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제 동성왕대 대남제 외교전략

        박찬우(Park, Chanu) 한국고대사학회 2017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5

        이 글에서는 동성왕대 대내외 정세를 고려하면서, 당시 백제가 어떠한 방식으로 남제에 접근하였는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특히 『남제서』 백제전에 실린 표문을 중심으로 외교전략의 문제에 주안점을 두었다. 표문을 살펴보면, 동성왕은 신하들에게 임의로 수여한 관작을 남제로부터 승인받고자 하였다. 그 요청 사유는 대중사행 및 獫狁을 물리친 공로였다. 獫狁의 실체에 대해서는 그간 북위 혹은 고구려로 보는 등 많은 논의가 있었다. 그렇지만 표문은 남제 황제가 읽을 것을 전제로 하여 작성된 것이며, 당시 남제는 북위를 獫狁에 비견하였다. 이를 감안하면 그 실체는 차치하더라도 표문에서 獫狁은 북위를 지칭한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당시의 국제정세나 『위서』에 관련 사실이 전무하다는 점 등을 감안하면 표문에 기록된 북위의 침입이 사실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다만 신하들이 세운 모종의 공로가 북위와의 전투에서 세운 전공처럼 분식되었다고 생각된다. 동성왕은 표문에서 신하들의 대중사행의 공로를 거론하였는데, 이는 백제가 남제의 충실한 번국임을 강조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 獫狁의 침입 격퇴에 관한 것도 남제의 번국으로서 군사적 임무를 수행하여 왔음을 상징적으로 드러낸 것이라 생각된다. 당시 백제는 북위에 대한 대항의식을 드러내면서 남제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자 했다. 이를 통해 남제로 하여금 백제를 중시하게 만들고,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려 했을 것이다. 남제는 북위와의 관계에서 열세에 놓여 있었고, 남북조의 대립도 다년간 지속되었다. 백제는 이러한 국제정세를 이용하여 남제에 접근하는 외교전략을 구사했던 것이다. This paper focused on the diplomatic stratergy with the diplomatic documents of Paekche Annals of Nan Ch’i shu as the center, considering the domestic and foreign situation during King Tongsǒng’s period of reign(479-501). As the diplomatic documents have shown, Tongsǒng desired Southern Ch’i to recognize the temporary chinese titles of his loyal retainers, which was granted by Tongsǒng. The reason for request was brilliant exploits by Tongsǒng’s envoys to Southern Ch’i and generals who win a war against Xiǎn Yǔn(獫狁). There were many opinions about Xiǎn Yǔn, and some research regarded Xiǎn Yǔn as Koguryǒ or Northern Wei. But it’s most likely Northern Wei in the diplomatic documents putting aside arguments about the true nature of Xiǎn Yǔn, because the diplomatic documents was written for the emperor of Southern Ch’i and Xiǎn Yǔn was an opprobrious word about Northern Wei in Southern Ch’i. However, as a matter of fact, it’s not quite sure about the Northern Wei invasion of Paekche in the late 5th century, because there is no mention about it on Wei shu, Northern Wei’s history book, and it’s difficult to find the main cause of the invasion judging from the circumstances at that time. It’s also doubtful about the lacks of specific war situation and dates on the diplomatic documents. To sum up, regarding the Northern Wei invasion of Paekche on Nan Ch’i shu as a fact can be doubtful, instead of that, it seems that some of the merits made by Tongsǒng’s retainers has been fabricated as if they distinguish themselves in a battle against Northern Wei. Tongsǒng mentioned merits made by envoys to Southern Ch’i on diplomatic documents to emphasize Paekche as a loyal feodary of Southern Ch’i. It is also believed that Northern Wei(Xiǎn Yǔn) invasion of Paekche on diplomatic document was a symbolic indication that Paekche engaged in military duty as a loyal feodary. Paekche attempted to establish a close relationship with Southern Ch’i by showing overt hostility to Northern Wei, which led to make Southern Ch’i value the relationship with Paekche and by doing so Paekche can accomplish the intended goals, because Southern Ch’i is weaker compared to Northern Wei in Chinese continent at that time. Considering the international situation, Paekche used a diplomatic strategy to gain access to Southern Ch’i.

      • KCI등재

        고구려의 대남제외교와 그 성격

        김진한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9 동방학지 Vol.186 No.-

        This paper examined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Koguryo's diplomatic relations with Southern Qi. During the reign of King Changsu(長壽王), Koguryo intermittently interacted with Southern Qi as a continu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with Song(宋). Southern Qi had a narrow range of foreign relations compared to the Song, and there was little appeal to neighboring countries as the Southern Qi limited their requests for advanced cultural objects. As a result, Koguryo kept up a lively exchange with the Northern Wei(北魏) and further prevented the exchange between Southern Qi and Paekche(百濟). Such attitudes aggravated the distrust and discontent of the Southern Qi towards Koguryo. The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were temporarily resumed during the reign of King Munja(文咨王). Except for Koguryo, Southern Qi was having difficulty finding a country which was able to deter the Northern Wei. This was because Rouran(柔然) had weakened and Southern Qi had gotten into a bad relationship with the Tuyuhun(吐谷渾). In addition, the political unrest of Southern Qi became even greater and the war with Northern Wei continued. However, Koguryo observed the development of the situation and did not engage in the confrontation between Southern Qi and Northern Wei. Through the above review, Koguryo's diplomacy with the Southern Qi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requests of the Southern Qi. Keywords: Koguryo, Southern Qi, Northern Wei, King Changsu, King Munja 이 글에서는 송‧제 교체 이후 국제관계를 염두에 두면서 고구려의 대남제외교의 양상을 살펴보고 그 성격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양국의 교류 기사를 중심으로 장수왕대와 문자왕대로 시기를 구분하였다. 장수왕대 고구려는 대송외교의 연장선 위에서 남제와 교류하였지만 활발하지는 않았다. 남제는 대외교섭의 범위가 송에 비해 좁았으며 선진문물 요청에 제한을 두는 등 주변국을 끌어들일만한 매력이 적었다. 이에 고구려는 대북위외교에 집중하였으며 더욱이 남제와 백제의 교류를 막기도 하였다. 이로 인해 남제의 고구려에 대한 불만과 불신도 커져갔다. 문자왕대 고구려와 남제의 교류가 일시 재개되었다. 남제는 세력이 약화된 유연이나 배례문제로 관계가 틀어진 토욕혼의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 북위를 견제할 세력으로 고구려말고는 찾기가 어려웠다. 또한 무제가 죽은 이후 남제의 정치적 불안은 더욱 커졌으며 남제와 북위의 공방도 이어졌다. 하지만 고구려는 남제와 북위의 대립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은 채 사태를 관망하였으며 이후 대북위외교를 이어나갔다. 이상의 검토를 통해 볼 때, 고구려의 대남제외교는 남제의 요청에 따라 추진된 면이 강하였다. 이는 북위에 비해 국력에서 열세였던 남제가 자구책의 일환으로 유력국가였던 고구려를 포섭하려는 측면이 있었음을 추정해 볼 수 있다.

      • KCI등재

        輔國將軍·本國王과 金官國

        연민수(延敏株) 한일관계사학회 2011 한일관계사연구 Vol.38 No.-

        『남제서』가라국전에 보이는 가야제국의 유일한 대중국 통교국이었던 가라국은 대가야가 아닌 금관국이 추진한 것으로 보았다. 加羅란 명칭도 대가야의 전유물이 아니라 김해에서 먼저 사용하였고 후에 고령이 답습하였다. 대가야설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가야연맹체론과 남제통교는 시기적으로 거리가 있어 양자의 결부는 한계가 있다. 가라왕 하지에게 제수된 보국장군 외에 本國王이야말로 금관국의 정체성을 말해주는 것이다. 가야제 국의 母體로서 금관국의 ‘本國’意識을 강하게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금관국의 國記라고 추정되는 『本國本記』는 금관국의 뿌리와 왕통의 역사를 기술하고 있는 사서라고 생각한다. 금관국의 대중통교의 목적은 송의 책봉체제에 들어가 왕권의 안정을 꾀하고 송조의 권위를 이용하여 주변국의 위협에서 벗어나기 위한 것이었다. 이는 장년에 걸쳐 송조와 통교했던 왜왕권으로부터 얻은 정보였다. 그러나 사절단이 도착할 때에는 이미 송조는 망하고 새로이 남제왕조가 들어섰다. 결과적으로 남제는 신왕조 개창의 축하사절로서 받아들였고, 미지의 왕국 금관국왕에게 보국장군본국왕을 제수하였다. 남제의 책봉체제에 들어간 금관국은 위기적인 현실 돌파를 꾀했지만, 신라의 군사력 앞에 남제측의 장군호도 무용지물이 되었다. 명목적인 장군호가 현실의 어려움을 해결해 주지 못하는 상황에서 더이상 남제통교는 무의미했다. 금관국의 대중통교는 단발성으로 끝나고 대중통교에 정보를 제공했던 왜왕권도 이후 1세기 이상의 공백을 보이게 된다.

      • KCI등재

        ≪南史(남사), 東昏侯本紀(동혼후본기)≫에 대한 주석과 번역 1 ―劉협(유협) ≪文心雕龍(문심조룡)≫ 저작 시기 통치자의 전기

        홍윤기 중국어문연구회 2015 中國語文論叢 Vol.0 No.69

        東昏侯姓名是蕭寶卷(483年-501年)。他是南齊第六位皇帝。按照≪南齊書≫與≪南史≫的記載,他是南朝歷史上最又兄殘又昏庸的皇帝之壹。淸劉毓崧在≪通義堂文集≫說,劉협≪文心雕龍≫是在南朝齊末和帝時完成。齊朝末代皇帝和帝是自五○壹年農歷三月十壹日至五○二年農歷三月二十八日在位只約壹年餘而已。他的前任皇帝東昏侯是自四九八年農歷七月三十日至五○壹年農歷十二月六日在位約三年四個月餘。≪文心雕龍≫卽使是在和帝時最終完成,然而劉협實際執筆期間也許是東昏侯的執權期間。本稿的目的在於對≪南史ㆍ東昏侯本紀≫加註釋和將타飜譯成韓文。本稿加註釋時,慘考≪資治通鑑≫胡三省的有關註,將타也抽出飜譯了。關於州郡的行政區分,主要慘考了≪南齊書ㆍ州郡誌≫。關於官名,主要慘考了≪南齊書ㆍ百官誌≫。關於年號及幹支,慘考≪中國史歷日和中西歷日對照表≫,將타換成爲西紀年及農歷月日。關於古代度量衡,慘考≪漢語大詞典ㆍ附錄≫,將타換成爲現代的度量衡表記。本稿是以中華書局≪南史≫爲底本。本稿飜譯的範圍是自"廢帝東昏侯諱寶卷"至"時年十九"爲止的第壹部分。≪南史ㆍ東昏侯本紀≫是在理解劉협≪文心雕龍≫的時代情況與著作動機上,必須壹讀的歷史記錄。

      • KCI등재

        百濟 文周王系의 등장과 武寧王

        田中俊明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9 百濟硏究 Vol.49 No.-

        Baekje was once ruined in Hansung period, but Baekje revived in Ungjin which was a different territory. I grape the history of initial Baekje in Ungjin period depending on the reappraisal which lineage King of Munju, who revived Baekje, was from. According to 『Namjaeseo(南齊書)』Baekjejun(百濟傳), Modae(牟大) was Modo(牟都)'s grandchild, and after that he succeeded to the throne. It is the powerful opinion that Modae(牟大) was King of Dongsung, and Modo(牟都) was King of Munju, which means that King of Dongsung was king of Munju's grandchild. It is a valuable historical material because it is referred in written record of Namjae's Emperor. King of Dongsung came to think of Gonji(昆支)'s son. However I could not come to think that King of Munju's daughter got married, and she gave birth to a boy who was King of Doungsung. It means that King of Munju was King Dongsung's grandfather. When I examined lineage based on this historical material, I came to think that King of Munju was a younger brother of King of Gaero's mother, and King of Muryung was Gonji's son. If it is so, King of Munju was not seriously expected to succeed to the throne. However, He suddenly succeeded to the throne to revive Baekje in confusion of the fall of Baekje. And then, I came to think that he made King of Dongsung, who was a grandchild, succeed the throne because he wanted to continue his lineage as King of Baekje to King of Samgeun, who was his son, at the first time, but he died at an early age. Because it can be thought that the accession of the throne of King of Muryung was a counterattack from original accession, it is possible that King of Muryung was the father of the restoration in Baekje. 백제는 한성기에 한번 멸망하지만 다른 땅인 웅진에서 再興된다. 재흥시킨 문주왕이 도대체 어떤 출자였는지 필자는 그것을 재검토해서 웅진시대 초기 백제사를 새로운 시점에서 파악하였다. 『南齊書』百濟傳에 의하면 牟大는 牟都의 손자이고 그 뒤를 이어서 왕이 되었다고 한다. 모대를 東城王, 모도를 文周王으로 보는 견해가 유력한데 그렇다면 동성왕은 문주왕의 손자가 된다. 그것은 南齊 皇帝의 詔書 중에 언급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사료적 가치는 극히 높다. 동성왕은 昆支의 아들로 생각되지만, 곤지를 문주왕의 아들로 생각할 수는 없기 때문에 문주왕의 딸이 곤지에 시집을 가서 태어난 자가 동성왕이었다고 생각할 수밖에 없다. 즉 문주왕은 동성왕의 外祖父라는 것이다. 그것을 근거로 계보관계를 검토하면 문주왕은 蓋鹵王 어머니의 남동생(叔父)이고 武寧王은 곤지의 아들(동성왕의 異母兄)로 생각할 수 있다. 그렇다면 문주왕은 왕으로서 즉위할 계획이 전혀 예상되지 않았던 인물이었는데 백제 멸망의 혼란 속에서 백제를 재흥한다는 것으로 갑작스럽게 즉위한 인물이었다. 그리고 자신의 가계가 백제왕으로 계속 이어지도록 아들 三斤王을 王位에 오르게 하였지만 早死하였기 때문에 손자인 동성왕을 왕위에 오르게 하였다고 생각된다. 무녕왕의 즉위는 본래의 왕계로부터의 逆襲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의미에서도 무녕왕은 백제 中興의 主이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隅田八幡神社(스다하치만신사) 인물화상경에 대한 일고찰

        홍성화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3 한국고대사탐구 Vol.43 No.-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Chinese characters carved on the Mirror with Person's Image(人物畵像鏡) of the Sudahachiman Shrine(隅田八幡神社), and analyzed the production date, production process and the reality of Korea-Japan relations at the time of production. In the meantime, various discussions have been repeated on the study of the Mirror with Person's Image, considering the beginning as year of the kyemi(癸未). But each of these theories has contradictions and problems, making it difficult to determine the year of production. If the Chinese characters carved on the Mirror with Person's Image is read again, the letter that has been read as ‘kye(癸)’ is identified as ‘ui(矣)’, and the inscription begins as year of the mi(未年). The most important person in grasping the contents of the text is ‘Sama(斯麻)’ and Sama can be seen as King Muryoung. In addition, it was a conventional view to judge Keitai(繼體) as King Namje(男弟王) but this article confirmed that Keita's view was a wrong interpretation. In other words, Namje means younger brother, and King Namje becomes King Dongsung. Accordingly, this Mirror with Person's Image was sent by Muryoung to King Dongsung of Baekje on August 10, 479, before King Dongsung ascended the throne after King Samgeun of Baekje died. 본고는 그동안 고대한일관계에 있어서 쟁점이 되어 왔던 隅田八幡神社 人物畵像鏡의 銘文을 재검토하여 人物畵像鏡의 제작 연대 및 제작 경위를 밝히고 제작 당시의 한일관계 실상을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그동안 隅田八幡神社 人物畵像鏡에 대한 연구는 銘文의 시작을 ‘癸未年’으로 보아 503년 제작설, 443년 제작설 등 다양한 논의가 거듭되었지만, 이들 제설은 각각 모순점과 문제점이 존재하여 제작 연도를 확정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다. 그러나 人物畵像鏡을 재판독하게 되면 그동안 ‘癸’로 판독되어왔던 銘文은 ‘矣’의 이체자로 확인되어 銘文은 ‘未年’으로 시작되는데, 기년이 10干이 없는 상태에서 12支로부터 시작되고 있는 사례로는 서봉총 은합우 명문, 해인사 길상탑지, 張撫夷墓의 벽돌 명문 등 다수 散見되고 있다. 銘文의 내용을 파악하는 데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인물은 ‘斯麻’인데, 斯麻에 대해서는 日本書紀 의 「百濟新撰」과 무령왕릉의 지석에 斯麻가 등장하며 人物畵像鏡의 銘文에 신하 등의 칭호를 넣지 않은 것 등을 통해 武寧王에 비정할 수 있다. 또한 銘文의 ‘男弟王’에 대해서는 그동안 繼體로 보아왔던 것이 통설적 견해였지만, 본고에서는 5~6세기의 男弟(ヲオト)를 繼體의 이름인 男大迹, 袁本杼(ヲホド)와 동일시하는 통설이 잘못된 해석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男弟는 남동생의 의미로 사용된 것으로서 男弟王은 斯麻에게 있어서 東城王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5세기 백제와 왜 왕실간에 있었던 혼인 관계를 상정하게 되면 隅田八幡神社의 人物畵像鏡을 통해 昆支의 아들인 東城이 당시 意柴沙加宮에 있었던 정황을 살펴볼 수 있다. 이에 隅田八幡神社의 人物畵像鏡은 己未年인 479년 백제의 三斤王이 사망하고 東城王이 즉위하기 전인 8월 10일에 武寧이 男弟王인 東城에 대한 왕위계승을 인정하면서 보냈던 銅鏡으로 확인된다. 銘文에 나오는 大王은 三斤王으로서 당시 백제에서 大王號를 칭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平壤 土城里 출토 陶製佛像笵과 高句麗 佛敎彫刻

        최성은 국립중앙박물관 2015 미술자료 Vol.- No.88

        평양 土城里 일대는 평양천도(427년) 이전으로 제작시기가 올라가는 古式의 輻線蓮華紋 瓦當의 산포지로 여기에서 출토된 3점의 도제 불상범은 소조불상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으로서 몸체 일부만 남아있어 완전하지 않은 상태이나 고구려 여래좌상의 귀한 예일 뿐 아니라 고구려 불교초기의 여래좌상 도상과 양식적 배경을 유추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평양중앙력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불상범 1점은 평안남도 덕산면의 원오리사지에서 출토한 소조여래좌상과 同笵으로 두 손을 마주 포개어 배에 붙인 초기 禪定印의 수인을 결하고 그 아래로는 일정한 간격의 세로[縱] 주름이 좌우 대칭으로 새겨진 옷자락이 單瓣의 연화대좌 위로 늘어진 형식이다. 이러한 여래좌상 형식은 중국에서는 북위시대 5세기부터 중국 陝西, 甘肅지역에서 유행했던 것으로, 북중국의 불상양식이 고구려 불교조각에 영향을 미친 이른 예로 이해된다. 또한 단정한 자세와 단순한 옷주름 표현, 여성적인 외모 등은 漢代 이래 성행했던 西王母像의 이미지와도 상통하여 중국 남북조 불교조각에서 나타나는 도교적인 요소와 관련하여 주목되는데, 낙랑시기부터 평양지역에 퍼져있던 서왕모 신앙이 고구려 불교계에도 일정한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다른 2점은 초기 선정인의 수인은 앞의 1점과 동일하지만 옷주름의 형태는 복잡하고 대좌의 절반가량을 치마[裙]로 덮은 裳懸座가 표현되었다. 이 상에서 상현좌 옷주름은 중앙과 좌우의 세 부분으로 나뉘어져 표현되었는데, 이와 유사한 상현좌 표현은 중국 南朝 불상에서 그 淵源을 찾을 수 있으며, 특히 南齊에서 유행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일찍이 5세기 무렵에 고구려에 전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형태의 상현좌 옷주름이 남제의 다음 왕조인 梁代에 이르러서는 보다 자연스러운 형태로 변화되었으나 고구려에서는 古式의 표현이 계속 이어져 내려왔고 고구려 불교조각을 계승한 발해의 초기조각에까지 그 잔재를 보이고 있다. 토성리에서 출토한 두 종류의 불상범 양식은 고구려 초기 불교조각의 형성에 북조와 남조 양쪽 불교조각의 영향을 모두 말해준다. 또한 남북조 불교조각에서 영향 받은 이들 양식은 절충적으로 혼합되어 傳 黃州출토 석조여래좌상(所在不明)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또 다른 형식으로도 나타났음이 확인된다. 아울러 토성리 불상범을 통해서 南朝에 있었을 古式의 선정인 상현좌 여래좌상의 형태를 유추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ree fragments of the ceramic mould for two clay Buddha images from the Goguryeo(高句麗) period that were unearthed from a temple-site at Toseong-ri(土城里) in Pyongyang. The fragments, two of which belong to the collection at Seoul National Museum and the other to the collection at Pyongyang Central Museum of History, show the early stages of Goguryeo Buddhist sculptures. It is presumed that there were Buddhist temples built in the Toseong-ri territory around the time when Buddhism was first adopted by Goguryeo. Archaeological research from the early twentieth century has revealed that roof tiles with double-lined lotus patterns(輻線蓮華紋瓦當) unearthed at Toseong-ri, quite similar in their shape and making technique to those discovered at Guknaeseong(國內城) in Jiahn(輯安), are dated to the late fourth and early fifth century before the Goguryeo dynasty transferred its capital to Pyongyang in 427 CE. The mould acquired by the Pyongyang Central Museum is identical in size and sculptural detail to the clay Buddha images that were excavated at Wono-ri(元五里) temple-site near Pyongyang, now in the collection at Seoul National Museum and other museums in Japan and North Korea. Buddha is shown as seated in a meditative posture with his two hands put together, palm to palm upon his abdomen, which is a typical posture seen in the images of the seated Buddha from the fourth and fifth century China. Below his hands, there are carvings of several vertical drapery folds in equal intervals. The drapery folds, together with the hand gesture, appear in several Northern Wei(北魏) Buddha images from the fifth century, especially from the Shanxi(陝西) and Kansu(甘肅) territories. The posture and the woman-like appearance of Buddha seen in this image are reminiscent of Chinese Xiwangwu(西王母) images of the Later Han and Six Dynasties. It can be assumed that the cult of Xiwangwu prevailed under the Lolang(樂浪) Commandery of Han China in Pyongyang until it was seized by Goguryeo in 313 CE.. The remnants of the cult may have had a strong impact on the Goguryeo culture of Pyongyang, testified by the Xiwangwu painting of Gamsinchong(龕神塚), the Goguryeo mural tomb of the early fifth century. The two pieces from the Seoul National Museum are fragments of the same mould for the seated Buddha image that now only shows his robe drapery covering the pedestal. Although the face and upper body parts are missing, the plaster cast of these fragments shows a unique rendering of drapery folds that are shown as divided into three equal parts. The folds compare closely to those in the Buddha images from the late fifth century Southern Chi(南齊) of the Southern Dynasties of China, which demonstrates the influence of Southern Dynasties on the Goguryeo Buddhist sculptures in their early stages. During the Southern Dynasty of China, the methods for representing drapery folds changed from carving them in three parts to rendering them more naturally. However in the Toseong-ri of Goguryeo, the old traditional way of carving drapery was continued in the sixth century Buddha images and in the early sculptures of the Balhae period.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se two types of iconography shown in the Toseong-ri moulds also show traces of another type of the Buddha image, shown in the now missing Buddha image reportedly from Hwangju. The three fragments that make up the mould of the Buddha image from Toseong-ri identify with both the Buddhist sculptures of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exhibiting their significance in establishing the first stage of Goguryeo Buddhist sculptures. Furthermore, the moulds from Toseong-ri trace to an early prototype of the seated Buddha image from the Southern dynasty in which Buddha is in a meditative posture with his hands put together palm to palm on his belly and his skirt carved in three parts covering the pedestal.

      • KCI등재

        「꿈하늘」의 새로운 읽기-역사담론을 중심으로-

        김주현 한국근현대사학회 2016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79 No.-

        Most of researchers still focus on researching revised edition of Complete Collection of Danjae Shin Chae-ho. However revised edition which is based on A Fierce Battle between Dragon and Dragon. in North Korea, had some of its original text removed, eliminated or reconstituted. It is clearly emerged by comparing with the book Literary Miscellany of Shin Chae-ho which transcribed Shin Chae-ho’s posthumous work. Some parts of “Dream Heaven” had been eliminated at first because the editors in North Korea such as Ahn Ham-gwang, Ju Ryoung-gul and etc considered historic discourse of it unnecessary in “Dream Heaven”. However even the researchers didn’t know the importance of the part which had been eliminated. Is the part which had been removed unnecessary and unneeded? Is there no need to restore or research what had been removed? In this study, I went through what had been removed in Dan Jae’s posthumous work “Dream Heaven” and newly interpreted it. After “Dream Heaven” was written in 1916, it had been underground until it came to light in 1964. Dan Jae made clear the geological boundary in Korea and pursued to systematize the independent national spirits. He clarified the boundary of Baek Jae and Old Korea with Shinjibisa(神誌祕詞) and Namjaesoe(南齊書). It has its own meaning in recalling and clarifying our forgotten or disappeared territory. In addition, he emphasized our independent Nangga(郞家) idea in our history and make clear historical system of Hwarang. Thus, the part which had been eliminated is another important axis in considering history of discourse and composition of literary work. It not only materialize the narration of the work left now, but also emphasize the thematic consciousness of the work, so it must not be ignored or removed. Rather, we should present posthumous work “Dream Heaven” as it is. Besides, Danjae is a kind of person who hated and strongly opposed to modifying his work more than anyone. Meanwhile, this work has to do with a secret called Jindan-guboen-gukdo(震檀九變局圖). Danjae appended his interpretation about Jindan-gubeon-gukdo in “Dream Heaven”. That is; Today is the forth state and sycophant has gained power for centuries, however nationalism will get its power sooner or later. Also, that nationalism will achieve its goal with religious warrior spirits. Still, a stain of disobedience is remaining just like what Danjae described. That’s why we can get peace only from nationalism. What Danjae said still stands today, after 100 years.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여전히 개정판 『단재신채호전집』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다. 그런데 그것은 북한의 『룡과 룡의 대격전』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텍스트가 삭제 및 탈락, 그리고 재구성되기도 했다. 그것은 신채호의 유고를 필사한 『신채호문학유고선집』과 비교해보면 자세히 드러난다. 「꿈하늘」은 처음 안함광, 주룡걸 등 북한의 편집자들이 역사담론을 서사에 불필요한 부분으로 간주하고 탈락시켰다. 그러나 연구자들도 탈락된 부분의 중요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과연 탈락된 것은 군더더기이거나 없어도 무방한 부분인가? 탈락 부분에 대한 연구, 또는 복원의 필요성은 없는가? 본고에서는 단재의 유고 「꿈하늘」에서 탈락된 부분을 검토하여 「꿈하늘」을 새롭게 읽어보았다. 「꿈하늘」은 1916년 씌어진 이후 묻혀 있다가 1964년에 세상에 빛을 보았다. 단재는 「꿈하늘」에서 우리나라의 지리적 강역을 분명히 하고, 주체적 민족정신의 계통화를 추구했다. 그는 『신지비사』와 『남제서』를 통해 고조선과 백제의 강역을 분명히 했다. 그것은 사라지거나 잊혀진 우리의 강역을 분명히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아울러 그는 우리 역사에서 자주적 낭가사상을 강조했고, 화랑의 역사적 계통을 밝혔다. 그러므로 현재 탈락된 역사 담론 부분은 작품 구성에 또 다른 하나의 축이며, 남아있는 작품의 서사를 구체화할 뿐만 아니라 작품의 주제의식을 강화하고 더욱 분명히 해준다는 점에서 결코 무시하거나 배제해선 안 된다. 오히려 「꿈하늘」 유고를 있는 그대로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물며 단재는 자신의 원고에 함부로 손대는 것에 대해 누구보다 강하게 반발하고 싫어했던 인물이 아닌가. 한편 이 작품은 ‘진단구변국도’라는 비결과 깊은 관련이 있다. 단재는 「꿈하늘」에서 진단구변국도에 대한 자신의 해석을 덧붙였다. 바로 오늘날이 제4변국이며 사대주의자들의 득세로 수백 년 이어져온 역국의 여얼이 남아있지만, 곧 국수주의의 순국이 전개될 것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국수주의는 종교적 무사혼을 통해 달성되리라 했다. 한놈이 도령군 놀음곳을 직접 찾아가는 것도 그러한 정신의 반영이다. 지금도 단재의 표현처럼 여전히 역국의 여얼이 남아 있다. 그러므로 오롯이 민족주의(국수주의)를 통해 순국을 맞이할 수 있다. 단재의 말은 100년이 지난 오늘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 KCI등재후보

        5세기 왜(倭) 5왕의 성격과 실체에 대한 연구 - 『송서(宋書)』에 나타난 「상표문(上表文)」을 중심으로 -

        김주인 바른역사학술원 2022 역사와융합 Vol.- No.12

        The Five Kings of Wae (倭) were five Japanese kings—Chan (讃), Jin (珍), Je (濟), Heung (興), and Mu (武)—who lived in the 5th century and were mentioned in the Book of Song (宋書, Sòng Shū). Historians often consider the record of the Five Kings of Wae to be a historical riddle, as there are conflicting theories and ambiguity surrounding the true identity of these historical figures. This is primarily because the Five Kings of Wae do not appear in the History of Three Kingdoms (三國史記, Samguk Sagi) or the Chronicles of Japan (日 本書紀, Nihon Shoki) and only appear in the historical books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of China—the Book of Song (宋書) and the Book of the Southern Qi Dynasty (南齊書). However, the existence of the Five Kings of Wae is grounded in key historical events that occurred during the 5th century. As such, uncovering the true history of the Five Kings of Wae is imperative to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ancient historical period. In particular, the Book of Song establishes strong evidence of historical accuracy, as it was written when one of the five kings, King Mu (武), was still alive. This study refrains from using the conventional approach of Japanese historians, who have drawn conclusions from an unwarranted presupposition that the names of the five kings of Wae may have been used to refer to the Emperor of Japan. Thus, this study endeavors to discover the true character and identity of the Five Kings of Wae, as recorded in the Book of Song, by first interpreting the significance of the titles granted to them—in particular, the titles of Six State Military Commander (六國諸軍事) and Great Governor (使持節都督) granted to King Je (濟), King Heung (興), and King Mu (武)—and then by analyzing the Royal Petition (上表文) of King Mu (武). This new approach has led to the following notable conclusions: (1) the Kings of Wae were regarded as vassal kings who ruled Japan by ruling over its six states, under the command and supervision of the King of Baekje; (2) at the center of the Five Kings of Wae was King Gaero, the 21st King of Baekje, who was later slain at Acha Mountain when Baekje was attacked by the army of King Jangsu of Goguryeo in A.D. 475; and (3) King Gaero was known as King Je (濟), his younger brother Gonji was King Heung (興), and his son was King Mu (武), raised and trained by Gonji(興), who later reigned as King Muryeong (武寧王), the 25th king of Baekje. As the true character and identity of the Five Kings of Wae is uncovered, the historical fact that Baekje ruled Japanese archipelago for over 300 years, which Chronicles oof Japan (日本書紀) endeavored to conceal at all costs, has become undeniable. This study further provides an opportunity to dismiss other premeditated schemes to disguise the history of Japan in relation to Korea, such as the theory of conquest of Southern Korea by Empress Shingong (神功皇后, Empress Jingū) of Japan in the 4th century, the theory of Imna Japanese Headquarters, the theory of unification of Japanese archipelago by Yamato Wae in the 4th century have turned out to be false arguments. I hope the study of character and identity of the Five Kings of Wae may contribute to establishment of healthy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왜 5왕이란 5C 『송서(宋書)』에 일본왕으로 나오는 왜왕 찬(贊)·진(珍)·제(濟)·흥(興)·무(武)의 다섯 왕을 일컫는 말이다. 사가들은 흔히 왜 5왕을 역사의 수수께끼라고 말한다. 그만큼 실체를 둘러싸고 학설이 갈리고 성격이 모호하다는 말일 터이다. 왜냐하면 왜 5왕에 관한 기록은 『삼국사기(三國史記)』나 『일본서기(日本書紀)』에 전혀 나타나지 않는 이름이고 단지 중국 남북조시대의 사서인『송서(宋書)』와 『남제서(南齊書)』 등에만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왜 5왕은 5C를 관통하는 엄연한 역사적 사실이다. 따라서 왜 5왕의 실체를 규명하는 것은 고대 한일관계를 밝히는 데 필수적 과제라 본다. 『송서(宋書)』는 왜 5왕 중 무(武)왕이 아직 생존하고 있을 시기(487 년)에 기록된 사서이기에 그 역사적 진실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고는 과거 일본 역사학자들이 왜왕을 일본 천황의 다른 이름으로 보고 여러갈래로 꿰어 맞추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바로 이 『송서(宋書)』에 나타난 왜 5왕특히 제(濟)·흥(興)·무(武)에게 수여된 6국 제군사, 사지절도독이란 관·작호의 의미와 왜왕 무(武)의 상표문(上表文) 분석을 통하여 왜 5왕의 실체를 밝히는데 주력하였다. 그 결과 왜왕은 백제왕의 지휘 감독을 받아 일본을 6국으로 나누어 통치하는후왕으로 볼 수 있고, 왜 5왕의 중심에는 475년 백제를 침공한 장수왕의 군대에참패하여 도성이 함락당하고 일족이 아차산에서 참살당한 백제 제 21대 개로왕이 있었다는 것을 밝혔다. 그래서 개로왕이 왜왕 제(濟)와 동일인이란 사실과 개로왕의 동생 곤지가 왜왕 흥(興)이고, 왜왕 무(武)는 곤지가 키운 개로왕의 아들이며, 501년 그가 백제 25대 무령왕으로 등극했다는 사실 등을 밝혀내었다. 이처럼 왜왕의 성격과 실체가 밝혀짐으로서 일본서기가 그토록 은폐하고자 했던백제의 일본열도 지배와 그를 호도하기 위한 교묘한 역사위장 프레임, 예컨대4C 신공황후의 남한 정벌설이나 임나일본부설 그리고 야마토 왜에 의한 4C 일본열도 통일 주장이 허구로 밝혀지는 중요한 계기가 마련되었다고 본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