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秦)ㆍ한률(漢律)의 서인(庶人) -서인범칭설(庶人泛稱說)에 대(對)한 비판(批判)-

        林炳德 ( Lim Beong Duk ) 중국사학회 2020 中國史硏究 Vol.0 No.125

        Through the Sui HuDi Qin Bamboo Manuscripts睡虎地秦簡 which was exhibited on late 1970s, we could find out a lot about the characteristic of Qin Dynastics’s slave and a person who have the noble title. From the book, we found about Shi Wu士伍 and also the actual condition of subordinate people which I will talk about on my dissertation. By the legal text of year 2, newly unearthed at Zhangjia-shan, Jiangling江陵張家山漢簡二年律令 we could research about Sui Hu Di Qin Bamboo Manuscrpts 睡虎地秦簡 more precisely. The research was based on Qin legal text秦律. It described about Shi Wu士伍 that they were treated very importantly but by the legal text of year 2二年律令, we could find more about them. Especially, On the legal text of year2 has contents about ShyRen庶人. The legal text of year 2二年律令 call the common people as Gong Zu公卒, Shi Wu士伍 or Shu Ren庶人. Common people did not have noble title. Gong Zu公卒, Shi Wu士伍 and Shu Ren 庶人 were part of common people but they had difference by the law. Shu Ren 庶人people were lower class than Gong Zu公卒 and Shi Wu士伍. On the legal text of year 2 二年律令, it says that there is big difference between Gong Zu公卒, Shi Wu士伍 and Shu Ren庶人. For instance, on the book it mentions about Gong Zu公卒 and Shi Wu士伍 getting Yu Mi 鬻米. ShuRen庶人 had not been offered Yu Mi 鬻米at all. Gong Zu公卒 and Shi Wu士伍 even got Shou Zhang受杖 which is a symbol of power and wealth. Shu Ren 庶人did not get this either. The obvious differences between Gong Zu公卒, Shi Wu士伍 and ShuRen庶人 can also be found in The Bamboo Slips of the Qin Dynasty Collected in Yuelu Academy嶽麓秦簡. Gong Zu公卒 and Shi Wu士伍 may be appointed to LiDian里典 and Fulao父老, but ShyRen庶人 was excluded from the list of candidates for the appointment. From this point of view, even the a man of no title can see that there is a clear difference between the Gong Zu公 卒, Shi Wu士伍 and ShuRen庶人. Except for Qin and Han's legal 秦漢律, no case can be found that nothing is defined as Gong Zu 公卒, Shi Wu士伍 and Shu Ren庶人. In that respect, The Shu Ren庶人 of Qin and Han's legal秦漢律 was clearly different from Shu Ren庶人 of the previous era. The Shu Ren庶人 of Qin and Han's legal秦漢律 is a special name. The Shu Ren庶人 of Qin and Han's legal秦漢律 is hard to grasp by the people's concept. Regardless of the times, the general concept of the Shu Ren庶人 we speak of is closer than a Shi Wu士伍 in Qin and Han's legal秦漢律. Why does Unearthed bamboo slips of Liya里耶秦簡 have the word "Shi Wu士伍" instead of "Shu Ren庶人" in the terms of a universal identity?

      • KCI등재

        하곡 정제두의 인적네트워크

        이남옥(Yi, Nam-ok) 한국양명학회 2018 陽明學 Vol.0 No.49

        霞谷鄭齊斗(1649~1736)는 주자학이 주도하고 있던 조선후기 사회에 양명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을 연구하고 후학을 양성하였다는 점에서 주목되어 왔다. 그 결과 그의 가계를 비롯한 교유관계 조차도 양명학과 관련하여 설명하려는 경향성을 띄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제두의 인적 네트워크에 대해서 살펴보고 양명학적 계보가 형성되는지 검증해보고자 한다. 정제두 이전 가문은 정유성의 현달과 함께 서인 핵심 가문으로 성장하였다. 정제현이 효종의 부마가 된 것은 상징적인 모습이다. 정유성의 장인은 이구함이며, 정창징의 장인은 홍익한이며, 정상징의 장인은 이기조이다. 이때까지만 해도 이 가문은 서인·남인과 혼맥으로 모두 연결된다. 한편 정창징과 정상징의 사위는 대체로 서인-노론으로 분류할 수 있고, 사위들 가운데 이세백과 민진주가 정치적·학문적으로 명성이 높았다. 이때는 노소분당 이전이기 때문에 이 가문은 서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 묘도문자 찬자를 살펴보면 이러한 경향성이 분명히 드러난다. 정유성의 묘도문자는 송시열·정제두·이의현이 찬하였고, 정창징의 묘도 문자는 송시열·김수항이 찬하였으며, 정제현의 묘도문자는 서명응·정제두·이경석·김수항이 찬하였다. 이는 정유성 가문이 노론과 소론을 모두 아우르는 서인 핵심 가문으로 성장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정제두 가계는 정제두의 학문적 위상이 높아지면서 소론 핵심 가문으로 성장하였다. 정제두의 장인은 윤홍거·서한주이며, 정후일의 장인은 이단상·유춘양이며, 정지윤의 장인은 이징성이다. 윤홍거·서한주는 서인이며, 이단상은 서인-노론으로 볼 수 있고, 이징성은 소론이다. 이를 통해 보면 정후일이 혼인할 때까지만 해도 정제두 가계는 노론과 소론을 모두 아우르는 서인 가계였고, 이후 소론화 경향성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이 가계에서 받아들인 사위를 보면 소론화 경향성을 분명히 알 수 있다. 정제두의 사위는 이징성이며, 정후일의 사위는 이광명·이경호·임달호·신대우·이영익이다. 이들은 모두 소론이다. 다만, 이광명·이영익은 이진유 가문의 인물로 준소계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경호는 완소계로 분류할 수 있다. 정제두가 소론의 산림학자로 명성이 높았기 때문에 이후 정제두 가계가 준소계와 완소계를 모두 아우를 수 있는 소론 핵심 가문이 된 것이다. 묘도문자 찬자를 살펴보면 이러한 경향성이 확연히 드러난다. 정상징의 묘도문자는 윤증·정제두가 찬하였고, 정제두의 신도비명은 신대우가 찬하였으며, 정후일의 묘도문자는 윤동도·이충익이 찬하였다. 이 가계의 묘도문자 찬자 역시 모두 소론이며, 윤동도를 제외하고는 모두 인척관계에 있는 인물이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정제두의 인적네트워크는 “서인+남인→서인(노론+소론)→소론(완소+준소)”의 경향성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Hagok Jeong Jedu had been noted for his study of Yangm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a result, his marriage relationship and communion relationship also tend to be explained in relation to the Joseon Yangming school. In this study, I will examine the Jeong Jedu’s human network and verify whether it is related to the Joseon Yangming school. The Jeong Jedu family grew into a Seoin(西人) core family with his grandfather, Jeong Yuseong, becoming the main bureaucrat. And his cousin, Jeong Jehyeon, is the son-in-law of Hyojong(孝宗) a symbolic figure representing the political growth of the family. Jeong Jedu’s big father, Jeong Changjing, was Hong Ikhan’s son in law and Jeong Jedu’s father, Jeong Sangjing, was Yi Gijo’s son in law. Therefore, untill this time, this family was connected to both Seoin and Namin(南人). Sons in law of Jeong Changjing and Jeong Sangjing were generally classified as Seoin-Noron(老論). Among them, Yi Sebaek and Min Jinju were highly reputed politically and acdemically. So, this time, this family can be classified as Seoin. Looking at cemetery writers, this tendecy is evident. Jeong Yuseong’s cemetery was written by Song Siyeol, Jeong Jedu and Yi Uihyeon. And Jeong Changjing’s cemetery was written by Song Siyeol and Kim Suhang. Furthermore Jeong Jehyeon’s cemetery was written by Seo Myeongung, Jeong Jedu, Yi Gryeonseok and Kim Suhang. This was possible because the family grew into a Seoin core family, including Noron and Soron(小論). On the other hand, as the academic status of Jeong Jedu increased, his family had grown up as a Soron core family. Jeong Jedu was a son-in-law of Yun Honggeo and Seo Hanju. And Jeong Huil, Jeong Jedu’s son, was a son-in-law of Yi Dansang and Yu Chunyang. Futhermore Jeong Jiyun, Jeong Jedu’s grandson, was a son-in-law of Yi Jingseong. Yun Honggeo and Seo Hanju were Seoin and Yi Dansang was Seoin-Noron and Yi Jingseon was Soron. Through this, it can be said that Jeong Jedu’s family was a Seoin family to include both Noron and Soron until Jeong Huil was married, but since then this family had become a Soron. This tendency can be seen from the son-in-law of this family. Jeong Jedu’s son-in-law is Yi Jingseong and Jeong Huil’s son-in-law is Yi Gwangmyeong, Yi Gyeongho, Im Dalho, Sin Daeu and Yi Yeongik. They were all Sorons. But Yi Gwangmyeong and Yi Yeongik were a Junso(峻少) and Yi Gyeongho was a Wanso(緩少). Since Jeong Jedu was highly reputed as a scholar of Soron, his family became the Soron core family that could include both Junso and Wanso. Looking at cemetery writers, this tendecy is evident. Jeong Sangjing’s cemetery was written by Yun Jueng, Jeong Jedu. And Jeong Jedu’s cemetery was written by Sin Daeu. Furthermore Jeong Huil’s cemetery was written by Yun Dongdo and Yi Chungik. This family’s cemetery was written by Soron. Except Yoon Dong-do, they were all relatives. To summarize, Jeong Jedu’s human network shows the tendency of “Seoin+Namin→Seoin(Noron+Soron)→Soron(Junso+Wanso)”.

      • KCI등재

        秦 · 漢時代의 士伍와 庶人

        林炳德(Lim Beong-Duk) 중국고중세사학회 2008 중국고중세사연구 Vol.20 No.-

        Through the Sui HuDi Qin Bamboo Manuscripts 睡虎地秦簡 which was exhibited on late 1970s, we could find out a lot about the characteristic of Qin 秦 Dynastics's slave and a person who have the noble title. From the book, we found about Shi Wu士伍 and also the actual condition of subordinate people which I will talk about on my dissertation. The research was based on Qin legal text秦律. It described about Shi Wu 士伍that they were treated very importantly but by the legal text of year 2二年律令, we could find more about them. Especially, On the legal text of year2 has contents about Shy Ren 庶人. Recently, Mr. Joong Hyuk Im 任仲爀defined the Characteristic and the general idea about Shi Wu and Shu Ren that Qin秦 and Han's漢 rank of nobility is "the system that was converged into Shi Wu士伍". However, I felt that we should face this problem from different point of view. Particularly, Mr. Joong Hyuk Im 任仲爀understands the Su Ren 庶人by a part of 'the system' but I think there is a limitation to grasp of characteristic and its transition by his point of view. The legal text of year 2二年律令 call the common people as Gong Zu公卒, Shi Wu士伍 or Shu Ren庶人. Common people did not have noble title. Shi Wu 士伍and Shu Ren 庶人were part of common people but they had difference by the law. Shi Wu 士伍used to live in Li Wu里伍 but they do not have an official post or a noble title. They were just an ordinary adult men who had their name on a family register. Shy Ren 庶人people were lower class than Shi Wu 士伍. From the legal text of year 2 二年律令, we can find many facts that we did not know before such as a regulation about heredity of noble title. People were restricted on giving amount of farm land and house by grade of noble title. A high rank of noble title could have their wealth until second generation or even third generation. However, the amounts of wealth that they had were decreased gradually except of Che Hou徹侯 and Guan Nei Hou 關內侯. Through the generation their rank was demoted to a lower rank and became a Shi Wu士伍. Si Kou司寇 and Yin Guan 隱官people who are the lower than Shi Wu 士伍can ascend their statue to be a Shi Wu士伍 by the second generation. Mr. Sinaichikou 椎名一雄concludes, Shu Ren庶人 does not serve on military service and the corvee. Shu Ren庶人 from Qin and Han'slegal 秦漢律was described as a criminal or slave who got released and deprived their noble title. Mr. Sinaichikou椎名一雄 talks about similarity between Jia Men假門, Ni L?逆旅, Zhui Xu贅壻, Hou Fu後父 and Shu Ren庶人 of Sui Hu Di Qin Bamboo Manuscripts睡虎地秦簡. They can not form a family and they do not have right to have farm lands and houses. They also can not be an employee from anywhere. However, from Qin and Han'slegal秦漢律 it describes that Shu Ren庶人 does get farm lands and houses, and they can even form a family. On the book 'the legal text of year 2 二年律令', only Shu Ren庶人 is not mentioned on the social position which can be a Shi Wu士伍. The legal text of year 2 二年律令 describe that even son of Si Kou司寇 and Yin Guan隱官 who are on lower position than Shu Ren庶人 can be a right to Shi Wu士伍 not Shu Ren庶人. In connection, we should be take notice of the Law of Shu Ren 庶人律 on a farnily law in the legal text of year 2 二年律令 戶律. This law of Shu Ren庶人律 can be analyzed as a law which is only about Shu Ren庶人. From that I think that Shu Ren庶人is just Shu Ren庶人 not Shi Wu 士伍. We can not identify when people become a Shu Ren庶人 or Shi Wu士伍after the deprivation of noble title but from the book Qin and Han's legal秦漢律, if slave or criminal get liberated, they all become a Shu Ren庶人. Qin and Han's legal秦漢律 also describes that if the criminal gets released, they do not become a Shi Wu士伍 which is a common people, but become a Shu Ren庶人 which is a level below than Shi Wu士伍. The similar substance of Shi Wu士伍 from the above is existing on the grave which was founded from west side in Qinshihuang秦始皇. It is written that a person who has noble title is resting there. People were even died because of the hard laboring. There was any chance

      • KCI등재후보

        秦漢簡牘材料中“庶人”身份的自由性芻議

        賈麗英(Jia Liying)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9 동서인문 Vol.0 No.12

        중국 고대 사회형태에 대한 열띤 토론 중 “庶人”은 논쟁이 되는 문제 중 하나이다. 중국 역사 분기 이론을 입증하기 위해 庶人을 노예로 보는 설, 농노로 보는 설, 자유농민으로 보는 설 등 몇 가지 관점이 있다. 선배 역사학자들의 고대 중국 사회형태에 대한 획분에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모두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관점은 先秦시기의 “庶人”을 하나의 신분등급으로 보는 것이다. 예를 들어 童書業은 “서인은 귀족이 아니지만 노예도 아니다. 그들은 노예보다 지위가 비교적 높은 생산노동자이다”라고 하였고, 林甘泉은 문헌자료의 士, 庶人이 종종 병렬되는 것을 지적하며 “庶人은 農夫, 百姓으로 칭해지는데 그 위치는 이미 徒附의 위이다”라고 하였다. 應永深은 “庶人은 하나의 등급 개념으로”, “周代 사회에서 귀족신분이 아니면서 노예가 아닌 사람”으로 보았고, 동시에 庶人은 본래 “등급구분”이 있어 “상층서인과 하층서인”으로 나누어진다고 보았다. 秦漢시대의 “庶人”에 관해서는 사회분기 이론과 직접 상관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20세기 50~60년대의 사학 대토론 중에서 상대적으로 연구가 박약하였다. 이른 시기의 비교적 대표적인 연구자로는 일본의 片倉穰이나 好幷隆司 등이 있다. 후에 수호지진간과 장가산한간 등 간독자료의 출토로 인해 “庶人”과 관련된 토론은 더욱 충분해지게 되었다. 현재까지 한,중,일 학자들의 주요 관점은 아래의 3가지로 나뉜다. 첫째, 庶人의 내원이 범죄인과 노비에 있다고 보는 것으로, 사면 후 평민과 차이가 있어 여전히 依附性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의 임중혁, 임병덕과 중국 曹旅寧이 대표적이다. 둘째, 庶人은 專稱이 아니며 범칭이라는 것으로 백성, 평민 혹은 하층평민으로 번역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본의 片倉穰, 好幷隆司, 독일의 陶安 등이 대표적이다. 셋째, 庶人을 진한시대 신분서열의 중요점으로 보는 것이다. 일본의 富谷至, 椎名一雄 등이 대표적이다. 이상의 토론으로 庶人에 대해 이전보다 더욱 분명한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들은 역사의 발전이 前代의 전승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중국 고대 先秦시기의 “庶人”개념이 필연적으로 秦漢시대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음을 알고 있다. 따라서 진한시대의 庶人을 연구할 때는 마땅히 先秦史의 연구성과를 결합해 보아야 한다. 그밖에 최근에 이어진 嶽麓書院藏秦簡 중의 ≪爲獄等狀四種≫ 및 ≪秦律令≫의 계속된 공개로 庶人에 대한 자료는 이전에 비해 더욱 풍부해졌고 이전의 簡牘자료 또한 새롭게 해석할 수 있게 되었다. 본고에서 우리들은 신분서열의 각도에서 진한시대 庶人의 위치 및 실태를 고찰하고자 한다. Among the heated debates on ancient Chinese social forms, “xuren (庶人)” is one of the contentious issues. There are several points of view, such as the theory of viewing “xuren (庶人)” as a slave to prove the theory of distinguishing Chinese history, the theory of seeing as a serf, and the theory of seeing as a free farmer. There are many theories on the division of ancient Chinese social forms by senior historians, but the view that everyone has in common is to view the “xuren (庶人)” of the former Qin period as a single identity grade. However, with the recent disclosure of “Yuelu (嶽麓) wooden script, data on “xuren (庶人)” has become richer than before, and previous wooden materials data can be interpreted anew.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location and status of the “xuren (庶人)” in the Qin-Han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atus sequence

      • KCI등재

        16-17세기 안동김씨 인풍(印風)의 형성과 전개

        성인근(Sung-in geun) 한국서예학회 2021 서예학연구 Vol.39 No.-

        조선의 전각은 임진왜란 이전 주로 장인의 손에 의해 제작되었고, 16세기를 기점으로 명대풍의 수용으로 문인전각이 비롯되었다고 알려져 왔다. 그러나 조선 중기에 다양하게 나타나는 인장문화가 명대풍의 전래만으로 온전히 설명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이 이 논문을 작성하게 된 배경이다. 이 논문에서는 17세기 서인계와 남인계로 대별되는 김상헌과 허목 전각의 연원과 지향점을 살펴보고, 주로 서인계 인풍의 성립배경과 특질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전서에서 철저한 소원주의를 표방한 미수와 달리 당시 연구ㆍ출간된 ‘전서 38체’ 관련 서적의 보급이 서인계 전서와 인장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파악하고, 전서 관련 서적들의 출간과 당대인들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또한 안동김씨 가문에서의 전승양상을 비롯하여, 다른 문중에서의 수용과 확산양상까지 확인하여 동시기 두 방향으로 나누어진 인풍의 서예ㆍ전각사적 의미를 재고해보고자 했다. 우선 김상헌을 중심으로 한 서인계의 전각풍을 살피기에 앞서 당시 유행한 ‘전서 38체’란 무엇이었고, 어떠한 자료로 생산 ㆍ 유통되었으며, 특히 서인계를 중심으로 수용 ㆍ 확산되었는지를 살폈다. 이와 달리 남인계에서는 허목을 필두로 한자의 모형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진전해 서인계와 차별화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양자 모두 한자의 초기 모습인 전서를 추종한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전서와 인장에서 나타난 인식을 축약하여 서인 계열은 ‘상고주의(尙古主義)’, 남인 계열은 ‘소원주의(溯源主義)’로 구분하고자 하였다. 필자는 기존 논문에서 미수 허목의 인장 자료를 조사하여 미전에 나타난 전서인식과 인풍의 특질을 기술한 바 있다. 이 글에서는 주로 16-17세기 전각의 다른 한 축인 김상헌을 중심으로 한 서인계열의 인풍과 안동김씨 안에서의 영향관계, 그리고 다른 문중으로의 확산 양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김상헌 중심의 서인계열 인풍에서는 우선 ‘전서 38체’의 적극적인 수용과 전각에서의 다양한 시도를 눈여겨보았다. 이를 크게 ‘자체(字體)의 특징’과 ‘장법(章法) ㆍ 양식(樣式)의 특징’으로 분류하였고, 세대별, 인물별, 문중별 수용과 계승양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据悉,朝鲜的篆刻在壬辰倭乱前主要由匠人制作,以16世纪为起点,因明代风格的收容,由文人篆刻组成。但是,关于朝鲜中期出现的各种印章文化能否仅以明代风格的传入完整地说明的问题,是撰写这篇论文的背景。 本论文考察17世纪西人系和南人界的金尚宪和许穆篆刻的渊源和指向点,主要就西人系印风的成立背景和特质进行论议。与篆书中彻底的遡源主旨的眉篆不同,当时研究、出版的38体篆书籍的普及对西人系篆书和印章产生了决定性影响,希望观察篆书相关书籍的出版和上代人的反应。 确认38体的收容和对西人系的影响,正式确认始于金尚容、尚宪兄弟的西人系列印风的特质。 另外,包括安东金氏家族的传承面貌在内,扩大在其他门中的收容范围,希望重新思考同时期分为两个方向的印风的书艺、篆刻史的意义。 笔者曾在现有的论文中调查许穆的印章资料,记述了眉刻上出现的篆书认识和印风的特质。 本文主要以16-17世纪篆刻的另一个轴心金尚宪为中心,确认西人系列的印风和安东金氏内部的影响关系,以及扩大到其他门中的扩散相。在金尚宪为中心的西人系列印风中,首先关注了 38体篆书 的积极采用和篆刻上的各种尝试。大体上将其归类为 字体特征 和 章法、样式 的特征,以确认各代、人物别、门中的收容和继承形态。

      • KCI등재

        조선후기 단성지역 西人세력의 형성과 활동 -안동권씨 愚川派와 성주이씨 忠義衛・東谷公派를 중심으로-

        채광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1 민족문화논총 Vol.79 No.-

        이 글은 경상우도 남명학파의 서인화를 단성지역을 통해 우도 서인세력의 형성과정과 활동을 검토한 것이다. 첫째, 경상우도 서인 세력 범주를 기호학자에게 급문한 문인현황을 위주로 파악한 결과 134명이 조사가 되었다. 지역별로는 삼가, 단성, 진주, 의령, 함안 등 서부 경남 일원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 글에서 주목한 단성의 서인은 안동 권씨 우천파와 성주이씨 忠義衛・東谷公派가 중심이었다. 둘째, 안동권씨는 7명의 서인계 문인을 배출한 계열은 권극유를 파조로 하는 우천파이다. 전형적인 남명학에 뿌리를 둔 가문이었으나 西論을 표방한 계기는 친서인적 가풍, 교유인사, 남명집 훼판 사건이었다. 아들 대부터 서인계 활동이 두드러졌다. 셋째, 성주이씨는 충의위공파와 동곡공파 2갈래에서 각 4명과 1명씩 서인 계 문인이 나왔다. 특히 후자는 정치 위기를 서인계 중앙관료의 도움을 받은 것을 시점으로 명확히 서인화가 되었다. 양 가문에서는 문인 외에도 기호학자에게 수령한 문자들이 서인계를 지향한 가문의 정체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지역 노론계 두 가계가 연대해 주자와 송시열을 제향한 문중 원사 신안영당은 경상우도 지역의 서인계 서원 직제, 강규, 경제적 기반, 내방자 등 상세한 면모를 파악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곳이다.

      • KCI등재

        秦漢 법제상의 「刑盡者」ㆍ「免隸臣妾」과 公卒ㆍ士伍ㆍ庶人

        박건주 한국중국학회 2008 중국학보 Vol.58 No.-

        本論文通過新發掘的≪秦簡≫來探討“刑盡者”、 “免隸臣妾”的法制上的身份定位以及作爲同類無爵位者的公卒、 士伍、 庶人之間的身份區别。 本文根据在≪漢官舊儀≫中的免老规定所提出的“有罪, 各盡其刑”, 把≪二年律令≫具律中所指的“刑盡者”看作有關免老的事项, 認爲其意指的是刑徒達到了一定的年齡可以免除其使役。 在≪二年律令≫傅律中有各爵位的免老年齡的规定, 從中可以看出無爵位的公卒以下的免老年齡是66歲, 这可以適用于庶人和刑徒。 即使是罪人, 也很難使66歲以上的老人從事勞役。 總而言之, 刑徒的使役的上限年齡是66歲。 盡管66歲以上的罪人可以免除使役, 但是依然也是罪人。 因此, 針對这些人在法律上与其他普通人不同的稱謂, 叫做“刑盡者”和“城旦舂盡”。 他们不是“服满一定的服役期限”罪人, 而是“正處于罪人身份的”免老者。 另外, “免隸臣妾”所指的很可能是“在隸臣妾中被免者”. 或者指“在城旦舂、 鬼薪、 白粲中被贖免的隸臣妾”。 隸臣妾有兩種, 一是初次犯法而成为(耐)隸臣妾者, 二是在城旦舂、 鬼薪、 白粲中被贖免, 或者被减刑的隸臣妾者。 如果, “免隸臣妾”看作“在隸臣妾中被免者”, 则無法理解在秦律中有關“免隸臣妾”和“隸臣妾”一起要服役築墙勞动的规定。 而且, 刑徒也有免老(66歲)的规定, 所以不能把服役勞動的“免隸臣妾”看作達到免老年齡而免除勞役的隸臣妾。 總之, “免隸臣妾”指的是“在城旦舂、 鬼薪、 白粲中被贖免的隸臣妾”, 而還没達到免老年齡者。 關于無爵位的公卒、 士伍、 庶人三者之間的區分問題, 以「比地爲伍」、閭左、復除之方面探討, 提示新解。 公卒是從不更(四等爵位)到上造(二等爵位)的子弟(長子和餘子), 所以它不同于包含有犯罪經歷者的士伍。 公卒與士伍相比, 公卒的身份相當于良家的子弟。 在漢代把良家的子弟任用为宫城的衛士, 由此可以推断在秦朝时期也把良人的子弟充當公卒, 很可能把公卒配置于親衛隊直属兵卒中(不是士, 是徒卒)。 颜師古把士伍解释爲“言從士卒爲伍”, “與士卒爲伍, 故稱士伍”, 这意味着“與士卒一起编制爲伍”, 并非意味着士伍就等于士卒, 其伍也是在居住地的伍。 來看居住地的伍的编制, 從五大夫(九等爵)到士伍一起编入为伍, 把士伍稱为“與(其上位的)士卒一起编制爲伍者”的原因是, 因爲還有未编入上述“伍”的民, 它们就是庶人。 士伍和公卒一起從军, 公士指揮他們, 公士的軍職是“操徒”, “操徒”的職责就是指揮士伍和公卒。 庶人是在其地位之上的身份者中犯了罪後而成爲免庶人。 同時處在刑徒和奴婢身份的人被贖免之後, 成爲庶人。 庶人是作爲無爵位者, 并较多爲貧弱、 受肉刑者, 還免于賦税和其它服役(一部分的女庶人)、 或者“適戍的役”優惠的階層。 庶人多居住在閭左。 林炳德教授主張庶人的由來可以看作≪商君书≫的庶人, 本文接受他的觀点, 并對此論術進行的進一步的探討。 庶人在居住地每個月六天一定要服侍有爵位者, 因此不可能在一年内離開居住地而去服“適戍的役”, 所以很可能使庶人被免“適戍的役”。 隐官也可能居住在閭左。 庶人不是罪人或者奴婢, 而是處在貧困的状况, 并且未能從以前的陰影中脱離出來的人。 因此雖然是同樣的無爵位者, 庶人跟公卒、 士伍相比還處于更卑賤的地位, 并且處在跟他們無法“比地为伍”的階層。 總之, 庶人雖然是自由人, 但在經濟、 身体、 環境上,...

      • KCI등재

        숙종대 왕실여성들의 정치적 행보와 역할

        이미선 조선시대사학회 2020 朝鮮時代史學報 Vol.- No.93

        This is a study of the political behaviors and roles of Queen Inhyeon(仁顯王后, 1667~1701), the royal concubine lady Yeongbin Kim(寧嬪金氏, 1669~ 1735), the royal concubine lady Heebin Jang(禧嬪張氏, 1659~1701), and the royal concubine lady Sookbin Choi(淑嬪崔氏, 1670~1718), the royal consorts of King Sukjong(肅宗, 1674.8~1720.6) in the later Choseon Dynasty. There occurred three main political upheavals and an innocent death affair in their lives. The political activities of these women were considered. Queen Inhyeon and lady Yeungbin, came from distinguished families of Seoin(西人) party. They were selected with the goal of not losing the royal marriage of the Seoin party, who came up shortly after the Injo revolution(仁祖反正) in 1623. They cooperated with the Seoin party during the political upheavals against Namin(南人) party to provide the informations in the palace or the sympathy of King Sukjong. In addition,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plans of the Seoin party to suppress the other side. The two women’s scheme movements in the political situation were aimed at protecting their identity and preserving the family’s position. These were done for their families, the Yeuheung Min’s(驪興閔氏) and the Andong Kim’s(安東金氏). Thus, the political behavior of the two women appeared rather indifferent and passive. Lady Heebin and lady Sookbin, originally were lower court ladies, had the poor family backgrounds. Heebin Jang came from a family of low officials worked as a Chinese interpreter and connected with Namin party. Lady Sookbin Choi also came from a low warrior family, but connected with the major party of Seoin. Heebin, as an assistant of King Sukjong helped the king to promote a big political upheaval in 1689, in which the king expelled Queen Inhyeon and lady Youngbin from the palace and to bring herself as a new queen and her son as a crown prince. In the upheaval the Seoin party was removed from the government, and Namin party took the power. After five years another political upheaval was occurred, in which lady Sukbin operated to reinstate the Queen Inhyeon and Yeongbin to their original position, and expelled lady Heebin from the position of the queen. In the upheaval the Namin party lost the government and the opposite Seoin party restored the power again. Lady Heebin disintegrated the Seoin party regime only for a while, but Sookbin could collapsed the Namin party to dismantle their political base eternally. The two political upheavals caused by lady Heebin and lady Sookbin moved to fulfill their dreams rather than the prosperity of their humble families, to improve their own status and secure their sons to be kings in the future. Their efforts were successful anyway. Heebin, with the power of Namin party, could expel Queen Inhyeon and sat herself in the queen’s seat. And Sookbin with the power of the Seoin party also could reinstate Queen Inhyeon and expelled Heebin and drove her to the innocent death. As such, the political actions of lady Heebin Jang and lady Sookbin Choi were both active and unyielding. 이 연구는 조선 숙종 때의 왕실여성인 인현왕후 민씨, 영빈 김씨, 희빈 장씨, 숙빈 최씨 등이 정국 변동에서 보여준 정치적 행보와 역할을 살펴본 연구이다. 그녀들의 생애 가운데에 세 차례의 정국 변동과 巫蠱의 옥사가 일어났다. 이 사건들을 중심으로 그 여성들의 정치적 활동을 고찰해 보았다. 서인 출신 왕비 인현왕후와 간택후궁 영빈은 대표적인 명문가 집안의 여성이었다. 그녀들은 인조반정 직후에 내세운 서인들의 ‘왕실 혼인을 잃지 않는다’는 목표 하에 선발되었고, ‘정국 변동’ 시기에 서인 당파에 협조하여 궁궐 안의 동향이나 국왕 숙종의 동정을 서인 세력에 제공해 주었다. 또한 남인 세력을 누르기 위한 서인들의 계획에 적극적으로 동참했다. 두 여성이 정국 변동에서 보여준 정탐 행보는 자신들의 신변을 보호하고 가문의 위세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것은 각기 친정인 여흥 민씨 가문과 안동 김씨 가문을 위한 일이었다. 그래서 두 여성의 정치적 행보는 소극적이고도 수동적인 모습으로 나타났다. 궁관 출신인 희빈과 숙빈의 집안은 미천하였다. 희빈 장씨는 역관 출신 집안의 중인층 여성으로, 남인 당파와 연결되었고, 숙빈 최씨는 서인 당파와 연결되었다. 보통 ‘기사환국’이라 불리는 정국 변동 사건에서 희빈은 국왕 숙종의 조력자로서, 비대해진 서인 세력을 제거하고 자기 당파인 남인이 정권을 잡도록 협조했다. 반면 ‘갑술환국’이라는 정국 변동 사건과 ‘무고의 옥사’에서 숙빈은 궁궐에서 추방되었던 인현왕후와 영빈을 복위시키고, 희빈과 남인 당파 세력을 축출하였으며 서인 당파의 정권을 회복시켰다. 희빈은 서인 당파의 정권을 한동안 와해시켰고, 숙빈은 남인 당파 정권을 붕괴시켰을 뿐만 아니라, 그 정치적 기반을 해체시켰다. 희빈 장씨와 숙빈 최씨의 정치적 행보는 미천한 가문의 융성보다는 자신들의 꿈을 이루기 위해 움직였는데, 그녀 자신의 신분 향상과 아들의 지위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녀들의 노력은 성공적이었다. 희빈 장씨는 남인 당파의 힘을 빌려 인현왕후를 왕비 자리에서 축출하고 그 자신이 왕비 자리에 앉았다. 숙빈 최씨는 서인 당파의 힘을 빌려 인현왕후를 복위시키고 희빈 장씨를 왕비 자리에서 축출하였다가 죽음으로 내몰았다. 이와 같이 희빈 장씨와 숙빈 최씨의 정치적 행보는 적극적이고 강인한 모습이었다.

      • KCI등재

        “호모 루덴스”의 탈식민주의 : 서인도 식민지의 크리켓과 카니발 문화

        하영준 이주사학회 2020 Homo Migrans Vol.22 No.-

        이 연구는 서인도 출신의 흑인급진주의 지식인, C. L. R. 제임스의 크리켓 및 카니발과 관련된 저작을 검토하여 서인도 대중문화가 식민주의와 맺었던 다층적이고 다양한 양상 드러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아마추어 크리켓 선수로서 활동했었고 혁명가의 곤궁한 생계를 크리켓 전문기자로서 버텨야 했던 제임스는 자기 경험을 바탕으로 대중문화를 서인도 식민지의 정치적 갈등과 관련된 중요한 문화적 실천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서인도 대중문화가 식민지의 인종적ㆍ계급적 권력 관계가 문화적으로 재생산되는 곳인 동시에 전복되거나 새롭게 재구성될 수 있는 투쟁의 장이었다. 또한, 제임스는 1940년대에 고대 그리스와 프랑스 혁명기, 그리고 동시대 미국 사회의 문화 연구를 통해서 대중문화의 발전이 민주주의의 확장과 맺는 밀접한 관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얻게 되었다. 그는 이를 바탕으로 크리켓과 카니발 둘 다에서 반식민주의ㆍ반인종주의적 저항의 가능성을 보게 되었다. 그러나 카니발과 크리켓은 그 계급적 토대와 문화적 기원에서 서로 달랐다. 크리켓은 영국에서 기원했다면 카니발은 프랑스와 아프리카에서 유래했다. 흑인 중간계급이 문화적 헤게모니가 주도한 크리켓 문화와는 달리, 트리니다드 카니발은 자기 조직화를 통한 독립된 대중의 자기활동이라는 민주적 차원을 가졌다. 제임스는 크리켓과 카니발의 서인도적 전유가 식민주의와 인종주의의 지배적 규범과 가치들에 도전할 뿐만 아니라, 인종적ㆍ문화적 이질성을 가진 서인도 제도에서 서인도 연방을 창출하고 유연하고 개방적인 국민 정체성을 창출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다고 믿었다. 따라서 제임스의 저작을 검토하는 것은 식민지 대중문화를 통해서 영국령 서인도 사회의 식민화와 탈식민화의 문제를 순응과 저항의 다층성과, 그리고 저항의 다양한 형태에서 검토할 중요한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writings on cricket and carnival of black radical, C. L. R. James from Trinidad and Tobago, and to reveal the multi-layered relationship that popular culture had with the colonial politics in the British West Indies. James was able to recognize mass sports as important cultural practices that were associated with political conflicts in colonies, because of his experiences as an amateur cricket player in the British West Indies and a cricket journalist in order to make a living for his revolutionary activities in the UK. Mass sports were the arena where power relations of race and class could be culturally reproduced and, at the same time, overthrown or newly reconstructed. He also gained a new perception of a close relation between the development of popular culture and the expansion of democracy through cultural studies of Ancient Greece,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American society in the 1940s. Based on the perceptions of popular culture, James could saw cultural resistance to colonialism and racism in both crickets and carnivals in the British West Indies. But, on the other hand. they we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on their basis of class and cultural origins. Trinidad cricket originate in England, while Trinidad carnival originated in France and Africa. It was different in that Trinadad Carnival had a democratic form of self-activity and self-organizations of masses of the people, unlike Trinidad cricket culture led by the black middle class. James believed that cricket and carnival could not only challenge cultural assumptions of colonialism and racism, but also contribute to creating a newly unified nation and an independent West Indies Federation in the West Indies archipelago with territorial fragmentation and with the complex racial and cultural variables. through their creolization ( West Indian's cultural appropriation of them). Therefore, studying James' works on cricket and carnival provides an important opportunity for new understanding of colonization and decolonization in British West Indies society through mass sport and festival culture.

      • KCI등재

        자기항변의 소설쓰기: <염승전(廉丞傳)>

        박상석 열상고전연구회 2012 열상고전연구 Vol.36 No.-

        <염승전(廉丞傳)>은 겸인(傔人) 염시탁(廉時度)을 입전 대상으로 하여 재물에 대한 청렴과 주인에 대한 충성 등 그가 지닌 미덕을 그려 보이고 있는 한문 작품이다. 이 작품은 여느 전(傳)처럼 입전 대상에 대한 선양을 표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염시탁이 실존인물인지 확인된 바가 없으며, 작품 속 그의 행적은 비현실성이 매우 강하다는 점이다. 즉 그는 허구의 인물, 혹은 허구적 인물이다. 그렇다면 <염승전>은 다만 그러한 허구의 인물, 혹은 허구적 인물을 선양하는 희작(戱作)일 뿐인가 하는 의문이 생긴다. <염승전>의 작자 김경천(金敬天) 자신이 작품 속 염시탁과 마찬가지로 평생을 겸인으로 산 인물이라는 점이 이 같은 의문을 해결할 결정적 단서이다. 신분제 사회를 살았던 김경천에게 ‘겸인’은 그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절대적 요소였다. 김경천은 곧 겸인으로서의 김경천이었다. 이렇게 본다면 그는 <염승전>을 통해 자기의 동류(同類)인 겸인 일반을 선양하고, 나아가 자기 자신을 선양하려고 했던 것이다. <염승전>은 소설을 통해 자기를 선양하거나 자기의 정치적․사회적 태도를 옹호한 일련의 작품들과 함께, 자기항변(自己抗辯)의 소설이었다. 작품 속에서 염시탁의 상전은 남인(南人)의 영수였던 허적(許積)이다. 그는 서자의 역모로 인해 죽임을 당하고 그로 인해 남인이 정계에서 축출당하는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을 초래한 문제적 인물이다. <염승전>에서 염시탁은 죽음을 기다리는 허적을 홀로 끝까지 지킨다. 허적은 주인에 대한 염시탁의 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작품에 요청된 인물이다. 그러나 <염승전>의 목적은 염시탁을 선양하고 이를 통해 작자의 동류와 작자 자신을 선양하는 데에 있었기 때문에 허적이 지닌 문제성은 회피했다. 그래서 <염승전>은 현실에서 허적을 죽음으로 몰아가고 서인(西人) 편에 서서 남인을 축출하는 데 힘쓴 김석주(金錫冑)마저 염시탁을 도와주는 의로운 인물로 설정하며 허적과 조화롭게 공존하도록 했다. <염승전>은 후에 이본(異本), 개작 소설, 개작 야담 등의 파생 작품을 양산했다. 그런데 후대의 향유자들에게 원작 속의 허적․김석주는 결코 회피될 수 없는 문제였다. 그래서 남인이 주로 관여한 이본, 개작 소설에서는 허적의 의로운 인물 형상이 보존되거나 강화되었다. 반면 서인이 주로 관여한 개작 야담에서는 김석주의 의로운 인물 형상이 강화되거나 역으로 허적의 인물됨이 폄하되었다. 이렇게 <염승전>의 파생 작품은 남인․서인이 주도하는 집단적 자기항변의 장(場)이 되었다. 텍스트 뒤에서의 이면적 말하기, 향유 집단의 이해를 반영한 텍스트의 전복, 한 텍스트를 둘러싼 향유 집단 간의 투쟁. <염승전>은 ‘자기항변의 소설쓰기’란 관점에서 분석할 때 이 모든 양상들을 보여 주는 흥미로운 작품이다. <Yeom-seung-jeon(廉丞傳)> is a novel written by Chinese in Korea. It enhances the hero, Yeom-si-tak(廉時度), who is a 'gyeom-in'(傔人, a kind of secretary for the nobility). But it isn't certain that 廉時度 was a man in existence, and the doings of him in the work isn't realistic. Then was the work just aimed at enhancing a man of fiction? The point is that the writer was a 傔人 as the 廉時度. In the hierarchy society '傔人' was a definite factor that fixed the identity of the writer. The intention of the writer was to enhance the fellow of 傔人, and ultimately enhance himself by the work. In the work the master of 廉時度 is Huh-Jeok(許積), who was really a leader of nam-in(南人, a political part of Joseon's dynasty). 廉時度 kept 許積 by oneself to the end, when he was to die by the political attack of seo-in(西人, also a political part of Joseon's dynasty). 許積 is a character requested for maximizing the royalty of 廉時度. But as the main concern of the work was to enhancing 廉時度, 金錫冑 who drove 許積 to death on the side of 西人 is also described as a good man who helped 廉時度. It was a device to keep away political dispute. later <廉丞傳> was copied and was revised to another novel or ya-dam(野談, a written tale). By the way, to the later reader '許積' and '金錫冑' was characters who couldn't be kept away. So in the copied works and revised novels which mainly accomplished by 南人, 許積's goodness have been kept or reinforced. The other side in the various 野談 which mainly accomplished by 西人, 許積's goodness have been weakened or 金錫冑's goodness have been reinforced. Like these <廉丞傳> and the group of following works of it was for the self-enhancing in the individual or the political group asp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