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창의성편향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정훈,한기순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9 창의력교육연구 Vol.19 No.1

        The bias against creativity refers to people’s tendency to hostility towards creativity despite the fact that most people would say that they value creativity.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the bias against creativity in students. To develop the bias against creativity measure, we conducted literature review, came up with items through expert elicitation, constructed a preliminary questionnaire, and conducted a pretest on the questionnaire as well a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fter determining a final list of questions, we conduct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validity assessment. After conducting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results of preliminary survey, 16 questions with 4 factors were extracted and termed like recognition of contradictory situation, preference of familiarity, fear of failure and stress of change.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measure, primary and secondary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have been conducted. By looking at factor loading,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construct reliability of the four-factor primary model and the single-factor hierarchical secondary model that were evaluated positively on the model suitability analysis, convergent validity has been verified. Furthermore, discriminant validity has been achieved through AVE (average variance explained) analysis. The 4 factors have been shown to explain the bias against creativity well, confirming that it is multi-dimensional and hierarchical. The results from validity and reliability assessments and model suitability analysis using statistical analyses will be useful in understanding and utilizing the bias against creativity. The results furthermore shows that the measure developed in this study is generalizable. 반창의성편향은 창의성에 긍정적으로 응답하지만 실제로 창의성에 대해 호의적이지 않음을 지적하는 심리적 요인이다. 창의성이 강조되는 시대에 살며, 변화를 수용하는 것에 익숙해져야 하는 상황에서 미래를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반창의성편향을 개선해 가는 것은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반창의성편향을 측정할 수 있는 자기보고식 척도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반창의성편향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반창의성편향과 관련된 주제의 연구 및 문헌고찰과 전문가 논의를 통한 검사 문항 도출, 예비 문항 구성을 시행하였으며, 해당 문항들에 대한 예비검사 실시와 하위 요인 도출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검사 문항을 확정한 후, 확인적 요인 분석, 타당도 검증을 위한 검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발된 척도는 4개 요인, 16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요인은, “모순적 상황 인식”, “불확실성 회피”, “모험 회피”, “변화에 대한 스트레스”라고 명명하였다. 개발된 반창의성편향 척도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1차, 2차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모형 적합도 평가에서 우수하게 해석된 4요인 1차 모형과 1요인 위계적 2차 모형에 대한 요인부하량과 유의성, 개념신뢰도를 확인하여 집중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더불어, 평균분산추출 분석을 통해 판별타당도를 확보하였다. 향후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 사회와 그 구성원 개개인이 가지는 반창의성편향을 이해하고 개선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 KCI등재

        창의성 계발을 위한 문학교육 방법 연구

        손예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2

        본 연구는 창의성에 주목하여 문학교육의 새로운 실천 원리를 정립하고자 하는 n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를 위해 창의성에 대한 통합적 접근 방법을 토대로 문학교육에 있어서 창의성의 개념을 규정하고, 문학적 창의성이 문학교육 너머의 창의성과 즐겁게 융합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문학적 창의성은 문학 작품을 통해 학습자 개인의 경험을 끌어오는 언어 창의성에서 출발하여 새로운 맥락을 도입하여 학습자의 정서 창의성을 자극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다양한 소통 환경을 통해 문화 창 의성을 계발할 수 있는 언어․정서․문화 창의성을 아우르는 것이어야 한다. 이러한전제하에 창의성 계발을 위한 문학교육의 방법으로 언어적 감수성에 기반한 문학적창의성 발현, 유연한 사고를 통한 문학적 창의성 확장, 공감적 소통을 통한 문학적 창의성 개방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국어과 교수 학습 분석

        李京和 청람어문교육학회 2003 청람어문교육 Vol.26 No.-

        국어과 교육 분야에서도 최근 들어 창의성에 관심을 둔 연구들이 많이 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국어 사웅 현상과 국어 교육 현상 속 에서 창의성이 갖는 교육적 의미와 구성 요인을 어느 정도 밝혔을 뿐만 아니라, 국어과 교육을 통한 창의성 신장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는 점 에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아직 그 논의 수준은 총론 수준에 머문 채, 구체적인 각론 수준으로는 나아가지 못한 상황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국어교육의 본질 에서 창의성과의 관련성을 이끌어내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국어과 창의성 프로그램이나 교수 학습 자료들만으로는 창의성 신장을 위한 모색이 부족함을 의미한다. 게다가 창의성 신장을 위해 개발된 자료와 국어과 교수 학습 과정 사이의 불일치라는 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이의 해결을 위해 연구자는 4개의 국어 수업을 교사의 질문, 교사의 반응, 수업 참여 구조의 기준에 따라 국어 교수 학습 과정에서 일어나는 언어적 상호작용 양상을 관찰하고 기술하였다. 교사의 질문 양상에서는 창의력을 돕는 질문보다 창의력을 저해하는 칠문 유형이 많았다. 창의력을 돕는 질문으로는 개방적 질문을 하는 경우, 판단 유보 과정을 부여하는 질문이 있었다. 창의력을 막는 질문으로는 융통성과 개방성을 저해하는 질문, 독창성과 활동성을 저해하는 질문, 정교성을 제해하는 질문이 많았다. 교사의 반응 양상에서는 창의력 신장을 돕는 교사의 반응은 극히 적었고, 창의력 신장을 저해하는 교사의 반응이 많았다. 창의력을 돕는 반응으로는 융통성과 개방성을 촉진하는 반응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교사의 적절하지 못한 반응으로 참의적인 언어 활동이 제대로 이투어지지 못했다. 예를 들면, 동기성과 판단유보가 결여된 반응, 동기성과 활동성을 저해하는 반응, 독창성을 방해하는 반응 등을 볼 수 있었다. 한편 교사와 학생간의 수업 대화 구조를 살펴보면, 주로 교사 주도로 수업이 이루어지고, 학생의 질문이 매우 적었다. 주로 정답판을 가진 교사 주도 참여 구조나 비개방적인 교사 주도 참여 구조가 이와 같은 수업을 형성한다고 보았다. 반면에 참의적인 수업에서는 화제 선택권이 학생에게 개방되어 있고, 순서 교대도 학생에게 개방되는 학생 주도 참여 구조를 보였다. 그것은 개방성을 지닌 학생 주도 참여 구조와 활동성과 융통성을 촉진하는 학생 주도 참여 구조를 형성하였다. 창의성 교육은 무엇보다도 교사의 주체적이고 창의적인 수업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창의적인 수업을 하고자 하는 국어 교사는 창의성을 자극하는 철문 기법을 수업 상황에 적절히 활용할 수 있고, 학생들의 반응이 창의적인 쪽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안내하고 이끌어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창의격인 교사는 학생들의 자율성과 개성을 존중하고 개개인의 능력과 소질에 맞춰 학생 주도의 수업 참여 구조를 통해 호기심과 흥미를 갖게 해야 할 것이다. Lately, there are also many researches on creativi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se researches shows us not only what creativity means and what it is composed of, in Korean language usage and education, but also that it is possible to promote creativity through Korean language education. Creativity promoting programs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 Korean language lay emphasis on factors which can increase the ability to think creatively in teaching process. But there is discordance between these materials and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So I monitored Korean language instructions in 4 elementary schools. my check points in observation were the question of the teacher, the reaction of the teacher and talk interaction which occurred by the criteria of exchange of the topic and turns in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When I analyzed the questions of the teacher, those affected more often as obstacles rather than as incentives to promote the creativity. In the analysis of the reactions of the teacher, those also affected negatively in promoting the creativity. when I studied the content of the lecture, the teachers played the main role and the student's participations were rare. Creativity education should start in the creative and activ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by the teacher. We should reflect ourselves in the aspects of promoting creativi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orrect ourselves.

      • KCI등재

        창의성에 대한 이해 지평의 확대와 국어교육적 재조명

        최홍원 한국국어교육학회 2012 새국어교육 Vol.0 No.89

        This study aims at probing the meaning scope about creativity and through the process I want to shed new light on creativity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giving rise to new understanding, based on the reflection that inquiry on creativity was not enough so far.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I raised the uncertainty of creativity and mysterious approaches, the origin of the uniqueness and the relevance with tradition as the misunderstanding and issues about creativity. This is a new approach about creativity and a base to lead to three dimensions including spacial, time and educational horizons. I expanded the scope of understanding about creativity through the enlargement of spacial horizons according to the involvement of socio-cultural environment, the expansion of time horizons depending on the tradition of the past and the extension of educational horizons concerning the hierarchical differentiations. Also, I added two elements of the essence of it: looking at deeply and differently. The proposal is based on the interpretation that creativity can carry out a role as mediation to relate with oneself as penetrating the essence of problems. Moreover, I clarified the needs to set up hierarchical differentiations in accord with individual experiences through educational horizons. Such discussion can be the found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creativity in Korean education. At the same time, it can lead to the effect of feedback about all over creativity as general education. By pioneering a new horizon, I hope that this study may be helpful in various studies in relation with creativity. 이 연구는 창의성에 대한 일련의 교육적 수행과 실천의 담론에 앞서, 창의성에 대한 천착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반성에 따라 창의성의 의미역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국어교육에서의 창의성에 대해 재조명하고 새로운 이해를 가져오는 데 목적을 둔다. 기존의 연구가 국어교육적 차별성을 강조하려는 의도에서 국어교육적 특질만을 앞세운 나머지, 창의성 그 자체에 대해서는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문제의식에 따른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창의성에 대한 오해와 쟁점으로 창의성의 불명확성과 그에 따른 개인 차원의 신비적 접근, 독창성의 기원과 전통과의 연관성 문제를 제기하여 창의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접근의 필요성을 일깨우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는 창의성에 대한 새로운 접근으로서 공간적, 시간적, 교육적 지평의 확대라는 세 차원을 이끌어내는 바탕이 되는 것이다. 사회 문화적 환경의 관여에 따른 공간적 지평의 확대, 과거 전통의 관여에 따른 시간적 지평의 확대, 위계 및 수준 설계에 따른 교육적 지평의 확대를 통해 창의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다. 이를 통해 창의성은 문제의 본질을 깊이 헤아려 꿰뚫어보면서 자기와 관련짓는 중재로서의 성격을 갖는다는 점에서, 깊이보기와 달리보기를 그 본질로 추가할 것을 제안하게 되었다. 나아가 교육적 지평을 통해 개인 차원의 경험과 위계에 부합하는 단계 설정의 필요성도 밝혔다. 이러한 논의는 국어적 창의성의 개념 정립의 단초를 마련하면서, 동시에 교육 일반으로서 창의성 전반에 대한 송환의 효과를 도모하고 있다. 창의성에 대한 국어교육적 모색이 새로운 지평 개척을 통해 창의성을 과제로 하는 여러 학문에 기여하게 되길 희망하는 것이다.

      • KCI등재

        창의성 교육을 위한 시 · 도 교육청 정책 지원 방향 탐색

        최석민(Choi Seok 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2

        창의성 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개인과 기업, 나아가 국가 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창의성은 현재 우리가 속한 지식 사회에서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핵심 능력과 태도로 간주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듯, 창의성 교육 은 국가수준에서건, 시 · 도 교육청 수준에서건 학교 지원의 핵심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 · 도 교육청의 창의성 교육 정책들이 창의성과 관련된 특정한 준거에 서 학교의 준비 및 실천 정도를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정책적 지원을 실천하려고 한다 는 점에서 정책의 방향 설정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런 접근은 이론상의 완전함 에 준거를 두고 현재의 도달 수준을 평가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그 대답에 충분함을 논 리적으로 가정하기 힘들며, 그 근본 가정에서 교육의 많은 메타원리 중 하나로서 창의 성을 보지 못하게 만든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접근은 학교 현장의 실제 (reality)의 관점에 근거한 연구를 통해 보충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초 · 중학교 교사와의 다양한 면담을 통해 이를 드러내려고 하였다. 그 결과 현재 창의성의 교육적 중요성에 대해 현장 교원들은 충분히 공감하고 있으 나 창의성 교육과 학력 중시 풍토, 창의성 교육과 진도 나가기 사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창의성을 중심으로 국가수준 교육과정, 학교의 평가가 개편 되지 않으면 그 교육은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려우며, 일상적 교육활동과 창의성의 교육 이 분리되거나 교과 수업 목표와 창의성 교육 목표가 통합되지 않을 경우, 실적 중심 교육 정책이 지속될 경우, 학교 현장에 과도한 부담이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면담 자료에 기초하여 시 · 도 교육청에서 창의성 교육을 정책적으 로 지원하는 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고 있으며, 그 핵심에는 학교를 중심 에 둔 창의성 교육 정책의 추진 만이 현장 착근력과 실효성을 담보할 수 있음을 밝히고 자 한다. Nowadays,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in education has taken as a matter of course. To raise one s competitiveness in the world market, the creativity is considered as one of the core elements of human agency. So Korean government and many offices of education have developed many kinds of supporting policy for school creativity education. But the main approach of supporting policy is as follows.; after analyzing or appraising the readiness of school creativity education in a particular way, then it tries to support the insufficiency. If school were seen in this way, then it should be only fair that school were always in the states of lack. For me, this approach needs something supplementary one. So I talked over the problems of creativity education based on school reality with teachers; an email questionnaire, group meeting, face to face talk with the school visit, and the conclusions are 1) teachers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education, 2) but added on approach put teachers in an awkward situation. 3) Revisions of national curriculum, school exam, and Korean SAT towards creativity education are strongly needed. Finally, I proposed some suggestions for the supporting policy for school creativity education based on those interview. The gist of my argument is that the best one for it is to assist making school members to improve power of autonomous intellectual inquiry.

      • KCI등재

        체육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창의성 평가도구 제작

        김미예(Mi Ye Kim)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3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5 No.1

        2007년과 2009년 개정된 교육과정에서 창의적 인재 양성이 강조됨에 따라 최근 각 교과별로 창의성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체육교과에서도 창의성을 어떻게 정의하고 개념화하느냐, 실제 체육수업에서 창의성을 어떻게 교육하고 발달시키느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기 시작하였다. 그동안 창의성 연구에서 해결되지 않은 문제 중 하나는 창의성을 어떻게 평가하느냐에 대한 것이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창의성 연구는 심리, 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창의성 평가 도구들도 주로 인지적 영역을 중심으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평가 도구들은 신체활동을 본질로 사용하는 체육현장에서 직접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체육교과의 특수성을 고려한 창의성 평가 방법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학교 현장에서는 실제 체육수업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창의성 평가 방법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그동안 일반적인 창의성 관점에서 수행되었던 창의성 분류 관점과 창의성 평가 방법들을 소개하고 이 방법들을 적용하여 체육교사들이 실제 체육수업 시간에 사용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제시하였다. 또한 앞으로 체육 창의성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데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안하였다. Through the 2007 and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creativity education is more emphasized in all subject. Recently, physical education area also start to study for teaching and developing creativity in physical education class. One of problem in the study of creativity is creativity assessment. Historically, creativity research mainly performed in psychology and educational fields, so most of assessment tool also developed in that fields. Few study is conducted for assessing and evaluating creativity in physic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several methods for assessing creativity which used in general and traditional creative research area, and try to adopt those methods in physical education area. Four P model is discussed as a way of organizing method for assessing creativity, which classified the creative person, process, product, and press. Divergent thinking tests, the consensual assessment technique, assessment by others: teacher, peer, and parent measures, and self assessment methods also proposed as a assessing creativity methods in physical education. Lastly, creativity assessment tool for physical education class is also presented.

      • KCI등재

        과학적 창의성검사의 타당화

        강정하(Jung-Ha Kang),임지영(Ji-Young Lim),김아영(A-Young Kim) 한국영재교육학회 2017 영재와 영재교육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reativity test that measures the potential for creative achievement in the field of scienc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the researcher has proposed a framework based on the confluence approaches to the creativity, Creativity Systems Model, Scientific Evolution Systems Model, and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The creativity test (preliminary) has consisted of 3 upper-systems_9 subsystems_20 factors_131 indexes. This has been validated through preliminary implementation and main. With collecting data from 538 students of A middle school in A city, the first 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dexes quality analysis of creativity test. The main test was conducted to validate creativity test(main) model on B, C, D schools and 1,129 students. Next, 3 upper-systems_9 subsystems_79 indexes model has been fitted for the hypothesis model and the creativity(last) model. Finally, creativity (last) model which has constructed 3 upper-systems_9 subsystems_79 indexes was examined criterion-related validity using a criterion-related test. In conclusion, creativity(last) model was accepted by ‘K-Creativity Test’. 본 연구는 과학에 관심 있는 중학생의 창의적 특성을 측정하여 세계 과학자로의 성장가 능성을 예측하는 자기보고식 창의성검사 타당화 연구이다. 먼저, 통합적 이론에 기반을 두고 창의성 시스템 모델, 과학적 창의성 진화 모델, 그리고 과학적 창의성 발달 모델 등의 재구성을 통해 새로운 개념틀이 수립되었다. 이를 토대로, 3상부시스템_9하부시스템_20요 인_131문항 모형의 창의성검사(예비척도)가 조직되었다. 이를 활용한 예비검사 실시로, A 시 소재 A중학교 1, 2, 3학년 538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창의성검사(예비척도)에 대한 문항 양호도 검증이 진행되었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3상부시스템_9하부시스템_86문항 모형의 창의성검사(본척도)가 재조직되었다. 재조직한 검사를 활용한 본검사 실시로, B, C, D 시 소재 B, C, D 중학교 1, 2, 3학년 1,129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창의성검사(본척도)에 대한 모형 적합도가 검증되었다. 결과, 3상부시스템_9하부시스템_79문항 모형이 .81-.92의 신뢰도(Cronbach의 )와 CFI .86-.95, TLI .83-.93, RMSEA .07-.12의 적합도 지수를 나타 냈으며, 이에 대한 이론적 중요성을 종합했을 때, 모형의 요인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평가 되었다. 이 모형은 창의성검사(최종척도)로 채택되었고, 준거관련 검사와 .28-.74의 상관을 보여, 적절한 준거관련 타당도를 확보함으로써, 마침내, 3상부시스템_9하부시스템_79문항 모형은 K-창의성검사로 명명, 산출되었다. K-창의성검사는 중학생의 잠재력 측정을 위한 자기보고식 특성검사로, 변화와 도전을 모색하는 창의적 성취에 준거를 둠으로써 학생들의 미래 성장가능성을 예측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창의성에 대한 인지신경과학 연구 개관

        조수현(Soohyun Cho) 한국인지과학회 2015 인지과학 Vol.26 No.4

        창의성은 독창적이고 유용한 아이디어를 산출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현대 사회의 많은 문제들을 해결하고 인류의 복지를 증진시키기 위해 창의성의 기전을 이해하고 이를 증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창의성은 매우 이질적이고 복합적인 능력으로서 이를 하나의 능력으로 개념화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학계에서는 창의성의 개별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창의성의 기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관 연구에서는 창의성의 주요한 구성 요소인 확산적 사고, 통찰, 관계적 사고 그리고 예술적 창의성에 대한 인지신경과학 연구들을 소개한다. 여러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 창의성의 인지신경학적 기전과 관련하여 우반구가 좌반구보다 우세하다는 가설은 실험적 증거에 의해 지지되지 않았다. 또한, 창의성과 관련하여 특정 뇌 영역의 중요성이 일관되게 보고되고 있지 않으며, 다양한 뇌 영역의 활동성이 창의성과 관계된다는 연구 결과가 혼재하고 있다. 이러한 상이한 연구 결과가 관찰되는 이유는 창의성의 각 구성 요소의 이질성 뿐 아니라, 연구에 사용된 과제의 특수성과 과제에 의해 유발된 인지적 전략의 차이에 의해 뇌 활동이 달라지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개관 연구에서는 창의성의 요소 별 뇌기반과 창의성의 증진에 대하여 우수한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탁월한 연구 성과를 이룬 대표적인 사례들을 소개하고 현행 연구들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한다. Creativity refers to the ability to generate novel and useful ideas.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creativity and its enhancement is important in order to solve major problems of the modern society and to improve the wellness of mankind. Creativity is a highly heterogeneous and complex ability which should not be conceptualized as a single entity. Thus, the current literature on creativity is based on a component process approach to creativity. The present study introduces cognitive neuroscience research studying the mechanism of divergent thinking, insight, relational thinking and artistic creativity which are the major components of creativity. Based on an expansive review, the early hypothesis of hemispheric asymmetr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right as opposed to the left hemisphere is not supported by scientific evidence. In addition, there is no consensus or consistency on which specific brain region is related to a certain component of creativity. In fact, there is a mixture of studies reporting involvement of various brain regions across all four lobes of the brain. This inconsistency in the literature most likely reflects heterogeneity of the component processes of creativity and sensitivity of the neural response to differences across tasks and cognitive strategy. The present study introduces examples of representative studies reporting seminal findings on the neural basis and the enhancement of creativity based on innovative methodology. In addition, we discuss limitations of the current cognitive neuroscience approach to creativity and presen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창의성에 대한 제거주의 정의 비판: 가치 있는 산물의 제작은 창의성에서 정말 불필요한가?

        임수영 한국미학회 2023 美學 Vol.89 No.4

        창의성에 대한 표준적인 정의는 심리학자들이 창의성 연구에서 널리 받아들이고 있는 정의로, 이 정의에 따르면 창의성이란 새롭고 가치 있는 산물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하지만 심리학에서는 이러한 의미의 창의성에 기여하는 심리적, 환경적 요인들에 대한 탐구는 많이 이뤄졌지만, 정작 산물의 ‘새로움’과 ‘가치’의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창의성은 어떻게 정의되어야 하는가?’라는 철학적 질문을 둘러싼 논의는 2000년 이후 몇 철학자들에 의해서 시작되었으며, 이 시기부터 표준적인 정의의 요소들이 실제로 필요한지, 창의성의 정의에 추가로 필요한 요소가 없는지를 묻는 철학자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 중 힐즈와 버드의 가치 없는 창의성 정의, 그리고 스톡스의 최소한의 창의성 정의는 표준적인 정의의 일부인 ‘가치 있는 산물의 제작’을 제거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갖는’ 심리적 과정을 창의성의 핵심이라고 보았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이 글에서는 이 정의들을 ‘제거주의 정의’라고 명명하고, 이 정의의 지지자들이 가치 있는 산물의 제작이 창의성에 필요하지 않다고 본 이유, 가치 있는 산물 대신 내세운 다른 조건들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는 제거주의 정의의 한계를 지적하고 이를 바탕으로 창의성에 대한 정의에서는 가치 있는 산물의 제작이 배제될 필요가 없다는 점을 논증하고자 한다. he standard definition of creativity is widely accepted by psychologists in the study of creativity. According to this definition, creativity is the production of new and valuable things. However, while the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contribute to creativity in this sense have been thoroughly explored by psychologists, there has been little discussion about what is meant by “new” and “valuable”. Discussions surrounding the philosophical question of "how should creativity be defined?" began to emerge after 2000, when a number of philosophers questioned whether the elements of the standard definition were really necessary and whether there were additional elements that could be added. The definition of “value-independent creativity”(Alison Hills & Alexander Birds) and the definition of "minimal creativity"(Dustin Stokes) remove the “production of something of value” part of the standard definition, and see the psychological process of “having new ideas” as key to creativity. In this article, I'll refer to their definition of creativity as the “eliminationist definition” and discuss why its proponents believe that the production of a valuable product is not necessary for creativity, and what other conditions they put forward in place of a valuable product. Next, I will point out the limitations of the eliminationist definition and argue that a definition of creativity need not exclude the production of valuable products.

      • KCI등재

        문학교육을 위한 창의성 실현의 조건과 방법 연구

        윤호경 ( Yun Ho-gyeong ) 한국문학교육학회 2020 문학교육학 Vol.0 No.68

        본 연구는 문학적 창의성을 ‘관습에 대한 영향과 모방을 바탕으로 문학이라는 상징영역을 변화시키는 과정’으로 정의하고, 문학적 창의성의 구성 요소로 문학적 지식 및 관습, 작품을 창작하는 저자, 작품을 해석하는 독자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문학적 창의성이란 구성 요소들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고 보고, 이를 시문학사의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창의성을 실현하는 방법을 구체화하기 위해서 독창적 개인으로서의 저자가 전대에 크게 유행했던 이미지의 상투성을 극복하는 방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창의성 실현의 방법으로 첫째, 이미지의 패러디, 둘째 이미지에 새로운 의미 부여, 셋째, 새로운 이미지 제시 이렇게 세 가지를 도출하였다. 상투성의 극복을 반복하면서 공동체 내에서 이미지의 상징성은 깊고 풍요로워진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본 연구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방법을 구체화하고, 창의성이 다양한 요소의 상호작용임을 규명하여 창의성 교육의 가능성과 필요성을 강조하며, 창의성이 관습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는 점을 통해서 창의성 교육이 기존에 이루어져 왔던 지식 교육과 연계되도록 하고자 하였다. 또한 창의성 논의에서 독자의 역할을 강조하고자 했다. This study defines literary creativity as a process of changing literary culture based on influence and imitation of customs and proposes understanding of literature, the author, and the reader as components of literary creativity. Literary creativity is achieved through the process of producing and accepting works by authors and readers with understandings of literary culture and tradition. Also, this study suggests three methods of realizing creativity by analyzing works that overcame the cliché of widely used images. The methods are parody of images, giving new meanings to images and presenting new images. Through these methods, images of the poems may not be stereotyped. Through this discussion, this study embodies how to present unique ideas, emphasizes the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creativity education by showing that creativity is an interaction of various factors, links creativity education to existing education through the fact that creativity requires understanding of customs and emphasizes the role of readers in the discussion of crea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