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한제국기 기생에 관한 연구사(史) 검토 및향후 연구과제

        水谷淸佳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0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40

        This study analyzed the preceding researches on Gisaeng during Daehan Empire Period which became active in 2000s, classified them into four categories of 1) Music Studies, Dance Studies 2) Women’s Studies, Historical Studies 3) Gisaeng System and History 4) Other Related researches, and reviewed the accumulative research results and limitations. This study also reviewed database on modern newspaper related to Gisaeng during Daehan Empire Period and online utilization method to suggest predetermined research tasks and directions for Gisaeng during Daehan Empire Period. In comprehensive analysis on preceding researches on Gisaeng during Daehan Empire Period, while there have been multilateral approaches from various Korean studies fields, most researches such as music studies, dance studies, women’s studies, historical studies, and history on Gisaeng mainly took place in 2000s and the researches on related field significantly slowed down after 2010. In 2010s, there was no review or utilization of existing researches including digital database of modern newspaper published during Daehan Empire Period, [Collection of Korean History Materials] in Korean History Database of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and [Korean Classics] of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Also, there are rich accumulations of numerous news articles and historical materials on Gisaeng during Daehan Empire Period that are not revealed in the academic field. Thus, there should be additional and complementary researches and active researches on preceding researches to make [History of Gisaeng During Daehan Empire Period] to settle as the part of [History of Korean Women] in the current situation of few researches on Gisaeng during Daehan Empire Period after 2000s. In addition, various Gisaeng-related records that are not found on newspaper published by Koreans in Daehan Empire Period are in Japanese newspaper, it is necessary to break away from relying on Korean newspapers to discover and actively utilize the newspapers published by Japanese and newspapers in Japanese language. The phased process on establishment of licensed prostitute system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involved prostitute abolition policy in 1899, formation of district for prostitution in 1904,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testing in 1906, and taxation on prostitute in 1906. However, Gisang was not related to such process and Gisaeng was regarded to have contrasting social properties compared to prostitute. On September 25, 1908, 「Gisaeng regulation law」 was announced as 「Modern Gisaeng System」 while 「Prostitute regulation law」 was announced as 「Licensed Prostitution system」 individually. As a result, Gisaeng and prostitute were clearly differentiated in terms of law, policy, and society. 본 연구에서는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 활발해진 대한제국기 기생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1)음악학․무용학, 2)여성학․역사학, 3)기생제도 및 변천사, 4)기타 관련연구 이상 4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축적된 연구성과와 한계점 등을 고찰하고, 이후 대한제국기 기생에 관련된 근대신문 DB구축현황과 온라인 활용방법을 제공하여 이들을 토대로 대한제국기 기생에 관한 향후 선결 연구과제 및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한제국기 기생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해보면 다양한 한국학 분야에서 다각적인 접근이 이루어지기는 하였으나, 음악학, 무용학, 여성학, 역사학, 기생제도사 등 대부분의 연구가 2000년대에 집중적으로 진행되었고, 2010년 이후로는 관련분야의 연구가 매우 주춤한 실정이다. 하지만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 대한제국기에 발행된 근대신문들의 디지털 DB화, 국사편찬위원회 한국학데이터베이스의 「한국사료총서」, 고전번역원의 「고전원문」 등 기존 연구들에서는 검토․활용된 바가 없고, 아직 학계에 공개되지 않은 다양한 대한제국기 기생 관련기사 및 사료들이 매우 풍부하게 축적되어 왔다. 따라서 2000년대 이후 대한제국기 기생에 관한 연구가 미진한 현 상황 속에서 「대한제국기의 기생사」가 한국여성사의 한 부분에 실제적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선행연구들에 대한 추가․보완적인 연구와 제분야에서의 연구적 활성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대한제국기(1897~1910년) 한국인 발행 신문들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다양한 기생관련 기록들이 당시의 일본어 신문들에도 다수 실려 있기 때문에 한국어(구(舊)한글, 국한문) 신문들에 대한 의존의 한계에서 벗어나, 대한제국기에 발행된 일본인 경영신문과 일본어 신문들을 대상으로 한 기생관련 기사의 발굴 및 적극적인 활용 또한 실제적으로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한제국기 ‘노동(자)’에 대한 상상력

        최진호(Jin-Ho Choi)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2 동양한문학연구 Vol.62 No.-

        한국에서 ‘노동(자)’은 대한제국기에 본격적으로 형성된 개념이다. 한국의 20세기 동안 이 개념은 계속해서 변화했고, 지금도 이전과 다른 노동에 대한 생각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되어가는 개념’이라는 점에서 당대의 ‘노동(자)’ 개념을 총체적 관점에서 접근할 수 없다. 오히려 ‘노동(자)’을 둘러싼 상상력에 부분적으로만 접근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황성신문』과 『대한매일신보』, 『태극학보』의 노동 이해를 통해 대한제국기 ‘노동(자)’ 개념의 의미망을 추적했다. 먼저 1899년에서 1904년까지 『황성신문』에 등장하는 ‘노동(자)’ 개념은 ‘국경’ 혹은 경계의 문제와 결합한다. ‘노동’은 일차적으로 일본어 신문이 다룬 일본인 ‘노동자’에 대한 기사에서 등장했다. 『황성신문』은 일본인 노동자들의 이주에 발발해 노동자들을 비판하는데 『황성신문』의 노동자상은 ‘실제’의 일본인 노동자가 아니라 상상된 노동자에 가까웠다. 물론 일본인 노동자의 이주를 옹호하는 일본어 신문도 마찬가지였다. 결국 ‘노동(자)’ 개념은 일본에서 유래해서 대한제국으로 유입된 것이 아니라, 일본과 대한제국, 일본어와 조선어의 접촉면 혹은 경계면에서 형성되었다고 보인다. 이런 의미에서 ‘노동(자)’의 유래는 국가의 경계, 즉 국경의 문제를 상기시킨다. 둘째 『대한매일신보』에서는 대다수 인민을 노동자로 호명하고 헌신을 요구했는데 이는 체제의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이다. 인민을 노동자로 호명했는데 이에 호응하는 노동자-인민은 희생을 논리를 내면화한다. 그러나 동시에 국가의 이름 아래 이루어진 호명은 새로운 주체의 출현을 상기시키는데 그것은 바로 의식화된 노동자를 통해서이다. 방대한 지식이 아니라 초보적인 지식을 통해서도 의식화가 이루어지는데, 노동자의 의식화는 주체화 이전, 주체를 형성하는 각성의 영역을 떠오르게 한다. 셋째 『태극학보』에서는 유학생들의 일본 체험에 근거한 ‘노동(자)’ 이해가 드러난다. 이들의 노동관은 자본가들의 입장에 근거한다. 부를 증대시킬 중요한 원천의 하나로 노동을 설정하고, 이러한 노동의 생산성을 위해 노동자들에게 헌신적 노동 더 나아가 노동신성을 강조한다. 그러나 이들의 노동관은 대한제국의 ‘실제 노동(자)’에 근거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추상적인 노동이해에 근거한다. 이러한 이해를 통해 자본가의 노동 윤리를 관철한다. 요컨대 대한제국기 신문과 잡지 속에서 ‘노동(자)’은 국경·의식화·헌신·노동신성·추상화와 같은 단어들과 연결되어 있다. ‘노동(자)’을 중심으로 연결된 이 개념들의 영향 속에서 당대 노동에 대한 상상력이 형성되었다. 이 상상력 속에서 ‘인간’의 의미와 가치가 규정되는 동시에, 이런 이해에 기반해 인간에 대한 지식이 형성되었다고 본다. "Labor(勞動)" is a concept that was formed in earnest during the Korean Empire in Korea. During the 20th century in Korea, this concept continued to change, and even now, different ideas about labor are being created. It is difficult to approach the "labor" of the present generation as a whole in terms of the "concept of becoming". We have only partial access to the imagination of the workers of that era. This paper traces the connection network of the concept of "labor" during the Korean Empire and its meaning through the labor understanding of The Huangseong-Shinmun(皇城新聞), The Daehan Maeilsinbo(大韓每日申報), the magazine Taegukhakbo(太極學報). In this paper, I clarified in the Korean Imperial Newspaper and magazine that "labor" is connected to the concepts of borders, Conscientization, dedication, labor deity, and abstraction of labor. In the influence of these concepts, which were centered around "labor," the imagination for labor was formed during this period. I think that the meaning and value of "human beings" are defined in this imagination, and knowledge about human beings was formed based on this understanding.

      • KCI등재

        제2차 헤이그 평화회의(1907)와 대한제국 언론의 세계인식 : 『皇城新聞』과 『大韓每日申報』를 중심으로

        최덕수(Choi Deok-soo) 고려사학회 2008 한국사학보 Vol.- No.30

        이 글은 제2차 헤이그 평화회의(1907)가 태동한 세계사적 배경과 당시 한국의 지식인들의 평화회의와 특사단 활동에 대한 인식을 검토한 것이다. 자료로는 당시 주요 언론이었던 『皇城新聞』과 『大韓每日申報』를 이용하였다. 당시 국내 지식인들은 러일전쟁 이후 한국의 위상, 즉 보호국화의 가능성에 대해 주의하고 있었으며, 포츠머스 조약의 내용이 구체적으로 알려지면서 조약 내용 가운데 조선의 ‘보호 지도 감독’에 대한 구체적인 상황전개에 대해 논의와 대응책을 모색하였다. 이 시기 보호국화를 둘러싼 논쟁의 주요 특징은 당시 일본국내 국제법학자들의 견해의 영향을 받아 보호국에 대한 인식을 가졌으나, 향후 한국인들이 교육과 실력 양성을 통해 보호국의 지위를 벗어나 대등한 국가로의 자립이 가능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었다. 이 논문은 기존 연구에서 언급하지 않았던 다음과 같은 점을 지적하였다. 첫째 일본 국내의 조선보호국화에 대한 논의가 조선을 식민지로 만들기 위한 보호국논쟁이었던 점에 비하여 국내 신문에 전개된 보호국화의 논의는 상반된 것이었다. 둘째로 대한제국 시기 국제법에 대한 인식 수준은 국내 언론의 경우 상당한 수준에 이른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특히 국내지식인들은 열강에 대한 인식, 특히 미국에 대해서 당시 고종을 비롯한 대한제국 정부가 가지고 있었던 우호적인 인식과 다른 세계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국내지식인들은 고종을 비롯한 집권층과 달리 헤이그 평화회의가 회의의 성격상 당시 대한제국 문제를 정면으로 다루지 않을 것이며, 서구 열강들도 대한제국 문제에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고 파악하고 있었다. The thesis is concerned with Korean intellectuals' perceptions of the 1907 Hague Peace Conference and Korean special envoys who was dispatched to Hague in connected with the world history background of quicken of Hague Peace Conference and the situation of the Great Han Empire. These questions have not, so far, been noticed, nor have they been studied in detail. In this thesis, I will attempt to analyze articles of Hwangseong Sinmun and The Daehan maeil Shinbo which were major dailies of the Great Han Empire in those days. Leading Korean intellectuals, who paid attention to the position of Korea, in other words the possibility of Korea's Protectorate, after Russo-Japanese war, developed heated discussions about the carrying out ArticleⅡ of Treaty of Portsmouth, "guidance, protection and control which the Imperial Government of Japan may find necessary to take in Korea" on becoming generally known Treaty of Portsmouth.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e controversy about Protectorate was that Leading Korean intellectuals understood Protectorate under the influence of Japanese International law scholars' opinion. Leading Korean intellectuals, however, thought that if Korean received an education and promoted abilities, Korea would overcome Protectorate and become independent state. According to making clear new historical facts that have been little examined, this thesis will contribute to the next research; first, though Japanese International law scholars discussed 'Protectorate' in order to make Korea her colony, Korean intellectuals thought quite the opposite, second, it was possible to judge that the level of major dailies' perceptions about International law were a high standard. On the other hand Emperor Go-jong as well as Korean government recognized the United States amicably, Korean intellectuals illustrated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s about world. In conclusion, it is possible to judge that Korean intellectuals thought that the matter of the Great Han Empire would not be dealt with directly by reason of characteristics of conference in Hague Peace Conference and Western powers would not intervene in the matter of the Great Han Empire.

      • KCI등재

        대한제국기 사법권 독립에 대한 인식과 한계

        최선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연구 Vol.71 No.-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perceptions and limitations of judicial independence of the enlightened intellectuals in the Period of the Great Han Empire. The principle of judicial independence was first introduced to Chosun by a report of the 1881 Official Observation Group who visited Japan in 1881. Afterwards, Hansung Sunbo introduced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 or judicial independence, which led to the spread of awareness among intellectuals, and the principle has begun to be mentioned in the writings and appeals of some intellectuals such as Young-hyo Park, Gil-jun Yu, and Syngman Rhee. The Independent Association and the Independent Newspaper, which led the Enlightenment, also argued for the rule of law, emphasizing the establishment of a parliament and a fair trial. However, the intellectuals were not willing to realize judicial independence, and as a result, judicial independence was not mentioned directly in the written constitutional documents. This is because they judged that it was urgent to establish a constitutional monarchy that would limit the monarchy's sovereignty at the time. In the end, the judicial independence was first stated in the Korean Provisional Constitution in 1919, a little later. 본 연구는 한국에서 사법권 독립의 뿌리를 찾는 작업으로서, 대한제국기 개화지식인들이 가지고 있었던 사법권 독립에 대한 인식과 그 한계를 살펴본다. 사법권 독립 원리를 조선에 처음 소개한 것은 1881년 일본을 방문한 조사시찰단의 보고서다. 이후 <한성순보>가 권력분립이나 사법권 독립 원리를 소개하면서 지식인 일반에게 인식이 확산되는 과정을 거쳤고, 박영효, 유길준, 이승만 등 일부 개화지식인들의 저술이나 상소문에서 사법권 독립이 언급되기 시작했다. 계몽운동을 주도한 독립협회와 <독립신문> 역시 의회설립과 공정한 재판을 강조하며 법치의 실현을 주장했다. 그러나 개화지식인들은 사법권 독립을 실현시키려는 의지가 강하지 않았고, 그 결과 대한제국기 헌법문서들에 사법권 독립이 직접 언급되지는 않았다. 이는 그들이 당시 조선의 상황에서 군주의 군권을 제한하는 입헌군주정을 세우는 것이 시급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결국 역대 헌법문서에 사법권 독립이 처음 명시되는 것은 좀 더 시간이 흐른 후인 1919년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대한민국임시헌법>에서였다.

      • KCI등재

        대한제국기 미디어의 콜럼버스 수용: 『독립신문』, 『유몽천자』, 『그리스도신문』, 량치차오라는 매개를 중심으로

        손성준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3 한국문학연구 Vol.- No.71

        Christopher Columbus' myth of overcoming adversity and “discovering” the “New World” was once undoubtedly strong. Columbus was more than just an explorer; he symbolized the establishment of the current world image and the opening of the modern era. This Western-centric perspective was transplanted into East Asia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This study investigates how and why the myth arose from the accumulation of information about Columbus distributed through various media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Until now, research on the accommodation of Western heroes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has focused on politicians and soldiers. However, Columbus has a larger presence than any other figure introduced during this period. Among the essential materials, this study focuses on Columbus-related information introduced in newspapers and magazines through Columbus' biography in The Independent, The Thousand Character Series, Christian News, and Liang Qichao's editorials. Usually, these texts included an idolization of Columbus, which could deviate from the facts. Notably, the fiction regarding Columbus was intertwined with the context of accentuating virtues such as initiative and perseverance in East Asia, as evidenced by the fact that Columbus was prominently mentioned in 「Enterprise and Adventure」 and 「Perseverance」, in which Liang Qichao discussed the qualities of the modern citizen, and the contents were repeatedly translated into the public sphere during the Korean Empire. The knowledge related to Columbus was reproduced as a discourse of enlightenment by the media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온갖 역경을 극복하고 ‘신대륙’을 ‘발견’한 콜럼버스의 신화는 한때 그 누구도 의심할 수 없을 정도로 견고했다. 콜럼버스는 단순한 탐험가가 아니라 작금의 세계상을 구축한, 그리하여 근대를 열었다는 상징성을 갖고 있었다. 이 서구 중심적 관점은 근대전환기 동아시아에도 이식되었다. 이 글은 대한제국기의 여러 미디어에 산포된 콜럼버스 관련 지식의 수용 양상을 통해 그의 신화가 어떤 경위와 의도로 구축되었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그동안 대한제국기의 서구영웅 수용에 관한 연구는 정치가 및 군인에 집중되어 있었다. 하지만 콜럼버스는 이 시기에 소개된 어떤 인물보다 다양한 지면에서 존재감을 드러낸다. 여러 핵심 자료 중 여기서 주목한 것은 『독립신문』, 『유몽천자』, 『그리스도신문』의 콜럼버스 약전(略傳), 그리고 량치차오의 논설을 매개로 신문, 잡지에 소개된 콜럼버스 관련 정보들이다. 이 텍스트들은 대개 사실과는 괴리된 콜럼버스의 이상화된 면모를 내포하고 있었다. 특히 량치차오가 근대적 국민의 자질을 논한 「진취와 모험」과 「의력」에서 콜럼버스의 비중이 컸다는 점, 그리고 그 내용들이 대한제국기 공론장에 누차 번역되었다는 점에서 나타나듯 콜럼버스를 둘러싼 허구는 동아시아에서 진취성 및 인내력 같은 미덕을 강조하는 맥락과 혼재되어 있었다. 이렇게 수용된 콜럼버스 관련 지식은 대한제국기 미디어의 자체적인 계몽의 언설로 재생산되기도 하였다.

      • KCI등재

        대한제국기 종묘 黃蓋의 특징과 형식변화

        박현주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3 조형디자인연구 Vol.26 No.1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Jongmyo Hwanggae was defined as Uiju in the Introduction to the Korean Tradition, and it was recorded in detail in the Uigwe schematic, so the system and style adopted Joseon's examples and rituals. The system is the same as Honggae and Cheonggae. The structure basically consists of a handle, bamboo, and a barrel like a mountain, and it was investigated that silk with different colors was used as a cover depending on the usag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ucture and form of Hwanggae adopted the previous form as a ritual control. It was confirmed that the Hwanggae of Jongmyo Shrine, which was renovated during the Korean Empire, symbolized the majesty and dignity as an emperor country, while having a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as a ceremonial flag that implies independence. 대한제국기는 종전의 국가체제와는 격이 다른 황제국으로 승격된 정치제도를 갖추어야 했기 때문에 황제 즉위의례와 부속 의주를 제정하여 국가 전례를 마련하였다. 종묘 황개는 황제국의 의장(儀仗)으로 대한제국기에만 사용이 가능했다. 상징적으로는 의례용 노부(鹵簿)에 해당하고, 이와 유사한 역할을 하는 산(繖), 산(傘), 선(扇)과 함께 소용되었다. 부묘 시에 도감에서 제작되어 신주와 함께 종묘로 이안(移安)되었다. 종전의 제후국 의장에 해당하는 홍개(紅蓋)는 청개(靑蓋)와 구분하여 사용하였으나 광무개혁을 통해 황개(黃蓋)로 교체하였다. 제국 의례에 대한 선례가 없어 중국 명대 황의장을 채택하고 그 규모와 형식은 간소하게 하였다. 대한제국기에 종묘 황개는『대한예전 서례』에 의주로서 규정하고, 의궤 도식에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어 그 제도와 양식은 조선의 예제와 의식을 그대로 채용하고 있었다. 제도는 홍개와 청개와 같다. 구조는 기본적으로 산과 같이 자루와 대살과 담통으로 구성되고, 용례에 따라 색을 달리한 비단을 덮개를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로써 황개의 구조와 형태는 종전의 의례용 제구로서의 형식을 그대로 채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한제국기에 정비된 종묘의 황개는 황제국으로서의 위용과 위엄을 상징하는 한편 자주독립의 의미를 함축한 의례용 예기로서의 구조와 특징을 갖춘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대한제국기에 있어서 ‘기생(妓生)’과 ‘삼패(三牌)’의 개념적 구분에 관한 연구 : ‘기생(妓生)’과 ‘삼패(三牌)’의 ‘법적 정책적 사회적 속성’과 개념적 차이

        水谷淸佳(Mizutani Sayaka)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1

        본 연구에서는 대한제국기의 ‘기생(妓生)’과 ‘삼패(三牌)’에 관한 기사 및 자료들을 최대한 빠짐없이 총망라하여‘한국의 기록과 사료들’만을 토대로 대한제국기 당시의 ‘기생(妓生)’과 ‘삼패(三牌)’의 ‘법적 정책적 사회적 속성’과 개념적 차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결론적으로 ‘삼패(三牌)’는 ‘기생(妓生)’이 아니다. 본 연구에서 고찰한 바와 같이 대한제국기(현재까지 기록상1899년 8월 등장~1910년 8월 소멸)에 존재했던 ‘삼패(三牌)’는 ‘법적 정책적 사회적’으로 ‘예창기(藝娼妓)’였지‘기생(妓生)’이 아니었다. 즉 대한제국기에 있어서 ‘기생(妓生)’과 ‘삼패(三牌)’는 ‘법적 정책적 사회적 속성과 역할’이 다른 별개의 집단이었고, ‘삼패(三牌)’는 ‘기생(妓生)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았으며, 무엇보다도 조선사회와 조선인들 사이에 「기생(妓生)에는 일패(一牌), 이패(二牌), 삼패(三牌)의 3종류가 있었다」라는 분류법은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1901년 조선개화사 의 쓰네야 세이후쿠에 의해 자의적으로 만들어진 「기생(妓生)에는 일패(一牌), 이패(二牌), 삼패(三牌)의 3종류가 있었다」라는 ‘왜곡되고 틀린 기생의 분류법’의 무분별한 인용 및 재생산을 이제 그만 멈추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이 120년간 ‘가무를 전업으로 했던 기생(妓生)’이 「‘삼패=기생’→‘삼패=가무와 매음을 겸업하던 집단’→따라서 ‘기생=가무와 매음을 겸업하던 집단’」이라는 ‘왜곡된 논법’에 의해 ‘기생(妓生)은 가무(歌舞)와 매음(賣淫)을 겸업으로 하던 존재’로 왜곡되어 온 ‘기존까지의 학술적 오류’와 ‘기생(妓生)에대한 왜곡된 역사인식’을 올바르게 바로잡을 수 있을 것이다. ‘삼패(三牌)도 기생에 포함된다’ 따라서 ‘기생(妓生)에는 일패(一牌), 이패(二牌), 삼패(三牌)의 3종류가 있었다’라는 사(史)적으로 틀린 분류법도, ‘조선의 기생은 갈보(蝎甫) 매춘부(賣春婦)이다’라는 왜곡된 정의도 모두 ‘재한일본인들’과 ‘친일파’가 남겨놓은 ‘기생에 관한 왜곡된 역사의 잔재들’이다. 따라서 이러한 ‘왜곡된 기생의 정의와분류법’은 이제 그만 한일 학계 및 일반사회에서도 청산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tried to include articles and materials about “Gisaeng” and “Sampae” during theKorean Empire Period as much as possible to clarify “Legal, Institutional, and Social Attributeand Conceptual Difference” of “Gisaeng” and “Sampae”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basedon “Korean Records and Historical Records” empirically. “Sampae” that existed during Korean Empire Period (Emerged in August 1899 and disappearedin August 1910) was not “Gisaeng”. From August 1899 when it first emerged in the record toAugust 1910 when the term, “Sampae”, rapidly disappeared from the historical records, “Sampae”was constantly controlled and managed by the Korean Empire government and the JapaneseColonial Residency-General as Yechanggi. In the aspect of legal, institutional and social perception,“Sampae” had different properties from “Gisaeng”. Therefore, the Joseon society and people didnot treat “Sampae” as “Gisaeng”. Defining Gisaeng of the Joseon as Galbo and prostitute, dividing Gisaeng into Ilpae, Ipae,Sampae, using the term, Ilpae, including Sampae in Gisaeng are all “Remains of the distortedhistory recorded by the Japanese residents in Korea and pro-Japanese groups.” Therefore, it istime to end such distorted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n Gisaeng of Korea in Korean andJapanese academics and the general public.

      • KCI등재

        신채호의 영웅서사 역술과 대한제국기 언론매체의 국문 모색 : 『을지문덕』을 중심으로

        임상석 ( Lim Sang-seok ) 우리어문학회 2018 우리어문연구 Vol.60 No.-

        신채호가 대한제국기에 발표한 『을지문덕』, 「이순신」, 「최도통」 3편 영웅서사는 국한문판 원본과 이를 역술한 국문판의 이중판본이 존재한다. 『대한매일신보』의 이중판본 정책의 부분이라 할 수 있는데 다른 기사들에 비해 심도 있는 역술 과정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당대의 분화된 언어 계층의 실상을 보여주는 대표성 있는 자료이며, 『신보』 이중판본의 확장된 연구에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 신채호의 영웅서사 3편이 보여주는 역술 과정은 현재 한국고전번역원의 국역-고전번역 작업의 직접적 연원을 보여준다. 국어사 분야에서는 한국어 어휘의 변천을 구체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대상이며, 문학사 분야에서는 문체의 역사를 가늠할 자료이다. 국문판은 대한동포 모두가 영웅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는 원본의 대의는 그대로 전달했으나 한국학의 탐구라는 주요한 주제와 행간의 문제의식들은 생략된 경우가 많다. 국한문판과 국문판의 대조를 통해 한문을 경계로 한 대한제국기 언어 계층의 간극이 제시된다. 역술의 경험을 토대로 신채호는 국한문판의 주제의식을 국문판의 문체로도 전달할 수 있는 문체 통합을 추구하여 대한제국기 이후의 다양한 성취를 이루었다. 그는 언어 계층의 통합과 소통이 가능한 국문에 대한 모색을 국한문과 국문의 다중적 글쓰기로 실천한 것이다. Sin Chaeho’s three heroic narratives, Euljimundeok, I Sunsin and Choi Dotong are published dual editions, original Korean-Chinese editions and pure Korean editions. Also they are extension of Daehanmaeilsinbo’s dual edition but translation processes of them are enhanced than other articles of same media. Thus they are representative references proposing the reality of language hierarchy in Korean Empire era and providing the clue for extended research on Daehanmaeilsinbo’s dual edition policy. The edited translation of them can be the origin of Institute for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national translation, in other words Korean Classic Translation. In the field of Korean linguistic history, it is the references for representing the transition of Korean Semantics and the important data for the study of Korean styles i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Both editions can deliver the main theme that all Koreans shall have the task of being hero but in pure Korean edition, the other profound issue, the inquiry for Korean studies is reduced.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dual editions represents the clear cleavage among language hierarchies based upon Classical-Chinese in Korean Empire era. On the experiences of edited translation in this era, Sin Chaeho can pursuit the unification of language hierarchies and achieve diverse fruits about history, literature and political movements. His seeking of national language is progressed by multilateral writing practice.

      • KCI등재

        대한제국기 원산항 노동자의 근대적 노동운동

        현명호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0 규장각 Vol.56 No.-

        이 논문은 대한제국기 원산항 부두 노동자의 투쟁을 살펴봄으로써 근대적 노동운동의 의미를 재검토한다. 19세기 말∼20세기 초 조선 노동자들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이들이 중간관리자인 십장의 지배 아래 있었고 독자적인 노동 조직을 조직하지 못한 점을 들어 이 시기 노동운동을 전근대적인 것으로 설명한다. 이 같은 평가는 당시 조선의 경제가 아직 자본주의에 완전히 포섭되지 않은 소위 원시적 축적 이전단계, 혹은 이행기였다는 사회구성체 분석과 맞물려있는데, 이 관점에 의하면 대한제국기 원산항 노동자들의 저항은 과도기적인 것으로, 1929년 원산총파업이라는 일제 강점기 때의 대표적인 노동운동의 前史로서 소급 적용된 의의가 있을 뿐이다. 반면 본 연구는 이 시기 원산항 노동자들의 직접행동이 조선 말기 민중의 민란, 철시, 소장 등과는 구분되는 형태를 띤다는 사실에 주목해서 이들의 시도가 근대적 노동운동의 하나의 사례였다고 주장한다. 이론적으로는 프랑스 철학자 자크 랑시에르가 노동 대중 운동의 주체는 스스로 지배 구조를 파악하고 운동의 논리를 개발할 수 있는 존재라고 정의했던 것을 틀로 삼아 부두 노동자들이 원산이라는 지역 사회에서 배척당하는 타지인으로서 자신들에게 맞는 투쟁 방식을 개척해냈음을 보여주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구체적으로는 1898년 5월 경무서 파괴 사건, 1899년 9월 일본인 거류지의 봉쇄, 그리고 1900년 7월 反십장 운동이란 세 가지 사례에서 이들이 정치적 선동을 모색하고 원산이라는 도시 공간을 전략적으로 이용하며 신문사에 편지를 보내 독자 대중에 호소했던 것을 서술함으로써 이들의 직접행동이 새로운 종류의 노동운동이었음을 입증한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기존의 계급 형성론과는 다른 기준으로 노동운동을 평가하는 대안을 제시하려는 시도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대한망국사열전』의 사실성 검토와 사료적 가치

        정은주(Eun-Joo JUNG)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4 泰東古典硏究 Vol.52 No.-

        20세기 초 국망(國亡)의 시기에 대한 역사적 증언은 현재 전하는 여러 사료(史料)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박은식의 『한국통사(韓國痛史)』를 비롯하여 황현의 『매천야록(梅泉野錄)』, 정교의 『대한계년사(大韓季年史)』, 송상도의 『기려수필(騎驢隨筆)』, 조희제의 『염재야록(念齋野錄)』은 당대 벌어진 주요한 국내외 사건과 인물에 대한 기록으로, 당시 역사적 상황을 살필 때 거론되는 주요한 사료들이다. 노상익이 망명지에서 저술한 『대한망국사열전』은 국망의 시대에 활동했던 다양한 층위의 인물에 대한 전기라는 측면에서, 앞의 사료들과 일정한 차별성을 지닌다. 『대한망국사열전』은 『한국통사』에 수록된 인물을 비롯하여 저자 자신이 견문한 내용과 신문 등의 기록물을 참고하여 망국의 상황에 처한 여러 인물들의 행적을 기록한 것이다. 『대한망국사열전』은 저술의 형태와 수록된 내용을 살펴볼 때 미완성 초고본의 저술로 확인된다. 그러나 망국의 시점에서 활동한 인물들의 전기 모음집이라는 특성을 고려할 때, 당대 연구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사료 가운데 하나이다. 『대한망국사열전』에 수록된 입전 인물들의 기록을 살펴보면, 해당 인물의 실제 행적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다수 확인된다. 이는 집필 당시의 자료적 한계, 망명지에서의 불안한 주거 환경, 일제 치하의 긴박한 사회적 상황 등이 저자의 저술 활동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짐작된다. 이러한 경우를 고려한다면, 동시대에 저술된 다른 사료들과의 상호 비교 및 실제 사실 여부 등의 객관적 사실을 검토한 다음에 올바른 사료 읽기가 가능할 것이다. Historical testimonies about the period of national death in the early 20th century can be found in various sources (historical materials) currently conveyed. In addition to Park Eun-sik's HanKookTongSa(韓國痛史), Hwang Hyun's MaeCheonYaRok(梅泉野錄), Song Sang-do's KiRyoSuPil(騎驢隨筆), and Jo Hee-je's YeomJaeYaRok(念齋野錄) are records of maj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events and people that occurred during the time, and are major sources discussed without omission when examining the historical situation at the time. Daehanmanguksa Yeoljeon written by Roh Sang-ik at his place of exile, has a certain difference from previous stories in terms of biographies of people at various levels who were active in the era of national networks. Daehanmanguksa Yeoljeon records the actions of various people facing the situation in the ruined country by referring to the characters included in the Korean News Agency, the contents of the author's own observations, and records such as newspapers. Daehanmanguksa Yeoljeon is confirmed as an unfinished manuscript when examining the form and contents of the book. However, considering the nature of being a collection of biographies of people who were active at the time of the Great Britain, it is one of the important materials that cannot be missed in current research history. If you look at the records of the contestants included in Daehanmanguksa Yeoljeon,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cases where they do not match the actual actions of those characters. It is presumed that the author's writing activities were influenced by material limitations at the time of writing, the uneasy living environment in exile, and the urgent social situation under Japanese rule. If this case is considered, it will be possible to read the correct feed after examining objective facts such as mutual comparison with other materials written at the same time and whether it is actually tr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