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생전>에 나타난 공간과 인물의 관계

        신태수 한민족어문학회 2008 韓民族語文學 Vol.53 No.-

        It is noticeable that the space-oriented plot technique was utilized very well in “Biograph of Wi, Gyung-cheon” among those novels written during 17th century, and some space characteristics and actions of characters are investigated in the view of literature-history as follows; First, spaces in the novel can be classified into two sides. One was space's formation that character's wishes were realized and the other was not. Former was amicable to the character and latter was not. Second, whether the side was amicable or not, each side tried to control character along with each one's status, and in this point, “Biograph of Wi, Gyung-cheon” can be said to have plot that two side competed to draw the character into its own domain. Third, Wi took the worth that ‘one side' advocated, and ‘his taking' became against what ‘the other side' advocated. Wi took the worth to obtain his own identity, and his action can be, logically, said to show ‘resistance against the other worth'. Fourth, in “Biograph of Wi, Gyung-cheon”, both centrifugal space and centripetal space can be seen simultaneously, and one space stared at the other space, and confrontal composition appeared with non-Euclidean geometric recognition. The novel has remarkable literature-historic meaning in the point that it gave diversity to spaces and actualized human lives stereoscopically. <위생전>은 17세기 소설 가운데서 특이한 위상을 점하고 있다. 공간을 인물의 운명으로 조건지우는 한편 삶의 가치를 다층화하는 수단으로 삼았기 때문에 이렇게 볼 수 있다. 공간은 두 가닥의 대열로 나타난다. 한 가닥은 인물이 소망을 이루는 공간 대열이고, 다른 한 가닥은 인물이 소망을 이루지 못하는 공간 대열이다. 위경천은 성격이 다른 두 가닥의 공간 대열을 교차적으로 밟아나간다. 세 차례나 제시되는 소숙방의 집을 A대열이라 하고 악양성 나루터, 위경천의 집, 전장터를 B대열이라 할 때, A대열 → B대열 → A대열 → B대열 → A대열의 과정을 보인다. A대열에서 내세우는 가치는 개체의 행동양식이고, B대열에서 내세우는 가치는 집단의 윤리체계인데, 각 공간 대열은 서로 자기 쪽으로 위경천을 끌어들이고자 한다. <위생전>의 의의는 여기서 드러난다. 17세기의 공간이 인물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세세하게 파헤침으로써, 공간을 다변화하고 인간의 삶을 입체적으로 형상화했다는 점이 <위생전>의 의의가 된다.

      • KCI등재

        조선 초기 大閱의 정립과진법훈련의 변화

        허대영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22 군사 Vol.- No.122

        During the oepiod of the early Chosŏn Dynasty, The battle formation training was established as a military training ritual called ‘Daeyeul’, and had two characteristics: military training and military ritual. In previous studies, one only aspect of military training rituals has been focused on military training or military rituals. This thesis aims to reveal the military historical implications by examining the changes of battle formation training of Deayeul established as military training rituals in the early Chosŏn. The Battle formation training in the early Chosŏn was organized as a military training ritual from the King Taejong's regime. At that time, the ritual process of Daeyeul followed Kaiyuan Rites, but training process was based on Jindobeop. The Jindobeop followed Jeong Do-jeon's military theory, which was succeeded Rites of Zhou. The task of establishing the Daeyeul as a military training ritual at the Sejong's regime was to unify the ritual process of Kaiyuan Rites with the Rites of Zhou. For the purpose, Gyechukjinseol was published and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Daeyeul as the ideal training ritual in Chosŏn. After that, the training methods of the military training rituals of Chosŏn began to change. Ideological and the formal training methods were problems and tried to improve it. New training methods were attempted through Yeulmu, Sŭbjin. At first Military books of Chosŏn was just reorganizing the contents of Chinese military studies, but OwiJinbeop, an independent military training methods were created. The training types in OwiJinbeop was practical and concrete training that changed from ideological and formal training. 조선 초기 진법훈련은 ‘大閱’이란 이름의 군사훈련의례로서 정립되었고, 군사훈련과 군사의례라는 두 가지 성격을 갖고 있었다. 기존 연구에서는 군사훈련의례의 군사훈련 혹은 군사의례라는 한 측면만 주목해왔다. 본 논문은 조선 초기 국가의례의 하나로서 정립된 대열 절차 중 진법훈련의 구체적인 내용 및 그 변화를 검토하여, 그 군사적 함의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조선 초기 진법훈련은 태종대부터 군사훈련의례로서 정비되기 시작하였다. 이때 대열의 의례 절차는 『개원례』를 따랐지만, 진법훈련의 절차는 『진도법』의 진법론에 의거하였다. 『진도법』의 훈련절차는 『주례』의 제도를 지향하였던 정도전의 진법론을 따른 것이었다. 세종대 군사훈련의례로서 大閱儀 정립의 과제는 唐의 의례제도와 『주례』의 훈련 형식을 결합하는 일이었다. 세종대 편찬된 진법서인 『계축진설』은 그 고민의 결과물이었다. 『계축진설』의 편찬으로 조선의 이상적인 진법훈련의례로서 대열의를 정립할 수 있었다. 이후 조선의 군사훈련의례 대열의 훈련법은 문종대 이후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이념적이고 형식적인 훈련 방식에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閱武, 習陣 등을 통해서 새로운 훈련을 시도하였고, 『(오위)진법』의 편찬을 통해 결실을 맺었다. 이전의 진법서는 중국 병학의 내용을 인용하여 정리하는 수준이었다면, 『(오위)진법』의 단계에서는 독자적인 진법훈련 방식을 창안하였다. 『(오위)진법』 「대열의주」에 정리된 6가지 훈련형은 이념적이고 형식적인 훈련으로부터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훈련으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조선초 大閱儀의 의례 구조와 정치적 의미

        소순규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2 사총 Vol.75 No.-

        This study attempts to shed new light on the military rites of the Joseon dynasty, a topic which related studies have by and large avoided, by analyzing the royal military review ceremony conducted during early Joseon. The term daeyeol (大閱, military review) refers to a royal ceremony in which the Joseon king conducted a direct review of the military forces. This was regarded as a military training ceremony that fell under the category of the ‘ritual ceremonies’ that made up the gunnye (軍禮, military rites) portion of the Orye (五禮, Five Rites), or national state rites during Joseon. The structure of the royal military review ceremony was designed to clearly highlight the fact that control over the military was the prerogative of the king and that the latter was also the main actor in such military reviews. The daeyeol (military review) was first implemented during the early reign of King Sejong. The importance of daeyeol was further emphasized during the period spanning from the reign of King Sejong to that of King Seongjeong. As such, the status of the daeyeolui (大閱儀, royal military review ceremony) was eventually upgraded to the point where it was included in the Oryeui (五禮儀, Five Rites) section of the <Sejong sillok (世宗實錄, Annals of King Sejong)>. Thereafter, military training methods underwent great changes before this particular ceremony was included in the <Gukjo oryeui (國朝五禮儀, Five Rites of State)>. The implementation of the royal military review ceremony served two purposes: while was to showcase the king’s supreme command over the military, the other was to rally the troops prior to a large-scale military operation. In this regard, the royal military review ceremony was implemented right before the onset of Jurchen conquest campaigns.

      • 특집논문 : 조선초 대열의(大閱儀)의 의례 구조와 정치적 의미

        소순규 ( Soon Kyu So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구 역사학연구회) 2012 사총 Vol.75 No.-

        This study attempts to shed new light on the military rites of the Joseon dynasty, a topic which related studies have by and large avoided, by analyzing the royal military review ceremony conducted during early Joseon. The term daeyeol (大閱, military review) refers to a royal ceremony in which the Joseon king conducted a direct review of the military forces. This was regarded as a military training ceremony that fell under the category of the ``ritual ceremonies`` that made up the gunnye (軍禮, military rites) portion of the Orye (五禮, Five Rites), or national state rites during Joseon. The structure of the royal military review ceremony was designed to clearly highlight the fact that control over the military was the prerogative of the king and that the latter was also the main actor in such military reviews. The daeyeol (military review) was first implemented during the early reign of King Sejong. The importance of daeyrol was further emphasized during the period spanning from the reign of King Sejong to that of King Seongjeong. As such, the status of the daeyeolui (大閱儀, royal military review ceremony) was eventually upgraded to the point where it was included in the Oryeui (五禮儀, Five Rites) section of the <Sejong sillok (世宗實錄, Annals of King Sejong)>. Thereafter, military training methods underwent great changes before this particular ceremony was included in the <Gukjo oryeui (國朝五禮儀, Five Rites of State≫. The implementation of the royal military review ceremony served two purposes: while was to showcase the Icing`s supreme command over the military, the other was to rally the troops prior to a large-scale military operation. In this regard, the royal military review ceremony was implemented right before the onset of Jurchen conquest campaigns.

      • KCI등재SCOPUS

        대열주행을 위한 V2V 통신 기반 자율협력주행 알고리즘 개발

        김동환(Donghwan Kim),하윤철(Yunchul Ha),김세환(Sehwan Kim),이상엽(Sangyeop Lee),박기홍(Kihong Park),박현배(Hyunbae Park),전재석(Jaeseok Jeon) 한국자동차공학회 2021 한국 자동차공학회논문집 Vol.29 No.4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existing autonomous driving functions relying solely on environmental sensors via V2V communication. In this paper, a cooperative autonomous driving algorithm was developed by using V2V communication to allow a safe and comfortable convoy driving with the preceding vehicles. The algorithm implements CACC when the convoy is maintained with the preceding vehicle. In addition, the algorithm has been designed to handle situations that can lead to dangerous conditions when handled only by a CACC logic, such as when the convoy changes its formation by a merging or leaving vehicle in front. For validation, simulation was carried out on different scenarios, and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can significantly improve string stability during convoy driving compared to ACC and CACC algorithms.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can provide enhanced comfort by completing transient convoy maneuvers with minimum control effort.

      • KCI등재

        조선시대 軍禮 연구의 현황과 과제

        윤혜민 조선시대사학회 2022 朝鮮時代史學報 Vol.- No.100

        조선시대 국가 의례는 吉禮․嘉禮․賓禮․軍禮․凶禮의 五禮 체제로 구성되어 있었다. 禮治를 표방한 조선에서는 국가 의례를 통해 국왕의 지위를 상징적으로 구현하려 했는데, 오례 중에서도 제왕의 통치 의례라는 측면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항목이 바로 군례였다. 군례는 군의 기강을 확립하는 효과와 함께 군의 최고 통수권이 국왕에게 있음을 가시적으로 확인시켜주며, 왕의 절대적인 책임과 권위를 강조해 주었던 것이다. 조선의 국가 의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다양한 연구 성과들이 축적되고 있지만, 아직 군례는 그 중요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조선의 군례에 관한 그동안의 연구 성과들을 점검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군례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추진해야 할 과제들을 제시하였다. 군례에 대한 연구 성과들은 ‘國家典禮書의 군례 연구’와 ‘군례 세부 주제별 연구’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국가전례서의 군례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대표 국가전례서인 『世宗實錄』 「五禮」, 『國朝五禮儀』, 『國朝續五禮儀』, 『國朝五禮通編』, 『春官通考』, 『大韓禮典』 등에 수록된 군례 항목을 분석한 연구들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으며, ‘군례 세부 주제별 연구’에서는 연구 현황을 고려하여 ‘射儀, 大閱儀와 講武儀, 宣露布儀와 獻馘儀’의 세 범주로 나누어 연구사를 정리하였다. 기존에 수행된 군례 연구들을 바탕으로, 향후의 연구 과제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군례의 유래에 대한 비교사적 연구가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의 군례가 중국으로부터 도입된 의례와 역대 한국의 왕조로부터 내려온 전례를 수용하여 형성된 것임을 고려할 때, 그 의례들을 비교․검토하는 작업은 조선시대 군례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인식시켜 주는 것은 물론이고 해당 의례의 역사적 연결성과 구조적인 이해까지 가능하게 해 줄 것이다. 그리고 국가전례서의 군례 항목에 대한 통시적이고 철저한 분석 또한 요구된다. 특히, 오례 체계 내에서 군례가 갖는 고유성과 의의를 찾고, 군례 항목의 구성과 편제 내용 및 변화 양상 등도 함께 고찰해야 할 것이다. 여기에서 군례 세부 의식의 의주 내용을 분석하는 작업은 앞으로 특히 활성화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판단되며, 기존 의주와 실제 운용된 행례 간의 간극을 파악하고 의례별 행례 빈도를 헤아리는 작업도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군례 연구에서 가장 주의해야 할 사항은 군사훈련과 군사의례를 구분해서 서술해야 한다는 점일 것이다. 이에 따라 군사훈련과 군사의례를 분리하여 의례만의 기능과 특징을 밝히는 연구와 양측의 상호 연계성에 주목하여 변화하는 양상을 유기적으로 고찰하는 연구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오례 간의 연계 연구를 비롯해 군례를 통한 제도사․재정사적 연구와 음악․미술․복식 등 다양한 방면의 학제 간 연계 연구도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During the Joseon Dynasty, national rituals consisted of Orye(五禮). It was Gilrye(吉禮), Garye(嘉禮), Binrye(賓禮), Gunrye(軍禮) and Hyungrye(凶禮). In Joseon, through national rituals, the king’s status and the justification of the royal authority were symbolically embodied. Among the Orye, the item that clearly shows the king’s ruling ritual was Gunrye. Gunrye visually showed that the king had the highest command of the military, along with the effect of establishing military discipline and strengthening military power, and emphasized the absolute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of the king. As interest in Joseon’s national rituals increases, various research results are accumulating, but the research on Gunrye are still relatively insufficient compared to their importance. Therefore, this paper examined the achievements of Joseon’s Gunrye research and presented the directions for future Gunrye research and tasks to be promoted based on this. The research results of Gunrye were reviewed by dividing them into ‘Study on Gunrye of the National Ritual Book’ and ‘Study by Detailed Topics of Gunrye’. In ‘Study on Gunrye of the National Ritual Book’, focused on the studies that analyzed the items of the Gunrye included in the national ritual book of the Joseon Dynasty, such as Orye of Sejong-Chronicle(世宗實錄), Gukjo-oryŭi(國朝五禮儀), Gukjo-Sokoryeŭi(國朝續五禮儀) etc. In ‘Study by Detailed Topics of Gunrye’, the research results were organized into three categories:Saŭi(射儀), Daeyeolŭi(大閱儀)-Gangmuŭi(講武儀), and Seonropoŭi (宣露布儀)-Hunkwekŭi(獻馘儀) in consideration of the research status. Based on the previously conducted Gunrye studies, future research tasks are as follows. First, it seems that a comparative historical study on the origin of the Gunrye should be supplemented. In addition, a thorough analysis of the Gunrye items of the National Ritual Book is also required. In particular, the work of analyzing the main contents of individual items of the Gunrye is judged to be a part that should be particularly activated in the future. The most important thing to be aware of in the Gunrye study is that military training and military ritual should be described separately. Accordingly, a study that reveals th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rituals alone by separating military training and military rituals and a study that organically examines the changing patterns by paying attention to th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two sides should also be conducted. In addition, research on linkage between Orye and institutional history and financial history through Gunrye and interdisciplinary linkage studies in various fields such as music, art, and clothing should be sought.

      • KCI등재

        1795년 정조의 화성 城操와 〈서장대 야조도〉 비교 분석

        이은주(Lee, Eun-joo),제송희(Jae, Song-hee) 한국고전번역원 2020 民族文化 Vol.56 No.-

        이 논문에서는 1795년 정조의 화성 성조와 ≪화성행행도≫ 8폭병풍 중 <서장대야조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1795년 화성 방문 당시 성곽은 미완의 상태였지만 정조는 서장대에 나아가 군사훈련을 점검함으로써 성곽 수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화성의 위상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군사훈련은 12시간 동안 진행되었는데, 壯勇外營 친군위․城丁軍․응원군 등 3900명이 참여하였고, 大臣․近臣․侍衛 관원과 다른 營門의 군사 등 2800여 명이 참관하여 화성의 위용을 목도하였다. 주간에는 성곽을 동서남북 네 구간으로 나누어 군사들을 배치하고 성에 접근한 가상의 적들을 불랑기ㆍ조총ㆍ돌멩이 등의 무기로 퇴치하는 훈련이 진행되었다. 야간에는 횃불 훈련과 走火 훈련을 행하였다. <서장대 야조도>는 화성의 위용, 장용영 군사들의 기상, 태평성대의 이미지를 극대화하고자 한 정조의 정치적 의도를 구현하는 데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성조에 대한 세부 내용은 대부분 생략되었다. 성조에 대해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形名을 통한 군대 지휘’라는 기본 상식이 어떻게 시각화되었는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성조에서 대장이 있는 곳임을 표시하기 위해 올리던 12폭 白大旗가 시각화되지 않고, 정조의 친림 사실을 부각하기 위해 황색 大閱旗와 수자기로 대체되었다. 그리고 大旗幟 38면은 서장대 앞, 성곽 길 왼쪽 2군데, 행궁 앞 등 4곳에 20면 정도로 줄여 묘사되어 있지만, 정조와 장용외사 앞에는 대기치 38면을, 그 외 장용대장 20면, 훈련대장 11면 등 조련에서의 비중에 따라 달리 배치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名을 이루는 吹打로는 나팔․호적․징․북․鑼․발라․자바라․점자가 활용되었고, 장고․관․적․해금 등 4종류의 細樂이 편성되었다. 이들 취타수와 세악수들이 <서장대 야조도>에는 전혀 시각화되어 있지 않아 이례를 보인다. This paper aimed to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f the Seojangdae Yajodo included in the Eight-Panel Folding Screen of the Royal Procession to the Ancestral Tomb in Suwon (Hwasung Haenghaengdo). During King Jeongjo’s visit to Hwaseong in 1795, the fortress was in an incomplete state. However, he went to Seojangdae to check the soldiers’ training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efending the fortress and strengthening its status. The military exercise lasted 12 hours. The drill involved 3,900 soldiers, including members from the Outside of Jangyong Camp and other military personnel. Furthermore, 2,800 persons, including major officialsㆍpresidential aidesㆍthe captain of the guardㆍsoldiers of other military agencies, observed the military exercise. During the day, the fortress was divided into four sections, east, west, north, and south, and military forces were deployed to combat virtual enemies who approached the fortress with weapons such as bullanggi, gun and stone. Torch training and bombing exercise were conducted at night. Most of the details of the military training at Hwaseong Fortress were omitted, because Seojangdae Yajodo focused on realizing the splendor of Hwaseong, brave figure of Jang Yongyeong’s soldiers and the political intentions of King Jeongjo to maximize the image of reign of peace. The analysis of Seojangdae Yajodo focused on how the basic concept of ‘military command through military banners and sound signals’ was visualized. First of all, the royal court hung a large yellow Parade Flag and Captain’s Flag to highlight the fact of King Jeongjo’s direct participation. Although the 38 large banners were reduced to about 20 sides in front of Seojangdae, two on the left side of the fortress road and on the front of Haenggung Palace, it was confirmed that the banners were arrang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training. A total 38 sides of large banners could be placed in front of Jeongjo and Outside of Jangyong Camp, Further, 20 sides were placed on Jangyong Camp’s Captain and 11 sides were placed on the Training Camp’s Captain. Meanwhile, for the sound signal, bugle, traditional conical oboe, gong, drum, large gong, trumpet shell, cymbals, and small gong were used. Moreover, four small pieces of sheet music played on Janggu, Pipe, Daegeum, and Haegeum were organized. Incidentally, unusually, instrument players are not visualized at all in Seojangdae Yajodo.

      • KCI등재

        중국 텐센트 그룹의 범오락 IP 문화산업 전략에 대한 연구

        강설금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23 도시인문학연구 Vol.15 No.2

        본고는 IT를 기반으로 한 중국의 게임문화 산업의 발전양상을 고찰했다. 그 결과 중국의 IT 기반 문화산업은 IP를 매개로 독특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그 성장 속도가 매우 빠름을 알 수 있었다. 현재 중국은 문화강국을 향한 강한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문화 융성은 신중국 이래 지금까지 꾸준히 제기된 화두이다. 텐센트 그룹의 범오락은 민간기업의 마케팅 전략으로 출발해 정부의 문화정책을 수용하며 중국 문화산업의 한 분야로 자리잡은 중요한 개념이다. 범오락의 출발점은 스타 IP를 중심으로 관련 문화 상품의 발전을 도모하는 팬덤경제이다. IP를 중심에 둔 범오락 문화산업 생태계의 발전은 크게 3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단계(2011-2017)는 범오락이 등장과 동시에 그 성과를 증명한 시기이다. 텐센트는 2010년에 론칭한 어린이 온라인 커뮤니티 로코 킹덤을 통해 범오락의 실효성을 확인했다. 2단계(2018-2020)는 정부가 문화산업에 큰 관심을 보이고, 기업이 이에 반응하는 시기이다. 2017년 공산당 전국대표회의는 물질문명과 정신문명 사이의 모순을 지적했고, 텐센트는 이에 빠르게 대응하면서 2018년부터 문화가치를 중시하는 신문창 전략을 제시했다. 3단계(2021-현재)는 창작자 대중을 위한 환경 개선이 주요 이슈로 대두되는 시기이다. 인재의 부족을 실감한 텐센트는 2021년부터 자회사 열문 플랫폼을 창작자 친화적인 환경으로 개선하고 인재 육성과 지원을 강화하는 대열문 전략을 제시했다. 중국 문화산업의 빠른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범오락 현상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읽을 수 있다. 첫째, 기업의 마케팅 전략이 국가의 문화정책의 방향을 견인했다는 점이다. 둘째는 개방적 수용과 통제라는 정부의 이중적 태도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정부는 시장의 변화를 빠르게 읽고, 범오락으로 대표되는 문화산업의 생태계 형성을 적극 지원했다. 그리고 범오락주의 등의 폐단이 나타나자 이를 지적하며 강력한 제재를 가했다. 셋째는 자급자족의 문화산업화 현상이다. 범오락은 미국의 디즈니를 비롯한 선진국의 문화양상을 차용해 출발한 전략이다. 중국의 민간기업은 서양의 아이디어를 차용하는 한편 중국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중국식 전략을 발전시켰다.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of China's game culture industry based on IT. As a result, China's IT-based cultural industry forms a unique ecosystem through IP, and the growth rate is very fast. Currently, China is showing a strong will to become a cultural powerhouse. Cultural prosperity has been a topic that has been raised steadily since New China. Tencent Group's pan-entertainment is an important concept that started as a marketing strategy for private companies, accepted the government's cultural policy, and became a sector of Chinese cultural industry. The starting point of pan-entertainment is the fandom economy that promotes the development of related cultural products, focusing on Star IP. The development of the pan-entertainment cultural industry ecosystem centered on IP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2011-2017) is the time when pan-entertainment appeared and proved its achievements. Tencent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pan-entertainment through the children's online community Rocco Kingdom, which was launched in 2010. The second stage (2018-2020) is when the government shows great interest in the cultural industry and companies respond to it. In 2017, the National Congress of the Communist Party pointed out the contradiction between material and spiritual civilization, and Tencent quickly responded to it, suggesting a Xinwenchuang strategy that values cultural values from 2018. Phase 3 (2021-present) is a time when environmental improvement for the creator public emerges as a major issue. Realizing the shortage of talent, Tencent proposed a Da Yuewen strategy to improve its subsidiary Yuewen platform into a creator-friendly environment and strengthen talent development and support from 2021.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can be read in the pan-entertainment phenomenon that is driving the rapid growth of the Chinese cultural industry. First, the company's marketing strategy drove the direction of the country's cultural policy. Second, we can think of the government's dual attitude of open acceptance and control. The government quickly read the changes in the market and actively supported the formation of an ecosystem of the cultural industry represented by pan-entertainment. In addition, when harmful effects such as pan-entertainmentism appeared, they pointed out this and mobilized strong sanctions. Third is the cultural phenomenon of self-sufficiency. Pan-entertainment is a strategy that started by borrowing cultural aspects of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Disney in the United States. While borrowing Western ideas, Chinese private companies developed a Chinese-style strategy by adding Chinese elements.

      • KCI등재

        박영근 시에 나타난 '길'의 공간성 연구

        오윤정 한국시학회 2022 한국시학연구 Vol.- No.69

        본고는 박영근의 시를 대상으로 시적 공간의 양상과 특징을 살피고자 한다. 노동시의 관점으로만 접근되었던 박영근 시에 대한 문학사적 규정은 박영근의 시를 한정된 테두리에 가두고, 그에 대한 다채롭고 폭넓은 읽기를 제한해 왔다. 노동시인 혹은 민중시인이라는 규정짓기를 넘어 박영근 시의 미적 특징을 고찰하는 논의가 필요하다. 박영근의 시에는 안양천, 영등포, 가리봉, 바리케이드, 감옥, 몽골초원 등 다양한 시적 공간이 나타난다. ‘길’은 이러한 시의 공간들을 연결하는 중심이다. ‘길’은 박영근 시를 관통하는 주요한 핵심어이자, 시의 내면으로 접근할 수 있는 주요 통로가 된다. 본고는 이를 공간성의 관점으로 접근하여 그 양상과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박영근의 시에서 ‘길’은 경계와 단절의 공간, 대열의 길, 그리고 무한한 수평성의 확장 공간으로 나타난다. 먼저 경계의 공간은 내가 걸어온 길과 걸어갈 길 사이에 놓여 있다. 그 안에서 시적 화자는 어떤 것도 결정하지 못한 채 단절된 자리에 머문 자로 나타난다. 한편 ‘대열’은 우리가 함께 걷는 길, 투쟁과 노동자의 삶의 길을 형상화하는데, 노동자로서의 계급성 안에 확고한 자기 자리의 공간을 확립하려는 의지를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박영근의 지향 공간은 ‘몽골 초원’으로 나타난다. 몽골초원은 앞뒤도, 대립의 정면성도, 경계성도 모두 와해된 공간이다. 삶의 길을 걸어 도달한 ‘몽골초원’은 모든 시간이 그대로 멈추어선, 본질의 공간이다. 또한 이 길은 수평성을 통해 자신을 무한하게 확장하며 새로운 삶을 향한 지향을 보여준다.

      • KCI등재

        近肖古王 24년 황색 깃발 사용에 대한 검토

        나용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2 東洋學 Vol.- No.87

        According to ‘Baekjebongi’ of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Samguksagi), King Geunchogo took action for unifying all flags into yellow, inspecting the troops in Year 24 of his reign. The preceding studies understand that this represents an emperor ritual or reflects the unification of the military command system, concerning its significance. However, to scrutinize various materials, it is not appropriate to put the conventional view into the case or quite a few opposing elements are found. Thus, there is room for reconsideration. Attention is drawn to the concept of the ‘reform of the calendar and color,’ which has long been in fashion in the East Asian region since established in the Han Dynasty. This is characteristically use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identity of a particular political body. Moreover, to realize this in reality, a method to choose a specific color and respond uniformly to various articles, and the flag is also included here. This characteristic suggests that the case in Baekje also was affected by the concept. It is judged that Baekje was already well aware of the system of thoughts to understand and realize the concept from long ago through exchanges with China, focused on Nakrang and Daebang States and human resources flowed in through this. Also, it was time when there was a certain reorganization of the national system by Baekje, long conducted in the mid-4th century and when the independent identity formed in the process was recognized internationally. Moreover, Year 24 of King Geunchogo’s reign was the time when a good cause for carrying out a symbolic declaration with the meaning embracing the above performance was prepared for according to winning the first war with Goguryeo, conflicted in seizing hegemony over the Korean peninsula, sharing the source of legitimacy. Baekje unified the color of the flag, accepting the concept to symbolically decorate this. In addition, the yellow color was chosen because the Goguryeo’s crack troops defeated at the time used a red flag. Meanwhile, in the period centered on the mid-4th century, between the Wei-Jin and Northern& Southern Dynasties and 5hu (Five Barbaric Tribes) 16 guo Dynasty/Northern Dynasty of China, there was a difference in realizing the concept. Baekje had aspects more similar to the latter. Furthermore, it is judged that Baekje might understand information about 5 Hu 16 Guo Dynasty through migrants from Nakrang and Daebang States or Former Yan’s Northern Qi Dynasty. Thus, separately from the problem when the notion was recognized, it is noted that as for King Geunchogo’s action in Year 24 of his reign, the action, taken by 5 Hu 16 Guo Dynasty might act as a more direct reference case. 三國史記 百濟本紀에 의하면 近肖古王은 재위 24년에 大閱을 하면서 깃발을 모두 황색으로 통일시키는조치를 취하였음이 확인된다. 이에 대하여 선행 연구는 일종의 황제 의식을 나타낸다거나, 혹은 군대 지휘체계의 일원화를 반영한다고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견해를 해당 사례에 대입해 보면, 적합하지 않거나 반대되는 요소들이 적잖이 확인되어 재고의 여지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改正朔 易服色’ 관념이 주목된다. 이 관념은 특정 정치체의 정통성 및 정체성을 확립함과 관련된 성격을 갖고 있다. 그리고 현실에 실현하기 위한 방식으로 특정한 색상을 선택하여 각종 기물에 일률적으로 대응시키는 조치를 취하였는데, 깃발 역시 포함되었다. 이러한 특징은 백제의 사례 역시 여기에 영향을받아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당시의 백제는 낙랑·대방군을 통한 중국 여러 왕조와의 교류 및 이를 통해 유입된 인적자원을 통해 이 관념을 이해하고 실현함에 필요한 사상체계를 숙지하였던 상태라 판단된다. 또한 4세기 중반은 장기간 진행되어온체제 개편의 작업이 일정한 성과를 보임과 동시에, 그 과정에서 형성된 독자적 정체성 역시 국제적으로도 인정받기 시작한 때였다. 그리고 근초고왕 24년은 정통성의 발원처를 공유함과 동시에, 한반도 지역에 대한 패권을둘러싸고 갈등을 벌였던 고구려와의 전쟁에서 승리한 시점이었다. 백제는 이러한 성과를 상징적으로 장식하기위해 ‘改正朔 易服色’ 관념을 수용하여 깃발의 색상을 황색으로 통일하는 조치를 취한 것이라 생각된다. 한편 魏晉·南朝 및 五胡十六國·北朝 사이에서는 ‘改正朔 易服色’ 관념을 실현하는 방식에 차이가 확인되는데, 백제는 후자와 더 유사한 측면이 있다. 당시 백제는 낙랑·대방군 출신 유민이나 前燕의 東夷校尉를 통해 五胡十六國의 정보에 대해 파악하고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해당 관념의 인지 시점과는 별개로, 그것을 실제로 실현시킴에 있어서는 五胡十六國이 취한 방식이 보다 직접적인 참고 사례로 작용하였을 가능성을고려해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