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etite étude comparative entre PEUR et COLERE

        임정혜 한국프랑스학회 2014 한국프랑스학논집 Vol.88 No.-

        감정명사는 다른 명사 부류에 비해 그 명사들 간 통사적인 이질성hétérogénéité이 두드러지는 부류로, 사실상 감정명사를 전체적으로 기술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고에서는 감정명사 peur와 colère의 비교 분석을 통해서 이 두 명사간의 차이를 기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두 감정명사 peur와 colère의 통사적인 특성들로 이 두 서술명사와 함께 나타나는 논항들, 기능동사들 그리고 적절 형용사들을 기술하였다. 특히 이 두 명사는 기능동사(avoir vs être en)와 관사의 성격에서 가장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 아래의 두 예문을 비교해보면, Paul a peur des chiensPaul est en colère contre les chiens 첫 번째 문장의 정관사 les만이 총칭의 가치 valeur générique를 지녀서 뽈의 성향, 기질(뽈은 개를 무서워한다)을 나타내고, 두 번째 문장의 les는 조응적 가치 valeur anaphorique를 지니는 것으로 뽈의 일시적 감정 상태(뽈은 개들한테 화가 나 있다)를 나타낸다. 두 감정명사와 결합하는 적절 형용사들은 대부분이 높은 강도의 표지로 기능한다. 아래의 예문들은 감정의 특성에 따라 특정 형용사들의 경우 그 결합관계에 있어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Paul a une peur (atroce + affreuse) des chiens?? Paul est dans un état de colère (atroce + affreuse) contre les chiens Paul est mort de (peur + ??colère)Paul est fou de (colère + ??peur) 다른 한편, 색 형용사와의 결합은 신체 변화와 관련이 있어서 peur는 blanc, vert와 결합 (창백해지는 현상)하는 반면에, colère는 rouge, bleu, noir와 결합 (심장박동 증가, 혈액 집중 등)해서 모두 높은 강도의 표지로 사용된다. 단, 두 명사와 모두 결합하는 blanc의 경우, colère와 함께 사용될 경우 froid와 등가를 이루며 ‘동작이나 말로는 드러나지 않은 억제된 (억눌린) 분노’를 의미한다. 의미적인 측면에서 볼 때 감정명사는 통상 두 부류로 나뉜다. 하나는 개인의 내면에서 생겨나는 감정이며, 다른 하나는 외부 사건에 의해서 생겨난 감정이다. 전자에는 admiration, amour, haine, mépris 등이 있고 후자에는 dégoût, honte, joie, tristesse, exaspération, désespoir 등이 속하는데, 두 감정명사 peur와 colère는 이 두 특성을 모두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자의 특성으로는 envers와의 결합 가능성이 통사적으로 이를 뒷받침해주고, 후자의 특성으로는 외부 사건으로 인해 생겨난 감정의 경우 사역구문을 허용한다는 점과 porter, vouer, concevoir와 같은 동사들과는 함께 나타날 수 없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해준다. La peur de Marc envers les serpentsLa colère de Marc envers ses voisins Cela fait peur à MarcCela met Marc en colère*Marc (porte + voue) (de la peur + de la colère) à son père 의미적인 측면에서 두 명사 모두 내면에서 생겨나는 감정의 특성을 갖는 동시에 외부 사건으로 인해 생겨난 감정의 특성도 지니고 있다. 반면에 V. Goossens이 제안하는 감정명사의 4가지 의미자질 즉, <원인작용>, <의지행위>, <소유>, <조절> 가운데서 두 명사 peur와 colère는 <의지행위> 자질 유무의 차이를 보인다. 즉, colère와는 달리, peur는 본인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생겨나는 감정이다. Paul a peur des chiensPaul se met en colère 첫 번째 문장이 주어의 의지에 따라 느끼는 감정이 아니라면 두 번째 문장은 뽈의 의도적인 행위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노인복지시설 급식관리자의 감정노동 인식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관리자의 감정노동에 대한 적응을 중심으로-

        최항석(Hang Sok Choi),이해영(Hae Young Lee),정무관(Mu Goan Jeong) 한국외식경영학회 2012 외식경영연구 Vol.15 No.5

        서비스 분야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서비스 접점에서 근무하는 종사자가 지각하는 감정노동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서비스업의 대표적 직무요구사항으로 받아들여지는 감정노동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감정노동 또한 노동의 한 종류이기에 부정적 효과가 크다는 주장과 고객이 원하는 감정을 표출하는 과정에서 종사자의 감정도 변화할 수 있어서 긍정적 효과가 존재한다는 주장으로 양분되어 여전히 논쟁 중에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논쟁과 관련하여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자 한다. 감정노동 또한 노동의 한 종류이기에 종사자의 적응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고 생각하여, 종사자의 적응의 관점에서 감정노동의 결과를 바라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종사자가 감정노동에 보다 빈번하게 노출되는 노인 복지시설의 급식관지라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이유는 노인복지시설의 급식 관리자는 일반적인 외식업체와는 달리 고정된 고객을 대상으로 반복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감정노동의 결과가 보다 명확하게 나타날 뿐만 아니라, 종사자의 적응능력에 따른 변화도 보다 잘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감정노동의 결과로 감정적 부조화와 직무스트레스를 고려하였으며, 관리자의 적응을 파악하고자 재직기간과 이직경험을 감정노동과 그 결과간의 관계에서 조절변수로 고려하였다. 연구결과, 감정노동의 빈도는 감정적 부조화와 직무스트레스와 모두 유의적 정의 관계를 보였지만, 감정노동의 다양성은 감정적 부조화와 부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관계에서 감정노동의 빈도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감정적 부조화를 통해서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관리자의 적응과 관련한 연구결과를 보면, 관리자의 재직기간이 길수록 감정노동의 빈도가 감정적부조화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켰지만 관리자가 이직경험이 많을수록 감정노동의 빈도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감정노동은 감정을 매개체로 하기에 감정의 특성을 고려하여 반복될수록 부정적 효과가 증대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관리자의 적응능력에 따라 그 효과는 감소되거나 오히려 증가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Emotional labor has emerged as a key job requirement of interactive service work. However, many researches on emotional labor`s outcomes have still embroiled in controversy.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managers` tenure and turnover experience for gaining a better understanding for the outcomes of emotional labor. Based on the perspective of adjustme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variety and frequence on emotional labor`s outcomes as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stress. And we also considered managers` tenure and turnover experience as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outcomes. Results showed that the variety emotional labor proved to be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related to emotional dissonance. But the frequency of emotional labor was negatively related to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stress. In cases of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dissonance, emotional labor`s frequence has effect on job stress through emotional dissonance. Finally, for the moderating effect of managers` tenure and turnover experience, the tenure of manager decreased the effect of frequency on both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stress.

      • KCI등재

        감정평가업의 향후 방향 및 그 과제에 관한 연구

        정회근(Jeong, Hoe-Geun) 韓國土地公法學會 2011 土地公法硏究 Vol.54 No.-

        감정평가사 자격 취득자 수는 2010년 6월 현재 3,060명이며, 공시지가 조사 등을 포함한 연간 감정평가시장(수수료 기준)규모는 2009년 말 기준 약 5,561억 원을 상회하고 있다. 이러한 감정평가업의 성장 배경에는 경제의 급속한 고성장, 급격한 도시화, 부동산 개발의 호재 등에 힘입은 부동산 경기의 호황이 있었다. “향후에도 계속 이러한 성장은 가능할 것인가?”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는 감정평가업의 향후 전망을 시나리오 플래닝(scenario planning)하고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첫째, 감정평가의 이론연구에서는 기술적 연구(descriptive research)방법을 활용하였고, 둘째, 감정평가업의 전망 분석에 있어서는 시나리오 플래닝(scenario planning)이라고 하는 미래의 대응전략 모색기법을 활용하였다. 시나리오 플래닝 결과 ① 겨울 시대의 뒤에 오는 초번영의 시나리오 ② 위기를 계기로 한국경제가 재생하여, 감정평가업계도 질적 변화를 이루는 시나리오 ③ 한국경제는 디플레이션의 정상에 올라가, 마침내 대공황이 되는 시나리오의 3개를 도출하였다. 또한 향후 우리 사회변화의 큰 트렌드는 저 출산으로 인한 인구감소, 저성장, 고령화 및 노인 빈곤, 사회의 고학력화, 양극화 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사회변화 때문에 향후에는 예전과 같은 부동산 경기의 큰 호황을 기대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보여 지며, 감정평가업을 비롯한 부동산서비스업계의 큰 성장도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시나리오를 토대로 감정평가업의 발전 방향은 감정평가 의뢰자의 효용 충족 서비스 제공, 비즈니스 프로세스 아웃소싱(BPO : business process outsourcing)과 업무 확장, internet web기반의 감정평가로 지역성을 뛰어 넘는 업무 확장, 신용사회의 무체재산권 감정평가 업무 확장,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EU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른 국제기준에 합리적 대응 및 감정평가업무의 세계화(globalization) 실현, 감정평가의 노하우 수출로 감정평가업무의 확장 및 경영성 확보, 전문교육 강화 및 유대강화, 지속적인 시나리오 플래닝을 통한 감정평가업의 건전한 경영성 확보의 9개를 제시했다. 이와 같은 발전방향은 시나리오 플래닝 분석기법을 통해 도출된 3개의 시나리오 모두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며, 감정평가업의 경영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A appraiser’s licensee is 3,060 people as of June, 2010. The annual appraisal business market(fee standard) scales including investigations into appraised value of land are more than approximately 556,100 million won in the end of 2009 standard. As for “this, is such a growth possible all the time?”I showed scenario planning and a trend toward growth at future possibility of the appraisal business in this study. First, descriptive research method was utilized in the study method of the theory study of the appraisal. Second, the grope technique of a correspondence strategy to be called scenario planning was utilized to make an analysis of a prospect in the appraisal business. The result of the scenario planning was three. ① One was a scenario of the forthcoming prosperity in winter to the next. ② If economy of Korea got over a crisis, it was the scenario which the appraisal business came to have a qualitative change toward. ③ It was the scenario that The deflation of Korean economy produces the great depression after all. In addition, I grasped that trend of the our future society change will be continuously a population decline, low economic growth, orders high, poverty of old person, high educational background, social polarization. For such society change, I think that I am hard to hope that a real estate economy same before becomes booming and the big growth of the real estate service industry including the appraisal business that is the same as the past in the future. Therefore, nine trends toward growth were shown in a base by such a scenario. The trend toward growth of the appraisal business is to provide service filled up to a appraisal client. It is to widen duties of the appraisal business using a business process outsourcing(BPO). It is to widen duties of the appraisal business using a internet and web base to get over a local limit. It is to widen duties of the appraisal business using an intangible property right in the trust society. It is to realize a globalization of appraisal business duties and to prepare the international standard of appraisal business in a countermeasure for inking an FTA with U.S. and EU. It is to widen duties of the appraisal business to export know-how of appraisal business. It is to maintain sound management of the appraisal business through professional training reinforcement and to strengthen the bond between appraisers, to make a sustained scenario planning. This trend toward growth is applied to all three scenarios derived through scenario planning analysis technique commonly. This trend toward growth may push forward management of the appraisal business.

      • KCI등재

        `감정`에 대한 엄묘섭의 진단은 한국에서 `어떻게` 증명되는가?

        오찬호(Chan-Ho Oh) 한국문화사회학회 2015 문화와 사회 Vol.18 No.-

        감정을 ‘생득적 요소’로 이해하는 사람이 많은 사회는 감정의 다양성을 원천적으로 봉쇄하고 있을 확률이 높다. 최근 한국에서는 ‘자본’을 대하는 태도, 나아가 자본주의라는 경제체제가 개인에게 선사하는 감정을 이해함에 있어서 이런 분위기가 감지된다. 그런 차원에서 볼 때, ‘감정’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의 중요성을 강조한 엄묘섭의 연구들을 살펴보는 것은 여러모로 가치가 있다. 엄묘섭은 “사회성원들은 그들이 처한 특정 사회구조와 상황들에서 문화라는 각본에 따라 행동하며, 희로애락의 대부분 감정들은 그 각본에 근거한 타인들과의 상호작용 관계”로부터 형성됨을 강조하면서 ‘감정의 사회적 맥락’에 주목한다. 이 글은 그러한 이론적 자원을 발표자가 렌즈삼아 현장에 응용한 것이다. 엄묘섭은 개인이 강박관념에 시달리면서 사회적 모순의 지속적 발생을 확인하여도, 그것의 원인제공지점을 수정하려 하지 않음에 주목한다. 이는 한국의 이십대에게 ‘더’ 적절하게 증명된다. 대학생들은 취업 준비과정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라면’ 무엇이든지 하라는 감정규칙을 강요받는다. 그런데 한국의 미래는 과연 어떻게 변할까? 엄묘섭은 사회적 공동선, 자본의 확대재생산에 대한 경계, 책임 있는 민주시민, 정치적 재사회화 등을 강조하지만 이 ‘옳은 가치들’은 현재 한국의 대학에서 강조하는 ‘감정규칙’이 아니다. 지난 10년간, 대학은 환골탈태했다. 취업률에 따라 학문의 생사가 결정되었고 취업에 도움을 줄 수 있다면 어떤 과목이든지 개설되었다. 겉으로는 ‘특성화’를 외치지만, 이미 대학은 ‘기업적 가치’라는 하나의 틀 안에서 굉장히 균질해졌다. 이 참담한은 사회학자들이 관심 가질만한 사례가 풍부하다는 뜻이기도 하다. It is most likely that a society full of people who see emotion as an ‘innate factor’ blocks diversity in emotions fundamentally. Currently, this is shown in Korean society regarding the attitude towards capital and when understanding the structure ‘capitalism’ imposes emotion on individuals. In this regards, it is worth to review Eom Myo Seob’s researches which emphasizes importance of sociologic approach to emotion. This article utilizes such theoretical resource as a lens to understand on site reality. Eom Myo Seob pointed out that an individual who suffer from an obsession and confirms continuous social contradiction does not seem to be eager to fix the cause. This tendency is prominent among people in their 20s. University students are forced to conform to the emotion rules which is ‘do whatever, anything to survive’ during their job seeking processes. Then, how will the future of Korea change? Though he stresses social common goods, caution against expansive reproduction of capital, democratic citizenship with responsibilities, political re-socialization, these ‘right things or values’ are no longer the emotion rules that Korean universities place emphasis on. For the last 10 years, the universities went through total transformation. Employment rate decides whether to continue or abolish academic departments or studies. And courses for employment sprung up like mushrooms. On the surface, universities advocate “specialization/differentiation” but in reality they became homogeneous under the frame of entrepreneurial value. This tragic situation paradoxically suggests that there are abundant cases where sociologists can be curious about.

      • KCI등재

        지적재조사 조정금 산정시 감정평가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구분 및 부분감정평가를 중심으로

        이홍규 한국감정평가학회 2022 감정평가학논집 Vol.21 No.3

        국토의 효율적 관리와 국민 재산권 보호를 위한 지적재조사사업이 보다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시행되기 위해서는 먼저 조정금 과다나 시가반영 미흡을 이유로 한 토지소유자의 이의신청이 해소되어야 한다. 그러나 토지소유자 입장에서는 조정금 산정 감정평가가 어떻게 이뤄졌는지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의신청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고 지적재조사 사업의 주요 지연원인이 되고 있다. 「지적재조사에 관한 법률」은 조정금 산정 감정평가시 경계확정 후 토지 증감면적을 기준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감정평가의 대상물건이 전체면적인지 아니면 증감면적인지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아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조정금 산정 감정평가시 구분 및 부분감정평가의 문제라 할 수 있는데, 「지적재조사에 관한 법률」에서는 이와 관련된 별도 기준을 규정하고 있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다. 본 연구는 조정금 산정 감정평가 기준에 대해 고찰한 후 감정평가 사례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확인하고 조정금 산정 감정평가 기준의 개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KCI등재

        鑑定評價業者의 法的地位와 業務領域에 관한 事例硏究

        육정균(Youk, Jung-Gyoun) 한국토지공법학회 2012 土地公法硏究 Vol.58 No.-

        이 논문은 감정평가업자의 법적지위와 업무영역에 관한 사례연구이다. 최근, 은행 등 금융기관은 주택 등 담보대출에 따른 감정평가 수수료 등 금융비용을 절감한다는 명분으로 자체 감정평가부서를 신설하고, 감정평가사를 채용하여 금융기관 내부 감정평가에 나서고 있다. 이에 감정평가업계에서는 금융기관의 자체 감정평가는 평가시장의 위축과 업무영역침해를 가져오는 불공정한 행위이므로 자제를 요청하고 있으나, 실효성 있는 방지대책은 강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토지 등은 그 고유한 특성으로 인하여 적정한 시장가격이 도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정부에서는 감정평가사라는 국가공인 전문자격자가 시장가격을 도출하게 하여 국민의 재산권 보장과 국민경제발전 등 공적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감정평가업은 감정평가사 자격을 취득한자가 감정평가사사무소를 개설하거나 감정평가 법인을 설립하여 감정평가업자의 법적지위를 얻어야만 영위할 수 있다. ‘不動産 價格公示 및 鑑定評價에 관한 法律’에서는 금융기관의 담보대출 물건의 감정평가나 자문 등은 감정평가업자의 고유 업무영역으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과거 농협ㆍ수협ㆍ축협에서 농림수산업자에게 공적기금을 대출하면서 1989년에서 2004년 6월 30일까지 한시적으로 자체 내부 감정평가를 허용한 적이 있으나 폐지되고 현재는 시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현재 금융기관의 내부 자체 감정평가는 현행법상 허용되지 아니하는 행위이며, 위반시 중대한 처벌을 받을 수 있다. 더구나 금융기관 소속 감정평가사는 자격취소의 위험도 있다. 아울러, 금융기관의 내부 자체 감정평가는 담보물건의 과다평가 등 자산가치의 부실평가로 인하여 불경기에 금융기관의 도산위험이 될 수 있고, 자기검증도 어려우며 다른 업무영역을 침해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금융기관의 담보물건에 대한 감정평가 등은 감정평가업자의 고유 업무영역이고, 위반시 최고 2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는 등 중대 불공정한 행위이므로 은행권 스스로 조속 중단하여야 할 것이다. The thesis mainly deals with the legal status and business scope of authorized property appraisers. Recently, financial institutions such as commercial banks establish their own appraisal division and hire appraisers to reduce financial costs such as appraisal commission on collaterals for home mortgage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appraisal industry requests financial institutions to stop such practices, arguing that the internal self-appraisal will severly affect the appraisal market and infringe the appraisal business scope. But, effective measures have yet to be developed. Also, as the proper market price for land appraisal is difficult to be determined due to land’s unique characteristics, the government allows state registered appraisers to set the market price, with a view to protecting citizens’ property right and developing national economy. In Korea, the appraisal business can be performed by the people who gain the legal status as licensed authorized property appraisers and open their own offices. The Public Notice of Values and Appraisal of Real Estate Act stipulates that appraisal or consulting on collaterals of financial institutions shall be granted only to the licensed authorized property appraisers who have their own offices. Furthermore, the government temporarily allowed the internal self-appraisal from 1989 to 30 June 2004 when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National Federation of Fisheries and Korea Federation of Livestock provided a loan with official funds to businessmen in the agricultural and fisheries industries. Accordingly, the internal self-appraisal performed by financial institutions is clearly unconstitutional under the currently enforced laws. They will face heavy penalty and their appraisers will lose licenses if the institutions violate the law. The internal self-appraisal in the financial institutions generate many problems such as poor appraisal performances including overestimation of collateral values that lead the institutions to the risk of being bankrupt in an economic recession, difficulty for self-verification and infringement of other business areas. In conclusion, appraisal on collaterals of financial institutions shall be done only by the authorized property appraisers with their own offices. The financial institutions who continue internal self-appraisal may face maximum 2-year imprisonment or no more than 30 million won of penalty. Therefore, they should voluntarily stop the practices without delay.

      • KCI등재

        감정의 커뮤니케이션

        김성재(Seong-Jae K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5 언론과 사회 Vol.23 No.1

        이 논문은 감정이 주도하는 사회적 행위라고 할 수 있는 감정의 커뮤니케이션을 파슨스의 표현적 상징주의 이론과 최한기의 기이론에 따라 비교·분석함으로써 인간성 회복, 소통 그리고 조화로운 사회의 형성과 유지에 초점을 둔 감정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단면을 조명하고자 한다. 파슨스의 표현적 상징주의 이론에서 논의되는 감정 커뮤니케이션은 프로이트의 리비도 이론에 포함된 관심대상에 근거하는 데 비해, 최한기의 기이론에서 다루어지는 감정의 커뮤니케이션은 우주 만물의 생성과 소멸을 주관하는 에너지인 기에 바탕을 두고 있다. 파슨스가 감정의 커뮤니케이션을 분석하면서 강조한 사랑, 존경, 동의 등의 태도유형은 사회체계 유지를 목표로 삼는다. 최한기의 기이론에서 분석되는 생통, 변통, 대동 역시 조화로운 사회공동체를 위한 수기치인을 지향한다. 결국 사회적 행위에 기초한 두 이론가의 감정 커뮤니케이션 이론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커뮤니케이션 파트너들의 개별적인 감정 상태를 지속적으로 판단하고 공유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기쁨과 만족보다는 사회공동체 구성원들이 함께 누려야 할 화통(和通)과 감복(感服)이다. 따라서 감정의 커뮤니케이션의 최종 목표는 사회의 통합과 유지라고 할 수 있다. By comparing and analyzing of Parsons"s theory of expressive symbolism and Han-Gi Choi"s theory of "Gi", this paper attempts to cast light upon the important aspect of the affective communication which lays more emphasis on the recovery of humanity, on the communication and on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harmonious society. The theory of emotional communication that is discussed in the theory of Parsons"s expressive symbolism, is based on the cathexis which is included in Freud"s libido theory. And Han-Gi Choi"s theory of "Gi" that deals with the emotional communication, is based on the "Gi" which means the energy of creation and destruction of the universe. The major types of attitude such as love, approval, esteem etc. are aimed at maintaining of social system. Communication of life, variation of communication, great fellowship in the Han-Gi Choi"s "Gi" theory is also a harmonious community-oriented through the self-discipline and the successful managing of people. After all, what the two theories of emotional communication based on social action is not ultimately aimed at the individual joy and satisfaction that come from the process of continued judgment and sharing of affects by communication partners, but at the harmonious communication and the strong impression which should be shared by social community members. Therefore, the end goal of emotional communication is social integration and maintenance of society.

      • KCI등재

        감정을 넘어 공감으로 - 독자의 감정적 반응에 주목하는 소설 교육

        모영화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9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3 No.1

        If readers pay attention to their “emotional response,” their behavior of appreciation will become more autonomous. This study is about reading text more accurately and deeply, paying attention to inappropriate emotional responses of readers. A novel is a historical work that often stimulates existing morals and uses these for an objective. A good reading process means that you can sympathize with the feelings of a character in a certain situation; however, some student readers commit “affective fallacy” or emotional reactions that are not fit for the story’s event or subject. An affective fallacy is an obvious indication of misreading that goes beyond the reader’s freedom of accepting work. If readers pay attention to their own emotional response, they could rectify their own reading process and develop an appropriate emotional response. We observed the affective fallacy responses to the characters in “Our Distorted Hero,” by Lee Moon-yeol, which is common among student readers. According to the internal order of the work, it is an affective fallacy if there is no animosity toward “Um Seok-dae” or “his classmates.” While it is usually believed that the individual’s narrative (memory) could have caused the readers to perceive the work incorrectly, an inappropriate emotional response is an obvious indication of misreading. However, if the reader’s emotional reaction itself begins to reflect on the text and the reader’s self, it can facilitate not only desirable appreciation but also develop an autonomous attitude for such appreciation. This is because emotional reactions are more straightforward than cognitive responses, and tend to conform to the internal order of text more than to cognitive responses. Understanding works with honest emotional reactions not only helps perceive information realistically, but also reflects on the reader’s sense of value and gives them the sincerity (deepness) required to rediscover themselves. 소설 독자가 스스로 자신의 ‘감정적 반응’에 주목하게 되면, 주체적 감상 태도가 길러질 것이다. 본 연구는 독자의 부적절한 감정적 반응에 주목하여 텍스트를 더 정확하고 깊이 읽고자 하는 데에 관심이 있다. 소설은 기존의 도덕관념을 흔들어놓기 일쑤이며 그것을 사명으로 삼는다고 할 수 있는 역사적 갈래이다. 소설을 잘 읽는다는 것은 특정 상황을 겪는 인물의 감정에 공감할 수 있다는 뜻인데, 소설의 사건이나 주제에 걸맞지 않은 독자의 감정적 반응, 즉 ‘감정의 오류’를 범하는 학생 독자들이 있다. ‘감정의 오류’는 독자의 자유로운 작품 수용의 허용치를 넘어서는 것으로 명백한 오독의 징후인데, 독자가 스스로 자신의 감정적 반응에 주목하도록 이끌면 독자는 자신의 읽기를 스스로 교정하여 공감에 이르게 될 것이다. 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을 제재로 학생 독자가 흔히 보이는 감정의 오류를 인물에 대한 반응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작품의 내적 질서에 따른다면 ‘엄석대’나 ‘반 아이들’에 대해 반감을 보이지 않는 것은 ‘감정의 오류’라고 할 수 있다. 주로 개인의 서사(기억)가 작품을 부적절하게 읽도록 하였을 것이라고 판단되지만, 부적절한 감정적 반응은 명백한 오독이다. 그러나 독자의 감정적 반응 그 자체에서 텍스트와 독자 자신을 다시 성찰해 보기 시작한다면 바람직한 소설 감상에 이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독자의 주체적 감상 태도까지 길러줄 수 있다. 왜냐하면 감정적 반응은 인지적 반응에 비해 더욱 솔직한 반응이며, 인지적 반응에 비해 훨씬 더 자주 텍스트의 내적 질서에 부합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이다. 솔직한 감정적 반응에서 출발하는 작품 이해는 텍스트의 사실적 정보 인식뿐만 아니라 독자의 가치의식에 대한 성찰에까지 나아가 독자 자신을 재발견하게 되는 진정성(깊이)까지 선물한다.

      • KCI등재

        감정규율전략과 감정고갈의 관계에서 감정 요구-능력 적합성과 상사의 긍정피드백의 조절효과

        고선미,이재원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9 지역산업연구 Vol.42 No.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demands-ability fit and positive feedback from supervis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i.e., surface and deep acting) and emotional exhaustion. In previous studies, personality, gender, customer-employee interaction pattern, and culture were presented as the variables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various outcome variables. However, this study presented “emotional demands-ability fit” and “positive feedback from supervisor” as the variables that can reflect the “limited resource model” approach, and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two variables. Validation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of 590 service employees encountering and serving customers face-to-face in department stores and shopping mall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surface acting as a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emotional exhaustion, while deep acting as a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emotional exhaustion. In addition, the emotional demands-ability fit was observed to negativel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urface acting and emotional exhaustion, and positive feedback from supervisor also negative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ep acting and emotional exhaustion. Such results suggest several implications. First, emotional exhaustion from surface acting can vary depending on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emotional demands-ability fit. Second, the resource replenishment effect from deep acting becomes larger when positive feedback is offered by the supervisor. Third, the “ limited resource model” offers a useful theoretical framework to identify the moderating variables betwee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emotional exhaustion. 본 연구는 감정규율전략(즉, 표면연기, 내면연기)과 감정고갈의 관계에서 감정 요구-능력 적합성 및 상사의 긍정피드백의 조절효과 파악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감정규 율전략과 여러 결과변수들 사이를 조절하는 변수들로 성격, 성별, 고객-종업원 상호작용 유 형, 문화를 제시했는데, 본 연구에서는‘제한된 자원모델’관점을 반영할 수 있는 변수로 써‘감정 요구-능력 적합성’및‘상사의 긍정피드백’을 제시했고, 두 변수의 조절효과를 파악해보았다. 본 연구의 검증은 백화점 및 쇼핑몰에서 고객을 상대하는 종업원들 590명을 대상으로 하여 얻은 설문을 통해 실시되었다. 통계분석 결과에 의하면, 감정규율전략 표면연 기는 감정고갈과 긍정적인 관계가 있고, 감정규율전략 내면연기는 감정고갈과 부정적인 관계 가 있다. 또, 감정 요구-능력 적합성은 표면연기와 감정고갈 사이 관계를 부정적으로 조절하 며, 상사의 긍정피드백 역시 내면연기와 감정고갈 사이를 부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러한 결과는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표면연기의 수행으로 인한 감정고갈은 감정 요구-능력 적합성과 같은 개인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둘째, 내면연기의 수행으 로 인한 자원보충 효과는 상사의 긍정피드백이 주어질 때 그 효과가 더 커진다는 점이다. 셋 째,‘제한된 자원모델’이 감정규율전략과 감정고갈 사이의 조절변수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 KCI등재

        고전소설의 감정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정혜경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9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9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suggest the emotion research methodology in Korean classical novels in order to read the characters and works accurately and to supplement the emotional cultur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this study goes beyond the fragmentary understanding of the women who were not controlled and subjectively expressed their emotions by social customs and enables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e women and to reinterpret the emotion discourses of the Joseon Dynasty. The research directions and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The study aimed to organize the research methodology for emotions in classical novels by discussing the concepts and issues of emotions. As in the field of classical studies, the term and concept of emotion are used interchangeably with terms that resemble emotion such as feeling, affect, sentiment etc. Although the emotions of the same person vary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relationship, the level and intensity of emotions were not distinguished in the emotional research of classical novels. So in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o analyze classical novels by dividing the category and the level of emotion and to make a list of emotions in classical novels. Futhermore, it is necessary to read the character's emotions correctly to reduce errors in the emotion research. As the real feelings of a character may differ from what the researcher, reader, or narrator finds. Recently, new emotional research using big data is being conducted. However, to increase the validity of emotional reading, studies should be added to find the real emotions of the characters hidden behind statistical figures and reduce the errors of secondary texts that translated the original text. In addition, this paper suggested to overcome a methodology for studying characters' emotions based on traditional view of emotion that understand emotion and reason as opposed concepts each others. As the characters have been divided into emotional and rational characters so far. It is important the perception and point of view about emotions because of connecting directly the interpretation of characters's emotions. It is possible to illuminate the resistance and the problem consciousness inherent in it only when it is out of the classical emotion theory. Finally, the study tried to understand Joseon Dynasty's theory of emotion by rethinking the fact that women at that time were oppressed and controlled by social customs. Therefore, we should read character's emotions considering the purpose, orientation, relationship, and structure of emotions, and avoid the simplified interpretation that the woman who expressed emotion is subjective, and the woman who does not express emotion is passive. This study contribute that it can read the emotions of characters more deeply and reveal the emotional grammar and affective logic in the classical novels. It possible to go beyond the mere understanding about women and to fill the empty gap of the female history covered with patriarchy in Joseon Dynasty. If the emotional research based on classical novels continues, it can be newly written or read the history of classical novel and the distorted history of women written by the sentimental theory in Joseon Dynasty. 이 글에서는 고전소설의 감정 연구를 체계화하고 고전여성문학의 연구 시각을 확장하는 차원에서 ‘고전소설의 감정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를 논의하였다. 첫째, 감정의 개념과 관련 쟁점을 검토함으로써 고전소설 감정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감정으로 고전소설을 읽기 위해서는 감정의 범주와 층위를 고려한 접근이 요구된다. 이에 근거해 고전소설의 감정을 찾고 이를 목록화해야 한다. 고전소설을 통해 감정의 보편성과 상대성을 파악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시대별, 양식별, 작품별 감정 지형을 읽고 인물의 감정이 고전소설사 안에서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살피는 길을 열어줄 것이다. 둘째, 감정 판독 문제를 구체화함으로써 감정 읽기의 오류를 최소화하고 독법의 정확성을 기하고자 하였다. 감정을 판독할 때 인물의 발화를 통해 표현된 감정, 신체 반응, 행동이 인물의 실제 감정과 다를 수 있다는 점, 인물의 감정과 다른 주체의 감정이 혼동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감정 추론 과정에 연구자의 감정과 관점이 개입될 수 있다는 점 등을 주의해야 한다. 최근 빅 데이터를 활용한 감정 연구가 이뤄지고 있는데 감정 판독의 타당성을 높이려면 통계 수치 이면에 가려진 인물의 실제 감정을 추출하고 원전과 이차 텍스트(현대역)의 간극을 줄이는 보완 작업이 필요해 보인다. 셋째, 감정과 이성을 대립 개념으로 본 고전적 감정론에서 탈주해 감정에 대해 보다 전환적으로 접근할 것을 제안하였다. 감정에 대한 인식과 가치판단은 인물의 감정 해석과 직결되는데, 고전적 감정론에 입각하면 인물을 제한적으로 읽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감정에 대한 이해를 확장한다면 인물에 내재한 저항력과 문제의식을 조명하고 고전소설에 나타난 감정의 복합성, 다층성, 시대성, 역사성, 사회성, 문화성, 공간성, 관계성 등을 읽는 것이 가능하다. 넷째, 조선시대 여성의 감정은 억압받고 통제되었다는 자명한 사실에 물음을 던지고 그에 따른 해석의 도식성을 살펴봄으로써 여성인물의 감정을 다층적으로 해석할 방향을 모색하였다. 감정 표출은 주체적(능동)이며 감정 억압은 비주체적(수동성)이라는 이분법을 극복하고 감정의 목적, 지향, 관계, 구조 등을 염두에 둔 독법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때 도덕적 주체로서의 자기조절, 신념, 판단에 의한 여성의 감정 결정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러한 방법론적 고민이 더해진다면 조선시대 여성의 감정 동기와 행위를 해명하고 여전히 불투명한 여성사의 빈틈을 메울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고전소설에 나타난 인물의 감정을 한층 두텁게 읽고 조선시대 감정담론, 감정문학사, 감정문화사를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