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통 법문화에서 례(禮)ㆍ법(法)과 음악(音樂)의 관계

        김지수 ( Ji-su Kim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論集 Vol.24 No.3

        본고는 동아시아 고전 및 사료를 바탕으로 전통법문화에서 禮·法과 音樂의 관계를 다방면에서 두루 살펴본다. 우선, 법제사적으로 禮의 후속산물로서 등장한 法·律의 역사변천을 살펴보고, 넓은 法 개념을 전제로 禮樂 병칭의 오랜 전통을 소개한다. 둘째, 律과 琴瑟을 중심으로 문자어원상 법과 음악의 밀접한 태생적 관련성을 탐구한다. 셋째, 變法 대명사로 서 膠柱鼓瑟과 改弦更張 비유를 고전 및 정사에서 여러 일화사례를 찾아 살펴본다. 넷째, 음악의 원리정신과 禮樂의 기본 관계를 여러 측면에서 고찰한다. 음악의 자연발생적 특성, 소리 진동의 공명동조와 음악의 감화력, 知音과 治音을 둘러싼 禮樂의 교화 기능, 음악과 禮法의 상호관계, 그리고 춘추시대 음악론과 예악 관계 등이 망라된다. 다섯째, 법과 음악에 궁극이념인 和를 사유해본다. 여기 和에는 和聲·和音·조화·평화 등이 포함된다. 여섯째, 和의 과학 원리[물리법칙]와 그에 상응하는 정신적·심령적 인과응보 법칙의 실체도 사색해본다. 일곱째, 불경에 자주 나오는 유명한 修道 ‘法’ 상징으로서 彈琴의 중용조화 비유를 상세히 소개하며, 아울러 莊子에 나오는 관련 일화도 곁들인다. 마지막으로 여덟째, 정치법령의 중용조화를 빗댄 공자의 긴장 이완 순환조화 및 老子의 활시위 비유를 살펴본다. 전통법문화에서 禮·法을 직접 음악에 비유한 사례는 잘 보이지 않으나, 부분적으로 예법과 음악의 비유관계는 나타난다. 거문고가 잘 조율되고 조화롭게 연주되어 가장 아름다운 소리를 낼 때 듣는 사람 心琴을 울린다. 인간사회에 평화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부득이한 통치 수단방편으로 시행하는 禮法을 비롯한 사회규범들도 심금을 울리는 음악처럼 조화롭게 적정한 중용평정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법은 음악과 같다고 비유할 수 있다. 법과 음악의 관계에 담긴 상징적 비유와 지혜는 법의 궁극 이념목적으로서 ‘調和[harmony]’와 ‘平和[peace]’로 귀결한다. 조화로운 음악을 들으면 사람 마음이 편안해지고 영혼 평화를 얻듯이, 법도 정의와 공평으로 사람 마음을 평안히 해주고 불평불만과 고통의 짐을 덜어주면 좋겠다. 법은 사회질서와 약자를 보호하고 국민의 안식처가 되어야 한다. 음악이 영혼의 안식 처가 되듯이! This article studies various relations between law and music in East Asian traditional legal culture with East Asian classics & historical records. Firstly, it survey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law from Li[Lye: 禮, the proprieties or good manners] to Lu[Ryul: 律, main form of law in traditional East Asia] and the eternal tradition of ranking Li[Lye: 禮, the proprieties] with music. Secondly, it researches the viviparous relevance of law & music from the etymological meanings of Lu[Ryul: 律, main form of law in traditional East Asia] & Qin-Se[Gm-Sl: 琴瑟, Chinese harp and lute, 琴 has 5 strings and 瑟 has 16 or 25 strings]. Thirdly, it investigates metaphors of two idiomatic phrases concerning change of law, one is playing glued harp[膠柱鼓瑟], another is changing string & tension alternation with relaxation[改弦更張]. Fourthly, it looks into the principle of music and relations between Li[Lye: 禮] & music from the many viewpoints including natural genesis character of music, resonance of voice vibrations & power to influence of music, education & enlightenment function of Li[Lye: 禮] & music, mutual relations between law & music, and theories on music in Pre-Qin[先秦] period. Fifthly, it meditates He[Hwa, 和] that is a final object or an ultimate aim common to law & music. He[Hwa, 和] includes harmony, concord, chord, and peace. Sixthly, it traces the scientific principle, i.e. physical law of harmony and corresponding law of causation in spiritual dimension or mental science. Seventhly, it introduces briefly Buddha’s important discourse that cultivation of the mind is like playing harp harmoniously nether exceeding tension nor too much slackness, and a related episode in Zhuang-zi[莊子]. Eighthly and Lastly, it introduces the teachings of Confucius & Lauzi[老子] on the golden mean & harmony of politics & laws through tension alternation with relaxation. In conclusion, law is like music in many points. Law like music must service for harmony of mankind & peace of society. It is to be wished that both government & individuals make constant efforts for cultivation of the mind for harmonious & peaceful world, and law is to be a refuge to find comfort & peace for weak people.

      • KCI등재후보

        孔·孟 禮法觀의 생성과 변화

        박동인(Park Dong-I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서강인문논총 Vol.0 No.32

        이 글의 목적은 孔 : 孟 禮法觀을 탐색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일차적으로(순자 예법관까지 고려한 표현) 先秦 儒家 禮法觀의 생성과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漢代 이후 유가의 다양한 예법관을 살펴보기 위한 기준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賈誼를 거쳐 董仲舒에 의해 비로소 정착하게 되는 禮主法輔 구조의 연원을 이해할 수 있다. 여하튼 연구결과 공 : 맹의 예법관은 다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우선 禮 개념의 함의와 역할(=기능)에 관한 것인데, 공자는 이것을 사회 : 정치적인 등급제도와 나라를 다스리는 강령(道) 및 개인수양의 요체로서의 행위규범으로 풀고 있다. 이에 비해 맹자는 그것을 사람이 타고 나면서 갖추고 있는 선한 단서 중한 요소와 인간 내면의 仁義를 원활하게 드러내는 표현형식, 그리고 공자의 예론을 계승해 정치질서(=통치규범)와 군자가 행위의 표준으로 삼는 도덕준칙(=규범)이라 풀었다. 이것을 통해 볼 때 맹자는 공자의 예를 수용하면서 공자에게서는 외재적이었던 禮 개념을 인간 내성의 4가지 요소 중의 하나로 규정했고, 또 그렇게 함으로써 외재적인 예악전장제도의 성립근거를 확보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는 오히려 외재적인 예악제도에 착념하지 않고, 오히려 내성에 근거한 도덕수양과 그것에 기반한 仁政을 강조했다. 둘째는 법 개념의 수용과 그것의 활용에 대한 것인데, 공자의 법에 대한 관점은 ‘처벌규정’ 정도라 규정할 수 있다. 즉 禮를 어겼을 때, 그 사람의 신분이나 직책 및 공적을 고려하여 시행하는 처벌규정 이외의 것이 아니었다. 따라서 공자의 법에 대한 관점은 기본적으로 西周 이래의 전통적인 관점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에 대해 부정적이기는 하지만 성문법으로서의 刑書에 대해 의식하고 있었다. 한편 맹자는 공자의 ‘처벌규정’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법가의 ‘法’의 존재를 보다 분명하게 인정하고 있다. 즉 성문적인 ‘法’도 ‘刑罰’도 인정했던 것이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법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형벌을 대폭 축소할 것을 주장하고, 특히 이것을 운용할 주체로서의 才德을 겸비한 군자의 역할을 강조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진정한 의미에서 禮와 法이 공존하면서 각자 치국의 도구로 사용할 수 있게 한 사람은 荀子에게서 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이 비록 禮를 주로 法을 보조로 삼는 것이기는 하지만 말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view on rite and law of Confucius and Mencius. Then in the first place(an expression which make allowance for Xunzi’s the view on rite and law), there is to inquire the Confucianism of pre-Qin’s the view on rite and law. Go through this, we can secure a standard for look into the Confucianism’s a several view on rite and law after Han-dynasty. And we can understand an origin of the structure of ‘rites as the main and the laws as the subsidy(禮主法輔)’ which was settled down rely on Dong Zhong-Shu(董仲舒) pass through Jia-Yi(賈誼). Anywa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view on rite and law of Confucius and Mencius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two. First, as relating to the concept of rite’s significant meaning(含意) and role(=function), Confucius interpreted them as the social and political rating system, the platform to govern the country, and code of conduct as the essence of personal discipline(=the cultivation of the mind of private). In comparison, Mencius interpreted them as an element of a good clue which was equipped that someone born, a form of expression that the benevolence and uprighteousness(仁義) of inner side of humankind come out smoothly, and the political order in succession to Confucius’s theory of rites and the moral standard that a man of virtue think as a standard of conduct. When viewed through this, Accepting Confucius’s theory of rites, Mencius stipulated that a rite’s concept which was extrinsic in Confucius changed as one kind of four good elements in human, and in doing so, we knew that a basis of establishment of li-yue-dian-zhang-zhi-du(禮樂典章制度) which was extrinsic secured. But he emphasized a moral discipline(道德修養) which based on good nature in human rather than concentrate upon extrinsical li-yue-zhi-du(禮樂制度). And he emphasized a policy of benevolence(仁政) which based on a moral discipline. Second, About an acceptance and use of the concept of law, Confucius’s view about the law can regulate as a meaning of ‘penalties’. In other words, When someone was broken rites, it is ‘penalties’ that punish him as considering the person’s identity or position, and achievements. Therefore, Confucius’s view of the law can say not much different the traditional viewpoint since western zhou dynasty(西周) basically. However, Even though he is negative for it(the law), he is conscious being of the book written penalty(刑書) as written law(成文法). On the other hand, Mencius has been more clearly recognized Legalist school’s presence of the law more than Confucius’s ‘penalties’. In other words, he recognize the law as written law and penalty(刑罰). But he has had a negative attitude about the law. And he claimed that significantly reduce penalties. Especially he emphasized the role of man of virtue(君子) who is owned talent and virtue as the main agent to operate it. Therefore, although it was working the rites as the main and the laws as the subsidy, in the true sense, Xunzi(荀子) could was co-existed rite and law. And he used it as a tool to govern the country.

      • KCI등재

        전(前),후촉시기(後蜀時期) 도성(都城) 성도(成都)와 국가의례(國家儀禮) -도성사에 있어서 의례도시적 전통의 계승과 변용을 중심으로

        金相範 중국사학회 2021 中國史硏究 Vol.- No.134

        這篇論文, 以前丶後蜀政權的都城成都爲中心, 探討都城史上‘禮儀城市’傳統的繼承與變化. 首先考察了成都發展爲一國都城的趨勢以及具備禮儀空間的過程. 成都城市史的巨大變化發生於876年高騈就任西川節度使之後. 高騈推行了大規模的羅城及城壕工程, 而成都具備了牙城丶子成丶外城的三重城的結構, 並加強了防禦功能. 第二次變化發生於前後蜀時代. 爲了具備皇帝都城的威嚴, 前蜀王建以大唐長安的皇城爲典範, 增修殿閣, 提高名號了. 值得矚目的是體現禮儀城市的特性, 建立了主要禮儀設施. 先設定了正殿會同殿連結於南郊圜丘壇的中軸線, 並以中軸線上的南北禦街爲准, 營造成左祖右社的禮儀空間. 如此, 成都共有皇帝居所宮殿與祭祀天地丶宗廟丶社稷等壇廟, 而正式具備了禮儀城市的規模. 爲了加強政權的正當性, 並解決現實政治的需求, 前丶後蜀政權在成都經常舉行了郊祀丶宗廟丶釋奠等傳統國家典禮. 值得注目的是蜀地本身, 地域意識頗爲鞏固, 而從外進入樹立政權的前丶後蜀, 獲得當地豪族和老百姓的支持, 專心尊重和收容禮儀和信仰所包含的地域性歷史意識. 因此, 屬於中祀的先代帝王丶賢臣丶名山大川等一些國家禮儀, 明顯顯示出區域化的傾向, 劉備和諸葛亮祭祀就是最主要的例證. 總之, 十國時期都城成都的案例看, 雖然都城仍然維持著禮儀城市的傳統性格, 而區域和民間因素的介入, 禮儀城市的傳統裏面已始發生變化.

      • KCI등재

        조호익 『易象說』의 해석틀 분석(Ⅰ)

        윤석민(尹錫珉) 한국동양철학회 2013 동양철학 Vol.0 No.40

        조호익 『역상설』 해석틀 분석 연구는 조선 전기 역학의 『주역』해석방법과 해석틀을 이해하는 큰 연구는 한 대목으로서, 본고는 괘기와 괘변 관련 해석틀을 중심으로 『역상설』의 해석틀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역상설』은 송명시기 정주학파의 兼治象義의 역학관을 계승하면서도 한당시기 취상적 해석틀에 기초해서 『주역』경전을 해석했다. 그는 “괘효의 본뜻은 괘효의 상을 떠나 있지 않고”, “취상에는 고정불변의 규칙이 없다”라는 경전해석의 방법론을 천명했다. ‘상으로써 의를 포괄’하려는 그의 관점은 이천과 주희의 관점과 거리가 있다. 구체적인 해석틀, 즉 괘기설과 괘변설 관련 해석틀 역시 이들과 확연히 구분된다. 그는 괘효사 해석에서 주진, 호병문, 호일계의 상수역학적 관점, 특히 취상적 해석틀을 적극 인용했고, 나아가 상으로 의를 포괄하면서 새롭운 해석틀을 전개하기도 한다. ‘象抱義’의 방법론 안에서 십이소식괘설, 납갑설 등의 괘기적 해석틀과 승강, 호체, 비복, 반체, 사체 등의 괘변적 해석틀로 『주역』경전의 문구를 해석했다. 하지만 『역상설』에는 괘기ㆍ괘변의 취상적 해석틀 이외에도 효위ㆍ효변과 기타 해석틀에 취의적 경향이 존재한다. 본고에 이어지는 “조호익 『易象說』의 해석틀 분석(Ⅱ) -爻位ㆍ爻變의 해석틀과 기타 해석틀을 중심으로”에서는 취상적 해석틀과 취의적 해석틀 분석을 통해 『역상설』의 가치와 의의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本稿是研究曹好益『易象说』的解译体例的前半部分(以卦气和卦变为主)。其研究目的在于通过分析曹好益『易象说』的解译体例而提示他易学的特点, 并显示出朝鲜前期周易解释的学风。他在宋明代程朱学派易学的基础上展开了朝鲜易学的固有特点, 即兼治象数和义理的易学观。『易象说』基本上采用汉唐宋明时期象数体例来对[周易]经传进行了解释。它的解易特点可以概括为四各方面。首先, 关于象义关系。卦爻义不能离开卦爻象而存在。其次, 关于取象规则。取象没有固定不变的规则。再次, 取舍前代易学的观点。 他十分推崇朱震, 胡炳文和胡一桂等象数易学家所展开的解经体例, 却不常采用程颐和朱熹的义理性浓厚的解经体例。最后, 关于解译体例的特点。他的解译体例在象抱义的观点上采用前代所有的象数体例, 即以十二消息卦说、纳甲说的卦气说, 升降、互体、飞伏、反体、似体等的卦变说来解释周易经传并展开象数易学的特点。此外爻象、爻变、爻位等同爻有关的解易体例要在“조호익 『易象说』의 해석틀 분석(Ⅱ)”进行分析和探讨。

      • KCI등재

        예(禮)의 관점에서 본 다산(茶山) 『주역(周易)』 해석의 특징

        안승우 한국유교학회 2019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6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Dasan 茶山 Jeong Yak-yong 丁若鏞’s interpretation of the Zhou Yi 周易 is that he interprets the Zhou Yi through li 禮. As in the case of Dasan, it is found interpretation of the Zhou Yi through li, dating back to the beginning when Zheng Xuan 鄭玄 began to interpret it in earnest through li including rituals of ancient Zhou 周 Dynasty and the Zhou Li 周禮. In this regard, Zheng Xuan and Dasan seem to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y interpret the Zhou Yi through li. On the other hand, Dasan offered critical views on some Zheng Xuan’s views. In particural, Dasan acknowledged only changes (bianyi, 變易) among three meanings of Yi 易 offered by Zheng Xuan: “easy and simple (yijian, 易簡),” “changes,” and “unchanging (buyi, 不易),” while evaluating the reminder as “wrong theories.” This paper examines Dasan’s thoughts of li shown in his interpretation of the Zhou Yi by comparing them with Zheng Xuan’s views on it, explor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le of changes on the Zhou Yi and li, analyzing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the Zhou Yi to apply for reality, and understanding his efforts to practice li in the real world.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주역(周易)』 해석의 특징 가운에 하나는 예(禮)를 통해 『주역』을 해석한다는 점이다. 다산의 경우처럼 『주례』 및 고대 주대(周代)의 예제를 통해 본격적으로 『주역』을 해석하기 시작한 시초는 거슬러 올라가 정현의 『주역』 해석에서 발견된다. 이처럼 예를 통해 『주역』을 해석한다는 점에서 정현과 다산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한편으로 다산은 일부 정현의 견해, 예컨대 역(易)의 의미에 대한 정현의 해석과 정현의 『주례』 해석 등에 관해 비판적인 시각을 제시했다. 특히 다산은 정현이 제시한 역(易)의 세 가지 의미인 이간(易簡), 변역(變易), 불역(不易) 가운데 변역만을 인정했고 나머지 이간과 불역은 잘못된 학설로 평가했다. 본 논문은 다산이 『주역』을 해석하는 데 있어서 주목했던 예에 대한 사유를 정현의 『주역』 해석과의 비교, 다산이 파악한 『주역』의 변화의 원리와 예(禮)의 원리와의 연관성, 다산이 이해한 『주역』의 현실적 적용을 위한 문헌적 특성과 예의 실천성을 위한 모색 등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신라 禮部의 구성과 그 특성 -屬司의 관계와 직무를 중심으로-

        박초롱 역사교육학회 2024 역사교육논집 Vol.85 No.-

        In this study, an examination of the establishment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 Yebu(禮部) of Silla(新羅) was conducted, along with an analysis of Yebu(禮部)'s structure. Subsequent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Yebu(禮部) was elucidated, and an exploration was undertaken regarding how these characteristics were reflected in Silla's overarching worldview. The Yebu(禮部) comprised the bureaus of Daedoseo(大道署), Eumseongseo(音聲署), Gukhak(國學), Jeonsaseo(典祀署), and Sabumseo(司範署) as subordinate agencies. Among these, Jeonsaseo(典祀署) and Sabumseo(司範署), based on the positions of their leaders and the number of officials, were the lowest-ranking bureaus. Therefore, significant decision-making within Jeonsaseo(典祀署) and Sabumseo(司範署) fell under the purview of the Yebu(禮部), indicating that the functions of Jeonsaseo(典祀署) and Sabumseo(司範署) were central to the ministry. Jeonsaseo(典祀署) handled national rituals, while Sabumseo(司範署) managed administrative ceremonies. Consequently, it can be inferred that the core of Silla's national rites lay in state rituals and administrative ceremonies. In contrast to the Yebu(禮部) in the Sui(隋) and Tang(唐) Dynasties, as well as Japan's Chibuseong(治部省), which had subordinate agencies responsible for diplomatic rituals, the Yebu(禮部) of Silla did not have a subordinate agency specifically designated for diplomatic ceremonies. Silla maintained a separate administrative office outside the Yebu(禮部) to handle diplomatic rituals. This structural distinction underscores the difference with contemporaneous China and Japan, where a centralized administrative system reflected a worldview centered on their respective nations. In other words, Silla did not establish a comprehensive order encompassing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orders.

      • KCI등재

        修堂 李南珪 禮意識의 특징적 면모

        김언종(Kim, Eon-jong) 한국고전번역원 2017 民族文化 Vol.50 No.-

        본고는 투철한 예의식을 바탕으로 한 강고한 의지로 일제의 강압에 굴하지 않고 爲國義理를 지켜 殉國한 大丈夫 수당 이남규의 예의식(禮儀識)을 주제로 그 구체적 면모를 살펴보고 그 가운데 오늘날에도 적용할 수 있는 부분들을 추출해 본 것이다. 그 결과 수당의 예학에 다음과 같은 특징적 면모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 수당은 퇴계와 성호의 예설을 圭臬로 삼았다. 2) 수당은 喪祭禮에 있어 부부평등주의를 견지하였다. 3) 수당은 장례와 상례 때 음식을 장만해서 손님을 접대하는 것은 예법에 어긋나는 일이므로 禁絶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4) 수당은 血緣이 아니더라도 사모하는 마음이 있으면 귀신이 歆饗하는 것이라 하여 外孫奉祀를 親孫奉祀와 동등한 것으로 인정하였다. 5) 수당은 조상을 대함에 있어 名祖니 顯祖니 하는 분들만 추숭하는 것은 비루한 것이며 모든 조상을 차별을 두지 않고 존숭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6) 수당은 조상의 초상이 실물을 그린 것이 아니라 상상에 의한 것이라 하더라도 후인들의 감발을 자아낼 수 있다면 가치 있는 것이라 생각하였다. 7) 수당은 위로하고 위로 받는 마당이 바로 제사라고 생각하였다. 제사에 이런 상호 위안의 의미를 담아야 한다는 것이 수당의 지론이었다. 이처럼 우리는 수당의 예의식을 통하여 한민족의 정신적 질서를 적어도 천여 년 이상을 지탱해주던 儒家의 禮가 거의 자취 없이 붕괴된 오늘날에도 反思와 응용의 대상일 수 있는 부분이 적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day of Li(禮) is past with the start of 20<SUP>th</SUP> century. The Confucian idea of Li had supported by several canonical books such like Yili(儀禮), Zhouli(周禮), Liji(禮記) and Jiali(家禮) written by Zhuxi(朱熹). Lee Nam-gyu(李南珪), a scholar who lived in the late period of Chosŏn Dynasty, tried to maintain the spiritual value of Li by studying and practicing. Since he reached a high level in the field, we need to figure out his accomplishments. However it is somewhat different in our contemporary needs, most of us don’t feel the need to do. But I believe that we need to continue to research the fundamental spirit of Li which spreads out from gods to mortals. Therefore I examined the perception of Li by Lee Nam-gyu, and took the essences which can be adopted in present days. In consequence, I verified no small sum of precious values which can be meaningful even in today. I am certain that the understanding of Li is spiritual heritage, and it can be revived by contemporary people.

      • KCI등재

        수당(修堂) 이남규(李南珪) 예의식(禮意識)의 특징적 면모

        김언종 한국고전번역원 2017 民族文化 Vol.50 No.-

        The day of Li(禮) is past with the start of 20th century. The Confucian idea of Li had supported by several canonical books such like Yili(儀禮), Zhouli(周禮), Liji(禮記) and Jiali(家禮) written by Zhuxi(朱熹). Lee Nam-gyu(李南珪), a scholar who lived in the late period of Chosŏn Dynasty, tried to maintain the spiritual value of Li by studying and practicing. Since he reached a high level in the field, we need to figure out his accomplishments. However it is somewhat different in our contemporary needs, most of us don’t feel the need to do. But I believe that we need to continue to research the fundamental spirit of Li which spreads out from gods to mortals. Therefore I examined the perception of Li by Lee Nam-gyu, and took the essences which can be adopted in present days. In consequence, I verified no small sum of precious values which can be meaningful even in today. I am certain that the understanding of Li is spiritual heritage, and it can be revived by contemporary people. 본고는 투철한 예의식을 바탕으로 한 강고한 의지로 일제의 강압에 굴하지 않고 위국의리(爲國義理)를 지켜 순국(殉國)한 대장부(大丈夫) 수당 이남규의 예의식(禮儀識)을 주제로 그 구체적 면모를 살펴보고 그 가운데 오늘날에도 적용할 수 있는 부분들을 추출해 본 것이다. 그 결과 수당의 예학에 다음과 같은 특징적 면모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 수당은 퇴계와 성호의 예설을 규얼(圭臬)로삼았다. 2) 수당은 상제례(喪祭禮)에 있어 부부평등주의를 견지하였다. 3) 수당은 장례와 상례 때 음식을 장만해서 손님을 접대하는 것은 예법에 어긋나는 일이므로 금절(禁絶)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4) 수당은 혈연(血緣)이 아니더라도 사모하는 마음이 있으면 귀신이 흠향(歆饗)하는 것이라 하여 외손봉사(外孫奉祀)를 친손봉사(親孫奉祀)와 동등한 것으로 인정하였다. 5) 수당은 조상을 대함에 있어 명조(名祖)니 현조(顯祖)니 하는 분들만 추숭하는 것은 비루한 것이며 모든 조상을 차별을 두지 않고 존숭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6) 수당은 조상의 초상이 실물을 그린 것이 아니라 상상에 의한 것이라 하더라도 후인들의 감발을 자아낼 수 있다면 가치 있는 것이라 생각하였다. 7) 수당은 위로하고 위로 받는 마당이 바로 제사라고 생각하였다. 제사에 이런 상호 위안의 의미를 담아야 한다는 것이 수당의 지론이었다. 이처럼 우리는 수당의 예의식을 통하여 한민족의 정신적 질서를 적어도 천여 년 이상을 지탱해주던 유가(儒家)의 예(禮)가 거의 자취 없이 붕괴된 오늘날에도 반사(反思)와 응용의 대상일 수 있는 부분이 적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寒岡 禮學 연구의 성과와 전망

        도민재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4 嶺南學 Vol.0 No.25

        This paper reviews the research results about the HangangJeong-gu’s Studies of Rite and thinking about the direction of futureresearch. Previous research had well-organi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Hangang Jeong-gu’s Studies of Rite. In the future, we should dotranslate Osunsaengyesulbunryu(五先生禮說分類; Classification ofSong-Dynasty Five master’s Theory about Rite) into Korean. And wewill have to study about the specific case of the Studies of Rite. Next, we have to compare this research result with other scholars. And we should research about his thought has implications for laterscholars. 본 논문은 한강의 禮學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성과 18편의 연구내용을검토하고, 앞으로의 寒岡禮學의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기존의 한강예학에 대한 연구는 禮書 중심의 연구, 禮說 등의 분석을 통한禮學思想 전반에 대한 연구, 心學이나 修養論 등 哲學思想과 관련한 연구로나누어 볼 수 있었으며, 이들 연구는 한강예학의 특성을 비교적 잘 정리하고있었다. 앞으로 한강예학의 연구 방향은, 變禮의 상황에 대한 한강의 禮說을 구체적으로 분석 고찰하고, 이를 당시에 활동했던 여타 예학자들의 禮說들과 비교 검토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家禮’와 관련한 연구 이외에한강의 ‘國家禮’에 대한 연구도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한강의대표적인 禮書인 『五先生禮說分類 』의 번역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아울러한강예학이 嶺南學派와 畿湖南人, 그리고 畿湖學派의 후기 예설 전개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해서도 연구되어야 할 과제라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