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한기의 기학 체계에서 인간 · 인민 · 천하인

        이인화(Lee, In-hwa) 한국양명학회 2017 陽明學 Vol.0 No.48

        최한기는 동서양 공존을 목전에 둔 시대적 상황 속에서 세계인이 다툼없이 평화롭게 공존하게 하는 유교적 사회윤리와 인간상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고에서는 최한기의 사상에서 기학적 체계와 인간, 기학적 사회와 인민, 그리고 대동사회와 세계인으로서의 천하인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최한기의 기학 체계는 기일원론적 세계관과 기의 끝없는 운동 등 기철학의 일반적 전제들을 수용하여 이를 운화(運化) 개념으로 재창조하였다. 운화의 체계에는 전통적 유기체적 사유가 남아있으며 동시에 시대변화를 반영하여 복고를 극복한 현실 및 미래지향적 관점과 실증주의적 학문관이 제시되었다. 기학 체계에서 인간은 대기의 일부를 품부 받아 이루어진 존재로서 보편성을 지니며 동시에 선천적 기품의 차이와 후천적 경험의 차이로 인해 개성을 지닌다. 다음으로 기학적 사회에서 운화에 승순하는 인간 사회의 마땅한 윤리는 ‘인도’이며, 인도를 실천하기 위한 올바른 행정은 ‘인정’이다. 인정은 위로는 대기운화에 승순해 이를 준적으로 삼고 아래로는 백성의 공론을 따라야 한다. 이는 위로는 천인합일을 이루고 아래로는 위민정치를 한다는 유학의 전통적 정치사상을 계승한 것이다. 기학적 사회에서 인간은 사회적 존재로서 교접을 통해 감응하면서 자신을 형성한다. 정치적 존재로서 인민은 왕의 적자(赤子)로서 위정자의 통치와 교화의 대상이지만, 정교가 어그러졌을 때 대중은 인도를 바라는 민간의 운화를 통해 결국 사회를 바로잡게 한다. 마지막으로 대동사회는 천인운화의 범위가 전 세계로 확장되어 천하가 조화롭게 일통을 이룬 사회이다. 비록 과거에는 천하인들이 운화의 대도를 몰라 서로 대립하고 싸웠지만, 종국에는 모두 인도로 귀의할 것이라고 보았다. 최한기는 기학을 바탕으로 당시의 시대변화를 반영하여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세계관과 보편 윤리를 재창조하고자 하였다. 비록 그가 인류를 통합할 수 있는 보편의 기준이라고 생각하는 사상이 결국 ‘기학’이라는 단 하나의 사상이었다는 측면에서 사상적 다양성을 확보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세계가 대립과 폐쇄로 치닫는 시대적 상황속에서 다른 존재를 인정하고 서로 동등한 존재로서 평화공존을 추구했다는 점에서 시대적 사상적 의의가 크다. Choi Han-ki tried to build an universal Confucian social ethics and a desirable human character aiming at the peaceful coexistence of cosmopolitans on the verge of encountering between Eastern and Western civilization. According to this base, this research studied about the features of the human nature in monistic world of Qi[氣], people[人民] in Qi-based society, and a cosmopolitan[天下人] in the society of Great equality[大同社會] in the thought of Choi Han-ki. First, Choi Han-ki’s the science of Qi[氣學] adopted basic concepts of the traditional thoughts of Qi including the idea of monistic world of Qi and endless movement of Qi. However, Choi Han-ki also recreated the new kind of thought of Qi adopting the concept of hierarchic levels of movement of Qi[運化]. Although there remained traditional Confucian points of view in way that nature and ethics were still commingled, Choi Han-ki also introduced a distinguishing positivistic approach and a reality-oriented point of view. The human nature in the world of Qi is universal existence since they are parts of the Great Qi[大氣] and, at the same time, they are individual existence since they all have different quality of Qi and different experience. Second, in this Qi-based world, an appropriate ethics in the society is an administration of good quality[人政], which is an administration obedient to the Great Qi and the people’s opinion. People in this society is a social being in that they grow through communication, and as a political being they are still regarded as people who are needed guides and educations of aristocrats, but they have potential to straighten out the degenerate society corrupted by politicians. Lastly, the society of Great equality[大同社會] is a harmoniously united global world resulted from expanding the harmony of heaven[天]’s and human’s Qi[天人運化]. And all cosmopolitans would turn to this harmony only if they know the science of Qi. Although Choi Han-ki’s thought was unsuccessful when it comes to diversity in that Choi Han-ki argued that the science of Qi is the only universal criterion that could unite all human beings, he made a contribution in that he tried to coexist peacefully with other cosmopolitans as a equal human when the world was heading for conflicts and blockades.

      • KCI등재

        장재의 기학(氣學)과 수양공부론

        조남호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서강인문논총 Vol.0 No.54

        This paper study Zhang Zai Qi xue and moral cultivation. Er Cheng and Zhu Xi' Li xue can not understand Zhang Zai's Qi xue. Zhangzai of Qi xue come in with methodology of Buddhism and Taoism, but he go out with Confucianism the enactment of human society. He borrowed from Buddhism and Taoism concept, 'tai xu', 'he si he lu', 'wu wang wu zhu chang'. He does not stay in Buddhism and Taoism, but adopt Confucian theory of knowledge. Zhang Zai insist expanding knowledge with experience, but must still be needed beyond the knowledge with virtue and nature. In other words, experience knowledge needs to be converted to know virtue and nature. However, understanding nature is just beginning and has fullfilled his nature. He investigate Li. He expanded others and all things, then his mind control xian-tian and hou-tian. Zhang Zai's Qi xue is the pursuit of Mind xue, but his Mind xue is not in his heart, but requires social practice. This is the universe, the Jingtian system and the rule of law he elaborated in Xi Ming. This refers to the study of Confucius, which can also be said to be Zhang’s goal. 본 연구는 장재 철학의 기학에서 본 그의 수양공부론을 밝히는 것이다. 장재의 기학과 수양공부론은 이정이나 주희의 리학 관점보다는 기학 관점에서 부분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간단히 말하자면 그의 기학은 선천과 후천을 포함하기 때문에 선천의 기학을 부정한 정주학에서는 그의 기학을 전면적으로 이해할 수 없다. 따라서 그의 선천 기학을 인정할 경우에 그가 제시한 덕성지를 깨닫는 수양공부론를 이해할 수 있다. 그의 선천 수양공부론은 불교와 도교의 방법론을 차용하여 들어갔지만, 궁극적으로는 유가의 인륜사회로 돌아 나왔다. ‘태허’, ‘하사하려’, ‘물망물조장’ 등의 개념들도 불교와 도교의 수양공부 관점을 빌어 이해하고 채용하였다. 그러나 장재는 불교와 도교의 사유방식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유가적 인식론과 수양공부론을 제시하였다. 장재는 견문지를 통해서 지식을 확장해야 나아가야 하지만 견문지를 초월하여 덕성지를 통해 본성을 깨달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견문지에서 덕성지로 인식범주를 전환시켜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인식주체도 전환되어야하는데, 견문지를 아는 후천의 지각을 넘어 덕성지를 알고 깨닫는 선천의 신(神)을 마음(心)의 인식주체로 삼아야하고 또한 후천의 지각을 포함하여 주재하여한다. 마음의 신이 주체가 되어 선천의 본성을 깨달은 것은 시작에 불과하다. 깨닫는 본성의 범위를 확장시켜 채워 나아가야 하는데, 맹자가 말한 확충이며, 불교와 도교에서 말하는 성인의 원만함을 이루어야한다. 따라서 본성에 내재된 리를 궁구해야하는데, 자신에 내재된 자리(自利)의 리뿐만 아니라 타인과 모든 사물을 이해하고 도울 수 있는 이타(利他)의 리까지 확대시켜서 궁구해야한다. 그래야만 원만한 성인으로서 세상을 개혁하고 경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자신으로부터 시작해서 타인과 모든 사물까지 확대시켜 나가야 한다. 물론 지각에 의한 견문지 역시 이타의 경세를 할 수 있으나 규모와 깊이가 부족하기 때문에 덕성지가 필요하다. 다시 말해 견문지를 획득하는 과정에서는 사려분요가 일어나기 때문에 리를 궁구하는 데 제한이 있다. 이런 점에서 장재의 기학은 심학을 지향한다. 또한 장재의 심학은 개인의 평온을 찾는 것에 머물지 않고 사회에서 실천하고 경세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서명」의 우주가족과 정전법과 예치인 것이다. 이것이 장재의 성인 목표 즉 공자라는 유가의 성인을 배우자고 제시한 것이다.

      • KCI등재

        氣學과 心學의 횡단적 소통구조에 관한 연구

        장윤수(Jang, Yun-su) 대한철학회 2014 哲學硏究 Vol.130 No.-

        이 연구는 종래 '병렬적' 또는 '대립적'으로 이해되던 張橫渠의 氣學과 王陽明의 心學을 상호 소통의 차원에서 해명해 보려는 의도에서 이루어졌다. 필자는 여기에서 太虛와 良知의 개념을 직접 비교함으로써 氣學과 心學의 존재론적 구조가 상통함을 설명하려 하였고, 그리고 大心과 致良知의 개념을 비교하면서 氣學과 心學의 공부론이 서로 소통하고 있음을 논증하였다. 장횡거의 太虛論은 불교의 寂滅論에 대응하기 위해 만들어진 측면도 있다. 그러므로 心學을 氣學으로 이해하는 작업, 즉 良知의 본체를 太虛로 이해하게 되면 그동안 陽明心學이 程朱學으로부터 줄기차게 받아야 했던 '불교적 異端論'에 대한 비판적 시각으로부터도 자유로울 수가 있다. 이 연구는 횡거 철학의 전통을 程朱理學의 시각에서 뿐만 아니라 오히려 陸王心學의 전통에서 읽을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가장 큰 의미를 갖는다. 필자는 여기에서 성리학의 발전적 계승으로 陽明 心學을 해석하였고, 또한 陽明 心學의 이론선구로 橫渠 氣學을 이해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how Zhang Zai(張載)''s Gi-Hak(氣學) and Wang Shou-Ren(王守仁)''s Sim-Hak(心學) are interrelated, which differs from prior positions viewing the two as separate, unrelated philosophies or ones standing in contrast to each other. By direct comparing the notions Tae-Heo(太虛) and Yang-Ji(良知), I tried to explain that ontological structures of Gi-Hak and Sim-Hak are interrelated ; and by comparing Dae-Sim(大心) and Chi-Yang-Ji(致良知), I made an argument that Gong-Bu-Ron(工夫論) of Gi-Hak and Sim-Hak corresponds to each other. Zhang Zai''s the doctrine of Tae-Heo can be seen as a respond to Jeok-Myeol-Ron(寂滅論) in Buddhism ; therefore, understanding Sim-Hak in terms of Gi-Hak, that is, interpreting the fundamental meaning of Yang-Ji as Tae-Heo, can free Yang-Myeong-Sim-Hak(陽明心學) from the unceasing criticism by Ju-Ja-Hak(朱子學) that it is a 'Buddhistic heresy'. This study could be highly significant in that it enables us to read the tradition of Zhang Zai not only from the viewpoint of u-Ja-Hak, but even from ang-Myeong-Sim-Hak tradition. I interpreted Yangming School of Mind as a developmental succession of Neo-Confucianism, and understood Zhang Zai''s Gi-Hak as a theoretical pioneer of Wang Shou-Ren''s Sim-Hak.

      • KCI등재

        신유물론과 기학(氣學)의 교차 연구로 살펴본 곰팡이 지능의 가능성: 균류의 기(氣)적 존재론

        이원진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25 사회와 철학 Vol.- No.49

        본고는 최근 서구에서 주목받는 신유물론과 한국 전통 철학인 혜강 최한기의 기학(氣學)을 비교철학적으로 접근하면서, 두 철학이 교차적으로 검토할 대상의 구체적 사례로 곰팡이를 채택한다. 현재 지구 생물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곰팡이는 생태계에서 거대한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분해자 역할을 수행하는데, 뇌나 신경 없이도 환경을 학습하고 환경에 반응하는 감응적 존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물질을 수동적 대상으로 보지 않고, 스스로 행위하며 의미를 생성하는 능동적이며 관계적인 존재로 파악하는 신유물론의 입장에서 볼 때 곰팡이는 비인간 행위자의 한 사례가 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런 곰팡이의 감응성과 소통 능력을 오늘날 말하는 일종의 ‘지능’으로 재조명할 가능성이 철학자 콘과 샤비로를 통해 조심스럽게 검토되고 있다. 한편 곰팡이는 물질 안에 물리주의적 뿐 아니라 생물학적 기운을 담고 있는 혜강 최한기의 기학과도 교차시킬 수 있다. 혜강은 ‘기(氣)’를 세계를 구성하는 생기적 흐름으로 이해하며, 모든 존재는 ‘신기(神氣)’라는 감응적 능동성을 지니고, 운화한다고 보았다. 그의 ‘운화(運化)’ 개념은 곰팡이의 생태적 분해와 에너지의 순환시키는 역할과도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최한기가 제시한 ‘추측(推測)’ 개념은 감각과 경험에 기반한 추론적 사고 방식으로, 샤비로의 ‘감수성에 기반한 사변적 허구’ 개념과 소통할 수 있다. 본고는 이런 비교철학적 검토를 바탕으로, 곰팡이와의 공생 가능성을 감각적․문화적으로 상상한 사례를 구체적으로 살핀다. 최초의 곰팡이 소설이라 할 수 있는 김초엽의 SF 『파견자들』, 예술가 이재림의 ‘버섯 수의’나 제레미젠코의 ‘습지 키스’ 등의 생태 예술품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제레미젠코의 명명을 따라 곰팡이를 생각하는 사물인 하나의 ‘씽커(thingker)’로 재조명하며, 비인간(비신경) 존재자들과의 공존이 포스트휴먼 시대의 새로운 철학적 전환을 이끌어낼 수 있음을 제안한다. This paper explores a comparative philosophical approach to new materialism and traditional Korean Gi-hak(氣學), using fungi as a central case study. Fungi, which constitute the majority of Earth’s biomass, form extensive ecological networks and act as decomposers. Despite lacking brains or nervous systems, they exhibit affective responsiveness and adaptive behaviors, positioning them as potential examples of nonhuman agency. From the standpoint of new materialism, which emphasizes matter as active and relational rather than passive, fungi may be reconsidered as intelligent, thinking entities. This study engages with the theories of Eduardo Kohn and Steven Shaviro to critically examine the possibility of recognizing fungal responsiveness as a form of distributed intelligence. In parallel, the philosophy of Choi Han-gi, a 19th-century Korean thinker, offers a resonant framework through his notions of gi(氣, vital energy), shingi((神氣 agentic spirit), and unhwa(運化, transformative flow). His concept of chucheuk(推測, speculative inference based on sense and experience) shares affinities with Shaviro’s affective speculative thinking. Through this dialogue, the paper considers whether fungi’s ecological roles and communicative capacities can be philosophically understood as forms of nonhuman thought. Moreover, fungi can be situated within Choi Han-gi’s Gi-hak, which recognizes matter not only as physically grounded but also as imbued with vital biological energy. Drawing on artistic and literary examples-including Kim Choyop’s fungal science fiction novel The Dispatchers, Jae-Rim Lee’s “Mushroom Burial Suit,” and Natalie Jeremijenko’s “Wet Kiss”-the paper situates fungi within broader aesthetic and cultural imaginaries of symbiosis. Ultimately, following Jeremijenko’s formulation of fungi as thingkers (thinking things), the paper proposes that fungi offer a compelling model for rethinking intelligence, agency, and coexistence in a posthuman ecological age.

      • KCI등재

        白雲 沈大允의 氣ㆍ神論과 天ㆍ人論 연구 -19세기 東學 思想과의 연관성 파악을 중심으로-

        장병한 우리한문학회 2010 漢文學報 Vol.22 No.-

        In connection with the development and philosophical meaning of the practical energy-flow theory in the 18th-19th century, Baekun Sim Dae-seong (1806〜1872) can be cited as a scholar who based on traditional Confucianism, the cosmology of the Book of Changes in particular, developed the practical and new energy-flow theory. First, regarding Donghak (Eastern Learning, a Korean religion) in the 19th century, and Sim Dae-yun's diagnostic viewpoint of history, founder of Donghak Choe Je-u and Sim Dae-yun basically equally diagnosed the contemporary times as a crisis. Choe Je-u criticized Catholicism as false science, and Sim Dae-yun as paganism. Choe Je-u emphasized Confucianism's respect for heavenly orders and theory of following the heaven as an alternative to national and public welfare. He proposed Boundless and Great Way as a thought system replacing Confucian Way and Buddhist Way. He established and disseminated Donghak's precepts such as talismans and 37 charms. He based his science system on mind science, and upheld virtuous wise men and gentlemen as the objective of sciences. Sim Dae-yun criticized Chengchu philosophy-based annotation system, and the preaching of Catholicism as harmful, and thus proposed to promote the Heavenly Man's Way of Confucius based on the re-interpretation of Confucian classics. In 1862, he thus completed the writing of A Completed Book of Welfare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selected Confucian classics. This enabled him to respond to then widely disseminated Gospels of Catholicism, to recognize this book as a kind of Confucian Gospels, and to pray that all people would enjoy welfare through the book. It was found that Sim Dae-yun's diagnostic viewpoint of the Donghak era and his development of energy-flow, divinity and humanity theory had much in common with Donghak thoughts which transferred from Choe Je-u, to Choe Si-hyeong and Son Byeong-hui. In Sim Dae-yun's energy-flow, divinity and humanity theory, Confucianism's original energy-flow and divinity, which were overshadowed by the previous Neo-Confucianism's authoritarian reasoning, was found, and the hierarchical propensity and power of the populace who were discriminated and persecuted in the medieval Neo-Confucianism system created synergies. Thus, in Donghak's energy- flow system and contemporary Sim Dae-yun's energy-flow science, it was found that Korea was becoming modern as it transited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20th century.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동학과 백운의 기학 세계를 상호 비교 논술하는 가운데, 특히 氣ㆍ神論과 天ㆍ人論에 주안점을 두고서 이들 사상의 상호 연관성을 파악해 보았다. 먼저 ‘19세기 동학 시대와 백운의 역사 진단의식’에 있어서는 동학의 창시자인 수운과 백운은 당시를 국내외적 위기적 국면으로 진단하는 것에는 인식을 같이 하였다. 천주학에 대해서, 수운은 虛學, 백운은 유학의 異端學으로 비판하였다. 수운은 輔國安民을 위한 대안으로서 전통 유학의 敬天命과 順天理를 강조하면서도 儒道와 佛道를 대체 할 수 있는 사상 체계로서 無極大道를 제시하고, 동학의 요체로서 靈符와 呪文 三七字를 제정하여 전파하였고, 학적 체계를 心學에 두는 동시에 道成立德의 賢人君子를 학문의 목적으로 하였다. 반면 백운은 정주학적 주석체계를 害毒적 요소로 규정하는 가운데, 천주학 전파의 폐해성을 극명하게 인식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유가 경전의 재해석을 통한 孔夫子의 天人의 道를 일깨우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동학 시대에 있어서의 백운의 역사 진단 의식은 동시대 수운과 많은 부분 궤를 같이 하고 있으며, 氣ㆍ神論과 天ㆍ人論의 전개 양상에 있어서도 동학과 백운의 기학 체계는 많은 부분 접합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기신론에 있어, 동학과 백운의 기학이 모두 범신론적인 사상 체계를 공유하는 가운데, 동학의 기학 체계는 鬼神ㆍ陰陽의 氣ㆍ心 모두를 같은 神 개념으로 정의하는 반면, 백운의 기학 체계는 氣⇒(氣+氣)形⇒(氣+形)精⇒(氣+精)神의 공식 단계를 거치고 있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드러나고 있다. 그리고 天ㆍ人論에서도 기본적으로 동학과 백운의 사상 체계가 같은 궤도를 지향하고 있지만, 백운의 기학 세계에서는 귀신의 禍福 주재성과 민중지향의 大同 의식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는 점이 특이하게 자리하고 있다. 요컨대 氣ㆍ神論과 天ㆍ人論에 있어서의 동학과 백운의 사상 체계는 총론적인 면에서는 많은 연관성을 맺고 있지만, 각론적인 면에서는 일면 다른 점이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 백운의 기ㆍ신론과 천ㆍ인론의 사상 체계가 19세기 중반에서 말기로 이어지는 동학의 정신세계와의 어떤 직접적인 연계성을 가졌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이전 중세의 지배원리인 형이상학적 理와 19세기 당시 唯一神으로서 熾盛을 부리고 있던 절대적 天主를 止揚하고, 이의 대안적 원리로서 형이하학적 氣에 기반한 범신론적 사상 체계와 인간 및 민중을 역사의 推動體로서 顯示한 점에서 본다면, 백운의 학적 체계는 결코 과소평가 될 수 없다. 요컨대 백운의 기ㆍ신론과 천ㆍ인론은 19세기 동학 및 혜강의 기학과 함께 한국 근대 사상의 주요한 하나의 低邊的 흐름을 간직하고 있었다는 것에서, 그의 학적 체계의 역사 사상적 의미를 가늠할 수 있겠다.

      • KCI등재

        혜강 최한기의 기학(氣學)에 내포된 평화교육적 가치에 대한 일고찰

        김민재 범한철학회 2020 汎韓哲學 Vol.9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tructure of ‘Ki-hak(氣學)’ by Hyegang(惠岡) Choi, Han-ki(崔漢綺), and to derive the implications for the school peace education centered on ‘moral education’ in its structure.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Life and Ethics≫ and ≪Ethics and Thoughts≫ textbooks were first reviewed in this study.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school's peace education described ‘peace’ within a limited scope, and that very few cases were linked to Korean traditional ethics. This study then identified the ‘Sim-ki(心氣)’ concept formed in our hearts by the action of ‘Sin-ki(神氣)’ leading sensory organs. It also described the system of ‘Un-hwa (運化)’ and ‘Dae-dong(大同)’ that Sin-ki, including Sim-ki formed, should follow. Finally,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school peace education were derived from Ki-hak of Hyegang. School peace education should try to establish a mind for individuals to resolve conflicts or disputes peacefully. Peace penetrates ‘a state of peace in the mind of an individual’, ‘a state of no conflict between societies or countries’, and ‘a state of communicating with nature an forming a right relationship’. In order to achieve peace, intense investigation, reflection, and respect are needed. The contents related to peace found in the book written by H yegang can be used as materials for peace classes. 본 연구의 목적은 혜강 최한기가 제창한 ‘기학’의 구조를 명료화하고, 이로부터 ‘도덕과’ 를 중심으로 시행 중인 학교 평화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 이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현행 『생활과 윤리』 및 『윤리와 사상』 교과서들(총10종)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학교 평화교육에서는 ‘평화’를 제한된 범위에서 다루고 있고, 한국윤리사상과 평화를 연결시킨 경우가 매우 적으며, 그 경우에서마저 사상의 본래 취지가 잘못 전달될 우려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감각 기관들을 주재하고 경험과 기억을 통솔하는 신기의 작용에 의해 우리 가슴 속에 형성된 유형의 존재인 ‘심기’ 개념을 규명하였다. 또한 형성된 심기를 내포한 신기가 승순하는 삼층(일신・통민・대기)의 운화 및 이 운화 체계의 실질적 완성태인 ‘대동’에 대해 일통, 조민유화 등의 용어를 활용하여 설명하였다. ⓒ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혜강의 기학이 함의하고 있는 평화교육적 가치들을 도출하였는데, 첫째, 학교 평화교육에서는 도덕적 주체로서의 개인이 갈등과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려는 정신을 확립할 수 있도록 신경 써야 한다. 둘째, 평화는 ‘개인이 평온한 상태’, ‘사회・국가에 분쟁이 없는 상태’, ‘자연과 소통하고 바르게 관계 맺는 상태’ 등을 관통하며, 평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치열한 탐구와 성찰, 외경의 마음가짐 등이 필요하다. 셋째, 혜강의 저술들에서 발견되는 평화 관련 내용들은 학교 평화수업에서 실제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 KCI우수등재

        식민지기 유교 지식인 김광진의 機學을 통해 본 주변적 사유의 특징과 역사적 의미

        박지현 역사학회 2019 역사학보 Vol.0 No.244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marginal thought and its historical meaning thought Confucian Intellectual Kim Kwang-Jin(金光鎭)’s Ki-Hag(機學). Kim Kwang-jin’s Ki-Hag is a system of knowledge perception, type, and practice. This is a newly reconstructed knowledge system based on Western psychology and epistemology imported to Korea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based on the major tactical concepts of Byeong-Hag(兵學). As such, Kim Kwang-jin, as a Confucian intellectual in the periphery, attracted and combined heterogeneous concepts in the limited resources and opportunities, and re-adjusted the context of existing meanings to create new results. This process of appropriation was defined by anthropologist Levi-Streth as bricolage. He emphasizes that Bricolage is part of modern thought, and it is a false assumption to put Western logical thinking at the forefront.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limit Ki-Hag to simple differences in intellectual abilities, simple imitations or subclasses. Rather, it should be understood as an aspect of man’s active intellectual activity seeking to understand the world to the fullest by the circumstances given to him. If so, Kim Gwang-jin’s Ki-Hag can be meaningful as an example showing the tension, conflict, and intellectual achievement of Marginal thought concealed in Korean intellectual history. 이 연구는 유교 지식인 金光鎭의 機學을 통해 주변적 사유의 특징과 역사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김광진의 기학은 지식의 인식과 유형, 그리고 실천에 관한 체계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은 19세기 말 한국에 수입된 서구의 심리학과 인식론을 바탕으로, 병학의 주요 전술 개념을 전유하여 새롭게 재구성한 지식체계라고 할 수 있다. 이렇듯 김광진은 주변부 유교 지식인으로서 자원과 기회가 한정된 상황에서 이질적인 개념들을 끌어와 결합시키고, 기존 의미들의 맥락을 재조정하여 새로운 결과를 만들었다. 이러한 전유의 과정을 인류학자 레비-스트로스는 브리콜라주(bricolage)라고 정의한 바 있다. 그는 브리콜라주도 현대인의 사고의 일부이며, 서구의 논리적·합리적 사고를 그 우위에 놓는 것은 잘못된 가정이라고 강조한다. 따라서 기학과 같은 지적 결과를 단순히 지적 능력의 차이나 단순 모방 혹은 아류로 한정해서는 곤란하다. 그보다는 자신에게 주어진 상황을 최대한 이용하여 세계를 이해하려고 하는 인간의 능동적인 지적 활동의 한 양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렇게 된다면 김광진의 기학은 그동안 한국 지성사에서 은폐되었던 주변적 사유의 긴장과 갈등, 그리고 지적 성취를 보여주는 사례로서 그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기후위기 시대 철학의 전환 -인류세철학과 기학(氣學)의 대화-

        조성환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3 철학·사상·문화 Vol.- No.41

        산업혁명 이래로 과학기술을 사용한 인간의 활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인류는 기후까지 변화시키는 지질학적 존재가 되었다. 이러한 시대를 대기화학자 파울 크뤼천은 ‘근대’라는 말 대신에 ‘인류세’라고 명명하였다. 이에 대해 역사학자 디페시 차크라바르티는, 인류세는 인간사와 자연사를 구분해서 보아왔던 인류의 오래된 통념을 무너뜨렸고, 인간의 자유가 ‘절대적 자유’가 아니라 지구의 자원에 제한되어 있는 ‘조건적 자유’임을 깨닫게 해주었다고 분석하였다. 한편 신유물론자인 제인 베넷은 사물에도 ‘힘’이 있다고 주장하면서, 인간과 사물을 이원론적으로 구분해서 보았던 근대적 존재론을 비판하였다. 베넷에 의하면, 바이러스나 쓰레기와 같은 사물도 인간에게 영향을 끼치는 힘을 지니고 있고, 따라서 인간은 사물에 대한 오만한 자세를 버리고 ‘존중’의 태도를 회복해야 한다. 이와 같은 새로운 철학의 경향은 19세기의 한국철학자 혜강 최한기의 기학(氣學)을 연상시킨다. 기학에서는 인간과 자연을 모두 ‘기화(氣化)’하는 존재로 간주하고 있고, 양자는 서로 분리되지 않은 채 하나로 얽혀 있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기학 체계에 의하면 인간의 기화 활동이 도구를 만들고, 그 도구의 사용이 자연의 기화를 변화시켰으며, 그 결과가 기후의 변화라고 하는, 지질학적 존재로서의 인류세적 인간관이 설명될 수 있다. 바로 여기에 최한기의 기학과 인류세 철학의 접점이 있고, 기후위기 시대에 한국철학과 서양철학이 대화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된다.

      • KCI등재후보

        혜강 최한기의 기학과 수학교육

        이우진 영남퇴계학연구원 2014 퇴계학논집 Vol.- No.14

        최한기는 동아시아 유가의 도덕전통과 서구의 자연과학을 융합시켜 기학(氣學)이라는 새로운 학문을 제창하였다. 그는 우주의 물리적 원리와 인간의 도덕적 원리를 동일선상에 연결시키고 있었다. 그는 성인이 제시 하는 성경(聖經)도 우주의 보편적 물리법칙인 천경(天經)에서 뽑아 놓은 것에 불과하다고 주장하였다. 그에 따르면, 성인은 우주 운화에 대한 명 확한 통찰력을 바탕으로 인도(人道)를 펼쳤던 자이기 때문이다. 또한 최 한기는 유가의 이상인 대동(大同)에 이르는 최선의 방법은 우주의 운동 원리 즉 운화지리(運化之理)에 대한 명확한 인식과 이를 따르는 것[承順]이라고 주장했다. 여기서 그는 운화지리(運化之理)에 대한 명확한 인 식과 승순(承順)을 위한 학문으로 수학을 제시한다. 그는 수학을 통해 ‘개인의 일상적 생활양식과 지식에 대한 교육[人事敎]’과 ‘사회윤리와 대 동의 구현을 위한 방법과 지침에 대한 교육[人道敎]’과 ‘우주와 인간의 운동원리에 대한 교육[人天敎]’을 결합한다. 또한 그는 수학교육과정도 제시한다. 그가 제시한 수학교육의 전개 양상은 숫자 교육에서 시작하여 사칙 연산을 거쳐 기하학으로 들어가고 최종적으로 천체물리학에 이르는 과정이었다. 하지만 과연 최한기가 이해하고 있듯이, 물리와 윤리라는 두 지평이 진정 융합가능한 일일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여전히 열려있 다. 세계에 대한 물리적 이해가 인간이 살아가야 윤리적 노선을 마련해 준다는 것은 가당치 않은 주장인 것 같지만, 어쩌면 우주와 인간을 따로 구분하는데 익숙한 우리 현대인들의 사유방식에 미래적인 전망을 제시하 는 것일지도 모른다.

      • KCI등재

        상상된 보편: 최한기의 운화기

        서영이 범한철학회 2010 汎韓哲學 Vol.57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Choi Han-ki's Gi-hak(spritual learning) is transcendental and more objectivistic than the traditional Neo-confucianism even though it bears definitely empirical aspects to some extent in terms of experientialism. Choi Han-ki's Gi-hak tries to go beyond the view of top-down approach which is intended to solve problems with the transcendental principle, suggesting the perspective of bottom-up approach which means to access abstract areas from empirical areas in conjecture. The empirical turn which is to approach the abstract world starting from the physical one, has a significance in methodological development that is worth as much as overturning the history of Confucius thought. However, Gi-hak is exposed to the danger of a return to strong objectivism in that it pursues an integration of the world, establishing an imagined universality of Woon-hwa-gi as the ultimate criterion. A risk entailed in objectivism is suppression and violence. And it implies extreme danger that the transcendental standard prevents any communication if it is construed as an authority for a special purpose. From this point of view, Choi Han-ki's Gi-hak is neither free from transcendental interpretation nor open to empirical or relativistic one. Within his philosophy, there are conflicting ideas at the same time, which are empirical turn as meeting the needs of the times and supposed universality as Woon-hwa-gi. As a result, the puzzled co-existence gives rise to the necessity for a new inquiry into the philosophical mature of Choi Han-ki's Gi-hak in lights of “an empirically-responsible philosophy". 이 글의 주된 목적은 최한기의 기학이 부분적으로 경험주의적임에 분명하지만, 오히려 초월적이며, 나아가 기존의 성리학적 사조보다 더욱 객관주의적임을 드러내는 것이다. 최한기의 기학은 경험 영역으로부터 추상 영역으로 추측해가는 ‘상향적 접근’의 관점을 제안함으로써, 선험원리로부터 경험 영역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하향적 접근’의 관점을 넘어서려고 했다. 물리적 세계로부터 추상적 세계로 추측해가는 경험적 방법의 시각의 전환은 유학적 사유의 역사를 뒤엎을만한 정교한 방법론적 진화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하지만 기학은 상상된 보편 ‘운화기’를 최종의 준거로 설정, 세계의 통합을 꿈꾼다는 점에서 강력한 객관주의로의 회귀라는 위험성을 내재한다. 객관주의가 의미하는 것은 배타적 억압과 폭력이며, 운화기와 같은 초월의 준거가 어떤 특정한 목적을 위해 권력적으로 해석될 경우 어떤 소통도 배척하는 극단적 위험성을 함축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최한기의 기학은 초월로부터 자유롭지도, 경험주의적이지도, 상대적 가치에 관대하지도 않다. 결국 시대가 그에게 요청한 경험주의적 방향으로의 철학적 전환과 상상된 보편 운화기의 혼란스러운 공존은 ‘경험적으로 책임 있는 철학’의 관점에서 최한기 기학의 본성에 대한 새로운 탐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