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溫河衛의 세력확대와 조선의 대응

        박정민 만주학회 2019 만주연구 Vol.- No.28

        Wenhewei increased its clout after migratto the midstream regionof the Aprokgang River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jong. as a small villagea stable relationship with Joseon and Jianzhou Jurchen servas a bridge between the two forces, gradually As Joseon’s control over the Four Abolished Counties weakened, Wenhewei opportunity to expand its residence to this region. Joseon territory inside the Aprokgang River boundarysend military forces to ward off Wenhewei. Joseon and Wenhewei. By the time of King Myeongjong and King Seonjo, Wenhewei beyond the territory of the Four Abolished Counties, inroads into areas includManpo, Ganggye, as well as Samsu, Gapsan, and Hyesan in Hamgyeongdo Province. urgenJoseon government to change its policy on Wenhewei, collect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mand manage them accordingly. 온하위는 성종 중반기에 압록강 중상류 일대에 이주한 뒤, 성장한 세력이다. 처음에는 작은 부락에서 시작했지만, 조선과 건주여진의 가교 역할을 하며 안정적인 관계를 구축한 뒤 점차 세력을 확대하였다. 마침 조선에서 폐사군에 대한 관리가 소홀해지자 이 기회를 이용한 온하위인은 점차 폐사군 지역으로 거주지를 확장하였다. 조선은 압록강 안쪽의 영토를 포기한 것은 아니었으므로, 체탐하거나 군대를 보내 이들을 내쫓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와 같은 공방전으로 조선과 온하위는 점차 서로에 대한 반감이 쌓여갔다. 명종‧선조대에 이르면 이들은 폐사군을 벗어나 만포와 강계, 함경도의 삼수, 갑산, 혜산 등지를 공격하며 침략의 범위를 확장시켰다. 더 이상 이들은 조선에서 관리할 수 있는 세력이 아니었다. 이제 조선에서는 온하위에 대한 기존의 정책을 변경하고, 이들에 대한 정확한 정보 파악과 관리의 필요성을 절감하였다.

      • KCI등재

        藥泉 南九萬의 北邊 上疏와 廢四郡 · 厚州鎭 설치 논의

        이규철(Lee, Kyu-Chul) 한국인물사연구회 2016 한국인물사연구 Vol.26 No.-

        Yakcheon Nam Gu-Man was evaluated as a vassal representing the seventeenth century. Though the academic concern on Nam Gu-Man had increased, the study about his northern policy was not accomplished.Nam Gu-Man suggested a variety of opinions relevant to the operation of Northern Area during the period of King Hyeong Jong & Suk Jong’s reign. The most impressive one out of his insistencewas to request the establishment of the Four Abolished Gun & Hoo Joo Jin. At that time,the Joseon Royal Court did not accept both the two Abolished Gun & Hoo Joo Jin. However, They came to establish more than three new military camps at the relevant area. Above all, it is confirmed that Nam Gu-Man’s appeal to northern frontier served as a momentum of discussing the operation of Joseon’s northern frontier & the recovery of Four Abolished Gun & Hoo Joo Jin Area. His opinion had been always referred in the process of discussion related to the re-establishment of the Abolished Gun & Hoo Joo Jin Area until 18th century as well as during the period of Suk Jong’s reign. Therefore, we need to investigate his northern policy & awareness of territory for the purpose of deeply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idea which the person, Nam Gu-Man had.

      • KCI등재

        19세기 압록강 유역의 환경과 개발

        김선민 ( Kim Seonmin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7 사총 Vol.91 No.-

        건국 초기부터 청 황실은 압록강 유역을 포함하여 만주 일대에서 생산되는 인삼·초피·진주 등 동북의 자연자원을 독점적으로 장악하고 이를 통해 만주족의 특권을 보호하기 위해 청 황실은 한인의 만주 출입을 통제했다. 만주의 자연자원을 얻으려는 사람들의 욕망을 봉금이라는 국가정책으로 통제하려 했던 것이다. 19세기에 이르러 인삼·초피·진주가 황실 주도의 지속적인 채취로 고갈된 후 사람들의 갈망의 대상은 오랫동안 비워져 있었던 만주의 비옥한 토지와 풍부한 삼림으로 바뀌었다. 토지와 목재가 인삼과 초피를 대신하여 만주의 핵심적인 자연자원이 될 무렵, 청 황실의 권위는 이미 약화되었고 더 이상 강력한 봉금을 강제할 힘이 없었다. 만주의 자연자원에 대한 한인의 갈망과 만주족 특권의 약화가 결합하면서 만주 일대에서 불법적인 토지 개간과 벌목이 만연하게 되었다. 19세기 말에 이르러 청 정부는 압록강 유역에 확산된 한인의 이주와 개간이 이미 돌이킬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음을 확인하고, 마침내 봉금을 해제하고 관청을 설치하여 세금을 징수하기로 했다. 만주의 자연자원을 새로운 방식으로 이용하고자 했던 이주민들이 국가를 압박하여 봉금을 해제하고 移民實邊을 추진하게 했던 것이다. 봉금이 해제되기 전부터 압록강 유역에서 개간과 벌목은 계속 확산되고 있었다. 불법개간과 벌목을 막기 위해 청은 단속을 강화하고 조선과 공동 수색을 정례화하는 등 봉금지를 지키기 위한 노력을 계속했다. 그러나 한인 유민의 이주와 개간이 확대되자 청 정부는 결국 봉금을 해제하고 압록강 유역의 거주민을 합법화하기로 결정했다. 한편 압록강 상류의 남쪽에 위치한 조선의 폐사군에도 이주민의 유입이 계속 확대되면서 조선 정부에서도 북방을 개발해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었다. 압록강 북안에 거주하는 청인이 증가하자 이들을 방어하기 위한 목적에서도 조선의 북방 개발은 필요했다. 한인의 이주와 개발의 압력에 밀려 청이 압록강 유역의 봉금을 해제한 것과 같은 시기에 조선 역시 폐사군을 복설함으로써 양국이 수백년간 유지해온 완충지대는 마침내 사라졌다. 국가에 의해 강제되어 온 봉금이 해제되자 압록강 유역의 자연자원을 둘러싼 사람들의 경쟁은 더욱 격화되었다. 특히 이 지역의 풍부한 삼림자원을 통해 이익을 얻고자 하는 벌목업자들은 국가의 단속에 반발하며 스스로 무장집단으로 발전해갔다. 이 과정에서 청인 벌목업자들이 조선인 이주민과 합세하여 조선의 관청을 습격하는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기도 했다. 이러한 사건은 19세기 말 압록강 유역에서는 자연과 인간, 그리고 국가의 상호작용이 청과 조선의 경계를 넘어 복잡하게 전개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벌목과 개간의 확대는 만주의 자연환경을 인식하고 이용하는 방식이 19세기에 이르러 만주족의 방식에서 한인의 방식으로 변화했음을 나타낸다. The Qing court imposed restrictions on Manchuria and the Yalu River region for the purpose of monopolizing profits from natural resources -ginseng, sable, and pearls- and protecting Manchu privileges from the Han Chinese majority. By the nineteenth century, however, ginseng, sable, and pearls became scarce due to centuries of “imperial foraging.” The depletion of natural resources in Manchuria corresponded with the influx of Han Chinese farmers in the restricted margins of the empire. From the nineteenth century onward, the Qing prohibition on civilian settlements in the northeast gradually broke down; the growing number of Chinese immigrants effectively invalidated the state`s restrictions. By the late nineteenth century when illegal land clearance and timber logging became widespread in the Yalu River region, the Qing court decided to lift the nominal principle of restrictions and legalize the presence of the immigrants. Concurrent to the Qing court`s authorization of settlements and development north of the Yalu River, the Choson court was also forced to address the issue of increasing numbers of settlers in the Four Closed Counties. For the Choson court, urgent development of the southern side of the Yalu River was necessary to defend Korean residents against increasing numbers of Chinese settler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iver. Under strong pressure from both sides of the Yalu River, the Qing and the Choson governments came to legalize settlements and development on both sides of the Yalu River. This paper explains the ways in which settlements and development in the Yalu River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led to intense competition for natural resources among local residents. Timber loggers, in particular, militarized themselves to protect their paths to mountain forests and resisted local Qing and Choson authorities who attempted to rein in their illegal activities. Most notably, Korean immigrants north of the river joined these armed Chinese timber loggers and raided local Choson offices when their encroachment on mountain forests in Choson territory was stopped. By pointing out these violent incidents caused by timber logging in the Yalu River region in the 1870s, this paper explains the interactions between nature and culture which took place across the Qing and Choson boundaries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 KCI등재

        명종~선조대 압록강 방면 여진족 집단들과 조선

        이재경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8 한국문화 Vol.0 No.83

        This article focused on the situation of the Jurchens on the Yalu river valley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Joseon dynasty from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r. 1545-1567) to the eve of Nurhaci’s unification of the Jianzhou Jurchens in 1589. Though the late 16th century was a very important period for consolidation of Jurchen society on the north of the Yalu River, previous studies could not properly deal with this period from Joseon’s perspective, primarily due to the lack of relevant sources in Joseon Wangjo Sillok. This study tried a new approach with a newly explored source, Manpojin Hojisanggeo Burakdaso yeo Rojeongchogi (滿浦鎭胡地相距部落多少與擄情抄記, c1588). In the late 16th century, Joseon dynasty continuously sought to expel the Jurchen people residing in the Four Abolished Counties (廢四郡) on the middle part of the Yalu River Valley. Although Joseon court refrained from taking specific measures on the Jurchen affairs during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local officials kept trying to solve the problem by inducing the Jurchens to leave and intimidating them with reconnaissance missions. After King Seonjo (r. 1567-1608) took the throne, the central government enthusiastically tackled the matter, with help of capable commanders on the local ground. Though Joseon dynasty failed to drive all the Jurchens out from the south of the Yalu River, it successfully expelled a troublesome Jurchen group from Seohaepyeong (西海坪) area with constant military measures such as taking crops away before harvest.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Manpojin Hojisanggeo Burakdaso yeo Rojeongchogi, there resided more than 550 Jurchen households in 16 villages along the middle and upper Yalu River in the 1580s. While some groups in the Four Abolished Counties had military conflicts with Joseon from time to time, most villages in and out of the river maintained ordinary contact with Joseon military bases such as Manpo garrison (滿浦鎭) when they were not at war with Joseon. Also, several groups of the Jianzhou Jurchen north of the river visited Manpo quite regularly. Many Jurchens annually visited Manpo to receive welcoming banquets and buy necessary goods such as salt. Frequent contacts between Manpo garrison and the Jurchen villages suggest that Joseon’s relationship with the Jurchen groups in the Yalu River regions was not cut off in the 16th century and that Joseon local officials continued to collect information on them from their everyday contact with Jurchen visitors. In a broader perspective, Joseon’s approach to the Jurchen problem basically didn’t change from the 15th century: Stick and carrot strategy and ideological legitimation of its superiority. On the one hand, Joseon tried to drive them out from the Four Abolished Counties with use of military force. On the other hand, however, Joseon appeased the Jurchen groups along the Yalu River with banquets and markets on its frontier strongholds such as Manpo. Furthermore, Joseon regarded visits of Jurchens as their “submission” (歸順) to strengthen its ideological superiority over the Jurchen tribes. However, there was a great transformation in Joseon’s approach to the Jurchen tribes in the Yalu River region. In the 16th century, the purpose of Joseon’s Jurchen policy changed from enhancing its influence across its border to maintaining the status quo on its northwestern frontier. With the Jianzhou Jurchen divided, Joseon dynasty had no need to actively interfere in Jurchen society. Naturally, local officials held more sway in Jurchen policy as the central government reduced its engagement in everyday events on the border. Planning and executing military operations, as well as receiving Jurchens who visited border bases, became primarily the duty of local officials. In this regard, there was a shift in Joseon’s relations to the Jurchens from a “foreign policy” to a “frontier policy”.

      • KCI등재

        조선 中宗代의 북방 野人 驅逐

        김순남 조선시대사학회 2010 朝鮮時代史學報 Vol.54 No.-

        This study deals with the military operations conducted in 1524 (19th year of King Jungjong) to push the Jurchens, who had invaded the Yeoyeon and Muchang areas, back over the border with Joseon. The Jurchens’ invasion and occupation of the Yeoyeon and Muchang areas, which had consisted of inhabited forest land ever since the abolishment of the four garrisons(sagun) in 1459(5th year of King Sejo), had the effect of setting off within the Joseon government concerns about the reemergence of crises such as the Japanese Disturbance in Sampo(Sampo waeran of 1510 (5th year of King Jungjong). After numerous discussions over a span of several years, Joseon decided to forge ahead with its plan to drive the barbarians out of its territory. However, the results of this military operation were rather inconclusive, as barbarians continued to cross over and even take up residence in these areas. It was amidst such circumstances that clashes between the Joseon military and barbarians became commonplace. In 1528 (23rd year of King Jungjong), the governor(cheomsa) of the Manpo region that served as the gate way to the northern area was killed by Jurchens. Having become increasing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dispatching military of ficials to the area, the Joseon government strengthen edits defense system along the northern border, and even began to make plans to conquer the Jurchen areas. Based on a focus on the establishment of the military strategy of controlling the Jurchens, this study seeks to reveal the actual features of the northern policy in place during the reign of King Jungjong. First, the situation in the relevant areas after the abolishment of the four garrisons is examined, as is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Jurchens began to take up residence in the areas. Next, an analysis of the discussions within the Joseon government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military operations, as well as of the actual military operations that ended with the driving out of the Jurchens who resided in the Yeoyeon and Muchang areas, is carried out. Finally, an examination of the policy of the Joseon government in this area after the Jurchens had been driven out is also attempted. The examination of these actions points to the proactive stance adopted by the Joseon government in terms of the preservation of a part of its territory that had all but been ignored since the abolishment of the four garrisons. In addition, such an analysis also confirms the fact that the traditional national management style, under which the northern policy was regarded as an important national policy that should be led by minister-level defense specialists, was also in effect during the reign of King Jungjong. 이 연구는 1524년(중종 19)에 조선의 여연ㆍ무창 지역으로 들어온 야인들을 조선의 경계 밖으로 내쫓았던 군사작전에 관한 것이다. 1459년(세조 5) 4군이 모두 폐지된 이후, 인민이 거주하지 않는 울창한 삼림이 되어버린 여연ㆍ무창의 안팎으로 야인들이 들어와 거주하자, 조선 정부는 1510년(중종 5)의 삼포왜란과 같은 환란이 북방에서도 발생할까 우려했다. 결국 수년간 수차례에 걸친 논의 끝에 야인들을 조선의 영토 밖으로 쫓아내었다. 이 군사작전의 성과는 괄목할 만한 것은 아니었다. 구축 이후에도 야인들은 해당 지역으로 들어와 살기를 계속했고, 조선 군사와 야인은 무력으로 충돌했다. 그러한 과정에서 1528년(중종 23) 북방의 문호인 만포의 첨사가 야인에게 살해되기까지 했다. 이후 조선정부는 武臣 邊將의 중요성을 절감하고, 변방의 방어를 강화했으며, 심지어 야인 정벌을 도모하기도 했다. 이 연구에서는 야인 驅逐을 통해 중종대 북방 정책의 실상을 밝혀내고자 한다. 이에 먼저 사군이 모두 폐지된 이후의 해당 지역 상황과 그 지역에 야인들이 거주하게 된 경위를 살피고, 다음으로 폐사군중 특히 여연ㆍ무창으로 들어와 거주했던 야인들을 쫓아내는 군사작전을 결의하는 조선 정부의 논의 과정과 실제로 작전이 단행되었던 추이를 알아보며, 마지막으로 야인들을 쫓아낸 이후의 조선 정부의 대응 양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군이 철폐된 이후 방치되었던 조선의 영토를 보존하고자 했던 조선 정부의 능동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북방대책을 국가의 중대사로 여겨 재상급 국방 전문가들이 주도했었던 종래 국정운영의 양상이 중종대에도 적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成海應의 西北 邊界 意識

        강석화 진단학회 2012 진단학보 Vol.- No.115

        Seong Hae Eung was one of the famous scholars of Chines classics in the 19th century. He wrote many scripts about the Sino-Joseon North-Western Frontier which shows his historical and territorial consciousness. He had an idea about the invasion of Liadung and Beijing to expel the Jurchens from Chinese territory and recover the Ming dynasty. His thought was based on the justice which was manifested at the book 『Jonjuhuipyeon』made by he and his father Seong Dae Jung. To stabilize the livelihood of ordinary locals of the Pyeongan and Hamkyeong Provinces, he insisted that the powerful wealth local persons conspired with the powerful persons of national politics should be restrained. His idea for the local military nobilities was the establishment of the extra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to give the official ranks to the locals who skilled in the military arts and get their loyalty. He also proposed the plan of the reclamation and migration of the border regions nearby the Yalu River to protect and drive out the Qing's hunters or ginseng diggers. He emphasized that Joseon should occupy the Liasdung to the west and recover the Sunchunryeong Pass to the north east. He tried to collect the materials which concerned about the history of Jurchens, the relationship of Joseon and Jurchens, the scouting records about the border regions, and the process of discussion to investigate, develop and recover the Pyeosagun(the abolshed four counties of the Pyeongan Province). And we can get the informations about the Sino-Joseon North-Western Frontier in the 18th century from his collections. 19세기 전반기 경학 사상을 대표하는 인물 중 하나인 硏經齋 成海應(1760〜1839)은 경학 뿐 아니라 역사의식과 영토관념을 반영한 서북 변경지대에 대한 많은 글을 남겼다. 그는 정조에서 순조대에 걸쳐 완성된 『존주휘편』의 존주대의론에 입각하여 요동 정벌과 연경 침공을 통한 청 세력 축출과 명 황조 복원을 구상하였다. 그는 중앙의 세도가나 지방 수령과 결탁하여 자신들의 사적인 이익을 취하는 토호 부민들을 통제해야 민생을 안정시킬 수 있다고 보았으며 서북 지역에 行臺를 두어 지방의 무사들을 선발하고 우대하여 인사 적체와 불만을 해소하려 하였다. 아울러 압록강 중상류 지역에 개간과 주민 거주를 허용하며 행정구역을 복구하여 폐사군 지역을 확고히 장악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는 이같이 서북 지역 정비가 이루어지면 압록강과 두만강을 넘어 서쪽으로 요동을 차지하고 동북쪽으로는 분계강 혹은 선춘령까지 장악해야 한다고 하였다. 서북지역에 대한 성해응의 관심은 해당 지역에 대한 자료의 충실한 수집과 정리로 이어져 여진의 유래 및 역사, 여진과 조선과의 관계, 폐사군 지역 개발 및 복구 등에 관련된 자료를 세심히 모았다. 서북지역에 관한 그의 글들은 19세기 전반기 해당 지역의 사정과 영토의식의 변화상을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들이다. 이와 같은 성해응의 서북변 인식에는 당시 지식인들의 서북 지역에 대한 역사 인식이 반영되어 있으며, 실제 진행되고 있던 서북지역 개발의 추이를 바탕으로 하는 것이었다.

      • KCI등재

        어촌 심언광의 북방 경험과 국방 개선안

        박도식(Park Doh-Sik) 한일관계사학회 2014 한일관계사연구 Vol.48 No.-

        조선의 서쪽에 있는 평안도는 서북쪽으로 압록강 건너 울창한 산림을 경계로 여진과 맞닿아 있었다. 평안도의 지리적 상황이 이러했으므로 압록강 건너의 여진은 태종 이후 주로 평안도의 江界등 이른바 7읍으로 침입해 왔다. 평안도 군사들은 거의 대부분 변경에서 방수했기 때문에 쉴 수 있는 날이 거의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 놓여 있던 평안도 군사의 고통을 더욱 가중시킨 것은 赴京使臣들을 迎送하는데 따른 폐단이었다. 이에 평안도 백성들은 군역을 피하기 위해 압록강 너머의 중국으로 도망가기도 하였고, 奴婢가 되거나 승려가 되기도 하였으며, 말단 관속인 衙前등 신분의 우열을 가릴 것 없이 좀더 편한 처지를 택하여 옮겨갔다. 어촌은 도첩으로 승려를 금하는 것은 말단적인 방법이므로 王政과 禮敎를 잘 시행하여 교화가 천하에 가득하면 불교는 절로 없어질 것이라고 하였고, 평안도 감영의 아전들은 도망하여 없어진 戶의 군역과 旅外正兵을 나누어 충당할 것을 건의하였다. 평안도 백성들은 군역 이외에도 貢物?進上物등의 조달과 노역이 심히 과중하였다. 어촌은 백성이 한 가지 공물이라도 바치지 못하면 뼈골까지 우려낸다고 하였고, 노역이 무거워 한 사람이 도망가면 그 피해가 한 가족에 미치고 한 가족이 도망가면 또 한 가족의 친족에까지 미치기 때문에 백성들이 대부분 도망쳐 흩어졌다고 하였다. 당초 국가에서는 군사에게 諸부담을 담당할 수 있도록 保人을 배당하고 있었다. 그러나 국가의 토목?수리 공사의 일이 빈번해지는 가운데 보법실시 후 군액이 크게 늘어나 별도로 요역담당자를 찾기가 어렵게 되자 군사를 바로 요역에 동원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에 정병은 복무기간 중에도 일정한 代價를 납부하고 귀가하여 부족한 노동력을 보충하고자 하였는데, 이것이 ‘代立’이었다. 중종대에는 군역의 代立이 일반화되고 있었다. 어촌은 중종 31년(1536)평안도경변사로 파견되었다가 돌아와 중종을 인견하며 그가 목도한 평안도의 군사문제에 대해 개선할 것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약천 남구만의 국방론과 그 지향점

        신태영 ( Shin Tae Young ) 우리한문학회 2020 漢文學報 Vol.43 No.-

        주지하다시피 우리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치는 대륙과 해양을 잇는 架橋에 해당한다. 400여 년 전 해양(일본)과 대륙(청)의 침략을 받고 피폐해질 대로 피폐해진 조선은, 재발할지 모르는 전란에 대비하느라 고심하고 있었다. 그 당시 함경도 관찰사와 병조판서를 지낸 南九萬(1629~1711)은 조선의 국방 정책에 심대한 기여를 하였다. 이러한 공적으로 『조선왕조실록』에서는 남구만을 당대 최고의 병조판서로 극찬하였다. 이에 본고는 남구만의 국방론을 다음 네 가지 코드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은 남구만의 문학 연구와 작가 의식 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본고는 그의 국방론을 기회가 주어졌을 때 미리미리 대비해서 스스로 강해지자는 ‘有備無患’의 자강론, 실체를 갖추면서도 그 소문이 나지 않도록 준비해야 한다는 ‘有實無聲’의 현실적인 전략, 무용한 제도나 정책 등을 과감하게 폐기하거나 개선해서 실제적인 효과를 기대한 ‘移無用爲有用’의 군정 혁신, 북방인을 차별하지 않고 공정하게 대하자는 ‘立賢無方’의 인재 등용 등 네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의 국방론의 지향점은 조선 古土의 회복이나 청에게 복수하기 위해 北伐을 하자는것이 아니었다. 조선의 현실을 감안할 때 이미 북벌은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그러므로 남구만은 오히려 함경도와 평안도 등 ‘북방 지역 백성의 안정된 삶’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그 지역을 적극적으로 개발하여 국방의 안전을 도모하는 현실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As it is known, Korea’s geopolitical lo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corresponds to a bridge between the continent and the ocean. More than 400 years ago, Joseon was struggling to prepare for the war that had been invaded by the ocean(Japan) and the continent(Qing Dynasty). At that time, Nam Gu-man(1629-1711), who served as the governor of Hamgyung-do and the minister of national defense, contributed greatly to the defense policy of the Joseon Dynasty. This Nam Gu-man is a symbol of the minister of defense guaranteed by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refore, this paper seeks to examine his defense theory through the following four codes. This work will also help to develop his literary research and literary consciousness. His defense theory is prepared ahead of time(yubimuhwan-jaganglon), a realistic strategy to prepare for the rumor that you have reality(a realistic strategy of yusilmuseong), military policy innovation that expects actual effects by discarding or improving useless systems and policies, people who want to treat people in Hamkyung-do fairly without discrimination, and so on the study was divided into four parts. His aim of defense theory was not to restore the old age of Joseon or to avenge Qing. Considering the reality of Joseon, it was already impossible to punish the North. Therefore, Namguman made ‘steady life of the people in the northern region’ a top priority, such as Hamgyeong-do and Pyeongan-do. It was intended to present realistic measures for the safety of national defense by actively developing the area.

      • KCI등재

        溫河衛의 성립과 조선과의 관계 - 성종~연산군대를 중심으로 -

        박정민 육군군사연구소 2017 군사연구 Vol.- No.143

        Wenhewei used to be a part of Korkhan Udike who settled around the lower Tumen River, but pressed by Nimaca Udike during the early years of King Seongjong's reign. And they migrated near the midstream of the Yalu River. There Wenhewei turned the tension between Joseon and Jianzhou Jurchen into their advantage. Men like Kimjuseongga built rapport with Joseon b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latest moves of Jianzhou Jurchen, and later helped negoti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by working as a bridge. Based on these efforts, Wenhewei received assistance from Joseon during the last years of King Seongjong, and forged a favorable relationship with Joseon. In the early years of King Yeonsangun's reign, parts of Wenhewei invaded the Samsu region, risking a conflict with Joseon. Joseon resolved this problem by using Kimjuseongga. Wenhewei bridged the relationship between Jianzhou Jurchen and Joseon in mediating conflicts. Particularly they reestablished an amicable relationship with Joseon by repatriating Aisan and Hansechung who conducted an act of treachery against Joseon. Wenhewei provided information to Joseon and Jianzhou Jurchen on each other, and mediated in negotiation when the two countries' relationship deteriorated. This is akin to what Daemado Island did between Joseon and Japan around the same time. By doing so, Wenhewei could grow and expand, pursuing economic gains such as assistance from Joseon. 온하위는 원래 두만강 하류에 거주하던 골간올적합의 일부였으나, 성종 초년 니마차올적합의 압박으로 압록강 중류로 이주하였다. 이곳에서 온하위는 당시 조선과 건주여진의 갈등을 자신에게 유리한 기회로 승화시켰다. 김주성가 등은 조선에 건주여진의 동향을 알려 신뢰를 쌓았고, 이후 건주여진과 조선의 가교 역할을 하며 양자의 교섭을 중재하였다. 이러한 특수성을 바탕으로 온하위는 성종 말년에 이르러 조선에 내조할 기회를 얻으며 조선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다. 연산군대 초반 온하위의 일부가 삼수 지역을 침입하며 조선과의 관계가 악화될 위기를 겪었다. 이때 조선은 김주성가를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온하위는 건주여진과 조선의 분쟁을 조정하기 위한 가교 역할을 하였다. 특히, 이들은 조선을 배신한 아이산과 한세충을 쇄환해 오며 조선과 우호적인 관계를 재구축하였다. 이처럼 온하위는 조선과 건주여진 사이에서 양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한편, 양자의 사이가 악화될 경우 교섭을 중재하였다. 이것은 동 시기 대마도가 조선과 일본 사이에서 행하였던 역할과 유사한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온하위는 이러한 역할을 통해 조선으로부터 내조와 같은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며 성장할 기회를 맞이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