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19세기 전후 낙동강 河口地域의 소금생산과 소금선운에 관한 연구

        이근우,신명호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9 No.2

        영조 7년(1731)에 救荒을 목적으로 시행된 명지도의 公鹽場化는 국가에도 큰 이 익이 되었고 명지도의 鹽民들에게도 큰 이익이 되었다. 그러므로 영조 7년에 이어 영조 21년(1745)의 蒜山倉節目이 시행된 후 명지도의 公鹽制는 100여 년간 유지될 수 있었다. 그런데 영조 21년(1745)의 蒜山倉節目이 장기간 지속되면서 수많은 문제가 발생 하였다. 그것은 무엇보다도 판매문제와 생산비문제에서 제기되었다. 판매의 경우, 蒜山倉에서 거둔 3천석의 소금을 매진한 다음에야 명지도의 鹽民들이 소금을 판매 할 수 있었다. 그런데 蒜山倉의 관리들은 정해진 3천석뿐만 아니라 사적으로 소금 을 확보하여 판매함으로써 큰 이익을 얻었다. 나아가 자신들의 이익을 확대하기 위 해 명지도 鹽民들의 소금판매를 계속 억제하였다. 당연히 소금을 팔지 못한 명지도 鹽民들은 점점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명지도에서 소금이 대량 생산되면서 연료 문제가 크게 문제되었다. 煮鹽을 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연료가 필요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연료가 급격히 고갈되어 연료공급가는 폭등하였기 때문이다. 이외에 명지도 鹽民들에게 이것저것 각종 명목의 세금이 부과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철종 6년(1855)에 명지도의 公鹽制 가 폐지되었다. 명지도의 公鹽制에 따른 문제가 많이 있었지만, 영조대부터 철종대까지 100여년 이 넘도록 명지도에서 公鹽制가 시행될 때, 명지도는 조선최고의 소금생산지로 떠 올랐다. 명지도에서 생산된 소금은 낙동강 뱃길을 따라 경상도 거의 전역에 판매되 었다. 낙동강을 왕래하는 배는 소금을 운반하는 鹽船과 일반화물을 운반하는 貨船 으로 나눌 수 있다. 낙동강의 운반선은 江船 특히 廣船이라고 하는데, 큰 것은 500 석 내지 230석, 작은 배는 150석 정도를 실을 수 있었다. 이러한 배들의 吃水는 1척 5촌에 달하는 것도 있었으나, 대개는 1척 2촌이었고, 소강지점은 대체로 왜관이었 다. 왜관 이상의 상류로 운반할 때는 작은 평저선을 이용하였다. 이 같은 명지도의 소금생산과 낙동강의 물류는 당시 조선을 대표하는 해양수산업이자 해양물류산업 이기도 하였다. In 1731(young-jo 7), the myungji and noksan salt fields became government salt production fields as a new source of income for a very bad harvest. The result was pretty successful. government as well as salt producer have got a great deal of profit from government salt production system. so, the government salt production system have continued to 1855(chul-jong, 6), about 120 years long. But as the government salt production system have continued, many problems have emerged. Most of them were marketing problems and fuel price problems. in order to assure the provision of rice to poorer families and to better utilize use the profit made in the myungji and noksan salt fields, the san san chang(蒜山倉) was established. The san san chang(蒜山倉) loaned 1,500 bags of rice to the salt producer of the myungji and noksan salt fields, took back 3,000 bags of salt from the salt producer of the myungji and noksan salt fields and utilized those salt in the villages near the nakdong river. The salt producer of the myungji and noksan salt fields could not sell their salts until the san san chang(蒜山倉) sold out the 3,000 bags of salt. so, the salt producer of the myungji and noksan salt fields have had many complaints. in the long run, the government salt production system was abolished in 1855(chul-jong, 6) When the government salt production system was continued in the myungji and noksan salt fields, the salts of those areas were transported by the salt ship(鹽船) named as the kwang-sun(廣船). the kwang-sun(廣船) could load from 150 bags of salt to 500 bags of salt.

      • KCI등재

        땅이름 명지(鳴旨), 취량(鷲梁) 연원과 변천

        이근열 한국지명학회 2024 지명학 Vol.40 No.-

        이 논문은 부산 강서구에 있는 명지의 땅이름의 변천과 연원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상으로 명지가 최초로 나타난 것은『경상도지리지』(1425)이다. 여기에는 취량 바다의 섬을 세속에서 명지로 부른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후『세종실록 지리지』(1432)에서도 취량도의 속칭이 명지임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신증동국여지승람』(1530)에서는 취량 바다에 섬이 바로 취도이고, 이 취도는 명지도와 다른 섬으로 기록하고 있다. 이후 자료에서는 취도와 명지도가 다른 섬으로 기록되어 있다. 둘째, 애초 같은 섬이었던 취도와 명지도가 후대에 다른 섬으로 기록된 것은 최초의 문헌 기록인 ‘취량은 바다 가운데 섬이다[有鷲粱海中島也]’를 ‘취량 바다에 섬이 있다.’로 해석해서 나타난 오류이다. 이 때문에 취량 바다에 있는 섬을 명지로 인식하게 되었다. 셋째, 취도는 가공의 섬이다. 그 근거로는 취도에 취암이라는 바위에 근거해 명명하였다고 하나 이 지역 지형도 상에 바위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 취도와 명지도의 위치가 지도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 김해부에서의 거리가 기록마다 차이가 난다는 점 등이다. 넷째, 을숙도가 취도라는 주장은 1917년 일제 지형도에서 을숙도가 나타나지 않으며, 1943년 지형도에 지금과 유사한 형태의 하단도(下湍島)가 나타나고, 1959년에 월숙도란 지명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을숙도 형성 시기와 취도와 존재 시기가 맞지 않기에 부정된다. 다섯째, 명지는 ‘울ᄆᆞᄅᆞ[울말]’로 재구할 수 있으며, 그 뜻은 바다 우는 소리가 들리는 땅으로 후부요소 ‘지(旨)’는 마을의 뜻이 아니라 땅을 뜻한다. Myongji, Chwi-do, C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place name etymology and change of Myongji, Cwiryang in Busan Gangseo-gu.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irst literature in which Myongji appeared is the『Gyongsangdojiriji』(1425). It records that the island in the Chwiryang Sea is called Myeongji as a secular place name. Since then, the『Sejongsillokjiriji』(1432) has also revealed that Chwiryang-do’s secular place name is Myongji. However, in the『Sinjeungdongguk- yeojiseungnam』(1530), the island in the Chwiryang sea is Chwi-do, and this Chwi-do is recorded as a different island from Myongji-do. Since then, Chwi-do and Myongji-do have been recorded as different islands in the『Donggukyeojiji』(1658),『Yeojidoseo』(1760),『Donggukmunheonbigo』(the end of 18C), and『Daedongjiji』(1866). Second, the reason why Chwi-do and Myongji-do, which were originally the same island, were recorded as different islands in later times is an error caused by interpreting the first literary record, “Chwiryang is an island in the middle of the sea,” as “There is an island in the Chwiryang sea.” Because of this, the island name in Chwiroyang Sea was recognized as myongji. Third, Chwido Island is a fictional island. Although Chwi-do was named based on a rock called Chwiam, there are no rocks on the topographic map of the area, the location of Chwi-do and Myongji-do varies depending on the map, and the distance from Gimhae-bu varies depending on the record. Fourth, Eulsuk-do is not a Chwi-do. The reason is that the period of formation of Eulsuk-do and the period of existence are different from those of Chwi-do. In other words, Eulsuk-do did not appear on the Japanese topographic map in 1917, Hadan-do in a similar shape to the current one appears on the topographic map in 1943, and the name Wolsuk-do appears in 1959. Fifth, Myongji can be reconstructed as ‘Ulmal’, which means ‘the land where the sound of the sea crying can be heard’. Here, the latter element ‘-ji(旨)’ means the land, not the meaning of the village. hwiryang, Eulsuk-do, Ulmalm, placename of Busan

      • KCI등재

        MZ세대와 소통하는 맞춤형 대학 채플의 모색 -명지대학교 채플 사례를 중심으로-

        김진옥 한국대학선교학회 2023 대학과 선교 Vol.55 No.-

        In Christian universities and colleges, the chapel’s place and role are substantial. The chapel confirms the identity of the Christian school and gives a solid chance to evangelize the campus. However, regrettably, the university chapel is losing its place and role increasingly, because of many social, religious, and educational factors, like postmodernism, religious secession, hostility to Christianity,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o rehabilitate the university chapel, it is fundamentall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new participants of the chapel, namely the MZ generation. This paper researches the appropriate paradigm of the chapel for the MZ generation. Reviewing the chapel at Myongji University, which is highly appreciated by most students, this article suggests the appropriate method and technique for the university chapel. The chapel of Myongiji university could be characterized by the ‘Music & Talk’ chapel. Reminding that ‘communication with the students and consideration for their needs’ are crucial for university chapel, this article suggests ‘Music & Talk’ as an adequate model for the MZ generation students. 코로나19, 포스트모더니즘, 탈종교화와 기독교에 대한 사회적 비판 등의 요소들은 기독교 대학 내에서 채플의 입지를 약화시키고 있다. 급변하는 대학교육의 현장 속에서 복음을 효과적으로 전하기 위해서 채플에 참여하는 MZ세대를 이해하고 이들과 소통하는 맞춤형 채플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고는 먼저 MZ세대의 의미와 그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며, 이를 바탕으로 이들과 공감하며 소통하는 채플의 방향성과 모습을 생각해 보고자 한다. 특별히 본 논고는 현재 대다수 학생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명지대학교의 채플 사례를 검토하고 분석하는 가운데 MZ세대를 위한 효과적이고 구체적인 맞춤형 채플의 모습을 제안하고자 한다. 명지대학교 채플은 ‘뮤직 & 토크’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그 중심에는 참여하는 학생들, 특히 비기독교 학생들에 대한 소통과 배려가 있다.이 글은 대학 채플에 있어서 MZ세대에 대한 이해와 소통의 중요성을 재차 확인하며 대학 채플이 참여자인 학생들을 중심으로 항상 변혁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 KCI등재

        장애유형별 사립대학복지시설에 관한 고찰

        이명주(Lee, Myoung-Ju) 한국교육시설학회 2004 敎育施設 Vol.11 No.6

        Private universities are going through difficulties in improving facilities for the disabled students due to financial reasons. Extension elevators, grips on both sides of the hallways for the visually disabled, handrails on the walls of ramps and stairs in the existing building, and improvement of the dormitory chambers are some items of such facilities in this analysis of MyongJi University. Hence, financial support based on the long-term plans and evaluations from the National Treasury to private universities with financial stringencies, will be a critical promotion in appropriating educational budgets and executing corresponding funds. This will eventually bring equal development of educational welfare for the disabled students among national, public, and private universities.

      • 명지지구 A블록 추가지반조사 및 기초설계 보고서(요약)

        정성교,김성렬,류춘길 東亞大學校 建設技術硏究所 2007 硏究論文集 Vol.31 No.1

        낙동강 하구 델타지역에서 아파트 단지를 건설하기 위하여 신호 및 명지지역에서 정밀지반조사와 현장말뚝재하실험을 통하여 건축물의 기초공법에 대한 검토가 다각도로 이루어졌다. 건축물의 기초는 안전을 최우선으로하며 경제적으로 설계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 KCI등재

        노자철학에 있어서 존재와 인식의 상관성

        이종성 대동철학회 2000 大同哲學 Vol.10 No.-

        도는 노자철학의 중심개념으로서 모든 존재의 근원이다. 그것은 세계를 구성하는 본원적 존재이며, 우주가 생겨나는 힘이고, 만물이 운동 변화하는 법칙이며, 인간행위의 기준이 된다. 존재론적 측면에서 볼 때 도는 시간적으로는 선재성 즉 초시간적 존재이며, 공간적으로는 보편성 즉 초공간적 존재이며, 도 자체로 볼 때는 자재성 즉 독립상존하는 존재이다. 다시 말하자면 궁극적 존재로서의 도는 어떤 이름도 붙지 아니한, 어떠어떠한 것으로 서술되기 이전의 그냥 있는 존재로서 어떠한 형태적 구별이나 서술어가 붙기 이전의 근원적 존재이다. 그래서 노자는 존재 아닌 존재를 인식하려고 하고, 인식 아닌 인식으로 존재를 인식하려고 한다. 그러므로 노자철학에 있어서 존재의 범주 안에는 본원존재와 의미화된 존재가 서로 다른 차원이면서도 구분 없이 함께 거론되고, 또한 인식의 범주에서도 분별지와 무분별지가 같은 맥락에서 구분 없이 이야기된다. 이 때 본원존재는 무분별지와, 의미화된 존재는 분별지와 서로 조응한다. 따라서 노자가 존재 아닌 존재를 인식한다는 것은 본원존재를 인식한다는 말이며, 인식 아닌 인식이란 무분별지를 의미하게 된다. 노자는 존재와 인식의 상관성을 통하여 우리의 감각지각적 한계를 지적함과 동시에 인간의 이율 배반적인 사유형식을 외계에 투사한 인식방법을 비판하며, 순수존재 또는 순수형상으로서의 도를 통찰 하기 위한 방법을 역설적으로 제시한다. 노자는 우리가 도를 체득하는 길이 의식지향이 배제된 무분별지에서 가능하다고 본다. 그래서 노자는 의식지향을 통하여 세계를 인식하는 분별지를 부정한다. 우리가 사물의 고정된 실체성에 대한 믿음으로부터 자유롭고, 모든 개념적 분별이나 자기의식으로부터 자유로울 때 존재와 인식은 근원적으로 어떠한 간극도 없이 일치 환원된다고 한다. 여기에서 우리는 모든 대립을 싸고 넘어선 진리 그대로를 체득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지를 가능하게 하는 지식이 바로 명지이다. 또한 이러한 명지를 바탕으로 존재와 인식은 하나로 공속하게 되고, 인간은 현상 만유의 세계로부터 절대적 근원의 세계인 도를 알게 된다고 노자는 보는 것이다. Tao, the central conception of the Lao Tzu Philosophy, is the origin of being. It is the fundamental being composing the world, the energy creating the universe, the law moving and changing things, and the standard of human behavior. Seen in existential aspect, tao transcends time and space. Meanwhile, it is self-existent. In other words, tao is the fundamental being preceding any morphological distinction or predication. As a result, Lao Tzu attempts to recognize being which is not being with cognition which is not cognition. Such an attempt makes the two beings of different dimension, the fundamental being and the signified being, indiscriminatively discussed. It also in the category of cognition leads to the indiscriminative discussion of distinctive knowledge and indistinctive knowledge. The fundamental being in the Lao Tzu philosophy corresponds to indistinctive knowledge, and the signified being to distinctive knowledge. Therefore, for Lao Tzu, the cognition of being which is not being means recognizing the fundamental being, and the cognition which is not cognition refers to indistinctive knowledge. Correlating being with cognition, Lao Tzu points out the limitation of human sense and perception, criticizes the cognitive methodology that projects the antinomic mode of thinking, and paradoxically suggests a method of penetrating tao as a pure being or a pure figure. Lao Tzu believes that tao can be mastered by indistinctive knowledge which has conscious orientation excluded. As a result, he denies distinctive knowledge which recognizes the world through conscious orientation. Being fundamentally gets in accord with cognition when we are free from the fixed belief in the substantiality of things, and when we are free from all the conceptual distinction and self-consciousness. It is at this moment that we come to experience truth transcending all the opposite as it is. And such a state can be attained through bright wisdom by which being and cognition become one and we get to discern tao, the world of absolute origin, from the world of phenomenon.

      • KCI등재후보

        대학기록관 시소러스 구축 지침의 개발 연구 - 명지대학교 대학사료실의 사례를 중심으로 -

        이해영,최영실,이현정,이미영,이은영,이혁준,박미자 한국기록관리학회 2008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8 No.1

        Some issues and solutions considered for the various situations that we fac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guidelines of thesaurus construction are described in this paper. There were many proper names and proper nouns among the terms considered in the process. The thesaurus needed to include a function of an authority file. Preferred terms were selected based on what the university's official records would use. The scope of the proper names for inclusion was the people who held official positions in the university and the people who were the subject of the materials. However, when the system allows synthesized retrieval of the field of creator and donor, inclusion of too many names were considered unnecessary. 이 논문에서는 대학기록관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통제하여 검색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시소러스 구축을 위한 지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과정에서 도출된 다양한 상황과 그에 대응하는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개발 과정에서 고려된 중요한 이슈 및 적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대학 기록관 기록물 정리과정에서 도출된 용어들은 고유명사가 많아 시소러스는 전거파일 기능을 동시에 하도록 개발되어야 했다. 대학의 공식문서에 자주 나타나는 용어를 우선어로 제시하였다. 또한 포함될 인명의 범위는 주요 보직자 및 주제가 된 개인들로 하되, 작성자 및 기증자들의 필드 통합 검색이 가능하면 지나친 범주의 포함은 불필요했다.

      • KCI등재

        역과보(譯科譜)에 대한 서지적 연구

        한미경,Han Mi-Kyung 한국문헌정보학회 2006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0 No.2

        역과보(譯科譜)는 역과입격자(譯科入格者) 명단인 역과방목(譯科榜目) 등과 같은 1차 정보원을 기초로 재편집된 역사적 인명정보원이다. 본고는 7종의 현전 역과보를 조사하고, 내용을 분석하였다. 특히 역과보의 기록하한선으로 1882년이 언급되어 왔으나, 조사결과 현전 역과보는 1807년부터 최대 1891년까지를 수록기간으로 하고 있음을 밝혔다. 수록성씨, 본관, 역과입격자 총수 및 기록내용의 비교 결과 일본 천리대학(天理大學)의 ${\ulcorner}$역보(譯譜)${\lrcorner}$가 가장 광범위하고 충실하며, 국내본 중 장서각의 ${\ulcorner}$역과보(譯科譜)${\lrcorner}$가 대체적으로 우수하나 모두 기록의 누락이나 오류, 글자혼동 등의 문제가 있음을 발견되었다. 따라서 역과입격자 개인에 대한 정보뿐 만 아니라 그 가계 및 선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역과보 참조시 역과방목을 통한 확인 작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Yeogkwa Bo is a biographical source that was re-edited based on the primary sources such as Yeogkwa Bangmok which is the list of the successful applicants in Yeogkwa. 7 Kinds of the existing Yeogkwa Bo was studied and analyzed in bibliographical way. This study proves that the period of available record(of successful applicants' names) ranges from 1807 to 1891, although it has been mentioned before that the period of record covers as far as 1882. As a result of comparison of mentioned family names, family origins, total number of the successful applicants in Yeogkwa, and content of record, Yeog Bo of Dangrih University's shows the most extensive and substantial work, and Yeogkwa Bo of Jangseo Kag's is quite superior to other archives present at home. But both of them show problems such as errors or omission of some records, confusion in spelling and so on. Therefore, the above study implies that there should be process of checking through study of Yeogkwa Bangmok when making reference to Yeogkwa Bo which provides biographical information on family trees and origins as well as information on the individual successful applicants in Yeogkw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