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교적의(敎迹義)」 텍스트의 변천 연구(2) : 원측과 원효의 「중경교적의」 인용 태도를 중심으로

        이상민(Lee, Sangmin) 불교학연구회 2020 불교학연구 Vol.65 No.-

        본고는 원측 찬 『무량의경소』와 원효 찬 『열반종요』를 통해, 지론학파의 저술인 「중경교적의」가 후대에 수용되고 변용된 양상을 추적하고 그 사상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고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원측 찬 『무량의경소』에는 중국과 인도의 경전관을 열거하면서 「중경교적의」가 인용되고 있지만, 「중경교적의」가 논파 대상으로 삼았던 돈점 5시7계교와 일음교를 재인용할 뿐 「중경교적의」의 본래 논의는 거의 고려되지 않는다. 오히려 그의 논의는 3시교에 대한 청변과 호법의 논쟁을 소개하는 것으로 나아가는데, 이는 원측의 시대에 있었던 최신예의 교학적 논쟁이었다. 2. 원효 찬 『열반종요』는 「중경교적의」의 문구를 원용하여 남북조 시대의 경전관을 소개하고 「교적의」 특유의 비시간적 경전관 또한 제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원효는 「중경교적의」의 주장 또한 돈점 5시7계교와 대립하는 극단의 설로 재해석하고 있으며, 이처럼 재구성된 양극단의 관점을 극복하는 화쟁의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3. 『무량의경소』와 『열반종요』에 나타난 「중경교적의」의 인용 태도를 통해 우리는 하나의 텍스트가 시대의 변천에 따라 어떠한 방식으로 활용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제로, 「교적의」 텍스트를 작성한 모든 논사들은 같은 지향점, 즉 양극단을 떠난 중(中, Madhyama)의 태도를 추구하고 있었다. 그러나 원측이나 원효와 같은 후대의 논사들은 전대의 논사들이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큰 관심이 없었던 듯하다. 그들에게는 그들의 시대가 요청하는 문제의식이 있었고, 이를 위해서 과거의 텍스트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혹은 극복해야할 대상이 되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4. 다른 관점에서 보면, 텍스트의 변용은 그 텍스트에 새로운 역할을 부여한다. 『무량의경소』가 청변과 호법의 3시교를 제시하고, 『열반종요』가 양 극단을 벗어난 교판을 선언하는 과정에서 사용된 「교적의」 텍스트는, 하나의 텍스트가 변용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생명력을 얻고 있음을 보여준다. This paper aims to trace the textual and ideological transformations from Jingying Huiyuan (淨影慧遠)’s Zhongjingjiaojiyi (衆經敎迹義, “The Meaning of the Teachings of the Buddha in the various Sūtras”) to the later writings written by the eminent Silla monks, that is, Wuliangyijing Shu (無量義經疏, “A Commentary to the Mahānirdeśa-sūtra”) of Woncheuk (圓測) and Yeolban Jongyo (涅槃宗要, “The Core Teachings and Essentials of the Mahāparinirvāṇa-sūtra”) of Wonhyo (元曉). Both texts selectively quote sentences of the Zhongjingjiaojiyi and reform it for their own purpose and discussions. Since Woncheuk and Wonhyo were focusing on the doctrinal problems and discussions in their time, the original intention of the Zhongjingjiaojiyi was ignored. In the result, the philosophical structure of the Zhongjingjiaojiyi had faded away. These examples reveal the peculiarities of Buddhist thought thorough the transformation of a text. Regardless of the times, Buddhist monks pursued the middle (madhyama) beyond two extremes. This applies not only to Woncheuk and Wonhyo but also to the previous monks. However, one text can only be fully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era in which the text was written. A text that was directed towards the madhyama of yesterday, comes to be understood as an extreme argument of today. However, the transformed text is still playing a role in the Buddhist tradition, as a source being used to identify the Middle of the new era.

      • KCI우수등재

        「교적의(敎迹義)」 텍스트의 변천 연구(1)-법상「교적의」에서 『대승의장』 「중경교적의」로의 변용을 중심으로

        이상민 불교학연구회 2020 불교학연구 Vol.63 No.-

        This paper aims to trace the textual and ideological transformations of the view on the Buddhist sacred texts from Fashang(法上)’s Jiaojiyi (敎迹義, “The Meaning of the Teachings of the Buddha”, henceforth “JY”) to Jingying Huiyuan(淨影慧遠)’s Zhongjingjiaojiyi (衆經敎迹義, “The Meaning of the Teachings of the Buddha in the various Sūtras”, henceforth “ZhJY”); both were written in late 6th Century China.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ZhJY is established under the direct influence of the JY. While the text of ZhJY provides more elaborate sentences which were refined from JY, the main argument of JY seems to be distorted through the revision. ZhJY inserted new but false information that JY did not consider. It resulted in a distortion of the historical facts reflected in JY. In addition, JY claim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Buddhist Sūtras since they are all derived from the Buddha himself, but in the process of recounting these contents, ZhJY claims that the teachings conveyed by all scriptures are different. As a result, ZhJY has become a less consistent and incomplete work compared to JY. Incidentally, it was ZhJY that had had a more powerful impact on later Buddhists of East Asia in spite of its structural imperfection. Therefore, the Buddhist monks in the Tang Dynasty have come to encounter and criticize the thoughts of their former generation through the ZhJY which cannot be assessed as an accurate description of the tradition. 본고는 법상(法上, 490-580) 찬 「교적의(敎迹義)」와 이를 저본으로 작성된 『대승의장(大乘義章)』 「중경교적의(衆經敎迹義)」의 텍스트 비교 연구이다. 고찰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중경교적의」는 법상「교적의」의 문구를 답습하면서도 세세한 수정을 가하였다. 그 수정은 법상「교적의」의 내용을 진전시키려는 의도를 지니고 있었으나 결과적으로 법상「교적의」가 세밀하게 고안하였던 의도들을 훼손시키는 논의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그러한 개변에는 법상「교적의」의 내용을 진전시키려는 의도를 지니고 있었으나 결과적으로 법상「교적의」가 세밀하게 고안하였던 의도들을 훼손시키는 내용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2) 법상「교적의」는 “어떤 이의 설(一云)”로서 돈점 5시7계교와 일음교를 제시하였으나, 「중경교적의」에서는 돈점 5시7계교를 남조 논사 유규의 설로, 일음교를 지론학파의 종조였던 보리유지의 설로 명기하였다. 그러나 본고는 돈점 5시7계교가 유규의 설이 아닌 지론학파 성립 이전 북조에서 유행한 설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보리유지는 일음교 뿐 아니라 반만교를 설하였지만 「중경교적의」는 마치 일음교만이 보리유지의 설이고 반만교는 자설(自說)인 것처럼 서술하였다. 이는 「중경교적의」가 법상「교적의」의 텍스트를 수정하는 과정에서 사실에 맞지 않은 오해 내지는 왜곡을 담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3) 「중경교적의」는 대승경전이 모두 궁극적인 교설을 담고 있다는 법상「교적의」의 입장을 따라가면서도 문장의 가필이나 수정 과정에서 본래 지니고 있었던 텍스트의 정합성을 훼손시켰다. 전거가 명확하지 않은 경전의 설시(說時)를 추가하였고, 법상「교적의」의 텍스트를 변형하여 ‘각 경전에 종취의 구분이 있다’는 설로 개정하는 과정에서 경전에 대한 보편적인 이해와는 다른 해석을 제시하였기 때문이다. 결국 「중경교적의」의 내용은 법상「교적의」가 본래 지니고 있었던 문헌적, 사상적 통일성을 훼손시킨 불완전한 문헌이 되었다. 그러나 후대의 사상적 영향력은 「중경교적의」가 압도적이었고, 후대의 논사들은 「중경교적의」를 통해서 남북조시대의 경전관을 이해하게 된다.

      • KCI등재

        한국인에서의 부정교합 여부와 골격형태, 연령, 성별에 따른 교합력의 비교

        윤혜림(Hye-Rim Yoon),최윤정(Yoon-Jeong Choi),김경호(Kyung-Ho Kim),정주령(Chooryung Chung) 대한치과교정학회 201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40 No.5

        본 연구는 한국인 정상교합자와 부정교합자 사이의 교합력의 크기와 교합 시의 접촉 면적의 차이 및 골격 형태와 교합 관계, 연령, 성별이 교합력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정상교합자 15명, 부정교합자 636명에서 일회용 pressure sensitive sheet (Dental Prescale<sup>ⓡ</sup> 50H, typeR, Fuji Film Corp., Tokyo, Japan)를 자연 두부위에서 최대 근력으로 교합하도록 한 후, CCD camera (Occluzer<sup>ⓡ</sup> FPD 707, Fuji Film Corp., Tokyo, Japan)로 판독하여 교합력의 크기 및 접촉 면적을 측정하였다. 정상교합자군의 교합력의 크기는 744.5 ± 262.6 N, 접촉면적은 24.2 ± 8.2 ㎟으로, 부정교합자군의 439.0 ± 229.9 N, 12.4 ± 10.7 ㎟에 비해 교합력의 크기와 접촉 면적이 유의하게 컸다 (p < 0.05). 부정교합자군의 경우 연령에 따른 교합력의 차이는 없었으나, 남자가 여자에 비해 큰 교합력을 가지고 있었다 (p < 0.05). 악안면의 전후방적인 골격 형태를 나타내는 ANB 및 골격성 1급 부정교합에서의 구치부의 Angle 분류는 교합력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수직적인 골격 형태를 구분하는 mandibular plane angle, gonial angle이 큰 경우, 교합력이 유의하게 작았다 (p < 0.05). 하지만, 교합력의 크기와 접촉 면적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점과 접촉 면적을 통제한 상태에서의 골격 형태와 교합력의 크기 사이에는 유의할 만한 상관관계가 없는 점을 고려한다면 수직적인 골격 형태가 직접적으로 교합력에 영향을 주기보다는 수직적인 골격 형태에 따른 접촉 면적의 감소가 교합력 저하에 관여한다고 판단된다. (대치교정지 2010;40(5):304-313)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occlusal force and contact area and to find its associating factors in Koreans. Methods: Occlusal force and contact area in maximum intercuspation were measured using the Dental Prescale<sup>ⓡ</sup> system in 651 subjects (15 with normal occlusion, 636 with various malocclusions divided into subgroups according to the skeletal pattern, Angle’s molar relationship, age and gender). Results: Occlusal force of the normal occlusion group (744.5 ± 262.6 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malocclusion group (439.0 ± 229.9 N, p < 0.05). Occlusal force was similar regardless of differences in ANB angle or Angle’s molar classification, however the increase in vertical dimension significantly reduced occlusal force (p < 0.05). Conclusions: Occlusal forc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malocclusion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occlusion group, and in females compared to males, but it was not affected by age, antero-posterior skeletal pattern or molar classification. Although a hyperdivergent facial pattern indicated lower occlusal force compared to a hypodivergent facial pattern, the differences in skeletal pattern were not the primary cause of its decrease, but a secondary result induced by the differences in occlusal contact area according to the facial pattern. (Korean J Orthod 2010;40(5):304-313)

      • KCI등재

        명장(明將) 교일기(喬一琦)의 죽음으로 본 심하전역(深河戰役)

        김일환 열상고전연구회 2019 열상고전연구 Vol.68 No.-

        Four huge units of the Ming Dynasty made a sortie at the same time to clear the Hetuala (赫圖阿拉), the base of the Hou Jin Dynasty, in 1619. Thirteen thousand Joseon soldiers with Gang Hongnip(姜弘立) as the general commander were affiliated with the troops of Yu Jeong forwarding to Hetuala in the east. The main unit of Yu Jeong(劉綎) was destroyed by the mounted troops of Hou Jin while the left regiment of Joseon led by Kim Eungha(金應河) following the main unit was also defeated. As Gang Hongnip, who had not joined the battle, tried to negotiate settlement with the troops of Hou Jin, General Qiao Yiqi(喬一琦) of the Ming Dynasty, who had been left in the camp of the Joseon army in a supervisory role, committed suicide. Gang Hongnip surrendered and became a prisoner, taken to Hetuala, the capital of Hou Jin. His soldiers escaped or returned to Joseon through negotiation. As the survivors returned to Joseon, the official report that Qiao Yiqi chose suicide to keep his integrity and the testimonies of other stories were continuously presented. In the fiction “Choicheokjeon(崔陟傳, Tale of Choi Cheok)”, adopting a non-fiction style, a testimony was disclosed that Yi Minhwan(李民寏), the secretary of Gang Hongnip, handed Qiao Yiqi to the troops of Hou Jin to survive. Then, Yi Minseong, the elder brother of Yi Minhwan who was driven to the corner as the betrayer, fiercely denied the testimony by immediately composing two poems. Yi Minhwan dodged his responsibility by writing about his life as a prisoner for one year and 7 months. Gwon Chik, another secretary who barely escaped to Joseon, pointed out that Gang Hongnip drove Qiao Yiqi to his death in his writing ‘Gangnojeon(姜虜傳, Story of a Barbarian with the Surname ‘Gang’)’ in which Gang Hongnip was the main character in 1630. His insistence was accepted like a true argument due to the negative awareness of Gang Hongnip that had been spreading since 1627 (Chinese invasion of Korea). Qiao Yiqi, who testified to the bravery and the desire to fight of the Joseon army in “Chungnyeollok” created for Kim Eungha who died a heroic death, became the victim betrayed by the Joseon army. Qiao Yiqi became the subject of sympathy who kept integrity by committing suicide, a subject to be protected, not the general of the suzerain state supervising and managing the Joseon army. 1619년 명나라는 후금의 본거지 허투알라(赫圖阿拉)를 소탕하기 위해 4개의 대규모 부대를 동시에 출격시켰다. 강홍립(姜弘立)을 총사령관으로 한 1만 3천명의 조선군은 동쪽에서 허투알라로 진격하는 유정(劉綎)의 부대에 소속되었다. 후금의 기마부대에 유정의 본군이 먼저 궤멸된 뒤, 뒤따르던 김응하(金應河)의 조선군 좌영(左營)도 전멸했다. 전투를 회피한 강홍립이 후금 군대와 강화 교섭에 나서자, 조선군 감시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조선군 진영에 남아있던 명나라 장군 교일기(喬一琦)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강홍립은 항복하여 후금의 수도 허투알라로 끌려가 포로 생활을 하고, 그의 부대원들은 탈출하거나 교섭으로 조선에 복귀하였다. 생존자들이 귀국하면서, 교일기가 절개를 지키기 위해 스스로 죽음을 선택했다는 공식 보고와 다른 내용의 증언이 나왔다. 「최척전(崔陟傳)」에서 강홍립의 종사관 이민환(李民寏)이 생존을 위해 교일기를 후금군에 넘겨주었다는 증언이 나오자, 악인으로 몰린 이민환의 형 이민성(李民宬)은 즉각 2편의 시를 지어 이를 격렬하게 부정했고, 이민환은 1년 7개월 동안의 포로 생활을 「책중일록(柵中日錄) 으로 정리하면서 그 책임을 회피했다. 강홍립의 개인 비서였던 권칙(權侙)은 1630년에 「강로전(姜虜傳)」을 지어 교일기를 죽음으로 내몬 사람으로 강홍립을 특정했다. 정묘호란(1627) 이후 확산된 강홍립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바탕으로 이는 정론처럼 굳어졌다. 김응하와 조선군의 용맹함과 전투 의지를 확인시켜주는 ‘증인’이었던 교일기가 이제 조선군의 배신으로 희생 당한 피해자가 되었다. 그리하여 조선군을 감시․감독하던 ‘상국(上國)’의 장군이 아니라 ‘우리’가 보호해 주어야 했던 대상, 스스로 목숨을 끊어 충절을 지킨 동정의 대상이 되었다.

      • <浦項 中城里 新羅碑> 연구의 쟁점과 논의

        이현섭 ( Lee hyeonseop ),전덕재 ( Jeon Deogjae ) 단국사학회 2021 史學志 Vol.61 No.-

        본고는 지난 12년간 <포항 중성리 신라비>의 연구성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향후 학계의 합리적인 비문 해석안 도출을 위한 토대를 제공하기 위하여 준비된 것이다. 현재까지 중성리비와 관련된 논쟁의 주요 쟁점은 크게 3가지로 파악된다. 첫 번째는 비문의 판독과 건립연대에 관한 문제이다. 두 번째는 ‘敎’, ‘白’, ‘世令’, ‘云’ 등과 같은 動詞의 해석 문제이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는 사건의 피고와 원고, 분쟁 대상에 대한 이해 문제이다. 우선 비석의 건립연대에 대한 논의는 1행 5자의 판독 문제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 일부 연구자들의 경우 해당 부분의 글자를 ‘中’자로 파악한 뒤 441년설을 주장하기도 하지만, 대다수의 연구자들은 비문의 건립연대를 501년(지증왕 2)으로 파악하고 있다. 두 번째 쟁점은 각 동사의 주어 및 목적어와 관련되어 있다. ‘敎’와 ‘白’의 경우 奈麻 관등의 인물들이 ‘敎’의 목적어가 되는지 白의 주어가 되는지의 문제인데, 이는 ‘夲牟子’를 職名으로 이해하느냐 人名으로 이해 하느냐의 여부에 달려있다. ‘白’의 목적어는 보통 爭人集團이라고 이해하지만, 일부 연구자는 사건의 내용 혹은 ‘世令’, ‘云’ ‘奪·還’ 등의 동사를 모두 포괄하여 파악하기도 한다. 특히 爭人集團의 성격과 관련하여 ‘분쟁당사자’와 ‘公論集團’, ‘職名’으로 이해하는 견해가 제시되었다. ‘世令’의 주어는 일반적으로 ‘使人集團’이라고 파악되나 그 구성을 둘러싸고 다양한 의견이 제기되었다. ‘世’의 해석에 대해서도 ‘세간’ 혹은 ‘시점’으로 파악하는 견해가 대립하고 있다. 云의 주어는 ‘世令 이하의 지방유력자’, ‘敎 또는 敎集團’, ‘使人集團’으로 보는 견해가 제시되었다. 그 내용은 豆智沙干支宮(9행 6자)부터 作民沙干支(10행 9자)까지로 파악되나 연구자에 따라 문장 구성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마지막 쟁점은 주로 ‘宮’이 무엇인가에 대한 견해차로 인해 파생되는 문제이다. 일단 다수의 연구자들이 宮을 건물 혹은 가문 등으로 이해하고 분쟁의 피고를 豆智沙干支宮과 日夫智宮으로, 원고는 ‘牟旦伐’, ‘牟旦伐喙’, ‘牟旦伐喙作民沙干支’ 등으로 파악하고 있다. 반면, 이를 개인의 재산으로 이해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豆智沙干支와 日夫智를 원고, 두지사 간궁과 일부지궁을 분쟁의 대상으로 파악한다. 분쟁의 대상은 食邑, 토지, 金鑛, 宮, 作民 등으로 보는 견해가 제시되었다. ‘白口’는 기존 금석문에서 용례를 찾아볼 수 없기 때문에 그 해석에 대해 다양한 의견들이 제시되었다. 이에 대한 연구자들의 해석은 ‘白을 강조한 해석’과 ‘口를 강조한 해석’ 그리고 ‘白과 口를 구분한 해석’으로 범주화할 수 있다. 또한 ‘白口’는 敎의 범주와 관련된 동사라고 할 수 있는데, 주어인 使人 果西牟利의 소속과 비문의 성격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 ‘若後世更噵人者与重罪’를 敎에 포함시키기도 하고 비석 건립의 절차와 연계하여 파악하기도 한다. 이상의 쟁점들은 部名 및 官等制에 대한 이해, 爭人과 지방유력자들의 성격과 같이 당대 역사적 상황에 대한 이해가 연구자들마다 상이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따라서 합리적 비문 해석안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5세기 후반∼6세기 초반 신라의 지방통치 실상과 麻立干時期 흥해지역의 성격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동반될 필요가 있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is prepar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research results of Pohang Jungseong-ri Silla-stele(浦項 中城里 新羅碑) over the past 12 years and a foundation for deriving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inscriptions in the future. To date, there are three main issues in the debate related to the Jungseong-ri stele. The first is a issus of reading inscriptions and the date of construction. The second is the interpretation of verbs such as ‘Gyo (敎)’, ‘Baek(白)’, ‘Seryoung(世令)’ and ‘Wun(云)’. Finally, the third is the issue of understanding the defendant, the plaintiff, and the subject of dispute in the case. First of all, the discussion on the construction date of the stele is directly related to the reading problem of 1st line 5th characters. Some researchers claim that the inscription was built in 441 after identifying the letters of the part as ‘Jung(中)’, but most researchers identify the construction date of the inscription as 501(2nd year of King Jijeung). The second issue is related to the subject and object of each verb. In the case of ‘Gyo(敎)’ and ‘Baek(白)’, it is a matter of whether characters such as the group of Nama(奈麻集團) are the objects of ‘Gyo(敎)’ or the subject of Baek(白), which is depends on whether they understand of ‘Bonmoja(夲牟子)’ as an official title or as a personal name. The object of 'Baek(白)' is usually understood as the group Jaeng-in(爭人集團), but some researchers understand as the content of the event or include verbs such as ‘Seryoung(世令)’, ‘Wun(云)’, and ‘Tal·Hwan(奪·還)’. In particular, in relation to the character of group of Jaeng-in(爭人集團), a view to understand as ‘group of dispute’, ‘arbitration committee’, and ‘official title’ was suggested, and group of Sa-in(使人集團) is generally understood as the subject of ‘Seryoung(世令)’, but various opinions were raised about the composition of people. There are also conflicting views on the interpretation of ‘Se(世)’ as ‘world’ or ‘that time’. There was a view that the subject of ‘Wun(云)’ was ‘the local ruling class recorded after Seryoung(世令)’, ‘Gyo(敎) or group of Gyo(敎集團)’, and ‘group of Sa-in(使人集團)’. The contents range of ‘Wun(云)’ are generally understood from Dujisaganjigung(豆智沙干支宮)(9th line, 6th characters) to Jakminsaganji(作民沙干支)(10th line, 9th characters), but the opinions about the sentence structure are divided depending on the researcher. The last issue is a problem that derived mainly from understanding of what ‘Gung(宮)’ is. First, many researchers not only estimated 'Gung(宮)' as a building or family, but also understand that the defendants in the dispute are ‘Dujisaganjigung(豆智沙干支宮) and Ilbujigung(日夫智宮)’. Simultaneously, the plaintiff is understood ‘Modanbeol(牟旦伐)’, ‘Modanbeolhwe(牟旦伐喙)’, ‘Modanbeolhwejakminsaganji( 牟旦伐喙作民沙干支)’ and so on.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understood as an individual property. In this case, ‘Dujisaganji(豆智沙干支) and Ilbuji(日夫智)’ are identified as the plaintiffs, and ‘Dujisaganjigung(豆智沙干支宮) and Ilbujigung(日夫智宮)’ are identified as object of dispute. The opinions were presented that the subject of the dispute was Sigeup(食邑), farmland, gold mine, Gung(宮), Jakmin(作民) and so on. Since ‘Baekgu(白口)’ can't be found example in any existing epigraph of Silla, various opinions have been presented on its interpretation. Researchers' interpretations on that word can be categorized into ‘interpretation that emphasizes Baek(白)’, ‘interpretation that emphasizes Gu(口)’, and ‘interpretation that distinguishes between Baek(白) and Gu(口)’. Also, ‘Baekgu(白口)’ can be said to be a verb related to the category of Gyo(敎). Depending on the affiliation of the subject Sa-in Gwaseomoli(使人 果西牟利) and how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inscription, ‘Yakhusegaengdoinjayeojungjoe(若後世更噵人者与重罪)’ may be included in the Gyo(敎). And some researchers have understood that the sentence was part of the ceremonial erecting of the stele. The above issues arise because each researcher has a different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situation of the time, such as understanding of name of Bu(部名) and Official-Rank(官等) System of Silla, and the characteristics of Jaeng-in(爭人) and the local ruling class. Therefore, in order to derive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inscriptions, it can be seen that it is necessary to fully review the fact of Silla's local governance in the late 5th and early 6th centuries and the nature of the Heunghae area during the Maripgan(麻立干)-period.

      • KCI등재

        학령 전 어린이의 교합력과 구순 폐쇄력

        조나영,김형운,김재곤,백병주,양연미,Cho, Nayoung,Kim, Hyeongun,Kim, Jaegon,Baik, Byeongju,Yang, Yeonmi 대한소아치과학회 201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2 No.3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bite force and lip closing force in preschool children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forces by age, height and weight, respectively. Data were obtained from 98 children (56 males, 42 females) ranging from 3 to 6 years of age. The magnitude of the bite force was measured bilaterally corresponding with the 2nd primary molars using a bite force gauge, $GM10^{(R)}$ (Nagano Keiki) and the force of lip closure was measured using LIP DE $CUM^{(R)}$ (Cosmo Instruments). The averages of bite force for boys and girls were 217.69 N and 205.05 N,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bite force with age, height, and weight presen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p < 0.001, p < 0.001, and p < 0.001, respectively). The averages of lip closing force for boys and girls were 4.81 N and 4.07 N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lip closing force with age, height, and weight presen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p < 0.001, p < 0.001, and p < 0.001,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boys and girls (p > 0.05) in both forces.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lip closing force and bite force (p = 0.002). 본 연구는 학령 전 어린이의 정상적인 교합력과 구순 폐쇄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3-6세의 어린이 9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60명의 성인을 대조군으로 교합력과 구순 폐쇄력을 측정하였다. 좌우측 평균 교합력은 남아에서 217.69 N, 여아에서 205.05 N이었고, 평균 구순 폐쇄력은 남아에서 4.81 N, 여아에서 4.07 N이었다. 어린이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교합력, 구순 폐쇄력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성인에서는 교합력과 구순 폐쇄력 모두 남성이 여성보다 유의하게 큰 값을 보였다. 교합력과 구순 폐쇄력은 연령, 신장, 체중 모두에 대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어린이의 교합력과 구순 폐쇄력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얻어진 정상적인 교합력 및 구순 폐쇄력은, 비정상적으로 낮은 값을 보이는 어린이를 감별하여 훈련을 통해 정상적인 성장을 유도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交泰丸에 대한 心腎不交의 病機분석과 그 조성약물의 配伍분석

        이석희,노종성,신순식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022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35 No.3

        Objectives : 交泰丸은 전통적으로 心腎不交로 생긴 怔忡과 不眠에 대하여 응용하여 왔고, 그 실험연구와 임상연구가 있으나 그 病機와 配伍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여 이를 조사하였다. Methods : 韓氏醫通과 四科簡效方에 수재된 交泰丸의 病機와 配伍를 분석하였다. 오아시스(OASIS)와 CNKI에서 ‘交泰丸’, ‘교태환’의 검색어로 최근의 연구성과를 반영하였다. Results : 交泰丸은 韓懋의 韓氏醫通에 처음으로 조성약물과 用法이 수재되었으나 用量과 方名은 제시되지 않았으며 心腎相交는 제시되었다. 王士雄의 四科簡效方에서 비로서 조성약물의 구체적인 용량, 用法과 方名이 제시되었으며, 心腎不交로 생긴 怔忡과 不眠을 치료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Conclusions : 交泰丸의 心腎不交의 病機는 心과 肾의 두 臟의 氣, 血, 陰 및 陽이 失调되어 유발된 腎陽虛와 心火旺에 의한 心腎兩不相交이다. 交泰丸은 黃連 5돈과 肉桂 5푼으로 조성되었고, 그 용량비율은 10:1 이다. 黃連은 歸經이 주로 心經이고 性味가 苦寒하여 心火를 瀉하고 君藥으로 쓰였으며, 肉桂는 歸經이 주로 腎經이며 性味가 辛甘熱하여 腎水를 溫하며 또한 引火歸元하고 佐藥으로 쓰였다. 肉桂는 上濟하고 黃連은 下降하여 心과 腎을 交通하고 水와 火를 旣濟하는 효과를 거두게 한다. 결론적으로 交泰丸은 心腎不交 중에서 心腎兩不相交를 君藥인 黃連과 佐藥인 肉桂가 쓰여 心腎相交로 전환시킴으로써 心腎不交로 인한 不眠과 怔忡을 치료하는 방제이다.

      • KCI등재

        교정용 호선 굵기에 따른 교합력 비교

        임자경,김민석 대한구강해부학회 2021 대한구강해부학회지 Vol.42 No.1

        본 연구는 교정 치료 동안 교정용 호선의 굵기가 교합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인공 식괴인 실리콘블록 교합 시 교합력의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실험 모델로 사용한 타이포돈트는 제1 소구치를 발치한 형태로, 각 치아는 실리콘 인상재로 치주 인대를 재현하였고, 브라켓을 간접 부착술로 접착하였다. 모형의 구치부 치아들 설측에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하였다. 다양한 두께의 스테인레스 스틸 호선을 삽입한 상태에서 만능물성시험기로 200 N의 압축력을 가하여 치아별로 각각의 교합력을 측정하였고, 5 mm 두께의 실리콘 블록을 제작하여 구치부 교합면에 위치시킨 후 동일한 실험을 실행하였다. 각 실험을 10 회씩 반복하였다. 호선의 굵기가 커질수록 제2소구치에서 교합력은 증가,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에서 교합력은 감소하였다. 세 개의 구치부 치아들에 가해지는 교합력의 합은 감소하였다. 실리콘 블록 교합 시 저작물이 놓이는 최후방치아의 교합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교합 시 호선이 굵어질수록 전방치아로 교합력이 스플린팅되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너무 굵은 호선은 임상에서 사용 시신중하게 고려되어야 하며, 음식물 저작 시 접번 운동에 의해 최후방구치에 가장 큰 교합력이 집중되었음을알 수 있었다.

      • KCI등재

        교차문화 아이들(CCKs: Cross-Culture Kids)의 문화적응스트레스 보호요인의 맥락적 이해 및 효과적 상담전략

        오인수(Oh, Insoo),이승은(Lee, Seung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5

        본 연구는 교차문화 아이들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보호요인을 종합적인 맥락 속에서 이해함으로써 상담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차문화 아이들에 대한 교육 및 상담 경험이 있는 전문가 5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포커스그룹인터뷰(FGI)를 실시하여 교차문화 아이들의 맥락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차문화 아이들의 이주목적, 출국시기와 체류기간, 국외환경과 국내환경에 따라 그들이 겪는 문화적응스트레스는 다양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차문화 아이들의 문화적응스트레스는 크게 3가지의 부적응으로 나타났다. 한자와 속담을 잘 모르고, 익숙하지 않은 한글 맞춤법과 어려운 발음 등과 같은 ‘언어적응의 어려움’, 학교생활에서의 학습과 시험에 대한 부담감, 친구들끼리의 따돌림 문화, 게임 문화 등과 같은 ‘학교적응의 어려움’, 또한 친구 사귀는 것에 대해서 소극적이거나, 선생님과의 상하 관계에서 오는 어려움과 같은 ‘관계적응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유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위한 보호요인으로는 개인의 성격, 사회적 기술, 높은 자존감 등 ‘개인적인 보호요인’과 부모의 적극적인 지원 및 역할, 교사의 관심 등 ‘환경적인 보호요인’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차문화 아이들의 정서ㆍ행동 문제를 문화적응의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이해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적응 및 교육적 성장을 돕기 위한 상담전략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결과는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was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Cross-Culture Kids(CCKs) by investigating their acculturative stress and protective factors in a comprehensive context and to come up with implications for effective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this purpose, five experts with educational and counseling experience on CCK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a focus group interview(FGI)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ontextual characteristics of CCK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CCKs’ migration purpose, the time and duration of departure and stay, and the acculturative stress they experienced, depending on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domestic environment, are different. CCKs’ acculturative stress was shown in three major types of maladapta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acculturative stress is caused by ‘difficulty in adapting to Korean language’ such as Chinese characters and proverbs, unfamiliar Korean spelling and difficult pronunciation; ‘difficulties in adapting to school system and culture’ such as learning and test-taking in school; ‘difficulty in adapting to school’ such as violent culture among friends such as bullying; and difficulties in making friends; or ‘difficulties in adapting to relationships’ with teachers. Protective factors have been identified as “personal protective factors” such as an individual’s personality, social skills, and high self-esteem, as well as “environmental protective factors” such as active support and parent’s roles and interest of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not only provides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issues of CCKs from a cultural context point of view, but also presents implication for effective counseling strategies to help them adapt and educational growth.

      • KCI등재

        김강대도(金剛大道)의 『교유문(敎諭文)』에 나타난 『주역(周易)』과 그 역학적(易學的) 의미: 人道의 근원과 도덕 실천을 중심으로

        임병학 ( Byeong Hak Lim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2 인문학연구 Vol.0 No.44

        김강대도(金剛大道)가 유(儒) 불(佛) 선(仙)3교의 합일을 통한 종교사상을 전개하고 있지만, 그 첫번째 저작인 『교유문(敎諭文)』에서는 유학의 학문적 체계를 중심으로 교리를 설명하고 있다. 『교유문(敎諭文)』에서는 역학(易學)의 학문적 탐구과제인 역도(易道)를 표상하는 천지인삼재지도(天地人三才之道)를 근거로 『주역(周易)』의 내용을 인용하여, 인도(人道)의 근원인 건곤(乾坤)과 도덕 실천의 내용인 인의(仁義) 그리고 도덕 실천과 선후천(先後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먼저 제2장 ``인도(人道)의 근원인 건곤(乾坤)``에서는 건곤(乾坤)의 의미와 그것이 도덕 실천의 근원임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즉, 『교유문』에서는 건곤이 역도(易道)에 들어가는 문으로 변화지도(變化之道)를 표상하고 있으며, 건곤(乾坤)의 뜻을 이은 군자가 인의도덕(仁義道德)을 실천하게 됨을 설명하고 있다. 또 건곤(乾坤)이 천지(天地)의 인격성을 상징하기 때문에 부모를 부가하여 건곤부모(乾坤父母)라 하였다. 제3장 ``도덕 실천의 내용인 인의(仁義)``에서는 『주역(周易)』과 사서(四書)를 인용하여 인의(仁義)는 도덕의 본원으로 공자와 맹자의 道임을 설명하였으며, 인의(仁義)는 인의예지사덕(仁義禮智四德)을 집약한 것으로 천도(天道)인 원형이정(元亨利貞)이 인간에게 품부된 것이기 때문에 인간 삶의 근본이 됨을 밝히고 있다. 인의(仁義)의 도덕적 실천은 부자유친(父子有親)·군신유의(君臣有義)·부부유별(夫婦有別)·장유유서(長幼有序)·붕우유신(朋友有信)의 오륜을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마지막 제4장 ``도덕 실천과 선후천(先後天)``에서는 先天은 기운이 자라는 과정이라면 後天은 기운을 보존하여 지탱하는 시기라 하고, 선천과 후천은 있는 것도 아니요 없는 것도 아니다하여 선후천(先後天)이 일체적 관계임을 설명하고, 이것이 도덕 실천의 실존적 주체인 군자의 도덕적 자각의 문제로 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ough Kumkangdaedo(金剛大道) has religious thought that joining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n the first chapter of it, study system of Confucianism is mainly doctirn. In 『Jiaoyuwen(敎論文)』, First, chapter 2 『Heaven and Earth(乾坤) of morality source』, I Wanted to announce the meanig of Heaven and Earth and it is the source of morality. 『Jiaoyuwen(敎論文)』 explained the Heaven and Earth is the door to enter the moral doctrine of changes(易道) and it represents the change of Dao(道), and the man of virtue(君子) that take over meaning of Heaven and Earth is practicing the humanity and justice(仁義). And because the Heaven and Earth represents character of Heaven and Earth, it named Heaven and Earth father and mother(乾坤父母) adding to father and mother(父母). In chapter 3 『humanity and justice(仁義) the content of moral practice』, it is explains that humanity and justice is the Dao of Confucius(孔子) and Mencius(맹자)``s through quoting the Book of Changes and the Four Books. In addition it says that humanity and justice is basis of human life. moral practice comes through the moral rules to govern the five human relations(五倫). In chapter 4『moral practice and XianHoutian(先後天)』, apriority is vigor``s growing process and Houtian(後天) is time to preserve and sustain vigor. Ultimatly Xiantian(先天) and Houtian are oneness, tthe man of virtue must realize th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