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법실상(諸法實相)에 대한 원효의 화쟁방식

        김태수 ( Kim Tae-soo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5

        원효(元曉, 617~686)는 『大慧度經宗要』에서 이제 삼성설과 관련하여 불가설(不可說)로서의 제법실상(諸法實相)에 대한 사구(四句)를 각 논사의 관점에 수평적으로 배속시켜 화쟁하고 있다. 이를 위해 “말에 집착하면 파괴하지 않음이 없지만, 집착을 떠나 설하면 합당하지 않은 것이 없다”라는 근거가 제시된다. 이는 이분법에 근거하여 각 구(句)의 옳고 그름을 가려 극복 또는 부정 대상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각 견해 모두 나름대로 일리가 있다는 점에서 다름을 인정하고 진실의 다른 모습으로 동등하게 포섭하는 평등 일미지향의 진리관이다. ‘불이(不二)’로서의 일미(一味)를 최고 가치로 두지만, ‘불일(不一)’로서의 다미(多味)의 차이 역시 동등한 가치를 지닌 것으로 보는 불일불이론이기도 하다. 『大慧度經宗要』 뿐만 아니라 『金剛三昧經論』에서도 연역적으로 제시된 불가사의 진실(不可思議眞實)이라는 문제 안에 해(解)를 전제함으로써 전체 논의를 수미쌍관적으로 개합시키는 의미순환론을 보여준다. 전체적 화쟁 구도에서 문제에 대한 해는 제법실상에 대한 각 쟁점의 화쟁에 있지 않다. 오히려 이를 바라보는 각 논사들의 관점과 태도에 대한 화쟁에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화쟁론은 제법실상과 같은 특정 쟁점에 대한 이견이 관점의 차이라는 것을 인정하고, 자신의 견해에 집착하지 않을 때 조화를 이룰 수 있음을 제시하는 관점에 대한 화회 방식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불가언설·일심 등의 이념(문제)과 화쟁(해) 간의 불일불 이론은 화쟁을 이해하는 유용한 시각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제·삼성 및 실상에 대한 관점에서 ‘억지로 명명한 제법실상 또는 일심’ 등을 본체론에 근거하지 않고도 이해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Wonhyo(617~686), in his Doctrinal Essentials of the Perfect Wisdom is harmonizing the different opinions on the true reality of all phenomena while allocating each opinion to catuskoti following each perspective. For this, he advances the reason as “there is nothing to be destructed if sticking to words, but nothing which is not right if one does not stick to those.” It is an approach not understanding words as the object of negation based on dichotomy, but a view of one flavour orienting towards equality which encompasses opposing views as possessing equal, yet different values. Although the truth values of ‘one flavour of non-duality’ is regarded as its highest ideal, emphasis is also being placed on its difference of manifold flavour as nonidentity. Further, in his Exposition of the Sutra on the Adamantine Absorption, as well as in Doctrinal Essentials of the Perfect Wisdom, Wonhyo presents circulatory theory of meaning while opening and sealing the whole discourses with “The same head and tail” arrangement, by presupposing solution inside the problem of ‘the idea beyond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Seeing through the whole composition of hwajaeng, solution to the problem can be seen as hwajaeng on the perspectives and attitudes of each theorist viewing the issue, rather than hwajaeng on the proposition of each theorist on true reality of all phenomea. Thus, the discourse on hwajaeng becomes the method of harmonizing the perspectives by acknowledging the fact that different opinions are merely the product of viewpoint from the other aspect. In this context, the relationship of ‘neither identical nor different’ between idea(problem) and hwajaeng(solution), especially with reference to the problem of inexpressibleness and one-mind can function as a useful tool for understanding the issue of harmonizing the disputes. Because it can provide verification to understand true reality or one-mind which are called to be named as such, not as a constant substance, but as constantly changing nature of all phenomena.

      • KCI등재후보

        법화천태교관과 대행선사의 관법觀法

        오지연(Oh, Ji-yeon) 대행선연구원 2019 한마음연구 Vol.3 No.-

        본고는 법화의 제법실상 사상과 천태의 원돈지관의 관점에서 대행선 사의 관법 수행을 살펴본 글이다. 먼저법화경의 사상과 대행선사의 교화행을 살펴보았다. 첫째, 대행선사의 가르침은 ‘한마음 ’이라는 한마디로 요약된다.법 화경에서는 그것을 제법실상諸法實相이라 하였다. 제법이 실상이므로 모든 존재는 차별이 없어서 그대로 하나가 되니, 그것이 한마음이다. 둘째, 대행의 대중 교화는 적극적이었다. 법회, 영상포교, 언론, 음악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국내외를 막론하고 대중의 요구가 있는 곳은 어디에서나 법을 전하였다. 그는 고통 받는 중생들에게 고통에서 벗어나는 법을 전할 뿐 아니라, 직접 고통에서 벗어남을 확인할 수 있도록 가르쳤다. 이러한 교화행은 바로법화경에서 설한 개시오입불지견開 示悟入佛知見의 일대사인연一大事因緣을 행함이다. 대행선사는 ‘개시오입開示悟入한마음’이라는 오직 일불승一佛乘의 한 길만을 가셨던 분이라 할 것이다. 셋째,법화경에서는 제법실상은 굳건한 믿음이 아니면 알 수 없다 고 설한다. 대행 역시 불성에 대한 믿음, 한마음에 대한 굳은 믿음을 강조하였고, 주인공에 맡기고 놓음 또한 믿음 위에서만 가능하며, 나아가 ‘놓음이 곧 믿음’이라고까지 하였다. 다음은 천태지관과 대행선사의 관법을 살펴보았다. 첫째, 대행의 주인공관법이 곧 원돈지관이 된다는 점이다. 주인공관법은 ‘단박에 몰락[頓] 주인공에 맡기고 놓아서[止] 지켜봄[觀]을 통하여 한마음의 크나큰 이치[圓]’를 깨닫는 방법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이것은 원돈지관의 성격을 띤다. 형식적으로는 사종삼매四種三昧 중 비행비좌非行非坐삼매에 해당한다. 이것은 일체의 형식이 필요 없는 행법으로서, 대행선사는 경전이나 화두, 심지어 불보살의 명호마저도 의지함이 없이 오직 ‘주인공 ’에 맡기고 놓고 관하는 길만을 제시하였다. 둘째, 또한 주인공관법은 현재의 한 생각에서 공·가·중을 동시에 관하는 일심삼관一心三觀임을 보였으며, 이때의 원돈지관행은 곧 그치되 그침 없고 관하되 관함이 없는 절대지관이 됨을 보였다. 셋째, 대행은 관법을 가르침에 그치지 않고 돌려쓰는 것까지 책임져야 한다고 하였다. 완벽히 비운 자리에서 무궁무진한 쓰임[大用]이 나옴까지 체험하도록 가르쳐야 한다는 말씀이다. 이것은 ‘개시오입開示悟入불지견’에서 ‘개시오開示悟’에 그쳐서는 안 되고, 마지막 ‘입불지견도入佛知見道’까지 책임져야 한다는 말이다. 여기에 대행의 크나큰 스승으로서의 면모가 드러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presents my research on the thoughts of Ven. Daehaeng in view of the concept of "the reality of all beings (諸法實相)" as presented in the Lotus Sutra and "the contemplation of perfect and sudden cessation and contemplation (圓頓止觀)" as presented in Tiantai Buddhism. The enlightenment of the Buddha is expressed in various ways in Buddhist sutras. In the Lotus Sutra , it is called "the reality of all beings". Ven. Daehaeng calls it "Hanmaeum (一心 One mind)". All beings are one because they are reality in themselves. Therefore, all beings are collectively "The Big One". "Han" actually means both "big" and "one" in Korean, and "maeum" means mind. Thus, the term "Hanmaeum" expresses ultimate truth in the teachings of Ven. Daehaeng. The Lotus Sutra is the only text that discloses the reason for Buddha's birth into this world, and that is the "the one great matter (一大事因緣)". Specifically speaking, the one great matter was for Buddha to reveal his enlightened mind to the people and make them understand it. Then they themselves could take up the Buddha's path. After achieving enlightenment, Ven. Daehaeng actively educated and enlightened people the rest of her life, possibly more than any other Seon master in Korean Buddhism. She was an extraordinary Seon-master who truly walked the path of "the One Vehicle (一佛乘)." In terms of practice, Ven. Daehaeng's concept of "Juingong (主人公 True Self)"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samatha-vippassana concepts of perfect and sudden cessation and contemplation as presented in Tiantai Zhiyi's teachings. Ven. Daehaeng taught people to set aside their restless mind and contemplate their inner Juingong in order to realize the great truth of Hanmaeum. In their contemplation of Juingong, they also can see the three truths (空假中; emptiness, provisional existence, and the middle path) which samatha-vippassa na refers to as "perfection and sudden cessation and contemplation." Lastly, through this contemplation, she emphasized the perception and action of "Five Sharings (五共)" that take place as all beings exist and live together interdependently. Therefore, we should spread the teaching of "Hanmaeum" and "Juingong" to better others around the world.

      • KCI등재

        상좌부의 삼상(三相, ti-lakkhaṇa)과 대승의 법인(法印, dharma-uddāna)에 대한 비교연구

        김한상 보조사상연구원 2014 보조사상 Vol.41 No.-

        본고의 목적은 붓다가 설한 무상(無常, anicca)·고(苦, dukkha)·무아(無我, anattā)의 가르침에 대한 남전(南傳)과 북전(北傳)의 해석을 서로 비교하면서, 북전에서 고가 누락되거나 열반이 추가된 사상사적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초기불교에 따르면, 생겨난 모든 것은 무상·고·무아라는 세 가지 특성을 지닌다. 이는 "물질은 무상하다. 무상한 것은 고이며, 고인 것은 무아다."라는 전형적인 오온(五蘊, pañcakkhandhā)의 교설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초기 불전에서 는 무상·고·무아가 독립한 하나의 항목들로 산만하게 설해져 있으며 이들을 포괄하는 특정한 공식은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부파불교도들은 삼상(三相, ti-lakkhaṇa)이나 법인(法印, dharma-uddāna)이라는 공식으로 이들을 요약하였다. 남전 즉 상좌부(上座部, Theravāda)의 삼상은 공상(共相, sāmañña-lakkhaṇa)과 같은 개념으로 해탈(解脫, vimokkha)과 열반(涅槃, nibbāna)을 지향하는 불교의 가르침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 토대이다. 반면에 북전의 법인은 대내적으로 서류의 진위를 판가름하는 관공서의 도장처럼 어떠한 경이나 교설이 불설(佛說, buddha-vacana)인지를 판가름하는 기준이나 잣대로 사용되어 왔으며, 대외적으로는 불교의 근본 가르침을 선양하는 기치나 슬로건으로도 사용되어 왔다. 대승의 전통에서는 삼법인(三法印)에 고가 추가된 사법인(四法印)도 사용되었고, 일부 대승불교도들은 삼법인과 사법인을 소승의 설로 간주하고 일실상인(一實相印)이나 제법실상(諸法實相)을 주장하였다. 이렇게 남전과 북전에서 붓다가 설한 무상·고·무아의 가르침은 다소 다른 방식으로 해석되어 왔지만 상기 공식들은 궁극적으로 모든 현상들의 보편적이고 진정한 속성을 표현한다는 점에서는 서로 공통된다. 뿐만 아니라, 불교 특유의 가르침인 무아가 누락되고 있지 않은 점에서, 이 공식들은 하나 같이 불교의 궁극적 이상인 열반에 이르는 길을 제시한다고 말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doctrinal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inclusion of Nirvāṇa (nibbāna) and exclusion of suffering (dukkha) in the Northern Buddhist tradition by comparing the Southern and Northern Buddhist interpretations on the Early Buddhist teaching of impermanence (anicca), suffering (dukkha) and non-self (anattā). According to Early Buddhism, everything which comes into being bear the three characteristics, namely, impermanence, suffering and non-self. A typical example is the following passage from a discussion of the five aggregates: "Form is impermanent. Because it is impermanent, it is suffering. Since dhammas are impermanent, suffering, and subject to change, they are devoid of a Self." However, the three characteristics are individually scattered throughout the Early Buddhist canon and there was no specific formula for covering them. Therefore, the Buddhists collected and summarized them in terms of the three characteristics (ti-lakkhaṇa) or the three Dharma seals during the period of Sectarian Buddhism. The three characteristics, which are identical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āmañña-lakkhaṇa), form the essential basis for understanding the Buddha's scheme of emancipation (vimokkha) and Nirvāṇa. The Dharma seals (dharma-uddāna) were used as standard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Sūtra or a doctrine was valid; if it met these standards, it was determined to be a valid Buddha's teaching (buddha-vacana). The Dharma seals were also used as flags or slogans for propagating the essentials of Buddhist Philosophy. In the Mahāyāna tradition, suffering (dukkha) is added to the three Dharma seals to form the four Dharma seals. Some Mahāyāna Buddhists regarded the three or four Dharma seals as a Hīnayāna concept; they established instead the one Dharma seal (一實相印), which was the principle of the ultimate reality, or the true aspect of all phenomena (諸法實相). In this way, the Early Buddhist principle of impermanence, suffering and non-self has been interpreted in somewhat different ways. Nevertheless, the above formulas as found in the Southern and Northern Buddhist traditions are basically to describe the general and true characteristics of all phenomena. What is more, non-self, which is the teaching peculiar to Buddhism, is find its place in their formulas. In this sense, we can safely say that all the above formulas show the way to Nirvāṇa,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Buddhism.

      • KCI등재

        천태지의의 믿음[信]관과 그 특징

        차차석,최기표 한국정토학회 2006 정토학연구 Vol.9 No.-

        천태의 믿음관은 삼제원융론에 입각한 제법실상론의 또 다른 표현이라 말할 수 있다. 그는 수행과 믿음을 일치시켜 수행 속에서 믿음을 증장시켜야 한다고 말하고 있으며, 수행을 통해 믿음의 대상인 제법실상의 세계를 통찰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가 말하는 믿음이란 제법실상관을 그 믿음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초기 불교 이래 전개된 삼보관의 범주에서 일탈해 있다. 그렇지만 일심으로 제법실상관을 파악하는 것이며, 一心의 드러남이 제법의 실상이라는 관점에서 후대의 사상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믿음의 대상을 실체화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의 사상은 철저하게 무집착 공의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이것은 대승 제경전의 영향, 그 중에서도 반야사상의 강한 영향 속에서 그의 믿음관이 형성되었다고 생각되는 부분이다. 더하여 전통중국사상의 상호침투와 융합이란 사상적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그는 믿음을 단계적으로 파악하고 있었으며, 그것은 四句分別論에 입각해 전개되고 있다. 그러면서 安心을 체득하기 위한 수행인으로 信行人과 法行人을 구분하고 있다. 그렇지만 그것은 因果의 구분 속에서 因이 없는 果가 있을 수 없듯이 果가 없는 因도 있을 수 없다는 사고 속에 전개되고 있는 것이라 말할 수 있다. 인이란 수행의 과정이라면 과란 깨달음이다. 삼승과 일승의 관계 속에선 삼승이 인이라면 일승은 과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모든 것은 계정혜 삼학으로 집약 정리된다. 融會的사고 속에서 도출된 결론이라 말할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은 대상에 사로잡히지 않으면서도 철저하게 현실적인 실천을 요구하는 것이란 점에서 현실을 중시하는 믿음관이 나타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The view of T'ien-t'ai' s faith is said to be anotherexpression of the universal reality theory which is based on Samjae harmonization principle. T'ien-t'aitold us that our practice should be consistent with our faith, and hence we should increase faith in our practice process. He also told us that we could see through the world of universal reality, which is the object of faith, throughout our practice. The faith, what T'ien-t'ai mentioned about, took the universal reality view as the object of faith. So, his view could be departed from the scope of the traditional Triratna view which had been evolved since the early Buddhism era. Nonetheless, his views of both seeing through universalreality with one mind and revealing one mind is equivalent to find out universal reality are said to influence the thoughts of next generations. He, however, did not substantiate the object of faith. Hence, his thought firmly maintained a view of no attachment emptiness. This seemed that his faith view could be seriously affected by Prajna thought which is one of Mahayana Buddhism ideologies. Also, it seemed that his faith view might be influenced by a traditional Chinese ideology of mutual affection and harmony. And he took faith as a stepwise process view. This was explained by his four phase classification theory. He insisted a differentiation between a faith practitioner and a dharma practitioner among the Buddhism practitioners who try to experience the peaceful mind. This differentiation, however, could be depicted under a causality framework which says there is no effect without cause or no cause without effect. I would think that the cause is the practice process and the effect is theenlightenment. Revie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e conveyances and one conveyance, I would rather to say if the three conveyances are the cause, then the one conveyance is the effect. These sorts of contents, however, are concentrated and summarized into the Buddhist trivium, which consist of the practice of commandment, the practice of equanimity, and the practice of wisdom. And the Buddhist trivium could be a drawn conclusion from the logical flow of a unification process. Hence, the Buddhist trivium would reflect the faith view that takes a serious view of present realty since it rigidly requires actual practice free from the environmental obsessions.

      • KCI등재

        『천태전불심인기』의 불성론과 실상론의 적용 및 그 계승 연구

        최동순 ( Choi Dong-Soon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20 禪文化硏究 Vol.29 No.-

        본 논문은 천태종의 종파적 정설과 그 수증론에 접근하기 위한 연구이다. 『천태전불심인기』(1권)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자료로서 천태종의 불성론과 실상론, 조통론의 요약이 훌륭하다. 천태종은 조선초 종명을 상실한 이후 세력을 잃었고 종학연구 또한 미미했다. 현 천태종이 수 백 년의 공백을 넘어 중흥을 선언(1966)한 만큼 종학연구가 필수라고 할 때, 본 책에 수록된 교학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 책을 지은 虎谿懷則은 元 천태종의 흥교존자로 불리운다. 그는 천태지의가 수립한 正·了·緣의 삼인불성론이 천태교관에 적용되는 과정을 밝혔으며, 그것이 당 담연과 송 지례에 의해 성구설로 발전한 과정을 기술하였으며, 그 내용이종학으로 계승되었음을 적시하였다. 그는 또 이 교설에 의해 발전된 성악설이 선종 등 타 종파에 비해 수승한 법문임을 주장하였다. 이 책의 본론은 觀境의 대상인 삼천 제법의 하나하나에 삼제를 적용한다는 것을 기술하고 있다. 그 一法이 삼제원융에 의해 破·立이 자재하다는 관법을 밝혔으며, 여기에 불성이 내재하며 삼인이 작용한다고 하였다. 그 삼인 자체가 본래 융즉하므로 어떤 경계를 觀하더라도 3해탈의 聖果를 얻게 된다는 것을 일깨웠다. 이로써 삼인·삼천·삼제·삼관·삼해탈이 연기의 순차적인 관계에 놓인다. 따라서 三因이 일심삼관에서 작용하므로 이 관행 역시 불성 현현을 위한 軌에 실리게 된다고 하였다. 一法의 경계에 대하여 卽× (空·假·中)을 적용하며 그 결과로서 실상을 체득하므로 곧 제법실상의 宗旨를 구현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에 실상구현을 위한 종파적 수증법인 觀心, 觀佛로 모아진다. 천태종은 이행도로서 관불의 행법을 채택했고, 그 경증은 『관무량수경』, 지의의 『관무량수경소』와 지례의 『관무량수경소묘종초』이다. 이는 極樂依正을 觀想하되 심외무불·신불불이의 원칙을 전제한다. 그 觀想을 회칙은 卽心念佛·約心觀佛의 수행법으로 요약하여 『정토경관요문』(1권)에 수록하였다. 이 내용을 요약하여 본 논에 첨부한다. This paper is a study to approach the orthodoxy of the Cheontaejong and its discipline and enlightenment theory. Tian-tai-chuan-fu-xin-yin-ji (one book, 天台 傳佛心印記) is the first book to be reported in Korea. This data provides a good summary of the theory buddha nature and the theory of dharmatā, the theory of history of the Cheontaejong. Korea's Cheontaejong lost its power after losing its nam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lso, sectarian research was weak. The current Cheontaejong of Korea declared(1966) a revival after hundreds of years of absence. Accordingly, our sectarian research is essential, so it is important to refer to the teachings contained in this book. The author of this book Huxihuaize(虎谿懷則) is called a researcher of the doctrine of the Cheontae Order of the Yuan Dynasty in China. He described the process of applying the theory Three buddha nature(zhengyin正因·liaoyin了 因·yuanyin緣因) established by Zhiyi(智顗) to Cheontaeology. Huaize also described the process of developing ‘Buddha and viciousness nature theory(性具說)’ by Dang Zhanran(湛然) and Song Zhili(知禮). He also wrote that the content was inherited by sectarian theory. Hhuaize argued that Cheon Tae-jong's viciousness nature theory(性惡說) was a better teaching than other sects such as Seonjong. The book's main point describes the application of three truths to each of all the things's contemplations. One revealed an observation method that breaking with and set up is free by amicable relationship of three thruths. He said three causes worked, that there was a buddha nature in this. It was said that three causes itself was originally amalgamation, and that any contemplation of an object would result in the sacred results of three emancipations.These three causes·three thousand things·three thruths·three emancipations are arranged in turn of the relationships. He therefore stated that A three causes are acted upon by three contemplations, and this observation is also placed in orbit for emerging buddha nature. An entity applies ‘as nothing is, as unreal is, as middle is(卽空·卽假·卽中)’ to one subject and acquires dharmatā as a result. Accordingly, he said that the purpose of Cheontaejong was realized. Therefore, attention is paid to the sectarian performance methods contemplate mind and contemplate buddha to implement dharmatā. Cheontaejong adopted to contemplate buddha as an easy discipline method. The foundation of the Buddhist scripture is Kuanwuliangshouching (觀無量壽經), Zhiyi's Kuanwuliangshouchingshu (觀無量壽經疏) and Zhili's Kuanwuliangshouching shumiaozongchao (觀無量壽經疏妙宗鈔). This is to imagine the paradise world, but it is to say, “There is no Buddha but the heart(心外無佛)”, and the principle is “that you and the Buddha are the same(身佛不二).” Using this imagination, Huaize summarized it in a way called “recitation of the Buddhas name in mind, contemplation of the Buddhas name in mind” and included it in Chingtuching kuanyaomen (淨土境觀要門). I attach this summary to this paper.

      • 상월원각대조사 교시문에서 교지의 실천에 관한 연구

        이승남(광도) 천태불교문화연구원 2019 天台學硏究 Vol.22 No.-

        교시문에서는 참다운 생명의 원리와 올바른 생활법칙을 가르쳐 이상세계를 구현하려 한다는 불타의 교지를 교시하였다. 또한 천태종도는 천태일승의 교지를 받들어 불교의 대중화와 생활화로서 지상불국의 실현을 발원하고, 밝은 자아의 개발과 밝은 생활의 창조 그리고 밝은 사회의 건설 등 3대지표의 실천을 선서해야 한다고 교시하였다. 불타의 교지와 천태의 교지 그리고 삼대지표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천태종도는 이러한 교지를 받들어 실천해야 하는 사명을 지니고 있다. 『법화경』의 제2방편품에서는 모든 부처님께서 세상에 출현하여 일불승으로 교화를 하신다고 하였다. 제법실상의 일승진리와 행보살도의 일승인행 그리고 일체종지의 일승불과를 가르치신다. 이러한 불타의 가르침에 따라 불자는 제법실상의 진리를 이해하고 보살도를 구족하여 불국토를 건설해야 한다. 이것이 『법화경』에서 설하고 있는 불타의 교지와 불자의 사명이다. 천태대사는 천태산 화정봉에 올라 일실제를 깨달았으며, 천태종은 그의 가르침에 따라 삼제원융의 일승진리를 영해하고 일심삼관의 일승인행을 실천하여 반야 · 해탈 · 법신의 열반삼덕을 갖춘 일승불과를 성취하여 모두가 성불하는 것을 종지로 한다. 천태종도는 삼제원융의 진리를 깨닫겠다는 발심을 하고 자리이타를 실천하여 자신과 모든 중생이 다 함께 성불하여 중생성불의 정토건설을 성취해야 한다. 천태의 원돈지관은 모두가 삼제원융의 진리를 깨닫게 하겠다는 보리의 마음을 내고 자리이타의 보살도를 닦아서 구경에는 모두가 반야 · 해탈 · 법신의 삼덕에 귀일하는 것이다. 대중불교의 실현과 생활불교의 실천 그리고 애국불교의 건립 등 3대지표의 실천은 곧 원돈지관의 실천이 된다. 또한 대한불교 천태종은 관음주송의 수행으로 삼대지표를 실천하고 있으며, 그것은 곧 천태의 교지와 불타의 교지를 실천하는 것이 된다.

      • KCI등재

        僧肇 選 『注維摩詰經』, 「弟子品」에 대한 연구

        장병한(Jang Beoung Han) 한국도교문화학회 2017 道敎文化硏究 Vol.47 No.-

        중국 5세기 초기에 저작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는 僧肇 選 『注維摩詰經』, 「弟子品」에서의 승조 주해에서, 특히 승조의 小乘 批判을 통한 大乘 讚揚의 전개 논의에는 중국 전통의 老莊과 유가 『주역』의 사상체계가 일정 부분 섭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인도의 대승가이며 그의 스승인 구마라집의 주해 역시 일정 부분 引據되고 있음도 확인되었다. 後秦 5세기 초, 구마라집은 대승불교의 모체인 『般若經』과 용수의 中觀계열의 論書를 傳譯하고 강설하여 般若 中觀사상의 正法性을 일깨워 대승사상을 전파하는 데 힘쓰고 있었다. 그가 중국에 오기 전까지 중국의 불교도들은 대승과 소승불교에 대한 인식이 확실치 않았으며, 대승의 空사상에 대한 이해 또한 명확치 못했다. 이때 승조는 스승 구마라집의 인도 대승의 제법 실상론을 계승하는 동시에 중국 전통 유가와 도가의 사상체계를 섭용하여, 소승 비판을 통한 중국의 창의적 대승불교 정신을 정립 확산하였다. 그래서 그는 인도의 대승 사상을 정립한 용수와 이를 계승 발전시킨 구마라집의 般若·空·中觀·諸法實相의 대승 사상체계를 수용하는 가운데, 중국의 전통 사상으로서 당시에 三玄學으로 손꼽히는 노자의 『도덕경』과 莊周의 『莊子』 및 유가의 『周易』에 담지되어 있는 대승적인 논의들을 그의 소승 비판을 통한 대승 실상론의 전개에 일정 부분 攝合하여 활용하였다. 특히 승조는 『莊子』의 ‘枯木死灰’의 수양론을 사리불의 소승 좌선법에 비유하며 비판하는 반면, 老子 『道德經』의 ‘和光同塵’의 수양론을 유마힐의 대승적 좌선법에 비유하며 찬양하고 있다는 것과 『莊子』, 「齊物論」의 ‘天地一指’, ‘萬物一觀’, "萬物與我爲一"론을 섭용하여 대승 불교의 一指·一觀·一相의 정신에 기초한 즉, ‘平等正化法’과 莫二의 道(不二의 道)를 제안하고 있다는 것에서, 승조의 불교학에서 중국 전통의 노장사상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의 정도를 읽을 수 있다. 이에 승조의 『주유마힐경』에 함의되어 있을 그의 중국적인 불교 세계관에는 그의 천재적 저술로 일컬어지고 있는 즉, 조론에 못지않은 학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천문학에서 본 불교우주관

        이시우,심산 한국정토학회 2010 정토학연구 Vol.14 No.-

        자연을 대상으로 하는 천문학과 유사한 불법은 인간을 포함한 우주 만유의 생주이멸과 성주괴공에 대한 이법을 다루면서 만유의 제법실상에 대한 보편타당한 진리를 찾고 또한 실제적 경험과 현실을 중시한다. 따라서 불교는 자연중심적인 사상에 따른 연기법과 중도원리에 근거한 만물의 본성적 우주관을 내포함으로 인간중심적인 여타 종교와 달리 객관적 진리를 중시하는 과학적인 우주적 종교이다. 그러므로 불법은 과학적 탐구 동기를 부여하는 우주철학이며 동시에 현실적인 과정철학이다. The Buddha-dharma is closely related to the astronomy which is applied to the nature. And so the dharma deals with the natural laws of Seongjuimyeol(the four phases of form) and SeongjuGoigong for all things in the universe including human being, looking for the universal validity of Jebeop Silsang(the real state of all elements), and also it attaches much importance to practical experience and actuality. The Buddhism has the natural view of the universe which is based on Yeon-gi and Jungdo(The Middle Way or Path) according to the dominating thought for the nature, and so it is basically different from other religions based on the human intelligence. In this respect, the Buddhism is the scientific and universal religion, attaching great importance to the objective truth of all things. Therefor the Buddha-dharma can be thought as the philosophy of the universe giving rise to a motive for scientific investigation and the philosophy of actual process.

      • KCI우수등재

        天台의 四一과 元曉의 四法

        李起雲(Lee Ki-Woon) 불교학연구회 2005 불교학연구 Vol.11 No.-

        The original meaning of Buddhism from Lotus s?tra is the idea of one Buddha vehicle and the Reality of All Existence. And the organized summary for them in Lotus s?tra was completed by the ambassador, T`ien-ta`i. In his three books, he summarized the meaning of religion about one Buddha vehicle as a connection and he considered the procedures to implement as a practice. That is why the study of T`ien-ta`i has been regarded as a standard to understand Lotus s?tra so far. On the other hand, Wonhyo definedthe main idea of Lotus s?tra as ""The Reality of one Buddha vehicle"" and showed the fundamental principal at『Bubhwajongyeo』. But both of them have each of educational knowledge and comparison to understand the real meaning of the view of one Buddha vehicle. T`ien-ta`i interpreted the essential qualities, the one great work of a Buddha and the attain of Buddha which are the basic Buddhist scriptures as the four “one” which is the agreement of a principle, teaching, acting and a person. And he compared this to the great bullock-cart( in the parable of the burning house). On the other hand, Wonhyo defined the low to be into the attain of Buddha as ""the law to take"" for this part of Buddhist scriptures and classified the person who implements this law as a person who takes the religious law. And also he divided ""the law to take"" into the groups of four dharma which is one vehicle principle, one vehicle teaching, one vehicle reason and one vehicle result and interpreted this as comparing four kinds of horses. Although we might think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great bullock-cart and four kinds of horses, these have the same purpose to interpret the Buddhist scriptures of one Buddha vehicle and the meaning of the Reality of All Existence and also to take these as a practice. Therefore the comparison of these two persons could be an important indicator to understand of the view of one Buddha vehicle from Lotus s?t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