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V起來”動趨結構中身體部位賓語的位置問題

        廉竹鈞(Lian Zhujun) 중국어문학연구회 2022 중국어문학논집 Vol.- No.136

        This paper discusses the positioning of body part nouns when they appear with a “V+qilai(起來)”verb-tendency construction as an object. There are two possible sequences for them, one is “V+起+O+來” and the other is “把+O+V+起來”. First, we analysed why the“V+起來”construction and body part objects cannot take the sequence of “V+起來+O”. Body part nouns have low categoriality, which means they are not autonomous, discourse-salient entities in a discourse in general.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structure rules, if the position of a sentence element is near the end of the sentence, there is a higher possibility for the sentence element to have new and important information. However, the low-categoriality of body part nouns makes it inappropriate to appear at the end of the sentence. Then, based on linguistic data, we analysed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selection between “V+起+O+來” and “把+O+V+起來” , and arrived at the following conclusions: There are several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factors that influence speakers to choose between “V+起+O+來” and “把+O+V+起來”. On the syntactic level, since the adverb “dou(都)” means “all” or “even”, the adverb “ye(也)” which means “even” can only be related to a sentence element on the left side of them. If these two words are related to the body part object, then only the “把+O+V+起來” sequence is possible because it is only through this sequence that the body part object can be lifted to the left of them. On the semantic level, if the body part object is highly related to the V, then the “V+起+O+來” sequence is preferred. When two elements have a close semantic relationship, they tend to appear together in high frequency. It is a common phenomenon in languages where zero or short coding is preferred for those meanings and functions occurring more frequently, while for those occurring rarely, overt, and long coding is preferred. On the pragmatic level, because of the Economical Principle of Language, the rules of information structure, and the Principle of Head Proximity, speakers will prefer to choose the “把+O+V+起來” sequence. Aside from the factors mentioned above, due to a trend of the “把+O+V+起來” sequence being used more often in the verb/adjective-tendency construction, speakers will choose this sequence even if there are no obvious syntactic, semantic, or pragmatic factors.

      • 왕권제례로서 기설제

        임장혁(ImJangHyeok)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14 江原民俗學 Vol.28 No.-

        사계절이 뚜렷하고 농경문화를 기저로 형성된 한국문화에서 기설제를 지냈다는 옛 문헌기록을 보면 생소한 느낌이 든다. 기우제를 지낸 기록은 고대부터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농사의 풍흉이 적절한 강우량에 의해 좌우되기에 당연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농사의 휴한기에 눈이 내리기를 기원하는 기설제를 지냈다는 기록에 주목된다. 국가적 행사로 지내는 기설제는 왕이 친행 또는 섭행으로 행하여, 제장(祭場)은 명산대천 · 사직 · 종묘 등이 대표적이다. 수신제로서 산이나 강에서 지내는 제례는 고대부터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기 위한 것으로 풍경에 따라 멀리서 보이는 큰 산이 보다 영험이 있는 산으로 여겨 명산대천에서 기설제나 기우제를 지냈다. 왕이 계신 도읍지는 오방에서 중앙으로 목멱이나 삼각산에서 기설제를 지냈다. 국가행사로서 기설제의 배경에는 곡령신앙이나 왕권신화에서 왕조의 기원신화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수신으로부터 형통을 계승한 왕은 종묘에서 수신제와 풍요를 기원은 왕조신화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고려부터 문헌에 기록된 기설제에 관한 내용은 아주 간단하여 실제의 절차나 구조 등을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기록을 중심으로 국가행사로 행한 기설제의 목적과 제장(祭場), 제신(諸神)을 중심으로 변화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왕권에 의해 행하는 기설제는 농경기술의 변화에 의해 그 목적이 어떻게 변하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Korea has clear four seasons and culture that are based on agriculture. Therefore, it feels strange when we find the record that Korean people held the ritual for snow. The record of ritual for rain can be found from acient time easily. It is natural phenomena because crops condition depends on the proper rainfall. However, the record of holdding rituals for snow in Fallow field is paying attention. The rituals for snow as a national ceremony were conducted by the king himself or his substitute. Daechon specialties, resignation, seedling are the places where the rituals were conducted. A ritual for water God held in a moutain or a river, is for bumper crops. In this ceremony, people thought big mountain that placed far away has more power. That is the reason people hold ritual for snow or rain in famous montain and big river. The capital that the King lived, is placed in the middle of the five direction. The Kingdom held the rituals for snow in Mokmyeoksan or samgaksan. As a national event, the background of the ritual for snow is related to rice spirit fath or origin of kingdom in the kingdom myth. Wang inherited the prosperity from the receipt has been my wish for prosperity and the dynastic myth received from nurseries in the background However, the ritual for snow in the record from the Goryo period is very simple. Therefore, it is not enough to process and structure of rituals. This study will cover the changing process of the purpose, place, and God of the ritual for snow that was conducted as a national ceremony based on literature record. Especially, this study will focus on how the ritual for snow, which was conducted by the king, and purpose changed by agriculture skill’s development.

      • KCI등재

        한국 ‘기‘(氣) 사상가들의 사회변혁 참여와 민중신학

        김은규 한국종교교육학회 2022 宗敎敎育學硏究 Vol.70 No.-

        연구 목적 본 논문은 민중신학의 연구는 대부분 그 뿌리를 동학혁명까지 소급하여 사회개혁 과 연결 지었으나, 본 연구는 고대 신라시대까지 기의 역사를 소급하여 한국사상사에서 ‘기’ (氣) 사상의 뿌리와 줄기를 세우고 그 접촉점을 찾으려는 연구이다. 연구 내용 한국사상사에서 ‘기’(氣) 사상은 자연과 우주 변화의 물질적 기초를 표현하는 의 미로 사회변혁의 기제로 천 오백 여년 넘게 생존해왔음을 살펴보면서, 민중신학의 뿌리와 줄 기로 연결 짓고자 한다.본 연구에서 살펴본 한국사상사에서 기 사상가들은 자연과학적이고 합 리적인 사고로 리의 부패한 지배권력들에 의해 농민, 노비 민중들을 억압하고 수탈하는 현실 을 대변하고 참여하다 배제되고 유배되는 고초를 겪어 왔다. 그러다가 조선 후기의 실학자들 은 기 사상을 바탕으로 국방, 교육, 과학, 토지, 노예, 과거제도 등 사회 경제 전반에 걸쳐 민 본, 민권 개혁을 주장하여 한국 역사의 중심이 될 수 있었다. 이것은 민중신학이 독재정권에 맞서 노동자, 농민 등 민중들을 위해 인권운동과 사회개혁 운동에 참여.실천하였다는 공통점 이 있기에 기의 개혁사상과 대화를 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본다. 결론 본 연구는 한국의 기 사상가, 실학자들은 지(학문)와 행(실천)을 통해 리에 의해 지배이 념으로 녹아든 세계관, 도덕 가치관의 지배이념을 타파하고, 불합리한 모순들을 타파하고 실 용적인 사회로 개혁하려 했음을 밝혔다. 바로 이것은 구약의 예언자들의 정의와 인권사상과 민중들과 함께 한 예수를 밝혀낸 민중신학자들의 사상과도 일치한다는 점에서 대화의 확장성 을 가질 것이다.

      • KCI등재

        高麗~朝鮮 前期 기와의 조달 양상

        鄭治泳(Chong Chi Yong) 중부고고학회 2006 고고학 Vol.5 No.2

        기와는 내화성, 내수성, 장식성을 갖추고 있는 목조 건축의 지붕부재이다. 전통사회에서 기와집은 개인적 권력과 사회적 안정의 상징물로 여겨져 왔다. 기와는 특히 고려와 조선시대 건물지 유적에서 큰 비율을 점하는 유물로 그 중요성이 매우 높은 중세고고학의 연구 대상이다. 중세고고학은 특히 문헌사료의 활용 및 역사학과의 교류가 매우 중시되는데, 기와 연구도 예외가 아니다. 고려와 조선 전기 기와의 조달은 官窯와 私窯를 두 축으로 하여 이루어졌다. 고려시대 중앙 官需品은 六窯 내지 諸窯와 같은 官窯와 瓦所의 공납을 통하여 조달되었으며 조선시대에도 東西窯(瓦署)를 두어 충당하였다. 私的 수요품은 官窯 생산품의 판매나 私窯를 통하여 충당되었는데, 조선 전기에는 別瓦窯(別瓦署)를 두어 평민에게 기와를 공급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기와 생산체제를 바탕으로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도성의 모든 가옥을 기와집으로 바꾸려는 정책을 시도하는 등 기와 생산부문이 활기를 띠어가는 양상도 확인된다. 기와의 확보는 수요처의 자체생산, 매입 또는 주문 제작, 재활용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재활용은 私家, 寺刹, 官廳 등 다양한 성격의 건물을 대상으로 한 사례들이 확인된다. 이와 같은 기와의 조달 과정에서 瓦匠, 燔瓦木 그리고 운송 문제는 기와의 생산 및 공급과 관련된 사회적 맥락을 파악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건들이다. Rooftiles are one of the remains that occupies higher proportion out of the material objects excavated from the mdieval sites. And they are very important object of the medieval archaeology that requires broad knowledge on historical document history. During Goryeo and the Early Joseon Dynasty, there were two kind of rooftile kilns. One is managed by government for governmental constructions, and the other is by non-government, Rooftiles manufactured by Wa-So(瓦所) are also tributed to government in Goryeo Dynasty. Individuals acquired rooftiles from private or temple-managed industry. Some products from government-managed kilns are sold to people. Especially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there were rooftile kilns, Byeolwayo(別瓦窯) only for the commoners’ demand. The ways to get rooftiles were three patterns. One is to produce rooftiles directly, another is to perchase, and the other is to reuse. In historical literature we can find the cases of reusing the rooftile frequently, and they were exemplified in various fields of construction work such as private building, temple, administrative office, and so on. The remaining questions we have to pay attention are of tile layers, workmen, wood as fuel and transport.

      • 기문(己汶), 대사(帶沙) 지명 비정에 대한 일고찰

        홍성화 ( Sung Hwa Hong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4 사총 Vol.82 No.-

        고는 6세기 백제가 남부 가야 지역에 진출하는 상황에서 『日本書紀』 繼體紀에 등장하고 있는 己汶, 帶沙의 지명 비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백제가 진출했던 己汶, 帶沙 지역은 백제와 가야와의 분쟁지라는 점에 있어서 이들 지역을 어디로 비정하는가에 따라 6세기 당시 백제의 판도 및 한반도 남부 정황과 관련하여 전반적인 인식을 달리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주제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현재 己汶, 帶沙 지역에 대해서는 帶沙를 섬진강 하류로 보고 己汶을 남원, 임실 등 섬진강 주변에 비정하고 있는 통설에 대해 己汶을 開寧으로 보는 낙동강 유역설도 있는 등 논란이 있는 상황이다. 본고의 연구 결과, 己汶, 帶沙 지역을 音相似와 더불어 사료에 등장하는 지리적 위치 및 지형적 조건 등을 함께 아울러 고찰하게 되면 낙동강 중류 지역으로 볼 수 있게 된다. 특히 『三國史記』 地理志에 나오는 ‘多斯只縣’은 현재 대구 달성군 다사면의 낙동강과 금호강이 합류하는 일대로 이 지역에 남아 있는 죽곡동산성의 지리적인 위치를 통해 帶沙 지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己汶의 경우도 죽곡동산성을 통해 낙동강 상류로 올라가는 지역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新撰姓氏錄』에서 己汶이 任那의 東北에 있고 新羅와 相爭하는 위치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김천 開寧의 甘文國 일대를 중심으로 해서 감천과 낙동강이 만나고 있는 선산의 낙산동고분군까지 포함하는 지역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state place names, Kimun (己汶) and Daesa (帶沙) and analyze relationship of Baekje (百濟) and Kaya (加耶) in 6th century. Meanwhile, the most of historical academic circle asserted that Kimun (己汶) and Daesa (帶沙), boundary of Baekje (百濟) and Kaya (加耶), were Sumjin-river (蟾津江) area and Kimun (己汶) was Namwon (南原), Daesa (帶沙) was Hadong (河東). But, this study philological and historical geography showed that location of Kimun (己汶) and Daesa (帶沙) was Nakdong-river (洛東江) area. That is, this analyzed Kimun (己汶) and Daesa (帶沙) were region of Kaeryung (開寧), Sunsan (善山) and Dasa (多斯) in Daegu (大邱) respectively. Therefore, we could understand that after Baekje (百濟) occupied Kimun (己汶) and Daesa (帶沙) of Nakdong-river (洛東江) area, oppressed Kaya (加耶) in the early 6th century.

      • 기지시줄다리기 활성화를 위해고려해야 할 사항과 과제

        허용호 국립무형유산원 2017 무형유산 Vol.- No.3

        Gijisi Juldarigi is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It is also listed representative UNESCO's intangibleculture heritage of humanity. And it is core performance of representative festival at Dangjin-siProvince too. This three aspects can be good for future of Gijisi Juldarigi. But I have consciousness onthe matter that Complex presence of Gijisi Juldarigi can act as a handicap on it's transmission. Thisresearch starts right here. The inspection began with context which Gijisi Juldarigi located on. I investigated how threeaspects above define Gijisi Juldarigi. First, as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Gijisi Juldarigi shouldconsider archetype of keeping. Gijisi Juldarigi should consider that it isolated attempts for internalelaboration and the essential technic and artistic ability being passed down separately. Second, asUNESCO's intangible culture heritage of humanity Gijisi Juldarigi should consider the emphasis ontransmission community, guard against pursuit of commercial interests and decontextualizationthrough festival, Coping with change and subsequent tasks after listing. Third, as core perfomance ofrepresentative festival at Dangjin-si Gijisi Juldarigi should consider clash between festive orientationand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orientation. Next I proposed what Gijisi Juldarigi needed for vitalization. I set up four key note that should benoted. Transmission object, transmission subject, transmission space and folk festival are. In case of transmission object, the essential technic and artistic ability namely archetype needs tobe established. A switch to flexible discussion on archetype can be needed. In case of transmission subject developing appropriate training regulations for Juldarigi is needed. Conversion of local community transmission, constitution and role sharing of new festivalizationorganization, establishment of management system for joint registration subject and related laws arerequired too. In case of transmission space, memory device about old-transmission space has been proposedand cultural space associated with transmission should be closely related to the life of the community. In case of folk festival, I brught up a problem such as premise(status as national intangible heritageand UNESCO's intangible culture heritage of humanity), holding cycle(traditional considerationfor holding a leap year), the orientation of festival(A place verifying the solidarity and identity ofthe community) and the subject of festival(Organizational reconfiguration for the planning part,performing Juldarigi and responsibility for surrounding events). 기지시줄다리기는 국가무형문화재이다. 동시에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으로 등재된 종목이다. 또한 당진 지역 대표적인 축제의 핵심 연행이기도 하다. 이러한 기지시줄다리기의 존재 양상은 그 미래를 밝게 전망하도록 만든다. 하지만 필자는 기지시줄다리기의 복합적 존재 양상이 그 전승의 장애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문제의식을 갖고 있다. 이 글은 바로 여기서 출발한다. 필자의 문제의식은 기지시줄다리기의 현 존재를 규정하는 몇 가지 핵심 문제들을 검토하는 것으로 구체화된다. 기지시줄다리기 전승의 미래를 염두에 두면서, 짚고 넘어가야 할 몇 가지 사항들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진 것이다. 필자의 논의는 먼저 기지시줄다리기의 활성화를 위해 우리가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점검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기지시줄다리기가 존재하고 있는 문맥에 대한 점검이 그것이다. 구체적으로 국가무형문화재,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지역 축제의 핵심 연행 등에서 기지시줄다리기를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를 필자는 살폈다. 기지시줄다리기의 명예이자 장점이라 하는 것들이 혹 기지시줄다리기 전승의 제약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기지시줄다리기를 규정하는 여러 상황들이 서로 모순을 이루고 있지 않은지 등이 여기서 검토된 것이다. 이러한 필자의 논의는 그동안 우리가 무비판적으로 전제해 놓고, 관련 논의를 하지 않았던 경향에 대한 반성에서 비롯된 것이다. 전제된 상황 혹은 문맥에 대한 무비판적 태도를 넘어서서 능동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이 논의의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현재의 존재 양상을 염두에 두고 짚어보아야 할 사항들을 점검하는 논의에 이어서, 기지시줄다리기의 전승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것들에 대한 제안이 이루어졌다. 여기서 필자는 기지시줄다리기 전승에서 주목해야 할 핵심적인 것으로 전승 대상, 전승 주체, 전승 공간, 민속축제 등을 설정했다. 전승 대상의 측면에서 기지시줄다리기, 전승 주체의 측면에서 전승 공동체, 전승 공간의 측면에서 기지시줄다리기 관련 문화 공간, 연행과 전승의 구현틀 측면에서 민속축제 등을 설정한 것이다. 그리고 이와 관련된 필자의 생각을 밝혔다. 필자의 연구는 기지시줄다리기 전승에 있어 세 가지 심화된 연구 과제를 제안하는 것으로 맺어졌다. 그 제안은 국가무형문화재로서의 기지시줄다리기 자체에 대한 과제에서부터,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이라는 측면에서 이루어져야 할 과제를 거쳐, 그리고 현 기지시줄다리기 전승의 핵심 공간인 기지시줄다리기박물관과 관련된 과제까지 걸쳐 있다.

      • KCI등재

        조선후기산문(朝鮮後期散文)에서의 기(奇) -이용휴산문(李用休散文)을 중심으로-

        김경 ( Kyung Kim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民族文化硏究 Vol.58 No.-

        18세기에 이르러 특히 산문에서 사용된 奇의 개념과 범주는 그 이전 시기에 비해 훨씬 다양하고 중의적인 양상을 보인다. 이는 明末淸初중국 산문에 대한 세부적 논의가 그 배경이 되었다. 이에 따라 이 시기에 나타난 奇는 문학비평에서 전시대에 비해 상당한 빈도수를 보이고 더 폭넓은 의미를 내포하게 되었다. 奇는 의미의 다양성으로 인해 함께 사용하는 글자에 따라 의미를 달리하는 경우가 많으며, 함께 사용하는 글자를 강조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奇의 구체적함의는 마땅히 실제 작품의 문맥에 따라 살펴보아야 한다. 이에 奇로 대변될 수있는 작가들의 실제 작품을 통해 奇를 유추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18세의 문단의 흐름을 읽어낼 수가 있을 것이다. 兪晩柱(1755~1788)와 丁若鏞(1762~1836)은 18세기 문인들 중 기이한 작가로 李用休(1708~1782)를 꼽았다. 그렇다면 유만주와 정약용이 이용휴의 글에 대해 奇하다고 평한 것은 이용휴의 실제 작품에서 어떠한 부분을 말하는 것인가? 또한 그가 추구한 奇는 무엇인가? 이러한 의미를 분명히 한다면, 18세기 奇의 함의에 보다 근접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奇의 기본 함의와 특징을 밝히고, 18세기 문인들의 奇에 대한 인식을 거론하며, 奇다운 면모를 보이는 이용휴의 실제작품을 통해서 당대 산문에서 奇의 함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용휴는 ‘奇’가 가진 중의적 함의를 실제 글쓰기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가 보여준 奇는 우선 특이한 발상으로 주제구현에 있어서 독특성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서술에 있어서는 기존 古文과 다르지 않는 평이한 면모를 보인다. 이는 앞선 주제 구현방식과 서로 이질적인 측면으로 드러나 그의 奇다운 면모를 더욱 부각시키는데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용휴의 奇는 서술방식에서 기존 글쓰기를 충실히 따르지만, 주제구현방식에 있어 독특한 발상과 連用되면서 읽는 이들로 하여금 順易한 가독성을 통해 個別되는 이미지를 형상 및 확장하게 끔 한다. 이러한 면모는 당시 독자와 평자들에게 가장 奇다운 면모로 인식되었을 것이며, 평자에 따라 긍정적·부정적 인식을 보인다.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implication, category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Qi which was used as a critical concept in literature theo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 concept and category of Qi in the prose of the eighteenth century have more various and ambiguous aspects than those of the earlier period. This is a result of discussions about Chinese prose in the late Ming Dynasty and in the early Qing Dynasty. Therefore, compared to the ealier period, Qi in this period is frequently shown and contains broader meanings in a literary criticism. Due to the diversity of Qi`s meaning, it is often the case that Qi has different meanings depending on the context. In many cases, the texts are often emphasized. Therefore the specific meaning of Qi should be examined in the context of the actual work. Accordingly, Qi can be understood through writers` actual works, which provides the possibility of comprehending the discussions of literary circles in the eighteenth century. Yu Man Ju and Jeong Yak Yong explain Lee Yong Hyu as an eccentric writer among writers of 18th century. But what are the aspects of Lee Yong Hyu`s works that lead Yu and Jeong to argue that Lee`s writings are eccentric? And what is the Qi that he pursues? If this is clarified, it would be possible to have a closer approach to the meaning of Qi in the eighteenth century. For this purpose, this paper has the following order for analysis. First, it tries to understand the basic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s of Qi. Second, it discusses the perceptions of Qi among writers in the eighteenth century. Third, it attempt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Qi in prose through Lee`s actual works. Lee Yong Hyu utilizes the ambiguous implication of Qi in a most effective way. Lee Yong Hyu`s Qi shows a uniqueness in expressing the theme due to his eccentric ideas. However, the description shows that there is not a large difference compared to the existing earlier writings. This plays an interesting role in revealing the eccentric aspect of his writings. Although Lee Yong Hyu`s Qi follows the existing writing style in its description, the uniqueness in expressing the theme helps readers to visualize and enlarge unique images through an easy readability. Readers and critics at the time probably evaluated this aspect as the most eccentric one, and there were positive and negative evaluations depending on critics.

      • KCI등재

        ‘기추인(畸醜人)’을 통해 본 장자의 사유방식

        김희(金熙) 한국동양철학회 2006 동양철학 Vol.0 No.26

          본 논문은 ‘타자’에 대한 배타성을 부정하는 ‘관용적’ 태도를 장자철학의 주된 가치관으로 보고, 그의 철학에서 부각되고 있는 ‘기인(畸人)’이나 ‘추인(醜人)’과 같은 하층민의 삶을 세계에 대한 장자의 사유방식과 연관 지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필자는 ‘기인’이나 ‘추인’과 같은 하층민의 삶이 장자의 철학에서 주목받게 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나누어 고찰해 보았다. 첫째, 제한적이고 획일화된 지식과 가치들에 대한 장자의 비판의식을 통해 그가 해결하고자 했던 현실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둘째,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가 위해 장자가 제시한 ‘실상’에 대한 인식의 의미를 장자의 사유방식과 연관해서 살펴보았다. 셋째로, ‘실상’에 대한 인식이 새로운 인간형에 대한 인식으로 확장되는 측면을 ‘기인’이나 ‘추인’과 같은 하층민의 삶을 통해 살펴보았다.<BR>  장자철학의 특징은 개별 ‘물(物)’들이 지니는 고유한 가치가 인식 주체에 의해 훼손되거나 왜곡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드러나는 ‘실상’의 인식, 즉 ‘진지’의 인식에 있다. 또한 이것은 인식 주체에 의해 사유된 개별 ‘물’의 가치가 평등하게 구현되는 ‘만물평등사상’에 근거한 것이기도 하다. 더욱이 개별 ‘물’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 강조되는 장자의 철학에서 ‘기인’이나 ‘추인’과 같은 하층민에 대한 장자의 관심은 특별하다. 장자의 철학에서 부각되고 있는 ‘기인’이나 ‘추인’과 같은 하층민은 천한 선분의 인간형으로 이들은 편향적인 가치와 제한적인 지식에 의해 배제된 인간형이었다. 그러나 장자의 철학에서 그들은 온전한 생명과 삶을 누리는 인간으로 형상화된다. 장자의 역설은 바로 여기에 있다. 장자는 세인들이 참이라고 믿고 따르는 가치와 지식의 한계성을 배제의 대상인 ‘기인’이나 ‘추인’과 같은 하층민의 삶을 통해 역설적으로 드러낸다. 즉 장자는 개별 ‘물’들이 지니는 고유한 가치가 평등하게 발현될 수 있는 ‘도추(道樞)’와 ‘양행(兩行)’의 지혜를 ‘추인’이나 ‘포정’과 같은 하층민의 삶을 통해서 설명한다.<BR>  세계를 인식하는 장자의 태도는 관용적이다. 이와 같은 관용적 가치관은 ‘기인’이나 ‘추인’ 같은 하층민의 삶을 통해 드러난다. 비록 그들의 삶이 세인들이 믿고 따르는 지식과 가치들의 한계성으로 인해 배제되었지만, 그들의 삶은 충실하며 적극적이다. 삶에 대한 이들의 적극성은 인식의 차원에서 다시 한 번 더 반영된다. 장자의 철학에서 ‘물’에 대한 적극적인 사유방식은 ‘물’이 지니는 고유한 ‘결[사이]’을 인식하는 과정이다. 이것은 곧 ‘도’에 의해 구현된 ‘물’의 이치[天理]를 ‘진지’하는 것이며, 동시에 인식 주체인 ‘我’가 대상 세계인 ‘物’과 합일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장자의 철학에서 이와 같은 인식과정이 ‘기인’이나 ‘추인’과 같은 하층민의 삶을 통해서 드러난다는 점은 특징적이다.

      • KCI등재

        조선시대 문학관의 변화와 한국문학의 정체성(2) -기(氣) 위주 문학관을 중심으로-

        박경남 ( Park¸ Kyeong-nam ) 한국한문학회 2021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3

        본고는 문학관을 매개로 한국문학의 정체성 및 정체성 개념 그 자체를 다시 생각해 보고자 하는 두번째 기획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동아시아 전통적 문학관의 다기한 측면중 ‘氣를 중심으로 한 문학관’을 소개하고, 이를 통시적으로 살펴보았다. 기 위주 문학관 역시 중국의 문학 담론과 긴밀한 관계를 지니며 조선 문인들 개개인의 고민과 시대적 요청 속에서 새롭게 호명되고, 서로 경쟁하며 변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고려 중기부터 조선 전기까지는 선천적인 기를 중시하는 문기론과 유람과 독서를 통한 양기론이 각축했고, 이러한 각축은 서거정 단계에서 양기론을 긍정하는 것으로 귀결되었다. 이후 조선에서는 선천적인 기를 중시하는 담론은 논의의 중심에서 사라지고, 유람을 통한 양기론과 경전 독서를 통한 양기론이 공존하며 점차 강화되어 갔다. 또한, 독서를 통한 의기 함양 담론은 유가 성리학 경전에 국한되지 않는 다양한 독서를 지향하는 개방적 경향과 유가 성리학 이외의 서적에 대한 독서를 이단으로 취급하며 배제하는 경향이 공존하며 각축했다. 다만, 동아시아의 기철학과 서구 근대학문의 성과를 종합하고자 했던 최한기와 같은 개방적인 기 위주 문학관은 서구와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으로 더 이상 확산되지 못했고 그로 인해 기 위주 문학관은 근대 이후 계승되지 못하고 그 생명력을 상실했다. 그럼에도 기 위주 문학관에서 강조되었던 ‘부단한 독서’와 ‘내면적 성찰’, ‘여행을 통한 견문의 확대’ 등은 현대에도 여전히 창작 수련의 가장 중요한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비록 기라는 용어의 쓰임새와 유효성은 현대사회에서 미미해졌지만 기 중심의 문학 담론으로 제출되었던 여러 의견들은 여전히 문학 창작과 비평에 유효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the second study to reconsider the concept of identity and identity of Korean literature through a point of view on Literature. To this end, we introduced and reviewed it at different times to the discourse of Qi 氣-oriented literature among the diverse aspect of the point of view on literature in the pre-modern East Asia. The discourse of Qi-oriented literature had also a close relationship with Chinese literary discourse, and was newly called, competed with each other, and showed aspects of change amid Joseon writers' individual concerns and requests of the times. From the mid-Goryeo period to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discourse of WenQi 文氣 that values innate Qi and the discourse of LiangQi 養氣 through sightseeing and reading were competed. This competition resulted in the affirmation of the discourse of LiangQi 養氣 in the period of Seo GeoJung 徐居正. Since then, the discourse of WenQi has disappeared from the center of discussion in Joseon, and the discourse of LiangQi that train one's mind through sightseeing and reading has gradually been strengthened by coexistence. Furthermore, the discourse of LiangQi through reading competed and coexisted with the open tendency toward various reading not limited to the Confucian scriptures and the tendency to treat it as heresy and exclude reading of books other than the Confucian scriptures. However, open views such as Choi Hanki 崔漢綺, who sought to combine the achievements of East Asian philosophy of Qi and Western modern university culture, were no longer spread or enlightened by Western and Japanese imperial invasions. As a result, the discourse of Qi-oriented literature was no longer inherited and lost its vitality after modern times, but the constant reading, internal reflection and expanding knowledge through sightseeing and reading that were emphasized in it are still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ways of literary creation and training. Therefore, although the usefulness and validity of the term Qi has become insignificant in modern society, many opinions that have been submitted as a Qi-oriented literary discourse are still valid in literary creation and criticism.

      • KCI등재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의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과 수양론(修養論)에 대한 일고(一攷)

        이형성 ( Lee Hyung-sung ) 한국공자학회 2019 공자학 Vol.37 No.-

        조선은 성리학 이념으로 문화와 사상을 구축하여 유교적 사회를 지향하였다. 16세기 이황(李滉)과 기대승(奇大升), 그리고 성혼(成渾)과 이이(李珥) 등이 성리학을 치밀하게 담론하여 그 이론이 심화되었다. 본 글은 기대승의 인심도심설과 그에 따른 수양론을 고찰하였다. 내용 전개는 먼저 십삼경(十三經)에 보인 인심과 도심의 의미를 살펴보고, 명나라 나흠순(羅欽順)의 『곤지기(困知記)』로부터 영향받은 노수신(盧守愼)과 나흠순의 인심도심설을 기대승이 주자학적 관점에서 비판한 측면을 고찰하였다. 주지하다시피, 심(心)의 허령(虛靈)한 지각은 리와 기가 묘합하여 이루어진다. 기대승에 의하면, 인심과 도심은 심이 지각할 적에 어느 하나가 강하게 드러난 양상, 즉 심이 이미 발현한 상태로 간주하였다. 반면 나흠순과 노수신은 도심을 성(性)으로 여기고, 인심을 정(情)으로 여겨 선과 악이 동시에 존재한다는 논지를 전개하였다. 기대승은 두 학인의 논리가 설정된다면 인심의 대본인 도심에도 선과 악이 존재하여 맹자의 성선론에 어긋난 순자의 성악설ㆍ고자(告子)의 단수설(湍水說)ㆍ양웅(揚雄)의 선악혼설(善惡混說)이 된다고 비판하였다. 기대승은 인심도심설에 근거하여 수양법으로서 ‘경(敬)’과 ‘성(誠)’을 주장하였다. 먼저 ‘경’에 의한 이심(移心)을 고찰한 바, 이는 심의 지각이 외물에 얽매이지 않고 주재하게 되면 본성 곧 성명에 근원한 도심이 전일하게 된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선경후성(先敬後誠)’의 논지는 생각과 분별을 ‘경’을 중심으로 하여 선(善)을 택하고 ‘성’을 통해 변함없이 진실하게 하는 바, 이는 성인이 추구한 도를 신중하게 배워 성학(聖學)을 지향하도록 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기대승은 인심도심의 논리구조에서 ‘선경후성’의 수양을 주장하고 그에 따른 도덕적 실천과 성학을 지향하도록 하였다. This article is about Ki Dae Seung’s View of InSimDoSim(人心道 心: Man’s mind that is desperate and Heaven’s mind that is impalpable) and his Theory of Self-Discipline based on such view of his. This study first looks into the meaning of InSim and DoSim shown in Sip-Sam-Gyeong(十三經), and then Nah Heum Soon’s and Noh Soo Shin’s View of InSimDoSim that were criticized by Ki Dae Seung, and finally the method for self-discipline towards Gyeong(敬: Piety) and Seong(誠: Sincerity). Ki Dae Seung considered InSim and DoSim to be the states revealed when InSim and DoSim were perceived by Sim(心: Mind) while Nah Heum Soon and Noh Soo Shin developed the argument that the good and the evil existed in the mind at the same time regarding DoSim as Seong(性: Nature) and InSim as Jeong(情: Emotion―Mind’s response to things). Ki Dae Seung strongly criticized such point argued by Nah Heum Soon and Noh Soo Shin saying that the good and the evil should be in DoSim too if their view was accepted. Ki Dae Seung asserted Gyeong and Seong as his Method for Self-Discipline. Gyeong makes you choose the good and Seong keeps the good to be endlessly sincere. This type of Self-Discipline Theory makes you learn studiously the Faith sought by great men so that you can live as you learn from the great men. In conclusion, Ki Dae Seung advocated the self-discipline based on Gyeong and Seong in his theoretical structure of InSimDoSim and told us to go for moral practice and leaning of great 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