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사 제수’ 대목의 변이에 담긴 <춘향전> 필사층의 의식

        경일남 어문연구학회 2018 어문연구 Vol.98 No.-

        This study examined a feature of variation represented in a manuscript and consciousness of transcribers based on a differentiated aspect of secret royal inspector appoint scenes according to a different version. On secret royal inspector appoint scenes, a time for lad Lee to be selected as the secret royal inspector and the variation of its way originated from the early transmission. But in the manuscript, it shows the aspect is changed in a way of strengthening legitimacy of secret royal inspector selection capitalizing on a qualification that led Lee has as the secret royal inspector. The selection of lad Lee as a Jeolla secret royal inspector is made up of his volunteering or pay decision. However in the manuscript, factor of selection is modified from the reason above to his express willingness. It is the result of the transcriber's wish to make lad Lee much more active in Jeolla secret royal inspector selection. On secret royal inspector appoint scenes, a duty in charge of lad Lee is presented. An image of king which is sage and wise or of lad Lee which is loyal and faithful emphasized depending on a disparity of contents and main agents. According to the different version, lad Lee is embodied as a savior of the people. And it is only found in the manuscript. Secret royal inspector appoint scenes completed a farewell speech of lad Lee appointed as a secret royal inspector in most different versions. But in the manuscript, some emotional parts that express Lee's desire to meet Chunhyang again are attached to the paragraph. This variation is the result that reflects transcriber's thought of wishing him to be a humane character. 이 논문은 <춘향전>의 ‘어사 제수’ 대목이 이본에 따라 변이된 양상을 토대로, 필사본에 나타난 변이의 주요 특징과 거기에 담긴 필사층의 의식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어사 제수 대목에서 이도령이 어사로 선발되는 시점과 방식의 변이는 <춘향전> 전승의 초기부터 비롯되고 있다. 그런데 필사본에서는 창본이나 판각본 계통의 이본과는 달리 이도령이 초계를 통해 어사에 낙점되도록 선발 방식을 변개시키기도 하였다. 이는 이도령이 지닌 어사로서의 자격을 부각시켜 어사 선발의 정당성을 보다 강화하고자 하는 필사층의 의식에 따른 것으로 보아진다. 이도령의 전라어사 선정은 창본이나 판각본 계통의 이본의 경우, 임금의 결정이나 이도령의 어사 자원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런데 필사본에서는 전라어사가 되고자 하는 이도령의 의지 표명에 의해 어사 파견지가 선정되는 것으로 변모되기도 한다. 이는 춘향과의 재회를 위해 이도령이 전라어사 선정 과정에서 보다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관여해 주길 바라는 필사층의 의식이 반영된 결과다. 창본과 판각본 계통의 이본에서 이도령이 담당할 어사의 소임은 임금의 특지나 이도령의 상주를 통해 제시된다. 이를 통하여 임금의 성군적 이미지가 부각되기도 하고, 이도령의 충성스런 어사 이미지가 드러나기도 한다. 그런데 필사본에서는 이도령의 상주 내용을 통해 그를 민중 구원자의 형상으로 그려내기도 한다. 이러한 민중 구원자의 형상은 <춘향전>의 필사층이 바라던 이상적인 암행어사상을 투영한 것이다. 어사 제수 대목은 창본이나 판각본 계통의 이본에서는 대체로 어사에 임명된 이도령이 하직 숙배하는 단락으로 마무리된다. 그러나 필사본에서는 이 단락에 춘향과의 상봉을 기대하는 이도령의 감정 표출 부분이 덧붙여지기도 한다. 이러한 변이는 이도령이 인간미 넘치는 인물이길 바라는 <춘향전> 필사층의 의식이 만든 결과물이다.

      • KCI등재

        조선 영조대 別遣御史의 성격

        조한필(Cho, Han-pil) 호서사학회 2021 역사와 담론 Vol.- No.98

        별견어사는 조선 영조대에 파견됐던 ‘특별한 어사’였다. 암행을 하며 수령들 비리를 염찰하기도 하고, 신분을 드러내 명행하며 재해지역 진휼을 감독하고 백성을 위로했다. 영조는 감진어사는 실효가 없고, 안집어사는 그 이름만 거창하다고 여겼다. 그래서 별견어사라는 새 명칭을 택해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활약을 기대했다. 별견어사는 각종 옛 기록에서 어사를 ‘별도로 파견한다’는 뜻으로 표기한 ‘별견’ 어사 문구와는 다른 고유 직함이다. 이 때문에 별견어사는 암행어사와 별도로, 특정 임무로 파견된 일반어사를 가리키는 범칭으로 사용할 수 없다. 영조는 정미환국 직후 별견어사를 파견했다. 이광덕, 박문수, 이종성 등 젊은 탕평파 관료들이 별견어사로 파견돼 영조의 덕의를 백성에게 직접 전하며 재해지역을 진휼했다. 암행 업무는 암행어사만큼 철저히 수행했다. 어사 임명장인 봉서에는 암행어사처럼 암행대상 읍 명단이 들어있었다. 영조는 별견어사가 염찰대상 이외 읍까지 살펴, 봉고하고 파직 장계 올릴 것을 지시했다. 암행어사도 함부로 할 수 없는 일이었다. 별견어사의 인선 작업은 암행어사와 달리 공개리 진행됐다. 또 진휼 재원 마련을 위해 임명후 임지로 바로 떠나지 않고 며칠씩 머물며, 대신 및 영조와 업무를 협의했다. 별견어사는 일반어사와 암행어사의 기능, 모두를 소홀히 할 수 없다는 영조의 특별한 의지에서 비롯된 어사였다. 별견어사는 영조대 후반부터 암행어사의 일반어사 업무 관할이 심화되면서 사라지게 됐다고 보인다. The Specially Dispatched Royal Inspector was a special Royal Inspector who sent to the province for King Yeongjo period of the Joseon. During the trip, he secretly inspected the corruption of the local official and revealed his identity, supervised the disaster area, comforted the people. Yeongjo thought that Gamjin-eosa was ineffective, and that the name of Anjip-eosa was only grand. Therefore, he chose the new title of ‘Byeol Gyeon–eosa(The Specially Dispatched Royal Inspector)’ and expected a practical and effective performance.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Byeol Gyeon–eosa cannot be used as a name referring to the general Royal Inspector dispatched for a specific mission other than the Secret Royal Inspector. The phrase ‘Byeol Gyeon–eosa’ which is frequently seen in historical records is merely an idiomatic expression of ‘separately sent Royal Inspector’. King Yeongjo sent ‘The Specially Dispatched Royal Inspector’ shortly after ‘Jeongmi political change’. Young Tangpyeong officials, including Lee Kwang-deok, Park Moon-soo, and Lee Jong-sung, were dispatched to the local area to deliver the virtues of King Yeongjo directly to the local people. His the secret service was as thorough as the Secret Royal Inspector. Bongseo, a certificate of appointment for Royal Inspector, contained a list of villages subject to secretly inspect, just like the Secret Royal Inspector. King Yeongjo ordered that secretly take a look at the town other than a list of villages subject to secretly inspect. It was impossible for even the Secret Royal Inspector to do so. The selection process of The Special Dispatch Royal Inspector was carried out in public, unlike the Secret Royal Inspector. He did not leave for his post immediately after his appointment, but discussed his work(famine relieving etc.) with Yeongjo as well as the Joseon ministry. He were quite different from the Secret Royal Inspector who the appointment process and destination is in secret. The word ‘The Specially Dispatched Royal Inspector’ was derived from King Yeongjo"s special will to not neglect all of them, including the function of general Royal Inspector and Secret Royal Inspector. Since the late Yeongjo period, Secret Royal Inspector’s jurisdiction over General Royal Inspector function is intensified, Byeolgyeon-eosa seems to have disappeared.

      • KCI등재

        박문수의 어사 이력과 別遣御史 활동

        조한필(Cho, Han pil) 역사문화학회 2021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4 No.2

        박문수는 많은 암행어사 설화의 주인공이다. 박문수가 암행을 한 것은 1727년 영남별견어사 때였다. 별견어사는 영조대 특별히 파견된 어사로 백성을 편안하게 안심시키는 安集, 진휼을 감독하는 監賑 업무와 함께 暗行하며 수령을 감찰했다. 반면 박문수가 후일 맡았던 영남감진어사, 북도진휼사, 영남균세사 등은 일반적 어사로 볼 수 없는 당상관 직책이다. 비변사 句管堂上 직위를 갖고 영남감진어사, 북도진휼사로 파견된 것이었다. 당시 박문수는 별견어사 활동 직후 이인좌의 난을 평정하는 큰 공을 세워, 영남관찰사로 고속 승진한 상태였다. 영남균세사도 1750년 균역법이 시행됨에 따라 60세의 나이에 부족한 국가 재원 충당을 살피기 위해 파견된 고위직이었다. 결국 박문수가 암행어사 역할을 한 건 영남별견어사가 유일했다. 그는 공주 향리 생활로 백성들 어려움을 잘 알았다. 이 경험을 토대로 인사, 세정, 군정, 형정 등에 대한 여러 개선안을 냈다. 왕족들이 미개간지를 선점해 수조권을 행사하는 折收에 대한 개혁도 과감히 진언했다. 별견어사 업무지침[節目]은 “수시로 암행하여 민간의 어려움을 탐문하되, 불법 수령은 파직시켜 각 읍을 숙연하게 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따라 박문수는 철저한 염찰 업무를 수행했다. 수령 41명을 조사해 13명의 파직을 이끌었다. 박문수는 암행어사로 임명된 적은 없지만, 암행어사는 물론이고 다른 일반어사 역할까지 했다. 영조의 愛民의지를 널리 펴기 위해 별견어사직을 충실히 수행한 것이다. 이를 통해 박문수가 많은 암행어사 설화 속 주인공이 된 배경의 일단을 이해할 수 있다. Park Moon-soo is the epitome of the tale of Secret Royal Inspector. It was in 1727 when Park Moon-soo went on a secret trip during the reign of Yeongnam(嶺南) Byeolgyeon-eosa(別遣御史: The Specially Dispatched Royal Inspector). Byeolgyeon-eosa was a Eosa specially dispatched for Yeongjo period. Along with the task of comfortably reassuring the people and supervising Jinhyul(賑恤:famine relieving), he secretly inspected local government officials. 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s of Yeongnam Gamjineosa(監賑御使), Bukdo Jinhyulsa(北道賑恤使), and Yeongnam Gyunsesa(均稅使), which Park Moon-soo later took, were not considered general Eosa. Yeongnam Gamjin-eosa and Bukdo Jinhyulsa were high-ranking Local supervisor. Yeongnam Gyunsesa was dispatched to supplement the insufficient financial resources after the Gyunyeok Act(均役法) was enforced in 1750. Immediately after his activities as The Specially Dispatched Royal Inspector, Park Moon-soo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Lee In-jwa"s Rebellion and was promoted vertically to Yeongnam Regional Minister. In the end, Yeongnam Byeolgyeon-eosa was the only one that Park Moon-soo played the role of Secret Royal Inspector. He was well aware of the difficulties of the people through his life in Gongju country house. Based on this experience, various improvement plans for personnel, tax, military administration were proposed. The work guidelines of Byeolgyeon-eosa instructed, “Do a secret visit from time to time to investigate the civil difficulties, and dismiss illegal local officials to make the town nervous.” Accordingly, Park Moon-soo carried out thorough secret inspecting work. 41 local officials were investigated and 13 were dismissed. Park Moon-soo has never been appointed as Secret Royal Inspector, but he also served as Secret Royal Inspector as well as other general Royal Inspector. He faithfully performed Byeolgyeon-eosa position to fulfill King Yeongjo"s will to love people. Through this, you can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Park Moon-soo becoming the main character of Secret Royal Inspectort in the story.

      • KCI등재

        17~18세기 재해행정과 御史의 역할

        원재영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6 한국문화 Vol.75 No.-

        The foremost responsibility of natural disaster administration fulfilled in local regions of the late Chosŏn Dynasty Period was given to Gamsa-Suryeong. Yet the central government dispatched government envoy(御史) in according to circumstances enhance the efficacy of natural disaster administration. Since the 17th century, the titles of Eosa having such roles were Chinhyuleosa(賑恤御史), Gamjineosa(監賑御史), Wiyu-eosa(慰諭御史[Wiyu-sa:慰諭使]), etc. Such difference in title is related to the change in the role of government envoy. This study categorized these roles into Chinhyuleosa in the period from the reign of King Hyojong to King Hyeonjong, Gamjineosa in the reign of King Sukjong, and Wiyueosa(Wiyusa) in the period from the reign of King Yeongjo to King Jeongjo. Chinhyuleosa in the years of King Hyojong to King Hyeonjong not only managed and oversaw Suryeong of the natural disaster administration in the field, but also practically functioned to save the poor. In a relative sense, as revealed in the title of ‘Gamjin(監賑)’, Gamjineosa in the years of King Sukjong stressed to a greater degree the function of overseeing the local officials conducting natural disaster administration. The most significant authority of Gamjineosa was right of request for relief supplies(賑資請得權). They actively used such authority to secure relief supplies(賑資) necessary for relieving the poor, to perform a pivotal role in the immediate, timely, and decisive implementation of natural disaster administration. Then from the years of King Yeongjo in the 18thcentury, right of request for relief supplies, the most significant role of Gamjineosa was limited. This phenomenon was accompanied with a change of titles, resulting in the shift to the title of Wiyueosa (Wiyusa) in the years of King Yeongjo to King Jeongjo. Although they performed the function of Gamjin to some extent, the aim here was to tour an area to fully identify its circumstances and environment, informing others of government measures and focusing on Wiyu(慰諭) of disaster-stricken people. That such change of titles began to appear after the reign of King Yeongjo meant that the role of government envoy was transforming to have an emphasis on pacification of those in poverty, than directly involving itself in natural disaster administration.

      • KCI우수등재

        조선 成宗代 御史의 파견과 지방 통제

        金順南(Kim Soon-Nam) 역사학회 2006 역사학보 Vol.0 No.192

        The eosa (御史, Royal Inspectors) were another type of bongmyeong sasin who were dispatched as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to local areas during Joseon. While people usually think of the amhaeng eosa (暗行御史, secret royal inspectors) which surfaced during the latter period of Joseon when they hear the term osa, such officials were in reality also dispatched during King Seongjong's reign in the early stages of Joseon, During the early stages of Joseon, the inspection of local magistrates (swyeong) was conducted by officials dispatched from the Saheonbu (司憲府, Office of the Inspector-General). However, the emergence of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dispatched to local areas who did not belong to the Saheonbu during the early stages of King Seongjong's reign, and the dispatch of officials closely allied with the king, such as those from the Hongmungwan (弘文館, Office of Special Advisers), to inspect local magistrates from the middle stages of King Seongjong's reign onwards, resulted in the expansion of the usage of the term osa to include not only officials from the Saheonbu, but these other officials as well. The eosa first began to be dispatched by the central government to control local areas during King Seongjong's reign. The central government desired to dispatch eosa in order to keep a close eye on local magistrates and investigate the actual social circumstances in local area. The activities of the eosa made it possible for the central government to forge an exact picture of the manner in which local magistrates were acquitting themselves of their duties vis-a-vis the local population, and to use their performance of their duties to effectively exercise control over these officials in charge of the actual administration of local areas. In short, the eosa can be perceived as having been an integral component of the central government's efforts since the foundation of Joseon to establish a centralized control system. The eosa system put in place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jong became further entrenched during the tenures of King Jungjong and Myeongjong. As the eosa possessed the power to investigate areas where suspicions of corruption existed and to strip corrupt local magistrates of their post, the use of amhaeng eosa (secret royal inspectors) gradually became more frequent during late Joseon. The use of amhaeng eosa, whose origins can be traced back to the reign of King Seongjong, eventually became one of the main means used to control local areas during late Joseon.

      • KCI등재

        <춘향전> ‘어사남원행’ 대목의 구성 내용과 공연 요소들

        정충권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3 고전문학과 교육 Vol.54 No.-

        본 논의는 <춘향전>의 한 대목인 ‘어사남원행’의 구성 내용/특징 및 이 대목이 특히 근대초 극장 무대 공연 작품으로 선택되고 호응받은 이유에 대해 살폈다. 그 결과는 이러하다. <춘향전> 이본들을 검토해 본 결과 ‘어사남원행’ 대목은 첫째, 옥중 춘향의 동향을 다룬 경우들, 둘째, 남원 사람들의 생활상과 농가의 풍경이 담긴 경우들, 셋째, 변사또의 학정에 대한 남원 민중의 평가가 담긴 경우들, 넷째, 춘향에게 고난을 안긴 원인 제공자로서의 이도령에 대한 비난이 담긴 경우들 등 네 계열의 담론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여기에는 이도령의, 어사로서의 공적 책무 수행 근거를 제공하는 한편, 춘향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이도령의 개인적 책임을 묻는 서사 맥락상의 함의가 담겨 있다고 보았다. 이 대목에는, 춘향과 이도령에 집중한 여타 대목과 달리, 지배층 구성원들을 대상화하여 바라보는 남원 민중의 다양한 시선이 깔려 있었다. 근대초 대중을 주요 관객으로 하여 공연해야 했던 당시 극장가에서는 이 대목의 이러한 특징들을 주목했을 것이다. 당시 극장 관계자들은 극 공연물화하는 데 있어 이 대목의 효과적인 요소들도 고려했을 것이다. 이 대목에는, 첫째, 여러 인물들이 등장하여 노동을 하거나 춤을 추는 등 볼거리 중심의 장면을 연출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여겼으리라는 점, 둘째, 공연자의 입심이 뒷받침되어야 했겠지만 재담을 활용하여 관객의 호응을 얻을 수 있는 부분들이 있다고 보았으리라는 점, 셋째, 전체적으로 극적 아이러니가 바탕에 깔려 있어 극 공연물로 변용했을 때 질적으로 우수하며 흥미로운 미감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고 보았으리라는 점 등이 그것들이다. 근대초 전통 공연물 관계자들은 기존의 공연물들 중 무엇을 택해야 하고 또 그것을 실내 극장 무대 위에 어떠한 형식으로 가져 올 것인가 하는 문제들에 대해 적잖은 고민들을 했을 것이다. 이에 ‘어사남원행’ 대목의 사례는 그 나름대로의 참조점이 되었을 것이다. This discussion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yal emissary headed for Namwon,” a part from “Chunhyang-jeon,”and the reasons why this part was selected and received favorably as a theater stage performance in the early modern period. The result is as follows. As a result of reviewing other versions of “Chunhyang-jeon,” “royal emissary headed for Namwon” consisted of four series of contents: first, cases coping with the behaviors of Chunhyang in prison; second, cases containing rural landscapes; third, cases containing the Namwon people’s evaluation of Village-Magistrate Byeon's tyranny; and fourth, cases containing criticism of Bachelor Lee as the cause of suffering to Chunhyang. Unlike other parts that focused on Chunhyang and Bachelor Lee, the background was the various gaze of the people of Namwon, who objectified and evaluated members of the ruling class. At the time, theater officials had to perform with the public as the main audience in the early modern times, and this would be seen as an effective setting. When the theater officials envisioned the materialization of the play, it seems that there were more effective features of this part. First, it was thought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direct a scene centered on sights, such as various characters appearing to work or dance. Second, the performer’s speaking skill should have been supported, but the audience’s response could be elicited using wit. Third, when it is transformed into a theatrical performance because of the underlying dramatic irony, it is qualitatively excellent, and you would have seen it evoke an interesting sense of aesthetics. For those involved in traditional performances in the early modern period, this part’s success was a way for Pansori-based theatrical productions of the time to progress.

      • KCI등재

        唐 代 御 史 制 度 와 그 職 權

        鄭起燉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76 인문학연구 Vol.3 No.2

        The Censor System of Tang Dynasty, which originated in the Ch'in and Han Dynasties, is a kind of inspection system. Its key-note was based on the ideas of the Legalists (Fa-chia), and its purpose was to help the administration to be efficient and productive by restraining or encouraging the officials. Reorganization and enlargement had been carried out through the various dynasties, and during T'ang Dynasty, it came to be one of the central organs of the government as a real inspection system. The functions shared by several parts of the Board of Censors are as follows. 1. to read just the etiquettes in the court. 2. to censure the misdeeds of the officials. 3. to prevent unjust punishments and accusations. 4. to inspect finance in the government. 5. to supervise the treatment of vessels used in religious services and weapons of the war. As the above statements show, The Board of Censors played an important part in eliminating incompetency and dishonesty for living in comfort. So I think the Censor System of T'ang Dynasty is valued high in Chinese history.

      • KCI등재

        조선 후기 民意 收斂에 관한 연구

        이대희 동양고전학회 2006 東洋古典硏究 Vol.25 No.-

        조선 시대 민의 수렴 장치로서 어사, 상소, 상언과 격쟁에 대해 살펴 보았다. 어사는 국왕에 의해 임명되어 임시적으로 특정 분야의 민의 파악에 활용되었다. 국민들에 의한 제도적 민의 표출 방법 중 상소는 포괄적 언로 개방 원칙에 따라 자격 제한 없이 언제, 어느 때라도 가능하였다. 또 평민들이 억울한 내용을 호소할 수 있는 장치로 두 가지가 있었는데 상언은 문자로, 격쟁은 징이나 북을 쳐서 민의를 표출하였다. 이런 제도들은 당시에도 중요한 민의 수렴 장치였지만, 현대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런 제도들은 어느 시대의 국정 운영에서나 매우 의미 있는 민의 수렴 장치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민의 수렴을 하고자 하는 기본 정신을 계승하는 일이다. 민본 정치를 내세웠던 우리 조상들의 고귀한 국정 운영 원칙을 잘 살려 행정에 반영하는 것이다. 민의 수렴의 수월성이 증대했고, 수렴되는 민의의 양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늘어났지만, 항상 민의를 토대로 하고 이를 행정에 반영하려고 노력하는 정신은 크게 배울 점이다. 둘째, 여론 표출의 방법이 다양해지고 빈도도 크게 증가했다고 하지만 조선 시대의 상소처럼 활성화되어 있지는 못한 것 같다. 국민 대표 기관인 국회에서 다양한 민의가 대변되고 있지만, 여기서는 국민들의 민의가 자칫 黨利黨略에 의한 것으로 간주될 가능성이 높다. 셋째, 국정 담당자들에 의해 조작된 여론에 대해서는 엄정한 대처 방법이 살아 있어야 한다. 誣告나 謀陷에 대해서는 사법부인 법원의 판결에 의해 처벌을 받지만, 잘못된 정보나 오도된 여론에 대해서는 방지 장치가 없다. 행정 담당자가 자기와 같은 의견만 듣고, 다른 의견에 대해서는 쉽게 폄하하는 수가 많은데 이에 대한 대처 방법이 필요하다. This article analysed about 'eo-sa', 'sang so', 'sang eon' and 'geok jaeng' as the methods of the opinnion collection of the people in late Joseon dynasty. Eo-sa, king's special inspector, worked temporally for collecting people's opinnion. Sang-so was the method people could send their opinnion and message freely anytime and any where. But it could be used by literated people. Sang-eon and geok-jaeng were the methods people who felt chagrin sent their message directly to the king and executives. These methods gave us much important administrative meannings. Firstly, we have to succeed the spirit of the people oriented governing. Secondly, sang so was a good method any other than modern style opinnion representation methods.

      • KCI등재

        The Dispatch of Central Government Envoys (Pongmyŏng sasin) during Early Chosŏn

        Kim Soon-nam(김순남)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05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9 No.-

        조선초기 체찰사와 경차관, 어사 등 봉명사신의 파견은 이 시기 중앙집권적 통치체제를 구축하고자 하는 確固하고 强力한 노력을 기울이는 가운데에 이루어진 조치였다. 체찰사제는 왕과 직결되는 재상급 중앙 관료를 지방의 실제 현장으로 파견하여 국가중대사를 처결케 하였던 국정운영방식이었다. 또한 경차관은 당하 중앙관의 파견을 통하여 지방의 부세 징납 활동을 포함한 여러 실무를 담당케 하면서 관찰사를 보완하고 지방 수령을 감시하고자 고안된 존재였다. 어사는 지방 수령의 대민 활동을 실질적이고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불법 활동을 적발함으로써 그들을 경계하고 자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거두기 위해 고안된 방안이었다. 즉, 제찰사제의 운영과 경차관, 어사의 파견 등은 이 시기 중앙집권적 통치체제의 구축 의지와 관련하여 이루어진 양상으로서, 이러한 체제의 구축을 위한 노력의 선상에서 강구된 조치였던 것이다. 이러한 조선초기 봉명사신의 파견을 통하여 이 시기 도제가 확립되어 관찰사-수령을 중심으로 하는 행정질서가 체계화되는 가운데, 지방에 대한 통치력을 더욱 강화시키고, 정책 수행의 효율성을 제고시킴으로써 중앙집권적 통치체제를 훨씬 강력하게 구축할 수 있었다. 조선의 통치체제는 王을 권력의 정점으로 하여 그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구조였다. 이런 이유로 중앙과 지방의 주요관직이 모두 왕과 직접 연결되어 있었다. 체찰사나, 경차관, 어사는 『經國大典』에 등재된 공식적인 관직은 아니지만, 왕과 직결되어 그의 의지를 지방의 통치 현장에 실현하기 위한 존재였다. 이들의 존재는 이 시기 중앙에서 지방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기울인 적극성과 능동성의 일단을 확인시켜주는 충분한 의의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결국 조선초기의 국가적 발전은 이러한 체찰사제의 운영과 경차관, 어사 등의 파견을 통하여 크게 이루어질 수 있었다. 이 시기의 발전은 중앙의 宰相級 要職者와 그 실무를 담당한 당하관이 정규의 지방통치체제를 뛰어 넘어 언제나 군국중사의 지방 현장에 나아가 직접 현안을 처결하고, 그들이 국정을 이끄는 최고의 지위에 올라 높은 경륜을 펼치는 가운데 성취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이들 봉명사신의 파견은 조선초기 국가 통치체제와 관련하여 상당한 의미를 지닌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