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장은화 한국어문학회 2024 語文學 Vol.- No.163
정도의 의미에서 중요하게 밝혀져야 하는 두 가지인데 하나는 정도의 등급 즉 , 표시하는 정도값이 얼마인가의 문제이고 다른 하나는 정도가 표시되는 대상의 의미 자질이다 정도 표시 한국어 문법 교육 항목이 표시하는 정도값의 측정을 위하여 본 연구는 정도 부사의 등급 체계를 기준으로 하였다 이는 정도를 표시하는 가장 보편적 방식이 정도 부사에 의한 것이며 보통 중급 이상의 고급 단계에서 제시, 되는 정도 표시 한국어 문법 교육 항목은 초급 단계에서 제시되는 정도 부사로 의미 풀이되는 것이 효율적인 교수법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대상의 상태를 표시하는 모든 형용사는 정도가 표시될 수 있지만 모든 형용사가 정도 부사를 포함한 모든 정도를 표시할 수 있는 표현과 의미 호응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형용사의 의미 자질을 주·객관, 긍·부정으로 나누고 여기에 '긍·부정'의 가치면에서 중립이면서 객관 형용사인 척도 반의어를 포함하여 '주관·긍정', '주관·부정', '객관·중립', '객관·긍정', '객관·부정'의 의미와 정도 표시 한국어 문법 교육 항목의 결합 의미 호응 제약을 밝혔다. Two things should be revealed importantly in the meaning of degree. One is the grade of the degree. That is, it concerns how much the degree value represents. The other is the semantic feature of the object whose degree is marked. This study set the grading system of degree adverbs as the standard to measure the degree values marked by the items of Korean grammar education to mark the degree. It is because the most universal way to mark the degree is to use a degree adverb. It is also because it is an efficient teaching method to explain the meanings of the Korean grammar education items to mark the degree at the advanced stage over the intermediate stage with the degree adverbs at the elementary stage. All the adjectives to indicate the state of an object can mark the degree, but not all adjectives have meanings corresponding to all the expressions to indicate the degree including degree adverbs. The present study thus divided the semantic features of adjectives into "subjective and objective" and "positive and negative" and examined correspondence limitations between the meanings of "subjective and positive," "subjective and negative," "objective and neutral," "objective and positive," and "objective and negative" including measure antonyms that were neutral in terms of "positive and negative" value and were objective adjectives and the combined meanings of the Korean grammar education items to indicate the degree.
논문(論文) : 중국어 정도보어의 한국어 대응형식과 한국인 학습자의 정도보어 습득의 상관관계 연구
이은화 ( Eun Hwa Lee ) 중국어문연구회 2011 中國語文論叢 Vol.0 No.51
本文硏究的主要目的在於漢語程度補語與韓國語的對應形式是否會影響到韓國學生學習漢語程度補語的習得,而追究其習得規律。通過硏究以韓國語爲母語的學生的漢語程度補語的習得規律,把硏究結果靈活應用在對他們的漢語敎學上,這樣對他們學習漢語程度補語會有所幇助。首先硏究了漢語程度補語和韓國語的對應形式,帶著這種硏究結果,對韓國漢語學習者習得漢語程度補語的情況進行了調査硏究。通過調査,證明四種漢語程度補語的韓國語對應形式對韓國學生學習漢語程度補語有影響,而且,調査也證明了四種漢語程度補語的韓國語對應形式之間也存在著明顯的差異。因此,對於漢語敎學語法點的排序,不應只考慮漢語語法學語法點的排列,還應考慮語法點本身的難易度、漢語和學習者母語之間差異上的難易度。這樣,語法敎學才能有效地進行,而且學習者也便於掌握漢語語法。我們應該重新排序漢語程度補語敎學順序,而且敎材的編寫要按照這樣的排序順序編排,령外,敎學者還要按照學生習得漢語補語的實際規律進行敎學。
한국인 학습자의 중국어 정도부사 "한(恨)"의 오류 분석
손정애 한국중국언어학회 2010 중국언어연구 Vol.0 No.33
本文以HSK動態作文語料庫中收集到的韓國學生有關"恨"的偏誤爲分析對象, 加以統計, 分析, 試圖조到韓國學生在習得程度副詞"恨"時出現偏誤的原因所在, 倂嘗試提出相應的敎學對策。根据本文分析的結果, 程度副詞"恨"的 有關偏誤可以分爲如下궤類: 第一, 誤加。(1)在比較句, "A比B흔+形溶詞"的形式中出現的(2)在不能受程度副詞修飾的一般動詞前誤加的(3)在狀態形容詞前面或其他表示程度的成分后面誤加的。(4)在名詞的前面以修飾成分山現的。第二,缺漏。(1)光杆形容詞作謂時(2)光杆形容詞作狀態補語詩(3)在一些不能單獨做定的形容詞前。第三, 誤替. (l)在比較句中誤替相對程度副詞"更"或"多" (2) "非常"和"十分的誤用(4)"眞"的誤用(정5)"太"的誤用。通過柯本文的硏究, 我們認爲造成這些偏誤的原因是: (I) 母語的負遷移。由于韓國語的形容詞可以單獨句子的謂語, 漢語和韓國語之間存在這重差異會引起在形容詞語句中句缺漏"恨"的偏誤現象。(2) 過度泛化。漢語中除了"흔"以外, 還有一些程度副詞, 他們在語義和語用上都有相似之礎。 但是, "恨"和這些副詞能구出現的語用環經和語法位置倂不相同。韓國學生 如果不能正確地區分這些程度副詞的用法, 就容易出現問題。(3)敎學誤導。在敎材和課堂敎學實踐中, 對程度副詞"恨"的語法功能、話用持点和他余其他程度之間的差別都不구重視 缺乏詳細和說明, 造成學生對程度副詞"恨"的用法掌握不好, 容易産生偏誤.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이 장애인의 장애수용정도, 대인관계 조직적응능력, 가족의 취업지지 변화에 미치는 영향: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이영주,김시형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5 장애와 고용 Vol.35 No.2
연구문제 또는 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장애수용정도, 대인관계 조직적응능력, 가족의 취업지지 정도의 시간 흐름에 따른 변화궤적을 분석하고,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예측요인으로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장애인고용패널 조사(PSED)의 2차 웨이브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2차(2017년)부터 7차(2022년)까지의 자료를 바탕으로, 장애인 3,3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대상 변수는 장애수용정도, 대인관계 조직적응능력, 가족의 취업지지 정도와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이며, 변화궤적과 그 예측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수용정도, 대인관계 조직적응능력, 가족의 취업지지 정도의 변화궤적은 무변화모형보다 선형변화모형이 더 적합하였다. 둘째, 장애수용정도, 대인관계 조직적응능력, 가족의 취업지지 정도의 초기치에 대한 유의미한 예측요인은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이었다. 셋째, 장애수용정도, 대인관계 조직적응능력, 가족의 취업지지 정도의 선형변화율에서도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이 중요한 예측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결론 또는 시사점: 연구 결과는 장애인의 장애수용정도, 대인관계 조직적응능력, 가족의 취업지지 정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점차 변화하는 경향, 즉 선형적인 변화패턴을 보였으며, 이러한 변화에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 수준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특히, 장애인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을 줄이고 가족의 취업지지를 강화하는 지원 프로그램이 장애수용정도 및 대인관계 조직적응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ajectory of changes over time in disability acceptance, interpersonal organizational adaptability, and family support for employment amo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to explore family economic hardship as a key predictor of these changes. Method: We used data from the second wave of the Panel Survey on Employment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PSED), covering the period from wave 2 (2017) to wave 7 (2022), and included 3,318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e variables analyzed were disability acceptance, interpersonal organizational adaptability, family support for employment, and family economic hardship, and a latent growth model was applied to identify the trajectory of change and its predictors. Results: First, the change trajectories of disability acceptance, interpersonal organizational adjustment, and family support for employment were better fit by the linear change model than the no change model. Second, family economic hardship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initial values of disability acceptance, interpersonal organizational adjustment, and family support for employment. Third, family economic hardship was also a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linear rate of change in disability acceptance, interpersonal organizational adjustment, and family employment suppor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disability acceptance, interpersonal organizational adjustment, and family employment support tend to change gradually over time in a consistent direction, i.e., a linear pattern of change, and that the level of family economic hardship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se changes. In particular, the results suggest that support programs that reduce economic hardship and strengthen family support for employment may have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disability acceptance and interpersonal organizational adjustment.
송홍규(Song, Hong Kyu) 동악어문학회 2016 동악어문학 Vol.69 No.-
본고에서는 정도차 표현을 포함한 비교 구문의 구성을 살피면서, 정도차 표현이 비교 구문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정도차 표현은 비교 대상들이 일정한 특성이나 성질과 관련하여 갖는 정도의 차이를 표현하는 것으로 여겨져 왔지만, 본고에서는 그것이 비교 대상들이 어떠한 속성과 관련된 일정한 기준을 초과하여 갖는 정도의 차이를 표현하는 것임을 보였다. 비교 구문은 일반적으로 동등 비교 구문과 차등 비교 구문으로 나뉘는데, 정도차 표현은 차등 비교 구문과만 쓰일 수 있다. 정도차 표현으로 쓰이는 것은 정도부사와 수량화구가 있는데 이들은 구성에 있어 차이를 보인다. 정도성 서술어가 쓰인 차등 비교 구문에서 우세 차등 비교를 표현하는 ‘더’는 수의적으로 쓰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정도 부사가 정도차 표현으로 쓰이는 경우에 이런 일반화는 유지되지만, 수량화구가 정도차 표현으로 나타나는 경우에는 ‘더’의 쓰임이 의무적이 된다는 점이 논의를 통해 밝혀졌다. 이런 차이는 ‘더’의 쓰임 여부가 차등 비교 구문의 의미 차이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를 검토할 수 있는 바탕이 된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더’가 쓰인 차등 비교 구문에서는 비교되는 두 대상이 정도성 서술어와 관련된 속성을 지녀야 하는 특징을 보이며, 이것이 ‘더’가 쓰이지 않는 구문과 차이를 보이는 점이라고 주장하였다. 본고에서는 ‘보다’에 ‘는’과 ‘더’가 결합한 형태가 쓰인 비교 구문의 의미를 비교 기준 대상의 속성과 관련하여 살핀 연구를 바탕으로, ‘더’가 쓰인 구문과 ‘더’가 쓰이지 않은 구문이 그 의미에서 기본적으로 차이가 없음을 보였다. 본고는 오히려 정도차 표현의 출현 여부가 비교 구문의 의미 차이에 영향을 미침을 관찰하고, 이를 통해 정도차 표현이 정도성 표현과 관련하여 비교 대상들이 갖는 일정한 기준을 넘는 정도의 차이를 표현하는 것임을 주장했다. 아울러 본고에서는 ‘더’의 출현이 두 비교 대상이 정도성 서술어와 관련된 속성을 가짐을 전제하는 것으로 인식하는 모국어 화자의 경향이 정도성 표현이 수량화구로 나타나는 경우 ‘더’의 출현이 의무적인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았다. 일반적으로 우세 차등 비교 구문에서 ‘더’의 출현이 수의적임을 고려할 때, ‘더’가 쓰인 비교 구문의 의미 해석에서 정도차 표현의 존재가 함의되는 방향으로 모국어 화자들의 인식이 굳어져가는 가능성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While examining the formation of comparative construction, this paper investigated how the appearance of the differential expression affects the meaning of comparative construction. Even though it has been assumed that the differential expression is used to express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grees of the compared objects which are measured with respect to the degree represented by gradable predicates, this paper claims that the differential expression is to express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grees of the compared objects which exceed a relevant standard value. The construction expressing the meaning of comparison can be roughly classified into the equative construction and comparative construction, and the differential expression can be used only with the comparative construction. Degree adverbs and measure phrases are used as the differential expression, and they show differences in the formation of comparative construction. It has been known that ‘deo’ being used to form the superior comparatives optionally appears, but this paper revealed that the use of ‘deo’ is obligatory when a measure phrase is used as the differential expression. In a previous research, it is claimed that the comparative construction with ‘deo’ has semantically understood differently from the construction without ‘deo’. However, this paper argued that it is the appearance of differential expression, not the appearance of ‘deo’ that affects the meaning difference of the comparative construction. What is claimed here is that the differential expression express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grees of the compared objects which exceeds the contextually determined standard. Thus, the compared objects are understood as having the property of a gradable expression used in the comparative construction. In addition, this paper pointed out that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appearance of ‘deo’ in the superior comparatives is optional in general, the perceptual propensity of native speakers that the appearance of ‘deo’ presupposes the compared objects having the degrees over the certain standard value seems to show that their perception becomes to be fixed in a way that the appearance of ‘deo’ entails the existence of the differential expression, especially a measure phrase.
『인어대방(隣語大方)』의 부사 연구(1) -정도 부사를 중심으로-
홍사만 ( Sah Man Hong ) 택민국학연구원 2010 국학연구론총 Vol.0 No.5
『隣語大方』은 18-19세기 조선시대에 일본어를 학습하기 위해 편찬한 교재이다. 이 논문은 奎章閣本『隣語大方』에 쓰인 어휘를 분석한 것으로, 일차적으로 정도 부사의 분포와 기능을 다룬 것이다. 당시의 문례를 통해 정도 부사의 용법을 살펴보고, 통사와 의미의 통시적인 추이상을 추구하려고 했다. 자료에 나오는 정도 부사는 대체로 {□장}, {하}, {만히}, {아조}, {대단이}, {너모}, {□오}, {극히}, {죠금} 등인데, 현대 국어의 그것과는 수적으로 매우 적다. 이는 당시 정도 부사의 어휘 분화가 매우 제한적이었다는 사실과 이 자료의 분량적인 제약으로 말미암은 것으로 판단된다. 정도 부사의 한정을 받는 피한정어의 양태를 분석하고, 각기 정도 부사에 대응하는 일본어의 부사들을 비교함으로써 그 의미 기능과 강의 정도를 귀납적으로 설명했다. 정도 부사의 한정을 받는 말로는 현대 국어처럼 형용사가 주류를 이루는데, 그 외에도 상태 부사와 부사절(구), 그리고 동사가 되기도 했다. 이들의 공통되는 의미 특성은 [+상태]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양국어 정도 부사의 대응 관계에서 상호 1대 1인 경우는 찾아볼 수 없다. 이는 당시의 정도 부사가 다의성을 가졌고, 한편 그들 사이에는 유의성을 가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당시의 정도 부사들은 일반적인 어휘적 변별력을 근원적으로 지니고 있으면서도 서로 포괄적인 유의군을 형성하고 있었던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다. 『隣語大方』 is a textbook published to educate the public to learn Japanese in the 18th to through the 19th Century in the Chosun dynasty. This paper analyzes the vocabulary words contained in 『隣語 大方』, and deals primarily with the distribution and the function of the degree adverbs. Degree adverbs appearing in 『隣語大方』 are mostly {□장}, {하}, {만히}, {아조}, {대단이}, {너모}, {□오}, {극히}, and {죠금}. However, the number of degree adverbs in 『隣語大方』 is noticeably small compared to the present Korean. This paper inductively explains the semantic functions, as well as the intensifying degree of the degree adverbs by analyzing the shapes of the words being modified and by comparing the adverbs to their Japanese counterparts. The words modified by the degree adverbs were mainly adjectives, similar to the present Korean. They also include stative adverbs, adverbs clauses(phrases), and verbs. A semantic feature shared among them is [+stative]. It was revealed that the Korean degree adverbs in 『隣語大方』 did not match exactly to their Japanese counterparts. This suggests that those degree adverbs had polysemy, but that their polysemy shared synonymy at that time.
노인전문병원 간호사의 노화 인지정도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 연구
김선영 21세기사회복지학회 2007 21세기사회복지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노인전문병원에서 건강상의 문제를 지닌 노인환자를 돌봐주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노화 인지정도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내 노인전문병원 간호사로 하여 162명의 응답을 얻었다. 수집된 자료를 SPSS/Win 14.0 프로그램으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분석 방법으로 변수간의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정, ANOVA 등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노인전문병원 간호사의 노화의 신체적 인지정도와 심리적 인지정도가 높음에 따라 노인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전문병원 간호사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노화 인지정도는 개인적 요인에서 연령이 높을수록,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노화 인지정도는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무관련 요인에서 직위가 높을수록 노화 인지정도는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노인전문병원 간호사의 노인과의 접촉요인에서 노인관련 자원봉사를 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노화 인지정도는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전문병원 간호사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는 노인과의 접촉 요인 중 노인과 동거를 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노인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평가해 볼 때, 노인전문병원 간호사들의 노화 인지정도가 높은 집단이 대체로 노인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지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노인전문병원 간호사들의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전체 노화인지의 정도를 높일 것을 조심스럽게 제안하고자 한다.
탄투이밀린 한국베트남학회 2021 한국베트남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01
본 연구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하여 한국어 정도부사 {‘가장’, ‘제일’}과 ‘더’의 베트남 어 대응 표현 대조 연구할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가장’, ‘제일’}와 베트남어 ‘nhất’ 그리고 ‘더’와 {‘hơn’, ‘thêm’}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자 한다. 즉, 의미적 측면과 통사적 측면 형 용사, 동사, 명사, 부사, 관형어, 관형사 등에 관한 대조 연구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문장구조에서 정도부사의 통사적 특징을 살펴볼 것이다. 즉, 양국 정도부사는 형용사, 동사, 명사, 부사, 관형어, 관형사 등을 수식할 수 있는 경 우를 살펴보고 양국 정도부사의 통사적 특징에 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할 것이다. 이 연구를 활용하여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어 정도부사에 관하여 더 깊게 이해하고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한국어와 베트남어 정도부사를 잘 이해하면 말과 정보를 정확 하게 전달할 수 있다. A Study on Contrast Korean Degree Adverbs and Vietnamese Corresponding Expressions for Vietnamese Korean Learners – Comparison of degree Adverbs {'Ga chang', 'Je Oil'} and 'nhat'; ‘Doe’ and {‘hon’, ‘them’}- For Vietnamese Korean learners, this study will study the comparison of the Vietnamese counterparts of adverbs {'most', 'the best'} and 'doe' in Korean. Through this stud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most', 'the best'} and Vietnamese 'nhat' and 'doe' and {'hơn', 'thêm'} are revealed. In other words, we will study contrasting semantic and syntactic aspects of adjectives, verbs, nouns, adverbs, adjectives, adjectives, etc. In addition, this study will examine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degree adverbs in the sentence structure of Korean and Vietnamese. In other words, we will examine the cases in which adverbs of precision in both countries can modify adjectives, verbs, nouns, adverbs, adjectives, and adjectives, and analyz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adverbs of precision in both countries. Utilizing this study, Vietnamese Korean learners will help them to understand and learn more deeply about Korean language adverbs. If you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Korean and Vietnamese adverbs of degree, you can accurately convey speech and information.
박혜리,최준호,박정훈,공경림,임지영,이원홍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 2014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지 Vol.5 No.1
목적 : 초음파 정도관리 교육을 받지 않은 직원을 대상으로 정도관리 교육 전과 교육 후의 정도 관리 영상을 비교, 평가하여 교육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초음파 정도관리에 대한 교육을 받지 않은 경력 5년 미만의 방사선사 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ATS-539 다목적 초음파 팬텀과 PHILIPS IU-22 장비의 Convex probe 5-2 MHz를 사용하였다. 이론교육은 회당 1시간, 총 5회의 교육이 진행되었으며, 실기교육은 회당 2시간, 총 6회의 교육이 진행되었다. 초음파 정도관리 교육의 중요성 평가를 위해 정도관리 교육 전 기존의 지침대로 정도관리를 시행한 영상과 이론교육 시행 후 정도관리 영상, 실기교육 후 정도관리 영상을 총 8개 항목에서 40점 만점으로 비교 평가하였다. 결과 : 초음파 정도관리 교육 전 시행한 정도관리 영상 평과 결과 교육생 3명의 평균점수는 30.3점이었으며, 이론교육 후의 시행한 정도관리 영상 평가 결과는 평균 35.2점으로 전체적인 평균 점수가 증가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정도관리 교육 전과 이론교육 후를 비교하였을 경우 3명의 교육생에서 모두 통계학적인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P=0.136, P=0.284, P=0.151). 이론교육과 실기교육을 모두 이수한 후 시행한 정도관리에서의 영상 평가 결과는 평균 39.5점으로 교육 전, 이론교육 후의 평균점수와 비교하여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정도관리 교육 전과 이론교육과 실기교육을 모두 이수한 후와 비교하였을 경우 3명의 교육생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6, P=0.038, P=0.038). 결론 : 초음파 정도관리 지침에 따른 정도관리 이론과 실기교육을 수행한 후에 정도관리를 시행하는 것이 보다 정확하고 적절한 정도관리를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향후 초음파 정도관리와 초음파 분야의 전문방사선사로써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최지영 한국독어학회 2020 독어학 Vol.42 No.-
Die vorliegende Arbeit behandelt die sprachliche Repräsentation der Gradbedeutung. Dabei geht es zunächst darum, welche Typen bzw. Stufen innerhalb des Spektrums der Gradbedeutung festzustellen sind, und wie sie sich jeweils morphologisch realisieren lassen. Anhand von Beispielen des Deutschen und Koreanischen, aber auch von einigen zusätzlichen Beispielen aus anderen Sprachen wird gezeigt, dass die morpholosyntaktische Kategorie der KOMPARATION die Vielfalt der Gradbedeutungen und morphologischen Realisierungsmöglichkeiten nicht umfassen kann. An dieser Stelle kommt die funktionale Kategorie Deg(ree) in Betracht, die von Abney(1987) für Adjektivphrasen im Englischen vorgeschlagen wurde. Ergänzend zur Analyse in Abney(1987) und deren Anwendung in Bhatt(1991) sowie Choe(2003) wird in dieser Arbeit überprüft, wie die Kategorie Deg und deren Projektion das Spektrum der Gradbedeutung und die damit zusammenhängenden morphologischen und syntaktischen Charakteristika innerhalb der Adjektivphrasen adäquaterweise erklären können. Darüber hinaus wird in Bezug auf das Morphem hund/Hund- im Deutschen und gae- im Koreanischen, das zur Intensivierung der Lexembedeutung der rechten Konstituente dienen, diskutiert, ob sie sich als ein weiterer Typ von Deg-Elementen auffassen lassen. In dem Falle wären in der jeweiligen Sprache erstmalig ein Beispiel für eine präfixale Realisierung der funktionalen Kategorie Deg nachgewiesen. 이 논문에서는 정도의미의 언어적 표상과 관련하여 독일어와 한국어를 중심으로 정도의미의 다양한단계 및 그 형태적 실현 양상에 대해 논의한다. 먼저 정도를 표상하는 대표적인 형태통사적 범주로 간주되는 비교급변화, 즉 원급, 비교급, 최상급이 모든 정도 표현의 의미적, 형태적 다양성을 담아내지 못하는 한계를 짚어본다. 이러한 문제에 착안하여 정도 표현의 상이한 의미적 단계를 수용하며 어미변화에 의한 합성적 방식에 의해서 뿐 아니라 어휘적으로도 실현되는 현상을 수용할 수 있는 문법적 범주로서 기능범주 Deg(ree)에 대해 논의한다. Deg은 정도의미의 스펙트럼과 형태적 실현의 다양성을 포괄할 수 있는 범주인 동시에 Deg의 투사체로서의 정도사구 또한 정도 표현과 관련된 일련의 통사적 현상들을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나아가 독일어와 한국어에서 생산적으로 조어 과정에 참여하는 강화 형태소 hund/Hund-와 개-를 대상으로 이들이 Deg 요소의 또 다른 실현형태에 해당되는지를 점검하여 Deg의 형태적 실현의 범위가 독일어에서는 정도부사와 접미사 외에도 접두사까지그리고 한국어에서는 정도부사 외에 접사로 확장되는 새로운 예시로서의 가능성 또한 타진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