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의 기억책략 사용의 효율성과 메타기억의 관계

        박영아,최경숙 한국인간발달학회 2007 人間發達硏究 Vol.14 No.2

        본 연구는 아동의 암송 책략과 조직화 책략 사용에 있어서 효율적인 사용이 어떠한 발달적 변화를 거치면서 이루어지는지를 알아보고, 이러한 기억책략 사용의 효율성과 메타기억 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5세, 7세, 9세 아동 120명으로서 분류 회상 과제와 메타기억 과제를 실시하였다. 분류 회상 과제에서 기억책략을 자발적으로 사용하지 못한 아동들을 제외하고 책략을 자발적으로 사용한 아동들만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최종 분석에서는 암송 책략에는 75명, 그리고 조직화 책략에는 72명의 자료가 포함되었다. 각 책략에서 아동이 책략을 산출하여 사용하였지만 회상이 낮은 아동은 이용결여 집단으로, 그리고 책략을 사용한 결과 회상이 높은 아동은 효율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 암송 책략과 조직화 책략 모두 5세에서 이용결여가 가장 많이 관찰되었고 아동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이용결여가 감소하면서 책략이 효율적으로 사용되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메타기억은 암송 책략과 조직화 책략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각 책략에서 효율성의 차이를 일으키는 메타기억은 다른 차원인 것이 밝혀졌다. 즉, 암송 책략에서는 항목의 수와 학습 상황 등의 과제에 대한 지식이 암송 책략의 효율적 사용에 영향을 미쳤으나, 조직화 책략에서는 항목의 범주와 학습 상황 등의 과제에 대한 지식 뿐 아니라 책략에 대한 지식 또한 조직화 책략의 효율적 사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아동의 연령에 따른 기억책략 사용의 효율성 분석

        박영아,최경숙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0 No.2

        본 연구는 아동의 연령에 따라 자발적인 책략 사용에 있어 효율성이 언제,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5세, 7세, 9세 아동 120명으로서 분류회상과제를 실시하였다. 책략을 자발적으로 사용하지 못한 아동은 산출결여 집단으로 구분하였고, 책략을 산출하여 사용하였지만 회상이 낮은 아동은 이용결여 집단으로, 그리고 책략의 사용 결과 회상이 높은 아동은 효율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시의 암송 책략과 인출시의 조직화 책략은 아동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산출결여와 이용결여가 감소하면서 효율적으로 사용되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송 책략은 7세에 이르러 이용결여가 감소하면서 효율성이 높아졌으며, 조직화 책략도 효율성이 7세에서 증가하였으나 이용결여는 9세에 이르러서 큰 폭으로 감소하는 특징을 보였다. 또, 학습시에 단일 책략보다는 다중책략을 사용함에 따라 회상이 증가하였는데, 다중책략의 사용 비율이 9세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두 가지 측면에서의 발달적 변화를 책략 사용의 효율성 측면에서 해석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developmental changes in children's use of memory strategies. The subjects were 120 5-, 7-, and 9-year old children. All children performed sort-recall task. Children were classified as spontaneous production deficiency if they didn't use any strategy. Children were classified as utilization deficiency if they use strategies but their recall was lower than or not different from recall of those who were classified as spontaneous production deficiency. And children were classified as efficient user if they use strategies and their recall was higher than recall of those who were classified as spontaneous production deficiency. Both rehearsal and organization, utilization deficiency and spontaneous production deficiency were more common for 5-year-old than 7- or 9-year-old, whereas 7- or 9-year-old showed a tendency to belong to efficient user. With increase in age, children used multiple strategies. And those who used multiple strategies showed higher level of recall than those who used a single strategy.

      • KCI등재

        한국인 중학생의 영어 어휘 학습 책략 연구

        최진,마지현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8 외국어교육연구 Vol.32 No.4

        This study examines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use of English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 total of 407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were participated and assigned to high(N=95), intermediate(N=205), and low(N=107) groups based on their vocabulary size test scores. Overall,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did not actively use a diverse range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nd rather tended to rely on a couple of strategies such as bilingual dictionary use, speaking out new words repeatedly, and writing down new words repeatedly. The results also demonstrated that the high group students used wider ranger of strategies more frequently compared with those in intermediate and low groups, suggesting that higher level of students are more likely to use appropriate strategies across diverse learning contexts. However, intermediate students were more willing to get help to know the meaning of new words from their teachers and peers than high and low group students. Based on the findings, the roles of teachers and learners were discussed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were made. 본 연구는 한국 중학생 407명을 대상으로 영어 어휘 학습 책략에 대한인식과 실제 사용 정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어휘 평가를 통한 어휘능숙도 수준(상위 95명, 중위 205명, 하위 107명)에 따라 어휘 학습 책략에 대한 인식과 사용 정도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통해 얻은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에서 영어를 외국어로 학습하고 있는 중학생들의 경우,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어휘 학습 책략은 입으로 소리 내어 반복하기, 손으로 쓰기 등 기억강화책략 중 인지책략 이었다. 가장 적게 사용하는 책략은 기억강화책략 중 기억책략으로어휘를 어근이나 접사 등 문법적 지식을 통해 학습하는 것에는 익숙하지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참여 학생들의 경우 전반적으로 어휘 학습 책략을 활발하게 사용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어휘수준에 따른 어휘 학습책략의 차이가 존재하는지 살펴본 결과, 어휘 수준이 높은 학습자일수록 다양한 어휘 학습 책략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드러났다. 이는 어휘 수준이 높은 학습자가 맥락에 적절한 책략 사용에더 능숙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어휘 학습과 관련하여 교사 의 역할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아동의 정교화 책략훈련 효과 및 이용결여 현상

        박영아,최경숙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17 No.1

        This study examined training effects and utilization deficiency in the development of elaboration strategy. Ninety 1st-, 3rd-, and 5th- grade children were sampled. An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raining group or control group. All children performed four trials using different list with unrelated word pairs. At first trial, the baseline of recall was measured before training. One day after the first trial, training group were trained to use a verbal elaboration. And then all children received recall tests on second and third trials consecutively. Three days after the third trial, the fourth trial was carried to assess the maintenance of elaboration. Results showed that recall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raining. Third grade children used the strategy but did not gain benefit in recall relative to an earlier baseline at fourth trial. This result was discussed in terms of utilization deficiency. 본 연구는 정교화 책략 훈련을 실시하여 훈련 효과를 살펴보고, 정교화 책략을 획득해가는 과정에서 이용결여 현상이 나타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1, 3, 5학년 각 학년에서 30명씩 총 90명으로서 각 학년에서 동수로 훈련 집단과 통제 집단에 무선 배정하였다. 연구 결과, 정교화 책략 사용을 통하여 훈련 집단 아동이 통제 집단 아동보다 회상 수준에 향상을 보임으로써 책략 훈련의 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책략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에는 연령차가 있었는데 3학년과 5학년은 4시행까지 정교화 책략을 지속적으로 사용한 반면, 1학년은 4시행에서 정교화 책략 사용 수준이 매우 낮았다. 한편, 5학년은 훈련 이후부터 4시행까지 정교화 책략 사용과 회상 수준이 높아 정교화 책략이 과제 수행에 효율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3학년은 4시행까지 정교화 책략을 지속적으로 사용했으나 4시행에서의 회상 수준은 기초선 수행 수준과 차이가 없었다. 이와 같이 3학년에서 나타난 정교화 책략 사용의 비효과성을 이용결여 측면에서 해석하였다.

      • KCI등재

        피의자신문과정에서 허용될 수 있는 책략의 범위

        정세종(Jung, Se-Jong) 한국민간경비학회 2013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2 No.4

        In Korea, police investigators are taught about so called "Reid Techniques". Their main recommendations are investigators can use deceptive techniques to elicit suspects' confession. And police officers sometimes employ deceptive interrogation techniques to determine whether the suspect's guilt or not. But according to the Article 309 of Criminal Procedure Act, confession of a defendant is suspected to have been made involuntarily by means of fraud shall not be admitted as evidence of guilt. So there are some controversies on the range of admissible deceptive interrogation techniqu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range of admissible deceptive interrogation techniques and to make guidelines for the police investigators follow in conducting suspect interrogations in Korea. Generally speaking, there are five kinds of deceptive tactics which are used in suspect interrogation, which are 1) manipulative appeals to conscience; false sympathy, 2) misrepresentations about the nature or seriousness of the crimes, 3) the misrepresenting about culpability, 4) an exaggeration about the possibility of conviction, 5) the presentation of false evidence. The Supreme Court of Korea decided that the confession of the accused by means of promises of leniency may not be admitted at a trial to judge the defendants' guilt. But the court did not say about what would be general criteria to decide which deceptive tactics can lawfully be used. Contrary to this, the U. S. Supreme Court courts have consistently condoned the practice, refusing to exclude confessions obtained through manipulative and deceitful means. For example, Frazier v. Cupp, Moran v. Burbine and Colorado v. Spring all admitted that confessions obtained by deceptive interrogation tactics. I think that Korean police investigators can be allowed to use some level of deceptive interrogation tactics. And the criteria of admissible deceptive interrogation tactics can be changeable depend on the seriousness of the crime(a misdemeanor or a felony), the status of the suspect(without detention or in custody), and the level of interrogation(an interview or an interrogation).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사경찰관들이 일정수준의 책략을 행사하고 있다는 현실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실무에서 활용하고 있는 책략의 유형을 분류하고 미미하나마 그 한계를 설정해보려고 시도하였다. 고도의 염결성이 요구되는 범죄수사업무를 담당하는 수사관이 행사하는 책략의 허용유무와 그 한계를 논하는 것은 매우 난해한 과정이고 궁극적으로는 법철학적인 측면에서 논의되어야 할 사안이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시론적 차원에서 살펴봄으로써 향후 학계 및 실무기관의 심도 깊은 논의의 단초를 제공하고, 일선 수사관들의 수사실무에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려고 하였다. 일반적으로 언급되고 있는 수사관의 책략은 ① 거짓말을 통해서 라포(rapport) 형성하기, ② 범죄사실의 성질이나 심각성을 잘못 전달하기, ③ 범행의 도덕적 비난강도를 줄이기, ④ 유죄판결 가능성을 과장하기, ⑤ 허위의 증거제시 등으로 정리된다. 국내에서는 형사소송법 제309조 등에 규정된 자백배제법칙(기망에 의한 자백)을 중심으로 논의가 전개되고 있는데 법집행기관의 염결성 유지와 허위자백 및 이에 따른 오심의 위험성 등을 근거로 수사관의 책략행사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경향이 짙다. 이에 반하여 미국에서는 수사관이 미란다원칙을 고지하고 피의자가 진술거부권 등의 권리를 일단 포기하게 되면 피의자신문과정에서 행사되는 대부분의 책략은 본질적으로 정의감에 반하거나, 경찰관의 터무니없는 위법행위가 없으면 허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미국 연방대법원은 수사관의 책략, 그 자체만으로 자백의 임의성을 배제하기 보다는 "상황의 총체성" 심사를 통해서 임의성 인정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수사관의 책략을 광범위하게 허용하고 있다. 책략의 허용범위에 있어서는 조작된 증거를 제시하고 피의자를 추궁하는 기법은 본질적으로 금지되어야 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이론이 있을 수 없다. 왜냐하면 이러한 방법은 일반인의 상식에 반하고, 수사기관의 염결성을 심각하게 훼손시킬 수 있으며, 허위자백과 같은 부작용을 초래할 위험성이 크기 때문이다. 그 외의 책략의 허용한계는 일률적으로 규정하기 보다는 수사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판단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예를 들면, 범행의 종류, 피의자의 상황, 피의자신문의 단계 등이 고려사항이 될 수 있다. 먼저 혐의사실이 지인간의 절도, 소액의 사기, 단순폭행 등 비교적 경미한 범죄일 경우에는 허용범위를 비교적 넓게 인정할 수 있는 반면 강력범죄와 같은 중범죄의 경우에는 좁게 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자진출석한 피의자가 비교적 자유로운 상태에서 조사받을 때보다 체포ㆍ구속된 피의자를 신문할 경우에는 보다 엄격하게 해석하는 것이 마땅하고, 신문(interrogation) 보다는 면담(interview) 단계에서 보다 상대적으로 폭넓게 용인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과제 시행에 따른 아동의 회상수행과 조직화 책략사용의 발달적 차이 : 사용결함 가설의 검증

        이경님 한국인간발달학회 1999 人間發達硏究 Vol.6 No.1

        본 연구는 아동의 조직화 책략발달에서의 사용결함 가설을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사용결함은 아동이 자발적으로 책략을 생성할 수 있어도 이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여 회상수행에 개선을 보이지 못하거나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뜻한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회상수행과 조직화 책략사용을 연령과 과제시행에 따라 검토하여 과제시행이 거듭되어 조직화 책략사용이 증가되어도 회상수행의 개선을 보이지 않으면 사용결함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3학년, 5학년, 중학교 1학년의 각 40명씩 모두 120명의 아동으로, 각 아동은 5회 시행에 개별 실험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기억과제는 각 시행에 각각 다른 범주를 포함하는 목록으로 구성된 다중시행 기억과제로 이 때 각 목록의 범주전형가를 비슷한 수준으로 맞추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아동의 회상수행과 조직화 책략사용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둘째, 아동의 조직화 책략사용은 과제시행에 따라 증가하나 9세와 11세 아동의 회상수행은 과제시행에 따라 감소를 보이거나 개선을 보이지 못하였다. 그러나 13세 아동의 회상수행은 과제시행에 따라 개선되었다. 셋째, 아동의 회상수행과 조직화 책략사용의 관계는 13세 아동의 경우 5회 시행 중 4회 시행에서 유의하였으나 9세와 11세 아동의 경우 모든 시행에서 관계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9세와 11세 아동은 자발적으로 책략을 생성하나 책략의 이점을 활용하지 못하여 회상수행에 감소를 보이거나 개선을 보이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사용결함 가설을 지지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13세 아동은 사용결함을 극복하여 효율적인 책략수행을 보여 회상수행도 증가되었으므로 효능적인 책략을 적용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선택·최적화·보상 책략과 소진과의 관계

        엄세진 한국인간발달학회 2008 人間發達硏究 Vol.15 No.3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선택·최적화·보상 책략(이하 SOC 책략)과 소진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에서 근무하는 263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엄세진과 정옥분(2001)에 의해 번안된 SOC 책략 척도와 MBI(Maslach Burnout Inventory)를 번안한 최혜윤(2002)의 소진 척도를 이용해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이원분산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그리고 정준상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SOC 책략과 소진은 평균보다 다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SOC 책략과 보육교사의 소진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보육교사의 SOC 책략 하위요인들 중에서 소진 요인에 관한 예측력은 보상, 임의적 선택, 최적화, 상실에 기반한 선택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SOC 책략 요인들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소진 요인은 정서적 고갈, 개인적 성취감의 상실, 그리고 비인간화 순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경도지적장애아동의 단어회상과제 수행 시 기억 책략 사용 특성

        신수연,이란,이은주 한국특수교육학회 2017 특수교육학연구 Vol.5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 of memory strategies in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during word recall task. The participants were 10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MID) in 4~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10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ith matching chronological age(CA), and 10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ith matching language age(LA). The participants’ implicit memory strategies were identified by analyzing their utterances and behaviors, and based on that, several quantitative metrics were measured such as the number of successfully recalled items, the number and types of memory strategies. In addition, we also investigated whether the participants were self-aware of their use of memory strategies by comparing the observation result with the oral statement from the participants. The number of recalled items and used strategies in each groups were both ranked in order of CA, MID, LA. The types of strategies can be arranged as follows, in order of the number of times they were used by each groups, respectively: external rehearsal = internal rehearsal > perceptual organization > self-testing (in MID group), self-testing > external rehearsal > internal rehearsal > categorical organization> perceptual organization (in CA group), external rehearsal = internal rehearsal > self-testing (in LA group). Specifically, the use of elaboration strategy was not observed in any groups. In addition, children with MID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vel of self-awareness in using memory strategies, compared to CA children and LA childre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hildren with MID have difficulties in utilizing multiple memory strategies in an appropriate and efficient manner. Furthermore, they were hardly self-aware of their use of memory strategies due to cognitive deficiencies. In conclusion, learning ability of the children with MID can be improved in terms of general learning and acquiring vocabulary, when they learn how to select and use appropriate memory strategies suitable for the situation they are in. 본 연구는 경도지적장애아동의 기억 책략 사용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4~5학년에 재학 중인 경도지적장애아동(이하 MID) 10명, 생활연령일치일반아동(이하 CA) 10명, 언어연령일치일반아동(이하 LA) 10명을 대상으로 단어회상과제를 실시하여 단어 회상량, 사용 기억 책략 개수, 사용 기억 책략 유형, 기억 책략 사용 인식의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단어 회상량과 사용 기억 책략 개수는 CA, MID, LA 순으로 높았다. 사용 기억 책략 유형은 MID가 외적암송 = 내적암송 > 지각적 조직화 > 자기점검, CA가 자기점검 > 외적암송 > 내적암송 > 범주적 조직화 > 지각적 조직화, LA가 외적암송 = 내적암송 > 자기점검 순으로 많이 사용하였다. 기억 책략 사용 인식은 CA, LA, MID 순으로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경도지적장애아동이 다중책략의 사용과 효과적인 기억 책략 선택 및 사용의 어려움이 있으며, 경도지적장애아동이 기억 책략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상황에 맞는 책략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韓國學新HSK5級應試策略硏究 -新HSK5級 쓰기 제1부분을 中心으로-

        朴愛華(Park Ai Hua) 동아인문학회 2020 동아인문학 Vol.53 No.-

        본고는 新 HSK 5級 쓰기 제1부분에서 주어진 단어로 순서에 알맞게 배열하여 문장 만들기에 대한 교사로서의 몇 가지 경험을 통한 응시 策略에 관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지도하고 학습하며, 응시하는 學生과 교사의 3차원적 결합을 보여 주는 연구이며, 學生들에게 어학공부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가지게 하여 자신감을 높여주며 또한 실력향상과 동시에 스스로의 능력을 체크할 수 있게 하여 자격증을 취득하게끔 도와주는 策略을 탐색하고 연구하고 제안했다. 본고는 신 한어 수평고시 5級 쓰기 제1부분의 기출문제 22세트 176문항을 분석하고 연구하였으며 教授의 策略을 제안했다. 제2장과 제3장에서는 특수문형중의 連動文과 存現文이 어법 구조상으로 韓國語의 소극적인 영향(負遷移)을 받아 나타나는 오류에 관한 연구를 하였으며 教授의 策略을 제안했다. 제4장에서는 数量词가 數量補語나 數量定語로 나타날 때 문법구조적 위치를 연구 분석하였으며, 어떤 구조특징을 가지고 어느 위치에 어떻게 놓이는가를 연구하여 教授의 策略을 제안했다. 따라서 教授者가 어떠한 방법으로 지도하는가에 따라 학습자가 목표치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거리가 결정된다고 본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skills for the test through Creating Sentences by combining given vocabularies from the first part of writing on new HSK level 5. It is a study that shows 3 dimensional combination between the examinees and teachers to positively inspire students. Furthermore, the study proposes a strategy to help students develop and monitor their language skills and pass the test at the same time. The study conducts a research on 176 questions from 22 sets of previous HSK Level 5 tests. In part 2 and part 3, the study finds errors in the ‘Interlock Sentence’ and the ‘Existential Sentence’ of Special Sentence, which is caused by an influence of the mother language. In part4, It also discovers that ‘quantity modifier’ and ‘quantity complements’ can be put after a verb even though they are categorized as modifiers. I hope that you find it informative if you intend to apply for HSK 5 or you’re an HSK teach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