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推案及鞫案』에 기록된 戊申餘黨 謀反事件의 樣相

        고수연(Gho, Soo-yeon) 호서사학회 2019 역사와 담론 Vol.0 No.92

        朝鮮 後期 英祖 4년(1728)에 일어난 戊申亂은 老論 · 少論 · 南人의 정치적 갈등이 兵亂으로 폭발한 사건이었다. 반란이 진압된 이후에도 무신란을 지지하고 표방한 ‘戊申餘黨’들은 다시 한 번 반란을 통하여 정계 복귀 내지는 정권 탈취를 위하여 謀反事件을 일으켰다. 이 글에서는 조선시대 중죄인의 조사서와 판결서를 모은 『推案及鞫案』을 검토하여 무신여당의 모반사건이라고 판단되는 11건을 추려내어 검토하고 그 양상을 정리하였다. 11건의 무신여당 모반사건은 무신란 직후부터 30여 년 동안 전국적으로 발생했다. 이것은 무신란이 진압된 이후에도 상당기간 동안 무신란을 지향하는 세력이 존재하고 있었고, 그들이 무신란과 같은 반란을 시도하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무신여당의 모반 방식은 괘서 · 모의 · 시장 투서의 형식이었다. 掛書의 경우 民心 선동, 즉 여론의 형성이 가능하여 적극 사용되었다. 試場 投書 역시 왕과 많은 사람이 함께 모인 공개적인 과거시험장에서 흉역을 적은 시장을 왕에게 바치는 노골적인 행위로 민심을 자극하는 파급력이 있었다. 무신여당의 인적 구성을 보면 무신란에 직접 가담했던 인물, 소론계 인물, 남인계 인물, 무신란을 모방한 다양한 계층으로 나누어서 살펴볼 수 있었다. 1728년에 일어났던 무신란은 少論 峻論과 남인이 중심이 된 사족의 반란이었지만, 이후 영조 대 무신여당의 활동에는 소론 준론과 남인은 물론 몰락한 지방의 사족이나 中人 · 良人 등 다양한 계층이 가담함으로써 무신란에 비하여 모반사건에 가담하는 계층이 확대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鄭鑑錄』과 『道詵秘記』에 영향을 받은 무신여당의 모습도 확인되었다. 무신여당 모반사건의 지역별 동향을 살펴보면 전라도의 유배지와 충청도 청주 지역에서 일어난 모반사건이 많았다. 이것은 반란을 일으켰던 인물들이 유배를 가서도 무신란의 재현을 시도하였던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청주 지역의 경우 무신란 당시 병영성 점령에 성공했고, 한양으로 진출한 반란군의 교두보가 되었던 지역으로 반노론 정서가 남아 있어서 무신여당의 모반활동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기존 연구에서는 무신란 이후 실세한 소론들이 주로 무신여당으로 모반사건을 일으켰다고 보았다. 그러나 11건의 무신여당 모반사건 검토로 인하여 무신여당 인적 구성의 한 축은 지방의 남인이나 중인 · 양인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당시 조정에서는 중앙 정치에서 소론을 견제할 필요가 있어서 소론 준론이 일으킨 무신여당 사건을 더욱 강조했던 것으로 보인다. The Musinran, which took place in the fourth year(1728) of King Yeongjo"s reign in Joseon, was the explosion of political conflicts among Noron, Soron and Namin in the form of disturbance. Even after the revolt was repressed, the “Musinyeodang” still supported and advocated the Musinran. They kept raising a revolt through the reign of King Yeongjo to return to the political arena or seize political power. Trying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y, this study found and reviewed 11 revolt cases by Musinyeodang recorded in Chuangeupgukan, which is a collection of investigations and written judgments for felons during Joseon. In the 11 revolt cases, the Musinyeodang raised a revolt in the forms of Goaeseo, conspiracy, and anonymous letter at the test site. Goaeseo was actively used by them since it was capable of instigating the people or forming public opinions. In case of anonymous letters at the site of the state exam, they would submit an anonymous letter containing disloyal content to the king in an obvious way at the open site where many people gathered. These anonymous letters were also influential. The revolt cas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human composition of Musinyeodang: the revolts raised by those who took direct part in the Musinran, those raised by Soron members, those raised by Namin members, and those raised by individuals from various classes to mimic the Musinran. In the Musinran of 1728, the noblemen of Namin and Soron hardlinerssoron led the revolt. In the activities of Musinyeodang following the revolt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various classes participated including collapsed local noblemen, Jungin, and common people as well as Soron hardlinerssoron and Namin. The scope of classes involved in the revolts expanded. The study then examined the local trends of the revolt cases by the Musinyeodang and found that their activities were prominent at places of exile in Chungcheong and Jeolla Provinces. In the Musinran, they succeeded in occupying Byeongyeongseong near Cheongju, Chungchong Province. The activities of Musinyeodang were prominent especially in the area. The revolt cases by Musinyeodang continued around the nation for about 30 years, which suggests that the Musinran continued to have impacts for many years even after it was repressed. Previous studies reported that mainly Soron members raised a revolt on the back of Musinyeodang after losing their power due to Musinran. Many of the researches emphasized that noblemen in the Soron line were punished for the revolt cases by Musinyeodang. The study, however, reviewed 11 revolt cases by Musinyeodang and found that one of the axes in the revolts was local Namin members, Jungin and common people.

      • KCI등재

        鎭川地域 士族의 分岐양상과 戊申亂

        고수연 역사실학회 2019 역사와실학 Vol.68 No.-

        1728년(영조 4) 3월에 일어난 戊申亂은 조선후기 중앙정계 뿐 아니라 반란과 연관된 지방의 향촌사회에도 오랫동안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무신란에 참여한 계층은 다양하지만 무신란의 계획과 전개에 있어서 주도적 역할을 했던 것은 士族이다. 그러나 단순히 중앙 붕당정치의 결과로만 난이 일어난 것은 아니며, 더 복잡한 지역적 배경이 존재하고 있었다. 특히, 반란에 가담한 지역 사족의 경우 무신란 이전의 동향에 대하여 확인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이 글에서는 鎭川地域을 주목해 보았다. 무신란 당시 청주성을 점령한 반란군은 진천에서 상당 기간 머물면서 군대와 군비를 추가로 마련하였기 때문이다. 무신란 이전 진천지역의 사족 동향을 살펴본 결과 17세기 중반 이후 진천지역은 사족들의 붕당적 대립이 두드러지고 있었다. 특히 중앙 정치가 점차 老論 중심으로 돌아가고, 진천지역에서 노론의 영수 宋時烈의 영향력이 증대되면서 진천지역 少論계 사족들은 당파적 소외감이나 정치·사회적 불만을 갖게 되었던 것이다. 즉, 1675년 진천 사족 李寅馨이 池若海 후사사건에 가담했다가 형추를 받기도 하고, 1679년 李寅賓이 李有湞 옥사사건으로 송시열의 유배를 청했으나 수락되지 않는 등의 사건이 있었다. 그러나 1721년부터 1722년까지 이어진 辛壬士禍로 소론에게 정권이 넘어가자 진천지역 사족들은 신속하게 1722년에 芝山書院을 건립하여 소론의 영수이자 진천 인물인 崔錫鼎을 독향하였고, 사액을 받았다. 다음해에는 松泉書院에 최석정을 추향하였으며, 1724년에는 소론계 淸州李氏 가문에서 李公升書院을 세웠다. 그러나 1724년 영조 즉위 후 다시 진천지역 소론세력은 급격히 위축되었다. 즉, 무신란 이전 진천 사족들은 붕당별로 대립하고 있었고, 무신란 직전에는 소론 세력의 정치적 불만이 최고조에 이르렀던 것이다. 반란군으로 자원하여 활동한 鎭川幼學 邊遇翼의 상소 등을 보면 지방에 있는 비노론계 사족들은 ‘京儒’와 ‘老論’이 되어야만 살아갈 수 있는 현실에 절망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반란군 세력은 인지하였고, 진천을 비롯하여 소론이나 남인계 사족이 활동하던 목천·청안지역에 僞守令을 보내어, 군사와 무기를 모집하였다. 그리고 진천지역 소론계 일부 사족들 역시 반란을 통한 정권참여의 기회를 마련하고자 했던 것이다. 결국, 17세기 후반부터 증폭되기 시작한 진천지역 사족의 대립과 갈등이 중요한 계기가 되어 일부 소론계 사족은 무신란 당시 반란군으로 활동하였으며, 노론계 사족은 반란군을 진압하는 의병으로 활약하였다. 즉, 변우익 등 진천 소론계 사족들은 반란군으로, 채지홍을 비롯한 平壤趙氏·鎭川宋氏·驪興閔氏 등 진천 노론계 사족들은 의병세력으로 연대하였던 것이다. 무신란은 결국 진압되었고, 진천지역은 의병으로 참여했던 노론계 사족의 포장과 추숭이 이어지며, 지역내에서 위상이 높아졌다. 이와는 반대로 진압된 진천의 반란군 가문은 물론, 소론 가문의 향촌지배력까지 매우 약화되었다. 즉 무신란이 진천지역 내 당파적 이해집단 간의 뚜렷한 분기점이 되었던 것이다. 이 글에서는 무신란을 중앙 붕당정치의 결과물로 이해하는 것에서 한걸음 나아가, 지역·사회사적인 관점으로 진천지역 무신란을 바라보려고 시도하였다. 이러한 시도를 통하여 진천지역 사족의 분기양상이 결국 지역 ... Taking place in March, 1728(four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 the Mooshin Revolt had huge impacts on the local country communities related to the revolt as well as the central political world in many following years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Various social classes joined in the revolt, but it was the Sajok that played leading roles in the planning and development of the revolt. The central party strife was not the only cause of the revolt, behind which there were more complex local backgrounds. That is, there is a need to check what kind of activities the local Sajok that participated in the revolt engaged in before it. With this problematic consciousness, this study focused on the Jincheon area since the rebel army that occupied the Cheongju Fortress during the revolt stayed in the area for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to procure additional troops and armaments. The study looked into the trends of Sajok in the Jincheon area before the revolt and found that the factional strife became prominent among the Sajok families of Jincheon since the middle 17th century. As the central politics started to revolve around Noron gradually with the influence of Song Si-yeol, the leader of Noron, growing in the Jincheon area, the Sajok members in the Soron line in the area experienced faction-based alienation and developed political and social complaints. In other words, Lee In-hyeong from the Gyeongju Lee family in Jincheon took part in the scandal of Ji Yak-hae's offspring in 1675 and had himself removed from the Taehak Yujeok and subjected to the shin-based inquisition. In 1679, Lee In-bin also from the Gyeongju Lee family asked the king to send Song Si-yeol to exile after Lee Yu-jeong's death in prison but had his request denied. Once Soron seized power after Sinimsahwa, however, the Sajok families of Jincheon moved quickly to build the Jisan Seowon in 1722, establish Dokhyang for Choi Seok-jeong, the leader of Soron, and received Sa-aek. The next year, they started to hold a memorial ceremony for Lee In-hyeon from the Gyeongju Lee family and Choi Seok-jeong at the Songcheon Seowon, and the Cheongju Lee family of Soron built the Igongseung Seowon in 1724. After King Yeongjo ascended the throne in 1724, however, the Soron forces shrank abruptly in the Jincheon area. That is, the Sajok families in the Jincheon area confronted one another fiercely before the Mooshin Revolt, right before which their complaints peaked. Recognizing this situation, the rebel army dispatched a garrison decree to the Mokcheon and Cheongan areas where the anti-Noron Sajok was active in addition to Jincheon and collected soldiers and weapons. A look at appeals made by Byeon Woo-ik, a Confucian scholar of Jincheon and volunteered to the rebel army, shows that the political complaints among the anti-Noron Sajok families in Jincheon reached a serious level. The local anti-Noron Sajok families were in despair about the reality in which they had to be "Gyeongyu" and "Noron" to survive. Even the Soron, for whom the anti-Noron Sajok had some expectations in Jincheon, was excluded from the political circles after King Yeongjo's accession to the throne, in which situation they regarded the seizure of power through a revolt as their last alternative. In the end, the confrontations and conflicts of Sajok in the Jincheon area that began to amplify in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became critical reasons behind the anti-Noron Sajok's fight as the rebel army during the Mooshin Revolt and the Noron-line Sajok's fight as the loyal troops to repress the rebel army. That is, the Soron-line Sajok members in Jincheon including Byeon Woo-ik banded together as the rebel army, whereas the Noron-line Sajok families including the Pyeongyang Jo, Jincheon Song, and Yeoheung Min families in addition to Chae Ji-hong did as the loyal troops. The Mooshin Revolt was eventually suppressed. In the Jincheon area, praise and admiration continued for the Noron-line Sajok members.

      • KCI등재

        영조대 戊申亂관련 邊山賊의 성격

        문경득(Mun, Gyeong-Deuk) 고려사학회 2016 한국사학보 Vol.- No.63

        戊申亂은 영조 4년(1728)에 경기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에서 일어난 반란이다. 반란의 성격에 대해 당쟁의 연속선상에서 일어난 정치적 반란으로 보는 시각과 ‘明火賊’을 비롯해 다양한 계층의 민중들이 참여한 반란으로 보는 해석이 있다. 이중 ‘邊山賊’의 성격과 가담여부는 무신란 성격 규명에 있어 주요 쟁점이다. 기존 연구에서 변산적은 일반적으로 ‘도적무리’의 의미로 보고 있는데, ‘역적무리’로 해석할 여지도 존재한다. 게다가 해석에 앞서 사실의 문제가 있다. 변산적에 관한 주요 사료가 피의자의 진술인데 조선시대에는 刑訊이 가능했으므로 고문에 이기지 못하고 허위자백했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변산적에 관한 주요 진술을 검토하여 변산 도적무리의 실재 여부와 무신란과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변산적의 성격이 변산의 역적무리라고 한다면, 실제 관련된 사람들은 누구인지 밝혔다. 먼저 변산 도적은 실재여부를 검토하였다. 호남별견어사 이광덕의 보고에 따르면 변산적에 대한 과장된 소문이 있었으나 실은 좀도둑들만 존재한다고 한다. 실제로 체포되어 조사받은 변산 도적 3인의 진술을 검토한 결과 이들은 반란모의와 연관이 없었다. 또한 다른 무신란 관련자들의 진술은 그들은 변산 도적에 대해 잘못 알고 있던 내용을 진술한 것에 지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변산 도적의 지도자로 알려진 鄭八龍에 대한 진술들도 변산 도적과 관련이 없었으며, 정팔룡은 경상도의 정희량이나 경기도의 정세윤을 지칭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변산의 도적은 실재했으나, 무신란과는 관련이 없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변산적은 역적무리임이 유력해졌다. 이에 먼저 변산도적과 결탁한 지역의 토호로 알려진 金守宗과 金守亨이 반란에 가담하였는지 분석하였다. 그러나 高應良과 姜渭徵의 진술 등을 검토한 결과, 김수종과 김수형은 변산적과 관련이 없었다. 반면 전라감사 이광덕은 평교에 집결했던 반란군과 반란 준비에 관여한 송하 패거리가 변산적이었다고 보고했다. 무신란 이후 조정의 논의를 살펴봐도 평교에 집결한 반란군이 변산적으로 거론된다. 따라서 무신란과 관련된 변산적은 변산의 역적무리로, 평교에 집결한 반란군과 반란 모의에 가담했던 송하 패거리였다. 결론적으로 변산적을 변산의 도적무리라고 보고, 이를 전제로 무신란의 성격을 정의하는 것은 재고되어야 한다. 변산적은 변산의 역적이었으며 이들은 박필현, 이인좌, 정희량처럼 신분과 당색이 뚜렷하지 않았으므로 당쟁의 연속선상에서 일어난 사건이라 보기 어렵다. 따라서 전라도지역 무신란의 성격도 재해석할 여지가 있다.

      • KCI등재

        英祖代 蕩平政局下 國家義理書 편찬과 戊申亂 해석

        허태용(Huh taeyong) 한국사학회 2014 史學硏究 Vol.- No.116

        辛壬獄事를 거치고 즉위한 英祖의 가장 중요한 과제는 正統性확립이었다. 영조로서는 자신의 정통성을 부정하는 정치 세력들을 철저하게 제거하는 한편으로『勘亂錄』,『御製大訓』,『闡義昭鑑』과 같은 ‘국가의리서’를 편찬하여 새로운 국가의리를 확정함으로써 정통성을 강화하고 정국을 주도하려는 노력을 계속했다. 주목되는 점은 영조가 정통성을 천명하기 위한 노력의 차원에서 국가의리를 새로이 확정할 때마다 무신란에 관한 새로운 해석이 수반되었다는 점이다. 무신란 진압 직후에 편찬된『감란록』에서 무신란은 김일경을 비롯한 소론 일부 과격파들이 저지른 역란이지만, 동시에 오랫동안 이어져온 붕당 간의 갈등과 당론이 최초의 근원으로서 해석되며, 소론과 서덕수를 비롯한 노론의 공동 책임이 강조되었다. 한편 임인옥안이 소각된 후 1741년 신유대훈이 선포되고 그것을 간행한 『어제대훈』에서는 더 이상 서덕수의 책임은 거론되지 않았다. 그는 이미 신원되었던 데다가 임인옥 자체가 무옥으로 규정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제대훈』에서는 김용택, 이천기, 이희지, 심상길, 정인중의 5인의 노론 인사만이 무신란과 관련된 자들로서 규정되었다. 1755년 발생한 을해옥사는 그간 노?소론 간의 충돌되는 정치의리를 나름 공존시키고, 그 위에서 탕평정국을 운영하려던 영조의 정치적 자세를 크게 바꾸어버렸다. 그래서 을해옥사의 최종 결과물이었던『천의소감』에서는 무신란의 발생 책임이 전적으로 소론에게 있는 것으로 규정되는 동시에 무신란의 기원은 여태까지와 달리 김일경이 아니라, 유봉휘와 조태구까지 소급되었다. 무신란은 지나간 과거에 머물러 있는 사건이 아니라 영조대 탕평정국의 변화와 정치적 필요성에 따라서 계속 재해석될 수 밖에 없는, 영조 집권기 최대의 핵심 사건이었던 것이다. Having been connected with the Iminoksa(壬寅獄事), King Yeongjo had to find some political ways to show off and consolidate his status as an unique successor of Joseon dynasty from the time of his enthronement. he persevered in his efforts to compromise the political justification of Noron with that of Soron by implantation Tangpyeong group figures of both political parties. Even after the Musin Revolt that had been broken to deny his legitimacy in 1728, he did not give up his efforts, and began to compile some publications on state justification such as Gamnannok, Eojedaehun, Cheonuisogam in consecutive order which made by compromising the political justification of Noron with that of Soron. Bu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change of interpretation on the Musin Revolt. In Gamnannok which compiled right after suppression of the Musin Revolt, Noron was regarded as guilty as Soron in that some figures of Noron such as Seodeoksu provided reason of the Iminoksa by attempt to commit treason against King Gyeongjong. In Eojedaehun which compiled in 1741, Noron took sentence of acquittal except five figures, because the Iminoksa was regarded as falsity to increase the legitimacy of King Yeongjo. Only five figures of Noron remained in the list of criminal to provide Soron with the minimum political excuse to participate in his administration. Cheonuisogam, which compiled right after suppression of the Eulhaeoksa(乙亥獄事) in 1755, imputed the whole responsibility of the Musin Revolt to Soron, because the Eulhaeoksa revealed that many figures of Soron still did not admit the legitimacy of King Yeongjo. In sum, change of interpretation on Musin Revolt reflected change of political situation of King Yeongjo’s reign period.

      • KCI등재후보

        단릉(丹陵) 이윤영(李胤永)의 시문에 나타난 영남의 인상 : 1728년 무신란(戊申亂)의 흔적을 중심으로

        최선혜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4 한국문화연구 Vol.27 No.-

        국문초록l1728년(영조 4) 이인좌를 중심으로 소론 강경파 및 남인 소북 세력은 경종의 복수를 명분으로 전국적인 규모의 무신란(戊申亂)을 일으켰다. 반란은 같은 소론의 오명항(吳命恒) 박문수(朴文秀) 등에게 17일만에 진압되었으나 그 여파는 막대하였다. 특히 영남은 누대의 명문세족들이 대거 몰락하였으며 사실상의 정치적 금고 상태에 놓이게 되었다. 이윤영(李胤永)은 노론의 강경파로서 평생 영조의 탕평책에 반대하여 벼슬을 포기하고 일생을 기행과 문학 창작에 바친 문인이었다. 그 중 영남 방문은 도합 세 차례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1740년에 금산 군수로 부임한 백부 이화중과 함께, 1748년에는 중부 이태중의 동래 부사 부임길에 동행했다. 그리고 1751년 단양 군수로 부임한 부친 이기중과 함께 간 단양에서 영남으로 유배를 떠나는 이유수를 만나 벗이 되어 안동까지 동행했다. 이윤영은 이러한 여행길에서 영남대로를 지나며 무신란과 임진왜란의 흔적 수려한 산수 명승지와 마주하였다. 교유의 범주에서 노론계 영남 문인들이 대부분이었다는 점에서 한계를 보였으나 이윤영은 영남의 전통과 무신란 이후의 현실에 대하여 안타까운 감정을 시에 담았다. 또한 세 차례에 걸쳐 영남을 방문하면서 시에 드러나는 심리는 옛 전란에 대한 불안에서 안타까움과 위로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노론 문인의 영남에 대한 인식의 폭을 읽어낼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Mushin Rebellion(戊申亂) that broke out in 1728(Year 4 of Yeongjo) was one of the largest uprisings in th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It was instigated in 1728, the year of Mushin, on the pretext of revenging King Gyeongjong by an alliance of Soron hardliners and Namin(南人)/Sobuk(小北) political factions, and it was put down by Oh Myeong-hang(吳命恒) and Bak Mun-su(朴文秀), the ministers from the moderate Soron faction. Although the rebellion was suppressed in 17 days, it had a tremendous impact. Many noble families in Gyeongsangdo were ruined, the province was blamed for being the seat of the rebellion, and the families of Namin and Soron/Sobuk factions were placed in de facto political imprisonment. He has 3 times journey to yeongnam(嶺南). First, he went with uncle Yi Hwa-jung who was appointed governor in 1740. Second, he was accompanied uncle Yi Tae-jung who was appointed to the high government post of Dongrae Busa in 1748. And he see off Yi Yoo-soo who met by friend in Danyang. At this moment, his father Yi Gi-jung was appointed governor of Danyang, then he lived in Danyang. However, He defined the boundary in Noron scholars in Yeongnam. The Youngnam journey appearing in Yi Yun-yeong’s anthology Dalleungyugo(丹陵遺稿) follows the path of the Mushin Rebellion. On the road through Yeongnam there are beautiful views and countless scenic spots. Therefore throughout the poetry in Yi Yun-yeong’s anthology Dalleungyugo the writer’s complex feelings are expressed. From this we can grasp Yi Yun-yeong’s admiration for the old literary tradition of Yeongnam as well as his mixed sentiments about the region as the place of the rebellion.

      • KCI등재

        『戊申逆獄推安』에 기록된 戊申亂 叛亂軍의 성격

        고수연(Ko, Soo-yeon) 호서사학회 2017 역사와 담론 Vol.0 No.82

        『戊申逆獄推案』에는 1728년(영조 4)에 일어난 무신란에 가담했던 반란군의 供草가 모두 실려 있어 사료적 가치가 높다. 따라서『무신역옥추안』에 실린 반란군 291명의 공초를 분석한다면 무신란 반란군이 士族 중심이었는지, 아니면 軍官 · 奴婢 등 하층민이 반란군으로 큰 역할을 했는지를 검토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이 이루어진다면 기존에 혼용되어 쓰이던 무신란의 성격, 즉 무신란을 붕당정치 차원에서 파악할 것인가,민중운동의 일환으로 볼 것인가에 대한 시각을 분명히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가지고『무신역옥추안』을 분석한 결과,첫째,『무신역옥추안』에 기록된 반란군의 職役을 보면 291명 중 미상 86명을 제외하면 사족이 173명으로 압도적으로 많다. 따라서 무신란 당시 사족이 주도적으로 가담했다고 한 연구시각, 즉, 무신란을 붕당정치 차원에서 파악한 연구시각은 맞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사족 외의 직역으로는 군관 6명, 중인 10명, 양인 4명, 노비는 12명에 불과하다. 더구나 노비는 대개 주인인 사족의 단순심부름을 하였다. 따라서 하층민이 반란전개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고는 한 연구시각, 즉 무신란을 민중운동의 일환으로 파악한 연구시각은 재고될 필요가 있다. 셋째,『무신역옥추안』에 기록된 반란군이 많이 살았던 지역인 여주 · 용인 · 충주 지역을 검토해 본 결과 그 지역의 반 노론계 2~3가문의 친척이 같은 당파와 인척으로 연합하여 반란에 가담하는 양상을 볼 수 있었다. 넷째,『무신역옥추안』에 실린 본관이 같은 가문으로는 淳昌趙氏, 驪興閔氏, 羅州羅氏, 泗川睦氏, 全州李氏, 潘南朴氏 순이었다. 당색으로 보자면 순창조씨 · 여흥민씨 · 나주나씨 · 전주이씨는 南人계, 사천목씨 · 반남박씨는 少論 峻少 계열의 가문이었다. 그리고 남인인 순창 조씨와 여흥민씨, 나주나씨와 전주이씨는 인척지간이었다. 특히, 기존 연구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지역에 세거하던 남인 사족이 가장 많은 수의 친척을 동원하고 있었다. 이것은 1727년 丁未換局으로 서울의 소론 준소계열의 반란동력이 약화되면서, 자연스럽게 지방 세거 남인 사족들이 가장 많은 친척을 동원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요컨대, 무신란의 전개에 하층민의 가담을 인정할 수는 있지만, 이것을 확대 해석하여 무신란을 민중운동으로 규정하는 것은 무리라고 생각된다. 무신란은 사족, 특히 남인과 소론 준소계열 사족이 중심이 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지역에 세거한 남인들이 인척으로 강하게 결속되어 있었고, 가장 많은 수의 친척을 동원하고 있었다.

      • KCI등재

        무신란(戊申亂) 당시 남원ㆍ태인 지역 반란군의 임실 집결과 특징

        문경득 전북사학회 2018 전북사학 Vol.0 No.52

        전라도 지역 무신란과 관련하여 비교적 잘 알려진 다른 반란시도와 다르게, 남원·태인 지역 반란군의 임실 집결은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전라도 지역 무신란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이 반란 시도를 분석하여 반란가담자와 반란 계획, 시도를 정리하였다. 남원·태인 지역 반란군이 임실에 집결해 반란을 일으키려 했던 시도는 전라도 반란을 주관한 태인현감 박필현이 전라도 관군을 장악할 기회를 만들기 위해 계획된 반란 중 하나였다. 그러나 박필현과 송하는 서로 반란을 일으키는 동기가 달랐기 때문에 계획 단계부터 송하 등은 박필현과 다르게 할거를 고려하기도 했다. 반란 준비는 박필현을 통해 무신란에 가담한 송하가 반란가담자를 포섭하면서 이루어졌다. 먼저 송하는 서얼 처남 김익정을 통해 한익명을 끌어들였다. 이후 한익명이 위협과 회유를 병행하여 남원의 지주들을 끌어들였다. 이는 반란을 일으키기 위해서 노비를 군사로 동원할 수 있고 군량도 확보할 수 있는 지주가 필요했기 때문이었다. 반란을 위해 송하가 먼저 계획대로 영조 4년 3월 10일 무렵에 태인에서 임실로 이동해 그간 포섭한 반란군을 집결시키려 했으나 실패했다. 뒤늦게 3월 18일에 가담자들이 집결하기는 했으나, 미흡한 반란 준비와 반란 계획에 대한 의견 충돌 등의 문제가 있어 군사행동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결국, 기찰이 온다는 소식에 도망쳤다가 체포되면서 반란 시도는 실패하고 말았다. 이러한 입실 집결에 참여한 반란군의 성격을 분석해보면, 반란의 주동자들은 신분적으로 한미한 양반이거나 서얼이었으며, 경제적으로는 빈한했고 사상적으로 도술이나 도참, 풍수지리 등을 믿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반란가담자들은 주로 남원의 지주였는데, 정치적으로 당쟁과 별다른 관련이 없었고, 경제적으로 부유했으며, 사회적으로 신분은 향족으로 추정된다는 점이 공통적이다. 이상을 통해 볼 때 반란군은 양반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당쟁과는 별다른 연관이 없었으며, 서로 경제적·사회적으로 이질적인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임실 집결의 특징은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전라도 지역 외부에서 온 박필현에 의해 무신란의 일부로 계획되어 일어난 반란이다. 둘째, 전라도 지역 반란군은 집단의 구성이나 사상적 측면에서 다른 지역의 반란군과 성격이 달랐다. 셋째, 일정 지역을 점령하는 성과를 거두었던 충청도와 경상도 지역 무신란과 다르게 시도에만 그치고 말았다. 이상에서 무신란 당시에 남원·태인 지역의 반란군이 임실에 집결해서 반란을 일으키려 했던 시도와 반란군의 성격 및 사건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이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새로운 사건을 밝혀 전라도 지역 무신란의 공백을 메우는 데 이바지했다는 의의가 있다. Unlike other well-known rebellious attempts related to the Musin Rebellion in Jeolla Province, the research on the gathering of the rebels in the areas such as Namwon and Taein was rarely conducted. In this paper, this rebellious attempt was analyzed in order to fill the vacuum of Musin Rebllion in Jeolla Province, and its participants, their rebel plan and their attempts were summarized. The attempt to rise in revolt by gathering the rebels in Namwon and Taein was one of the rebellions designed to make a chance to take control of the army of Jeolla Province by Park Pil-hyeon, the governor of Taein who supervised the rebellion in Jeolla Province. However, as Park Pil-hyeon and Song Ha(宋賀) had different motives to rebel, Song Ha had considered holding his own ground from the planning stage. The rebellion was prepared when Song Ha, who participated in the Musin Rebellion via Park Pil-hyeon, won over the rebels to his side. Song Ha attracted Han Ik-myeong(韓益命) into rebellion via Kim Ik-Jeong(金益鼎), his brother-in-law. After that, Han Ik-myeon attracted the landowners in Namwon through threats and placation. It was designed to mobilize slaves as soldiers and to secure provisions. Song Ha moved to Imsil and tried to gather the rebels who he had won over around March 10th, in 1728 as planned. But he failed. Later on March 18th, the rebels gathered, but there were some problems such as insufficient preparation, and conflicts on rebel plans. Eventually they escaped on hearing that investigators were coming, but they were arrested. Their rebel attempt failed. For the rebels participating in Imsil gathering, the social status of the leaders were sons of concubines or poor yangbans(兩班), their economic status was poor, and they believed in Taoist magic(道術) or Docham(圖讖), or Feng-Shui(風水) theory. The participants in the rebels were mainly the landowners in Namwon, were not politically related with party strife(黨爭) and were economically rich, and their social status was assumed to be Hyangjok(鄕族). Like this, the rebels mainly consisted of Yangban and were not related with party strife. Also they were composed of economically and socially heterogeneous groups. This characteristics of Imsil gathering was summarized into three; First, it was the revolt which was designed as a part of Musin rebellion by Park Pil-hyeon, coming out of Jeolla Province. Second, the composition and thought of the rebels in Jeolla Province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ose in other provinces. Third, unlike the Musin rebellion in Chungcheong Province and Gyeongsang Province which occupied some areas, the Musin rebellion in Jeolla Province ended up as an attempt. As above, the attempts to rise in revolt, in which the rebels in Namwon and Taein gathered in Imsil, the nature of the rebel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cidents were summarized. This research has implications in that it revealed new events, which were not covered in previous studies, and contributed to filling the vacuum of Musin rebellion in Jeolla province.

      • KCI등재

        18세기 전라도 지역 무신란(戊申亂)의 전개과정

        변주승(Byun, Ju-Seung),문경득(Mun, Gyeong-Deu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9

        무신란(戊申亂)은 영조 4년(1728)에 경기,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지역에서 영조의 왕위계승 정통성을 부정하며 일어난 반란이다. 본 논문은 무신란에 대한 조사와 처결이 기록된 ?무신역옥추안(戊申逆獄推案)?을 주로 활용하여, 전라도 지역에서 일어난 무신란을 크게 반란군의 부안 평교 집결과 박필현의 태인 거병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반란군의 부안 평교 집결은 정세윤과 원만주가 포섭한 부안 인근 지역의 반란군이 3월 15일에 평교에 집결한 사건이다. 원래 이들은 3월 19일에 평교에 집결해 청주로 이동해 반란군과 합류할 계획이었다. 그런데 이인좌의 급한 연락을 받은 정세윤과 원만주가 먼저 청주로 이동한 뒤, 15일에 부안 평교에서 집결했다. 그러나 주동자의 부재와 악천후, 적은 규모 등으로 인해 해산했고, 일부만 청주로 이동해 반란에 가담했다. 집결의 주모자인 정세윤은 변산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인물인데, 기존의 연구에서 변산적은 흔히 ‘변산의 도적 무리’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정세윤의 행적과 실제로 반란에 가담한 자들을 분석해본 결과, 변산적은 ‘변산의 역적 무리’였다. 박필현의 태인 거병은 당시 태인 현감이던 박필현이 관군을 이끌고 태인을 출발하여, 3월 22일 새벽 전주성 서쪽 삼천까지 진출하여 전주성을 공략하려 했던 사건이다. 박필현은 반란군을 토벌한다는 명분으로 태인의 군사를 이끌고 전주성의 군사와 합류했다가, 결정적인 순간에 배신하여 전주성을 장악할 계획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태인 현감에서 파직되고, 부안과 나주의 반란군이 계획대로 오지 않자, 박필현은 태인의 관군만을 거느리고 전주성으로 향했다. 그는 전라감사 정사효에게 편지를 보내 포섭을 시도했으나, 전주영장 이경지가 편지를 받아들이지 않아 실패했다. 이에 바로 청주로 이동할 뜻을 밝히자, 박필현의 목적이 반란군 토벌이 아니라 반역이라는 사실을 알아차린 태인의 관군들이 도망쳐, 박필현의 태인 거병은 실패로 돌아갔다. 다음과 같은 몇가지 점에서 본 논문의 연구 의의가 있다. 첫째, ?무신역옥추안?에 나오는 관련자의 진술을 비교?검증하여, 전라도 지역 무신란의 전개과정을 파악했다. 둘째, 무신란의 전개과정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기존 연구에서 자세히 다루지 못한 ‘정세윤’을 분석했다. 셋째, 무신란 당시의 ‘변산적’이 하층민으로 구성된 변산의 도적 무리라는 기존 견해와 달리, ‘변산의 역적 무리’임을 밝혔다. In 1728, there was the national-wide The Musin Revolt against King Yeongjo(英祖) in Gyeonggi(京畿), Chungcheong(忠淸) and Jeolla(全羅) province. I conducted research about the Musin Revolt by using “the investigation record of the Musin Revolt(?戊申逆獄推案?)” and, in particular, examined the gathering of armed forces in Bu`an(扶安) Pyeonggyo(平橋), and marching of Bak Pil-hyeon(朴弼顯)’s Taein(泰仁) army. Th Rebel forces in locality of Bu`an assembled at Pyeonggyo until March 19. they originally planed to move to Cheongju(淸州) and join in rebel forces; but Jeong Se-yun(鄭世胤) left for Cheongju after receiving the urgent message from Lee In-jwa(李麟左), and the others gathered at March 15. However, they were dispersed due to the absence of rebellion leaders and inclement weather, scaled-downed forces. Bak Pil-hyeon who was local governor of Taein planned to lead the army of Taein to convert to the rebel forces. So he assembled the army and marched on Jeonju at March 22. However, rebel forces of Bu`an and Naju did not arrive, and he was also dismissed from the governor. Thus he solely moved to Jeonju. He sent a messenger to Jeong Sa-hyo(鄭思孝), the Govenrnor of Jeonju, and tried to embrace the army of Jeonju. However, Commanding officer of Jeonju, Lee Gyeong-Ji(李慶祉) refused to accept this attempt. Additionally the army of Taein realized Bak Pil-hyeon`s plan to convert itself to the rebel forces, they scattered immediately and Bak Pil-hyeon failed to implement the plan for revolt. This thesis is important in conducting research about following things. First, this thesis analyzes the statements of people concerned who are recorded on the “investigation record of the Musin Revolt”, exploring the development of Musin Revolt in Jeolla Province. Second, it examines Jeong Se-yun whom precious studies did not focus on. He did not onl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entire Musin revolt. Third, this it proves that ‘the bandits of Byeonsan’(邊山賊) were comprised of people in the low class, and actually rebellious local residents.

      • KCI등재

        영조대(英祖代) 무신란(戊申亂)이후 경상감사(慶尙監司)의 수습책(收拾策)

        이근호 ( Geun Ho Lee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0 嶺南學 Vol.0 No.17

        이 글은 영조대 무신란 이후 경상감사들이 행했던 제반 수습책을 검토한 글이다. 영남 지역은 17세기 후반 이래 중앙 정치에 진출이 차단되면서, 이에 따른 불만들이 고조되었다. 그리고 이를 간파한 중앙 조정에서는 노론과 소론 공히 調用論을 내세우며 이들을 자파세력으로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런 중에 무신란이 발발함으로써 영남 지역은 예의주시되었고, 무신란 진압후에는 `憂嶺南說`이 제기되며 이후에도 여전히 주목받았다. 무신란 이후 처음으로 경상 감사에 제수된 朴文秀는 지역내 인사의 搜訪을 비롯해 중앙 정부의 뜻을 효유하여 민심의 안정에 주력하였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以嶺南治嶺南`이라는 영남 통치의 원칙을 제시하였다. 이 원칙은 趙顯命이 언급한 바와 같이 영남 지역은 다른 지역과 다르므로 위세나 위령 등으로 통치할 수가 없으며 그보다는 향촌내 長者를 통한 통치 방식이 필요함을 역설한 것이었다. 이는 달리 표현하면 영남은 영남인의 손에 맡겨야지 조정에서 개입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었다. 이 점은 또한 노론들의 영남 공략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였다. 이밖에 교학기구의 정비를 통해 `鄒魯之鄕`을 복원하고자 하였다. 조현명의 경우 養士節目을 제정, 이것이 조정에서 勸學節目으로 반포되었다. 박문수나 조현명 등 소론계열 내지 탕평파가 주로 관 주도의 향촌 교육 정비에 주력한 반면 노론계열의 경우는 서원에 주목, 이를 통해 절의를 선양하고자 하였으며 나아가 해당 지역에 자파 세력을 扶植시키려고 하였다. 이밖에도 경상감사들은 <平嶺南碑>나 <영해명륜당중수기>, <곽망우모의록발>의 작성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무신란을 상징하는 기념물 혹은 역사적인 기록을 통해서 민심의 순화를 도모하였다. This is writing that Kyongsang Province governors review all control policy that did since Yeongjodae Musinnan. As Yongnam(嶺 南) districts area cut-off advance in ever since center politics latter half of 17th century, complaints by this were built. And this in center settlement that do penetration all Nonons and Sonon logic that must use because appoint suggest and these tried to give a definite report by influence who follow suit oneself. By Musinnan happens doing this way Yongnam districts area courtesy stare, and `Which Yongnam districts is worried opinion(憂嶺南說)` was brought and still got attention after after Musinnan suppression. Appointed Parkmunsu(朴文秀) informs central government`s meaning including that visit person in area and made efforts in stability of popular feelings to Kyongsang Province governor for the first time since Musinnan. And on the one hand, presented principle of `As Yongnam districts, rule Yongnam districts(以嶺南治嶺 南)` Yongnam districts rule. As this principle refers to Johyeonmyeong(趙顯命), Yongnam districts area enforced other areas and that can not administer by power or coercive command and need rule method through older person in country than him because differ. For this, if express differently Yongnam districts leave in Yongnam districts person`s hand it was that need not to intervene in central government. This point was to intercept also Yongnam districts attack of Nonon plain. Beside, through education utensil`s maintenance, wished to reconstruct `Hometown of Confucius and Mencius(鄒魯之鄕)`. Establish Yangsajeolmok in the case of Johyeonmyeong , this was distributed to Gwonhakjeolmok in central government. While Bakmunsu or Johyeonmyeong etc. Sonon order and Tangpyeongpa (蕩平派) makes efforts in country education maintenance of government office leading mainly, Nonon order`s occasion tried to implant influence that wished to observe in lecture-hall , enhance integrity through this and goes forward and follows suit to oneself in relevant area. Beside, Kyongsang Province governors planned refinement of popular feelings through souvenir or historic recording that symbolize Musinnan as governors see in creat.

      • KCI등재후보

        단릉(丹陵) 이윤영(李胤永)의 시문에 나타난 영남의 인상-1728년 무신란(戊申亂)의 흔적을 중심으로-

        최선혜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4 한국문화연구 Vol.27 No.-

        The Mushin Rebellion(戊申亂) that broke out in 1728(Year 4 of Yeongjo) was one of the largest uprisings in th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It was instigated in 1728, the year of Mushin, on the pretext of revenging King Gyeongjong by an alliance of Soron hardliners and Namin(南人)/Sobuk(小北) political factions, and it was put down by Oh Myeong-hang(吳命恒) and Bak Mun-su(朴文秀), the ministers from the moderate Soron faction. Although the rebellion was suppressed in 17 days, it had a tremendous impact. Many noble families in Gyeongsangdo were ruined, the province was blamed for being the seat of the rebellion, and the families of Namin and Soron/Sobuk factions were placed in de facto political imprisonment. He has 3 times journey to yeongnam(嶺南). First, he went with uncle Yi Hwa-jung who was appointed governor in 1740. Second, he was accompanied uncle Yi Tae-jung who was appointed to the high government post of Dongrae Busa in 1748. And he see off Yi Yoo-soo who met by friend in Danyang. At this moment, his father Yi Gi-jung was appointed governor of Danyang, then he lived in Danyang. However, He defined the boundary in Noron scholars in Yeongnam. The Youngnam journey appearing in Yi Yun-yeong’s anthology Dalleungyugo(丹陵遺稿) follows the path of the Mushin Rebellion. On the road through Yeongnam there are beautiful views and countless scenic spots. Therefore throughout the poetry in Yi Yun-yeong’s anthology Dalleungyugo the writer’s complex feelings are expressed. From this we can grasp Yi Yun-yeong’s admiration for the old literary tradition of Yeongnam as well as his mixed sentiments about the region as the place of the rebellion. 1728년(영조 4) 이인좌를 중심으로 소론 강경파 및 남인‧소북 세력은 경종의 복수를 명분으로 전국적인 규모의 무신란(戊申亂)을 일으켰다. 반란은 같은 소론의 오명항(吳命恒)‧박문수(朴文秀) 등에게 17일만에 진압되었으나 그 여파는 막대하였다. 특히 영남은 누대의 명문세족들이 대거 몰락하였으며 사실상의 정치적 금고 상태에 놓이게 되었다. 이윤영(李胤永)은 노론의 강경파로서 평생 영조의 탕평책에 반대하여 벼슬을 포기하고 일생을 기행과 문학 창작에 바친 문인이었다. 그 중 영남 방문은 도합 세 차례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1740년에 금산 군수로 부임한 백부 이화중과 함께, 1748년에는 중부 이태중의 동래 부사 부임길에 동행했다. 그리고 1751년 단양 군수로 부임한 부친 이기중과 함께 간 단양에서 영남으로 유배를 떠나는 이유수를 만나 벗이 되어 안동까지 동행했다. 이윤영은 이러한 여행길에서 영남대로를 지나며 무신란과 임진왜란의 흔적‧수려한 산수‧명승지와 마주하였다. 교유의 범주에서 노론계 영남 문인들이 대부분이었다는 점에서 한계를 보였으나 이윤영은 영남의 전통과 무신란 이후의 현실에 대하여 안타까운 감정을 시에 담았다. 또한 세 차례에 걸쳐 영남을 방문하면서 시에 드러나는 심리는 옛 전란에 대한 불안에서 안타까움과 위로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노론 문인의 영남에 대한 인식의 폭을 읽어낼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