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학문신(漢學文臣)의 친림전강(親臨殿講) 제도 연구

        이연진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2 儒學硏究 Vol.61 No.-

        본 연구는 문신들을 대상으로 친림전강(親臨殿講)의 형식을 통해 한어(漢語) 학습을 장려한 한학문신(漢學文臣) 제도의 운영규정을 검토해보고 그 특징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문신 전반을 대상으로 하여 유학적 식견을 배양하고자 했던 여타의 문신 전강(殿 講)제도와는 달리, 한학문신 제도는 그 대상과 목적이 비교적 뚜렷한 특성을 가진다. 한어능력에 재능이 있는 일부 문신을 선발하여 한어 구어능력을 배양하고자 하였다. 일반 문신 중 한어를 잘하는 자는 명·청나라의 사신으로 가거나 파견된 사신들을 접대하는 역할을 하였다. 역관만으로는 민감하고 변수가 많은 외교적 상황을대처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이에 조선은 문신의 한어 능력을 국가적으로 배양하기 위해 한학문신 제도를 지속적으로 운영하였다. 조선후기 규정집과 영조대 전강등록의 한학문신 시행절목에 따르면, 해당 제도의 대상자는 당하관(堂下官) 중 29세 이상에서 48세 이하인 문신 중에서 선발하였다. 시험주기는 1년에 4차례, 1·4·7·10월 16일로 주기적으로 시행하였다. 시험시행 이전에 장소, 친림여부 등을 정하는 제반적인 운영절차는 전경문신(專經文臣) 의 규정에 의거하여 시행하였다. 전강을 통과하지 못한 한학문신에게는 재시험의기회를 주고 일정기간 동안 학습한 뒤, 학습여부를 확인하였다. 우등자에게는 포상으로 말을 하사하거나 6품으로 승진시키는 승륙(陞六)과 같은 인사상의 혜택을 주었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한학문신 제도를 검토해봄으로써 문신의 특정 재능을 계발하고 제고(提高)한 문신재교육 정책의 일단(一端)을 살펴본 의미가 있다. 한학문신은파견, 사신접대 등의 외교활동과 질정관, 사역원 교수 등의 교육자로서의 역할도 담당하였다. 실제로 이러한 한학문신 제도를 통해 양성된 한학문신들은 중국과의 외교활동이나 한어교육을 관리·감독하는 주요한 역할을 하였다.

      • KCI등재

        영조대 전경무신(專經武臣)의 친림전강(親臨殿講) 연구

        이연진 온지학회 2022 溫知論叢 Vol.- No.73

        This study aims to explore a governmental policy called “Jeongyung-Mooshin(專經武臣,)” which is carried out by King Yeong-jo(英祖). The main text is based on Jeon’gang-dengrok(殿講謄錄) during King Yeong-jo(英祖) Regime. This research tri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and discuss the meaning of the policy in what background it was activated. Jeongyung-Mooshin(專經武臣) had to take oral tests regarding the Seven Military Classics(武經七書) every four seasons each year. If they achieve high scores, they could be rewarded with a horse or promotion. On the other hand, those who failed to the test, they could be punished even to losing their post. In order to stabilize the unstable political situation such as a partisan fight, King Yeong-jo strengthened the royal authority and actively sought education measures for military officials. The king utilized Jeon’gang(殿講) carried out by king in which he could examine their knowledge and insight by face-to-face examination. Jeon’gang which took place every four time each year was the right method for the king to recognize their talent and make them study periodically. Such a in-service education for military officials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without the king's academic excellence and academic maturity of Joseon society. 본 연구의 목적은 영조대 현직무신에게 무경학습을 장려한 전경무신(專經武臣)의 친림전강(親臨殿講) 제도 규정과 그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법전규정과 영조대 실제 운영사항이 기재된 『전강등록(殿講謄錄)』을 중심으로 세부운영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그 특징을 파악하고 영조대 전경무신 제도가 어떠한 배경에서 활성화되었는지 그 의미를 논의해보고자 하였다. 전경무신은 매년 분기별 4차례, 무경칠서(武經七書)에 대한 이해능력을 평가받아야 했다. 국왕은 친림전강의 방식을 통해 주기적으로 전경무신들과 대면하여 무경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묻고 자질이 있는 무신들을 계속해서 양성해갔다. 우등자에게는 누적성적에 따라 포상하였다. 연속 세 차례 우등자에게는 가자(加資)나 승륙(陞六)과 같은 인사 혜택을 주는 방식으로 포상하였다. 연속적으로 우등한 경우가 아닌 경우, 숙마(熟馬) 등을 하사하는 방식으로 누적성적에 따라 차등 시상하여 학습을 장려하였다. 시험에 통과하지 못하면, 재시험을 시행하거나 정도에 따라 파직하였다. 당파 간의 싸움에서 왕위에 어렵게 즉위한 영조는 왕권을 강화하는 한편 관료재교육 및 관리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였다. 영조는 직접 대면하여 관료들의 견식(見識)을 알아볼 수 있는 친림전강의 방식을 선택하였다. 친림전강은 관료를 계속 교육하고 몸소 군사(君師)로서의 모범을 보일 수 있는 최적의 방식이었고, 영조는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그 결과는 영조대 각종 전강의 재정비 및 절목(節目)의 반포로 이어졌다. 무신재교육을 위해 영조는 전경무신 제도를 활성화하였다. 재능있는 젊은 무신을 선발하여 주기적인 평가를 통해 무경지식을 계속 배양해가는 시스템을 체계화하였다. 이러한 인재양성 시스템은 국왕의 학문적 탁월성과 조선사회의 학문적 성숙이 뒷받침되지 않고서는 불가능했을 것이다.

      • KCI등재

        조선후기 유생전강 운영 연구

        정지연 교육사학회 2019 교육사학연구 Vol.29 No.2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tendencies of the operation of Yuseang-jeon'gang(儒生殿講) in the late Joseon dynasty. From King Injo's reign to King Gyeongjong's(1623-1724), due to the many times regular Yuseang-jeon'gang was skipped, the king implemented the irregular Yuseang-jeon'gang and the regular Yuseang-jeon'gang supervised by the king. From King Yeongjo's reign to King Jeongjo's(1724-1800), Yuseang-jeon'gang was conducted without major interruptions. King Yeongjo preferred Dogi-jeon'gang(到記殿講), an irregular test, to Ilcha-jeon'gang(日次殿講), a regular test. King Jeongjo spilt the regular Yuseang-jeon'gang into Ilcha-jeon'gang and ChunChuDogi(春秋到記), a test originating from Dogi-jeon'gang. From King Sunjo's reign to King Cheoljong's(1800-1863), the core of Yuseang-jeon'gang was ChunChuDogi. While the focus of Yuseang-jeon'gang was supplementation of regular Yuseang-jeon'gang up until King Yeongjo's reign, starting from King Jeongjo's reign it changed to the stable conduct of Yuseang-jeon'gang by ChunChuDogi. 본고는 조선후기 유생전강의 규정 및 운영 과정을 검토함으로써 해당시기 유생전강 운영의 경향성을 파악하고자 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조-경종 연간(1623-1724) 유생전강은 다른 성균관 과시와 마찬가지로 간헐적으로 시행되었다. 이 시기 유생전강은 1년 6번의 시행 횟수를 채우지는 못했지만, 후대로 갈수록 장기간 결행하는 경우는 은사의 혜택이 큰 친림전강이나 불시의 도기전강을 실시하여 정기전강의 결행을 보완하였다. 영조‧정조대(1724-1800) 유생전강은 정기전강의 결행을 보완함과 동시에 유생들의 경학 공부를 장려하기 위한 방책으로 활용되었다. 영조는 정기의 일차전강보다는 불시에 시행하는 도기전강을 자주 실시함으로써 유생들의 경서 학습과 성균관 거재를 장려했다. 정조는 영조대 중반에 시행되었던 도기유생에 대한 분제강(分製講)을 춘‧추도기로 정식화하고 성균관 과시 중 가장 높은 위상을 확립시켰다. 정조는 일차전강에 관‧학 재임의 자원일경강(自願一經講)을 시행함으로써 사학 재임의 경학 공부를 장려하고, 상재생제술(上齋生製述)을 겸행함으로써 생원‧진사의 제술 실력을 향상시키는 방편으로 일차전강을 활용했다. 순조-철종 연간(1800-1863) 유생전강은 정조대까지 확립된 규정을 기본으로 하여 운영되었다. 이 시기 일차전강은 특정시기를 제외하고는 거의 운영되지 않은 반면, 춘‧추도기 전강은 대부분 1년 2번의 시행 횟수를 채우며 안정되게 운영되었다. 순조-철종 연간 장기간의 일차전강 결행에 대한 문제제기가 없었던 것은 춘‧추도기 전강을 통하여 전강 응시자의 은사 획득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영조대까지 유생전강이 정기전강의 결행을 보완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면, 정조대 이후 유생전강은 춘‧추도기의 설치를 통해 1년 2번의 안정적인 유생전강의 시행을 보장했다. 순조-철종대 유생전강은 영조‧정조대의 경서 학습 및 성균관 거재 장려 등과 같은 정책적 지향보다는, 유생들의 공부 경향을 인정하고 그에 따른 인센티브를 보장하는 방식을 유지했다.

      • KCI등재

        조선 후기 인조~숙종 대 성균관 과시의 운영

        최광만 교육사학회 2023 교육사학연구 Vol.33 No.1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management state of Sungkyunkwan gwasi from Injo to Sukjong regim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basic framework of Sungkyunkwan gwasi changed from Jeongang(殿講)/Jeolje(節製)/Yungang·Yuncha(輪講·輪次) to Jeongang/Jeolje/Tongdok(通讀) in the period. But the final change was completed in Sukjong regime. Second, the influence of Sungkyunkwan gwasi was increased, especially in Jeolje. The frequency of the examination in Injo regime regime was 0.6 a year. But it became 2.2 in Sunkjong regime. And the number of the honor students was expanded from 0.4 to 3.0 a year. Third, educational police function of Sungkyunkwan gwasi was enforced. Injo hold the examination on negative lines, but Sukjong made the best use of the examination as a educational policy means. And the tendency of Sukjong influenced on Yongjo and Jeongjo in 18th century. 본 연구는 인조~숙종 대 성균관 과시의 운영 상황을 분석한 내용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 후기 성균관 과시의 기본 틀이 마련되었다. 인조 대까지만 해도 정기 과시는 이전의 방식에 따라 전강/절제/생진윤강·윤차로 시행되었지만, 현종 대에 이르면 전강/절제/통독으로 변화한다. 그러나 숙종 1년(1675)에 통독이 폐지되고, 숙종 28년(1702)에 새로운 통독이 재개되었던 점을 감안하면, 이 변화의 완료 시점은 숙종 후기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성균관 과시의 영향력이 증가하였다. 인조~현종 대의 정기 과시는 규정된 횟수(전강 6회, 절제 5회)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은 수준(전강 1.3회, 절제 0.6회)이었다. 그러나 숙종 대부터 시행 빈도가 점차 증가하여, 숙종 전기에는 절제의 시행 빈도가 연평균 2.3회로 이전에 비하여 4배 증가하였고, 숙종 후기에는 친림전강을 강화하였다. 이에 따라 직부전시자도 인조~현종 대 연평균 0.4인에서 숙종 대에는 3.0명(전기 3.3인, 후기 2.7인)으로 7.5배로 급증하였다. 셋째 성균관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과시를 정책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하였다. 인조~현종 대에는 규정 내에서 제한된 방식으로 성균관 과시를 시행하는 소극적 접근에 머물렀지만, 숙종 전기에는 도기전강과 도기제술을 도입하고, 숙종 후기에는 통독을 재개하는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였다. 이러한 조치는 궁극적으로 강제겸비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숙종 대의 시도는 영조와 정조 대 성균관 과시 정책의 시발점이 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헌종․철종대 성균관 과시 운영 연구

        정지연 한국교육사학회 2019 한국교육사학 Vol.41 No.3

        This study aims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 of the operation of the Seonggyungwan(成均館)-Guasi(課試) by examining its concrete aspects during King Heonjong’s reign through King Cheoljong’s reign(1834-1863). During this period, Ilcha-jeon’gang(日次殿講), a regular oral test, was seldom administered. Jeolilje(節日製), Hwanggamje(黃柑製), a regular written test, and ChunChuDogi(春․秋到記), a regular written and oral test, were more commonly implemented. Eungje(應製), an irregular written test, was also often implemented. The special benefits(恩賜) of the Seonggyungwan-Guasi were expanded during King Cheoljong’s reign than King Heonjong’s. During King Heonjong’s reign through King Cheoljong’s reign, the Seonggyungwan-Guasi was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rules. Especially during King Cheoljong’s reig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arts of the Seonggyungwan-Guasi became weaker. This was because the level of special benefits and the style of the written test of Seonggyungwan-Guasi were similar during King Cheoljong’s reign. As a result, during King Cheoljong’s reign, the Seonggyungwan-Guasi operations were quantitatively expanded in comparison to King Heonjong’s. 본고는 헌종․철종대(1834-1863) 성균관 과시 운영의 실제를 검토하고 그 운영상의 특징 및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헌종․철종대 강서 과시는 춘․추도기 전강이 가장 높은 위상을 가지고 운영되었다. 봄과 가을의 춘․추도기 전강은 대부분 결행없이 시행되고 최고은사로 1명에게 직부전시를 내리는 법규대로 운영되었다. 통독 역시 법규대로 1년 11차 시행을 기준으로 하여 운영되었지만, 해당 은사 및 관․학의 기재생(寄齋生) 보충과 관련하여 강서 응시자 중심으로 운영된 것으로 짐작된다. 일차전강은 헌종대 전반(前半)에는 시행되지 않다가, 헌종이 친정을 시작한 7년(1841) 이후로 헌종8년(1842)부터는 적게는 1년에 1번, 많게는 1년에 5번 정도 시행되었다. 철종대에 일차전강은 시행되지 않았다. 헌종․철종대 제술 과시는 정규 과시인 절일제 및 황감제, 춘․추도기 제술은 결행없이 대부분 시행되었으며, 비정기 과시인 응제도 시행되었다. 헌종대의 응제는 주로 황단참반유생응제로 시행되었는데, 철종대는 황단참반유생응제 외에도 각종 응제를 시행하였다. 철종대는 헌종대와 마찬가지로 성균관 과시가 안정적으로 시행되었지만, 이전 시기에 비하여 제술 과시에서 최고은사가 비슷해지고 은사가 확대되며 시제가 동일화되는 변화가 나타난다. 이 과정에서 철종대는 제술 과시 간 위상이나 성격의 차이는 거의 사라지게 되었고, 과시에 의한 직부전시자 수가 증가하게 되었다. 헌종대 성균관 과시는 이전 시기의 운영 규정을 준수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반면 철종대 성균관 과시는 규정에 의하기보다는 최고은사가 상향 조정되고 은사가 확대되는 등 양적으로 확장된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 KCI등재

        영조 대의 성균관 과시 정책

        최광만 ( Kwangman Choi ) 한국교육사학회 2015 한국교육사학 Vol.37 No.3

        본 연구는 영조 대 성균관 과시정책의 추진과정을 3시기로 구분하여 고찰한 내용이다. 영조는 경화 사자가 성균관의 중심으로 되고, 성균관 유생들이 경학과 제술을 겸비한 인재로 성장하는 것을 성균관 개혁의 목표로 삼았고, 이를 위해 성균관 과시를 중요한 정책적 수단으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기의 정책(영조 즉위년-영조17년)은 과시의 기본규정을 변경하지 않고, 임금의 재량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전강과 관련해서는 모든 거재생을 불시에 평가하는 도기전강을 주로 시행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조치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자신이 직접 시험을 관장하는 친림전강을 선호하였다. 절제와 관련해서는 거재생을 응시대상으로 하는 시험을 강화하고자 하였지만, 큰 효과는 얻지 못했다. 중기의 정책(영조 18년-영조 34년)은 과시규정을 대폭 개편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태학유생원점절목 의 제정은 그 시발점으로서, 이 시기 정책의 주안점은 경화 사자를 성균관에 유입하는 데에 있었다. 원점유생 절제의 응시자격에 원점 50점을 부가한 것이나, 전강에 제술시험을 허용한 것은 모두 이와 관련되어 있다. 후기의 정책(영조 35년-영조 52년)은 과폐이정윤음 을 통해 과거개혁과 연계하여 추진되었다. 이 시기 정책의 주안점은 유생들이 제술과 경학을 겸비하도록 하는 데에 있었다. 이러한 정책에 따라 성균관 과시는 모두 경학과 제술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이 정책은 6년 정도 추진되다가 영조 42년 (1766) 과폐이정윤음 이 철회됨으로써 이전의 제도로 환원되었다. 그러나 영조의 성균관 과시정책은 정조에게 계승되어 개혁정책의 중심모델이 되었다. This study aims at revealing the process and the purpose of the policy of Sungkunkwan examinations in the period of King Yongjo``s reign. King Yongjo made a great effort to improve the ability of the students by Sungkunkwan examinations, especially Jeongang (Chinese classic test) and Jeolje (literature test). He pushed the policy by three stag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olicy of the first stage (1724-1741) was characterized as carrying new measures by his discretion without the change of the regulations. He tested the Chinese classic ability of all students at unawares in Jeongang and tried to limit the qualification for application to the resident students in Jeolje. But the measures were not effective. The second stage policy (1742-1758) began by promulgating the resident rule of Sungkunkwan students. The rule included many provisions for the change of Sungkunkwan examinations. The purpose of the second stage policy was focused on strengthening the educational foundation by taking the noble class students in Sungkunkwan. The final stage policy (1759-1776) began by promulgating the royal commands about correcting the Imperial examination problem. The policy aimed at accomplishing his purpose that the noble class students took the lead Sungkunkwan and they developed his ability of Chinese classic and literature. But it stopped unexpectedly in 1766. Afterwards, the task of the reformation was handed over to King Jeongjo (1776-1800), the successor.

      • KCI등재

        숙종대 성균관 과시 운영 연구

        정지연(Cheong, Ji-Yeo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7 敎育思想硏究 Vol.31 No.3

        본고에서는 조선후기 과시가 제도적으로 정착되어 가는 숙종대의 성균관 과시 운영의 실상을 파악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숙종대 성균관 과시는 시관, 응시생, 상급 등은 규정대로 운영되었으나 시행 자체는 순탄하지 않았다. 정부의 유고나, 시관인 대제학이나 대사성이 유고하거나, 유생들의 공관으로 인하여 과시를 시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시행여부는 과시에 따라서도 차이가 났다. 정기과시를 오랫동안 시행하지 못할 때는, 특명과시를 활용하여 그를 보완할 수 있었다. 숙종대 전반에는 특명과시를 활용하여 과시의 시행을 보완하려는 노력이 드러나지 않는다. 숙종대 후반에는 특명과시를 활용하여 시행 일자가 정해져 있는 과시의 시행을 보완했다. 삼일제가 시행되지 못하는 시기에는 특명제술을, 전강이 실시되지 못하는 시기에는 친림전강이나 ‘도기 유생전강’을 실시하였다. 과시의 은사는 제술 시험에서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지만, 친림전강과 ‘도기유생전강’의 경우는 후대로 갈수록 은사의 상급이 높아지고 인원도 확대되었다. 은사 중 직부전시는 식년시, 증광시, 별시에 사용하게 했던 반면, 직부회시와 급분은 식년시에만 사용하게 했다. 후대에는 식년시 시기가 뒤로 미뤄지면, 그 사이 시행된 과시에서 직부회시나 급분의 은사를 받은 이들이 당해 식년에 은사를 사용하도록 해서 은사자들을 배려했다. 숙종대 성균관 과시는 시관의 유고, 유생들의 상황, 혹은 국가의 행사로 인해서 제대로 시행하지 못하는 경우는 있었으나, 적어도 숙종대 후반에는 그것 역시 규정 안에서 보완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과시를 시행하지 못해도 아무 문제가 없는 것이 아니라, 시행하지 못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그와 같은 보완책을 사용한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crete aspects of the operation of the Seonggyungwan-Guasi(課試) during King Sukjong s reign(1674-1720). During King Sukjong s reign, the Seonggyungwan-Guasi was operated according to the rules of the examiners, entrants and special benefits(恩賜). But it was not usually implemented, because there was another occasion of the dynasty in the day of Seonggyungwan-Guasi, or the examiners had the other official works, or the entrants protested against the government. King Sukjong was able to order a special Seonggyungwan-Guasi implemented for the supplementation. This supplementation was not used during the first half of King Sukjong s reign, but it was during the latter half. King Sukjong made entrants perform a special writing test after the fixed writing tests in a festive day(節日製) were not implemented for a long time. Also he made entrants perform a special oral test about Confucian classics after the fixed oral tests in the palace(殿講) were not implemented for a long time. Using this system, the special benefits improved over time and the way of using the benefits improved for the entrants. During King Sukjong s reign, the Seonggyungwan-Guasi sometimes was not implemented. But, at least, during the latter half, there were some effort for the supplementation. Because it was thought of the problem that the Seonggyungwan-Guasi was not implemented for a long time.

      • KCI등재

        정조 대 전경무신(專經武臣) 제도의 운영 연구

        이연진 온지학회 2023 溫知論叢 Vol.- No.74

        This study examined the operation of “Jeongyung-Mooshin(專經武臣)” policy during Jeong-jo (正祖)'s regime. It tri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 of this policy. Jeong-jo tried to actively operate the policy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based on the Yeong-jo (英祖)’s regul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eration are as follows. It was conducted periodically four times a year, which was for enhancing education regarding the Seven Military Classics(武經七書) for military officials. The procedures were also done in accordance with the way Yeong-jo has done and were listed in the Code of Law, Daejeontongpyeon(大典通編), 1785, the ninth year of Jeong-jo’s reign. Jeong-jo actively managed Jeon’gang (殿講) performed directly by the king, all the time. He strictly managed the test results for ensuring that the policy was operated effectively. Those who failed the test were retested in order to check the level of learning. Punishment was imposed according to the grades. Meanwhile, promotion benefits were given if the performers were outstanding. The expansion of the king's discretion wa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operation. I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in-service education for the military officials during Jeong-jo's regime. 본 연구는 정조 대 무신재교육 양상을 살펴보는 일환으로 정조 대 전경무신(專經武臣) 제도의 운영상 특징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논의해 보고자 한다. 정조 대 전경무신 제도의 운영 특징은 기본적으로 영조 대에 마련된 관련 절목의 시행방침을 준수하면서 정조 나름의 재량이 발휘된 점이다. 예컨대 매년 분기별 4차례 주기적으로 전경무신을 시험한 기본원칙은 준수하고자 하였다. 정조는 직접 시험을 주관하는 친림전강의 방식으로 주기적인 시행 원칙을 고수하였다. 특정한 사유가 있어 시행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그 다음 차례에 이전에 실시하지 못한 전강까지 별도로 시행하였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영조 대 전경무신 관련 절목의 주요 원칙은 정조 대 『대전통편』의 전경전강 조항으로 법규화되었다. 한편 정조의 재량권이 가장 두드러진 사안은 전경무신들의 성적 처리방식이었다. 정조는 전경무신의 성적에 따라 포상과 처벌방식을 직접 관리하였다. 직접 무신들의 무경 능력을 평가하여 우수한 무신들을 발탁하는 한편 무신 전반의 무경 지식을 향상시키고자 처벌을 엄격히 하였다. 시험에 통과하지 못한 무신을 처리하는 대표적인 방식은 해당 무경내용을 능숙히 이해할 수 있을 때까지 입직시키는 것이었다. 영조 대는 불통자를 대개 의금부에서 관리하여 금추(禁推)하는 것으로 그쳤으나 정조는 병조의 책임 하에 해당자를 소속관아에 숙직시키고 재시험을 시행하여 그 학습 정도를 확인토록 했다. 재시험 성적 정도에 따라 수속(收贖) 등의 실질적인 처벌조치가 내려졌다. 한편 성적우등자가 특출할 경우 참하관은 참상관으로 승륙(陞六)하는 등의 인사상 혜택이 바로 주어졌다. 이러한 정조의 재량권 확대는 제도 운영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방향을 모색한 결과였다.

      • KCI등재

        「봉황음(鳳凰吟)」과 고려 가요의 구조적 관련성

        정경란 ( Kyung Rhan Chung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1 石堂論叢 Vol.0 No.49

        별곡체의 악장인 「봉황음(鳳凰吟)」은 조선 초기 세종 때 윤회(尹淮, 1380∼1436)가 창제한 왕가에 대한 송축가로 「처용가(處容歌)」의 악곡에 가사만 바꾼 곡이다. 조선 초기 신제(新制)된 악가는 고려 때부터 전래하는 악곡의 선율을 빌어 가사만 바꾸는 형태로 창제하였는데, 「봉황음」이 고려의 어느 악곡을 취하여 만들어졌는지는 밝혀진 바 없다. 「봉황음」과 고려 가요의 구조적 관련성을 찾기 위하여 「봉황음」과 여음, 종지형, 용강법 등에서 관련이 있는 악곡인 「진작(眞勺)」·「자하동(紫霞洞)」·「성황반(城皇飯)」·「정읍(井邑)」의 4곡과의 악곡 분석을 시도하였다. 악곡 분석 결과, 음악구조에 있어서 「봉황음」의 전강은 「진작」의 전강·중강·후강에서 가져왔고, 「봉황음」의 부엽은 「진작」·「성황반」·「자하동」의 부엽과 거의 유사하며, 「봉황음」의 중엽은 「진작」의 대엽을 가져왔으며, 「봉황음」의 소엽은 「정읍」의 소엽과「자하동」의 일부선율을 차용하였다. 「봉황음」의 후강은 「진작」의 중강과 후강에서 가져오고, 「봉황음」의 대엽은 「진작」의 대엽을 확대하고 중강선율을 포함시켰다. 「성황반」의 선율들은 「봉황음」의 소엽을 제외한 전강, 부엽, 중엽, 후강, 대엽의 선율들과 거의 같거나 유사하여 「봉황음」이 「성황반」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봉황음」은 고려 때의 「진작」·「성황반」·「자하동」·「정읍」의 악곡에서 선율 및 음악구조를 차용하고, 가사만 새로 개작한 곡임을 확인하였다. 「봉황음」은 세종실록악보 로는 80행(1행 32정간), 대악후보 로는 160행(1행 16정간)에 달하는 1·2·3곡으로 이루어진 대곡(大曲)이다. 이렇게 방대한 곡을 가사만 바꿔서 연주하자니 고려 때의 여러 악곡을 참고하여 개작한 흔적이 보인다. 「봉황음」은 조선 초기에 가사가 개작되기는 했으나, 전혀 새로 만들어진 곡이 아님을 확인할수 있었고, 특히 무가인 「성황반」과 거의 유사하여, 신라시대부터 내려온 「처용가」의 음악이 고려시대 「성황반」을 거쳐, 조선시대 「봉황음」으로 가사만 개작되어 이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Bonghwangeum``is an early-Joseon song of an akjang genre, in the style of byeolgokche, written by Yun Hoe (1380-1436)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praising the glory of the royal house. Bonghwangeum` is essentially the same song as ``Cheogyongga,`` having only different lyrics. To find Koryo gayo songs having structural similarities with Bonghwangeum,``an additional analysis performed to determine structural similarities between ``Bonghwangeum`` and Goryo`s gayo songs showed that ``Jeongeup`` has the same type of soyeop (a section of a stanza) as the Joseon song. Hence, four total songs were identified as closely related to ``Bonghwangeum``: ``Jinjak,`` Jahadong, ``Seonghwangban`` and ``Jeongeup.`` The comparison of Bonghwangeum`` and these four songs revealed that the Joseon song borrows its melodic structure directly from ``Jinjak`` and Seonghwangban,`` and its yeoeum from ``Jahadong.`` Its structure is also largely based on Goryeo songs. For example, the jeongang stanza of ``Bonghwangeum`` merges the three stanzas of ``Jinjak`` namely, jeongang, junggang and hugang, the first, second and the third stanzas. As for the daeyeop stanza of ``Bonhwangeum,`` it expands on the daeyeop of ``Jinjak,`` and the buyeop is directly borrowed from ``Jeongeup`` and ``Jahadong.`` In the case of ``Bonghwangeum,`` this study found that it borrows melodic segments from various Goryeo songs, and not a single song, such as ``Jinjak, ``Seonghwangban,`` ``Jahadong`` and ``Jeongeup.`` ``Bonghwangeum`` is a long song, consisting of 80 lines (32 jeonggan) according to Sejong sillok akbo, and 160 lines (16 jeonggan) according to Daeak hubo. As they attempted to perform such an exceptionally long song with a new set of lyrics, they seem to have felt the need to re-arrange the song by consulting other songs from the Goryeo period. Although its lyrics were newly rewritten in early Joseon, this study found that ``Bonghwangeum`` is not at all a new song and that it is virtually identical to ``Seonghwangban,`` a shamanistic song from the Goryeo period. Hence, ``Cheoyongga`` originating in Silla appears to have been adapted into ``Seonghwangban`` once into the Goryeo period, and this adaptation was sung in Joseon, this time, under the title ``Bonghwangeum,`` with a new set of lyrics.

      • KCI등재

        「鳳凰吟」과 고려 가요의 구조적 관련성

        정경란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1 石堂論叢 Vol.0 No.49

        ‘Bonghwangeum'is an early-Joseon song of an akjang genre, in the style of byeolgokche, written by Yun Hoe (1380-1436)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praising the glory of the royal house. ‘Bonghwangeum’ is essentially the same song as ‘Cheogyongga,’ having only different lyrics. To find Koryo gayo songs having structural similarities with ‘Bonghwangeum,’an additional analysis performed to determine structural similarities between ‘Bonghwangeum’ and Goryo’s gayo songs showed that ‘Jeongeup’ has the same type of soyeop (a section of a stanza) as the Joseon song. Hence, four total songs were identified as closely related to ‘Bonghwangeum’: ‘Jinjak,’ ‘Jahadong,’ ‘Seonghwangban’ and ‘Jeongeup.’ The comparison of ‘Bonghwangeum’ and these four songs revealed that the Joseon song borrows its melodic structure directly from ‘Jinjak’ and ‘Seonghwangban,’ and its yeoeum from ‘Jahadong.’ Its structure is also largely based on Goryeo songs. For example, the jeongang stanza of ‘Bonghwangeum’ merges the three stanzas of ‘Jinjak’ namely, jeongang, junggang and hugang, the first, second and the third stanzas. As for the daeyeop stanza of ‘Bonhwangeum,’ it expands on the daeyeop of ‘Jinjak,’ and the buyeop is directly borrowed from ‘Jeongeup’ and ‘Jahadong.’ In the case of ‘Bonghwangeum,’ this study found that it borrows melodic segments from various Goryeo songs, and not a single song, such as ‘Jinjak,’ ‘Seonghwangban,’ ‘Jahadong’ and ‘Jeongeup.’ ‘Bonghwangeum’ is a long song, consisting of 80 lines (32 jeonggan) according to Sejong sillok akbo, and 160 lines (16 jeonggan) according to Daeak hubo. As they attempted to perform such an exceptionally long song with a new set of lyrics, they seem to have felt the need to re-arrange the song by consulting other songs from the Goryeo period. Although its lyrics were newly rewritten in early Joseon, this study found that ‘Bonghwangeum’ is not at all a new song and that it is virtually identical to ‘Seonghwangban,’ a shamanistic song from the Goryeo period. Hence, ‘Cheoyongga’ originating in Silla appears to have been adapted into ‘Seonghwangban’ once into the Goryeo period, and this adaptation was sung in Joseon, this time, under the title ‘Bonghwangeum,’ with a new set of lyrics. 별곡체의 악장인 「봉황음(鳳凰吟)」은 조선 초기 세종 때 윤회(尹淮, 1380∼1436)가 창제한 왕가에 대한 송축가로 「처용가(處容歌)」의 악곡에 가사만 바꾼 곡이다. 조선 초기 신제(新制)된 악가는 고려 때부터 전래하는 악곡의 선율을 빌어 가사만 바꾸는 형태로 창제하였는데, 「봉황음」이 고려의 어느 악곡을 취하여 만들어졌는지는 밝혀진 바 없다. 「봉황음」과 고려 가요의 구조적 관련성을 찾기 위하여 「봉황음」과 여음, 종지형, 용강법 등에서 관련이 있는 악곡인 「진작(眞勺)」․「자하동(紫霞洞)」․「성황반(城皇飯)」․「정읍(井邑)」의 4곡과의 악곡 분석을 시도하였다. 악곡 분석 결과, 음악구조에 있어서 「봉황음」의 전강은 「진작」의 전강․중강․후강에서 가져왔고, 「봉황음」의 부엽은 「진작」․「성황반」․「자하동」의 부엽과 거의 유사하며, 「봉황음」의 중엽은 「진작」의 대엽을 가져왔으며, 「봉황음」의 소엽은 「정읍」의 소엽과 「자하동」의 일부선율을 차용하였다. 「봉황음」의 후강은 「진작」의 중강과 후강에서 가져오고, 「봉황음」의 대엽은 「진작」의 대엽을 확대하고 중강선율을 포함시켰다. 「성황반」의 선율들은 「봉황음」의 소엽을 제외한 전강, 부엽, 중엽, 후강, 대엽의 선율들과 거의 같거나 유사하여 「봉황음」이 「성황반」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봉황음」은 고려 때의 「진작」․「성황반」․「자하동」․「정읍」의 악곡에서 선율 및 음악구조를 차용하고, 가사만 새로 개작한 곡임을 확인하였다. 「봉황음」은 『세종실록악보』로는 80행(1행 32정간), 『대악후 보』로는 160행(1행 16정간)에 달하는 1․2․3곡으로 이루어진 대곡(大曲)이다. 이렇게 방대한 곡을 가사만 바꿔서 연주하자니 고려 때의 여러 악곡을 참고하여 개작한 흔적이 보인다. 「봉황음」은 조선 초기에 가사가 개작되기는 했으나, 전혀 새로 만들어진 곡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무가인 「성황반」과 거의 유사하여, 신라시대부터 내려온 「처용가」의 음악이 고려시대 「성황반」을 거쳐, 조선시대 「봉황음」으로 가사만 개작되어 이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