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旅軒의 經緯說에 드러난 문제의식 고찰

        김진근(金珍根) 한국동양철학회 2013 동양철학 Vol.0 No.40

        본 논문에서는 여헌의 경위설에 드러난 문제의식을 논하였다. 여기에서 논의된 대강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헌의 경위설은 ‘후대의 학자들’로 통칭되는 퇴계 학설의 종지가 지닌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대안을 제시한 것이라는 점이다. 즉 퇴계가 四端ㆍ七情 문제와 관련하여 理와 氣를 각기 分屬시킨 것을 오류라고 보고, 여헌은 마치 날실[經]과 씨실[緯]이 서로 필수불가결하게 의지하며 한 데 어울려 피륙을 짜 나아가듯이 理와 氣도 理經氣緯로서 相須不離임을 논하였음에 대해 밝혔다. 본 논문에서는 여헌의 이러한 면이 오로지 학문적 순수함에서 發露한 것으로서, 그만큼 높이 평가받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둘째, 여헌의 철학은 道本論임을 논하였다. 여기에서는 여헌이 三才ㆍ萬物의 所以者로서 이들의 궁극적 근원을 道라 하고, 이들이 모두 함께 이 道로부터 말미암는다[共由]고 함에 대해 살펴보았다. 즉 여헌은 理經氣緯ㆍ理體氣用으로서의 理ㆍ氣가 이 道의 양대 요소로서 相須不離로 역할을 발휘하는 속에 이 세계의 大本인 道가 하늘과 땅, 만물을 지어내고 지속하게 한다고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여헌의 철학에서 道는 제3의 존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 自足의 존재이며, 세계는 道 하나로 充足되어 있고 온전함을 이루고 있다. 셋째, 여헌의 경위설은 유가의 宗旨를 지향하고 있음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논의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공자의 ‘克己復禮’에 근거를 둔 ‘修己ㆍ治人’이 유가의 본령이자 종지임을 논한 뒤, 여헌의 경위설이 유가의 本領ㆍ宗旨를 지향함에 대해 논하였다. 즉 理經氣緯의 관계를 갖는 속에 氣가 道의 緯로서 善惡 兩邊에 걸치는 다양한 양상을 드러냄에 대해 經으로서의 理가 이를 바로잡는다는 것이다. 여헌은 이를 ‘主經治緯’로 규정하였다. 그러데 여헌의 경위설에서 이러한 理ㆍ氣를 아우르는 것은 道다. 그래서 여헌의 경위설은 그의 道本論과 맞닿아 있으며, 궁극적으로 공자가 이루려는 세상을 지향하고 있는 것이다. 這編文章講述了旅軒張顯光(1554~1637)的經緯說上的問題意識. 是三个問題. 第一, 是旅軒的經緯說指責‘後儒’的錯誤, 竝且提出了代案. 在這兒‘後儒’意味着退溪學派. 退溪和他的弟子們主張四端是理之發ㆍ七情是氣之發, 但是旅軒以爲這个觀點是錯誤的. 因爲按照朱熹的‘理氣決是二物ㆍ不可分開’的看法, 理和氣絶對不可能這樣被分屬的. 所以旅軒主張經緯說. 他以爲, 好像跟經線與緯線互相依據ㆍ互相一起織布一樣, 理和氣相須不離的方式來構成世界萬物. 是‘理經氣緯’的. 這是旅軒的看法. 第二, 旅軒哲學是道本論. 旅軒以爲道是三才萬物的所以者, 是世界的窮極的原因. 他主張世界萬物都是共由道來産生的, 理氣是這个道的兩大要素而已. 在旅軒經緯說, 道不需要別的存在, 道是自足的充足的存在. 第三, 經緯說志向了儒家的宗旨. 孔子爲了有道的世上, 他一背子邁進了. 經緯說也是志向孔子的夢想. 經緯說主張‘主經治緯’的方式來可以實現這樣的世上. 就是說, 氣作爲緯露出了善惡兩邊的多樣性, 理作爲經糾正了這樣的現象. 這是克己復禮ㆍ修己治人. 經緯說以爲跟着這樣的方式來理氣實現道. 所以旅軒的經緯說相接着他的道本論.

      • KCI등재

        6세기 신라 干群 경위의 구성과 성립과정

        홍승우(Hong, Sueng Woo) 한국사학회 2018 史學硏究 Vol.0 No.131

        6세기대 신라 금석문에 나오는 간군 경위 관등을 분석하여, 당시 관등의 구성과 그 성격을 규명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신라 경위의 성립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율령 반포를 전후해 건립된 중성리비․냉수리비․봉평리비의 비문과 창녕비 등 진흥왕대 비문의 내용을 비교․분석하고, 주변국의 사례를 포함한 여러 문헌자료를 종합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중성리비․냉수리비․봉평리비에서 왕과 함께 국정을 이끌어나갔던 6부의 핵심지배층들에게서 두 종류의 관등이 확인되었다. 하나는 喙․沙喙部인들만이 가지고 있었던 경위 관등으로, 阿干支와 그 하위 某干支관등들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여타 4부의 수장 및 유력자들이 소지한 것으로, 干支와 壹伐등으로 구성되었다. 율령 반포 당시의 간군 경위 관등은 太阿干支이하의 5개 등급이 중심이었으며, 이는 신라 마립간 아래의 喙․沙喙部유력자들을 서열화 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진 것이었다. 그에 비해 상위 4개 간군 경위는 太阿干支이하 간군 관등과 동일한 성격의 것이 아니라, 6부를 구성하던 여러 독자세력의 수장적 지위에서 유래한 위호인 干支들 사이의 위계가 반영된 전통적 위호였다. 형식적으로는 이들 위호가 喙․沙喙部에 적용되었던 경위 관등 보다 상위의 지위였지만, 이들이 당시 하나의 관등제로 동일하게 기능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에 비해 진흥왕대인 6세기 중반의 금석문들에서는, 상위 간군 경위가 阿干支등과 같은 성격의 관등으로서 기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전과 달리 干支와 壹伐로 구성된 부별 독자 위계제는 사라지고, 6부인 전체가 경위 관등을 소지하는 변화와 함께 이런 현상이 나타난다. 6부 干支들과 壹伐등의 유력자층을 경위 관등에 모두 포괄하기 위해, 최상위 간군관등을 증설하면서 경위가 완성된 것이다. 다만 최상위 4개 간군 경위 관등은, 이전에 존재하던 독자세력의 수장적 지위인 간지들을 서열화하기 위해 만들어졌던 옛 위호를 그대로 계승한 것은 아니며, 경위의 고위 관등으로 새롭게 만들어진 것이다. 이로써 신라 경위 17관등이 완비되었다. This paper analyzed Inscriptions of Silla stele in the 6th Century, such as Pohang Jungseongri Stele, Pohang Naengsuri Stele, Uljin Bongpyeongri Stele and other historical records, to reveal the constitution and the nature of the top 9 Official rank of the Silla Dynasty’s Governmental Ranking system called Gyeong-wi. And based on it, reconstructe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Gyeong-wi.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ere were two kinds of Governmental Ranking system for the ruling classes of Silla 6bu around 520’s, when King BeobHeung declared the law codes called Yul-Ryeong. One was a system that is limited to WheBu and SawheBu. It was composed of only 5 lower top rank, named DaeArGanji, ArGanji, IlgilGanji, SaGanji, GeobeolGanji, out of 9 top rank. The other one was for the ruling classes of 4bu except Whe and Sawhe among the Silla 6bu. It was composed of Ganji and Ilbeol which means Chief of bu and top position under the chief. At that time, the Gyeong-wi was not completed, and it was not applied to every ruling classes in the Silla 6bu. In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At the reign of King Jinheung, new 4 high-top Official rank had been added on top of existing ranks. Finally, Gyeong-wi had been completed with 9 upper grades and 8 lower grades. And also it had been applied to every ruling classes of Silla Dynasty.

      • KCI등재

        장현광의 태극설과 경위설의 문화다원론적 재조명 - 『여헌선생성리설』의 이론적 해명을 중심으로-

        엄연석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1 남명학연구 Vol.70 No.-

        This essay aims to reexamine the cultural pluralism implied in the theory of longitude and latitude(經緯說) as a fundamental theory that constitutes Jang Hyeon-kwang's Science of Changes, with the goal of transition from conflict to fusion. Jang, Hyeonkwang imparted meaning as an origin to cause immeasurable changes in concrete reality rather than one invariable universal principle in the concept of the Endlessness(無極) and the Great Ultimate(太極). His consideration of Li as Tao composing mysterious operation has a philosophical meaning encompassing various values of reality. Jang Hyeon-kwang thought that Gyeong and Wi have invariable universality and standard timeliness in changing circumstances by interpreting Li-Chi as the theory of longitude and latitude. He mentioned that following Gyeong and Wi of Li-Chi as it was the enterprise of saint with the standard Wi. According to him, because good and evil, order and confusion of human world all depend on a correct establishment of longitude and latitude or not, monarchal governing principle rides on an excellent governance of longitude and latitude. Jang Hyeon-kwang's theory of longitude and latitude(經緯說) could be interpreted in a way that accommodates realistic and empirical pluralism in that latitude as standard to which handles changing circumstances in accordance encompasses specificity and diversity with invariable longitude. He understood inner correlative relation among six lines of a hexagrm as what has continuity vertically and horizontally within the framwork of ontology and cosmogony of the Great Ultimate, Yin and Yang, the Four Symbols, the Eight Trigrams. And this view is intimately connected with the theory of longitude and latitude. Jang Hyeon-kwang recognized discernment of good and evil, judgment of right and wrong as Gyeong of common morality of engagement of talent and policy draft in view of engagement of talent.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in view of Wi of coping with change that his view of engagement of talent satisfies diversity and multiplicity of government position. In the last analysis, this view point means that administration theory that surrounded the theory of longitude and latitude has characteristic accepting political and cultural pluralism. 본 논문은 현대사회의 당면 문제에 대한 이론적 추구로서 衝突로부터 融和로의 전환이라는 목표하에 장현광 역학(易學)을 구성하는 핵심 이론으로서 經緯說에 내포되어 있는 문화다원론적 의미를 재조명하였다. 장현광의 태극설과 경위설이 함축하고 있는 문화다원론적 함의를 해명한다는 것은 태극 개념과 경위 개념을 구성하는 理와 氣를 수직적 가치의 차이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수평적이고 상보적인 의존성을 가지고 조화를 이루는 측면을 지니고 있음에 주목하고자 하는 것이다. 장현광은 무극과 태극 개념 속에 하나의 불변하는 보편적 원리보다도 구체적 현실에서 헤아릴 수 없는 변화를 낳는 근원으로서의 의미를 부여하였다. 그가 리를 도의 신묘한 작용을 이루는 것으로 본 것은 현실의 다양한 가치를 포괄하는 철학적 의미를 갖는다. 장현광은 리기를 經緯說로 해석하여 경과 위가 불변의 보편성과 함께 변화하는 상황에서 표준적 시의성을 가지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그는 리기의 경위를 그대로 따라 행하는 것을 표준적인 緯를 갖춘 성현의 일이라고 언급하였다. 그에 따르면, 인간 세상의 선악과 치란은 모두 경위가 올바르게 세워졌느냐에 의존하는 것이므로, 제왕의 통치 원리는 經緯를 잘 다스리는 데 달려 있다고 보았다. 장현광의 경위설은 불변하는 경과 함께 변화하는 상황을 시의성에 맞게 처리하는 것으로서 ‘緯’가 특수성과 다양성을 포괄할 수 있는 의미를 가진다는 점에서 현실적 경험상의 다원성을 수용하는 방향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는 한 괘 여섯 효의 내적 상관관계를 태극, 양의, 사상, 팔괘의 존재론적 관점과 생성론적 관점에서 縱橫으로 입체적으로 연결하여 보고 있는데, 이러한시각은 경위설과 긴밀한 연결성을 갖는다. 장현광은 인재등용론에서 선악을 분별하고 시비를 밝히는 것을 인재등용과 정책입안의 상도로서 經으로 보았다. 반면에 그의 인재 등용관이 직책의 다양성과 다원성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은 應變의 緯의 관점에서 볼 수 있다. 요컨대, 이러한 관점은 그의 經緯說을 중심으로 한 경세론이 정치문화적 다원성을 수용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뜻한다.

      • KCI등재

        여헌 역학사상의 경위설과 분합론의 도덕실천적 의미

        엄연석(Eom Yeonseok) 한국동양철학회 2021 동양철학 Vol.- No.56

        이 글은 조선 중기에 역학사상을 기초로 성리학의 여러 개념과 이론을 심층적으로 해명하였던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 1554~1637)의 경위설과 분합론이 어떤 도덕실천적 의미를 갖는가를 해명하였다. 구체적으로 그가 제시한 역학사상의 핵심 뼈대를 이루는 경위설(經緯說)과 분합론(分合論)을 통하여 자연적 질서와 도덕적 질서가 어떻게 연결되는가를 분석하였다. 여헌은 무극(無極)과 태극(太極)이 현상 사물을 낳기 이전과 이후를 포괄하여 예측할 수 없는 무궁한 변화를 낳는 근원이면서 작용을 모두 내포하고 있다고 보았다. 리와 기는 도(道)의 경위가 되면서 동시에 상호적으로 기(氣)의 경(經), 리(理)의 위(緯)가 되어 일관된 통일적 연속성을 갖는다. 그의 이러한 관점은 현상과 본체계를 위계적으로 구분하는 세계관으로부터 현상과 본체가 수평적 연속성을 가지며 변화와 불변이 상함(相含) 관계 속에서 유기적으로 영향을 주고받는다고 이해하는 것이다. 여헌은 분합 개념을 여러 역학적 개념과 괘효에 적용하여 그 자연법칙적 도덕실천적 의미를 연역하였다. 그는 「사덕오행분합(四德五行分合)」에서 『주역』「건괘(乾卦)」에 나오는 ‘원형이정’(元亨利貞)의 사덕(四德)과 오행(五行)을 분합(分合)의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또한 ‘오행수의 상생상극으로의 순환’과 ‘기우생성수(奇偶生成數)의 배치 방위’를 기준으로 「하도」와 「낙서」가 번갈아 체(體)와 용(用)이 바뀌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이기(理氣)에 적용된 경위(經緯)는 도(道)와 덕(德)을 닦는 학문의 경지, 천지의 운행법칙, 그리고 제왕의 치도(治道)에까지 확대하였다. 여헌은 분합론의 ‘합일(合)’과 ‘나뉨(分)’ 개념 또한 도덕적 가치지향과 심성론적 수양을 함축한다고 보았고, 경(敬) 또한 ‘의(義)’, ‘성(誠)’ 등과 연관하여 분합론으로 해석하였는데, 경(敬)과 성(誠)은 수양의 과정에 시종일관하는 덕(德)이나 도(道)이다. 그는 성리학의 형이상학적 본체론과 심성론 및 수양론과 연관된 여러 개념 쌍들이 ‘분합(分合)’이라는 의미 속에 자연적 질서와 도덕적 당위 및 실천 원리를 내포하고 있음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요컨대, 여헌의 경위설과 분합론은 본체와 현상, 자연과 도덕, 법칙과 당위를 수평적 차원에서 연속성을 가지고 설명해 줄 수 있는 이론적 틀이다. This article seeks to explain the continuity of the theory of separation and union and the theory of longitude and latitude of Yeoheon(旅軒) Jang Hyeon-gwang (張顯光,1554–1637), who tried to explain various concepts and theories of Neo-Confucianism in depth based on YiXue(易學) thought in the mid-Joseon period. This is to analyze how the natural order and the moral order are explained as having a continuous meaning through the theory of separation and union and the theory of longitude and latitude. Yeoheon mentioned that Mu-geuk[無極] and Tae-geuk[太極] are both the source of unpredictable and infinite change, including before and after the birth of the phenomenal thing, and contain both functions. He saw that Li(理) and Chi(氣) became the inspectors of the Way and, at the same time, mutually became the sutras of chi and 緯 of li, and thus had a coherent and unified continuity. This view of Jang Hyeon-kwang is from a world view that hierarchically divides phenomena and body systems, and understands that phenomena and bodies have horizontal continuity and that change and invariance are organically influenced and influenced in a mutually exclusive relationship. Hyeon-Kwang Chang applied the concept of division and union to various Yixue concepts and hexagram and lines to deduce the meaning of natural law and moral practice. Through the discussion on 「The division of the four virtues and the five elements(四德五行分合)」, he discusses the four virtues and the five elements of the OnehyeongYijeong(元亨利貞) in the Change Books Keon Gue(乾卦) wa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division. Also, it is understood that 「Hado(河圖)」 and 「Nakseo(洛書)」 change into body and operation alternately based on Circulation of the Five Elements to the Win-Win and Sanggeuk and arrangement bearing of odd and even generation numbers. Jang Hyeon-gwang extended longitude and latitude[經緯] applied to the principle and material forces[理氣] to the realm of learning that cultivates the Way and virtue, the rules of operation of heaven and earth, and the rule of kings. In Jang Hyeon-gwang, not only the concept of longitude and latitude[經緯], but also the concepts of unification and divide(分合) of the division theory also have implications for moral value orientation and spiritual cultivation. Jang Hyeon-gwang interpreted the word of Genuine[敬] as a theory of division in relation to righteousness[義] and sincerity[誠] virtue or the way. Genuine and sincerity are virtues or tao that are consistent from beginning to end in the process of cultivation. As a whole, he tried to explain that the various concept pairs related to the metaphysical body theory of Neo-Confucianism and the theory of mentality and discipline contain natural order, moral imperative, and practical principles in the meaning of separation and union. In short, Yeoheon s theory is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can explain the body and phenomena, nature and morality, laws and justifications in a horizontal dimension with continuity. In addition, the theory of division and union has important theoretical characteristics that can be understood as having continuity between nature and morality, including the theory of selfishness, discipline, and moral practice.

      • KCI등재

        목민심서(牧民心書)의 경위표(經緯表)에 관한 연구

        김기평,신춘우 한국산업경제학회 2008 산업경제연구 Vol.21 No.3

        다산(茶山)은 그의 저서 목민심서(牧民心書)에서 조세행정에 관한 상세한 내역을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는 경위표(經緯表)를 소개하고 그 활용을 제안하고 있다. 몇몇 문헌에서는 이러한 경위표가 당시의 공평한 조세행정에 큰 기여를 하였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현재 경위표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연구와 고증이 거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선후기 실학사상의 대표적인 저서인 목민심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경위표의 등장배경과 관련된 역사적 기원을 밝힘으로써 사라져가는 조상들의 지혜를 발견하고, 역사 속 선현들의 사상을 경위표를 중심으로 재조명해 보고자 한다. Da san Chong Yak-Yong proposed the various Gyeong wi pyo that recording and manages for tax administration in Mokminsimso. He proposal Gyeong wi pyo, but this idealistic proposal could be accepted by government. The tax system and tax thought are the direct expression and reflex of contemporary production circumstances. Therefore, the analysis of tax system and tax thought is a key for grasping the essence of production circumstances that exists behind them. In these days when modernization is lively discussed,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odern tax thought.

      • KCI등재

        중경시기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내무부 개편과 경찰기구

        황선익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논총 Vol.52 No.-

        In 1919, the police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launched as the police bureau. Since then, the police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have been changed on the basis of law and system. During the period of Shanghai, the police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consisted of the Central Police Agency, the local police organization that consisted of the Gyeongmusa(警務司) and Uikyungdae(義警隊). In 1940, the police force was established, mainly in charge of protecting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was reorganized into the Gyeongmusa under the revised ‘Korea Provisional Government Enforcement Central Control System’. Organized in October 1941, the Gyeonweedae(警衛隊) was authorized to organize in 1943 under the Korean National Guard. And In 1944, the organization officially became a direct home affairs body in the undercover central government, along with the general affairs, civil affairs and public affairs. The captain of the guard was concurrently the chief of the police department. The main duty of the Gyeonwedae was to guard the Provisional Government building and to protect the factors. In 1945, members of the Gyeongmu department and Gyeonweedae were assigned special duties as the provisional government focused more on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enemy and the initial work. In early 1945, a young man from a school soldier entered the Gyeonweedae. They were tasked with protecting the government and protecting the factors in the middle of the interim government. The last mission of Gyeonweedae was to return to their homeland, protecting the temporary government factor.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경찰은 ‘임시정부 장정’에 의해 경무국으로 출범했다. 이후 임시정부 경찰은 법과 제도에 근거하여 변천되었다. 상해시기 임시정부 경찰은 중앙경찰조직인 경무국, 지방경찰조직인 연통제 하 경무사, 교민단에 의해 운용되는 의경대로 구성되었다. 중경에 자리잡은 1940년에는 임시정부 수호를 주로 담당하는 경위대가 창설되었으며, 개정 ‘대한민국 임시정부 잠행중앙관제’에 의해 경무과로 개편되었다. 1941년 10월 조직된 경위대는 1943년 ‘대한민국 잠행관제’에서 조직이 공인되었으며, 1944년 잠행중앙관제에서는 총무, 민정, 경무와 함께 공식적으로 내무부 직속기구가 되었다. 경위대장은 경무과장이 겸임하였다. 경위대의 주요 임무는 임시정부 청사를 경비하고, 요인을 보호하는 것이었다. 1945년 들어 임시정부가 적 정보 수집 및 초모공작에 더욱 매진함에 따라 경무과, 경위대 소속원들이 특수 임무를 수행하게 되었다. 1945년 초 중경에 학병 출신 청년 등이 경위대에 들어갔다. 재편된 경위대는 임시정부 한복판에서 정부를 수호하고, 요인들을 보호하는 임무를 맡았다. 이 임무는 광복 후에도 계속되었다. 경위대의 마지막 임무는 임시정부 요인을 보호하며 조국으로 돌아오는 것이었다.

      • KCI등재

        경위(經緯)의 논리와 리(理)의 실현 방식 - 농암 김창협과 남당 한원진의 리기사칠론(理氣四七論) 재조명 -

        홍성민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3 儒學硏究 Vol.62 No.-

        This paper explores the process by which Kim Chang-hyeop and Han Won-jin developed the theory of Yulgok School by strengthening the presidency and activeness of Li (理, principle) and elucidating its philosophical significance. It argues that they did not simply accept and compromise with Toegye's philosophy, but renovated the logical frame based on a new theoretical structure called Gyoengwiseol (經緯說), The Longitude and Latitude Frame). It first explains the orientation and characteristics of Gyoengwiseol based on the thoughts of Jang Hyeon-gwang, and evaluates that this can be used as a logical structure that can communicate and converge the thoughts of Toegye and Yulgok. Next, it explains the process in which Kim Chang-hyeop was not satisfied with Yulgok's theory and actively accepted Toegye's concept of Li, and criticizes the limitations of his theory of the Sadanchiljeong (四端七情, Four Sprouts and Seven Feelings). Next, this thesis examines Han Won-jin’s thoughts, who succeeded Kim Chang-hyeop critically. According to this paper, Han Won-jin actively acknowledged the presidency and activeness of Li, which Kim Chang-hyeop emphasized, but presented a developed theory on Sadanchiljeong based on Gyoengwiseol. In conclusion, this paper evaluates that Kim Chang-hyeop and Han Won-jin developed the theoretical structure of Yulgok's philosophy and improved the theoretical completeness of Korean Neo-Confucianism by actively accepting Toegye's concept of Li. 이 논문은 한국성리학의 역사를 퇴계학파와 율곡학파 간의 반목과 불통의 과정으로만 보아오던 관점에서 벗어나 두 학파 간의 상호 수용과 소통의 현장에 주목해보려는 의도로부터 출발한다. 그 일환으로 이 논문은 율곡학의 계승자들이 퇴계의 리중심철학을 수용하여 율곡학을 이론적으로 보완해가는 과정을 살펴본다. 특히 농암김창협과 남당 한원진의 이기사칠론(理氣四七論)에서 리의 주재성과 능동성이 강화되어가는 과정에 주목한다. 그러나 그들이 퇴계와 율곡을 애매모호하게 절충하고화해한 것이 아니라 경위설(經緯說)이라는 새로운 논리로 퇴계학의 장점을 수용한것임을 해명한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경위설의 의미를 설명하기 위해 여헌 장현광의 사상을 토대로 경위설의 지향과 특징을 설명하고, 이것이 퇴계와 율곡의 사상을창의적으로 융합하는 논리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어서 이 논문은 농암이 율곡의 이론에 만족하지 못하고 퇴계의 능동적 리 개념을 적극 수용하여 율곡의 이론을비판적으로 보완했던 과정을 설명하고 나아가 농암의 사단칠정론의 한계를 분석한다. 다음으로 이 논문은 농암을 비판적으로 계승한 남당의 철학을 고찰한다. 논문에 따르면, 남당은 농암이 강조했던 리의 주재력과 능동성을 수용하면서도, 경위설에입각하여 리기사칠에 대해 한층 발전된 이론을 제출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농암과 남당이 퇴계의 리 개념을 적극 수용함으로써 율곡학의 이론 구조를 개선· 발전시켰고 나아가 한국성리학의 이론적 완성도를 제고하였다고 평가한다.

      • KCI등재

        신라 중고기 侍衛府의 역할과 배치 양상

        신범규 신라사학회 2019 新羅史學報 Vol.0 No.47

        Siwibu is a military organization that guarded the king, the court, and royal district. Its early system was king's right wing consisting of figures selected by the king and general soldiers such as war veterans, miners, and hunters. The role of siwibu was to maintain public order as they primary tasks were to guard the king, court, and palace in addition to patrol of capital district. The early siwibu operated administratorship including from gam (監) to sain (舍人) and set up daegam (大監) to take charge of military affairs. Siwibu was reorganized in the fifth year of King Jindeok, referring to the Tang's organization. Tang's guard consisted of two groups: bubyeongwisa (府兵衛士) sent by Julchungbu (折衝府) and samwiwisa (三衛衛士) consisting of scions selected from over the fifth grade. Silla which operated golpum system (骨品制) utilized such difference of status to expand siwibu into a four-ranked system such as daegam (大監), daedu (隊頭). hang (項), and jol (卒). Siwibu was positioned throughout Wolsung (月城) to guard the King and the court. Along with daedu and hang, the highest rank, daegam was in charge of watching over Jeongjun (正殿) and Pyeonjun (便殿) of Daegung (大宮) in which the king resided. It is also found that more military officers and soldiers were deployed in the west gate, which was used as the main gate. 侍衛府는 왕과 왕궁, 그리고 왕경까지 警衛하는 군사조직이다. 시위부의 초기형태는 본래 왕의 우익세력으로서 왕이 직접 선발한 인물들과 勇士・狂夫・獵師와 같은 일반병사들로 이루어졌다. 시위부의 역할은 첫째 왕의 경위, 둘째 궁정 및 왕성 보호, 셋째 왕경의 순찰을 통한 치안유지였다. 초기 시위부는 별도의 행정채널 마련을 위해 監-舍人의 형태로 행정관직을 두고 운영을 했으며, 大監을 설치하여 군사업무를 담당하였다. 시위부는 진덕왕 5년에 唐의 경위조직을 참고하여 새롭게 개편되었다. 唐의 경위조직은 절충부에서 번상하는 府兵衛士와 5품 이상관의 자제 중에서 선발하는 三衛衛士, 두 그룹으로 구성되었다. 골품제 사회의 신라는 신분적 차이를 활용한 이 방식을 시위부에 도입하여 중간 군관직을 추가 설치하여 大監-隊頭-項-卒 4등 관직체제로 확대 개편했다. 시위부는 평시에 월성 곳곳에 배치가 되어 왕과 왕궁을 경위하였다. 월성의 건물 중 왕이 거처하는 大宮 안의 正殿(朝元殿)과 便殿은 최고위 관직인 대감과 중급군관인 대두, 항이 직접 경위했다. 또한 여러 성문 중에서 정문으로 활용되는 西門에 다른 성문보다 더 많은 군관과 병사가 배치되었음이 확인된다.

      • KCI등재

        무령왕의 ‘갱위강국(更爲强國)’ 표문과 영동대장군

        박찬우 동북아역사재단 2022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8

        『양서』 백제전에 수록된 ‘갱위강국(更爲强國)’ 표문은 단편적인 문장만 전하지만, 강국으로서의 백제의 면모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간 학계의 주목을 받아왔다. 다만 ‘累破句驪 今始與通好’ 부분의 통호 상대국이 양인지 고구려인지, 그리고 ‘而百濟更爲强國’ 부분을 표문 문장으로 볼 수 있는지 등에 관한 상반된 입장이 제기되어왔다. 그런데 기존에는 표문이 군신관계와 관련되는 문서라는 점에 크게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고 생각된다. 이 점에 유의하면서 표문을 검토한 결과 통호 상대국은 고구려이며, ‘而百濟更爲强國’은 표문에 서술된 내용을 「양직공도」 내지 『양서』 찬자가 각색하여 서술한 것으로 보았다. 표문의 문장, 즉 ‘累破句驪 今始與通好’는 백제가 고구려를 격파했지만 결국 통호하여 동방 지역에 안정을 가져왔음을 수사적으로 표현한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표문은 「양직공도」 ‘방소국(旁小國)’ 기사의 내용도 포함한 것이었다고 생각된다. 표문의 내용은 무령왕 즉위 이후 백제의 중흥과 강국으로서의 면모를 과시한 것이었다. 동성왕대까지를 고구려에 의해 쇠락한 시기로 전제하고, 무령왕 즉위 이후를 ‘累破句驪 今始與通好’를 달성하고 방소국 위에 군림 하는 중흥의 시기로 서술한 것이다. 표문이 양을 의식한 문서임을 고려한다면, 백제가 양 중심 국제질서 속에서 동방의 최대 강국으로 자리매김하여 지역질서에 안정을 가져왔음을 주장한 것으로 여겨진다. 표문을 접한 양 무제는 무령왕에게 고구려와 동일한 장군호, 영동장군(寧東將軍)를 중복 수여하되 대장군으로 높여주었다. 이는 백제왕이 역사상 처음 고구려왕보다 높은 등급의 장군호를 받은 사례이다. 특히 양 무제가 520년 고구려왕에게 영동장군을 수여했음에도 이듬해 무령왕에게 동일한 장군호를 주고, 나아가 대장군으로 높인 사실은 표문과 관련하여 시사하는 바가 크다. 표문 속 고구려를 압도한 동방의 강국 백제의 면모와 이를 통한 성과가 일치하는 것이다. 영동대장군으로 대변되는 성과는 표문을 통한 무령왕의 강국 선전이 효과를 거두었음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무령왕은 ‘영동대장군·백제왕’의 위상을 대내외에 선전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여헌의 선천후천설(先天後天說) : 체용(體用)과 경위(經緯)의 관점에서

        양순자(Soon ja Yang) 한국동양철학회 2014 동양철학 Vol.0 No.42

        Yeheon explained the Yijing through li (理) and dao (道), and moreover made an emphasis on their constancy. This aspect is clearly shown in his theory of former-later Heaven. The theory is premised on 'a change in a starting point,' that is, time. However, his theory focuses on a transcendental principle over the former Heaven and the later one, which is expressed as 'one principle.' His efforts to search for a constant principle have an influence on his other theories, essence-function and warp-weft. From the perspective of essence-function frame, the former Heaven has priority over the later Heaven in its value, and controls the later Heaven. This is because the former Heaven is already equipped with a principle to regulate the later Heaven. This principle makes the former Heaven, the next one, and the later one nearly same in spite of their minor differences. This point distinguishes Yeheon's theory of the former-later Heaven from Xiao Yong's theory, in particular, with regard to his recognition of 'the change in a starting point.' Furthermore, Yeheon related the former-later Heaven to the warp-weft theory, and showed that the value of the former Heaven is invariable and right. In other words, the warp signifies the constant in the middle of the changing world while the weft refers to the various phenomena of the world. Yeheon wanted to establish the constant in the middle of the changing and understand this world centering on the constant. The former Heaven in the warp-weft frame has a more control over the later Heaven than in the essence-function frame. The former Heaven has a more priority over the later Heaven while the later Heaven is nothing better than the agent of the former Heaven. Yeheon mentioned that how we should behave if we understand the constant principle. We should put the right principle into practice, which is the mean. Our practice of the mean changes something against to something for, something detrimental to something beneficial, and something inauspicious to something auspicious. This process can be said to return to the warp. Therefore, the Yijing explains not only how the world changes, but also how human being should live in the middle of the changing world, that is, the weft. 여헌 장현광은 역(易)을 리(理)와 도(道)로써 설명하고, 더 나아가 리와 도의 항상성을 강조한다. 이런 역의 항상성은 여헌의 선후천(先後天) 이론에서 보이는데, 그는 선천과 후천을 관통하는 하나의 리(一理)를 주장한다. 선천과 후천은 '기점의 변화' 즉 시간성을 전제하는 개념이다. 여헌 선후천설의 특징은 선천과 후천을 아울러 변화하지 않는 원리, 즉 초시간적인 원리에 대한 탐구가 주요 특징이며, 여헌은 그런 초시간적인 원리를 '하나의 이치'라고 표현한다. 그런데 여헌의 변하지 않는 것을 찾으려는 시도는 그의 체용론, 경위론 등에 영향을 미친다. 우선 선후천설을 체용의 관점에서 분석하면, 선천은 후천을 가치론적으로 분명히 앞서며, 선천은 후천을 규정하고 지도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후천을 규정하고 지도하는 리는 이미 선천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리 때문에, 선천지, 차천지, 후천지는 미세한 차이는 있지만 거의 동일성을 유지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여헌의 선후천설은 소옹의 선후천설이 가지고 있던 '기점에 대한 인식'과는 많은 차별성을 가진다. 이후 여헌은 선천과 후천을 경위론과 연결시킴으로써 선천이 가지고 있는 가치가 변함이 없는 것이며 바른 것(正)임을 보여주고자 한다. 즉 경은 변화하는 가운데에서도 불변하면서 항상성을 유지하는 것을 가리킨다면, 위는 다양한 현상 가운데에서 발견되는 변화이다. 경위론을 통해서 여헌이 정립하고자 했던 것은 변화하는 현상 세계에서 불변하는 것이 있음을 드러내고, 그것을 중심으로 변화하는 세계를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선후천설이 경위론과 결합됨으로써 선천이 후천에 대해 가지는 주재(主宰)성은 더욱 강화된다. 여헌이 선천과 후천을 경과 위의 관점에서 분석했을 때, 그가 의도한 바는 선천은 후천에 대해 변함없는 가치의 우위성을 가지고 있으며, 후천은 선천의 원리를 대행하는 것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여헌은 세상에 변하지 않는 이치가 있다는 것을 깨달은 인간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말하고 있다. '위'에 의해 야기된 변화 속에서 인간이 실천해야 할 것은 의리이며, 그것은 다름 아닌 '시중'이다. 인간의 시중에 의해 거역함은 따름으로, 해로움은 이로움으로, 흉과 인은 길과 상이 된다. 이것은 원래의 '경'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역은 인간에게 변화의 원리를 설명하는 것뿐만 아니라, '위'에 의한 변화 속에서 인간이 어떻게 변하지 않는 이치를 깨닫고 행동해야 하는지를 가르쳐주는 책이라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