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과 가치교육의 방법과 전략 -가치교육 방법의 종합적 활용을 중심으로-

        강대현 ( Dae Hyun Kang ),설규주 ( Kyu Joo Seol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4 시민교육연구 Vol.46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교과 수업에서 가치교육의 다양한 접근법을 종합적으로 활용하는 것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확인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사회과 가치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주요 방법의 특징과 다른 접근법과의 관계 등을 분석하고 종합적 활용 전략을 모색하였다. 그동안 사회과에서는 전통적 가치교육 방법을 비판하면서 등장한 인지 중심의 가치탐구 논의와 그에 대한 비판 및 대안으로 제시된 정서와 행동을 강조하는 가치교육 논의가 경쟁해 왔다. 그런데 사회과의 다양한 가치교육 방법들은 인지, 정서, 행동 등의 측면에서 각기중시하는 바가 다르고, 철학적·이론적 전제나 패러다임 등에서도 적지 않은 차이를 지닌다. 그러나 동시에 각각의 방법은 의의와 더불어 한계를 지니고 있고 다른 방법을 통해서 이러한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통합 및 종합 필요성도 제기되어 왔다. 그래서 기존 논의에서도 여러 모형을 종합한 통합 모형 논의가 있어 왔고 학교생활 전반에 걸친 종합적 활용 주장도 있었다. 그러나 교과 수업 측면에서 여러 방법을 종합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논의는 없었다. 이에 연구자들은 사회과 수업에서 다양한 가치교육 방법이 함께 사용되어야 함과 사용될 수 있음을 가치 교육의 내용 및 양상과 효과 측면의 논의를 통해서 주장하였다. 이는 가치 교육의 다양한 방법들을 아우르는 새로운 통합 모형을 만들거나 각 방법들을 단지 병렬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수업 내용, 학습자의 상황 등을 고려하여 기존 방법들을 수업의 여러 국면에 적절한 흐름으로 배치하여 각 방법을 종합적으로 활용하는 방식으로 나타날 수있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과 수업에서 정서-인지-행동 중심의 접근법을 종합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하나의 사례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synthesizing various methods of value education in social studies classroo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research trends of value education in the USA and Korea,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its methods. The study finds that there are two competing traditional trends both in the USA and Korea. One is the trend of value inquiry which criticizes traditional methods of value education, and the other is the trend that emphasizes emotion and behavior a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methods. Methods of each trend make different contributions to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aspects of value education. They also differ in philosophical and theoretical premises, paradigm, substance and pattern etc. In spite of all the differences, methods of each trend are required to be used together in social studies classroom, and it is judged to be possible. It does not mean producing a new comprehensive model or just using existing methods in parallel without any pattern. It means adopting different existing methods in different classroom situations, maximizing their strengths. This study suggests a method of stimulating emotion, cognition, and behavior in order as an example of synthetic method of value education.

      • KCI등재

        예비 국어 교사의 종합적 사고력 분석 및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

        김진희 ( Kim Jin-hee ) 배달말학회 2017 배달말 Vol.61 No.-

        교사를 양성하는 사범대학에서는 최근 초·중등교육에서 주목하는 ‘역량 중심 교육’의 패러다임에 따라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교과 핵심역량을 길러 주어야 할 책무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국어 교과 역량 중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에 주목하여, 경남권에 위치한 K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학생인 예비 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핵심역량 중 종합적 사고력을 진단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예비 국어 교사의 종합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방향을 제안하였다. K대학의 예비 국어 교사는 종합적 사고력 분석 결과, 평가적 능력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비수도권 대학생과 비교해 볼 때, 사고력 점수가 높지만, 수도권 대학생에 비해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 제안하는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육과정이 국어 교과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재구조화되어야 한다. 둘째,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의 교육목표에 대한 성취도 진단과 평가가 주기적으로 실행되어야 한다. 셋째,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의 교육 목표인 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넷째,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의 교양과목에서 ‘사고력’과 관련한 교양 강좌를 늘릴 필요가 있다. Recently, in accordance with the paradigm of 'competence-centered education' that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education focuses on, there is an obligation to raise core competencies in curriculum for preliminary Korean teachers in teachers’college. Therefore, this paper focused on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skills' among Korean curriculum competencies and targeting preliminary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are study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eachers’ college of K University located in Kyungsangnamdo Province, diagnosed integrative thinking skills among core competenc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ult, it explored implications to improv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which can contribute to the integrative thinking skills of preliminary Korean language teachers. Analysis of the preliminary Korean language teachers of K university, evaluative ability was the highest in integrative thinking skills. Compared with university students in non-metropolitan areas, they had higher scores of thinking skills but compared to university students in metropolitan areas, they had lower score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following implications of improv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were deduced.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enhance thinking skill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Seco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ystem that can manage the level of thinking skills for oneself by regularly diagnosing the thinking power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and analyzing the changing patterns and trends of thinking skills. Third, in the liberal arts course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department of teachers’ college, there should be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xpansion of classes related to 'thinking skills'.

      • 팝업북 조형활동을 위한 통합 미술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7-9세를 중심으로)

        이승춘,오미숙 한국아동미술학회 2015 아동미술교육 Vol.14 No.-

        본 연구는 최근 새로운 미술교육의 방향의 변화에 맞게 하나의 장르로 팝업북 조형활동을 통 합교육에 접목하여 시도하여 보았다. 본 연구는 통합교육에서 팝업북 조형활동 수업을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통합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종합적인 사고력과 조화로운 발달을 도모 하는 통합교육을 제안하는데 목적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내용과 방 법은 다음과 같다. 제Ⅰ장에서는 팝업북 조형활동을 통해 통합의 필요성과 목적을 설정한다. 제Ⅱ장에서는 통합교육의 의미와 필요성과 통합과정의 교육적 기능, 미술활동을 통한 통합교 육 그리고 미술교육의 아동발달 단계별 특성인 일반적인 아동의 특성과 도식기의 아동발달 및 특성, 팝업북의 개념과 역사, 제작과정과 교육적 효과와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여 알아본다. 제Ⅲ장에서는 팝업북의 표현기법의 이해하며 분류하고 이론적인 기법에 대해서 알아보고 설 명한다. 제Ⅳ장에서는 영역별 통합적 교육으로 ‘팝업북 조형활동을 위한 통합미술’ 프로그램을 효율적인 학습지도방안으로 제시한다. 제Ⅴ장에서는 종합적인 내용들을 바탕으로 정리하고 결 론을 기술한다. 본 연구는 7-9세 아동들을 대상으로 팝업북 조형 활동을 통합교육의 효율적인 활용도를 높이려고 하였다. 팝업북 조형 활동을 통해 아동의 호기심과 탐구심을 충족시킬 수 있는 미술 표현기법을 응용하여 통합교육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Thus, this study made an attempt, in keeping with the change in direction of the new art education lately, to graft pop-up book formative activity, as a genre, onto the integrated education. This study aimed at finding a way that could apply the pop-up book formative activity class to the integrated education, and at suggesting integrated education that could develop emotion and intelligence through the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and promote comprehensive thinking skills and harmonious development.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to attain these research purposes: Chapter I sets up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integration through the pop-up book formative activity. Chapter II studies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the integrated education, educational functions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the integrated education through art activity, concepts and history of the pop-up book, integrated education through the making process and educational effects and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pop-up book .Chapter, investigate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ge of children development in the art education, and studies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children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schematic stage. Chapter III understands and classifies the expressive technique of the pop-up book, and examines and explains its theoretical techniques. Chapter IV suggests as the efficient teaching guidance for the integrated education of each field ‘the integrated art program for the pop-up book formative activity.’ Chapter V summarizes based on the overall contents and describes conclusion. This study tried to increase the efficient availability of the pop-up book formative activity in the integrated education, targeting 7-year-olds to 9-year-olds. Pop- up book formative activity enables a variety of expression forms completed such as writing, reading, drawing and making. This study suggested a program that could do the integrated education by applying the art expression technique satisfying children’s curiosity and inquiring mind through this activity.

      • KCI등재

        독일의 상호문화교육정책이 한국 다문화교육정책에 주는 시사점

        김상무(Kim, Sang-Mu)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0 敎育思想硏究 Vol.24 No.3

        한국사회는 1990년대 이후 외국인 이주노동자, 결혼이민자, 북한이탈주민 등의 증가로 점차 다문화사회로 변화해가고 있다. 많이 개선되긴 했지만, 한국사회의 외국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은 여전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한국과 유사하게 동질적 문화전통의 민족주의가 강한 독일의 상호문화교육정책을 살펴보고, 한국 다문화교육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추출하고 있다. 우선 독일의 이주민정책과 그에 따른 상호문화교육정책의 전개과정을 개괄했다. 다음으로 KMK 결정 “학교에서의 상호문화교육(1996)”과 “이주보고서(2002, 2006)”와 BLK의 모델프로그램(FörMig), 연방정부 차원의이주민통합과정, 국가통합계획과 통합지표등 상호문화교육정책을 정리했다. 이어서 한국 다문화교육정책의 현황을 분석하고, 독일 상호문화교육정책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추출했다. 연구 결과 한국의 다문화교육정책을 위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한국 다문화교육의 대상과 목표 정립, 다문화교육 관련 통계 체계화, 유치원과 초등 언어교육연계 체계화, 학교와 지역사회단체나 기관과의 유기적 협력 관계 조직화,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프로그램 실행여부의 학교평가에 포함, 다문화 관련 교사교육 강화. Since 1990s South Korea is gradually chang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foreign workers, marriage immigrants and North Korean refugees. Although the situation is much better than before, th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of South Korean against foreigners still remain.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rcultural education policy in Germany in which the nationalism is strong like Korea and draw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in Korea. First, the development of foreigner policies and intercultural education policy in Germany was summarized. After that the author analysed a resolution and reports of KMK(“intercultural education in schools(1996)” and “immigration report 2002, 2006”) and a modellprogram and intercultural policies of federal government(support for children and youth with the background of immigration(FörMig), integration-course, integration-plan and integration-index). Next, the situ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in South Korea was examined, and then the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them were drawn from intercultural education policies in Germany . The results are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object and aims of munticultural education in South Korea, systematization of statistics related to munticultural education, closer connection of language education i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reorganization of cooperation between school and regional social organization related to munticultural education, inclusion of execu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m into school evaluation, intensification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대만에서의 일본어교육의 변화

        림문현 ( Wen Shian Lin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0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19

        본 연구는 1990년대 전후반을 경계로 해서 학습 등에 관한 동기, 주체, 내용, 방법, 수단, 매체를 관찰하고, 대만에서의 일본어교육이 어떻게 변화해왔는가를 고찰하려는 것이다. 이 고찰에 있어서 실리지향에서 지식지향으로, 언어중시에서 학습자중시로, 분과에서 종합으로, 대면교육에서 원격교육으로 라는 4개의 항목으로 나누어, 동기의 변화, 커리큘럼의 변화, 교수법의 변화를 예로, 필자의 분석, 비판과 경험을 섞어서 논한다. 먼저 대만의 일본어학습자의 학습동기부여는 실리지향에서 지식지향, 도락지향으로 변하고 있다. 이 변화는 구민대학의 일본어교육 커리큘럼이나 시판되는 일본어학습지에는 반영되어있지만 대학의 일본어교육 커리큘럼과 교과서에는 아직 그것이 반영되어있지 않다. 대학에도 그러한 변화가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정보시대에 있어서 학습자중시의 인식을 중요시하고 인터넷 이용도 고려해서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읽는 법, 문법, 발음, 회화 등 분과시키지 않고 종합적으로 가르치는 일도 중요하다. 그 외에 학습자중시라는 관점에서 볼 때 공간과 시간의 제약을 뚫고 학습자가 자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격교육을 보다 활발하고 충실하게 실행해 나갈 필요가 있을 것이다. 本硏究は、およそ1990年代を境に、學習などに關する動機、主體、內容、方法、手段、メディアを觀察し、台灣での日本語敎育がどのように變化してきたかを考察しよう之するものである。この考察に當たって、實利志向から知識志向へ、言語重視から學習者重視へ、分科から綜合へ、對面敎育から遠隔敎育へ之いった四つの項目に分け、動機の變化、カリキュラムの變化、敎え方の變化を例に、筆者の分析、批判之經驗を交えながら論じるこ之にする。1990年代を境に、台灣の日本語學習者の學習動機づけは、實利志向から、知識志向、道樂志向へ之變わってきているのである。そのシフトは、區民大學の日本語敎育のカリキュラムや、市販されている日本語學習雜誌には反映されているが、さて、大學の日本語敎育のカリキュラムや敎科書にもそういうシフトが反映するべきである。また、情報時代において、學習者重視の考えを重視し、インタ一ネットの利用も考慮に入れ、效率のある敎育方法を行う必要があり、讀み方、文法、發音、會話など之分科せずに、綜合的に敎えるこ之も大切である。さらに、學習者重視之いう觀點から見た場合に、空間之時間の制限を打ち破り、學習者が自立的に學習できるようにネットワ一ク利用の遠隔敎育をより活發かつ充實に行っていく必要がある。

      • KCI등재

        학교 성교육에 대한 기독교 교육적 고찰

        변우진 ( Byun Woo Jin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7 성경과신학 Vol.81 No.-

        학교에서의 성교육 논쟁은 성교육이란 무엇인가? 어떤 내용을 가르쳐야 하는가? 누가 어떤 방식으로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은데서 비롯된 것이다. 기독교교육은 이러한 학교 성교육의 의미를 재 정립하고 바람직한 성교육 방향을 모색해야 할 책무를 갖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종합적인(comprehensive) 관점에 따른 학교 성교육의 의미를 되짚어보고 학교 성교육이 안고 있는 제한점들을 분석해봄으로서 기독교적 성교육을 위한 관점을 제언하였다. 먼저 현행 학교 성교육의 제한점으로는 가치중립적인 접근의 문제, 성교육 내용의 적절성 문제, 교사와 교육과정 운영상의 문제를 제기하였다. 다음으로 기독교적 성교육을 위한 관점으로는 성적 존재로서의 인간관, 책임을 수반하는 성 윤리관이 확립되어야 함을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기독교적 성교육 운영방안으로는 첫째, 성교육과정 운영의 목표를 성적 존재로서의 인간성 회복에 두어야 한다. 둘째, 성교육과정 내용 및 방법은 성 문화와 현상에 대한 통찰이 있어야 한다. 셋째, 성교육의 주체는 교회와 가정 그리고 학교가 협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시하였다. 이 논문은 학교 성교육 문제가 지나치게 이데올로기적 대결구도로 치닫는 것을 방지하고 성교육 본래의 의미와 목적에 관심을 갖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아울러 기독교교육이 학교 성교육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과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학문적 가치가 있다. Recent disputes over sex education in school have derived from the lack of discussions about a series of questions including “What is sex education?”, “What content should be taught in sex education?”, and "Who should provide sex education in what methods?" Christian education has its duties of reestablishing the meanings of school sex education and searching for desirable directions for sex education. The investigator, thus, reexamined the meaning of sex education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analyzed the limitations of school sex education, and proposed a perspective for Christian sex education and an operational plan for sex education curriculum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present study first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current school sex education including the issues of value-neutral approaches, appropriateness of sex education content, and teachers and curricular operations. It then introduced a couple of perspectives for Christian sex education including the viewpoint of man as a sexual being and that of sexual ethics to be accompanied by responsibility. Finally, it proposed the following operational plans for Christian sex education: first, the goal of sex education curriculums should be to restore the nature of man as a sexual being; secondly, the content and methods of sex education curriculums should be based on insights into the sex culture and phenomena; and finally, the desir able subjects of sex education include the church, family and school based on their cooperation.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prevent the recent issues of school sex education from heading into an excessive ideological confrontation and help people take interest in the original meaning and purpose of sex education. In addition, it holds its academic value as a study to propose the possibility and directionality of Christian education`s contribution to school sex education.

      • KCI등재

        역사교육에서 '가학기술사' 교육의 의의와 교재 개발의 방향

        장세옥,이명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4 사회과교육 Vol.43 No.1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사 교육을 역사교육에서 접근한다면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음을 고찰하였다. 첫째, 역사적 방법의 특성을 살려 종합적으로 접근함으로써 과학기술사의 내용과 발달과정 및 그 배경과 영향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둘째, 근거에 입각하여 사실을 주장하고 판단하는 역사적 방법과 과학의 본질인 합리성을 통해 시민적 자질의 기초를 육성할 수 있다. 셋째, 과학기술을 삶과 분리된 현상으로서가 아니라 인간생활의 한 양식인 문화로 인식하는 데 유용하다. 넷째, 역사교육의 내용이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측면에서 선정되고 구성되는 종래의 틀에서 벗어나 과학기술의 내용과 발전 과정을 중요한 내용으로 다룸으로서 역사교육의 내용과 소재를 풍부하게 할 수 있다. 다섯째, 과학적 문제의 해결과정과 사고의 발전과정을 추체험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역사적 사고력을 효과적으로 육성할 수 있다. 그리고 역사교육에서 과학기술사 교재 개발은 다음과 같은 방향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함을 고찰하였다. 첫째, 과학기술의 내용과 발전 과정 및 그 영향을 당시의 역사적 배경과 더불어 종합적으로 접근한다. 둘째, 과학의 합리주의적 정신이 과학기술사를 통해 어떻게 실현되며 또 그것이 당시의 사회생활에 어떠한 변화를 초래하였는지를 역사적 사례를 근거로 활용하여 실감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역사적 상황과 현실 속에서 새로운 과학기술의 발명과 문제해결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진행되는지 그 사고의 과정을 추체험할 수 있도록 새로운 과학기술의 내용뿐만 아니라 이를 발명하고 이끌어간 사람들의 삶과 경험 등을 소재로 교재를 개발한다. 넷째, 과학기술사를 통해 역사의 핵심 개념인 '변화와 계속성', '원인과 결과'를 학습하여 궁극적으로 역사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교재를 개발한다. 다섯째, 과학기술을 잘못 사용하여 생긴 인류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간·자연·과학기술이 공존하는 '생태학적 문화관'에 입각한 교재를 개발한다. This survey is to look over The Educational Meaning of Science- Technology History in History Education and The Guideline of Textbook Development, as a process of a textbook research in history education to teach 'Science-Technology History' effectively. Nowadays, Science-Technology History in Secondary class is to list only the events of Science-Technology, so it is difficult to comprehend the overall development of Science-Technology. There was no complete textbook and learning model used in the history class concerning the developmental stages, the contents of change, and the social influences of Science-Technology. In this respect, this survey is focused on the whole comprehension of Science-Technology, by enriching the contents as culture, by reflecting the historical and social changes, and by combining mult7i-discipline. The Education of Science-Technology History can be expected to be most effective in history class than any other class due to its overall comprehension, and can be helpful for growing up the scientific rationality, one of the democratic Qualities. In addition, teaching materials are enriched by adding Science- Technology to culture. The Guideline of Textbook Development is as follows; to comprehend the whole social phenomena related with Science-Technology; to get the experience shared in the past by re-enactment; to comprehend the main concept of history such as 'change and continuity' and 'cause and effect'; and finally to develop the textbook in terms of 'Physiological Culture' to coexist with Science-Technology.

      • KCI등재

        기획논문 : 종합교육으로서의 연극교육과 교육연극

        심상교 ( Sang Gyo Sim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4 한국어문교육 Vol.15 No.-

        2011고시교육과정에서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교육목표는 여러 종류의 학습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창의적 사고를 길러 세계와 소통하는 시민으로서의 자질과 태도를 갖도록 지도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이런 교육목표를 달성하는데 연극수업은 매우 적합하다. 창의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를 배양하면서 다양한 문화적 가치를 수요하는 수업에 연극을 활용하는 것은 아주 적절한 것이다. 연극이 종합예술이기 때문에 그러하다. 연극은 서사와 서정의 특성을 종합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적절한 일이 된다. 이를 위해 연극이 교육에 얼마나 효율적인 면을 보여주는가를 살폈고 수업에 활용하는 방법을 위한 실질적 방법을 제시하였다. 수업 적용과정은 설정단계-토의단계-발표단계-판단단계를 거치는 것이 효과적임을 보였다. 그리고 구성주의적 사고가 교육연극과 어떻게 맞물리며 이런 것이 종합적 학습능력을 배양하는데 어떻게 유용한가도 살폈다. 그리고 각색을 통해 희곡과 연극을 이해하고 나아가 국어교육 전반 그리고 종합적 학습능력을 통해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를 함양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The goal of 2011 Korean Education Curriculum is a synthetic understanding of various kinds of learning and creative thinking that brought the world to communicate the qualities and attitudes of citizens. Education Drama`s goal is well-suited for teaching. Creative thinking, critical thinking and cultural values demand a variety of cultures and classes to take advantage of the play. However, the play is a narrative and lyrical,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 because it is the proper thing to utilize. And through the adaptation and further understanding of drama and theater in general and bilingual education through a comprehensive learning how to foster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have been talking about.

      • KCI등재

        독서교육을 통한 동합 논술교육의 효율적인 방안 연구

        김숙자 한국국어교육학회 2010 새국어교육 Vol.0 No.8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effective strategies and plans of integrated essay-writing through a variety of reading education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s. Education of integrated subjects is positively necessary to achieve an essay-writing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emphasis is placed on improving synthetic thinking ability, logical thinking, and creativity through reading education that is important to process information creatively and develop language abilities in the society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So, this study is to present effective methods to extend synthetic thinking faculty through integrated thinking between various subjects. Also, giving consideration that various fields of reading experiences are a great help to promote synthetic thinking faculty, this study is to execute reading education to proper students and schools and indicate effective methods and strategies of integrated essay-writing education recognizing that reading can integrate subjects through adequate learning strategies in elementary schools. It can contribute to develop integrated essay-writing abilities effectively in elementary schools through appropriate reading education in integrated subjects and 5 stage-project for integrated essay-writing.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다양한 독서 교육활동을 통한 통합 논술의 효과적인 전략과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논술교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통합교과적인 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다. 21세기가 교육개혁의 핵심인 인성과 창의성 교육을 위한 지식정보화 사회 속에서 정보를 창의적으로 가공하고 언어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독서 교육을 통하여 종합적 사고력과 논리력, 창의력을 기르는 데 역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다양한 교과들 간의 통합적인 사고를 통하여 통합적인 논제를 잘 풀어가는 통합 논술력을 신장시키는 데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다양한 분야의 독서경험이 논술에서 통합적 사고력을 향상 시키는 데 큰 몫을 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본 연구자는 초등학교에서 적절한 학습 전략을 세워 독서가 교과를 통합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여 학교와 학생에게 맞는 독서교육을 실시하여 통합논술 교육의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교과에서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알맞은 독서교육의 방향과 통합 논술교육을 위한 5단계 학습전략을 통하여 초등학교에서의 통합 논술능력을 효과적으로 신장시키는데 본 연구가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일본의 공교육 개혁과 학습자 중심 교육의 전개

        이명실 한국일본교육학회 2016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0 No.2

        본 논문에서는 일본에서 전개되었던 공교육 개혁과 공교육 개혁의 대안으로 등장했던 학교 내외의 다양한 교육실천 및 교육운동의 특징에 주목해, 학습자 중심 교육이 갖추어야 할 요소가무엇인지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1980년대 이전에 일본에서 전개되었던 교육개혁의 동향을 개관하면서 그 흐름 및 특징을 살펴보았다. 둘째 1980년대 이후 전개되었던 교육개혁의 특징을 학습지도요령의 변천과정을 통해 살펴보았다. 셋째, 학습지도 요령과 공교육의 대안으로 등장한 교육실천 및 교육운동이 가진 특징을 비교·검토하면서 공교육 개혁의 한계및 새로운 교육실천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검토해 보았다. 최근 회자되는 바람직한 교육의 모습은 학습자의 배움을 키워드로 사회에서 스스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의 함양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장면에서 표방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진정으로 학생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것인지에 관해서는 성급히 단정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본 논문을 통해 일본의 학교 안팎에서 전개된 학습자 중심 교육의 양상과 더불어 최근 공교육개혁을 통해 제시되는 ‘학습자 중심 교육’의 논리가 학습자에게 ‘선택의 자유’를 양도하면서 교육에 대한 국가의 공적 책임을 회피하려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공교육이 마땅히 추구해야 할 바가 무엇인지를 되물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Learner-centered education is a key word in progressive education. In Japan, these qualities of progressive education have been partly adapted as part of the national curriculum under the public education system. On the other hand, many of the qualities of progressive education have also been adapted for instruction improvement, alternative education, and the free school movement against public education. However, just because some of the qualities of progressive education were receiv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it does not mean that the public education system has truly become more learner-centered, or that education for social responsibility and democracy has been developed. This is because that public education continues to emphasize achievement-oriented efficiency. In this paper, I will discuss the following: (a) the history of progressive education in Japan, especially learner-centered education since the Meiji period; (b) the qualiti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new educational movement against the national curriculum since the 1980s; (c) the conditions of true learner-centered education. Through examining these three topics, we can understand the trend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in Japan. We can also understand the differences between a national curriculum under the public education system and new educational practices and mov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