        과정 중심 평가 개념 분석 및 적용 방안 탐색

        김순남 ( Kim Soonna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5

        이 연구는 2015개정교육과정에서 도입된 과정 중심 평가의 개념을 명확히 제시하고 과정 중심 평가의 핵심 요소를 도출하여 적용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내용으로는 과정 중심 평가의 도입 과정 및 과정 중심 평가의 개념 분석, 현 과정 중심 평가 개념 문제점 분석, 과정 중심 평가 개념의 핵심 요소 정립 및 적용 방안 제안 등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주로 문헌고찰과 현장 방문을 통한 교원 면담 등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를 통해 과정 중심 평가와 수행평가 및 형성평가를 차별화하고 과정 중심 평가의 핵심 개념 요소를 설정하였다. 과정 중심 평가 개념의 핵심 요소는 학생의 학습 과정을 직접 평가, 수업 내 평가로서 수업에서 학생 활동을 포함한 수업 모델과 연계한 평가, 학생의 학습 성장 정도를 알 수 있는 평가로 설정하였다. 나아가 과정 중심 평가를 현장에 적용하는 방안으로 과정과 결과의 연속선상 적용 방안, 학생 학습 과정, 수업, 평가 연계 방안, 4세대 평가방법 통합적 평가 방안, 과정 중심 평가 지원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is to define and clarify the concept of the “Process-based Assessment” which was applying to Korean schools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reviews the introduction background and overall analysis of the 2015 Curriculum, preceding research analysis of the process-based assessment, and core element and application proposal of the assessment. The process-based assessment has the following three core elements. In detail, the assessment has to consider the process of student learning. Second, the process of student learning should be tested by class situation, Third, the process should provide the growth process of student learning. Lastly I propose the application of this evaluation : continuous application method of process and result, connecting method of student learning process, instruction, evaluation, a new extension assessment model, the integral method which combines the entire previous four generation evaluation model, support system for the growth of teacher professionalism and work reduction of teacher.

      • KCI등재

        노인동아리의 의례적 학습과정 연구

        장소은(Jang So Eun),이병준(Yi Byung Jun) 한국평생교육학회 2014 평생교육학연구 Vol.20 No.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e that the ritual process of elderly circle has an educational meaning as a informal learning process by analyzing and interpreting it in terms of ritual process suggested by Van Gennep. To achieve this goal, observation and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argeting table tennis club in the senior welfare fac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embers of the club interact with each other in proper styles and regular behavior patterns, that is to say, they communicate intimately learning social relationships through series of the ritual process. Second, they experience various proactive and self-directed identities through the ritual process. The regular and repetitive ritual process proceed from self-motivation of the elderly and have them experience various identities through club activities. Therefore, this ritual process can be understood to have an educational meaning which reinforces personal identity and community solidarity. As Mollenhauer(2005) mentioned, 'identity' has been found in a variety of contexts especially in works related to pedagogy. Individuals grow up and achieve self-fulfillment as they seek and discover their identities. Third, the informal learning in the ritual process of elderly circle can be understood as acquisition about a particular emotion. These shared emotions maintain community and strengthen solidar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itual process of elderly circle enrich elderly life so it has an educational meaning as a learning space to be the subjective elderly. Also, the elderly participated in club activities are learned ego who perceive themselves as a being to able to create their own lives independently and face their lives generously. They also should understand all activities for the elderly in a broad sense and support them in various ways. 본 연구는 고령사회의 노인동아리 활동을 의례과정으로 살펴봄으로써 의례과정에서 나타나는 무형식 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탐색하고자 한다. 특히 연구자는 노인동아리의 의례과정을 Van Gennep의 의례과정 단계에 따라 살펴보고 의례과정에서 나타나는 일정하고 규칙적인 상호작용 행위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은 노인동아리의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일상생활 세계에서 분리되어 동아리 활동을 함으로써 다양한 정체성을 경험하고 친밀한 인격적 상호작용 과정에서 무형식 학습을 경험한다. 그들은 노인동아리의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의례과정에서 사회적 관계와 주체적인 노인으로 학습된다. 이러한 노인동아리 의례과정에서의 무형식 학습은 공동체의 결속을 강화하고 노인의 사회적 고립감과 신체적 무기력, 외로움을 극복하게 한다. 노인동아리 의례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무형식 학습의 의미는 주체적 노인에 대한 학습으로 노인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동아리 활동은 노인교육과 관련한 정체성, 자발성에 관한 교육적 행위의 교육학적 관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중국의 초등학교 통합교육과정 실행의 문제와 과제

        류팅팅,박창언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4 통합교육과정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esents the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curriculum(IC) in Chinese primary schools in future. IC is included in the basic course system during the eighth course reform in China. The schools also retain the autonomy in developing their own curriculum which suits their needs. Thereby, China has formed the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curriculums on national, local and school level. Under this system, teachers are allowed the freedom to selecting the content of courses, and carrying out their teaching activities. However,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teaching styles and their abilities to convey ideas, along with their abilities to cooperate with other teachers, problems such as the IC focuses more on quantity rather than quality, teaching method does not match the request of IC and so forth have surfaced. In addition, due to the shortage of teachers and inadequate infrastructure, there is a significant gap between city and the less developed regions such as western and rural provinces on the development of IC. so the quality of IC in these areas is low and are resented as a mere formality. With regard to this, this study proposes that if we intend to improve the quality of IC, we need to focus on the training of teachers on IC, and also increase in investment of the educational infrastructure in backward areas. 본 연구는 중국의 초등학교 통합 교육과정의 실행 과정에 나타난 문제점을 밝혀내고 나아가 개선할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 달성을 위해 중국의 교육과정 체제 및 통합교육과정의 변천 경과를 살펴보고, 중국의 통합 교육과정 구조와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통합 교육과정 실행에 따른 문제와 과제를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 통합교육과정이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전에 교사가 교과를 통합시킬 수 있는 전문적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제반 노력이 부족하였으므로, 교육현장에서 통합 제대로 실천되는데 제한이 발생하고 있다. 교육현장에서는 통합 교육과정의 실행에서 질적 부분 보다는 양적인 면에 치중하는 문제, 교수 방법 문제, 교사 개인 능력의 제한으로 인한 문제 등이 드러나고 있다. 또한, 통합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다양한 자원을 활용해야 하지만 중국 서부 및 농촌과 같은 낙후 지역에 인적 자원 부족과 도서관, 미디어 등과 같은 교육환경의 시설 부족으로 통합교육과정의 질이 도시에 비해 낮다는 문제도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른 초등학교 통합교육과정의 실행을 개선할 과제로 교사 훈련 및 낙후 지역에 인적 자원 및 재정 자원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