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종교복식 연구의 현황과 전망

        신광철 ( Kwang-cheol Shin ) 한국신종교학회 2016 신종교연구 Vol.35 No.-

        복식은 신종교의 특성을 드러내는 중요한 지표 가운데 하나이다. 복식학 분야에서 신종교복식에 대한 연구가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진 것에 비하여, 종교학 분야에서의 신종교복식 연구는 사실상 전무한 실정이다. 종교에서 복식은 성스러움을 실제적으로 체감하게끔 돕는 일종의 실감 미디어로서 기능한다. 이는 신종교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필자는 복식학 분야에서의 신종교복식 연구에 대한 현황을 검토함으로써, 종교학 분야에서의 신종교복식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는 실마리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복식학 분야의 신종교복식 연구의 내용을 검토한 결과, 이러한 연구들이 신종교에 대한 충실한 이해를 기반으로 한 것으로 보기는 어려웠다. 이는 복식학 분야의 신종교복식 연구가 실물로서의 복식에 집중된 까닭이며, 신종교복식이 지니는 의례적 차원 및 상징적 측면에 대한 조망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신종교복식이 지닌 의례적 차원 및 상징적 측면에 대한 연구는 종교학의 과제로 남는다. 궁극적으로는, `종교와 음식`, `종교와 건축`과 같이 `종교와 복식`에 대한 담론을 구축하는 데로까지 나아가야 할 것이다. Costume is one of important indicators to exhibit characteristics of new religions. Research about new religions` costume in the field of religious studies has been nonexistent actually, while that in the field of costume studies comparatively active. Religious costume functions as a sort of medium to help us feel sacredness practically. This phenomenon is more remarkable in new religions. I tried to get clue to direction of new religions` costume research in the field of religious studies by reviewing the present situation of new religions` costume in the field of costume studies. Reviewing research about new religions` costume in costume studies, it is difficult to say these researches of costume studies about new religions` costume stand on the basis of full understanding of new religions. I think there are two reasons about that. One is that the research of costume studies about new religions` costume is concentrated on costume as real object. The other is that the prospect about ritual and symbolic aspects of new religions` costume. Therefore the research about ritual/symbolic aspects of new religions` costume becomes a task of religious studies. Ultimate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iscourse about `religion and costume` such as `religion and food` and `religion and architect`.

      • KCI등재

        근대일본 법화계(法華系) 신종교의 역사적 성립과 발전-본문불립강(本門佛立講), 영우회(靈友會)의 역사적 전개와 교의(敎義)에 대한 일고-

        윤기엽 한국신종교학회 2010 신종교연구 Vol.22 No.-

        This research looked into the Honmon butsuruyukou(本門佛立講) and Reiyukai(靈友會) affiliated to new religions for Lotus-Sutra group in modern Japan. Now Japanese new religions are estimated to be above two thousand, the believers in new religion reach 10-20 percent of entire population in Japan and a half of them are believers of Lotus-Sutra group. Therefore, Japanese new religions, especially Lotus-Sutra group is the section which should be studi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existing state of Japanese religions. And the Honmon butsuruyuko and Reiyukai were representative of Lotus-Sutra group in the period of Japanese new religions’ appearing and booming. The Honmon butsuruyukou succeeded to Happhong school(八品派) or Nichiruyu(日隆)’s followers, and Soka Gakkai(創價學會) which prospered in the postwar era succeeded to Hugi school(富士派) or Nikko(日興)’s followers. The Honmon butsuruyukou(本門佛立講) was founded by Nagamachi nissen(長松日扇) in 1857, worshiping Nichiren(日蓮) as the founder of Nichirensyu(日蓮宗) and Nichiruyu(日隆) as the founder of Happhong school. Nagamachi nissen leaving the Happhong school’s priesthood tried to return the former state of the faith in Lotus-Sutra and reform the religious body through the Honmon butsuruyukou. Because the Honmon butsuruyukou emphasized profits showing in this world, it asserted that diseases could be cured and poverty overcame only by reciting Namumyouhorengekyou(南無妙法蓮華經). And stressing on profits showing in this world, it refused the authority of priests who attached to importance to afterlife, and asserted a religious body managed by general believers. The Reiyukai(靈友會) was founded by Kubo kakutaro(久保角太郞) and Kotani kimi(小谷喜美) in 1924. Kakutaro, a believer in the Sutra of Lotus, tried to realize the ideal world, establishing the creative belief which combined Shamanism with the faith in the Sutra of Lotus. And Kimi(喜美) who became the Shaman after extreme asceticism devoted herself to the propagation of the Reiyukai depending on spiritual skill. The Reiyukai flatly denied the priests’ existence, and asserted that family and nation would enjoy happiness only by taking care of ancestors. It also have tried to realize the ideal world of the Sutra of Lotus by general believers’ taking care of ancestors, and put great stress on believers’ being engaged in missionary work, and made them execute ethical norms, Seikou(正行). Though the Honmon butsuruyukou and Reiyukai was all new religions for Lotus-Sutra group by general believers, the one headed toward moderate reformation as a pioneer and the other was very aggressive in pursuing the propagation, taking a reformer stand. 본고는 일본 신종교의 한 부류인 법화계 신종교에 속하는 본문불립강과 영우회를 고찰한 글이다. 현재 일본의 신종교 교단은 2,000여개 이상으로 추정되고, 신자수는 일본 전체 인구의 10∼20%에 이르며, 또 그 절반 이상이 법화계 신종교의 신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일본의 종교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신종교 특히 법화계 신종교는 반드시 연구되어야 할 분야이다. ‘법화계 신종교’란 법화경의 신앙전통과 그것을 재해석한 니치렌(日蓮)의 사상을 계승한 신종교의 한 부류를 말하는 것으로서 본문불립강과 영우회는 신종교의 발생과 붐이 일던 시기(幕末∼昭和前期)에 법화계 신종교를 대표하는 교단으로서 본문불립강은 니치류 문류(日隆門流)인 팔품파(八品派)를 계승하고 있다. 또한 전후(戰後)에 크게 발전한 창가학회는 닛코 문류(日興門流)인 부사파(富士派)를 계승한 일련정종(日蓮正宗)의 재가단체이다. 본문불립강(후에 本門佛立宗)은 니치렌을 종조로 하고, 니치류를 문조(門祖)로 하여 나가마츠 닛센(長松日扇)이 1857년 쿄토(京都)에서 창시한 재가신도 모임(講)이었다. 팔품파(本門法華宗)의 승려였던 닛센은 환속 후 본문불립강을 열어 법화신앙의 본 정신으로 돌아가 타락한 교단을 개혁하고자 했다. 본문불립강에서는 현증이익(現證利益)을 강조하여 나무묘호렌게쿄(南無妙法蓮華經)를 암송함으로써 질병을 다스리고, 가난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가르친다. 본문불립강의 현증이익의 강조는 내세의 가치를 중시하는 승려의 권위를 부정하고 재가자 중심의 신앙활동을 주장하게 된다. 영우회는 1924년에 쿠보 카쿠다로(久保角太郞)와 코타니 키미(小谷喜美)가 창시한 법화계의 재가교단이었다. 법화신자인 카쿠다로는 법화신앙과 샤머니즘적인 전통을 결합한 독자적인 신앙을 확립하여 『법화경』의 이상세계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혹독한 수행을 거친 후 영능자(靈能者)가 된 키미는 영술(靈術)을 이용해 포교활동을 적극 펴나갔다. 영우회는 승려의 존재를 부정하며 각 개인이 가정에서 선조공양을 행함으로써 가정과 국가가 행복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재가자의 선조공양을 통해 법화경의 이상세계를 실현하고자 하는 영우회는 신자의 포교활동을 중시하여 가정모임의 성격인 법좌(法座)활동을 펴고, 윤리규범인 정행(正行)을 준수하도록 한다. 본문불립강과 영우회는 모두 니치렌의 사상을 계승한 혁신적인 법화계 재가교단이지만, 본문불립강이 선구적인 위치에서 온건한 개혁을 지향했다면, 영우회는 보다 개혁적인 입장에서 적극적인 포교활동을 전개한 교단이었다.

      • KCI등재

        한국 신종교연구의 세계화를 위한 과제와 전망 -한국 신종교학회와 세계 신종교학회의 만남을 중심으로-

        안신 ( Shin Ahn ) 한국신종교학회 2012 신종교연구 Vol.26 No.-

        본 논문은 한국 신종교학회의 세계화와 2011년 대만에서 열린 세계 신종교학회의 국제학술대회의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한국 신종교학자들의 당면 과제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로 신종교연구에서 최근 서구학자들의 관심이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로 확대되고 있다. 세계 신종교학회는 1970년대 서구신종교들의 부흥과 더불어 스웨덴, 이탈리아, 영국, 미국의 학자들이 주축이 되어 연구소와 지역학회를 중심으로 형성되었고 2009년에 국제학회를 결성하고 국제저널을 출판하고 있다. 2011년 처음으로 동양에서 세계대회가 개최됨으로써 한국 신종교학회와 세계 신종교학회의 활발한 상호 교류가 기대된다. 둘째로 대만의 유불선 다종교상황에서 기독교 사립대학 알레떼이아대학교(眞理大學校)의 대회유치는 세계 신종교학회의 학문적 위상과 연구범위를 잘 보여준다. 단순히 제도종교나 신종교 종단에 대한 연구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기독교와 이슬람을 포함한 기존 세계종교들의 새로운 변화들과 종교문화 콘텐츠의 종교성에 대해서도 깊은 관심을 보여준다. 셋째로 발표된 논문들의 내용을 분석해 볼 때 학제 간 연구, 사회과학적 접근, 종교문화의 콘텐츠분석, 비교종교연구 등이 연구의 주된 흐름으로 자리 잡고 있다. 넷째, 학술대회에 이어 마련된 대만지역 종교문화답사는 세계의 학자들이 대만의 종교인들을 직접 조우하며 ``살아있는 종교박물관``으로서 대만의 다종교상황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결론적으로 한국 신종교학회는 국제학술대회에 대한 지속적 참가와 학술교류를 위한 제반여건을 강화하고 신종교 관련 전문연구소들과 유관 학회들과의 긴밀한 협조를 이루어 장기적 안목에서 세계 신종교학회의 학술대회를 개최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준비가 필요하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task and respect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Academy of New Religions (KANR) by analyzing the 2011 Cesnur Taiwan Conference. Taiwan Conference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re is a paradigm shift from the West to the East in the study of new religions. Scholars of Sweden, Italy, UK, and USA have played major roles in studying new religions in the West since the 1970s. In 2009, they founded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New Religions (ISSNR), publishing its English journal twice a year. Taiwan Conference was the first conference held in Asia. We can expect active interchanges between KANR and international societies. Second, the multi-religious situation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n Taiwan and a Christian host institution, Aletheia University, reflect the present academic concern and boundary of ISSNR. The object of study covers institutional religions, new religious groups, new trends of existing religions, and religiosity of religious culture contents. Third, by classifying more than 50 papers delivered at the conference, inter-disciplinary studies, social science approaches, contents analysis of religious culture, and comparative study of religions are major trends. Fourth, post-conference excursion was very helpful for scholars to participate local festivals and to visit major Taiwanese religious communities. In conclusion, Korean Academy of New Religions needs to keep continual relationship with international scholars through conferences and communications. Strengthening the research abilities to study new religions and cooperating with other academic groups, KANR should create the creative environment to hold the next international conference of new religions.

      • KCI등재

        `신종교` 연구에 대한 비판적 성찰: `신종교` 개념 문제를 중심으로

        김태연 ( Kim Tae Yeon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17 종교문화비평 Vol.31 No.31

        본 연구는 `신종교` 개념 문제를 중심으로 하여 기존의 `신종교` 연구에 대해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현재 일반적으로 `신종교` 개념은 과거의 `유사종교`, `신흥종교`, `이단`, `사이비 종교단체`와 같은 부정적 함의를 탈피할 수 있는 중립적 개념이라고 주장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신종교` 개념은 이를 사용하는 학자마다 다른 방식으로 이해되고 있으며 `신종교` 개념이 등장하는 맥락은 서구의 경우와 한국의 경우가 상이하다. 한국의 경우 `신종교`를 1860년 동학 이래로 등장한 종교집단에 대해 사용하고 있지만, 미국이나 유럽에서의 `신종교` 개념은 1960년대 이래로 등장한 종교집단에 사용 된다. 또한 한국의 경우에는 일제시기 독립운동과 민족정신 함양에 기여한 `민족종교`, 그리고 엘리트보다는 넓은 `민중` 계층에 영향력을 발휘한 `민중종교`로서 `신종교`를 이해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서구에서는 개인주의와 세속화가 확산되면서 `기성종교`에 대한 대안으로서 등장하는 `신종교운동`, `컬트` 등을 가리킨다. 이러한 서구의 `신종교` 개념과 한국에서의 `신종교` 개념이 그 의미에 대한 성찰이 없이 혼용될 경우 `신종교` 개념은 더욱 모호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새롭다`는 형용사의 문제가 있다. 언제까지 `신종교`는 새로운 `종교`, 즉 `신종교`로 머물 수 있을까? 이를 위하여 본고에서는 `신종교`에 대한 국내외의 다양한 연구와 정의, 그리고 이를 둘러싼 상호 의미망에 대하여 검토하고 자 한다.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한국에서 `신종교` 개념의 정착과 개념상의 문제점에 대해 고찰한다. 3장에서는 한국에서의 `신종교` 이해에 대한 다섯 가지 경우를 살펴본다. 이후 미국과 독일의 대표적 사례를 중심으로 서구에서의 `신종교` 개념의 함의와 그 접근법에 대해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이를 통해 `신종교` 개념과 그 연구에 대해 반성적으로 접근하여 `신종교`라는 개념이 한국의 `신종교` 연구를 위한 분석적 범주로서 얼마나 유효한지를 성찰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examine the professional term of `new religion`, by analyzing the various researches on the problems, raised by the concept of `new religion`. It has been so far argued that the concept of `new religion` is a neutral term, being at least avoidable of the negative implications upon this terms like `pseudo-religion`, `emerging religion`, `heresy` and so on. In reality, any scholars who concern about the definition of this term do not agree each other on its connotation.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new religion` is varied along with the context where this term is used and applied: particularly, the usage of this terminology is quite different between Korea and the West, where it is first used as professional term. In Korea, `new religion` is designated as the various religious groups that have newly emerged since Donghak(東學) movement in 1860, but in the United States or Europe it is used to define new religious groups that have emerged since the 1960s. In Korea, there happens a tendency of calling `new religion` as a `people`s(kor.: 민중 Minjung) religion`, which contributed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enhanced the national spiri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o `people`s religion` is naturally accepted as `new religion` that impacted upon a wide range of people. In the West, on the other hand, `new religious movements` and `cults` are emerged as the alternatives to the `institutionalized religions`, under the influences of the wide spread of individualism and the secularization. The confused concept of `new religion` could be used in a more vague mode if not clearly reflected on its meaning and its usages in the cultural contexts in the West and in Korea. The adjective word of `new` is again the problematic for its connotations. How long can `new religion` stay as a `new religion`? This paper will examine these varieties of the definitions of `new religion` and the research papers, appeared up to now in Korea and the West, will be critically examined with their interrelated semantics. This paper is composed of as follows: In Chapter 2, I will consider how to settle down the concept of `new religion` in Korea and its conceptual problems. In Chapter 3, I will examine five prevalent definitions of `new religion` in Korea and some implications of the concept of `new religion` in the West. The approach methods of the West are provided, focused on the distinctive cases of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Finally, I will try to apply this re-evaluated concept of `new religion` to the researches to come, and to examine how the concept of `new religion` can be analytically categorized for the researches on `new religion` in Korea.

      • KCI등재

        『한국신종교사전』 편찬을 위한 기초연구-연구방법론의 제기로부터 표제어 추출까지-

        김도공 ( Do Gong Kim ),윤승용 ( Seung Yong Yun ),고시용 ( Shi Yong Ko ),김항제 ( Hang Je Kim ),원영상 ( Yeong Sang Won ),권동우 ( Dong Woo Kwon ),허남진 ( Nam Jin Heo ) 한국신종교학회 2014 신종교연구 Vol.31 No.-

        본 연구는 근현대 한국 신종교의 역사?교리?교조?조직?의례?문화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연구하여 사전(事典)으로 편찬하기 위한 기초 방법론의 제시와 표제어추출에 그 목적이 있다. 한국신종교사전의 편찬은 향후 신종교 관련 연구 및 일반적 활용을 위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근현대 한국문화의 연구를 위한학술 인프라구축에 기여할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진행한 작업은 『한국신종교사전』 편찬을 위한 ①신종교 관련자료의 조사, ②범주분류, ③표제어 추출이다. 『한국신종교사전』 편찬을 위한 분류체계는 크게 대분야, 중분야, 소분야로 하며,그 하위구조에 집필해 갈 구조를 다시 10개 범주로 구분하였다. 대분야는 자생신종교, 불교신종교, 기독교신종교, 외래신종교, 신종교(학)일반/신영성운동이다. 사전집필의 범주구분은 교단명, 인물, 교리/사상, 역사/사건, 의례/상징/문화예술, 문헌, 단체, 유적/성지, 조직/제도, 기타로 대별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표제어를추출하였다. 표제어는 각 교단의 한국종교문화사적 위상 및 연구 성과, 대사회적활동 등을 고려하여 대항목, 중항목, 소/세항목으로 구분·기술하도록 하였다. 항목 표제어 추출은 ①기초자료조사를 통한 표제어 추출, ②공동연구를 통한 1,2차 점검, ③사전편찬회의를 통한 3차 점검을 거쳐 완성하였다. ①기초자료조사를통한 표제어 추출은 문헌조사, 웹사이트를 통한 자료수집, 실태조사에 의한 확인으로 진행하였다. ②공동연구를 통한 1, 2차 점검 및 수정을 통해 대/중/소항목의 비율을 조정하고, 표제어 선정기준 및 원칙을 세워 ??한국신종교사전??에 적합한 표제어를 추출하도록 하였으며, 각 범주에 대한 표제어 선정기준을 마련하였다. ③사전편찬회의를 통한 3차 점검에서는 각 분야 전문가인 편찬위원들의 문제제기 및 의견을 수용하여 표제어의 전반적인 수정을 가하여 최종 점검을 받은 후 표제어를 확정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ynthetically review histories, doctrines, organizations, religious rituals, and cultures for the Korean new religions in the modern history and to suggest the methodology and entry words for the compilation of a new religion dictionary in Korea. The compilation of a new religion dictionary in Korea may serve as the objective basis for the further related studies and general uses, and can contribute to build the academic infra-structure for studying the modern Korean cultures. Especially, this research focused on 1) reviewing the related data and references, 2)classifying categories, and 3) suggesting entry words in new religions. The classification scheme, which consists of three scales (large, medium, and small) according to fields, includes the 10 categories as its sub-schemes. The large category is classified into 5 fields such as 1) native new religions, 2) Buddhist new religions, 3)Christian new religions, 4) foreign new religions, and 5) general new religions/new spiritual activities. The 10 categories of its subscheme is 1) religion title, 2) central figures, 3) discipline/thought,4) history/evenement, 5) ceremony/symbol/culture and art, 6)documents, 7) foundations, 8) historic site and shrine, 9) organization and system and 10) the others. The entry words are originated from these categories. The entry words are classified and described into the three types of articles : large, medium, and small, considering status, academic results, social activities for each entry word. The process for suggesting entry words passed through the three steps such as 1) sampling entry words based on the review for basic data and references, 2) the two times checking co-works and study, and 3) the final checking discussion by the committee for the compilation of dictionary. The second step had made adjustments tothe ratios of large, medium, and small article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checking works and suggested the standards and principles for sampling entry words. In the last step, the committee, which consists of experts in various fields, had made the final check through various problem presentation and discussions for entry words and come to the definite decision for entry words.

      • KCI등재

        한국 신종교 연구의 현황과 전망 -신종교연구지를 중심으로-

        김항제 ( Hang Je Kim ) 한국신종교학회 2009 신종교연구 Vol.21 No.-

        한국의 종교지형은 불교, 천주교와 개신교를 포함한 기독교가 주류이며 뒤안길로 밀려난 유교가 명맥을 겨우 유지하고 있고 한국의 신종교는 그 규모에 있어 주류 종교와 현격한 차이 때문에 많은 수에 비해 변변한 지형을 갖고 있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종교지형을 하나의 정원에 비한다면 밟고 밟아도 돋아나는 질경이 풀보다도 더 질긴 잡초인 한국의 신종교는 하나의 정원을 꾸미는 구색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난국의 신종교도 종교생태계를 지켜온 파수꾼역을 해왔다고 할 수 있다. 건강하게 지속될 수 있는 한국의 종교생태계는 다원화된 종교의 생태계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구의 신종교 스스로 종교생태계의 조화를 위한 종교라고 할지라도 종교의 사회적 기능 곧 통합기능을 상실한 채 역기능적인 한국의 신종교도 잡초의 밭에는 널려 있음도 부정할 수 없다. 그래서 한국의 신종교는 하늘의 별 만큼 생기기도 하고 멸하기도 한다. 이에 한국의 신종교를 비판적으로 연구하는 것은 한국의 신종교 자신을 위해서만이 아니고 한국의 종교생태계를 위해서도 피할 수 없는 요청이라고 할 수 있다. 하여 한국신종교학회는 새 천년기를 맞이하면서 출발하게 되었고 그에 부응하여 10여년의 세월이 흘러왔으며 학회지인 `신종교연구`는 매년 2집씩 총 19집(2008년 현재)을 출간하기에 이르렀다. 총 5천4백여 페이지에 달하는 `신종교연구`지에는 한국의 신종교를 연구해온 연구자들이 발표한 연구논문이 다수 실려 있어 한국 신종교 연구의 현황과 전망을 대략이나마 살피는데 크게 부족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 신종교 연구의 현황과 전망을 한국신종교학회의 학회지인 `신종교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은 나름대로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한국신종교학회의 `신종교연구`지를 통해 살핀 `한국 신종교 연구의 현황과 전망`은 비록 한국의 신종교 연구를 전체로 현황과 전망을 말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그러나 한국의 신종교를 연구하는 저작물이나 학술발표가 극히 미미한 점을 생각한다면 반드시 그렇지도 않다. 한국신종교학회가 한국의 신종교 연구를 선도하는 한국의 유일한 학회이며 `신종교연구`지는 한국신종교학회의 학회지잉기 때문이다. 다만 본 논문에서 덧붙이고 싶은 제언이 있다면 세계화시대를 맞이하여 신종교 연구를 위한 국제적 연대 또한 꼭 필요하고 요청되는 활동이 아닌가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신종교학회에서도 국제학술회의를 2년마다 개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일본에서 열리는 신종교 연구를 위한 국ㅈ적 연대도 그러한 의미에서 매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제적 연대가 온라인상에서도 이루어져 연구의 자료와 내용을 공유하고 상호 연구를 진작 시키는 노력이 경주된다면 금상첨화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Religions in Korea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main groups: Buddhism, Roman Catholicism and Protestantism. In comparison, Confucianism maintains its slender existence and new religions are not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However, an important point to emphasize is the fact that the new religions in Korea have been keepers watching diversities of religions. On the contrary, contributing to social integration of the new religions is still open to criticism. That is an important reason why so many new religions have destroyed themselves. Over the past 10 years, a considerable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by Korean Association for the new religions. An example of the studies is the journal of new religions published twice a year. There are numerous studies in the journal of new religions. The present and future of Korean new religions have been discussed in the journals. But the question of universal validity remains unsettled. Is spite of this limitation, what is apparent is Korean Association for the new religions is an leading association studying new religions in Korea. Now we are in the age of globalization. International network and activities for the new religion studies can be helpful to meet the needs of the times. International conference can be a good example to illustrate one of our efforts.

      • KCI등재

        신정론 유형으로 본 한국의 신종교

        김항제 ( Hang Je Kim ) 한국신종교학회 2012 신종교연구 Vol.27 No.-

        신정론(Theodicy)이란 이 세상에 현존하는 악과 그에 따른 고통 그리고 불의에 대한 하나님의 의를 설명하는 신학적 성찰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이유 없이 당하는 고통과 그 고통을 당하는 의인들에 대한 신학적 성찰이다. 이러한 신정론은 오늘날에도 만연하고 있는 고통과 소위 고통 받는 인간 곧 의인 때문에 범종교적인 주제가 되고 있다. 특히 의인의 고통에 대한 신학적 이해는 어떤 종교든 관심하는 것이고 신종교 또한 같은 맥락에서 그에 대한 신학적 답변을 요청받고 있다. 한국 신종교의 신정론은 그 태생적 이유 때문에 대개의 경우 종말론적 신정론을 갖고 있다. 한국의 신종교도 기성종교(established religion)에 대한 종파(sect)의 성격을 갖고 태어났으며, 종파로서의 성격 중 가장 분명한 것은 종말론적 시대경륜론dispensation)을 갖고 있다는 점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신종교의 시원으로 볼수 있는 동학(천도교)부터 그 사상적 특징 중 하나가 개벽사상 혹은 지상천국사상인 점을 보면 분명하다. 한국의 신종교는 내세에서의 복락만을 추구하지 않는다. 오히려 한국 신종교의 관심은 현세에서의 구원에 있다. 따라서 내세에 관한 교리가 없거나 미약하며 현세에서의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 교리가 지배적이다. 그러나 신정론 유형으로 본 한국 신종교는 대개의 경우 세월의 흐름에 따른 종말의 지연은 종말론적 신정론의 유형변화를 운명적으로 겪게 되었다. 이는 가치의 문제가 아니고 정체성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종파로서의 신종교가 발전하여 기성종교가 되지 말라는 법도 없기 때문이다. 다만 유형의 변화에 따라 정체성도 변화한다면 태생적 조건은 한계가 될 것이며 그러한 한국 신종교의 유형변화는 자신의 종말론적 역동성을 잃게 하며 그로 인해 한국사회에서 무시되고 결국은 도외시될 것이다.신정론이 종교문화를 형성하는 이데올로기라면 한국 신종교의 신정론 유형변화는 한국의 신종교가 형성해온 종교문화의 지형이 변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신정론 유형변화에 따른 적절한 대응을 모색하지 않는 한국의 신종교는 생존을 가름하는 일도 일어날 수 있음을 성찰해야 할 것이다. Theodicy is a theological reflection on God`s justice explaining the reality of evil and its accompanying pain. Especially, Why do righteous people suffer from pain without any reason? How can they be consoled? Where is righteous God? Christian theology responds to these questions in the name of theodicy as well known. However, theological discussion about the pervasive pain is not only Christian problem but also all religions` problem. That is,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righteous people`s pain is the matter of concern to all religions including new religions. The pain of modern society results from social structure more than personal immorality. Theodicy can be politics of praxis to overcome the reality of pain and evil. Therefore, the politics of theodicy is a theological dialectic of the reality of sin and evil, and the participation in salvation today. The politics of theodicy is an active participation in God`s future against the reality of sin and evil. Consequently, it will be meaningful to examine the meaning and the type of theodicy in sociology of religion and the politics of theodicy of Korean new religions. Generally, new Korean religions inherently have eschatological theodicy. However, as the time goes by, the delay of the end of the world causes the change of theodicy type. This is not the problem of virtue but identity. A sect of religion may become an established religion later. But if the change of theodicy type causes the change of identity, it is possible to loose the eschatological activity of new religion. It could result in disregard in Korean society. If theodicy is an ideology establishing religious culture, the change of theodicy type will make change in the culture of new Korean religions. Therefore, appropriate reaction of new Korean religion is necessary for their survival.

      • KCI등재

        신종교영화의 유형과 특성

        박종천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9 대순사상논총 Vol.33 No.-

        이 글은 신종교운동을 비도덕적이고 반사회적인 소종파(cult)로 비판하면서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방식으로 영상화하여 소비하는 신종교영화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신종교운동을 기성종교에서 벗어나려는 소극적 주변종교와 기성종교를 대체하려는 적극적 대안종교의 관점에서 신종교영화를 분석할 수 있는 유형론을 제시하였다. 특히 신종교현상의 반사회적 일탈을 강조하면서 세뇌와 탈세뇌의 관점에 치우친 사회비평형 신종교영화와는 달리, 최근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신종교영화의 새로운 유형으로 공감성찰형 신종교영화와 신앙참여형 신종교 영화의 특성에 대한 분석을 전개하였다. <오쇼 라즈니쉬의 문제적 유토피아>(2018)를 비롯한 공감성찰형 신종교영화들이 규범적인 단일 프레임을 넘어서서 다면적인 구성과 다성적인 목소리를 갖춘 열린 프레임을 통해 내부자의 자기성찰과 외부자의 타자공감이 가능하도록 한 반면, <화평의 길>(1984)을 비롯한 신앙참여형 신종교영화들은 후천개벽이나 해원상생 등의 대안종교적 비전을 통해 기성종교에서 소외되거나 배제되었던 주변인들의 원한을 풀고 말할 수 없었던 하위주체들의 목소리를 회복시키는 새로운 영상적 방식을 선보였다. This article examines some important issues in films about new religious movements (NRMs) that express and represent NRMs in sensationalistic ways and criticize them as immoral and antisocial cults. I presented a typology to analyze films about NRMs from the perspective of marginalized religions separated from established religions and also as alternative religions that replace the established religions. In recent times, films about NRMs have changed from being social criticisms that represents NRMs as perpetrators of brainwashing and the need for deprogramming to that of faithful participation and empathetic reflection. Films about NRMs that utilize empathetic reflection, including Wild Wild Country (2018), go beyond the normative, single-perspective formula to enable insiders to conduct self-reflection and outsiders to empathize through openness, varied perspectives with multi-faceted composition and polyphony. In contrast, films about NRMs that adopt the perspective of faithful participation, including The Road to Peace (1984), present a new visual way to unravel the voices of silenced subalterns with alternative religious visions and those who needed relief from the marginalization due to alienation or exclusion from established religions. In the Korean context, these visions are expressed as ‘the great transformation into the creation of a paradise of the Later World (後天開闢)’ or as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解冤相生).’

      • KCI등재

        근대일본 법화계(法華系) 신종교의 역사적 성립과 발전 -본문불립강(本門佛立講), 영우회(靈友會)의 역사적 전개와 교의(敎義)에 대한 일고-

        윤기엽 ( Ki Yeop Yoon ) 한국신종교학회 2010 신종교연구 Vol.22 No.-

        본고는 일본 신종교의 한 부류인 법화계 신종교에 속하는 본문불립강과 영우회를 고찰한 글이다. 현재 일본의 신종교 교단은 2,000여개 이상으로 추정되고, 신자수는 일본 전체 인구의 10~20%에 이르며, 또 그 절반 이상이 법화계 신종교의 신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일본의 종교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신종교 특히 법화계 신종교는 반드시 연구되어야 할 분야이다. `법화계 신종교`란 『법화경』의 신앙전통과 그것을 재해석한 니치렌(日蓮)의 사상을 계승한 신종교의 한 부류를 말하는 것으로서 본문불립강과 영우회는 신종교의 발생과 붐이 일던 시기(幕末~昭和前期)에 법화계 신종교를 대표하는 교단으로서 본문불립강은 니치류 문류(日隆門流)인 팔품파(八品派)를 계승하고 있다. 또한 전후(戰後)에 크게 발전한 창가학회는 닛코 문류(日興門流)인 부사파(富士派)를 계승한 일련정종(日蓮正宗)의 재가단체이다. 본문불립강(후에 本門佛立宗)은 니치렌을 종조로 하고, 니치류를 문조(門祖)로 하여 나가마츠 닛센(長松日扇)이 1857년 쿄토(京都)에서 창시한 재가신도 모임(講)이었다. 팔품파(本門法華宗)의 승려였던 닛센은 환속 후 본문불립강을 열어 법화신앙의 본 정신으로 돌아가 타락한 교단을 개혁하고자 했다. 본문불립강에서는 현증이익(現證利益)을 강조하여 나무묘호렌게쿄(南無妙法蓮華經)를 암송함으로써 질병을 다스리고, 가난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가르친다. 본문불립강의 현증이익의 강조는 내세의 가치를 중시하는 승려의 권위를 부정하고 재가자 중심의 신앙활동을 주장하게 된다. 영우회는 1924년에 쿠보 카쿠다로(久保角太郞)와 코타니 키미(小谷喜美)가 창시한 법화계의 재가교단이었다. 법화신자인 카쿠다로는 법화신앙과 샤머니즘적인 전통을 결합한 독자적인 신앙을 확립하여 『법화경』의 이상세계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혹독한 수행을 거친 후 영능자(靈能者)가 된 키미는 영술(靈術)을 이용해 포교활동을 적극 펴나갔다. 영우회는 승려의 존재를 부정하며 각 개인이 가정에서 선조공양을 행함으로써 가정과 국가가 행복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재가자의 선조공양을 통해 『법화경』의 이상세계를 실현하고자 하는 영우회는 신자의 포교활동을 중시하여 가정모임의 성격인 법좌(法座)활동을 펴고, 윤리규범인 정행(正行)을 준수하도록 한다. 본문불립강과 영우회는 모두 니치렌의 사상을 계승한 혁신적인 법화계 재가교단이지만, 본문불립강이 선구적인 위치에서 온건한 개혁을 지향했다면, 영우회는 보다 개혁적인 입장에서 적극적인 포교활동을 전개한 교단이었다. This research looked into the Honmon butsuruyukou(本門佛立講) and Reiyukai(靈友會) affiliated to new religions for Lotus-Sutra group in modern Japan. Now Japanese new religions are estimated to be above two thousand, the believers in new religion reach 10-20 percent of entire population in Japan and a half of them are believers of Lotus-Sutra group. Therefore, Japanese new religions, especially Lotus-Sutra group is the section which should be studi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existing state of Japanese religions. And the Honmon butsuruyuko and Reiyukai were representative of Lotus-Sutra group in the period of Japanese new religions` appearing and booming. The Honmon butsuruyukou succeeded to Happhong school(八品派) or Nichiruyu(日隆)`s followers, and Soka Gakkai(創價學會) which prospered in the postwar era succeeded to Hugi school(富士派) or Nikko(日興)`s followers. The Honmon butsuruyukou(本門佛立講) was founded by Nagamachi nissen(長松日扇) in 1857, worshiping Nichiren(日蓮) as the founder of Nichirensyu(日蓮宗) and Nichiruyu(日隆) as the founder of Happhong school. Nagamachi nissen leaving the Happhong school`s priesthood tried to return the former state of the faith in Lotus-Sutra and reform the religious body through the Honmon butsuruyukou. Because the Honmon butsuruyukou emphasized profits showing in this world, it asserted that diseases could be cured and poverty overcame only by reciting Namumyouhorengekyou(南無妙法蓮華經). And stressing on profits showing in this world, it refused the authority of priests who attached to importance to afterlife, and asserted a religious body managed by general believers. The Reiyukai(靈友會) was founded by Kubo kakutaro(久保角太郞) and Kotani kimi(小谷喜美) in 1924. Kakutaro, a believer in the Sutra of Lotus, tried to realize the ideal world, establishing the creative belief which combined Shamanism with the faith in the Sutra of Lotus. And Kimi(喜美) who became the Shaman after extreme asceticism devoted herself to the propagation of the Reiyukai depending on spiritual skill. The Reiyukai flatly denied the priests` existence, and asserted that family and nation would enjoy happiness only by taking care of ancestors. It also have tried to realize the ideal world of the Sutra of Lotus by general believers` taking care of ancestors, and put great stress on believers` being engaged in missionary work, and made them execute ethical norms, Seikou(正行). Though the Honmon butsuruyukou and Reiyukai was all new religions for Lotus-Sutra group by general believers, the one headed toward moderate reformation as a pioneer and the other was very aggressive in pursuing the propagation, taking a reformer stand.

      • KCI등재

        한국 신종교의 지형과 종교문화연구 서설

        박광수(Park Kwang Soo)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4 한국종교 Vol.37 No.-

        한국의 정신문화와 종교문화에 있어서, 근ㆍ현대사에 획을 그어 공유할 수 있는 시대정신과 사상적 특징은 무엇인가? 이러한 시대정신은 근대의 조선조후기, 대한제국시기, 일제치하의 식민지시기, 해방 후 남북분단시기의 시대적 변화에 따라 어떠한 시대정신으로 대응하고자 하였는가? 이러한 문제의식을 주목하고 학술적으로 진지하게 고민하는 역사인식이 요청된다. 최근세 한국사회의 정신과 가치관은 1860년대 동학(東學)을 기치로 한 민중종교 운동과 그 문화사상에서 찾아볼 수 있다. 민중종교의 개벽사상과 구세이념은 새로운 사회를 갈망하고 대다수 민초들의 희망을 대변하고 세계인식, 사회변화인식과 윤리의식, 가치관과 민족관 등이 응축되어 있다. 한국 근현대 종교에 관한 기존 연구에서 가장 큰 한계는 무엇보다도 연구에 활용한 사료 문제라 할 수 있다. 신종교와 관련한 토대적인 역사적 자료가 집성화 되지 않아 심층적인 연구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1990년대까지 종단을 직접방문하면서 종교실태를 조사하던 방식이 퇴조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현상이다. 따라서 신종교 실태조사는 매우 중요한 정책적 연구과제이기에, 이에 대한 학계와 연구지원정책의 반성을 통해 연구를 위한 집약적인 실태조사와 장기적 계획을 세워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운동체로 살아있는 새로운 종교운동에 대한 조사연구의 한계이다. 한국 신종교의 지형과 종교문화에 대한 종합적인 비교분석을 통해 보편성과 특수성을 찾아내는 작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신종교의 지형과 종교문화에 대한 연구를 위한 서설로서 ‘한국 신종교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라는 문제제기와 함께 한국 신종교에 대한 연구현황을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고자 한다.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1910-1945), 해방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국내의 한국 신종교연구현황에 대한 분석을 위주로 하여 향후 신종교연구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This article aims to lay foundations for researches on new religions by analysing the current national research status sinc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The largest challenges in the existing researches on modern religions are utilization of the historical records. Since the historical materials of new religions have not been integrated systematically so far, in-depth researches on modern and current religion in Korea have been limited. This status reflects the decline of previous research method, collecting data by visiting the relevant religiose facilities, which had been conducted till 1990s. As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religion culture,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study on the Korean new religion with a question on how to research the Korean new religions. With a systematic comparative analysis on geography and religious culture in Korea, the universalities and particularities of new religions in modern Korea were deri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