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퇴계의 ‘심병(心病)’과 그 치유법으로서의 ‘경(敬)’

        이원진,이현진 한국종교학회 2019 宗敎硏究 Vol.79 No.3

        The lifespan of human-being in these days gets longer and longer so as to mention the eternity. This is due to their body-health index gets higher. However, the mind-health index of them has been lowered than before. At this time, how to cure the mind illness through the humanity and religious perspective from old sagacity seems urgent. Almost 350 years ahead the emergence of psychology and psychoanalysis in the West, Toegye showed a clear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mind. Particularly it also suggested where mind-illness can occur and how to cure it. There are two major structures of mind in Toegye: One is suggested in the sixth diagram of “The Mind Combines and Governs the Nature and the Feelings”, and the other is suggested in the eighth diagram of “The Study of the Mind” in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In the diagram firstly mentioned, the four-stage structure of original nature and physical nature, four-beginnings (commiseration, modesty and deference, shame and dislike, approving and disapproving) and seven feelings (joy, anger, grief, fear, love, hate, and desire) are described. In the diagram of “The Study of the Mind”, the three-stage structure of body, mind, and mindfulness is revealed. Toegye investigates the cause of mind-illness and suggests the way of curing at the diagram of “The Study of the Mind.” He mentions, “When comparing to treating an illness, Kyung(mindfulness) is a medicine for all, since it is not a single drug used for the only one symptom.”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path of healing the mind-illness that Toegye had explored in his life, and examine it to use as an alternative to restoring the sick mind of people of this era. 현대인의 수명은 날이 갈수록 연장되고 있다. 인간은 영생을 언급할 정도 로 몸-건강지수를 높여왔다. 하지만 현대인의 마음-체감 건강지수는 더욱 낮 아졌다. 우리나라에서는 일 년에 2만 5000명, 즉 하루 평균 38명이 자살한다. 이런 시대에 몸에 대한 병리적 처방이 아닌 마음병에 대한 인문종교적 탐구 가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퇴계는 서양에서 마음의 병을 다루는 심리학이나 정신분석학이 나온 시기보다 350년 더 이전에 마음의 구조를 시각적으로 선 명하게 보여줬다. 특히 물망물조(勿忘勿助) 즉 맹자가 말한 바, “마음에 잊 지도 말고(心勿忘) 조장해서도 안 된다(勿助長)”는 두 가지 이질적인 마음의 두 길항작용이 각각 균형을 잃으면 심병(心病)이 되며 그 심병(心病)의 치유 책으로 이질적 두 세계를 병진해 연결하는 공부법, 즉 심법(心法)으로서의 경을 제시했다. 마음의 구조를 통해 마음의 병이 어디서 생길 수 있는지와 그 병을 치유할 수 있는 방법을 종합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퇴계에서 심병은 제자와의 편지글에서부터 말년 사상의 요약체인 성학 십도에까지 두루 다뤄지는데, 특히 퇴계가 정리한 마음의 구조는 성학십 도에서 크게 두 가지 구도로 제시된다. 하나는 6도 「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며, 다른 하나는 8도 「심학도(心學圖)」다. 「심통성정도」에서는 마음을 이루고 있는 본연지성(本然之性)과 기질지성(氣質之性), 사단지정(四端之情) 과 칠자지정(七者之情)의 4단 구조, 「심학도」에서는 몸(身)과 마음(心)과 마 음챙김(敬) 3단 구조가 선명하게 드러난다. 「심통성정도」에서 퇴계는 마음 병의 원인을 규명하고, 이 치유법으로서 8도에서 경(敬)을 제시한다. 그는 “병을 치료하는 데 비유하자면 경이란 만병통치의 약이어서 한 증상에 대 해서만 쓰는 한 가지 약에 비할 것이 아니다”고 역설한다. 퇴계가 평생 탐 구한 마음병(心病)을 치유하는 길을 꼼꼼히 살펴보며 현대인의 아픈 마음을 회복하는 대안으로 삼고자 한다.

      • KCI등재

        키에르케고어와 퇴계(退溪)가 본 심병(心病)과 그 극복- ‘순간(Øieblik)’과 ‘경(敬)’을 중심으로 -

        이원진 영남퇴계학연구원 2017 퇴계학논집 Vol.- No.20

        The illness of the body comes from the illness of the heart. Living with chronic mental illness (mental illness) is a tremendous curse. Why in the earth do we have this pain? Could this be repaired? S. Kierkegaard(1813-1855) and Toegye(1501-1570) who suffered from these mental illnesses are great thinkers that have devoted to the psychological and psychoanalytical problems. In this article, we will examine in the philosophy of Kierkegaard and Toegye 1)what happens when we miss something properly(illness) and then we define 2)what kind of medicine we can find to keep soul-health. Illness appears in the flow of quantitative time. So it is important to look at the moment of time to approach the mental-illnesses. In ancient Greece there were two terms that represented time. One is Khronos and the other is Kairos. Kairos, called also "Øieblik" in Danish by Kierkegaard are some qualitative moments, when they meet on both axes of time(Khronos) and eternity. Kierkegaard says a human being who lives in reality as a exclusive standing person before God, he can escape from the disease to death(so called despair) and can be eternal. On the other hand, Toegye started from the distinction of the time from the tradition of The Doctrine of the Mean: ‘the state unaroused(未發)’ and the ‘the already aroused(已發)’, and according to the cadence of Zhuji, Toegye completed the original icon of reverence. Through the dialogue with his disciples, He constantly says the mental illness is a universal to anyone who has set up the will to study, and he emphasizes that it can be cured by the mental law, so called reverence. Toegye collects the essence of the meaning of existence in everyday life through the study of the main body. Through this study, we examine the two philosophers of the East and the West were the person who conscientiously seek the healing of heart(soul) in the contemporaries and future generations. 몸의 병은 마음의 병에서 온다. 만성적 마음병(정신병)을 앓고 사는 일은 엄청난 저주임이 분명하다. 대관절 정신병은 왜 생길까. 이 병은 과연 고쳐질 수 있을까. 키에르케고어(S.Kierkegaard, 1813-1855)와 퇴계(退溪, 1501-1570)는 심리학이나 정신분석학이 태동하기도 전에 직접 이런 심병(心病)을 앓고 고뇌하며 해법을 내놓는데 몰두했던 사상가다. 본고에서는 키에르케고어와 퇴계의 철학을 따라 1)우리가 어떤 것을 놓쳤을 때(不通) 병통(病痛)에 걸리는지 2)그렇다면 영혼의 건강을 어떤 약으로 찾을 수 있는지 검토하려 한다. 병은 양적인 시간의 흐름 속에 나타난다. 그래서 병을 고치려면 시간의 계기를 살펴보는 게 중요하다. 고대 그리스에는 시간을 나타내는 두 개의 용어가 있었다. 하나는 크로노스(Khronos), 다른 하나는 카이로스(Kairos)다. 이 중 질적 순간의 카이로스는 시간성과 영원성의 두 축에서 만나는 ‘순간(Øieblik)’의 시간이다. 키에르케고어는 시간성 속에서 영원성을 찾을 때, 다시 말해 현실을 살아가는 인간이지만 신 앞에 선 단독자로서 영원성을 갖게 되는 순간 절망이라고 불리는 죽음에 이르는 병에서 벗어날 수 있음을 말한다. 한편 퇴계는『중용』의 전통으로부터 내려온 미발(未發)과 이발(已發)의 시간 구별로부터 출발해, 心統性情이란 중화신설로 시간개념을 종합해낸 주자학의 종지를 따라 독창적인 敬의 도상학을 완성한다. 퇴계는 제자들과의 문답을 통해 학문의 뜻을 세운 이상 심병은 누구나 겪는 보편적인 것이며, 이는 居敬/持敬의 심법으로 치유될 수 있음을 역설한다. 퇴계는 미발지전과 이발지제의 시간을 아우르는 본체론과 공부론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존재의 의미를 존양/성찰할 수 있는 심법을 집대성한다. 본고는 심병에 대한 집요한 고찰로 동시대와 후세 인류의 마음을 위로하고 치유의 길을 제시한 동서양의 두 사상가를 통해 현대인들의 마음병에 대한 철학적 해법을 찾아보는 데 의의를 둔다.

      • 心病辨證의 形成過程에 대한 文獻的 考察

        金庸柱,崔達永,金俊錡,朴元煥 동국대학교 한의학연구소 1997 東國韓醫學硏究所論文集 Vol.6 No.1

        五臟六腑中에서 心은 人體 生理活動의 主宰으로서 臟腑 가운데에서도 首位를 차지하여 人體의 思推活動이나 臟腑機能의 協調 및 氣血의 通暢등도 모두 心의 機能에 依存하는 바이므로 心을 生命活動의 中心이라고 한다. 本 論文은 辨證體系웨 形成過程을 心病辨證에 限하여 文獻的으로 考察한 것으로써, 첫째 心病의 虛症分類에 있어 心虛症이라고 包括的으로 言及되어지던 것이 心陰虛症과 心陽虛症으로 分類되었으며, 다시 心氣虛症ㆍ心陽虛病ㆍ心血虛症ㆍ心陰虛症으로 分類되었다가, 最近에 辨證分類에서는 이를 더욱 細分化시켜 心氣虛症ㆍ心陽虛病ㆍ心血虛症ㆍ心陰虛症ㆍ心氣陰兩虛症ㆍ心氣血兩虛症ㆍ心陰陽兩虛症ㆍ心陽暴脫證으로 分類 發展시키고 있다. 둘째 心病의 實證分類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痰과 火ㆍ熱의 問題였으며 이것들을 가지고 다양한 辨證分類를 하였는데, 初期에는 痰證과 熱證을 단지 分離하여 辨證하였던 것을, 最近에는 痰證과 火證뿐만 아니라 痰火를 같이 묶어 辨證 하였으며, 心氣虛心陽虛에서 起因된 心瘀證을 점차 重要하게 여기는 方向으로 辨證分類를 하였다. 이러한 辨證分類의 多樣化ㆍ細分化는 漸漸 多樣해지는 疾病樣相에 보다 잘 대처하려는 硏究結果로 보여지며 이후로도 보다 實證的인 硏究가 더욱 더 要望된다. The heart takes the top position as the monarch of the physiological activity in five viscera and six bowels. Activity to think and ponder, or harmony of the function of viscera and bowels and passing smoothly of qi and blood and so on, these depend on the function of heart. So it is called the center of life activity. This thesis studied bibliographically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e system of differention of syndromes. First, in the classify of deficiency syndrome, insufficiency of the Heart is classified deficiency of the Heart-yin and insufficiency of the Heart-yang. After it classified insufficiency of the Heart-qi, insufficiency of the Heart-yang. dificiency of the Heart-blood and deficiency of the Heart-yin, At lately it classified more subdivide into insufficiency of the Heart-qi, insufficiency of the Heart-yang, 야랴ciency of the Heart-blood, deficiency of the Heart-yin. Deficiency of the Heart-qiㆍyin, deficiency of the Heart-qiㆍblood, deficiency of the Heart-yinㆍyang and sudden exhaustion of the Heart-yang. Second, It were the most important that the phlegm, fire and heat in the classify of excess syndrome. It classified various differentiation of syndrome. In the beginning of a period, it only classified phlegm syndrome and heat syndrome, but recently it classified not only phlegm syndrome and heat syndrome but also phlegm-fire. Also, It clas냐랴ed importantly gradually Heart-blood stasis caused by deficiency of the Heart-qi and the Heart-yang. Variety and subdivision of classify of differentiation of syndrome seemed resault of study to prepare various disease. And that after demanded more and more positive study.

      • KCI등재

        동양 고전에서 사용되는‘心病’의 용례와 의미

        유권종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08 철학탐구 Vol.24 No.-

        Western people's understanding of diseases of mind which have been growing on the context of their culture or spirit and Philosophical consultation or logotheraphy aiming at healing them are outgrowth of their context. But is it possible to apply them to Korean people who belong to another context of culture or spirit? In order to grope a basis for query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m, the concept of diseases of the mind and methods of healing the mind which are familiar to Korean people are surveyed in this paper. Many kinds of experience relating to the diseases of the mind and the history of conceptualization of them in the books from the Pre-Chin era to Sung China era, which seem to have taken part so long time and so deeply in making Korean people's experience of their mind. The main items of this paper will be proto-type of Chinese people's experiences of the mind in Chunqiu time, Experiences and principles of the mind of Confucianism and Taoism, and meaning and illustrations of diseases of the mind mainly on the context of the Confucianism. 서구인들의 문화적 정신적 맥락에서 발생하는 병통 현상과 그것을 치유하는 철학상담 혹은 로고테라피의 방법은 서구의 문화적 맥락의 소산이다. 그런데 과연 그것과는 다른 맥락에 속하는 한국인에게도 그것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을까? 본 연구는 그 타당성을 따지기 위한 조건의 모색을 위하여 한국인에게 친숙한 心病의 개념과 治心의 방법을 고찰한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마음 경험의 성립과정에 깊숙하게 개입했다고 보이는 선진시대부터 송대까지의 유교, 도가, 불교 등의 서적에서 心病과 관련된 공통된 경험과 그것이 개념화되었던 역사와 그 의미를 고찰한다. 고찰의 순서는 첫째 춘추시대 중국인의 마음 경험의 원형, 둘째 春秋戰國시대의 마음 경험의 반성과 변화로서 儒家의 마음 경험과 마음 원리 그리고 道家의 마음 경험과 마음 원리를 살핀다. 셋째 심병의 용례와 의미에 관하여 유교 도가 및 불교를 비교하여 논하도록 한다.

      • Magnetocardiography(MCG)를 이용한 심병증의 진단에 관한 임상연구

        송낙근,류연희,문진석,안규석,최선미,Song, Nak-Kun,Ryu, Yeon-Hee,Moon, Jin-Suk,Ahn, Kyoo-Seok,Choi, Sun-Mi 한국한의학연구원 2004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Vol.10 No.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firm clinical usefulness of MCG data by analyzing korea medical results of heart disease patients. We used the Heart Disease Questionnaire which asks for Qi deficiency-pattern, Blood deficiency-pattern, Yin deficiency-pattern, Yang deficiency-pattern, Qi stasis-pattern, Blood stasis-pattern, Heart heat-pattern, Phlegm-pattern. Magnetocardiography(MCG) is the measurement of magnetic fields emitted by the human heart from small currents by electrically active cells of the heart muscle. Comparing the MCG results and korea medical diagnosis, we showed clinical usefulness of MCG results and korea medical diagnosis.

      • KCI등재

        국문장편소설 인물들의 갈등과 화병(火病), 치유의 문제

        염원희(Youm, Won-Hee)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0 한국민족문화 Vol.76 No.-

        본고는 국문장편소설에 등장하는 두 인물의 갈등과 질병을 통해 한국의 ‘문화 연계 증후군’인 화병을 이해하고, 그 치유의 문제를 조선시대 의학론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화병은 한국인의 독특한 문화적 환경에서 배태된 정신적 질병인데 신체적인 고통을 호소하는 것이 특징이다. 국문장편소설의 인물들은 다양한 질병 증상을 호소하는데, 대개 가부장제 하의 갈등이 주요 원인이 된다. 갈등은 다양한 감정을 양산하는데, 특히 억울함과 분노의 감정이 인물의 내면에 쌓이게 되면 화(火)를 유발한다. 이를 밖으로 표출하지 못하고 참게 되면 신체적인 문제가 나타나고, 때로는 폭력이나 폭언과 같은 갑작스러운 감정의 분출로 이어진다. 『완월회맹연』의 소교완은 가부장제 윤리에 위배되는 인물로 배척당하지만, 작품후반부에 개과천선하면서 표면적으로는 화병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그려진다. 이에 비해『유효공선행록』의 유연은 아버지, 동생과 갈등하면서도 효우한 인물로 칭송받았으나, 화를 분출하지 못하고 심병을 앓게 된다. 후반부에는 아들에게 화를 분출하고, 아내와 갈등하였으며 이후 급작스러운 죽음을 맞는다. 이는 조선시대 의학론의 관점에서 보면 소교완은 도덕적 인간으로 변화하면서 가족과의 관계를 회복하여 치유에 이른 것이며, 유연은 유교적 인간을 지향하였으나 제대로 된 감정의 해소나 타인과의 관계 회복에 이르지 못하여 화병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던 것으로 보았다. This paper aims at understanding Hwa-byung(mental or emotional disorder as a result of repressed anger or stress), a Korean ‘culture bound syndrome’, through the conflicts and diseases of two characters in Korean novels, and examining its healing in relation to the medical theory of Joseon. Hwa-byung is a mental illness that has originated from a unique Korean cultural background, and features the complaints of physical pain. The characters in the Korean novels complain about diverse symptoms, which are mostly due to the conflicts in the patriarchal system. The discord creates different emotions, and especially when the emotions of unfairness and anger are built up in the characters, anger(火) brings about Hwa-byung. When anger is not expressed outside but just endured, physical problems can appear, and sometimes it can lead to the sudden release of emotions, such as violent behaviors or words. So Gyo-wan in “Wanweolhoemaengyeon” is rejected as a person violating the patriarchal ethics, but in the latter part of the novel, he is depicted as reformed, breaking free from Hwabyeong and reborn as a new person ostensibly. On the other hand, Yu Yeon in “Yohyoseonhangrok” is praised as a devoted son even in the conflicts with his father and younger sibling, but gets stricken with Sim-byung(a mental illness) because he hasn"t been able to release his anger. In the latter part of the novel, he vents his anger to his son, comes into conflict with his wife, and later dies a sudden death. From the viewpoint of the medical theory of Joseon, So Gyo-wan turns into a moral person, recovers his relationship with his family, and reaches healing, while Yu Yeon seeks to be a Confucian man but fails to relieve emotions properly and to recover the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therefore seems to fail to break away from his Simbyung.

      • KCI등재

        공심병(空心病)과 철학상담

        김여진 대한철학회 2019 哲學硏究 Vol.149 No.-

        Empty heart disease(空心病) is a neologism coined by Xu Kai Wen(徐凱文) who is a professor of the department psychology at Beijing University in China and psychiatrist in one education forum held in November 2016. Although the symptoms are similar to the depression, the empty heart disease is different in that general psychotherapy or medication treatment is of no use in the latter case, which reveals the limitation of the existing psychological counseling or chemical treatment. In China, debates on the role and possibility of philosophical counseling have not been actively discussed so far. This paper criticized that the interpretation and prescription of the empty heart disease in China excessively depend on psychology as of now. By incorporating the concept of “empty heart” into the field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therapy, this paper put emphasis on the role and possibility of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The main body of this paper unfolds in the following context. First, the paper analyzed what the empty heart disease and its background is that Chinese college students are experiencing these days and introduced the discourse on its response and therapy method. Next, the paper argued that the empty heart disease should be a subject of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Arguing that the empty heart disease can be healed by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the paper criticized the existing interpretation of the empty heart, which is excessively psychological and passive regarding the term, symptoms, and alternatives. Finally, this paper considered a fundamental theory based on the Eastern philosophy, particularly the theory by Feng You Lan(馮友蘭) and Xun Zi(荀子)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methodology of philosophical counseling that can respond to the symptoms of empty heart disease. This paper has timeliness as it dealt with the college students’ depression which recently emerged as a social issue. The paper satisfied the originality requirement of the research topic as it introduced the new terminology of empty heart for the first time in Korea from an aspect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lso, this study has significance from an aspect of research history as application of Xun Zi’s theory can be rarely seen in philosophical counseling research in Korea and China and that the paper established a model based on Eastern philosophy using specific cases among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studies.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that it could not elaborate on the logic of the methodology because the model was composed under the absence of clinical study, without provision of rich clinical cases. Further studies will address these limitations in the future. 공심병(空心病, Empty heart disease)이란, 중국 베이징(北京)대학의 심리학과 교수이자 정신과 주치의인 쉬카이원(徐凱文) 교수가 2016년 11월에 열린 한 교육포럼에서 처음 제기한 신조어이다. 증상만을 놓고 보면 우울증에 해당하지만 일반적인 심리치료의 기법이나 약물치료로는 아무런 효과가 없다는 것이 공심병의 특징이다. 기존의 심리 상담이나 화학적 치료의 한계가 드러나는 지점이긴 하지만 중국의 경우 철학상담(Philosophical Counseling)이라는 영역의 역할이나 가능성에 대해 아직 활발히 논의된 바가 없다. 이 글은 중국의 공심병이 지나치게 심리학적인 해석 및 처방에 의존하고 있음을 비판하며 ‘공심’을 철학상담치료의 영역으로 끌어들여 철학상담의 역할과 가능성을 주장하고자 한다. 본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은 맥락에서 전개된다. 먼저, 최근 중국의 대학생이 겪고 있는 공심병이 무엇이며 어떠한 배경에서 출현하였고 그 대응책 및 치료방법에 대한 담론들은 어떠한지 소개한다. 다음은, 공심병이 왜 철학상담의 대상인지를 설득하고 철학상담을 통한 치료의 가능성을 주장하기 위해 중국의 공심에 대한 용어, 증상, 대안에 있어 지나치게 심리학적‧소극적인 해석을 비판한다. 마지막으로, 공심병 증세에 대응할만한 철학상담의 방법론을 세우기 위해 동양철학 특히 풍우란(馮友蘭)과 순자(荀子)의 이론에 기반한 토대 이론을 구상할 것이다. 이 글은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대학생의 우울을 다뤘다는 점에서 시의성을 지니며 공심병이란 신조어를 철학상담 영역에서 국내 처음 소개하고 있다는 점으로부터 연구 주제의 참신함을 갖는다. 또한 한국 및 중국의 철학상담 연구에 있어 순자의 이론을 적용한 시도는 찾아보기 힘들다는 점과 동양철학에 기반한 철학상담 연구 가운데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모형을 구상화했다는 점에서 연구사적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풍부한 임상사례를 근거로 삼지 못했고 임상연구의 부재 하에 모형을 구상했기 때문에 방법론에 있어 보다 치밀한 논리로써 전개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에 대한 보완은 후속 연구에서 이어나가려고 한다.

      • KCI등재

        노자철학과 마음 치유 - 현대인의 마음의 병에 대한 노자 철학적 접근

        박승현 한국중국학회 2015 중국학보 Vol.72 No.-

        本文是從老子哲學的角度來審視現代人的心病。爲什마韓國人的自殺率和離婚率居世界之首,而出生率각最低니? 自殺率最高可以理解爲對現實的絶望, 出生率最低反映了對不明確的未來生活的懷疑. 這些數據表明韓國幸福指數흔低。也許現在這些不安的生活병不是來自於對幸福生活的錯誤觀念。幸福不是心靈的問題而是衣食住行的水平、或是在社會上取得的成就,亦或是爲了享受幸福的生活而在經濟和社會上在激烈的競爭中獲得勝利,而付出努力的信念。在韓國社會出現的各種社會病理現象可以說多數是由韓國人具有的錯誤信念造成的。在現實的生活中所面臨的人生問題, 卽苦痛的問題,通過改變自己的觀念和態度可以解抉。所謂實踐就是除去自身否定的部分, 積極追求肯定的部分, 可以說是發現眞我的過程。因此,壹個時代的心靈問題可以通過人們生活方式的變改變進行治療,령外,壹個人的心病亦只能通過思維方式和生活態度的改變來治療,而不是通過藥物。本文可以說是從老子哲學的觀點對現代人心病治療應用的探索。

      • KCI등재

        鳳棲 俞莘煥의 未發論 연구

        박학래 (사)율곡학회 2023 율곡학연구 Vol.51 No.-

        Mibal(weifa, being risen yet, 未發) discourse, one of the core propositions of self-cultivation theory related to moral practice in Neo-Confucianism, was one of the core arguments of Chosun Neo-Confucianism. In the Kiho academic world, after the debate between Yulgok(栗谷) and Ugye(牛溪) on the issue of good and evil in Mibal, various discussions have been developed around Mibal. In particular, throughout the 18th century, discussions on Mibal revealed various controversies, and discussions on Mibal continued until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without reaching a clear consensus. Bongseo(鳳棲) Yu Shin-hwan(俞莘煥, 1801~1859), a representative scholar of the 19th century KIho Nakron(畿湖 洛論), tried to establish a realistic basis for moral practice through discussions on Mibal. And he summarized the Mibal issues until then into three categories: 1)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rdinary person's Mibal, 2) the same and different between an sage and an ordinary person's Mibal, and 3) the depth and shallowness of the Mibal. And he examined Zhu Xi’s theory in various ways and presented his opinion in detail. In this paper, I tried to summarize and analyze Yu Shin-hwan's Mibal theory, focusing on his Mibalseol(未發說). In Mibalseol, not only the Mibal issues of the Kiho academic community developed until that time, but also the theory of Zhu Xi as the basis for claims related to each issue. By paying attention to this point, I tried to summarize Yu Shin-hwan's understanding of Zhu Xi’s theory and his views on each issue presented through it. In addition, I tried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Yu Shin-hwan's Mibal theory in connection with the issue of Mibal theory and to present the significance of his Mibal theory. 성리학에서 도덕 실천과 관련한 공부론의 핵심 명제 중 하나인 未發論은 조선 성리학의 주요 논쟁점 중 하나였다. 특히 기호학계에서는 미발에서의 선악 문제를 두고 李珥와 成渾 간의 논변이 전개된 이후 지속해서 미발을 둘러싸고 다양한 논의가 전개되었다. 특히 18세기 湖洛論爭을 거치면서 未發心體의 善惡 여부와 聖凡心同異 등 미발과 관련한 다양한 논쟁점이 제기되었으며, 19세기 전반기까지도 여러 논쟁점에 관한 뚜렷한 결론에 도달하지 못한 채 미발 관련 논의가 지속되었다. 미발론을 통해 도덕 실천의 현실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던 19세기 기호 낙론의 대표적인 학자인 兪莘煥(1801~1859)은 「未發說」을 통해 당시까지의 미발론 쟁점을 1) 衆人의 미발 有無 여부, 2) 聖人과 凡人의 미발 同異 여부, 3) 미발의 淺深 여부 등 세 가지로 정리하고, 이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특히 그의 견해에서 주목되는 것은 각 주장의 근거로 제시한 주자설에 관한 다면적인 검토에 이어 도덕 실천의 근거를 확인하고자 한 것이었다. 본고에서는 미발에 관한 견해가 집중적으로 수록된 「未發說」을 중심으로 유신환의 미발설을 정리 분석하고자 하였다. 당시까지 전개된 기호학계의 미발 관련 쟁점뿐만 아니라 각 쟁점과 관련한 주장의 근거로서 제시된 주자설에 관해 유신환은 객관적이면서도 수용적인 태도를 가지로 미발론을 정리 제시하고자 하였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미발론 쟁점과 결부하여 그의 미발론이 갖는 특징적 면모를 확인하고, 그 의의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李退渓における病との共生

        片 岡 龍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2 퇴계학논총 Vol.40 No.-

        This paper attempts to answer the question “How can we realize Toegye-studies in the age of modern civilization?” by taking sugges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Homo Symbious”. We can infer Yi Toegye’s awareness of “living with disease from some evidence. However, this awareness does not immediately translate into an assertion of “coexistence with illness” in the modern sense. We can recognize the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his creativity in academic work through his unique experience of “disease”. Toegye was aware that his own life full of disease was uniqueness. He associated his heart disease and mental disorder(心病) with his temperament. It was during his 40s and 50s, when he was reading The Collected Works of Zhu Xi (朱子文集), that Toegye found an effective treatment for his disease. The uniqueness of his disease inevitably demanded a unique treatment for it, and it was precisely in this process that the creativity of Toegye-studies was demonstrated. For the renewal of modern civilization through Toegye-studies, it is impossible to simply follow the attainments of what has already been accomplished. What we should learn from Toegye-studies is not the past attainments, but the process of its cre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