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義寂의『法華經論述記』에 나타난 一乘觀과 그 사상적 배경 고찰

        차차석 한국불교학회 2016 韓國佛敎學 Vol.79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origin and concept of the “one vehicle” (一乘) as it is presented in the Beophwagyeongron-sulgi (法華經論述記 Commentary on the Lotus Sutra) written by Euijeok (義寂), a monk of the Silla Dynasty. Euijeok is known as an academic monk who mainly studied Yogacara thought. He was not a theorist of the Lotus Sutra. Nevertheless, he wrote many things related to the Lotus Sutra. Euijeok summarized his Beophwagyeongron-sulgi by saying: “It reveals the one vehicle by breaking two” (破二明一) breaking two and revealing the one. Here “breaking two” does not mean to refute the “two vehicle” concept, but to refute the attachment and discrimination of it. Even though Euijeok lived at a later time than Wonhyo, he emphasized practical Buddhism as much as Wonhyo did. It seems that he realized the practice of teaching the Lotus Sutra would eliminate delusion (avidy.) and help one achieve enlightenment. And ultimately it would lead one to the Buddhist Pure Land. His saying “showing the one vehicle (明一)” is very unique. “Showing one vehicle (明一)” literally means to reveal one vehicle. Euijeok’s interpretation prevents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one vehicle and also connects the specific implementation of practice which leads to actual salvation in reality. Chinese scholars tended to connect the concept of the “one vehicle” to Buddha-nature, which leads to a very difficult metaphysical concept. In this respect, however, Euijeok's interpretation of the one vehicle is very clear and practical when compared to that of Chinese scholars. 이 논문은 신라시대 의적의『법화경론술기』에 나타난 일승의 개념적 특징과 그 사상적 연원이 무엇인가를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의적은 법화사상가라기 보다는 법상유식학을 공부한 학승으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그가 남긴 저서의 목록에는『법화경』과 유관한 저서가 많다. 아직까지『법화경론술기』와『법화경집험담』이란 책이 남아 전하고 있으며, 이 논문은『법화경론술기』에 나타난 의적의 사상을 분석하는 작업이다. 『법화경론술기』는 세친논사가 저술한『법화경론』에 관해 의적이 자신의입장을 밝히고 있는 해설서이다. 의적은 이 책의 특징을 破二明一이란 용어로압축해 표현하고 있다.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파이는 이승에 대한 논파가 아니라 집착과 분별에 대한 논파를 의미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또한 길장이나 규기의 사상적 영향 속에서 유식학적 입장의 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그런 점은 파이를 화엄십지의 수행론과 결부시켜 관념적 유희로 끝나는 것을방지하고자 한다. 명일에 대한 해석도 독특하다. 명일이란 글자 그대로 일승을 밝힌다는 의미이다. 그렇지만 의적은 명일을 세친논사가 주장하는 열 가지의 無上義와 결부해 해석하고자 한다. 이것은 일승의 관념화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구체적인사회적 실천으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매우 현실적인 구원의 문제를 의식한 해석이라 할 수 있다. 중국의 법화사상가들이 일승을 불성과 결부시켜 매우 난해한 형이상학적 관념으로 해석하는 것과 궤적을 달리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특징을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명청시기 중한 지리지에 기술된 백두산과 수계

        李花子(Lihua zi)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8 문화 역사 지리 Vol.20 No.3

        본 논문은 명청시기 한중 양국의 관·사찬 지리서에 기술된 백두산과 3대 수계 압록강 · 송화강 · 두만강에 대해 살펴보았다. 중국의 경우 명대의「명일통지」, 청대의 「성경통지」·「청일통지」·「고금도서집성」·「황여전람도」· 제소남의 「수도제강」에 기술된 백두산과 3대 수계를 통해, 이들 지리서의 상관관계 및 그 속에 나타난 산천인식과 국경인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국의 경우 조선 초기 관찬지리서 「동국여지승람」의 백두산에 대한 기술을 통해 「명일통지」의 영향을 엿볼 수 있었으며, 강희 51년(1712)정계 시 두만강 수원이 잘못 정해짐과 아울러 「명일통지」에 대한 고식적인 태도로 인하여 두만강 수원에 대한 회의적인 태도와 토문·두만 2강 인식이 생겨나게 되었음을 살펴보았다. 청대에 이르러 청조 발상지인 성경지역에 대한 중시도가 높아져「성경통지」·「청일통지」의 백두산과 수계에 대한 기술의 정확도가 높아졌으며, 이는 조선 학자들이 토문·두만 2강 인식을 극복하는데 유리하였다. 18세기 관찬지리서인 「여지도서」와 19세기 후반 김정호가 편찬한 것으로 알려진 「대동여지전도」를 통해 압록강·두만강 국경인식이 확고하게 자리잡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geographical works of China and Korea mentioning about Paekdu Mountain and Yalu, Songhwa and Tomen Rivers. From the exploration of Myongiltongji of Ming Dynasty and Sunggyeongtongji, Chungiltongji, Gogeumdoseojipsung, Hwangyogeonllamdo and Sudojegang of Qing Dynasty, their textual interconnectedness and the contemporary view of environments an national boundaries are derived. The reading of Mt. Paekdu on Donggukyojiseungllam of early Chosun Dynasty makes it clear that this official geographical volume was influenced by Myongiltongji, Also acknowledged is that the falsely located headwaters of Tomen at the time of settling the China-Korea boundary in 1712 and the superficial attitude toward Myongiltongji conspired to make Tomun and Tomen Rivers different entities. Once in Qing Dynasty, however, the high priority given to Senyang of Qing's heartland helped to enhance the reality of the description about. Mt. Paekdu in Sunggyeongtongji and Chungiltongji. This in turn led Chosun's scholars to believe Tomun and Tomen as one. Yojidoseo and Daedongyojijeondo lend the impression that the consciousness of Yalu and Tomen Rivers as national boundaries was laid on a strong hold around the 18th century.

      • KCI등재

        고려 ‘進上制’의 내용과 성격의 변화

        이정란(Lee jung ran) 한국사학회 2019 史學硏究 Vol.0 No.133

        조선에서 진상은 봉상하는 물품에 따라 物膳進上·方物進上·祭享進上 등으로 나뉘는데, 고려에도 조선과 거의 유사한 수준의 제도가 마련되어 있었다. 고려의 자료에서 자주 나오는 진상은 물선과 방물의 진상이다. 물선진상이란 임금의 식생활 재료를 바치는 진상을 의미하는데, 고려에서는 정기적인 물선의 진상인 常膳은 물론 비정기적인 진상인 別膳의 제도가 마련되어 있었다. 방물진상이란 각 지역의 특산물을 임금에게 바치는 것으로, 거기에는 名日進上과 講武進上등이 있다. 특히 고려에서 명일진상은 臣子로서 반드시 수행해야하는 의무였다. 한편, 고려왕조는 임금에게 예물을 바치는 의례의 일환이었던 진상의 본래적 함의를 충분히 인지하고 있었다. 사실 중국에서 진상은 황제의 영역적 지배를 확인시키는 상징적 의례로서의 의미를 지녔는데, 고려의 진상에도 동일한 원리가 작동되었다. 즉, 고려의 각종 賀禮儀에는 諸州縣에서 진상물을 바치는 절차만을 규율해 두었을 뿐 京官의 그것을 삽입해두지 않았는데, 이는 진상물의 상납의례가 임금의 권한이 미치는 영역을 만민들에게 보여주는 상징의례였음을 가시적으로 구현한 조치였다. 또한 고려에서는 진상품으로서 상납되는 물품이 소량이었는데, 이것 역시 의례성이 강하였을 뿐 실용적인 목적이 없었던 진상의 본래적 의미를 살린 조치였다. 그런데 의례적인 예물이었던 진상이 唐代에 이르러 사적인 선물로 변질되어 갔던 중국의 역사는 고려에서도 되풀이 되었다. 임금의 총애를 얻기 위해 개인적으로 진상하는 私膳이 고려후기에 크게 유행했던 것이다. 사선은 관인층의 욕망에서만 비롯되었던 것은 아니었다. 고려의 임금들이 사선을 부추긴 측면이 컸는데, 그렇게 된 배경에는 왕실재정의 악화가 자리하였다. 사선의 성행에 따른 진상제의 확대는 선물경제의 확산으로 이어졌다. 전근대 사회에서 관료들 사이에 다양한 물품을 주고받던 시스템인 선물체제는 사실 封餘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고려에서 조선조까지 크게 성행했다. 봉여를 수수하던 선물경제의 관행은 당대 지배층들이 지녔던 治者意識에서 비롯된 현상이었다. 다시 말해 자신들도 임금과 마찬가지로 민으로부터 공물의 상납을 받아야 하는 치자라는 인식으로 인해 아무 거리낌 없이 봉여를 자기들끼리 관행적으로 주고받았던 것이다. In Joseon, jinsang(進上) was divided into mulseonjinsang(物膳進上), bangmuljinsang(方物進上), jehyangjinsang(祭享進上), depending on the type of offered goods, and a similar system is found in Goryeo too. Mulseon and bangmul are frequently mentioned in Goryeo documents related to jinsang. The former is an offering of food for king, and both regular sangseon(常膳) and irregular byeolseon(別膳) were offered. The latter is an offering of regional specialties for the king, and they are further divided into myeongiljinsang(名日進上) and gangmujinsang(講武進上). Many documents from Goryeo show that myeongiljinsang was practiced all the time. In Goryeo, the essential meaning of jinsang—a ritual of presenting an offering to the king—was fully embraced. In China, jinsang served as a symbolic ritual of confirming the emperor’s territorial control, and the same applied to Goryeo. In Goryeo, only the procedure of sending regional specialties was defined in royal rituals, true to that offering of jinsang is essentially a symbolic ritual that shows people how far the king’s authority reaches. In Goryeo, only a small number of goods were offered as jinsang, also true to its fundamental ritualistic nature, without practical use. However, in China, the symbolic meaning of jinsang was changed to private gifts by the time of Tang Dynasty, and this was followed in Goryeo as well. Saseon(私膳), a personal offering to win the king’s affection, became hugely popular during the late Goryeo period. This did not solely stem from officials’ desire. In fact, kings encouraged such offerings, driven by dwindling royal coffers. As the practice of jinsang grew with popularity of saseon, gift economy expanded. In a pre-modern society, exchanges of various gifts among government officials are closely related to bongyeo(封餘), which is to share remaining offerings among officials, and this practice thrived from Goryeo to Joseon. The customs of taking bongyeo was established due to the ruling class’ sense of entitlement. They felt that they were equally qualified as king to receive offerings from the people, and accordingly, liberally shared bongyeo amongst them without any qualm.

      • KCI등재

        평양 프로극단의 기억과 공간의 문화 정치

        이민영 한국극예술학회 2015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50

        In this article, we investigate the activities of the proletarian theater groups that had been active in Pyeongyang region from 1930 to 1934 before the Shingeonseolsa affair occurred. Considering the regional peculiarities of the industrial city of Pyeongyang, theaters such as Machi-Geukjang, Myoungil-Geukjang, Sinsegi and Sinyesuljwa reveal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Machi-Geukjang was an independent theater group built around literary circle within the factory, Myoungil-Geukjang was a traveling theater group that pursued illegal on-site performances, Sinsegi was a theater group that tried legitimate performances, and Sinyesuljwa showed the possibility of workers theater group. These theater groups were all the successors of Mach-Geukjang and closely connected to the sites of labor movement. Therefore, Pyeongyang’s proletarian theater groups are very important in the points that they are showing the existence of workers’ independent theater group in the theatrical movement history of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the process of revolution of independent theater group into professional one, and the possibility of the emergence of workers theater. 이 글은 1930년부터 1934년 신건설사 사건 이전까지 평양 지역에서 활동했던 프로극단들에 대해 연구한 글이다. 마치극장을 비롯해 그 후신(後身)인 명일극장, 신세기, 신예술좌는 일제강점기 최대의 공업도시 평양이라는 지역적 특수성을 고려할 때 그 특성이 잘 드러난다. 마치극장은 공장 내의 문예서클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자립극단이었으며, 명일극장은 비합법적인 현장 공연을 추구했던 이동극장이었고, 신세기는 합법적 활동을 시도했던 단체였다. 또한 파업의 현장에 직접 침투하고자 했던 신예술좌는 현장연극이 가진 강력한 정치적 실천의 방식을 암시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들 평양의 프로극단들은 모두 노동자들과 함께 노동의 현장에서 활동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특히 이동극장의 방식으로 활동했던 명일극장과 투쟁의 현장으로 직접 뛰어든 신예술좌의 운동 방식은 현실을 토대로 한 프로연극운동의 정치적 실천 모습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16世紀 倭寇’의 多面的 특성에 대한 一考察 ― 徐海집단의 예를 중심으로 ―

        윤성익 명청사학회 2008 명청사연구 Vol.0 No.29

        在日本和中国的学界把明代倭寇分为两个时期。其中,最关键是在16世纪活动的倭寇。 这时期对倭寇的呼称在中国和日本有一些差异。在中国一般用 ‘嘉靖倭寇’、但是在日本用‘後期倭寇’或者田中健夫提出的‘16世纪倭寇’。这时期日本人对倭寇的解释是基本上采纳了田中健夫的提法。主要是指中国人或以中国人为主体强行走私为特征。而当前日本的这种研究倾向,也在影响着中国。实际上,中国对嘉靖倭寇的肯定的评价相当于多。在16世纪倭寇议论的焦点是王直群体。商人出身,投身于海外秘密贸易。但王直据点在日本,后来开始了掠夺活动。这就是对16世纪的最好例子之一。倭寇存在了多样化的面貌。王直也是16世纪倭寇的好例子,但这例子不是表示全部。徐海跟王直都活动了在同一个时期。徐海是个标准的倭寇首領,而且徐海领导的群体是很好的比较对象之一。徐海在中国掠夺活动都是让日本人的强迫。徐海和周围的人之间关系上,他不具有优势。倭寇的特点就是它独特的多样性。徐海是个标准的倭寇首領但是深究背景和团体的构成跟王直有很多不同。比如王直的例子来看,16世纪倭寇里包括嘉靖倭寇或嘉靖以后的倭寇是恰当的定义。因为在王直和徐海以后倭寇的活动也一直进行下去。

      • KCI등재

        기악(伎樂)의 "사쿠라이(樓井)" 지명에 대한 고찰

        이응수 한국연극학회 2009 한국연극학 Vol.0 No.37

        『日本書紀』612年の記錄によれば、百濟の味摩之が日本に歸化して、自分は吳から學んだので伎樂の歌舞ができる、と言った。それで、彼を樓井に定著させ、若者を集めて伎樂を敎習させた結果、その歌舞が今に傳わった、とある。この日韓兩國の演劇交流の始原について、保田與重郞(1910~81)は、1972年、奈良?樓井市JR樓井驛の南にある見童公園に顯彰碑を建て、記念した。その時の考?の根處は、①現地の土地台帳に「土舞台」という字が存在する。②『聖德太子傳歷』にも同じく樓井村と出ており、聖德太子誕生地の「上宮」もその地に隣接している、ということであった。しかし、「土舞台」という地名の歷史は、『日本書紀通譯』などの注譯書および『大和名所記』などを調べるかぎり、17~18世紀をさかのぼることはできない。また、『聖德太子傳歷』は歷史學的に評價の低い書物であり、「上宮」についても諸說が別れている。その上、最近の發掘調査によると、當所は、少なくとも5世紀から8世紀の半ばまでは墓地が密集していた地域で、舞台を設け、演劇學校を開くには不適切な場所であったことがいえる。したがって、本論文では、以上のようなことに著目し、伎樂の傳來地の樓井を再考?することにした。その結果、奈良?高市郡明日香村豊浦に現存する向原寺あたりを新しく提示したのであるが、その論處は、次のとおりである。まず、『樓井町史』の記錄である。『樓井町史』は、樓井の地名の由來について3つの說をあげた後、古くから樓井(別名?葉井)という井戶のあった明日香村大字豊浦の樓井が、樓井という地名の嚆矢であろうと、指摘している。そして實際、その井戶にまつわる記錄が、『續日本紀』、『日本靈異記』、『催馬樂』に傳わるが、それによると、樓井と呼ばれる井戶は、8世紀の初めまで當所に存在していたことが分かる。一方、『大和志』および『上宮聖德法王帝說』の記錄を分析すると、現在の豊浦の向原寺は、6世紀の半ば、蘇我稻目(?~569)が佛像を安置するため、向原の家を寺にした時からの由緖ある寺院であり、その名前は、オハリタの向原の家⇒樓井寺⇒豊浦寺⇒廣嚴寺⇒向原寺と變化して、今日に至っている。この樓井寺が、『樓井町史』のいう樓井の井戶の名前に因んだ寺院であろう。それは、『元興寺伽藍綠起幷びに流記資財帳』、『興福寺大和國雜役免坪』の記錄を參考に『大和國條裏復原圖』で樓井の井戶を探してみると、その位置が、石川池の東から和田池の北の小字「鳥井ノ本」までのかなり狹い地域に限定され、廣い意味での豊浦の向原寺の領域にあたることが確かめられるからである。

      • KCI등재후보

        채만식의 「明日」에 나타난 지식인의 현실대응 양상

        조명기 우리말글학회 2003 우리말 글 Vol.29 No.-

        This paper is aim to analysis the 「Tomorrow(明日)」, a characret and meaning of the severance being hiden under the continuity with the 「Ready made life」. 「Tomorrow(明日)」 is an extension of the 「Ready made life」. The surface area confronting is Boum-Su and Young-Ju's. The ultimate confronting is intellectual Boum-Su and Jong-Souk's. This confronting have the character of an intellectual ↔ a unintellectual. The order of rank is decided upon thought Boum-Su' declaration to Jong-Souk's triumph. This discipline mean, a reliance of an utility of the learning〈 a recognition of a valuelessness of the learning〈 ignorance of the learning. Chai Man-Sik criticize and disjoint to the Beom-Su' concealment -exposure strategy. He prescribe an learning of the deception, exhaust the learning. And he emphasize a materialistic desire. His variation is excited by full-scale of the fascism. He renounced the concealment-exposure strategy for the subsistence. He arranged the 「Tomorrow(明日)」 on an extension of the 「Ready made life」 for the rationalization of the association.(Liao Dong University)

      • KCI등재

        임진왜란 시기 조명 관계와 명일 교섭-나이토 조안의 조선 경유를 중심으로-

        이정일 조선시대사학회 2023 朝鮮時代史學報 Vol.- No.106

        본 논문은 1593년 명과 일본의 강화 교섭이 재개된 후 고니시 유키나가의 수하인 나이토 조안이 북경행 사절의 명분으로 조선을 왕래한 약 2년 6개월 간 조선 조정의 대응 및 조선과 명의 갈등 양상을 살펴본다. 조선 조정은 조안의 자국 왕래를 기존의 개별적으로 가동된 조명 관계ㆍ조일 관계ㆍ명일 관계가 유기적으로 결부된 새로운 국제적 현상의 전개일 수 있다는 점에서 민감하게 반응했다. 먼저, 조안이 1593년 6월말 부산에서 북상하자 전쟁 발발 직후 일본과의 대화 시도에서 체득한 절대 불신을 토대로 조안의 자국 경유 북경행 그리고 더 나아가 진행 중인 교섭 자체가 일본군의 기만술임을 명군에 알리며 그의 한성 진입을 반대했다. 동시에 이전의 명일 간 공식 교류지 寧波를 통하지 않고 조선 땅을 굳이 다시 밟으려는 일본의 의도에 의문을 제기했다. 조안이 9월 평양에 진입하자 조안 사태가 명 조정과 직접 상의해야할 군사ㆍ외교 의제로 전화했음을 직시하고 일본군으로서 한 번도 밟지 못한 평양 이북과 명의 군사 변경 지역을 거치면서 벌일 그의 정탐 활동이 명의 국방에 직접적인 위협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1595년 상반기 책봉사절과 함께 돌아온 조안을 막을 수는 없었지만 조선 조정은 조안의 한성 출입을 금지하고 그의 정탐 활동을 미연에 방지하는데 매진했다. 더 근본적으로 조안의 왕래를 일본군의 기만술과 계속 연계시키며 군사 안보의 측면에서 계속 주시했다. 이러한 적극적인 대응과 더불어 책봉사 도해의 전제 조건인 일본군의 완전 철수가 지체되고 난항을 거듭하는 교섭의 현황을 명 조정에 그대로 전했다. 조안 사태에 대한 대처법을 통해서 우리는 조선이 일본과의 교섭으로 종전을 추구한 명 중심의 안보 우선주의를 상대로 명이 자국과의 군사ㆍ외교 협력을 등한시한다면 일본으로부터의 침략 위협에 더 쉽게 노출될 것이라며 자국 중심의 안보 의식을 견지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임진왜란 시기 조선의 대명 외교가 명일 교섭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상고하고 조선ㆍ명ㆍ일본 삼국 간 다면적 상호작용을 심찰하며 궁극적으로 전쟁의 국제성에 대한 이해력을 일층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both the dynamic responses of Chosǒn to the passage of Naitō Joan (c. 1549~1626), dispatched for peace negotiations to the Ming, from Pusan to Peking in the second half of 1593 and from Peking to Pusan in the second half of 1595. First, as Naitō Joan approached to the capital-Hansǒng-, Chosǒn basically belittled the Ming-Japan peace negotiation itself as strategic deception of the Japanese armies and further problematized the intention of Joan who would go through the territory of Chosǒn instead of Ningbo, the official port of entry for Japanese delegation before the East Asian War, 1592~1598. The Chosǒn government considered use of this unusual overland route, or the land of Chosǒn as a grave breach of the normal diplomatic protocol between Ming and Japan in the prewar regional order. The Chosǒn government also warned the Ming government that any unhampered yet undetected espionage operations by Joan in his journey from Chosǒn to the Liaodong Peninsula, where the Japanese armies never marched, might cause serious harm to the Ming’s state security. And, as Joan returned to Pusan along with the Ming delegation to Japan from the first quarter of 1595, the Chosǒn government strove to minimize the negative effect of his presence on the security of Chosǒn by blocking his entrance to the capital and forestalling any possibility of his espionage. Moreover, the Chosǒn government continued to stress the failure of the Japanese armies to keep to the promise made to Chosǒn and the Ming at the termination of the war, to point out the peace negotiation as a major part of the Japanese military deception, and to ask the Ming for a further military cooperation with Chosǒn for final victory. Likewise, the Chosǒn government sought active plans able to counterbalance the accommodative strategy of the Ming government for the peace negotiations with Japan. By so doing, this article enables us to analyze the way the dynamic responses of the Chosǒn government against the Ming rapprochement with Japan made impact not only on the process of the Ming-Japan negotiations, but also on the direction of the Chosǒn-Ming relations during the war. This orientation will also empower us to recapture the multilayered structure of interaction among Chosǒn, Ming, and Japan as one important feature of the w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