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교개혁운동과 신흥종단의 출현

        김경춘 한국선학회 2007 한국선학 Vol.17 No.-

        불교개혁운동과 신흥종단의 출현은 근대한국사회에서 한국불교의 ‘근대화’와 ‘정체성 확립’이라는 근대불교계의 과제와 연관된다. 불교개혁운동의 배경은 歷史的, 思想的, 宗敎的 측면의 세 가지 측면으로 나타난다. 첫째, 역사적 배경으로써 근대불교계는 일본의 한반도 정책과 긴밀한 관계를 지니고 있었다. 둘째, 사상적 측면에서는 開化思想, 社會進化論, 反宗敎運動의 영향이었다. 셋째, 불교개혁운동의 종교적 배경은 1887년 韓佛修好通商條約으로 인한 信敎의 자유였다. 불교개혁운동은 3・1운동을 전후하여 차이를 나타낸다. 3・1운동 이전의 불교개혁운동이 紙上에 발표된 개혁론이었다면, 3・1운동 이후의 불교개혁운동은 신흥종단인 대각교와 원불교의 실천적 개혁운동이었다. 불교개혁운동과 신흥종단의 출현은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불교개혁운동과 신흥종단의 출현은 포교, 역경을 통한 불교의 대중화에 기여했다. 둘째, 불교개혁운동과 신흥종단의 출현은 사원경제의 자립을 지향함으로써 승단의 혁신을 통한 개혁운동을 현실화시켰다. 셋째, 불교개혁운동과 신흥종단의 출현은 민족종교로써의 불교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민중불교로 거듭났다. 그러나 불교개혁운동과 신흥종단의 출현이 日帝 치하라는 시대적 상황으로 인해 한계를 드러냈다. 첫째, 기존 불교계의 개혁론자들은 당시의 현실인식의 부족과 日帝의 사찰령 때문에 주체적인 개혁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둘째, 신흥종단인 대각교와 원불교는 抗日운동과 계급의식의 부족이라는 한계를 보였다. The Buddhist Reform Movement and the Appearance of New religions is continuous with, the modernization and identity-establishment, a challenge of the world of modern Buddhism. The background of Buddhist Reform Movement appears on the three aspects of history, thought and religion. First, for history the world of modern korean Buddhism had be closely connected with the policy of Japan's Korean Peninsula. Second, on thought it had been influenced by the Enlightenment Thought,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and the Counter Reformation Movement. Third, the registry background was the Religious freedom on the Korea and France Amity Commercial Treaty of 1887. The Buddhist Reform Movement is th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Samil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 The Buddhist reform Movement before the Samil Independence Movement was the Reform theories on hit the paper, whereas one after the Samil Independence Movement was the practicing Reform Movement by the Taegakkyo and the Won Buddhism of New Religions. The Buddhist Reform Movement and the Appearance of New Religions are the following meaning. Firstly, those have contributed to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with mission and the translating Sūtras in Korean. Secondly, those are realized the Reform Movement through the revolution of Buddhist Monk's Organization's aiming at the Self Supporting Economy of Buddhist Temple. Thirdly, Those established the Buddhist Identification by regarding the Korean Buddhism as the religion of people and were born again with the Popular Buddhism. But They were limited by the current conditions under the rule of the Japanese imperialism. First, the Reformers of the existing Buddhist world didn't bear fruit of the subjective Reform because of lacking of the realistic understanding at that time and the Statue for korean Buddhist temples. Second, the Taekagkyo and the Won Buddhism of the New Religions had limit to that is called the lack of an anti-japanese movement and a class consciousness.

      • KCI등재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본 신사도운동의 영성

        김선권 ( Sun Kwon Kim ) 한국조직신학회 2014 한국조직신학논총 Vol.38 No.-

        우리는 본고에서 ‘영성’과 ‘개혁주의’라는 용어를 먼저 정의하고, 신사도운동에 대한 역사(歷史)를 간략하게 기술한 뒤에, 신사도운동의 영성을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여섯 가지로 평가해 보았다. ‘신사도 개혁 운동’(New Apostolic Reformation Movement)은 1906년 미국 아주사 부흥(Azusa Rivival)을 기점으로 시작된 ‘늦은비의 새 질서’(New Order of the Latter Rain) 운동을 거쳐 ‘빈야드 운동’ (Vineyard Movement)에 이른다. 빈야드 운동은 1990년대 중반에 토론 토와 플로리다 펜서콜라를 중심으로 다시 크게 일어났다. 1994년부터 존 아놋(John Arnott)은 토론토공항교회(Toronto Airport Christian Fellowship)를 중심으로 소위 ‘토론토 블레싱’(Toronto Blessing) 또는 ‘거룩한 웃음 운동’(Holy Laughter Movement)을 일으켰다. 이 운동은 성령세례로서의 은사 운동에서 시작하여 치유 운동과 예언 운동 및 이적과 기적 운동으로 발전했다. 이 운동은 외국의 신사도운동가들이 한국교회와 각종 집회에 강사로 초청되거나 한국교회의 목회자나 평신도가 현지에 직접 방문하여 영향을 받아 다시 귀국하여 한국에 영향을 미치거나 책이나 인터넷 등의 매체들을 통하여 전파되었다. 비종교 분야에서의 영성과 일반 종교 분야에서의 영성과 근본적인 차이점을 가진 기독교 영성은 하나님의 은혜로 주어졌고, 그리스도 안에서 보존되고 확증되었으며, 성령의 능력을 통해서 복음 안에서 열매를 맺는 하나님의 나라를 향해 열려진 참 인간적인 삶의 능력인데, 우리의 인생관, 가치관, 행복관의 인식과 관계되며, 그와 같은 실천 가운데서 감격, 감사, 기쁨, 평안을 누릴 수 있는 능력과 관계된다. 개혁교회의 ‘경건’(pietas) 또는 영성의 본질은 성령의 감동을 통해서 하나님의 계시에 대한 인간의 응답인데, 하나님의 계시를 통해서 인간은 자신의 가장 깊은 본질 안에서 그리고 자신의 삶의 모든 차원 안에서 하나님 앞에 서게 된다. 우리가 본고에서 정의한 ‘개혁주의’ 또는 ‘개혁적’(reformed; reformiert; 네덜란드어로 gereformeerd 또는 hervormd)이라는 일차적 의미는 ‘역사적(歷史的) 개혁신학(改革神學)’ 전통이며, 역사적 개혁신학 전통은 세계 도처에 ‘개혁교회’(the Reformed churches)와 ‘장로교회’(the Presbyterian churches)라는 이름으로 약 500년 동안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우리는 신사도 영성을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여섯 가지로 평가해 보았다. 첫째, 신사도운동의 사도직과 선지자직의 역사적(歷史的) 회복의 영성은 역사적(歷史的) 보편 기독교회의 권위를 전적으로 부정하는 결과를 낳는다. 둘째, 신사도운동의 ‘직통계시’의 영성은 하나님의 말씀과 계시로서의 정경(正經)의 절대성을 완전히 파괴하는 결과를 낳는다. 셋째, 신사도운동의 비성경적 성령론은 교회와 그리스도인의 비정상적, 비윤리적 삶을 초래케 한다. 넷째, 신사도운동의 잘못된 구원과 선교 방법은 교회와 그리스도인의 구원관과 선교관을 오도(誤導)한다. 다섯째, 신사도운동의 신학과 성경에 대한 몰이해는 교회와 그리스도인으로 하여금 반(反)신학적, 비성경적 사고로 유도(誘導)한다. 여섯째, 신사도운동의 문제된 은사, 기도, 선교 운동으로부터 교회와 그리스도인은 성경에 기초한 올바른 은사 운동, 올바른 기도 운동, 올바른 선교 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해야 할 역사적 큰 책임감을 갖게 된다. 신사도운동의 영성에 대한 개혁신학적 평가를 통해 우리는 크게 두 가지 유익을 얻었다. 하나는 신사도운동의 영성과 신학이 개혁교회의 신앙과 신학을 위협하는 심각한 수준이라는 사실이며, 다른 하나는 기존 교회는 자신의 영성과 신학의 취약한 부분을 뒤돌아 보아야한다는 사실이다. “개혁된 교회(개혁교회)는 항상 개혁하는 교회”(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라는 신앙과 신학의 주요 원리와 정체성을 우리는 계속 실천해야 할 것이다. 개혁교회는 만왕의 왕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그의 말씀과 그의 성령을 통해서 우리를 항상 다스리시도록 끊임없이 기도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f a spirituality of a New Apostolic Reformation Movement in perspective of Reformed theology. The term ‘Reformed’ as a designation for a denomination or family of churches is a late-Reformation development. In the 1560s, the word came to be used on the continent in a somewhat official way, but it was almost an equivalent of ‘Protestant’ or ‘Evangelical’ and included Lutherans as well as those churches affiliated with Zwingli or Calvin. It was only after 1590 that a distinction came to be made between Lutherans and Reformed. ‘Reformed’ subsequently came to be used of almost all the Calvinist Churches on the Continent. A Apostolic Reformation Movement that accepts the historical continuity of the prophets in Old Testament and the Apostles in the New Testament rejects the authority of the Catholicity of the Churches in the history. We see the rapidly increasing a New Apostolic Reformation Movement in the Korean churches, where the reality of the Holy Spirit is often sought in the emotional, individualistic, and extravagant. But we disagree with the opinion that the gifts of the Holy Spirit discontinue the churches in our days. We have to recover together some badly neglected gifts of the Holy Spirit. Only when we earnestly desire the spiritual gifts, God will grant us the solution of many problems with which we now wrestle.

      • KCI등재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본 신사도운동의 영성

        최윤배 ( Cyoon Bae Hoi ) 한국조직신학회 2014 한국조직신학논총 Vol.38 No.-

        우리는 본고에서 ‘영성’과 ‘개혁주의’라는 용어를 먼저 정의하고, 신사도운동에 대한 역사(歷史)를 간략하게 기술한 뒤에, 신사도운동의 영성을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여섯 가지로 평가해 보았다. ‘신사도 개혁 운동’(New Apostolic Reformation Movement)은 1906년 미국 아주사 부흥(Azusa Rivival)을 기점으로 시작된 ‘늦은비의 새 질서’(New Order of the Latter Rain) 운동을 거쳐 ‘빈야드 운동’ (Vineyard Movement)에 이른다. 빈야드 운동은 1990년대 중반에 토론 토와 플로리다 펜서콜라를 중심으로 다시 크게 일어났다. 1994년부터 존 아놋(John Arnott)은 토론토공항교회(Toronto Airport Christian Fellowship)를 중심으로 소위 ‘토론토 블레싱’(Toronto Blessing) 또는 ‘거룩한 웃음 운동’(Holy Laughter Movement)을 일으켰다. 이 운동은 성령세례로서의 은사 운동에서 시작하여 치유 운동과 예언 운동 및 이적과 기적 운동으로 발전했다. 이 운동은 외국의 신사도운동가들이 한국교회와 각종 집회에 강사로 초청되거나 한국교회의 목회자나 평신도가 현지에 직접 방문하여 영향을 받아 다시 귀국하여 한국에 영향을 미치거나 책이나 인터넷 등의 매체들을 통하여 전파되었다. 비종교 분야에서의 영성과 일반 종교 분야에서의 영성과 근본적인 차이점을 가진 기독교 영성은 하나님의 은혜로 주어졌고, 그리스도 안에서 보존되고 확증되었으며, 성령의 능력을 통해서 복음 안에서 열매를 맺는 하나님의 나라를 향해 열려진 참 인간적인 삶의 능력인데, 우리의 인생관, 가치관, 행복관의 인식과 관계되며, 그와 같은 실천 가운데서 감격, 감사, 기쁨, 평안을 누릴 수 있는 능력과 관계된다. 개혁교회의 ‘경건’(pietas) 또는 영성의 본질은 성령의 감동을 통해서 하나님의 계시에 대한 인간의 응답인데, 하나님의 계시를 통해서 인간은 자신의 가장 깊은 본질 안에서 그리고 자신의 삶의 모든 차원 안에서 하나님 앞에 서게 된다. 우리가 본고에서 정의한 ‘개혁주의’ 또는 ‘개혁적’(reformed; reformiert; 네덜란드어로 gereformeerd 또는 hervormd)이라는 일차적 의미는 ‘역사적(歷史的) 개혁신학(改革神學)’ 전통이며, 역사적 개혁신학 전통은 세계 도처에 ‘개혁교회’(the Reformed churches)와 ‘장로교회’(the Presbyterian churches)라는 이름으로 약 500년 동안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우리는 신사도 영성을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여섯 가지로 평가해 보았다. 첫째, 신사도운동의 사도직과 선지자직의 역사적(歷史的) 회복의 영성은 역사적(歷史的) 보편 기독교회의 권위를 전적으로 부정하는 결과를 낳는다. 둘째, 신사도운동의 ‘직통계시’의 영성은 하나님의 말씀과 계시로서의 정경(正經)의 절대성을 완전히 파괴하는 결과를 낳는다. 셋째, 신사도운동의 비성경적 성령론은 교회와 그리스도인의 비정상적, 비윤리적 삶을 초래케 한다. 넷째, 신사도운동의 잘못된 구원과 선교 방법은 교회와 그리스도인의 구원관과 선교관을 오도(誤導)한다. 다섯째, 신사도운동의 신학과 성경에 대한 몰이해는 교회와 그리스도인으로 하여금 반(反)신학적, 비성경적 사고로 유도(誘導)한다. 여섯째, 신사도운동의 문제된 은사, 기도, 선교 운동으로부터 교회와 그리스도인은 성경에 기초한 올바른 은사 운동, 올바른 기도 운동, 올바른 선교 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해야 할 역사적 큰 책임감을 갖게 된다. 신사도운동의 영성에 대한 개혁신학적 평가를 통해 우리는 크게 두 가지 유익을 얻었다. 하나는 신사도운동의 영성과 신학이 개혁교회의 신앙과 신학을 위협하는 심각한 수준이라는 사실이며, 다른 하나는 기존 교회는 자신의 영성과 신학의 취약한 부분을 뒤돌아 보아야 한다는 사실이다. “개혁된 교회(개혁교회)는 항상 개혁하는 교회”(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라는 신앙과 신학의 주요 원리와 정체성을 우리는 계속 실천해야 할 것이다. 개혁교회는 만왕의 왕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그의 말씀과 그의 성령을 통해서 우리를 항상 다스리시도록 끊임없이 기도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f a spirituality of a New Apostolic Reformation Movement in perspective of Reformed theology. The term ‘Reformed’ as a designation for a denomination or family of churches is a late-Reformation development. In the 1560s, the word came to be used on the continent in a somewhat official way, but it was almost an equivalent of ‘Protestant’ or ‘Evangelical’ and included Lutherans as well as those churches affiliated with Zwingli or Calvin. It was only after 1590 that a distinction came to be made between Lutherans and Reformed. ‘Reformed’ subsequently came to be used of almost all the Calvinist Churches on the Continent. A Apostolic Reformation Movement that accepts the historical continuity of the prophets in Old Testament and the Apostles in the New Testament rejects the authority of the Catholicity of the Churches in the history. We see the rapidly increasing a New Apostolic Reformation Movement in the Korean churches, where the reality of the Holy Spirit is often sought in the emotional, individualistic, and extravagant. But we disagree with the opinion that the gifts of the Holy Spirit discontinue the churches in our days. We have to recover together some badly neglected gifts of the Holy Spirit. Only when we earnestly desire the spiritual gifts, God will grant us the solution of many problems with which we now wrestle.

      • KCI등재후보

        개혁주의 관점에서 본 신사도개혁운동

        양현표 ( Hyun Phyo Yang ) 개혁신학회 2014 개혁논총 Vol.30 No.-

        신사도개혁운동은 1990년대 이후 일어나고 있는 성령운동 혹은 은사운동으로서, 와그너가(Peter Wagner)가 1997년에 정의한 교회 성장과 관련된 이론이다. 단순히 와그너의 창작물이 아니라 20세기 초반 이후 비성경적이라고 규정된 여러 성령운동들의 복합체라 하겠다. 신사도개혁운동의 핵심은 초대교회의 사도가 아직도 승계되어 현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오늘날의 사도 역시 초대교회 당시의 사도와 동일한 은사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것으로서 성경의 권위보다 우월한 계시를 지금도 받고 있으며 초대교회의 사도들보다도 탁월한 표적과 기사와 능력을 행한다는 것이다. 또한 성경적인 근거가 없는 여러 현상들을 성령의 역사로 간주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들은 개혁주의에서는 받아들일 수 없는 허무맹랑한 이야기이다. 사도직분은 초대 교회 이후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신사도개혁운동 주창들은 성경에 기록된 사도의 자격과 용례를 오해하고 있으며, 사도와 관련된 성경구절(고전12:28; 엡4:11)을 잘못 해석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완성된 성경의 권위를 부정하는 부류라 하겠다. 진정한 사도는 열 두 제자와 바울뿐이다. 사도직 복원은 비성경적인 주장이다. 왜냐하면 그들은“오직 성경으로”를 거부하고“성경 외 계시”(“Scripture Plus Apostolic Tradition”)를 주장하고 있기때문이다. 성경의 권위를 전혀 인정하지 않고 성경 본문을 자가당착적으로 해석하고, 역사적이고 전통적 신학을 부인하는 자들이다. 사도는 오직 성경시대에만 존재했던 특별한 직무요 은사이다. 따라서 오늘날 사도직의 복원에 기초한 신사도개혁운동은 비성경적인 종교운동이라 할 것이다. 안타까운 현실은 한국의 많은 교회들이 양적 성장에만 매몰되어 신사도개혁운동을 성령운동이란 미명하에 무분별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이다. In 1997, Peter Wagner coined the term “New Apostolic Reformation” to an up-and-rising Spiritual gifts movement that is related to the theory of church growth. Wagner, however, was not the creator of this movement. He simply combined many non-biblical Spiritual movements after the early 20th century and termed the collection of movements as the “New Apostolic Reformation.” The purpose of the NAR movement is to encourage the faith of the Apostles of the early Church. This movement supports the idea that the same Spiritual gifts and powers the early Apostles had still exist today. Thus, supporters believe that Apostles exist in today’s Church. At its root, the NAR believes that today’s Apostles receive a Spiritual revelation that is far superior than those the Apostles of the early church received. Supporters of the NAR believe that they receive new insights and blessings that the early Church did not receive. They also believe today``s Apostles can perform signs and miracles that are superior to those the original apostles performed. Similarly, they regard many of the miraculous symptoms as true works of the Holy Spirit when they are not based on Biblical truth. The NAR Movement cannot be accepted by Reformed Theology because there is no Biblical basis to the movement. Contrary to the NAR, the Reformed Theology’s belief is that Apostles do not exist after Biblical times. Those who believe in the ideas of the NAR misunderstand the qualifications of an Apostle and misinterpret Bible verses related to the office of Apostles (1 Cor. 12:28; Ep. 4:11). Furthermore, the NAR denies the authority of the completed Bible, which includes the belief that the only Apostles are the 12 Disciples and Paul. The idea that Apostles still exist today is unbiblical because they deny “Sola Scriptura” and insists “Scripture Plus Apostolic Tradition.” Followers of the NAR do not realize the authority of the Bible and they deny historical traditional theology. According to traditional theology, Apostles only existed during the Biblical era, in which the Twelve and Paul received special God-ordained gifts and powers. Therefore, the restoration of Apostles in today’s Church is unbiblical, making NAR an unbiblical religious movement. Unfortunately, many churches in Korea accept the ideas and beliefs of the NAR as a God-ordained spiritual movement because of its connection to church growth.

      • KCI등재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 활성화 방안 연구: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백석) 서울,경기,충북 지역 5개 노회 목회자 인식도 조사를 중심으로

        김태철 ( Tae Chul Kim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4 생명과 말씀 Vol.9 No.-

        개혁주의생명신학은 21세기 한국 개신교회와 세계 교회에 개혁주의신학을 올바르게 계승하여 발전할 수 있도록 그 실천방안으로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을 제시하였다. 이 실천운동은 장종현에 의해 주창되었고, 학교법인 백석대학교와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백석)를 통해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혁주의생명신학 정의문과 선언문에 담긴 개혁주의생명 신학의 본질과 의의를 실천적 관점에서 재구성하고,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실천운동을 사역현장에서 활성화되도록 각 운동의 의미와 사역, 그리고 그에 따른 문제점과 실천적 대안을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의 본질과 사역 방향은 다음 세 가지로 요약되었다. 첫째, 개혁주의생명신학은 개혁주의신학을 바르게 계승한다. 즉, "오직 성경"에 기초한 신앙운동을 전개하여 사변화된 이론신학을 반성하여 삶과 사역현장에 예수님의 생명을 나타낸다. 둘째,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삶과 사역 현장에서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낸다. 즉, 삶과 사역 현장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주권을 선언하고, ``하나님나라운동``을 실현한다. 셋째,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예수 그리스도의 영적 생명이 충만하게 한다. 즉, ``기도운동``, ``성령운동``, ``나눔운동``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영적 생명이 세상 중에 나타나도록 한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화석화된 이론신학을 극복하고 삶과 사역 현장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영적 생명이 나타나는 7대 실천운동을 전개한다. ① 신앙 운동은 성경을 최고의 권위로 세우는 운동이다. 곧, 성경을 통전적으로 이해하여 전인적인 생활과 사역이 실현되게 하는 운동이다. ② 신학회복운동은 사변화된 신학을 반성하고 신학의 본래의 의미를 회복하는 운동이다. ③ 영적생명운동은 거듭난 성도들이 변화되어 그리스도의 영으로 충만한 삶을 실현하는 새 생명 운동이다. ④ 하나님나라운동은 삶의 모든 영역에서 예수그리스도의 주(主)되심을 실현하는 운동이다. ⑤ 기도운동은 하나님의 방법을 순종하고, 하나님의 영광에 참여하는 운동이다. ⑥ 성령운동은 성령 하나님의 주권적 사역을 이해하고 순종하는 운동이다. ⑦ 나눔운동은 하나님의 좋은 것을 이웃에게 공급하는 사랑의 실천운동이다. 이와 같은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은 다음 일곱 단계로 전개될 수 있다. ① 사역공동체 만들기이다. 이는 개혁주의 생명신학을 표방하는 사역 기관들이 공동의 사역공동체를 만드는 과정이다. ② 개혁주의생명신학이해하기이다. 이는 삶과 사역현장에 개혁주의생명신학을 접목시키는 과정이다. ③ 개혁주의생명신학 조정하기이다. 이는 각각의 사역기관들이 개혁주의 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을 실현하기 위해 자신들의 사역을 조정하는 과정이다. ④ 개혁주의생명신학 초청하기이다. 이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사역을 확대시키는 과정이다. ⑤ 개혁주의생명신학 실천하기이다. 이는 7대 실천운동을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과정이다. ⑥ 개혁주의생명신학 평가하기이다. 이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사역을 냉철하게 반성하며 미래를 준비하는 과정이다. ⑦ 지역교회 활성화 지도하기이다. 이는 지역교회의 동역자를 세우는 과정이다. 이와 같은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은 21세기 한국 개신교회가 직면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삶과 사역현장에 예수님의 생명을 나타내는 더 발전된 개혁주의신학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ous problems faced by churches in the 21st century in South Korea, and to suggest the alternative instrument named "The Life Reformed theology".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at Seven practical movements to revitalize in the Reformed life Theology. This begins from the passion for solving the problems that the authors of this paper experienced the spiritual war, during his 17 years in the ministry field. The research method is combined literature available and survey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based on Dr Jang``s ``Reformed Life Theology declaration commentary`` and related published papers and dissertations. Survey research depend on the analysis the data that ``pastor``s perception`` targeted under the five presbyterian pastors agencies. And it is reconstructed the essence and significance ``Reformed Life Theology`` in view of practice. ``Reformed Life Theology`` has three essences. The first is to reflect the speculated theology and recover the essence of the reformed theology. The second is to declare Jesus`` sovereignty and being realized ``Kingdom of God`` in all areas of life. And the third is the spiritual life being practiced in life of Jesus Christ and ministry field through the ``pray movement``, ``Holy Spirit movement`` and ``sharing movement``. Features of ``Reformed Life Theology`` is not to remain in just theory but to practice through ``7 practical movements`` which means that Jesus`` life appears in the ministry field. The first thing is to understand the Bible as the only authority in reformed theology centered 5 ``SOLA`` slogans. The second is to recover the essential theology that means restore the essential meaning of theology while reflect the speculated theology. The third is that church members would live with Jesus Christ through changing their heart by the ``new life movement``. The fourth is the ``Kingdom of God movement`` as realizing that Jesus becomes the Lord in everywhere. The fifth is obeying God``s way and participating in the glory of God by the ``prayer movement``. The sixth is the ``Holy Spirit movement`` that by understanding the sovereignty of the Holy Spirit and obeying Him in ministry. The seventh is the ``practical sharing movement`` by offering the good things of God to neighbors with love. The vitalizing strategies for the ``Reformed Life Theology`` are required some strategic points. The first is the institutions based on the ``Reformed Life Theology`` make ministry community. The second is the understanding 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as connecting both life and ministry that makes foundation of ministry. The third is each institution adjusts their ministry by the 7th practical movements in ``reformed life theology``. The fourth is the inviting the ``reformed life theology`` that the ministry may expand. The fifth is realizing the ``reformed life theology`` in ``7th practical movement``. The sixth is evaluating the ``Reformed Life Theology`` in analysis the ministry and coordinates the future. Finally, the seventh is coaching the local church for vitalizing ministry and pastors become the co-worker in local area. Thus, "A Study on Method for Seven Practical Movements to revitalize in the Reformed Life Theology" can be biblical alternate method for reviving the Korean churches and ministry model in reformed churched all around the world. "Reformed Life Theology" is to make both Korean churches and all of the reformed churches responsible and duty as priming water that taking up the spiritual life of Jesus Christ.

      • KCI등재

        19세기 미국의 초절주의와 기독교 사회개혁운동

        이국헌 한국교회사학회 2015 韓國敎會史學會誌 Vol.41 No.-

        본 연구는 미국의 기독교 사회개혁운동을 초절주의 운동의 영향 아래서 분석한 것이다. 19세기 미국사회에서는 이상사회 실현을 위한 사회개혁운동이 활발하게 추진되었다. 이 개혁 운동에 가장 앞장선 것은 기독교 지도자들이었다. 특별히 기독교 사회개혁가들은 초절주의 사상가들로부터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개혁운동을 이끌었다. 초절주의자들은 계몽주의적 자연주의와 유럽의 낭만주의로부터 영향을 받아 진보적 이상사회 건설에 대한 꿈을 가지고 사회개혁운동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직접적인 사회구조 개혁보다는 개인의 도덕개혁에 초점을 맞춘 사회개혁운동을 전개하였다. 이에 비해 기독교 사회개혁운동은 사회지향적 성격이 강했다. 기독교 사회개혁운동은 남북전쟁 이전에는 건강한 생활습관 정착을 위한 생활개혁운동, 노예제도 폐지와 인종평등과 같은 구조개혁 운동, 도덕적 자기개혁운동을 전개하였다. 남북전쟁 이후에는 노예제도가 폐지됨에 따라서 금주운동과 여권신장운동으로 방향이 전환되었다. 남북전쟁 이후에 기독교 사회개혁운동에 영향을 끼친 사상으로는 사회진화론, 사회복음주의, 전천년주의 등이 있었다. 특별히 초절주의 운동의 영향으로 도덕적 자기개혁을 강조한 것 또한 19세기 후반의 기독교 사회개혁운동의 방향으로 볼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19세기 미국에서의 기독교 사회개혁운동의 성격과 방향을 초절주의와 연계하여 분석 평가할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o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ocial Reform movement in American transcendentalism and Christianity. The 19th century was the time when the social reform movement was vigorously promoted in America. In particular, Protestant reformers led the American social reforms in mutual relationship with American transcendentalists. The transcendentalists those who were affected by European romanticism took part in the social reform movement with the vision for building a social utopia in America. They believed in the naturalistic transcendentalism, accepting the new views in order to escape the religious formalism of Unitarianists. As the group which was seeking an alternative spirituality, transcendentalism was sincerely promoted the social reforms to overcome the evils of capitalism. The direct concern of transcendentalists, however, focused on the personal moral-reform rather than the reform of soci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moral reform oriented, they have developed the moral reform movement and self-reform movement. In contrast, Christian social reform movement has had a strong social-oriented feature.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antebellum and postbellum in the Christian social reform movement. In the period of antebellum, they actively promoted the social reform based on the post-millennialism. The main contents of the reform movement were such as Health Living Reform, Emancipation, Racial Equality, Moral Self-Reform, etc. In the period of postbellum, the protestant social reform movement in America changed into a new direction due to abolish the slavery. At this time, the main contents of the social reform movement were Temperance movement and Women’s suffrage. The new thoughts which affected to the reform movement were such as Social Darwinism, Social gospel, and Pre-millennialism, etc. Above all, Christian reformers were influenced by the transcendentalism. Then, they emphasized the moral self-reform as an urgent social reform agenda. But they did not back down the reform of social structure, such as Women’s suffrage unlike the transcendentalism. Through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 and direction of Christian social reform movement have been evaluated in conjunction with the transcendentalism.

      • KCI등재

        로잔운동의 관점에서 본 교회개혁

        박보경 한국선교신학회 2018 선교신학 Vol.49 No.-

        로잔운동은 세계선교를 위한 전 교회적 노력의 일환으로 교회의 갱신과 개혁을 중요한 과제로 인식하여 왔다. 로잔진영 안에서 교회개 혁에 대한 논의는 1974년 로잔대회에서 부터 시작되었고, 1989년 마닐라 대회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토론되어왔다. 1989년 마닐라 대회가 끝난 후부터 2004년에 이르기까지 로잔운동은 쇠퇴기를 맞이하 였기에, 교회개혁에 대한 논의가 거의 진행되지 못하였으나, 2004년 파타야 대회를 기점으로 하여 교회개혁의 문제를 다시 다루기 시작하였 다. 특히 2010년 3차대회를 준비하면서 2007년부터 교회개혁의 문제 는 로잔운동 안에서 매우 중요한 주제로 등장하였다. 2010년을 전후로 하여 로잔운동은 교회개혁의 주제를 하나님의 선교의 방해 요소가 되는 교회의 타락, 부패의 문제와 연결하여 매우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교회의 번영신학에 대하여 로잔운동은 매우 적극적으 로 문제제기하였다. 결국 로잔운동의 교회개혁에 대한 관점은 오늘날 교회 개혁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한국교회에 중요한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issues relating to the churches’ renewa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ausanne Movement. For more than four decades the Lausanne Movement claimed that corruption within the church has become one of the most serious hindrance of churches’ participation in the Missio Dei. In 1974 when the first Lausanne Congress was held, the discussion on the reformation of the church was initiated by Latin American evangelicals. It continued to be one of the leading agenda discussed in various meetings. However, after 1989, the issues of churches’ reformation was not actively discussed. The prophetic voice of the reformation of churches rekindled during the Pattaya Forum in 2004. By that time, the reformation of the church became an even more significant topic. And to this day, theologians continue their efforts to tackle corruption within the church by revealing the negative aspects of prosperity theology.

      • KCI등재

        민주화운동단체들에 대한 정치사회학적 고찰 2 ; 개혁적 시민운동과 정당의 관계맺기 -비판적 지지 를 통한 거리두기와 협력

        최종숙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12 기억과 전망 Vol.0 No.26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개혁적 시민운동은 정당에 대한 ``비판``과 ``지지``가 공존하는 ``비판적 지지``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정당정치의 개혁과 정상화에 기여하였음을 보이고자 하는 것이다. ``비판적 지지``는 조직적 독립을 유지하되 대부분의 쟁점사안들에 대해 협력관계를 유지하는 정당과 사회운동 간 협력의 한 유형이다. 개혁적 시민운동이 정당과 맺어왔던 협력관계에 대해서는 그동안 거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이사실이다. 그 이유는 개혁적 시민운동이 정당과 맺었던 협력방식이 공식적인 조직적 연계를 두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때때로 강력한 비판이 오고가는 독특한 형태를 띠고 있었기 때문이다. 개혁적 시민운동이 유지했던 이러한 ``거리두기``는 시민운동이 대의정치를 부정하거나 정당정치 일반에 도전하는 것으로 비춰져 왔다. 그러나 개혁적 시민운동은 호남지역기반정당과 일면 거리두기를 하면서도 정책이나 쟁점사안들에 대해 동일한 관점을 공유하며 수시로 공동행동을 조직하는 등 협력관계를 지속해 왔다. 개혁적 시민운동이 정당으로부터 조직적 자율성을 획득함으로써 유지된 ``거리``는 정당에 대한 자유로운 비판의 공론장으로 활용되었을 뿐이다. 2011년 가을,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시민운동 활동가인 박원순 후보가 민주당과 선거연합을 결성하되 민주당에 입당하지 않고 무소속후보로 남았던 점 역시 양자 사이의 ``비판적 지지`` 관계의 연장선상에서 보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사회운동으로서의 조계종 종단개혁운동

        박수호 동양사회사상학회 2005 사회사상과 문화 Vol.11 No.-

        새로운 밀레니엄을 앞둔 1990년대는 세계사적으로 중대한 변화의 시기였다. 동유럽 사회주의 체제의 붕괴로부터 촉발된 이데올로기 대립의 종식과 민족주의의 재등장, 인터넷으로 상징되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그로 인한 사회 각 분야에서의 세계화 경향, 세계 곳곳의 민주화 열풍은 국내외 정세의 급격한 변화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 속에서 불교계는 1994년 조계종 종단개혁을 경험했다. 그러나 조계종 종단개혁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평가는 유보되고 있다. 조계종 종단개혁은 불교가 정치적 예속에서 탈피하여 불교의 자율성과 사회적 기능을 회복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사회학적 연구 가치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부각되고 있는 다양한 사회운동이론의 현실적합성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조계종 종단개혁을 사회운동의 차원에서 재해석하고 평가함으로써 종단개혁이 가지는 사회운동으로서의 의미와 사회학적 함의를 지적하고, 다양한 사회운동 이론의 적용 지평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조계종 종단개혁의 역사적․사회적 배경을 살펴보고, 종단개혁운동의 과정과 행위주체들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종단개혁을 주도한 ‘범종추’라는 뚜렷한 개혁주체에 의해 불교계의 자원들이 효과적으로 동원됨으로써 운동의 목표를 달성하게 되었다는 점, 종단개혁 과정에서의 프레임 변화가 나타났고 그것이 자원동원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는 점 등을 확인함으로써 사회운동에 대한 구성주의 이론들의 설명력을 검증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회학적 함의와 함께 조계종의 종단개혁운동이 불교시민사회의 형성, 불교의 자율성 확보 및 사회적 기능 회복 등과 같은 결과를 가져왔다는 의의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甲午東學農民運動의 목표와 방향으로서의 弊政改革案

        김진윤 한국민족사상학회 2011 민족사상 Vol.5 No.3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also known as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as an anti-government, anti-feudal and anti-foreign The uprising started in Gobu during February 1894, with the peasant class protesting against the political corruption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or the 1894 Peasant War witnessed poor farmers in large numbers rise up against the landlords and the ruling elite. The peasants demanded land redistribution, tax reduction, democracy, human rights and the reformation of political corruption. Their objectives were institutional land reform, social reform, the removal of corrupt officials and the expulsion of foreign influence from Korea. Although the movement failed, it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Korean modernization that resulted from the peasants' demands for democracy, the expulsion of foreign influence and an end to feudalism. 갑오년의 이 역사적 대사건은 최제우가 동학을 창도한 이래로 끊임없이 제기해왔던 당시의 정치적․경제적․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보다 적극적․무력적인 행위로 나타난 것이라 하겠다. 즉 동학이 갖는 현실지향적인 성향으로 말미암아 단순한 종교의 차원을 넘어서 ‘東學布敎’나 ‘東學運動’이 실제의 측면에서는 동일하게 나타나는 현실 개혁운동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사건을 시기는 ‘甲午’년, 사상적 기반은 ‘東學’, 주도세력은 ‘農民’층, 사건의 성격은 ‘運動’이므로 ‘甲午東學農民運動’이라고 命名할 수 있다. 동학군은 법과 정책의 수혜자입장에서 弊政의 직접적인 원인을 제공한 지방 탐관오리들의 징계로 三政紊亂으로 인한 민생문제의 해결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그래서 그 운동의 방책이자 실천적 강령이 바로 弊政改革案이였던 것이다. 그 운동이 비록 실패로 끝났지만 당시의 농민들이 바라는 바가 무엇이었는가를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甲午東學農民運動의 궁극적인 목표인 ‘輔國安民’이 ‘甲午更張’의 목표와 방향을 설정하는 실증적 사례를 제공했다고 할 수 있다. 즉 ‘밑으로부터의 개혁’을 바라던 동학군의 이상과 목표는 ‘甲午更張’이라는 위로부터의 改革運動과 朝鮮王朝의 체제변화에 엄청난 충격을 주었던 것이다. 이러한 甲午東學農民運動의 그 개혁의 목표와 방향은 동학군이 제시한 弊政改革案에서 기인한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