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기로 본 5~6세기 복암리세력과 주변지역의 동향

        서현주 ( Hyunju Seo ) 호남고고학회 2016 湖南考古學報 Vol.54 No.-

        나주 복암리 일대는 복암리 1~4호분으로 보아 3~7세기동안 고분이 조영되었음이 알려졌으며 이를 바탕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최근들어 5~6세기를 중심으로 새로운 대형 고분들이 조사되면서 다양한 계통을 보여 주는 자료가 확인되어 이를 통해 복암리세력의 동향을 좀더 잘 드러낼 수 있게 되었다고 판단된다. 본고에서는 최 근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복암리 정촌고분, 가흥리 신흥고분의 토기를 중심으로 하고 복암리고분군과 비교하면서 5 ~6세기 복암리세력과 주변지역의 동향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복암리 정촌고분과 가흥리 신흥고분은 영산강중류지역인 복암리고분군의 인근에 위치하며, 토기나 매장시설로 보아 복암리 3호분보다 더 이른 시기에 조영되기 시작하였고 계통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가흥리 신흥고분은 5세기 중엽, 복암리 정촌고분은 분구와 함께 1호 석실묘가 5세기 후엽에 조영되기 시작하여 7세기를 전후한 시기까지 이어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계통적으로 볼 때 가흥리 신흥고분은 가야계, 왜계, 백제계, 영산강하류지역, 복암리 정촌 고분의 1호 석실묘는 왜계, 백제계, 영산강상류지역 등 다양한 계통과 관련지역이 확인되며, 이후 석곽묘와 옹관묘, 사비기 석실묘에는 재지계 유물과 함께 소수의 가야계 유물도 포함되어 있다. 복암리 3호분이나 영동리고분군에서는 신라계 자료도 확인된다. 가흥리 신흥고분은 영산강하류지역의 양상과 연결되므로 5세기 중엽경에 이 일대의 세력이 재지성향을 가지면 서 중류지역에서 새롭게 부상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복암리 정촌고분은 다른 영산강 중류나 하류 지역의 고 분들과 비교하면, 토기나 매장시설 등에서 다소 이질적이다. 특히, 1호 석실묘는 영산강상류지역, 백제와의 관련이 두드러진다. 6세기경에 조영되어 주로 6세기 전반에 매장이 이루어진 복암리 3호분의 96석실묘를 중심으로 한 복 암리고분군에서도 백제계 토기는 이어지지만, 소위 백제식이라 할 수 있는 새로운 개배 형식이 주류를 이룬다. 두 고분 모두 백제계 위세품인 금동식리가 부장되어 백제와의 긴밀한 관계를 잘 보여주는데, 토기 양상 또한 시차를 두고 복암리세력이 백제와의 관계에서 위상과 역할이 변화·확대되는 모습을 잘 보여준다 Bokam-ri, Naju, is known for the presence of ancient tumuli dated to the 3rd to the 7th centuries AD, and a new set of tombs have recently been excavated. The current paper examines pottery assemblages of the newly excavated tombs and discusses their implications in relation to the political interaction of regional polities. The Jeongchon tomb in Bokam-ri and the Shinheung tomb in Gaheung-ri are located in the middle reach of the Yeongsan River. These tombs are close to the Bokam-ri tombs, but were built earlier than the Bokam-ri no. 3 tomb. The Shinheung tomb was built around the mid 5th century and reflects the influence from Gaya, Wa (倭) and Baekje. The tomb represents the emergence of new power group in the area. The stone chamber of the Jeongchon tomb was built around the late 5th century. The tomb and the associated pottery reflects cultural connections with Baekje, especially those in the upper area of Yeongsan River. The so-called Baekje-style flat cups are the dominant artifact types discovered from No. 96 chamber tomb of the Bokam-ri no. 3 tomb. Gilt-bronze shoes, a Baekje-style prestige item, were discovered from the Jeongchon tomb and the Bokam-ri no. 3 tomb. These findings suggest the close relationships of the local polities with Baekje and the changing political status of the Bokam-ri elite groups.

      • KCI등재

        羅州 伏岩里 出土 百濟木簡의 判讀과 用途 分析 -7세기 초 백제의 지방지배와 관련하여-

        윤선태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2 百濟硏究 Vol.56 No.-

        The wooden tablets of Bogam-ri site are relics of Baekje made out about 610A.D. Being produced in local society, let many scholars research this wooden tablets. It's time to review the results of my research. Tablet no.2 has a few vague letters, but it is clear that it has the letter ‘丁’,‘中’, ‘小’ and ‘兄’, ‘婦’, ‘妹’. That must be a important material which can give clue to investigate the composition of Household Register in Baekje society. Because the name of relatives and the age rank were written on that. Tablet no.5 has contents that the people, the cow, and the land to cultivate of a household. Baekje Household Register was composed of that many factors. Tablet no.3, no.4, no.10, and no.12 are important. The administration-system and the way of labor mobilization can be studied through those. The people of ‘半那’ and ‘軍那’ under the control of ‘豆肹城’ were mobilized and worked. There are some difficulties to examine those tablet. To understand its contents and usage, it is necessary to clear how it was used in document administration in local societies. 복암리 목간은 백제의 중앙 도성이 아닌 지방사회에서 발굴된 최초의 사례이며, 목간의 묵서에도 종래의 문헌자료에서는 확인되지 않는 백제의 戶파악방식, 농업경영(量田 및 단위생산량), 그리고 ‘郡-城’의 행정체계에 관한 매우 획기적인내용들이 기록되어 있어, 그 의의가 자못 크다. 복암리 목간에 대한 본고의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복암리 <목간11>에 기록된 ‘庚午年’은 610년으로 추정되며, 내용상 호구파악이나 군-성의 행정 관련 문서목간들이 대부분이어서, 복암리 목간은 7세기 초에 백제 지방관부가 작성한 목간으로 이해된다. 둘째, 복암리 목간을 통해 백제의 ‘戶籍’과 기층사회의 존재양태를 이해할 수 있는 기초가 마련되었다. <목간2>와 <목간5>를 통해 백제 戶籍의 서식도 어느 정도 복원이 가능하게 되었다. 백제의 戶는 복합세대로 구성되었고, 세대별로 독립기술되었다. 그 각각에 中口, 小口 등 그 예하 子女가 남녀 구별 없이 나이순으로 기술되었다고 추정된다. 이는 현존하는 西魏의 大統 13년(A.D.547) 戶籍이나 日本의 西海道戶籍(A.D.702)과 서식이 매우 유사하다. 결국 西魏 계열의 서해도호적기재양식은 7세기말 망명한 백제계 지식인들에 의해 고대일본에 전파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생각된다. 셋째, 복암리 목간을 통해 백제의 郡-城 지방행정체계를 검토할 수 있는 기초가 마련되었다. <목간4>의 ‘郡佐’나 <목간10>의 ‘郡得分’처럼, 복암리 목간에는 백제의 ‘군-성’ 행정과 관련된 목간이 여러 개 확인된다. 또 ‘軍那’가 기록된 荷札과‘半那人’들의 역역편성 관련 문서목간 등이 확인되고 있어, 목간이 출토된 복암리 지역, 즉 豆肹城이 7세기 초 당시 군나, 반나 등을 예하에 거느린 郡置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복암리 목간을 전후한 시기 영산강 유역 지역권력의 변화과정을 추론하면 다음과 같다. 영산강 유역은 반남고분군으로 상징되듯이 전통적으로 ‘半那’가 지역권력의 정점에 있었다. 백제는 6세기 이후 영산강유역으로 세력을 뻗치면서, 반나의 기존 세력을 약화시킬 목적으로 현재 다시면 복암리 일대인 ‘豆肹’ 지역의 세력을 후원하였다. 복암리고분군은 이를 상징한다. 이후 백제의 중앙집권제 하에서 豆肹城은 郡으로써 영산강 유역의 半那, 軍那, 布賢(發羅) 등의 각 城을 관할하였다. 이러한 郡-城의 행정관계는 唐이 帶方州를 설치하였던 도독부 시절에도 지속되었다. 한편 신라는 백제를 멸망시키고 영산강 유역의 기존 권력구조를 약화시키기 위해, 백제 때 눌려 지냈던 반나 지역을 군으로 승격하고, 두힐은 현으로 강등하여 발라군의 예하로 편성하였다. 이때 두힐이 기존에 관할하던 군나도 분리하여 무안군으로 소속시켰다. 이를 통해 백제 때 두힐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영산강 유역의 지역권력구조는 신라에 의해 완벽히해체되었다.

      • KCI등재

        나주(羅州) 복암리(伏岩里) 출토 목간으로 본 사비시대 두힐(豆?)

        김근영 ( Kim Geun-young ) 백제학회 2016 백제학보 Vol.0 No.18

        본고에서는 복암리유적에서 출토된 5점의 목간을 통해 현재 다시면 일원인 사비시대 豆?을 살펴보았다. 복암리목간은 <목간 11>의 `庚午年`이라는 묵서를 통해 7세기 무렵의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서사공간이 넓은 목간이 주로 출토되었다는 점에서 문서행정에 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았다. 검토 대상인 5점의 목간(목간1, 3, 4, 10, 12)에서는 得安城, 半那, 毛羅, 前巷 등의 지명과 奈率, 德率, ?率 등 관등명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豆?과 주변지역과의 연계가 있었으며, 지방 지배에 관련된 관료층이 머물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복암리 유적은 목간과 함께 발견된 `豆?舍`銘 장군과 `官內用`銘 壺를 통해 官의 성격을 가진 豆?舍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었다. 豆?舍는 목간에서 郡과 관련된 묵서 군장의 관등 덕솔 등으로 보아 郡의 관청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豆?舍에서는 郡으로써 쌀을 걷어 관리하고, 도망한 出背者를 추포하기도 하였다. 더불어 반남면 일대인 半那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어 郡의 治所였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7세기에 보이는 豆?의 위상은 5세기 중·후반 무렵부터 두드러지는 것으로 보았다. 이 일대에 정촌고분, 복암리 3호분 `96석실이 조영되며 복암리를 중심으로 다시면은 부상되었다. 이는 지리적으로 영산강에 인접하며, 교역에 유리한 위치라는 내부적 원동력에서 비록되었다. 더불어 백제의 진출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는 점은 삼포천 일대의 반남 세력을 능가하는 세력으로 자리잡는데 영향을 미쳤다. 나주 다시면 일원은 사비기 方郡城 체제 아래 豆?郡으로 편성되며 水川, 實於山, 半奈夫里를 영속하게 된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Duhil(豆?) during the Sabi period, which is the Dasi-myeon(多侍面) area now through five pieces of wooden tablets excavated in the Bogam-ri site. From the wooden tablets, in Wooden Tablet No. 11, an ink writing of `Year of Gyeongoh(庚午)` was found, so it was noted that the Bogam-ri wooden tablets reflect the situations of the 7th century. In addition, in that wooden tablets with a wide space for writing were excavated, it was assumed that they had been mainly used for document administration. In the examined five pieces of wooden tablets (Wooden Tablets No. 1, 3, 4, 10 and 12), place names such as Deukanseong(得安城), Banna(半那), Mora(毛羅) and Jeonhang(前巷) and official names such as Nasol(奈率), Deoksol(德率) and Hansol(?率) were found. Through this, it was noted that Duhil had an association with the surrounding areas and that bureaucratic class related to regional ruling stayed there. Through a tin with an inscription of `Duhilsa(豆?舍)` and an urn with an inscription of `For official use` found with wooden tablets, it was assumed that there was Duhilsa with the character of an official. It was assumed that Duhilsa was a government office, judging from the facts that ink writing related to Gun(郡, district) was found and that official ranks of the chief of Gun like Deoksol were found. In addition, it appeared that Duhil was a Gun, which had roles of collecting and managing rice and arresting fugitives who were running away. Along with this, this affected Banna, which is Bannam-myeon(潘南面) area, too, so it was judged that it was a ruling place of Gun. The status of Duhil in the 7th century became noticeable around the mid to late 5th century. As Stone Tomb No. 96, Bogam-ri Tomb No. 3, Jeongchon Tomb were built in this area, Dasi-myeon came to the fore centering around Bogam-ri. This was caused by the internal driving forces including its geographical adjacency to the Yeongsan River and its location advantageous for trade. Along with this, the fact that it was active for Baekje`s advancement affected its settlement as a force with a power exceeding the Bannam force around the Sampo-cheon River. This made Sucheon(水川), Silleosan(實於山) and Banna settled as this was organized as Duhil-gun under the Bang-Gun-Seong system(方郡城體制) during the Sabi period.

      • KCI등재

        전남지역 사비기 석실의 전개양상과 분포 의미

        최영주 ( Choi Young Joo ) 호남고고학회 2018 湖南考古學報 Vol.60 No.-

        본고에서는 전남지역 사비기 석실의 구조적인 특징과 지역별 전개양상을 통해 분포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전남지역 사비기 석실 중에서 가장 이른 것은 EⅨ3형식으로 당시 중핵지역인 나주 복암리고분군에서 확인된다. 이 형식은 복암리 3호분 96석실의 구조적인 특징에 사비기 석실이 규격화, 소형화되는 과정에서 출현한 것으로 복암리고분군의 영향력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GⅨ형식도 능산리왕릉군에서 사용된 석실구조로 복암리고분군에서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앞의 두 형식의 석실에서는 은화관식과 관모틀, 대금구, 장식대도가 집중적으로 출토되어 고분군의 위계가 매우 높은 편이다. 서해안 도서지역에 다수의 고분군이 분포하는 점은 신안군 일대가 고대 근해항해 루트에서 전략적인 요충지로 백제가 6세기 중엽 이후 근해항로를 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방관을 파견한 것으로 보인다. 그 가운데 신안 도창리고분은 전형적인 능산리형 석실로 왕릉급에 버금가는 규모와 규격성, 완성도를 갖추고 있어 백제에서 파견된 지방관의 무덤으로 추정된다. 한편 다수의 고분군 중에 복암리유형(EⅨ3형식) 석실이 분포하는 점은 당시 중핵지역인 나주 복암리고분군과의 밀접한 관계가 상정된다. 고막천유역의 장성과 함평지역 고분군은 FⅨ1형식을 수용한 이후에 FⅨ2형식, FⅣ형식, FⅩ형식 등 다양한 석실구조로 전개되며, 탐진강유역에서는 EⅤ1형식을 수용한 이후에 FⅣ형식, FⅩ형식 등 다양한 석실구조로 전개된다. 이는 양 지역의 재지세력이 사비기 석실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지역색으로, 백제화가 진행되는 과정에 대한 대응 전략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전남지역 사비기 석실은 획일적으로 백제 중앙의 석실이 확산된 것이 아니라 중핵지역(복암리일대)과 외연지역의 재지세력에 의해 복합적으로 전개되는 양상을 보인다. Throug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 and regional development aspect of Sabi period’s stone chambers in Jeonnam region,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 of the distribution. Among Sabi period’s stone chambers in Jeonnam region, the earliest one is EIX3 type, confirmed at Bokamri ancient tombs in Naju, the heartland at that time. This type has a structural feature of Bokamri no.3, 96 stone tombs and appeared in the process that Sabi period’s stone chambers were standardized and miniaturized, showing Bokamri tombs’ influence. GIX type is also used at ancient tombs in Neungsan-ri and intensively distributed in Bokamri ancient tombs. In previous two types of stone chambers, various artifacts including silver flower-shaped hat ornament, official hat frame, belt ornament and ornamental sword were excavated, meaning the high rank of ancient tombs. The reason that many ancient tombs are distributed in island regions in the western coast is seen that Baekje dispatched local officials to control the coastal route after the mid-sixth century because Shinan-gun areas were strategic locations on the route of ancient sailing. Among them, Shinan Dochangri ancient tomb which is a typical Neungsan-ri typed stone chamber has massive scale and high quality which is close to royal tombs so this tomb is considered as the one of local officials who were dispatched from Baekje. Meanwhile, among ancient tombs, the fact that Bokamri typed (EIX3 Type) stone chambers were mainly distributed is closely connected with Bokamri ancient tombs in Naju which were the heartland at that time. Tombs in Gomak stream basin, Jangseong and Hampyeong accepted FIX1 type and after were changed to various stone tomb structures such as FⅨ2 type, FⅣ type and FⅩ type, and the tombs in Tamjin river basin accepted EⅤ1 type and after that, they turned into FⅣ type and FⅩ type. These are regional characteristics which appeared when the local power in both regions accepted Sabi period’s stone chambers and understood as the strategy in the process of being Baekje. Therefore, Sabi period’s stone chambers are seen to be complexly developed by the heartland (Bokamri region) and the local power of the outside region, not that Bakje main stone chambers were uniformly expanded.

      • KCI등재

        나주 복암리 목간 연구 현황과 전망

        이용현(Lee, Yong-hyeon) 한국목간학회 2013 목간과 문자 Vol.10 No.-

        7세기 백제 특히 남방의 문서행정을 미크로하게 보여주는 복암리 목간을 통해 역사복원을 전개해 나가는 것은 백제사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고대사에서 매우 중요하다. 백제 촌락에 관한 문서, 인력관리등 호적을 엿볼 수 있는 문서, 국내에서는 최초로 확인된 定의 감검표기 등 그 가치는 대단히 높다. 이 같은 자료에 대한 히라카와의 선행 연구는 매우 시사성이 높다. 그 외 여러 논자들에 의해 중요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다만 불확실한 사진자료에 입각하여 추측성 가설이 선행하는 경향도 짙다. 여기에는 보고자 측에서 양질의 사진자료를 공개하지 못한 데서 기인하는 바가 크다. 복암리목간의 경우는 이처럼 기초판독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아울러 발굴기관에서도 양호한 사진을 다른 형태로 재공개해주어야 할 것이다. Wooden tablets excavated from Bogamri are very important to study about history of not only Baegje but also East Asia. Bogamri wooden tablets are documents of Baegje villages, census registration, inspection sign. Main study were written by Mimami Hirakawa and otherwise. But part of studies on read to letters must advance.

      • KCI등재

        나주 복암리 출토 백제 태극문 목제품의 의미

        이동주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24 동서인문 Vol.- No.24

        나주 복암리 유적에서 출토된 다양한 목간은 백제 말기의 행정제도와 도교문화의 영향을 반영하고 있다. 이 중 태극문이 그려진 목간은 특히 중요하며, 이는 도교적 사후세계관이 백제 중앙뿐만 아니라 지방까지 퍼져 있었음을 보여준다. 백제인들은 의학, 점성술 및 음양오행 등에 능숙했으며, 이러한 지식은 일상생활 속에 깊숙이 뿌리내렸다. 물질자료에서도 음양관이 반영된 예는 많이 발견되며, 이는 당시 사람들의 세계관과 관련 깊다. 특히 복암리에서 출토된 태극문 목제품은 이러한 문화적 배경 속에서 해석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태극문 목제품은 미니어쳐로 제작된 말의 안장에 그려져 있다. 말은 주역에서 極陽을 상징한다. 이 목제품은 관청에서 생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는 당시 나주 지역의 정신적 통합을 위한 지방 행정의 역할을 반영하는 중요한 증거로 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복암리 유적지에서 발견된 다양한 폐기물과 동물 뼈 등은 의례적 활동의 일부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고대 백제인들이 신성하거나 의례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었음을 시사한다. 의례품들은 의례 목적으로 생산되었고, 의례가 종료된 후 폐기되었다. 이러한 자료는 백제 말기의 사회적, 문화적 상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도교와 음양오행의 영향을 받은 문화적 특징을 연구하는 데 있어 귀중한 자료가 될 수 있다. The various wooden tablets unearthed from the Naju Bokam-ri site reflect the influence of administrative systems and Taoist culture during the late Baekje period. Among these, tablets featuring the Taiji pattern are particularly significant, as they demonstrate that Taoist cosmological views had spread not only to the central but also to the regional levels of Baekje. The people of Baekje were proficient in medicine, divination, and the principles of Yin and Yang, deeply embedding such knowledge into their daily lives. Material evidence frequently showcases the influence of Yin and Yang, which deeply relates to the worldview of that era. Particularly, the Taiji patterned wooden products excavated from Bokam-ri should be interpreted within this cultural context. These items, often found as miniatures on horse saddles, embody the symbol of extreme yang in I Ching. There is a high likelihood that these wooden products were produced by government offices. This reflects the role of regional administration in fostering spiritual cohesion in the Naju area at the time. Additionally, various wastes and animal bones found at the Bokam-ri site can be interpreted as part of ritual activities, suggesting they were used for sacred or ceremonial purposes by the ancient Baekje people. These ritual items were produced for ceremonial purposes and were discarded after the ceremonies ended. Such findings play a crucial role in understanding the social and cultural circumstances of late Baekje and are invaluable for studying cultural features influenced by Taoism and the principles of Yin and Yang.

      • 6~7세기 나주 지역 정치세력에 대한 시론적 검토- 복암리1호분 출토 綠釉托盞의 명문을 중심으로

        배재훈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1 한국고대사탐구 Vol.9 No.-

        On the bottom of the saucer of green-glazed cup, excavated in Naju Bokam-ri tomb no. 1, prestigious writing, ? is carved. That is, words, ‘An(○)’ has the same words as ‘Eung(鷹)’, meaning falcon while ‘Jun(隼)’ means hawk, Therefore, these words have the same meaning as another name of Paekche; ‘Eungjun(鷹準)’ or ‘Eungyu(鷹遊)’. While ‘Eungjun(鷹隼)’ is used as a generic term for falcon and hawk, this name also has the meaning of a brave man. This name was used as an atrocious person in the past. Probably, the reason for not using this name as the original form was that people did not want to reveal the meaning of atrocious man in it. In addition, the meaning of contempt like ‘southern barbarian’ is implied in this name, and sometimes, this name represents southern region. Eventually, the meaning of a particular region or particular group, distinguished from the center of Paekche is implied in this name. It was not unusual to use another form of ‘Eungjun(鷹隼)’: ‘Eungjun(鷹準)’ or ‘Eungyu(鷹遊)’ instead of using Mahan, which was the foundation of growth as another name of Paekche or Nam-Buyeo(南扶餘), which was the name of a country after king, Seong(聖). This demonstrates that the influence of the group called ‘Eungjun(鷹隼)’ on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was significant. In addition, it is understood that this name would not emerge all of a sudden, but specific meaning might have steadily stacked in this name in the internal foundation of the Paekche society. In addition, this shows the shape of the latest periods in the history of Paekche, among opposing cultural and political systems at the base of Paekche culture. This is newer than transmission or memories of Mahan. In particular, it is presumed that this phenomenon might have had the considerable vitality, contrary to the emphasis of Nam-Buyeo, which was performed in the aspect of policy under the political intention of the nation. 복암리1호분은 6세기 후반대에 조영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부여 능산리 東下塚과 같은 단면 4각형 석실로서 그에 후행하여 조영된 것으로 보인다. 발굴조사 결과 이 고분의 연도에서 綠釉托盞이라는 독특한 형식의 유물이 발견되었다. 이는 웅진기 이래의 금속기를 토기로 번안한 특색 있는 유물로 무령왕릉 출토의 銅托銀盞과 그 모티프가 일치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녹유탁잔의 잔받침 하부에는 두 글자의 명문이 있다. 이 명문은 ○隼으로 판단되는 데, ○은 鷹과 같은 의미를 지니는 글자로서 매를 뜻하며, 隼은 새매를 뜻하는 단어이다. 그러므로 이는 백제의 별칭으로 알려진 鷹準, 鷹遊와 같은 의미를 지니는 것이다. 鷹隼은 매와 새매, 즉 매의 총칭으로 사용되는 반면, 용감한 사람이라는 의미도 있으며, 과거에는 흉포한 사람이라는 뜻으로도 사용되었다. 이 단어가 본래의 형태로 사용되지 않았던 이유는 곧 이 ‘흉포한 사람’이라는 뜻을 드러내지 않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여기에는 南蠻 등과 같은 경멸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기도 하며, 후대의 경우지만 鷹?旗의 형태로 사용될 때에는 붉은 색이라는 이미지로 南方을 뜻하기도 했다. 결국 여기에는 백제 중앙과 구별되는 특정한 지역, 혹은 집단이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鷹隼이라는 단어는 외부 집단이 백제를 지칭하는 별칭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백제의 별칭으로 그 직접적인 성장 토대가 된 馬韓이나 聖王 이후로 사용했던 국호인 南夫餘 등이 사용되지 않고 鷹隼의 다른 형태인 鷹準이나 鷹遊가 사용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결국 이는 鷹隼으로 지칭되는 집단이 백제 사회 내에서 지속해온 정치․사회․문화적 영향력이 상당하였던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것은 어느 한 시기에 돌발적으로 등장한 명칭이 아니라 백제 사회의 내적 토대 속에 켜켜이 적층되어 쌓여온 것으로 이해된다. 이것은 백제 문화의 기저에 존재하는 상반되는 문화적, 정치적 계통들 중 역사상 가장 늦은 시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沸流 전승이나 馬韓에 대한 기억들보다는 새로운 것이며, 국가의 정치적 의도에서 정책적으로 수행된 南夫餘의 강조와는 달리 상당한 생명력을 지녔던 것이다.

      • KCI등재

        백제 부여목간과 나주목간의 서풍

        정현숙(Jung, Hyun-sook) 한국목간학회 2020 목간과 문자 Vol.0 No.24

        사비기에 제작된 백제의 목간은 대부분 부여 지역의 15곳과 나주 복암리에서 출토되었다. 부여목간은 6~7세기 도성 관리들의 글씨를, 나주목간은 7세기 지방 관리들의 글씨를 보여 주므로 두 지역의 목간 글씨를 비교해 보면 백제 京鄕 서예의 특징과 연관성을 알 수 있다. 80여 점의 부여목간에는 해서, 행서, 초서가 각각 또는 혼용되어져 있다. 북위 해서의 웅강함, 남조 행초서의 유려함 등 서풍도 다양하여 도성의 서사 교육 수준이 상당히 높았음을 알 수 있다. 능산리사지 출토<‘支藥兒食米記’목간>의 노련한 행서는 거침이 없어 자연스럽고, 부드러우면서 힘차 백제의 미감이 가득하다. 궁남지의 문서목간은 변화무쌍하면서 능숙하고, 관북리 목간의 웅강무밀한 해서는 백제의 남북조 취향을 드러낸다. 감사 인사를 담은 동남리의 꼬리표목간은 드물게 유창한 초서로 쓰였다. 618년의 환곡 기록을 적은 쌍북리 출토 <‘佐官貸食記’목간>은 용도에 맞게 정연한 해서로 쓰였지만 동시에 획의 강약과 길게 늘어진 파책에서 변화를 주었다. 구아리 출토 해서 목간의 단아하면서 절제된 서풍과 행서 목간의 유려하면서 자유분방한 서풍은 대조를 이루지만 각기 다른 분위기로 특출하다. 13점의 나주 복암리 목간의 해서에는 행서 필의가, 행서에는 해서와 초서 필의가 있다. 문서목간의 행서도 자간이 일정하고 질서정연하다. 특히 목간 1호와 12호의 글씨는 부여목간만큼 유려하지도, 변화무쌍하지도 않지만 그 전아미, 절제미, 노련미에는 부여목간이 범접할 수 없는 오묘한 맛이 있다. 두 지역의 목간 글씨는 다를 뿐 우열을 가릴 수는 없다. 이는 나주목간 글씨가 부여목간 글씨에 견줄 수 있을지언정 결코 뒤지지 않음을 의미한다. 나주목간 글씨의 출중함은 중앙의 영향도 있겠지만 중국과의 직접 교류를 통한 영향일 수도 있다. 따라서 나주목간 글씨의 특출함은 부여목간의 글씨와는 별개로 나주 관리의 독창성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The wooden tablets of Baekje made in the Sabi period were excavated at the fifteen places in Buyeo and Naju Bogam-ri. Those of Buyeo show the writings of the capital officials in the 6th and 7th centuries and those of Naju Bogam-ri those of the local officials in the 7th century. We can realize the characteristic and relationship of the capital and local calligraphy of Baekje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writings of the two places. More than eighty wooden tablets of Buyeo were written in the regular, running, and draft scripts. The various styles such as the powerful and dense regular script of the Northern Wei and flowing and elegant running and draft scripts of the album calligraphy of the Southern dynasties tell us the highlevel writing education of the capital in Baekje. The masterly running script on ‘Jiyakasikmi-gi’ wooden tablet of Neungsan-ri temple site is inexorable and natural as well as soft and powerful, so it was filled with the beauty favor of Baekje. The writing of document wooden tablet of Gungnamji is changeable and skillful, and the regular script on the wooden tablet of Gwanbuk-ri reveals the style of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The tag wooden tablet of Dongnam-ri carrying thank you greeting was rarely written in the fluent draft script. The writing of ‘Jwagwandaesik-gi’ wooden tablet of Ssangbuk-ri is changeable in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stroke although written in the regular script. The graceful and restraint regular script and fluent and carefree running script on the wooden tablets of Gua-ri are contrastive and at the same time exceptional each. The thirteen wooden tablets of Naju Bogam-ri were written in the regular script with the running brush touch and the running script with the regular and draft brush touches. The running script on the document wooden tablets is in good order. Although the writings of the wooden tablets 1 and 2 are not as fluent and changeable as those of the wooden tablets of Buyeo, there is a peculiar taste that the wooden tablets of Buyeo cannot approach. The writings of the wooden tablets of the two places are only different, and there is no superiority and inferiority between them. It means that the writings of the local Naju can be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capital Buyoe but not behind. The excellence of the writings of Naju seems to be influenced by the capital and to be originated from the direct interchange with China simultaneously. It can be therefore said the superiority of them is its own creativity.

      • KCI등재

        사비시대 백제의 자연촌

        김수태 한국목간학회 2022 목간과 문자 Vol.- No.29

        이 글에서는 나주 복암리의 목간과 금산 백령산성의 기와에서 나온 문자 자료를 중심으로 사비시대 백제의 촌락에 대해서 검토해보았다. 지금까지 나주 복암리의 목간에 나오는 대사촌이나 금산 백령산성의 기와에 보이는 지명의 성격에 대해서 자연촌으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견해들에 대한 재검토를 통해서 자연촌이 아니라 행정촌임을 새롭게 밝혀보았다. 여기에는 신라사 연구의 촌락에 대한 풍부한 연구성과가 커다란 도움을 주었다. 이를 통해서 백제의 촌락과의 비교사적 검토를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사비시대 백제의 지방통치제도 속에서 크게 성장한 자연촌의 문제는 기존의 연구와 달리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아직도 알아내어야 할 것이 매우 많은 백제의 촌락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鳥足文土器의 變遷樣相

        崔榮柱(Choi, Young-joo) 한국상고사학회 2007 한국상고사학보 Vol.55 No.-

        鳥足文土器는 토기 동체면에 새 발 모양의 문양을 타날한 토기를 말한다. 본고의 목적은 한국 중서부이남지역과 일본에서 출토되는 조족문토기에 대한 검토를 통해 조족문토기의 시기적인 변천과 지역적인 특성을 알아보고자한다. 청주 신봉동고분군과 나주 반남·복암리고분군의 유물공반관계를 통해 교차편년을 실시하여 크게 3개의 분기로 설정하고 다시 세분하여 6개의 소기로 구분된다. 중서부지역권은 4세기 중·후엽~5세기 중·후엽으로 한성백제 단계이다. 중서부지역권은 Ⅰ-1기는 한성 백제양식토기가 부장되고, 조족문토기가 출현하는 시기이다. Ⅰ-2기는 석곽묘가 출현하고, 한성 2기양식토기기종(개배, 광구장경호)의 부장이 확대되는 시점에서 조족문토기는 발전된 양식으로 변모한다. Ⅰ-3기는 석실분이 출현하고 토기 기종과 무구류와 마구류가 백제화된 시점으로 조족문토기는 다양한 요소를 보인다. 이후로 이 지역에서는 조족문토기가 소멸된다. 이 시기에는 일본의 須惠器系 개배가 확인되고, 조족문토기의 기종양식이 비슷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 이 지역 세력들의 일부가 백제를 피해 일본으로 건너갔을 것으로 추정된다. 남서부지역권은 5세기 후엽~6세기 중엽으로 웅진백제 단계이다. 남서부지역권 Ⅱ-1기는 대형옹관묘 존속, 영산강식석실분의 등장과 장고분의 출현 등으로 보아 마한의 독자성이 인정되고 조족문토기는 주로 고분의 주구에서 출토되며 단경호 및 조리와 관련된 기종이 확인된다. Ⅱ-2기는 백제계 유물의 부장이 확대되고 관식이 확인되는 시점으로 조족문토기는 장제의례행위와 관련된 기종이 확인된다. 이 시기에 일본의 조족문토기는 주로 5세기 대에 생활유구에서 조리용 토기들이 확인되며, 5세기 후엽에서 6세기 중엽에는 주로 고분에서 단경호가 출토된다. 이런 양상으로 미루어 4세기 말~5세기 전엽 부터는 마한의 사람들이 일본으로 이주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6세기 중엽 이후는 조족문토기가 소멸되는 단계이다. Chochohmun pottery is the pottery with bird's footprint shape on the surface which was imprinted by paddling techniqu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temporal change as well as spatial variations of the characteristics in Chochohmun pottery, whilch has been discovered in southern midwest Korea and Japan. Tumuli in Shinbong-dong, Chungju and in Bannam and Bokam-ri, Naju, can be divided into three major periods and into six minor stages through relative cross-dating. Midwest area belongs to the Hangsung Baekje style pottery appeared at the Ⅰ-1 stage and earliest Chochohmun pottery was included in it. At the Ⅰ-2 stage, the outer stone coffin appeared, and the burial of the Hangsung stage 2-style pottery characterized by lid and bowl set and large-mouth and short-nect jar expanded. In this period Chochohmun pottery was changed into the developing style. At the Ⅰ-3 stage, as stone chamber tomb appeared and the pottery, the weapons and the harness were changed into Baekje style, various types of Chochohmun pottery showed up. After this time, Chochohmun pottery disappeared in this area. However, at this time, the lid and bowl of Japanese pottery tradition was found and the style of Chochohmun pottery became as same as that of Japan. Therefore it can be presumed that some powerful group of people carrying Chochohmun pottery moved from Baekje to Japan. Southwest area belongs to the Ungjin Baekje period in between late fifth and mid sixth centuries. At the Ⅱ-1 stage in southwest area, Mahan's originality showed up in the construction of large jar coffin tomb, and the appearance of Young-san river style stone chamber tomb, and the emergence of Jang-go tomb. At this period, Chochohmun pottery were found in the circular moat of the tombs, and short-neck jar and culinary potteries were found. At the Ⅱ-2 stage, the burial of Baekje style relics expanded and coffin ornaments appeared. In this stage Chochohmun pottery, which was related to funeral ceremony, was found. During this period in Japan, Chochohmun pottery was found in culinary potteries in residential remains of fifth century, and short-nect jar of late-fifth and mid-sixth centuries were found in ancient tombs. These indicate the movement of Mahan people into Japan from early fifth century. After mid sixth century belongs to the disappearing stage of Chochohmun pott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