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커머스를 위한 사용성 평가와 인페이지 분석 도구의 상호보완적 활용 방안 제안

        이수빈(Soo Bin Lee),이지현(Ji Hyun Lee)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3 한국디자인리서치 Vol.8 No.3

        본 연구는 많은 조직에서 리서치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시점에서 사용성 평가 정성 데이터와 상호보완적으로 인페이지 분석 정량 데이터를 쓰는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의 진행 방법은 사용성 평가와 인 페이지 분석을 모두 활용한 사례 연구를 통해 정량, 정성 레포트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호보완적 활용 방안을 도출하고자 했다. 사용성 평가 정성 데이터와 인페이지 분석 정량 데이터를 모두 활용하기 위해 국내 이커머스 분야 중 하나인 떡 브랜드 ‘백년화편’과 국내 데이터 시각화 도구를 지원하는 ‘Beusable’ 서비스를 선정한 후 신규 사용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사용성 평가에서 정성적 데이터를 수집하고 일정 시기에 Beusable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의 실시간 데이터와 누적된 정량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위 두 방식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용성 평가 분석과 인페이지 분석 결과의 차이점을 도출하고 이커머스 분야에서 사용성 평가 분석과 인페이지 분석 결과를 서로 상호 보완하여 사용하는 방안을 설계, 진행, 분석 단계로 세분화하여 제안했다. 결과물로 도출된 ‘이커머스를 위한 사용성 평가와 인페이지 분석 도구의 상호보완적 활용 방안 제안’ 방법을 활용하여 실제 업무에 적용하여 실무에 적합하고 효과적으로 적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At a time when research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o many organizations, this study aims to provide suggestions on how to use in-page analysis quantitative data as a complement to usability evaluation qualitative data. The research methodolog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ports through a case study that utilized both usability evaluation and in-page analysis and to come up with complementary ways to use them. To utilize both qualitative usability evaluation and quantitative in-page analysis data, we selected '100yearshop,' a rice cake brand in the domestic e-commerce sector, and 'Beusable,' a service that supports domestic data visualization tools, and collected qualitative data from a usability evaluation conducted with new users, and collected and analyzed real-time data and accumulated quantitative data from users through the Beusable service at a certain time. By utilizing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above two methods, we derived the differences between usability evaluation and in-page analysis results and proposed a method for complementary use of usability evaluation and in-page analysis results in the field of e-commerce by breaking it down into the design, implementation, and analysis stages. We expect that the resulting method, “Proposal for Complementary Use of Usability Evaluation and In-Page Analysis Tools for E-commerce,” will be suitable and effective in practice by applying it to actual work.

      • KCI등재

        발레동작의 정성분석모형과 운동역학적 분석

        권안숙(An Sok Gwon) 한국무용과학회 2006 한국무용과학회지 Vol.12 No.-

        본 연구는 아라베스크회전동작을 5단계 즉 준비 내 딛기, 서기, 회전, 마무리단계로 구분, 정성분석 모형을 개발하여 주요요인을 도출하고 나아가 영상분식과 지면반력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동작을 어느 수준까지 일관성 있게 수행할 수 있는 숙련자를 2명을 대상으로 정성분석 모형에서의 각 단계별 주요요인을 바탕으로 지면반력 분석을 통하여 발현되는 힘의 영상을 파악하고, 영상분석을 통하여 시간, 각도, 회전각도, 동작의 궤적 등 동작에 대한 연구를 다각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무용수의 체계적인 훈련과 연습을 위한 동작 단계별 구조 및 기능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준비 단계에서는 두발 가운데 중심을 두고 발바닥에 고르게 체중을 분배하여 지면을 미는 힘 Fz 값을 크게 하며, 두 다리의 신전 각을 같이하고 몸통과 머리를 곧게 펴며 신체정렬이 잘 이루어지는 것이 주요요인으로 나타났다. 2. 내 딛기 단계에서는 정확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왼발 뒤꿈치가 들리지 않은 상태에서 상체를 곧게 펴고 발목(100∼110도), 무릎각도(150~155도)를 굴곡 시킨 후 내딛는 발(오른 발)을 신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왼발로는 균형을 최대한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다. 3. 서기 단계에서는 원활하게 서기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왼발로는 지면을 수직으로 누르는 힘 발현이 중요하며, Fx 방향으로 반력(음의 Fx)을 발현해 서기동작과 더불어 회전을 원활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상체는 곧게 펴 있어야 하며 오른 발은 완전 신전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4. 회전 단계에서는 오른발의 수직축과 뒤로 뻗어 든 다리의 신전상태유지 그리고 두 팔이 외전하는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궤적이 매끄러워야 하며 이때 회전을 일으키는 왼발이 지면에서 이탈될 때 타이밍과 지지하는 오른 발의 힘(Fx, Fy값)을 유지하는 것이 주요요인으로 나타났다. 5. 마무리 단계에서는 회전 후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지면을 미는 힘 Fz값은 커지고 Fx, Fy값은 0인 상태에서 중심축을 이루며, 지지한 오른 다리 신전을 완전히 시키고(발목 각, 무릎 각, 고관절) 뒤로 뻗어 든 다리의 수평상태에서 풀업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주요요인으로 나타났다. 비록 숙련자라 할지라도 부상을 줄이고 기술향상 위해서는 신체동작의 메카니즘을 다각적 관점에서 이해해야 하고 자신의 특성을 포함한 체계적인 동작 분석정보를 제공받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전문가의 체계적인 관찰을 통해 객관적이고 정밀한 평가모형을 개발하고 여기서 제시된 주요 요인들을 근거로 영상분석(시간, 각도, 회전각도, 궤적 등)과 지면반력 분석을 연계한다면,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작인 동작에 대한 정보를 무용수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난이도가 높고 복잡한 동작일수록 정성분석평가 모형을 개발하여 제시하고 운동학적, 운동역학적 분석과 연계하여 동작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면 상호 시너지 효과를 가져와 동작 분석의 차원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다고 제언한다. This study is performed to develop the qualitative analysis model, in which the movement is divided into the 5 phases, the preliminaries, step-forward movement standing, rotation, finish phases, to identify the critical factors in each phases. On the basis of the model, the cinematographic analysis and the ground reactive force analysis is performed. Because this movement can be performed only with being harmonized by the proper representation and the peculiar characteristic(ability), this study is performed the analyses to offer the accurate information on the structure and the function by movement stage, aiming at a dancer's systematic training and practice, by grasping the aspects of the force, which are revealed through the ground reaction force, targeting 2 experts who can consistently perform up to a certain level, and by diversifiedly performing a research on movements such as time, angle, rotational angle, and the trace in movement through cinematographic analysis. The result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1. In the preliminary stage, it is a critical factor that makes the body alignment well attained, with putting the center in the middle of two feet and straightly stretches the body and the head by allowing the stretching angle in two legs to be equal. 2. It is important to stretch the stepping foot (right foot) after allowing ankle and knee angle to be curved, with straightly stretching the upper body, in a state that the heel of left foot was not lifted. 3. In the standing stage, it is important in the manifestation of force that vertically pushes the ground from the left foot aiming to smoothly perform the standing movement and is vital to make the rotational force in a bid to smoothly maintain the rotation together with the standing movement by manifesting the reaction force (negative Fx) in the direction of Fx. 4. In the rotational stage, it is a critical factor that maintains the timing and the right force (Fx, Fy value) when the left leg, which causes the rotation at this time, separates from the ground. 5. In the finishing stage, aiming to maintain the balance after the rotation, it is a critical factor to attain the central axis and to maintain the pull-up posture in a horizontal state of the leg that stretched up backward. Even if the dancer is an expert, to decrease injuries and to elevate technical skills, she has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the body movement from many angles and has to be furnished with a systematical analytical information on her movement, including her characteristics. For this, preferential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objective and elaborate analysis model by the systematical observations of an expert which presents critical factors issued on this report and if we can connect the cinematographic and the ground reaction force analysis on the basis of them, it is considered that we can present a dancer with the more professional and systematic information on the movements. The higher the degree of difficulty and the more sophisticated the movements, the qualitative analysis model (or those should be developed and presented and be connected to kinematic and kinematical analysis. if it produces synergy effects by improving the understanding, we could set up the level of the movement analysis.

      • KCI등재

        소비자 집단 인터뷰에서 의미 네트워크 응집 구조의 이해

        이동일 ( Dong Il Lee ),이혜준 ( Hye Jun Lee ) 한국소비자학회 2012 소비자학연구 Vol.23 No.2

        기존의 정성적 연구는 응답자들의 발화 내용 중 특징적 반응들을 취합, 해석하는 방식으로 분석을 진행하여 연구 자의 주관에 의해 해석되는 오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내용 분석이나 LIWC 를 활용하는 방 법 등이 제안되었으나 이들 분석 방법도 정성적 연구의 한계를 충분히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정 성적 연구방법들에 대한 대안으로 의미 네트워크 분석을 제안한다. 의미 네트워크 분석은 인간의 인지구조 내의 개념이 기호화되어 표출되는 단어를 노드로 정의하고 이 단어들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정성적 데이터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는 방법론이다. 한 네트워크는 여러 개의 하위네트워크로 구성되며 이는 인간의 인지구조 내에서 유사한 개념끼리 범주화된 것이 표출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언어는 집단 내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공유 가능한 공통의 의미를 갖게 되므로 집단 내에서 발화되는 언어는 집단 구성원의 의견을 대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집단 내 발화 내용에 대한 하위네트워크는 하나의 주제와 관련된 발화에서 사용된 단어들의 집합으로 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해석을 통해 전체 네트워크, 즉 전체 발화 내용에 대 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의미 네트워크 분석은 정성적 데이터 내에 의미있는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들이 한 문장 내에서 동시 에 출현한 빈도를 산출하여 이를 통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는 과정을 거친다. 따라서 의미 네트워크 분석은 정 성적 데이터가 내포하고 있는 여러 주제에 대해 구조적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연구자의 주관이 개입할 우려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대규모 정성적 데이터에 대한 분석시에도 유용한 툴이 될 것으로 기 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의미 네트워크 분석의 접근 방법에 대해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분석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소개 하였으며 이에 따른 분석의 적용 사례를 제시하였다 Researchers have performed the qualitative studies utilizing consumer group interviews to reveal consumers`s responses in depth. In general, most of the qualitative studies have analyzed by researchers` examination every aspect of participants` opinions and interpretation of the distinctive responses. There is concern in this approach that the results may have validity issues, because it is difficult for researcher to keep objective viewpoint. Some studies suggest an alternative methodology like content analysis and LIWC, but these approaches still remain unsolved subjectivity issues. First, content analysis has some disadvantages. Coders encode the qualitative data so the researcher could analyze in the further analysis in a rather quantitative ways. But it is possible that the encoded data may contain the coders` subjectivity according to the coders` understanding of coding schemes. And sometimes the coding scheme implies the researcher`s hypothesis implicitly. Second, LIWC is a kind of text analysis software program which is designed to calculate the degree people use different categories of words across a wide array of texts. It categorizes about 3,000 words into 72 categories. LIWC helps researchers understand the qualitative data more objectively in some degree. Nevertheless it has limit to interpret the words beyond the pre-defined ones designated in the categories. This research proposes a semantic network analysis as an alternative method for the existing qualitative methodologies. The purpose of network analysis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linked nodes. If it is appli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meanings in linguistic communications, then it represents semantic network. In this case, a word becomes a node and a cooccurrance of two words in a sentence becomes a link. Linked nodes are the basic element of semantic network. Semantic network analysis uses words which are included in a qualitative data, and does not exclude any of them by the subjective judgement basis. Thus it can overcome validity issues previously associated with content analysis and LIWC. Semantic network analysis is relatively less likely to be reflected the subjective viewpoint of the researcher and gives us a chance to find out inherent contents structure of qualitative data. Semantic network analysis produces several network indexes which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network or node of interest such as density and degree centrality. Network density is calculated the number of connected links in a network compared to the number of possible links. High density implies that people are very interested in the topic in the qualitative data, because very dense network is resulted from highly related topics and keywords in the context of the semantic network. Degree centrality is the number of nodes directly connected to an individual node. A word with a high degree centrality is able to activate many other words, thus it functions as a keyword within the semantic cluster. In this study, we try to mak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base on the existing theories of cognitive linguistics, cognitive psychology, and sociolinguistics. A word which conveys a concept in individual cognitive structure is represented as a node in a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researchers may interpret the relation between linked words. One semantic network is composed of several subnetworks which imply the cohesive group of similar concepts within cognitive structure. Moreover language has common meaning between individuals who are belonging to the same social groups through interaction of group members. Therefore we can interpret the subnetwork of semantic network in the group interview as the clique of words which are about one topic. As a result, we can understand the entire semantic network contents structure through interpreting subnetworks. Subnetwork also can be represented by the indices such as density and degree centrality. The process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meaningful keywords are extracted from an entire qualitative data. Second, cooccurrance frequency of keywords within one sentence is calculated. Finally, the network analysis is performed, then subnetwork and the network indexes of each subnetwork like density and degree centrality are extracted. The exemplary analysis is shown using consumer group interview data regarding the internet shopping values. The managerial implication an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정량·정성적 분석방법을 활용한 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 효과분석

        허보영,Heo. Bo Young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3 No.3

        본 연구에서는 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의 질적 수준제고를 위하여 지금까지 수행된 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에 대해 정량 정성적인 방법으로 효과성을 분석했으며, 분석결과를 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예산확보 필요성을 설명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국내외 유사사업의 효과분석 사례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정비사업에 대한 효과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효과분석은 크게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으로 구분하였다. 정량적 분석은 비용편익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정성적 분석은 설문조사를 통해 (1) 만족도, (2) 정비사업 전 후의 피해경감효과를 분석하였으며, 더불어 일반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알 수 있는 기술적 통계분석 결과 외에 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과 유사한 공공사업인 농업, 산림, 수산업 등의 정책평가에서 사용된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한 (3) 타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정량적 분석에서는 비용편익비가 1이상을 나타냈으며, 정성적 분석에서도 사업에 대한 효과를 긍정적으로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분석된 효과는 정비사업의 예산확보에 기여 및 향후 정비사업의 효율적인 추진방향 설정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the effect analysis of the Maintenance Project on Natural Disaster Prone Areas was analysed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ject. The result obtained from this analysis is used as fundamental data to acquire the continuous and stable budget status.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rehabilitation projects of natural disaster risk districts, the cases of effectiveness analysis of similar projects at home and abroad were investigated, and based on this, the methods of effectiveness analysis on rehabilitation projects were presented. The effectiveness analysis was divided roughly into the quantitative analysis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quantitative analysis utilized the cost-benefit analysis,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conducted the analysis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on (1)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2) the damage reduction effectiveness before and after the rehabilitation projects, and (3) the validity analysis through, besides the results of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generally obtained by questionnaire surve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used in the policy evaluation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industry projects, which are the public projects similar to the rehabilitation projects of natural disaster risk distric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the cost-benefit analysis ratio was more than 1, and also in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jects was positively perceived. The results of such analysi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securing the budget for the rehabilitation projects and to be utilized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efficiently promoting the rehabilitation projects going forward.

      • KCI등재

        임금근로자의 고용안정성 변화와 결정요인 분석

        김기덕,김재환 한국취업진로학회 2019 취업진로연구 Vol.9 No.4

        Job stability affects everything from entering and retiring the labour market. If job is perceived to be unstable, the labor supply is surplus to the relatively stable primary labor market, which is a major cause of job mismatching. A decline in job stability would also affect the efficient design of pension plans supported by employers and governments. The concept of job stability is so important, but the related research is minimal.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job stability of wage workers through a two-year job retention rate.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two-year job retention rate increased 11.9%p from 60.3% in 2003-2005 to 72.2% in 2015-2017. This increase in job stability is also seen in most classes. Gender differences have narrowed considerably as women's job stability has improved more than men. By age, unlike in the 30s and above, there was no significant increase in job stability in the 20s. In the industrial classification,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accommodation and food service activities, and the elementary workers in the occupations, show the largest increase in job stabilit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wo-year job retention rate, the factors of significant influence regardless of the change in time were the initial tenure, obligational benefit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creases by one level, the probability of job retaining another two years increases dramatically. Although the impact was low at 4.67% in 2015-2017 compared to 7.08% in 2003-2005, it was confirmed that it still had a great influence compared to other factors. As a result, strict legal compliance is required for the provision of obligational benefits such as paid vacation, and in particular, th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can affect not only the intention to turnover but also actual turnover. 고용안정성은 노동시장의 입직에서 퇴직까지 전 과정에 걸쳐 영향을 미친다. 고용이 불안정하다고 인식되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1차 노동시장으로 노동공급이 과잉되어 고용 미스매치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된다. 또한 고용안정성의 감소는 고용주 및 정부가 지원하는 연금제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고용안정성의 개념은 이처럼 중요한 의의를 갖지만 관련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2년 고용유지율을 통해 임금근로자의 고용안정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년 고용유지율은 2003~2005년 60.3%에서 2015~2017년 72.2%로 11.9%p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고용안정성 증가는 대부분의 계층에서도 확인된다. 남성보다는 여성의 고용안정성이 많이 개선되면서 성별에 의한 차이는 상당히 좁혀졌다. 연령의 경우 30대 이상과는 다르게 20대에서는 뚜렷한 고용안정성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다. 산업에서는 도소매숙박음식업, 그리고 직업에서는 단순노무직에서 고용안정성이 증가하였다. 2년 고용유지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시간의 변화와 관계없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으로 초기근속기간과 법정 복리후생, 그리고 조직몰입으로 나타났다. 조직몰입의 경우 1수준 증가할 때 추가적인 2년을 고용유지할 확률이 급격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2003~2005년의 7.08%에 비해 2015~2017년 4.67%로 영향력은 낮아졌지만, 다른 요인에 비해 여전히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유급휴가 등의 법정 복리후생이 제대로 제공될 수 있도록 엄격한 법 준수가 요구된다고 볼 수 있으며, 특히 조직에 대한 몰입은 이직 의도뿐 아니라 실제 이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공적연금 지속가능성의 재개념화와 측정

        유희원 ( Yoo Hee Won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4 사회복지정책 Vol.41 No.4

        본 연구는 그동안 재정적 측면에서 협소하게 정의되어 오던 지속가능성 개념을 노후소득의 적정성까지 포괄하는 광범위한 개념으로 확장하고, 이에 기반하여 공적연금제도가 직면한 위기의 실체를 새롭게 진단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퍼지셋 이념형 분석을 활용하여 적정성과 재정안정성 간의 균형 잡힌 성과를 의미하는 ‘지속가능성 지수’를 산출하고, 주요 복지국가에서 운영 중인 공적연금제도의 장기적 존속 가능성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스웨덴, 스페인, 노르웨이, 핀란드 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속가능성 수준을 나타냈다. 반면, 적정성은 높지만 재정안정성이 낮은 국가들이나(이태리, 프랑스, 벨기에, 오스트리아 등), 재정안정성은 높지만 적정성이 낮은 국가들(영국, 덴마크, 스위스, 독일 등)의 경우, 지속가능성 지수가 전체 평균보다도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적정성과 재정안정성을 모두 반영하는 새로운 지속가능성 개념을 사용함으로써, 지금까지와는 다른 방식으로 공적연금제도의 위기를 진단하고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함의를 지닐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최근과 같이 적정성의 훼손을 전제한 재정안정화 조치들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제도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한 적실한 전략이 무엇인지에 대해 재고할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예컨대, 재정안정성에 편향된 지속가능성 개념 하에서는 재정수지불균형 문제가 대두되는 국가들만 위기에 봉착한 것으로 인식될 수 있지만, 본 연구의 분석에서는 적정성이나 재정안정성이 낮은 국가들 모두 공적연금제도의 지속가능성이 결여된 것으로 평가된다. 이에 따라 재정안정성이 낮은 국가들뿐만 아니라, 적정성이 훼손된 국가들 역시 각자의 충족되지 않은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는 전략수립이 가능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and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which has been defined narrowly in the financial aspect to the extensive concept that includes the adequacy of income in later life, and based on this, to newly diagnose the true nature of crisis that the public pension system face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ustainability Index” which means the balanced outcome between the adequacy and the fiscal stability was calculated by utilizing the Fuzzy-Set ideal type analysis and the long-term sustainability of the public pension system operated by major welfare states was measur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Sweden, Spain, Norway, Finland had a relatively high level of sustainability.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ose countries with high adequacy but low fiscal stability (Italy, France, Belgium, Austria) and the countries with high fiiscal stability but low adequacy (the U.K., Denmark, Switzerland, Germany) had the sustainable index lower than the whole average. These results of the analysis have the implications that the crisis that public pension system faces can be diagnosed differently from the existing ways and the corresponding measures can be taken by using the new concept of sustainability that reflects both the adequacy and the fiscal stability. Particularly, under the recent circumstances where fiscal stability measures are emphasized on the basis of hurting the adequacy, they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what the exact strategy to guarantee the sustainability of the system is. For example, under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that leans too much toward the fiscal stability, it can be thought that only the countries with the problem of fiscal imbalances can face the crisis, but under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the countries that are low either in adequacy or in fiscal stability are all evaluated to lack the sustainabilit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stablish the strategy that not only the countries with low fiscal stability but also the countries with low adequacy should make efforts to achieve the respective country’s outcomes that have not yet been satisfied.

      • 열분해 방법(Py-GC/MS)을 이용한 미세플라스틱 정성 및 정량분석 방법 연구

        장한솔,이효영,박선구,김재우 한국분석과학회 2021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미세플라스틱은 통상적으로 5 mm 이하 크기의 플라스틱을 뜻하고, 제조 과정에서 첨가된 가소제, 난연제 또는 산화방지제 등이 함유될 수 있다. 또한, 매우 작은 크기로 인해 하수처리 시설에서 잘 걸러지지 않아 수중 생물이 먹이로 오인해 섭취하고 먹이연쇄 과정을 거쳐 인간의 몸속으로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다양한 분야에서 미세플라스틱 분석을 위해 육안 분석, 분광 분석 및 열분해 분석 방법 등이 적용되고 있는데 이중 Py-GC/MS를 이용한 열분해 분석 방법은 N2 또는 He 분위기의 무산소 조건에서, 600 ℃ 이상의 고온으로 미세플라스틱을 열분해하여 생성된 열분해 생성물을 크로마토그래피(GC)로 분리 및 질량분석기(MS)로 검출한다. 해당 분석 방법은 파괴 분석법이지만, 크기 및 모양과 관계없이 다양한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정성 및 정량분석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세플라스틱 표준물질을 각각 적절한 용매에 녹여 희석하고 건조한 후, 기기에 주입하는 방법으로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플라스틱 종류별로 고유하게 열분해 되어 생성되는 물질 중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은 특성 물질을 선정하여 확립한 분석 방법의 유효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는 “화학적 시험방법의 유효성 확인을 위한 지침”에 제시된 절차에 따라 반복 측정을 통해 작성한 특성물질 검량곡선의 우수한 직선성(R²), 정확도, 정밀도, μg 수준의 낮은 검출한계(LOD) 및 정량한계(LOQ)를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Py-GC/MS를 이용한 미세플라스틱 열분해 분석법과 다양한 플라스틱에 적용한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 KCI등재

        다시점 정성적/정량적 분석을 통한 우리 전통춤의 특성 이해

        엄태영,박한훈,박종일,남상원,김운미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6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2 No.1

        우리 춤은 우리 고유의 정서를 담고 있는 종합예술이므로 우리 춤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춤 동작의 정량적인 분석을 통한 감정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우리 춤에 내포된 감정 패턴의 변화를 살펴본다. 먼저 한국 전통춤으로부터 무용전문가들의 정성적 분석에 기반하여 추출된 우리 춤사위를 정해진 각 감정별로 재구성하여 창작하고 창작된 우리춤을 무용전문가가 시연한다. 이를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하고, 영상처리를 통해서 시연자의 실루엣을 뽑아낸 후, 정량적 특징량들을 추출한다. 이어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각 감정별 춤사위를 학습시킨 후, 임의의 춤사위에 내포된 감정을 인식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면, 좌, 우 세 시점에서 획득된 다시점 영상을 이용하여 학습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인식시스템을 제안한다. 그리고, 시스템에 의해 인식된 감정패턴과 변화의 정성적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무용전문가들에 의해 정립된 정성적 분석결과와 비교, 분석한다. 이는 정성적인 분석에만 국한되던 우리 춤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분석을 통한 이해의 차원으로 확장시키는 것으로, 우리 춤의 특성을 새롭게 정의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다양한 장르의 한국 전통춤 가운데 우리 춤을 대표할 수 있는 춤사위를 선정하고, 정성적/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우리 춤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체계적인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Recently, endeavors for recognizing human emotion from full body movements. Especially, dance which is close to common human motions that are the most typical of expressing human emotion, have been made. Korean dance includes Korean peculiar emotion, which discriminates Korean dance from Western dance. Therefore, the unique method for analyzing and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dance has been strongly required.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re is no method for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dance in the literature. In this thesis, we propose a method for recognizing emotion from Korean dance and analyzing Korean dance using the recognition results. The method consists of four steps. First, dance performances associated with pre-defined emotions are extracted from several representative Korean dances based on professional dancers' qualitative analysis and danced by professional dancers. Second, the dance performances are captured using multiple cameras and quantitative features associated with dance performances are extracted from the camera images using a series of image processing algorithms. Third, the mapping between the dance performances and the pre-defined emotions is estimated using neural network. Finally, given arbitrary dance performances, their corresponding emotions are recognized using the neural network. The proposed method has more reliable performance by using multiple cameras unlike the privious methods using a single camera. The other purpose of this thesis is extracting sequential emotional patterns of Korean dance using the emotion recognition method. and proposing a criterion for spec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quantitatively. The quantitative analysis can concrete the results of the existing researches o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depend only on the qualitative analysis. We expect that this thesis provides a systematic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hole Korean dance through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some representative Korean dances.

      • KCI등재

        휴대용 X-선 형광분석기(PXRF)를 통한 금속 재질의 범행도구 분석 및 현장 과학수사 적용에 대한 고찰

        유승진(Ryu, Seung Jin),정교래(Jung, Gyo Rae)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8 경찰학연구 Vol.18 No.3

        범죄현장에는 사건 유형에 따라 수많은 물적 증거들이 남아있다. 과학수사에서 이러한 물적 증거는 과학적 실험을 통해 본래의 성분을 파악하고 현장 증거와 대조 증거의 동일성 여부를 파악해야만 한다. 1차적으로 성분을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분석법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물적 증거를 훼손하지 않는 즉, 비파괴적 방법의 분석법은 법과학 및 현장 증거보존의 관점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평가된다. 본 연구에서는 비파괴적 분석법의 한 종류인 X선 형광분석법을 소개한다. 그리고 범죄 현장에서 직접 분석할 수 있는 휴대용 X선 형광분석기(Portable X-ray Fluorescence Spectrometer; 이하 PXRF라함)를 이용하여 물질의 정성 및 정량 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휴대용 분석 장비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범죄현장에서 물적 증거의 원료물질과 유사한 몇 가지의 표문물질(Cetified Reference Material;CRM) 을 선택하였다. 범죄현장의 범행도구 및 현장 구조물의 원료물질의 예로 합금 시료를 선택하여 표준물질의 정성 및 정량적 규격결과와 PXRF를 이용한 분석결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또한 범죄 현장에서 발견될 수 있는 대표적 범행도구로 칼을 선택하여 성분 및 동일성 여부 판별을 위한 분석결과를 검토하였다. 결과적으로 PXRF를 이용하여 범죄 현장에서 신속하게 성분 및 동일성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정성 및 정량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법과학 실험실에서 이루어지는 정밀분석의 전단계로 범죄현장에서 PXRF를 통해 신속하고 정확한 현장 과학수사 분석기법으로 활용 및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t the crime scene, many physical evidences could remain depending on many type of event cases. It is the most important point in forensic science that analysis and identify the evidence. Also, a non-destructive method of analysis without compromising evidence can be a very good advantage in scientific investigation. In this articl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material as a evidence was performed in various samples using portable x-ray fluorescence spectrometer. We examine the materials of alloy as a certified standard material and knife as a criminal tool. In the above experiment, reliabl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ults were obtain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is possible to apply the portable x-ray fluorescence spectrometer method as a fast and accurate at the scientific investigation technique through the non-destructive analysis method at the crime scene before the precise analysis in the forensic laboratory.

      • KCI등재

        연구개발 프로젝트 정성·정량평가 비교 분석을 통한 성과평가 발전방향 연구

        이수철(Suchul Lee),고미현(Mihyun Ko)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기술혁신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정부출연연구기관 중 하나인 K 연구원 사례를 활용하여 연구개발 프로젝트에 대한 정성평가 결과와 정량평가 결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연구개발 프로젝트 성과평가 체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비교 분석을 위해 정성평가 결과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규정에 따라 진행된 실제 평가결과를, 정량평가 결과는 연구개발 프로젝트의 산출물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결과를 활용하였다. 비모수 상관관계 분석(Kendall’s τ)을 비롯한 다양한 분석결과, 정성평가와 정량평가 결과 사이에는 분명한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단순 정성 또는 정량평가로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평가하기보다 정성 및 정량평가가 상호보완적으로 진행된다면, 평가 시 각 연구개발 프로젝트의 특성을 반영함과 동시에 객관성도 보다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measures and compares the performan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R&D) programs in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GRIs) in terms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to find out strategic insights for improving performance evaluation policy. In particular, we adopt the evaluation results from the real data of K institute in 2015 for a qualitative evaluation and the results of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for a quantitative evaluation.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D performance of 14 programs find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evaluation results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is significant. From this finding, we suggest several strategic directions to complement two approaches each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