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특별논문(特別論文) : 강유의(康有爲)의 서예(書藝) 창작미학사상(創作美學思想)에 관한 고찰(考察)

        김영배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韓國思想과 文化 Vol.61 No.-

        康有爲는 중국 근대사에서 가장 대표적인 變法維新운동가이자 개혁사상가이며, 아울러 뛰어난 문장가이자 서예가였다. 특히 그는 서예이론과 실기에 능통하여 일찍이 『廣藝舟雙楫』을 저술했는데, 이 책은 淸代를 대표하는 書論으로 오늘에 이르기까지 서예학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帖學의 단점을 의식하고 서단의 대변혁은 오직 새롭게 변화된 글씨를 쓰는 것이라고 생각한 강유위는 帖에서 碑로 옮겨서 공부해야만이 변화된 새로운 글씨를 쓸 수 있다고 생각하여 비학을 통해서 첩학을 밀어내고자 하였다. 즉 그때까지 서단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던 趙孟부·董其昌의 帖學 위주의 서풍을 변화시켜 비학이 갖는 拙樸하고 雄强한 미를 통해 서예에 새로운 생명력을 불어넣고자 하였다. 이런 점을 『광예주쌍즙』에서 밝히고 있다. 강유위의 『廣藝舟雙楫』은 包世臣의 『藝舟雙楫』을 이어받았다. 강유위는 철저하게 碑學派의 입장을 체계적이고 상세하게 漢代로부터 唐대까지의 비문을 거론하여 그들 비문의 특징 및 비문간의 관계나 변화의 방향을 규명하여 비평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강유위는 『廣藝舟雙楫』을 지어 淸代의 碑學 중에서 홀시된 碑文의 서예가치·역사적인 가치와 학술가치의 넓은 의의를 개발하였다. 이것은 尊碑思想으로 나타났다. 강유위는 비학이론에서 精·熟·通의 서예미학사상을 충분하게 표현하여 精·熟·通의 서예미학사상을 아주 중시하였다. 이러한 서예미학 관념은 청나라 말기에 碑學을 숭상하는 풍조가 절정에 도달하게 하였다. 특히 강유위의 ``강체`` 형성 큰 영향을 주었다. 아울러 강유위는 집필방법을 상세히 분석하여 包世臣의 指로써 運筆해야 한다는 說을 부정하고 側意取姸을 비평하면서 四指爭力설을 제기하고 包世臣의 五指齊力說의 단점을 지적하였다. 이것은 그것이 옳고 그른 것을 떠나 새로운 運筆法을 제시 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康有爲就寫了一篇≪廣藝舟雙楫≫, 想把政治上失敗的改革之意, 通過書法美學理論來實現當時書壇的改革, 倂且把書法放在書法與政治的相互關系中去, 讓人重新理解書法。 本論文闡述康有爲≪廣藝舟雙楫≫上的書法美學創作思想。 康有爲在古與今的關系上主張"托古改制", 倂展開了金石學爲主的碑學美學思想與"尊碑輕帖"的思想。 倂在書法創作理論方面, 主張了經過精、熟、通的階段性發展創作書法, 而且, 在實質性的潑墨揮毫方面闡述"四指爭力"理論, 從而創造出陽剛之美的康有爲自己書體"新體"卽"康體"。 當然, 康有爲所謂的"康體"旣有現有書法家的影響, 也有來自"碑"等各種書體的影響。 卽與他學習宋朝蘇軾、米비、黃庭堅與元代趙孟부的行書有着直接的聯系, 在學習這些原有書體的基礎上賦予自己的創造精神完成了"康體"。 康有爲"康體"的特征在于"體方而用圓"的"體方用圓"上。 他雖然强調以"方"爲主的"剛", 但同時适當地采用"圓", 從而體現出"康體"的渾融美. ≪廣藝舟雙楫≫中有許多對碑文的評价, 相對于帖學的陰柔美, 康有爲更强調"碑"的陽剛美, 這種陽剛美體現爲"雄强茂密"的陽剛美、"骨血峻宕"的生命美、"雄奇安靜"的渾融美。 康有爲之所以喜歡陽剛美, 是因爲其中附有具有生命美的悸動和充滿活力的美麗。 康有爲暗地里將現有書法潮流之一的以帖學爲主的書法的溫和整潔但柔美而无力的現象聯系于政治上沒有大國力量之擧。 爲此, 將需要從政治上變化的理論适用于書法之中, 倂推崇陽剛美的"碑", 這種書法美學的産物就是≪廣藝舟雙楫≫。

      • KCI등재

        晦峯 河謙鎭의 經學 -康有爲論語注序條辨을 분석을 중심으로-

        함영대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22 大東漢文學 Vol.73 No.-

        Hoebong Ha Gyeom-jin (1870~1946), the author of Dongyuhakan that outlined the traditional academics in a type of study scheme, a descriptive method of traditional academic history of Asia studied under the tutelage of Myeonwoo Gwak Jong-seok (1846~1919) to succeed the academic line of Janju Academic Faction. This article is a review of the Gyeonghak (Chinese Classics) perspective with the focus around the analysis of 「Kang Yu-wi Noneojuseojobyeon」 that was written in 1934 when he was 65 years of age. Noneoju (Anno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of Kang Yu-wi, the subject of criticism, was an attempt of new annotation on ‘Saseo (Four Books of Chinese Classics)’ of Confucianism under the tradition of Geummun Gyeonghak in early 20th century. In this aspect, this refutation for each category on Noneoju of Kang Yu-wi could be understood as to demonstrate the academic position and level of Joseon’s renowned Confucianism scholar of 65 years old who has already solidify his academic position of his time. On the other hand, In 1934, a Confucius scholar of Joseon who was passing by the core of Japanese colonial period had the criticism on the writings of China’s Geummun Gyeonghak scholars that seemed as an attempt to correspond to its time in a way of taking a profound look at how to view to advance the insight on its time of 20th century as well as studies on Confucianism. Looking into the criticism of Ha Gyeom-jin, he refuted the assertion of 「Noneojuseo」 of Kang Yu-wi with the courteous theory of Confucianism principles for each category. He criticized the texts based on Kang Yu-wi and defended the scholarship of Jeungja, and sharply criticized the principle of Daedong that was advocated by Kang Yu-wi. The theory that was most aggressively facilitated in such a criticism was the Confucian orthodoxy. It was also penetrating in another writing, Dongyuhakan . Under the desperate situation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straightening up the collapsing tradition was approached as the inevitable premises and the restoration of Dotong was to restore the collapsing Confucianism principle as the true and genuine system once again. However, this type of route for such perspective is to overcome the chaotic status of the time and ultimately progress into the Daedong community by overlooking the implication of time passing for academic contemplation of Kang Yu-wi. Ha Gyeom-jin purely and firmly kept the position of traditional Confucianism scholarship and he had the response on the changing image of the time, but it is called for more criticizing perspective on the outcome and its implication. 우리의 전통 학술을 동양의 정통적인 학술사 서술방식인 學案의 형태로 정리한 동유학안 의 저자, 회봉 하겸진(1870~1946)은 면우 곽종석(1846 ~1919)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한주학파의 학맥을 계승한 학자이다. 이글은 65세가 되는 1934년에 집필된 「康有爲論語注序條辨」의 분석을 중심으로 그의 경학인식의 일단을 검토한 것이다. 그 비판 대상이 된 강유위의 논어주 는 20세기 초 금문경학의 전통 위에서 유교의 ‘四書’에 대해 새로운 주석을 시도한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 강유위의 논어주 에 대한 조목별 변파는 이미 자신의 학문적 입장을 확고하게 굳힌 65세의 노성한 조선 성리학자의 학문적 입장과 수준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1934년 일제강점기의 한 가운데를 지나는 조선 유학자가 나름 시대에 조응하려는 시도로 보여지는 중국 금문경학자의 저술에 대한 비판을 통해 20세기라는 시대에 대해, 또 유학에 대해 어떠한 시각을 견지하고 있었는지를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계기가 될 수 있다. 하겸진의 비판을 살펴보면 그는 정중한 성리학의 논리로 강유위의 <論語注序>의 주장을 조목별로 반박했다. 강유위가 근거한 텍스트 자체를 비판하기도 하고, 증자의 학문을 옹호하기도 하며, 강유위가 주장한 大同의 논리를 매섭게 비난하기도 했다. 그러한 비판에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한 논리는 道統論이었다. 이는 자신의 또 다른 저서인 동유학안 을 관통하는 것이기도 하다. 일제강점기라는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 무너져 가는 전통을 바로 세우는 일이 당면한 과제로 다가왔을 것인데 곧 그에게 도통의 회복은 무너져 가는 진리 체계인 성리학을 다시 일으켜 세우는 일이었다. 다만 이러한 인식의 경로는 당대의 혼란상을 극복하고 궁극적으로 대동사회로 진전하고자 하는 강유위의 학문적 구상이 지니는 시대적 의미를 간과한 것이다. 하겸진은 전통적인 성리학의 입장을 순정한 방식으로 굳게 지킨 것인데 이는 당대의 변화상에 대한 나름의 대응이었지만 그 성과와 반향에는 좀 더 성찰적인 인식이 요청된다.

      • KCI등재후보

        康有爲『廣藝舟雙楫』의 碑學的 基盤

        김영배(Kim Young-bae) 한국서예학회 2009 서예학연구 Vol.15 No.-

        중국서예사를 일별할 때 남과 북의 차이점을 흔히 南帖北碑라는 말을 한다. 남첩의 중심에 왕희지가 있다면 북비가 융성하게 되는 데는 강유위가 있었다.강유위는 청나라 말기 ‘戊戌變法’이라 불리는 정치 개혁을 시도했지만 실패하자 남은 생애를 비학 연구와 서예창작에 몰두 한다. 명대까지는 ‘첩학’이 위주였지만청대가 되면서 금석학이 발달함과 맞물려 포세신은『예주쌍즙』을 저술한다. 강유위는 포세신의 예주쌍즙의 기본 사유를 이어받고 ‘정치와 서예는 비슷하다’는 입장에서『광예주쌍즙』을 저술한다.『광예주쌍즙』에서는 ‘變은 하늘의 이치이다’.라고 해서 ‘變’을 강조한다. 서체도 세월이 지나면 변한다는 것을 말한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이 책은 강유위의 정치 이상인 ‘變法自疆’을 서예학적으로 置換한 것이라고 수 있다. 청나라 말기 光緖15년(1989) 강유위의『광예주쌍즙』이 출판 되자 비학파의 서예이론은 큰 세력을 얻게 된다. 강유위는 청나라 서예의 발전 과정을 종합적으로 총결 하였고, 포세신과 마찬가지로 帖을 낮추고 碑를 높인다. 『광예주쌍즙』은 각종 비각의 원류와 변천, 풍격의 특징, 소장과 임서 및 기법 경험 등을 조리가 분명하게 논증하였기 때문에 비학이론을 집대성한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청대 이전에는 ‘첩학’을 중시 했지만 ‘첩’은 청대에 와서는 여러 번의 復刻으로 인해 진본을 볼 수가 없어져 진본에 가까운 ‘碑’를 중시하게 된다. 강유위는 북비의 웅장하면서도 기이하고 강건하며, 樸拙하고 渾厚한 풍격미가 있는 씩씩하고아름다운 것을 중시 하였다. 그는 특히 六朝體의 아름다움을 10가지로 설명하면서‘碑’를 높인다. 이처럼 북비가 왜 아름다운지 하는 것을 10가지 아름다움을 들어말하듯이『광예주쌍즙』에 의해 전개된 청나라의 비학 존중 사유는 二王을 중심으로 내려 온 면모를 일시에 바꾸어버리게 된다. 청나라 중엽부터 서예가들은 전에생소했던 北碑로부터 문아하고 귀족적인 첩학에서 보지 못했던 새로운 형식 기교와 심미 세계를 발견했다. 거칠고 질박하여 서민적 정취와 자연미가 있는 비학서예는 섬약한 첩학에서 벗어날 길을 찾고 있었던 서예가들에게 출로와 創新의 토대를 제공해 주었다. 이것은 강유위가 북비에 대한 풍부한 심미 세계와 서예본질의대한 깊이 고찰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할 수 있다 When taking a glimpse of the history of Chinese calligraphy, it is often said as Namcheobbukbi/South Book North Tomb stone when speaking about difference between South & North. If there is Wang Xizhi in the center of Namcheob/South Book script, there is Kangyouwei in the center of Bukbi/North Tomb stone script. Kangyouwei had attempted political reform called as ‘Musulbyeonbeob/Change laws in the year of Musul’ at the end period of Qing Dynasty but he had failed and he had indulged in researches on Bihak/Study of Tomb stone calligraphy scripts and creation of calligraphy during his remaining life. Until Ming Dynasty, ‘Ceobhak/Study of calligraphy in books’ was the main stream but when it changed to Qing Dynasty, Poseshin published 『Yejussangjeub』together with development of epigraphy. Kangyouwei had taken over the basic idea ofYejussangjeub of Poseshin and he published 『Kangyejussangjeub』in a position that ‘politics is similar to calligraphy.’ In『Kangyejussangjeub,』 'Byeon/Change' was emphasized by saying ‘Byeon/Change is the principle of the heaven.’ I means that styles of calligraphy are changing throughout elapse of time. In this sense, this book can be said that 'Byeonbeobjagang/Become strong through changes of laws,’ which was an ideal of Kangyouwei, was converted into calligraphy. When 『Kangyejussangjeub』of Kangyouwei was published in the 15th year of reign of Gwangseo at the end of Qing Dynasty (1989), the theory of section of Bihak/Science of Tomb stone calligraphy scripts became to gain big power. Kangyouwei had summarized the processes of development of calligraphy of Qing Dynasty comprehensively and just like Poseshin, he had upgraded Bi/Tomb stone calligraphy script while downgrading Cheob/Calligraphy in books. It is not exaggeration that 『Kangyejussangjeub』is compilation into one book of the theories of Bihak/Science of Tomb stone calligraphy script since 『Kangyejussangjeub』 had clearly verified origination and changes of various Tomb stone carvings, characteristics of quality of dignity, possession and Imseo/Coping as well as experiences of techniques. ‘Chenhak/Science of calligraphy in books’ was regarded important before Qing Dynasty but ‘Cheob/Books’ ecame almost hard to find original scripts due to numerous copying during Qing Dynasty and therefore,'Bi/Tomb stone,' which were more similar to original scripts became more important. Kangyouwei had considered grandiose, grotesque, strong, small & rough, warm, brave and beautiful dignity of Bukbi/North tomb stone as important. In particular, he had explained the beauty of the style of Yukjo in ten kinds and had upgraded ‘Bi/Tomb stone calligraphy scripts.’ Like this, why Bukbi/North tomb stone calligraphy scripts were beautiful were explained by listing ten beauties, reasons for respecting Bihak during Qing Dynasty, which was deployed by 『Kangyejussangjeub,』 had changed aspects inherited centering on Eewang/King Ee just in one time. From the middle period of Qing Dynasty, calligraphers had discovered graceful and noble new style techniques and the aesthetic world, which were not found in Cheobhak/Science of calligraphy scripts in books, from Bukbi/North tomb stone calligraphy scripts. Bihak calligraphy, which is rough but has emotion of common people and the natural beauty, had provided the foundation of exits and new creation for calligraphers who tried to find ways to get out of weak Cheobhak/Science of calligraphy scripts in books. It is believed that it was possible because Kangyouwei had examined about abundant aesthetic world of Bukbi/North tomb calligrapht script and profound review about substance of calligraphy.

      • KCI등재
      • KCI등재

        공자(孔子)의 유교(儒敎) 창립(創立)에 관한 강유위(康有爲)의 관점 - 강유위(康有爲)의 『공자개제고(孔子改制考)』를 중심으로

        金東敏 ( Kim Dong Min ) 한국유교학회 2013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1 No.-

        “공자는 유교를 창립한 교주인가? 아니면 단순히 유교의 계승자이자 전달자인가?” 이 물음에 대한 답은 결코 간단하지 않다. 왜냐하면 대답에 따라 중국 고대 사상사에서의 공자의 지위, 육경(六經)의 저술자, 그리고 공자와 유교의 관계 등에 대한 해석이 판이하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도통(道統)의 계보에서 공자는 단순한 유교의 계승자이자 중간 전달자이다. 캉유웨이(康有爲)는 기존의 전통적인 계승 관계를 전면적으로 부정하고, 유교의 역사와 공자의 지위에 대해 독창적인 접근법을 시도하였고, 그것을 체계적으로 논증한 책이 바로 『공자개제고』이다. 이 책에서는 유교를 공자가 새롭게 창립한 고대 제도와 문화의 총체로, 육경을 공자의 작품으로 규정한다. 나아가 공자를 유교의 교주로서 유교 제도를 제정하고 개혁을 주도한 소왕(素王)이라고 주장함으로써 유교와 공자에 대한 독특한 시각을 드러내고 있다. 그는 이러한 주장은 유교와 공자의 위상을 재정립하고 유교의 생명력을 강화하는 데 매우 큰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캉유웨이에 의해 해석된 공자와 유교는 기존의 유교적 전통이나 역사에 대한 변질이나 단절이 아니라, 시대에 맞게 변용하는 유교의 역할과 방향성을 잘 제시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Is Confucius a religious leader establishing Confucianism or simply a successor and a messenger of it?” The answer is not simple at all since, depending on answers, interpretations on position of Confucius, the writer of Six Confucian Classics (六經) and correlation between Confucius and establishment of Confucianism can differ. In genealogy of general Dotong (道統), Confucius is simply a successor and a messenger of Confucianism. Kang Yuwei (康有爲) totally denied the existing, traditional relation in succession and attempted created approach to history of Confucianism and position of Confucius, which was systematically demonstrated on the book Gongjagaejego (孔子改制考). This book defined that Confucianism was newly established by Confucius and that the book was the summation of ancient institution and culture and considered Six Confucian Classics as Confucius’ works. Furthermore, it argued that Confucius, as the religious leader for Confucianism, was qualified enough to be a king (素王) who led institutional reform based on Confucianism, which revealed his unique perspective on Confucianism and Confucius. These arguments can be considered to play a great role in reestablishing status of Confucianism and Confucius and strengthening the life of Confucianism. Therefore, Confucius and Confucianism interpreted by Kang Yuwei is not deterioration or discontinuity in existing Confucian traditions or history. Instead, it can be assessed to well suggest role and directivity of Confucianism that has been modified in tune with the times.

      • KCI등재

        『孔子改制考』를 통해본 캉유웨이(康有爲)의 上古史 인식

        김동민 동양철학연구회 2012 東洋哲學硏究 Vol.72 No.-

        Confucius as a Reformer (孔子改制考)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books of Kang Yu Wei (康有爲). The main theme of it is focused on Confucius's building-up of Confucianism and the establishment of Chinese civilization. Before investigating into the topic, Kang Yu Wei tried to link Confucius to the civilization and history of the ancient times of China. Poor records of those times in fact could be fully led to the uncertainty of the very existence of the legendary Kings of Yo(堯)⋅Sun(舜) and splendid culture at that time and the advent of some dynasty as well. Thanks to Confucius, however, now we believe their appearance in the Chinese history. That is to say, Confucius himself made the new religious order of Confucianism by bringing existing various culture and civilization and referred to good and wise kings including Yo and Sun as the founders of his Confucianism theory to extend the religion's influence, regarding Confucianism is fundamentally originated from those ancient times. As Confucius worked for establishing the doctrine of Confucianism, he is believed as the originator of the ancient Chinese civilization and his religious dogma has naturally a firm position as a central theory that explains Chinese civilization. Such approach to the ancient times of China is very meaningful from the academic perspective, first, it is served as a theoretical basis for Kang Yu Wei's working on innovation and Western-style modernization movement, and second, it plays a critical role in paradigm-shift of the study of the ancient history of China. It accordingly could be useful for the future research of the thought of Kang Yu Wei or discourse by the China's modern academic community. 『공자개제고(孔子改制考)』는 캉유웨이(康有爲)의 대표적인 저서 중의 하나이다. 이 책은 공자의 유교 창립과 중화 문명의 건설이라는 주제를 주요한 내용으로 다루고 있다. 캉유웨이는 이 주제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상고시대(上古時代)의 역사와 문명을 공자(孔子)와 관계지우는 작업을 먼저 시도하였다. 상고시대에 대한 기록이 불확실하기 때문에 당시에 출현했던 왕조와 찬란한 문명, 그리고 요(堯)⋅순(舜)으로 대표되는 성왕(聖王)들은 그 존재 자체를 의심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역사와 문명이 후대에 전해진 것은 모두 공자의 탁고(託古) 때문이다. 즉 공자가 다양한 문화와 제도를 새롭게 만들어 유교라는 하나의 새로운 교단을 만들었고, 그 교단의 권위를 높이고 교세를 확장하기 위해 유교 이론의 발생 시점을 상고시대로 두고, 요⋅순과 같은 성군을 유교 이론의 창시자로 가탁한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 속에서 공자는 중국 고대 문명의 창시자가 되고, 유교의 교설은 곧 중화 문명의 핵심 이론으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고사에 대한 접근 방법은 첫째, 캉유웨이의 개혁과 변법 운동의 이론적 토대가 되었다는 점, 둘째, 중국 근대 상고사 연구의 페러다임 전환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는 점 등에서 학술사적 측면에서 매우 큰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향후 캉유웨이의 사상이나 중국 근대 학술계의 담론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캉유웨이(康有爲)를 통해 본 공감 정치 -『공자개제고(孔子改制考)』를 중심으로-*

        이영란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3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5 No.2

        Empathy Politics Seen Through Kang Youwei -Focusing on Kongzigaizhikao (孔子改制考)- Youngran Lee Abstract: Based on Aaron Beck’s (Beck, Aaron T) ‘Automatic Thought Cognitive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ges through which Kang Youwei’s change in thinking brought about empathic politics. According to the content classification of a total of 21 volumes of Confucius and Reformation, Kang Yuwei’s reform direction was combined with Aaron Baek's cognitive theory called A-FROG. The first, Alive, is the beginning of thinking that brings about change through the historical investigation of the uncertainty of appeals and the disciples' argument for institutional reform, which is the content of volumes 1 to 4. The second Feel, in Volumes 7 to 12, is a state of joy resulting from Confucius’ founding of Confucianism and institutional reform, and is a feeling of joy brought about by reform. The third Reality, Volumes 13 to 15, is the reality of reform due to the attack on Confucianism by the disciples. The fourth, Others, in volumes 16 to 18, is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through the coexistence of Confucianism and a hundred disciples, and Confucianism and Mohism. The fifth Goals, in volumes 19 to 21, is the goal and achievement of Kang Youwei’s transformation through the spread of Confucianism and unification of thought. Kang Youwei expressed his strong will by promoting Confucius, the founder of Confucianism, and justifying his reform through kongzigaizhikao (孔子改制考). His own automatic thinking was described in the book kongzigaizhikao (孔子改制考), and his goals and achievements were revealed in a step-by-step cognitive theory. Key Words: Aaron Beck, Cognitive Theory of Automatic Thinking, Kang Yuwei (康有爲), Kongzigaizhikao (孔子改制考), Empathy Politics 캉유웨이(康有爲)를 통해 본 공감 정치-『공자개제고(孔子改制考)』를 중심으로-* 이 영 란**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아론 벡(Beck, Aaron T)의 ‘자동적 사고 인지 이론’을 토대로 캉유웨이의 사고 변화가 어떠한 단계에 따라 공감 정치를 불러오게 하였는가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공자개제고』 총 21권의 내용 분류에 따라 캉유웨이의 개혁 방향을 아론 백의 A-FROG라는 인지 이론과 접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첫 번째 Alive는 제1권∼4권의 내용인 상고의 불확실성에 대한 고증과 제자백가의 제도 개혁 주장으로 변화를 가져오는 사고(思考)의 시작이다. 두 번째 Feel은 제7권∼12권에서는 공자의 유교 창립과 제도 개혁으로 인한 기쁨의 상태로 개혁이 가져다주는 기쁨의 느낌이다. 세 번째 Reality는 제13권∼15권으로 제자백가의 유교 공격으로 개혁의 현실이다. 네 번째 Others는 제16권∼18권으로 유가와 제자백가, 유가와 묵가의 공존으로 타인과의 관계이다. 다섯 번째 Goals는 제19권∼21권인 유교의 전파와 사상 통일로 캉유웨이의 변법이라는 목표와 성취이다. 결론 및 제언: 캉유웨이는 『공자개제고』를 통해 유교의 창립자인 공자를 추대하여 자신의 개혁 정당성을 펼치면서 강한 의지를 표명하였다. 그러한 자신의 자동적 사고가 바로 『공자개제고』라는 저서를 서술하면서 그의 목표와 성취의 모습이 단계적 인지 이론으로 나타났다. 핵심어: 아론 벡, 자동적 사고 인지 이론, 캉유웨이(康有爲), 공자개제고, 공감 정치 □ 접수일: 2023년 12월 14일, 수정일: 2023년 12월 28일, 게재확정일: 2023년 12월 28일* 이 논문 또는 저서는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분야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9S1A5A8033248). ** 조선대학교 기초교육대학 자유전공학부 부교수(Professor, Chosun Univ., Email: leeyingran@chosun.ac.kr)

      • KCI등재후보

        근대중국의 경학사조와 강유위, 장병린의 정치사상

        조성환(Jo Sung-Hwan)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9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근대 중국의 대표적인 경학가(經學家)이자 정치사상가인 강유위(康有爲)와 장병린(章炳麟)의 정치사상을 이들의 경학사상과 연관하여 분석한다. 경학(經學)은 중국 사상사의 중요한 특성을 이루며 후한(後漢) 이래 중국의 경학은 금문경학(今文經學)과 고문경학(古文經學)으로 분파하게 된다. 금문과 고문간의 경학적 논쟁과 관학적 위상의 경쟁은 이천년 중국 학술사적 논쟁과 정치적 선택을 분화시켰고 근대중국에서도 이 경쟁은 치열했다. 1890년대 말 변법자강운동은 강유위(康有爲)가 재활(再活)시킨 금문경학의 개혁사상에 영향을 받았다. 한편, 20세기 초 혁명파의 배만(排滿)혁명이론은 고문ㆍ한학(漢學)의 대가 장병린의 민족주의사상으로부터 연원했다. 즉 근대경학사상은 근대중국의 개혁 및 혁명운동에 사상적 영향을 주었던 것이다. 그들은 안으로 사회ㆍ경제적 질서의 쇠퇴, 밖으로 제국주의 열강의 침탈에 의해 역사의 구조적 위기에 직면한 근대 중국에 전통 경학의 근대적 해석을 통해 현실 역사의 위기 극복을 위한 사상적 근거를 마련하려했다는 것이다. 강유위와 장병린은 서로 다른 경학적, 정치적 입장을 지녔으나 이들의 사유와 실천은 지식사회학적 패턴은 유사성을 지녔다. 즉 강유위나 장병린은 당대의 정치사회적 문제의식을 기존질서의 변화(개량, 혁명)에 두었고 이를 정당화시키는 사상적 근거는 전통경학을 재해석하여 구성하였다. 이들은 정치사상이 근대적 문제의식이었다는 측면에서 근대적 정치사상의 선구였다. 그러나 이들이 표현하고 구성한 담론체계는 전통경학의 재해석이라는 맥락에서 보면 이들은 전통사상의 마지막 세대에 속하는 것이다. 강유위와 장병린은 개량과 혁명의 정치적 선택은 달랐지만 지식사회학적으로 보아 양인은 공히 경학적 정치사상가로 분류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양인의 경학적 정치사상은 중국근대정치사상의 대단히 중요한 지식사회학적 특성을 이룬다. This study examines political thoughts of Kang You-wei and Zhang Bing-lin in relations to the Text scholarship, Jingxue. The Text scholarship, which was divided into the New(jinwen) and the Old(guwen) from the period of West Han dynasty, shows a special quality of chinese philosophy and political thoughts. In the long tradition of chinese intellectual history, it offers the orthodoxy to philosophy as well as the authority to politics(statecraft, jingshi). Therefore, intellectual debates and political competitions between the two intellectual groups have continued to exist until the modern era. In modern China, Kang You-wei revived the New Text scholarship for the purpose of political reform and constitutionalism, while Zhang Bing-lin reinterpreted the Old Text scholarship in order to mobilize the chinese national revolution against the Qing dynasty. They were not only disputing within intellectual tradition of the Text scholarship, but also competing in political actions between political reforms and national revolution. Despite their intellectual and political rivalries, they belonged to the last generation of chinese classical thinkers who used traditional Text scholarship in building modem political thoughts of consitutional reform or national revolution. Their ideas displayed transitional thoughts, which was constituted in dual levels of intellectual and political worlds.

      • KCI등재

        공자(孔子)의 탁고개제(託古改制)에 대한 고찰 -강유위(康有爲) 『공자개제고(孔子改制考)』 의 관점을 중심으로

        김동민 ( Dong Min Ki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3 大東文化硏究 Vol.83 No.-

        본 논문은『孔子改制考』의 핵심 내용인 공자의 託古改制의 의미와 구조에 대해 고찰한 글이다. 이를 통해 탁고개제라는 개념에 대한 명확한 이해는 물론, 공자의 탁고개제가 차지하는 유교에서의 의미를 밝히는 것을 주요한 목적으로 한다. 탁고개제 이론은 康有爲 사상 체계 전반에 대한 이해는 물론, 중국 근대의 변법 운동을 주도했던 康有爲 개혁사상의 이론적 토대를 파악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康有爲는 고대 사상사의 큰 축을 형성하고 있던 유교의 사상과 제도 등을 ‘탁고개제’라는 방법론으로 체계적인 접근과 분석을 시도하였다. 유교의 성립과 전개라는 커다란 구조 속에서 보면, 공자의 탁고개제는 그 출발점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공자의 탁고개제가 없었다면 유교의 형성과 제자백가와의 사상 투쟁, 유교 사상과 제도의 확산과 전파, 유교에 의한 사상 통일 등의 과정으로 전개된 유교 발전의 전체 구조가 성립될 수 없었을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康有爲 사상 체계 자체에 접근하는 중요한 근거 자료가 될 뿐만 아니라, 康有爲 개혁 사상의 이론적 토대를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다. This thesis analyzes the meaning and structure of Confucius` Tuogugaizhi (託古改制), the core content of Kongzigaizhikao (孔子改制考). Through this study, it is mainly intended to clarify significance in history of ideas that Confucius and Tuogugaizhi in Confucianism have as well as to seek clear understanding on the concept of Tuogugaizhi. The Tuogugaizhi theory is not only an important concept to understand the system of Kang Yuwei`s (康有 爲) thought overall but an important concept to grasp theoretical foundation for reform thought of Kang Yuwei who led the Reform Movement in modern China. Kang Yuwei attempted systematic approach and analyses to Confucian ideas and systems around which ancient history of ideas revolved with the methodology of ‘Tuogugaizhi.’ From a broader structure of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Confucianism, Confucius` Tuogugaizhi can be considered its starting point. Without Confucius` Tuogugaizhi, it would be unrealizable to establish the entire structure for development of Confucianism which progressed with formation of Confucianism, ideological struggles with Hundred Schools, diffusion and propagation of Confucian ideas and systems, the unification of thought by Confucianism, etc. Therefore, this article could provide important clues to understand ancient Chinese thoughts and systems in general including Confucianism.

      • KCI등재

        諸子百家의 성립과 분류에 관한 康有爲 『孔子改制考』의 접근법

        김동민 동양철학연구회 2013 東洋哲學硏究 Vol.73 No.-

        This thesis is to attempt to understand Hundred Schools (諸子百家) in the Chinese Warring States period (春秋戰國時代). Kang Yu wei (康有爲) argued in Confucius as a Reformer (孔子改制考) that it was a general tendency of the time for Hundred Schools to implement Takgogaeje (託古改制, reforming the system by depending on the past) by establishing new schools. Unlike an existing method for classifying Hundred Schools by their similarity, therefore, he tried classifying Hundred Schools with the standard of Takgogaeje, a unique system imposed by each school. Through process to establish schools with forming explanation and teaching → reforming the system → Takgogaeje, Hundred Schools in the Chinese Warring States period gradually reinforced exactitude and systemicity of their arguments and theories. They also constructed their positions as an independent school by interacting with each other through both conflicts and harmony with other schools. Eventually, several schools representing Hundred Schools distinguished themselves through the three stages and dominated the world of thought. This approach is unique in that it has not been attempted in existing studies on Hundred Schools. This provides a new possibility to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Hundred Schools and will also serve as a useful reference in the field of history of thought in ancient China. 본 논문은 제자백가의 성립과 분류에 대한 캉유웨이(康有爲)의 기본적인 관점과 접근법을 밝힌 글이다. 캉유웨이는 『공자개제고(孔子改制考)』 속에서 제자백가들이 새로운 학파를 창립하여 탁고개제를 실시한 것은 당시의 일반적인 추세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그는 제자백가를 비슷한 유형별로 분류한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탁고개제’라는 기준, 즉 각 학파가 내세운 일종의 독창적인 제도와 가탁한 대상을 기준으로 제자백가의 분류를 시도하였다. 춘추전국시대의 제자백가들은 교설창립→제도개혁→탁고개제의 순서로 진행되는 학파의 확립 과정에서, 주장과 이론의 정밀성과 체계성을 점진적으로 강화하였고, 다른 학파와의 투쟁과 조화를 통해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점차 하나의 독립된 학파로서의 위치를 구축하였다. 결국 세 단계의 과정을 거치면서 제자백가를 대표하는 몇몇 학파가 두각을 나타나면서 사상계를 지배하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접근 방법은 기존의 제자백가 연구에서는 시도되지 않았던 독특한 방법으로, 제자백가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혀줄 뿐만 아니라, 고대 중국사상사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접근의 가능성을 제공해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